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398B1 -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 - Google Patents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398B1
KR102650398B1 KR1020210153109A KR20210153109A KR102650398B1 KR 102650398 B1 KR102650398 B1 KR 102650398B1 KR 1020210153109 A KR1020210153109 A KR 1020210153109A KR 20210153109 A KR20210153109 A KR 20210153109A KR 102650398 B1 KR102650398 B1 KR 102650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ame
fixed base
coupled
moto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7234A (ko
Inventor
김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비
Priority to KR1020210153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398B1/ko
Publication of KR20230067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정베이스프레임;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물품을 이동시키는 이송어셈블리;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는 모터장착프레임; 및 상기 모터장착프레임의 결합되며, 상기 이송어셈블리를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시키는 이송방향전환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을 분류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또한 물품을 분류하는 장치의 크기 조절이 쉽고 고장 발생시 수리가 간단하고 편리하다.

Description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SEPARATED UNIT SORTER AND APPARATUS FOR SORTING GOOD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류창고는 공장 등에서 대량 생산된 각종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적으로 보관하는 곳으로, 물류창고의 내부에는 물품들을 대량으로 입고하여 물품 종류에 따라 배치하고 그 배치된 물품들을 출고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물류시스템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물류시스템은 물품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장치들과, 컨베이어장치들 사이에 위치하여 물품을 분류하여 설정된 컨베이어장치로 이송시키는 물품분류장치를 포함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54864호(2020.01.22. 공고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체인과 스포라켓을 이용하여 물품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분류하는 로터리 방식의 스윕 소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물품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만 분류하게 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분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을 분류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한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품을 분류하는 장치의 크기 조절이 쉽고 고장 발생시 수리가 간단하고 편리한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정베이스프레임;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물품을 이동시키는 이송어셈블리;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는 모터장착프레임; 상기 모터장착프레임의 결합되며, 상기 이송어셈블리를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시키는 이송방향전환유닛을 포함하는 독립형 단위소터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은 내부에 관통구멍이 구비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변에 각각 절곡 연장되는 수직판들과, 상기 수직판들의 각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가이드판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어셈블리는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롤러고정프레임과,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롤러어셈블리들과,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롤러어셈블리들을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모터과, 상기 롤러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롤러어셈블리들에 전달하는 롤러동력전달유닛과, 상기 롤러어셈블리의 롤러들이 일부분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원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어셈블리는 제1,2,3 롤러어셈블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롤러어셈블리는 두 개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3 롤러어셈블리는 각각 한 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장착프레임은 내부에 관통구멍이 구비된 베이스판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의 양측변에 각각 절곡 연장되는 수직판부들과, 상기 수직판부들의 각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판부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방향전환유닛은 상기 이송어셈블리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모터장착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모터장착프레임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방향전환모터와, 상기 방향전환모터의 회전력을 회전부재에 전달하는 메인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테이블; 상기 베이스테이블에 가로 열과 세로 열로 배열된 다수 개의 독립형 단위소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독립형 단위소터는, 상기 베이스테이블에 고정되는 고정베이스프레임;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물품을 이동시키는 이송어셈블리;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는 모터장착프레임; 상기 모터장착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어셈블리를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시키는 이송방향전환유닛을 포함하는 물품분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독립형 단위소터들의 각 이송어셈블리를 설정된 방향과 각도로 변환시켜 물품을 설정된 방향과 각도로 이송시키게 되므로 물품을 분류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테이블에 가로 열과 세로 열로 배열된 독립형 단위소터들이 각각 물품을 독립적으로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물품의 이송방향과 각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독립형 단위소터들의 배열 갯수 조절이 쉽고 간단하여 물품분류장치의 크기 조절이 쉽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테이블에 가로 열과 세로 열로 배열된 독립형 단위소터들이 각각 물품을 독립적으로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물품의 이송방향과 각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독립형 단위소터들 중 임의의 한 개가 고장날 경우 그 고장난 독립형 단위소터만 간단하게 분리하거나 조립할 수 있어 고장 수리가 간단하게 되어 유지 보수가 수월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단위소터가 구비한 물품분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단위소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상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단위소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하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단위소터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을 도시한 상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단위소터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을 도시한 하측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단위소터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단위소터가 구비한 물품분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단위소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상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단위소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하측 사시도이다.
도 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단위소터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의 일실시예는, 베이스테이블(B)과, 그 베이스테이블(B)에 가로 열과 세로 열로 배열된 다수 개의 독립형 단위소터(S)들을 포함한다.
