KR200314835Y1 -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835Y1
KR200314835Y1 KR20-2003-0005091U KR20030005091U KR200314835Y1 KR 200314835 Y1 KR200314835 Y1 KR 200314835Y1 KR 20030005091 U KR20030005091 U KR 20030005091U KR 200314835 Y1 KR200314835 Y1 KR 200314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nel
support member
formwork
pane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강훈
박영서
김학순
Original Assignee
조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강훈 filed Critical 조강훈
Priority to KR20-2003-0005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8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added articles being lifted to substantially stationary gripper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2Noise preven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건설현장이나 거푸집 패널 제작 공장에서 복수개의 거푸집패널을 자동을 적재하여 반출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상기 거푸집 판넬 자동 적재 장치는, 거푸집 패널을 초기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1 컨베이어장치 및 거푸집 패널을 상기 적재위치로부터 반출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컨베이어 장치;와, 상기 적재위치에 설치되고 거푸집 패널을 지지하고 상하로 승강이동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적재위치에 설치되어 거푸집 패널을 이송경로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 패널의 양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간섭위치와 거푸집 패널의 양측 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외측으로 이격된 비간섭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거푸집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는 건설 현장에서 대량으로 소요되는 거푸집 패널 들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적재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쌓아 필요한 경우 이를 용이하게 반출할 수 있으므로, 작업에 요구되는 비용과 시간을 현저하게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에 매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apparatus for piling form panels}
본 고안은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설현장이나 거푸집 패널 제작 공장에서 복수개의 거푸집패널을 자동을 적재하여 반출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기둥, 바닥 및 벽 등과 같이 콘크리트를 부어 만들 모양의 틀을 짠 후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굳은 뒤 이 틀을 떼어내는데, 이러한 틀을 거푸집이라고 한다.
종래의 재래식 거푸집을 대체하여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유로폼(Euro Form) 거푸집은 어떠한 형태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도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거푸집으로서, 반복사용이 가능하여 자재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작업의 단순화 및표준화에 의하여 인건비 절약에도 큰 도움을 준다. 특히, 건물의 평면 형태가 규격화됨으로서 이에 사용되는 유로폼 거푸집 패널의 크기나 형상이 표준화되어 있다.
이러한 거푸집은 건설 현장에서 대량으로 사용되므로, 복수개의 거푸집 패널을 가지런히 쌓아 놓고 사용시에 이를 용이하게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 인식되어 왔다. 또한, 거푸집 제작 또는 임대 업체에서도 많은 수의 거푸집 패널을 한정된 공간 내에 효률적으로 보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복수개의 거푸집 패널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적재하는 경우에 그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의 낭비가 심각하므로, 이를 자동화할 수 있는 장치가 극히 요구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거푸집 패널을 자동으로 가지런히 적재함으로써 작업공간이나 인건비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거푸집 판넬의 자동 적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도3은 도1의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4는 도1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도5는 도1의 실시예의 주요부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6는 도1의 실시예의 제3 컨베이어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7은 도1의 실시예의 승강플레이트에 대한 사시도,
도8은 도1의 지지부재의 회동수단에 대한 구성도,
도9는 도8의 지지부재의 회동수단의 작동 상태도,
도10은 도8의 지지부재에 대한 측면도,
도11은 도8의 지지부재가 작동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12는 도1의 실시예의 가이드 부재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 컨베이어 장치
20: 제2 컨베이어 장치
30: 승강플레이트
40: 회동수단
50: 지지부재
51: 로울러
52: 캠부재
60: 제3 컨베이어 장치
90, 95, 99: 가이드 부재