베이스테이블(B)은 다수 개의 독립형 단위소터(S)들을 가로열과 세로열로 장착될 수 있는 구조이다. 베이스테이블(B)의 일예로, 베이스테이블(B)은 내부에 가로바와 세로바들이 배열된 사각 프레임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테이블(B)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독립형 단위소터(S)들은 베이스테이블(B)에 가로열과 세로열로 배열되며, 각 독립형 단위소터(S)들은 물품을 이송시키고 물품의 이송방향을 변환시킨다.
독립형 단위소터(S)의 일예로, 독립형 단위소터(S)는 고정베이스프레임(100), 이송어셈블리(200), 모터장착프레임(300), 이송방향전환유닛(400)을 포함한다.
고정베이스프레임(100)은 베이스테이블(B)에 결합된다. 고정베이스프레임(100)의 일예로, 고정베이스프레임(100)은 내부에 관통구멍이 구비되며 수평으로 위치하는 베이스판부(110)과, 그 베이스판부(110)의 양측변에 각각 절곡 연장되는 수직판부(120)들과, 그 수직판부(120)들의 각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가이드판부(130)들을 포함한다.
이송어셈블리(200)는 고정베이스프레임(100) 내부에 위치하며 물품을 이동시킨다. 이송어셈블리(200)의 일예로, 도 4,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어셈블리(200)는 고정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롤러고정프레임(210)과, 그 롤러고정프레임(2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롤러어셈블리(220)들과, 롤러고정프레임(210)에 장착되어 롤러어셈블리(220)들을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모터(230)와, 그 롤러구동모터(230)의 회전력을 롤러어셈블리(220)들에 전달하는 롤러동력전달유닛(240)과, 롤러어셈블리(220)의 롤러들이 외부로 일부분 노출되도록 롤러고정프레임(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원판(250)을 포함한다.
롤러고정프레임(210)의 일예로, 롤러고정프레임(210)은 수평으로 위치하는 베이스판부(211)와, 그 베이스판부(211)의 길이 방향 가운데 양측면에 각각 연장 절곡되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 롤러축지지부(212)들과, 베이스판부(211)의 길이 방향 한쪽 양측면에 각각 절곡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 롤러축지지부(213)들과, 그 제2 롤러축지지부(213)들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고정판부(214)들과. 베이스판부(211)의 길이 방향 다른 한쪽 양측면에 각각 절곡 연장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3 롤러축지지부(215)들과, 그 제3 롤러축지지부(215)들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고정판부(216)들을 포함한다. 롤러어셈블리(220)들의 일예로, 롤러어셈블리(220)들은 제1,2,3 롤러어셈블리(221)(222)(22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롤러어셈블리(221)는 제1 롤러축(1)과, 그 제1 롤러축(1)의 양단에 결합되는 두 개의 롤러(2)들을 포함한다. 제2 롤러어셈블리(222)는 제2 롤러축(3)과, 그 제2 롤러축(3)의 가운데에 결합되는 한 개의 롤러(2)를 포함한다. 제3 롤러어셈블리(223)는 제3 롤러축(4)과, 그 제3 롤러축(4)의 가운데 결합되는 한 개의 롤러(2)를 포함한다. 제1 롤러축(1)은 제2 롤러축(3)보다 길고 제2 롤러축(3)은 제3 롤러축(4) 길이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롤러어셈블리(221)는 롤러고정프레임(210)의 제1 롤러축지지부재(212)들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제2 롤러어셈블리(222)는 롤러고정프레임(210)의 제2 롤러축지지부(213)들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제3 롤러어셈블리(223)는 롤러고정프레임(210)의 제3 롤러축지지부(215)들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제1,2,3 롤러어셈블리(221)(222)(223)가 각각 롤러고정프레임(210)에 연결된 상태에서 4 개의 롤러(2)들은 사각형 형태로 위치한다. 롤러구동모터(230)는 롤러고정프레임(210)의 베이스판부(211) 상면에 장착된다. 롤러구동모터(230)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롤러동력전달유닛(240)의 일예로, 롤러동력전달유닛(240)은 롤러구동모터(230)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241)와, 제1 롤러축(1)의 한쪽에 결합되는 제1 종동풀리(242)와, 제2 롤러축(3)의 한쪽에 결합되는 제2 종동풀리(243)와, 제1 롤러축(1)의 다른 한쪽에 결합되는 제3 종동풀리(244)와, 제3 롤러축(4)의 한쪽에 결합되는 제4 종동풀리(245)와, 구동풀리(241) 및 제1,2 종동풀리(242)(243)를 연결하는 제1 벨트(246)와, 제3,4 종동풀리(244)(245)를 연결하는 제2 벨트(247)를 포함한다. 롤러동력전달유닛(240)은 구동풀리(241)가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이 제1,2 벨트(246)(247)를 통해 제1,2,3 롤러축(1)(3)(4)에 전달되어 제1,2,3 롤러축(1)(3)(4)의 네 개의 롤러(2)들이 동시에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커버원판(25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네 개의 롤러구멍(251)들이 구비된다. 커버원판(250)은 네 개의 롤러구멍(251)들에 각각 네 개의 롤러(2)들이 위치하도록 롤러고정프레임(210)의 고정판부(130)들에 고정 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네 개의 롤러(2)들의 각 일부분이 커버원판(250)의 롤러구멍(251)들에 노출된다.