100: 거푸집 패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거푸집 판넬 자동 적재 장치는, 거푸집 패널을 초기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1 컨베이어장치와 거푸집 패널을 상기 적재위치로부터 반출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컨베이어 장치;와상기 적재위치에 설치되고 거푸집 패널을 지지하고 상하로 승강이동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적재위치에 설치되어 거푸집 패널을 이송경로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거푸집 패널의 양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간섭위치와 거푸집 패널의 양측 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외측으로 이격된 비간섭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샤프트상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샤프트의 양단을 고정하고 상기 간섭위치와 비간섭위치 사이에서 피봇되는 회동암과,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크랭크 휠 및 상기 크랭크 휠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동암의 피봇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동전달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샤프트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원통형 로울러와, 상기 로울러의 측면에서 상기 샤프트상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회동가능하며 제2방향으로 회동불가능한 캠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부재는 원통부와 캠부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부는 상기 로울러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캠부는 상기 로울러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폭이 점차로 줄어들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부재의 제2방향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상기 제2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거푸집 패널을 상기 초기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설정수단은 상기 거푸집 패널을 지지하고 상기 초기위치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제3 컨베이어 장치와, 상기 제3 컨베이어장치의 이송경로에 마련되어 거푸집 패널의 단부를 저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스토퍼 승강기구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1 컨베이어 장치의 양 체인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재위치에 설치되어 거푸집패널의 양측 단부를 가이드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측면 가이드부재와, 상기 측면 가이드부재를 장치의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측면 가이드부재를 부착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외측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고,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지지부재와,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에 각각 고정되고 중앙부가 장치의 프레임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링크부재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재위치에서 적재되는 거푸집 패널의 전방 단부를 가이드하는 전방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가이드 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에서 상기 반출위치에 가장 인접한 링크부재의 단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판넬 자동 적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동 적재 장치는 크게 거푸집 패널(100)을 장치의 초기위치("A")에 정확히 위치시키는 위치설정수단(도2, 3 및 5의 60)과, 거푸집 패널(100)을 상기 초기위치("A")로부터 적재위치("B")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제1 컨베이어 장치: 10), 및 적재가 완료된 거푸집 패널을 상기 적재위치("B")로부터 반출위치("C")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제2 컨베이어 장치: 20)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컨베이어 장치(10)의 2개의 체인열은 거푸집 패널의 양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거푸집 패널의 길이보다 약간 작은 거리만큼 상호 이격된 채로 초기위치("A")로부터 적재위치("B")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2 컨베이어 장치(20)의 2개의 체인열은 상기 제1 컨베이어 장치(10)의 체인열의 내측에 배치되어 적재위치("B")로부터 반출위치("C")까지 연장된다.
제1 및 제2 컨베이어 장치의 체인열은 "free flow chain"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동등한 컨베이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장치(10, 20)는 통상적인 구동수단(11, 21), 예를 들어 유압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도5 및 도6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설정수단(60)은 제1 컨베이어 장치(10)의 양 체인열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63)와, 거푸집패널(100)을 상기 체인열(1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초기위치("A")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제3 컨베이어 장치(로울러열(61) 및 로울러 구동장치(62))와, 상기 로울러열(61)의 이송경로에 마련되어 로울러 구동장치(62)에 의하여 이동되는 거푸집패널(100)의 단부에 접촉하여 그 이동을 저지하도록 배치된 스토퍼(66)를 구비한다.
상기 플레이트(63)와 이 플레이트(63) 상에 배치된 로울러열(61)은 소정의 구동기구,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64) 및 승강가이드(65)에 의하여 승강 이동된다. 따라서, 초기위치("A")로 이송된 거푸집 패널은 그 승강위치에 따라 로울러열(61)에 안착되거가 제1 컨베이어 장치(10)의 양 체인열에 안착된다.
상기 스토퍼(66)는 소정의 구동기구,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68) 및 승강 가이드(67)에 의하여 승강이동됨으로써 로울러 구동장치(62)에 의하여 초기위치("A")를 향하여 이송되는 거푸집 패널(100)을 선택적으로 저지하거나 통과시킨다.
이하에서 초기위치("A")로부터 적재위치("B")로 이동된 복수개의 거푸집 패널(100)을 차례차례 적재하는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위치("B")의 제1 및 제2 컨베이어 장치(10, 20)의 양 체인열 사이에는 거푸집 패널(100)을 지지하고 소정의 구동기구,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32) 및 승강가이드(33)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이동가능한 승강플레이트(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플레이트(30)의 단부에는 거푸집 패널(100)의 적재위치를 정확히 세팅하기 위한 스토퍼(31)가 형성되어, 제1 컨베이어 장치(10)에 의하여 적재위치("B")로 이송되는 거푸집 패널(100)의 전방단부가 상기 스토퍼(31)에 의해 저지된다. 도2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한번에 3개의 거푸집패널을 적재할 수 있도록 승강플레이트(30)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자가 원하는 수의 거푸집패널을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장치(10, 20)의 이송경로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는 거푸집 패널(100)의 양측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50)가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50)는 거푸집 패널(100)의 양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회동된 위치(간섭위치: 도9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거푸집 패널의 양측 단부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외측으로 회동한 위치(비간섭위치: 도9의 은선으로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상기 지지부재(50)를 피봇 회동시키는 회동수단(4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지지부재(50)는 제1 샤프트(42)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샤프트(42)의 양단부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회동암(41)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회동암(41)은 제2 샤프트(45) 상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샤프트(45)는 저어널 (201)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 샤프트(45)에는 동력전달암(43)의 일단부가 고정결합된다. 또한, 저어널(202)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 휠(49)이 마련되고, 상기 크랭크휠(49)의 제1 돌출부(49a)는 구동수단,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48)에 연결됨으로써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크랭크휠(49)의 제1 돌출부(49a)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2 돌출부(49b)가 마련된다. 상기 크랭크휠(49)의 회전운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2개의 크랭크암(44)이 마련되어 크랭크휠(49)에 결합된다. 도8 및 도9의 좌측에 위치한 지지부재(50)에 관련된 크랭크 암(44)의 일단부는 좌측 동력전달암(43)에 결합되고 그 타단부는 크랭크휠(49)의 제1 돌출부(49a)에 결합된다. 도면의 우측에 위치한 지지부재(50)에 관련된 크랭크 암(44)의 일단부는 우측 동력전달암(44)에 결합되고 그 타단부는 크랭크휠(49)의 제2 돌출부(49b)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동전달기구에 의하여, 크랭크 휠(49)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이동에 대응하여 도면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회동암(41)이 동시에 그리고 정확하게 피봇 이동된다.
상기 지지부재(44)는 거푸집 패널의 크기나 적재할 커푸집 패널의 갯수에 상응하여 복수개(예를 들어, 5개)가 마련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4)는 샤프트(42)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원통 형상의 로울러(51)와 상기 로울러(51)의 측면에 동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42) 상에서 역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캠부재(52)로 구성된다. 상기 캠부재(52)는 반시계방향(제1 방향)으로는 회전가능하고 시계방향(제1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상기 캠부재(52)는 그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부(52a)와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캠부(52b) 및 회전제한부(52c)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부(52a)는 로울러(5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상기 캠부(52b)는 로울러(51)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돌출되면서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제한부(52c)는 상기 캠부(52b)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로울러(5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캠부재(52)의 상부에는 회전제한부재, 즉 스토퍼(54)가 배치되어 상기 캠부재(52)의 회전제한부(52c)와 맞물린다. 이에 의하여 상기 캠부재(52)는 제1방향으로 회전가능하나 제2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스토퍼(54)와캠부재(52)는 스프링(55)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캠부재(52)는 제2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캠부재(52)의 상부에 5개의 스토퍼(54)가 각각 배치되어 있으나 샤프트(42)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복수개의 캠부재와 모두 맞물릴수 있는 1개의 스토퍼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장치의 구성이 보다 간소해진다.