이송어셈블리(200)는 롤러구동모터(230)가 작동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되면 그 회전력이 롤러동력전달유닛(240)을 통해 롤러어셈블리(220)에 전달되어 롤러어셈블리(220)의 롤러(2)들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모터장착프레임(300)은 고정베이스프레임(100)의 하면에 결합된다. 모터장착프레임(300)의 일예로, 모터장착프레임(300)은 내부에 관통구멍이 구비된 베이스판부(310)와, 그 베이스판부(310)의 양측변에 각각 절곡 연장되는 수직판부(320)들과, 그 수직판부(320)들의 각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고정베이스프레임(100)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판부(330)들을 포함한다. 베이스판부(310)는 사각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장착프레임(300)의 결합판부(330)들이 고정베이스프레임(100)의 베이스판부(110) 하면에 결합된다.
이송방향전환유닛(400)은 모터장착프레임(300)의 고정 결합되며, 이송어셈블리(200)를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시킨다. 이송방향전환유닛(400)의 일예로, 이송방향전환유닛(400)은 이송어셈블리(200)의 하부에 연결되며 고정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모터장착프레임(300)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부재(410)와, 모터장착프레임(300)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방향전환모터(420)와, 그 방향전환모터(420)의 회전력을 회전부재(410)에 전달하는 메인동력전달유닛(430)을 포함한다. 회전부재의 일예로, 회전부재(41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단부가 고정베이스프레임(100)의 베이스판부(110)를 관통하여 이송어셈블리(200)의 롤러고정프레임(210) 하면에 연결되는 수직축부(411)와, 그 수직축부(411)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고정베이스프레임(100)의 베이스판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지지부(412)를 포함한다. 메인동력전달유닛(430)의 일예로, 메인동력전달유닛(430)은 방향전환모터(420)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431)와, 회전부재(4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종동풀리(432)와, 구동풀리(431)와 종동풀리(432)를 연결하는 벨트(433)를 포함한다.
이송방향전환유닛(400)은 방향전환모터(420)가 설정된 각도로 각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이 메인동력전달유닛(430)을 통해 회전부재(410)에 전달되어 회전부재(410)가 각회전하면서 이송어셈블리(200)를 설정된 각도로 각회전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분류장치는 컨베이어장치 라인의 분기점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베이스테이블(B)에 배열된 독립형 단위소터(S)들의 각 이송어셈블리(200)를 작동시킨다. 이송어셈블리(200)가 작동함에 따라 이송어셈블리(200)의 롤러(2)들이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컨베이어장치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물품이 물품분류장치로 유입되면 롤러(2)들의 회전에 의해 롤러(2)들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송하게 된다. 롤러(2)들이 컨베이어장치의 이송방향과 동일 선상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물품들이 직선으로 이송된다. 만일, 물품의 진행방향을 좌측 30도 방향으로 이송시킬 경우 독립형 단위소터(S)들의 각 이송방향전환유닛(400)의 방향전환모터(420)를 제어하여 좌측으로 30도 각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그 방향전환모터(420)의 각회전력이 메인동력전달유닛(430)을 통해 이송어셈블리(200)로 전달되어 이송어셈블리(200)를 좌측으로 30도 각회전시키게 된다. 이송어셈블리(200)를 좌측으로 30도 각회전됨에 따라 이송어셈블리(200)의 롤러(2)들이 좌측으로 30도 각회전하여 회전하게 되어 물품을 좌측 30도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즉, 독립형 단위소터(S)들의 각 이송방향전환유닛(400)으로 이송어셈블리(200)의 이송방향을 설정된 방향과 각도로 변환시켜 물품을 설정된 방향과 각도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독립형 단위소터(S)들의 각 이송어셈블리(200)를 설정된 방향과 각도로 변환시켜 물품을 설정된 방향과 각도로 이송시키게 되므로 물품을 분류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테이블(B)에 가로 열과 세로 열로 배열된 독립형 단위소터(S)들이 각각 물품을 독립적으로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물품의 이송방향과 각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독립형 단위소터(S)들의 배열 갯수 조절이 쉽고 간단하여 물품분류장치의 크기 조절이 쉽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테이블(B)에 가로 열과 세로 열로 배열된 독립형 단위소터(S)들이 각각 물품을 독립적으로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물품의 이송방향과 각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독립형 단위소터(S)들 중 임의의 한 개가 고장날 경우 그 고장난 독립형 단위소터(S)만 간단하게 분리하거나 조립할 수 있어 고장 수리가 간단하게 되어 유지 보수가 수월하게 된다.