이하에서, 적재위치("B")에서 거푸집패널(100)의 적재작업를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도1, 도3, 도4 및 도1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패널(100)의 양측 단부에 인접 설치되는 측면 가이드부재(90), 거푸집패널(100)의 전방 단부에 인접 설치되는 전방 가이드부재(95), 및 거푸집패널(100)의 후방 단부에 인접 설치되는 후방 가이드부재(99)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들(90, 95, 99)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복수개의 봉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거푸집패널(100)의 최대 적재 높이로부터 지지부재(50)의 상부까지 연장된다.
상기 측면 가이드부재(90)는 거푸집 패널(100)의 적재시에는 거푸집 패널의 측면 단부에 인접위치되고, 적재된 거푸집 패널을 반출위치("C")를 향하여 반출시에는 거푸집 패널(100)의 측면 단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됨으로써 거푸집 패널 반출 작업의 용이성을 도모한다. 즉, 상기 측면 가이드부재(90)는 후술하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장치의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측면 가이드부재(90)들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는 2개의 제1 지지부재(92)와, 상기 제1 지지부재(92)의 외측에 소정간격만큼 이격배치된 제2 지지부재(91) 및 상기 제1 지지부재(92)와 제2 지지부재(91)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개의 링크부재(94a, 94b, 94c)로 이루어진다. 도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부재(91)는 상기 제1 지지부재(92)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2개의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장치의 프레임(200)에 설치된 구동수단, 예를 들어 모터(93)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링크부재(94a, 94b, 94c)는 복수개가 마련되는데, 링크부재의 일단부는 제1 지지부재(92)에 고정되고 그 타단부는 제2 지지부재(91)의 수평부에 고정된다. 상기 링크부재(94a, 94b, 94c)의 중앙부는 장치의 프레임(200)에 피봇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재(91)의 수평방향의 이동(화살표 "D" 방향)이 제1 지지부재(92) 및 이에 부착된 측면 가이드부재(90)의 화살표 "E" 방향의 이동으로 절환된다.
상기 전방 가이드부재(95)는 거푸집 패널(100)의 적재 시에는 거푸집 패널(100)의 전방 단부의 모서리 부분에 인접 배치되고, 적재된 거푸집 패널을 반출할 때에는 그 반출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거푸집 패널(100)의 반출 경로로부터 후퇴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 "ㄴ"자 형상의 길다란 부재를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94a, 94b, 94c) 중에서 반출위치에 가장 인접한 링크부재(94a)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시킨다. 즉, 거푸집 패널(100)의 반출 시에 제2 지지부재(91)의 수평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링크부재(92a)가 회동하면(화살표 "F"방향), 상기 링크부재(92a)의 단부에 결합된 전방 가이드부재(95)는 (도12의 "X"위치로부터 "Y"위치로) 피봇 회동함으로서 그단부가 거푸집 패널의 반출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도1 및 도3에 도시된 후방 가이드부재(99)는 거푸집 패널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여 고정 설치된 봉 형상의 부재이다.
한편, 도1 및 도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0)의 상측 및 하측에는, 적재 과정에서 거푸집 패널(100)이 최초의 세팅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설정부재(80, 81)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위치설정부재(80, 81)는 거푸집 패널(100)의 양측 단부를 밀어주는 길다란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는 완충 스프링이 설치된다.
도1의 설명되지 않는 도면부호 "201"은 본 장치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트이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작업자가 거푸집패널(100)을 제3컨베이어 장치의 로울러(61) 상에 적당히 올려 놓음으로써 본 장치의 작동이 개시된다. 즉, 로울러 구동 장치(62)가 작동하여 거푸집 패널(100)이 체1컨베이어 장치(10)의 체인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초기위치("A")를 향하여 이동된 거푸집 패널(100)은 스토퍼(66)에 의해 정지되어 정확한 초기위치("A")에 세팅된다. 한편, 적재하기에 적합하지 않는 거푸집패널이 이송되어 온 경우에는, 작업자는 유압실린더(68)을 작동시켜 스토퍼(66)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거푸집 패널을 장치 밖으로 빼낼 수도 있다.
거푸집 패널(100)이 초기위치("A")에 정확히 세팅되면, 유압실린더(64)가 작동되어 플레이트(63)가 제1 컨베이어 장치(10)의 아래쪽으로 하강한다. 그러면, 로울러(61) 상에 지지되어 있던 거푸집 패널의 양측 단부가 로울러(61)로부터 이탈되어 제1 컨베이어 장치(10)의 양측 레일에 지지된다. 그 다음에 제1 컨베이어 장치(10)가 구동하여 거푸집 패널(100)을 적재위치("B")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결국 거푸집 패널(100)이 승강플레이트(30)의 스토퍼(31)에 의해 정지되어 적재위치("B")에 세팅된다.
본 실시예의 적재 장치의 적재위치("B")에는 3개의 거푸집 패널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과정을 되풀이함으로써 3개의 거푸집 패널(100)이 승강플레이트(30) 상에 나란히 배열된다.
그 다음에 유압실린더(32)가 작동됨으로써 승강 플레이트(30)가 거푸집 패널을 지지한 채로 상승한다. 승강 플레이트(30)가 지지부재(50)를 향하여 접근하면, 지지부재(50)는 외측으로 회동되어 간섭위치로부터 비간섭위치로 절환된다. 즉, 유압실린더(48)가 작동하여 크랭크휠(49)을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이동시키면 양측 크랭크암(44)이 이에 상응하여 안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양측 동력전달암(43)이 제2 샤프트(45)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피봇되고, 상기 제2 샤프트(45)에 고정된 양측 회동암(41)이 그에 상응하는 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결국 양측 지지부재(50)가 거푸집 패널의 상승경로를 방해하는 간섭위치로부터 상기 상승경로로부터 이격된 비간섭위치로 절환된다.
승강플레이트(30)가 지지부재(50)의 위치를 통과하여 상승한 다음에는, 지지부재(50)는 위에서 기술한 것과 반대되는 작동과정을 거쳐 내측으로 회동됨으로써비간섭위치로부터 간섭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플레이트(30)가 다시 하강하면 지지부재(50)의 로울러(51)에 거푸집패널(100)의 양측단부의 하면이 걸려 지지된다. 한편, 승강플레이트(30)는 계속 하강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지지부재(50)의 로울러(51) 상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거푸집 패널이 지지된 상태에서 또 하나의 거푸집 패널을 적재시키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1(a)와 같이, 예를 들어 3개의 거푸집패널(100a, 100b, 100c)이 지지부재(50)의 로울러(51)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또 하나의 거푸집패널(100d)이 승강플레이트(30)에 지지되어 상승한다.
승강플레이트(30)가 지지부재(50)에 접근된 것이 센서(도시 생략)에 의하여 감지되면, 도11(b)와 같이 지지부재(50)는 간섭위치로부터 비간섭위치를 향하여 바깥쪽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로울러(51)는 샤프트(42) 상에서 시계방향으로 각도 a 만큼 회전하여 적재된 거푸집 패널(100a, 100b, 100c)은 도11(b)와 같은 상태로 지지된다. 지지부재(50)의 외측 방향의 회동이 계속되면, 결국 도11(c)와 같이 거푸집패널(100a, 100b, 100c)의 측면단부가 로울러(51)로부터 이탈되어 캠부재(52)의 캠부(52a)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재(52)의 회동이 정지된다. 이 상태(각도 b 만큼 회전한 상태)는 지지부재의 비간섭위치에는 약간 미치지 못하게 회동된 상태이다. 상기 캠부재(52)는 스토퍼(54)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으므로, 거푸집패널(100a, 100b, 100c)은 캠부(52a)에 지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승강플레이트(30)가 상승하여 거푸집패널(100d)의 측면 단부가 캠부재(52)의 캠부(52a)를 밀고 올라간다. 캠부재(52)는 반시계방향으로는 회전(각도 c-각도b 만큼 회전됨)이 가능하므로, 도11(d)와 같이 캠부(52a)는 거푸집패널의 상승경로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4개의 거푸집 패널(100a, 100b, 100c, 100d)이 승강플레이트(30) 상에 차례로 적재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거푸집 패널의 적재시에 충격이나 덜걱거림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 다음에 지지부재(50)는 내측으로 회동되어 다시 간섭위치로 복귀되고, 승강플레이트(30)가 하강하면 지지부재(50)의 로울러(51)가 4개의 거푸집패널(100a, 100b, 100c, 100d)을 모두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되풀이함으로써 원하는 갯수 만큼의 거푸집 패널을 가지런히 적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재 완료된 거푸집 패널을 반출위치로 이송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거푸집 패널을 적재하고 있을 때에는, 도3, 도4 및 도12에서와 같이 측면 가이드부재(90), 전방 가이드부재(95) 및 후방 가이드부재(99)가 거푸집 패널(100)의 측면 단부,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각각 인접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거푸집패널의 적재가 완료되면 모터(93)가 작동하여 제2 지지부재(91)를 도12의 우측 방향(화살표 "D"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킨다. 그러면 링크부재(94a, 94b, 94c)가 시계방향(화살표 "F" 방향)으로 피봇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1 지지부재(92)가 도면의 좌측 상방(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결국 제1 지지부재(92)에 부착된 측면 가이드부재(90)가 거푸집 패널(100)의 측면 단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정된다.
한편, 링크부재(94a)가 피봇 회전하면 링크부재의 단부에 결합된 전방 가이드부재(95)는 거푸집 패널의 전방 단부에 인접한 "X"위치로부터 거푸집 패널의 이송경로로부터 벗어난 "Y" 위치에 설정된다.
이와 같이 측면 가이드부재(90)와 전방 가이드부재(95)가 거푸집 패널의 반출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절환된 상태에서, 구동수단(21)이 작동하여 제2 컨베이어 장치(20)가 거푸집 패널(100)을 적재위치("B")로부터 반출위치("C")까지 이송시킨다. 반출위치("C")로 이송된 거푸집 패널(100)은 지게차(300) 등에 의하여 원하는 작업위치로 이동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이들 사항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는 건설 현장에서 대량으로 소요되는 거푸집 패널들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쌓을 필요없이 자동으로 적재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작업현장으로 반출할 수 있으므로, 거푸집 패널의 적재 작업에 요구되는 비용과 시간을 현저히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 패널의 보관에 요구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거푸집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에서는 거푸집 패널의 지지부재의 특유한 구조에 의하여 거푸집 패널의 적재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나 충격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제공된다.

Claims (10)

  1. 거푸집 패널(100)을 초기위치("A")로부터 적재위치("B")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1 컨베이어장치(10)와 거푸집 패널(100)을 상기 적재위치("B")로부터 반출위치("C")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컨베이어 장치(20),
    상기 적재위치("B")에 설치되고 거푸집 패널(100)을 지지하고 상하로 승강이동되는 승강플레이트(30),
    상기 적재위치("B")에 설치되어 거푸집 패널(100)을 그 이송경로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50)와,
    상기 지지부재(50)를 거푸집 패널(100)의 양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간섭위치와 거푸집 패널(100)의 양측 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외측으로 이격된 비간섭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의 자동적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0)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샤프트(42)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수단(40)은 상기 샤프트(42)의 양단을 고정하고 상기 간섭위치와 비간섭위치 사이에서 피봇되는 회동암(41)과,
    소정의 구동수단(48)에 의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크랭크 휠(49) 및
    상기 크랭크 휠(49)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동암(41)의 피봇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동전달기구(43, 44, 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0)는 샤프트(42)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원통형 로울러(51)와, 상기 로울러(51)의 측면에서 상기 샤프트(42) 상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회동가능하며 제2방향으로 회동불가능한 캠부재(52)를 구비하고,
    상기 캠부재(52)는 원통부(52a)와 캠부(52b)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부(52a)는 상기 로울러(51)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캠부(52b)는 상기 로울러(51)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폭이 점차로 줄어들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의 작동 적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52)의 제2방향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재(54)와,
    상기 캠부재(52)를 상기 제2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55)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거푸집 패널(100)을 상기 초기위치("A")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설정수단(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수단(60)은 거푸집 패널(100)을 지지하고 상기 초기위치("A")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제3 컨베이어 장치(61, 62)와,
    상기 제3 컨베이어 장치(61, 62)의 이송경로에 마련되어 거푸집 패널(100)의 단부를 저지하는 스토퍼(6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66)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스토퍼 승강기구(67, 68)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컨베이어 장치(61, 62)는 상기 제1 컨베이어 장치(10)의 양 체인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63)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63)는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위치("B")에 설치되어 거푸집패널(100)의 양측 단부를 가이드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측면 가이드부재(90)와,
    상기 측면 가이드부재(90)를 장치의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측면 가이드부재(90)를 부착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재(92)와,
    상기 제1 지지부재(92)의 외측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고, 소정의 구동수단(93)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지지부재(91)와,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 지지부재(92) 및 제2 지지부재(91)에 각각 고정되고 중앙부가 장치의 프레임(200)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링크부재(94a, 94b, 94c)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위치("B")에서 적재되는 거푸집 패널(100)의 전방 단부를 가이드하는 전방 가이드부재(95)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방 가이드 부재(95)는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94a, 94b, 94c) 중에서 상기 반출위치("C")에 가장 인접한 링크부재(94a)의 단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KR20-2003-0005091U 2003-02-20 2003-02-20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KR200314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091U KR200314835Y1 (ko) 2003-02-20 2003-02-20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091U KR200314835Y1 (ko) 2003-02-20 2003-02-20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787A Division KR100538828B1 (ko) 2003-02-20 2003-02-20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835Y1 true KR200314835Y1 (ko) 2003-05-27

Family

ID=4940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091U KR200314835Y1 (ko) 2003-02-20 2003-02-20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8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965Y1 (ko) 2011-04-28 2012-10-10 한상관 가구용 패널 전용 투입기
KR102404074B1 (ko) * 2022-02-07 2022-05-30 김정남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965Y1 (ko) 2011-04-28 2012-10-10 한상관 가구용 패널 전용 투입기
KR102404074B1 (ko) * 2022-02-07 2022-05-30 김정남 컨베이어형 고속 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252B1 (ko) 입체 주차장치
US4768914A (en) Storage system
US5577597A (en) Work transport system including pallet transport apparatus
CN1886313A (zh) 自动仓库行车和升降机
WO2019137866A1 (en) A displacement mechanism for a remotely operated vehicle
JP7234258B2 (ja) 遠隔操作車両のための変位機構
US5328315A (en) Multistory multicolumn storing installation
KR200314835Y1 (ko)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EP174159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pallets
KR100538828B1 (ko) 거푸집 패널의 자동 적재 장치
JPH06239451A (ja) 4方向型パレット搬送設備
JPH08268550A (ja) 条鋼精整装置
CN111017581A (zh) 一种物料袋摆型装置及装车码垛系统
US66199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ading and reloading returnable shipping containers from a trailer
CN211997893U (zh) 一种物料袋摆型装置及装车码垛系统
KR200368508Y1 (ko)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KR20130009307A (ko) 자동창고
CA262209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urning paper rolls
US20080206025A1 (en) Garage for multi-level parking of cars
CN111017583A (zh) 一种装车码垛方法及电子设备
KR102582834B1 (ko) 벨트식 주차 타워 시스템
CN219949702U (zh) 一种防止四向车掉落的阻挡机构
JP7549063B2 (ja) 遠隔操作車両のための変位機構
KR200362453Y1 (ko) 거푸집패널의 자동적재장치
JP4008269B2 (ja) インゴットの積上げ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0104

Effective date: 200704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103

Effective date: 20070731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311

Effective date: 20080930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