B; 베이스테이블 S; 독립형 단위소터
100; 고정베이스프레임 200; 이송어셈블리
300; 모터장착프레임 400; 이송방향전환유닛

Claims (7)

  1. 고정베이스프레임;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물품을 이동시키는 이송어셈블리;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는 모터장착프레임; 및
    상기 모터장착프레임의 결합되며, 상기 이송어셈블리를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시키는 이송방향전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어셈블리는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롤러고정프레임과,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롤러어셈블리들과,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롤러어셈블리들을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모터과, 상기 롤러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롤러어셈블리들에 전달하는 롤러동력전달유닛과, 상기 롤러어셈블리들의 롤러들이 일부분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어셈블리들은 제1,2,3 롤러어셈블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롤러어셈블리는 두 개의 롤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3 롤러어셈블리는 각각 한 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독립형 단위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은 내부에 관통구멍이 구비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변에 각각 절곡 연장되는 수직판들과, 상기 수직판들의 각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가이드판들을 포함하는 독립형 단위소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장착프레임은 내부에 관통구멍이 구비된 베이스판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의 양측변에 각각 절곡 연장되는 수직판부들과, 상기 수직판부들의 각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판부들을 포함하는 독립형 단위소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방향전환유닛은 상기 이송어셈블리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모터장착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모터장착프레임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방향전환모터와, 상기 방향전환모터의 회전력을 회전부재에 전달하는 메인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는 독립형 단위소터.
  7. 베이스테이블;
    상기 베이스테이블에 가로 열과 세로 열로 배열된 다수 개의 독립형 단위소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독립형 단위소터는,
    상기 베이스테이블에 고정되는 고정베이스프레임;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며 물품을 이동시키는 이송어셈블리;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는 모터장착프레임; 및
    상기 모터장착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어셈블리를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시키는 이송방향전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어셈블리는 상기 고정베이스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롤러고정프레임과,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롤러어셈블리들과,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롤러어셈블리들을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모터과, 상기 롤러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롤러어셈블리들에 전달하는 롤러동력전달유닛과, 상기 롤러어셈블리들의 롤러들이 일부분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어셈블리들은 제1,2,3 롤러어셈블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롤러어셈블리는 두 개의 롤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3 롤러어셈블리는 각각 한 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물품분류장치.
KR1020210153109A 2021-11-09 2021-11-09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 KR102650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109A KR102650398B1 (ko) 2021-11-09 2021-11-09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109A KR102650398B1 (ko) 2021-11-09 2021-11-09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234A KR20230067234A (ko) 2023-05-16
KR102650398B1 true KR102650398B1 (ko) 2024-03-25

Family

ID=86545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109A KR102650398B1 (ko) 2021-11-09 2021-11-09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037B1 (ko) * 2023-12-15 2024-04-23 우양정공주식회사 휠소터를 이용한 포개진 물품 이격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616B1 (ko) 2007-10-18 2009-01-07 주식회사 태성기연 방향전환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KR101864594B1 (ko) 2017-10-26 2018-06-05 주식회사 가람 자력 타입 반송 로울러를 구비하여서 되는 자력 회전식 화물 분류장치 및 분류 방법
US20190329987A1 (en) * 2016-12-19 2019-10-31 CarI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Transfer device for a transport vess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134A (ko) * 2017-05-14 2018-11-22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이송 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TWI721799B (zh) * 2020-02-27 2021-03-11 陽程科技股份有限公司 輸送設備之分揀系統
KR20210112096A (ko) * 2020-03-04 2021-09-14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휠 소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616B1 (ko) 2007-10-18 2009-01-07 주식회사 태성기연 방향전환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US20190329987A1 (en) * 2016-12-19 2019-10-31 CarI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Transfer device for a transport vessel
KR101864594B1 (ko) 2017-10-26 2018-06-05 주식회사 가람 자력 타입 반송 로울러를 구비하여서 되는 자력 회전식 화물 분류장치 및 분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234A (ko)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8856B2 (en) Transferring assembly for conveying systems
KR0166222B1 (ko) 분기합류용 콘베이어설비
KR101725337B1 (ko) 분기방향 제어가 가능한 양방향 분기형 피봇 휠 소터
US5360102A (en) Belt conveyor with rotary guides for marginal portions of the belt
KR20170036303A (ko) 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KR102650398B1 (ko)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
US11365056B2 (en) Conveying device
KR102197320B1 (ko) 롤러 확장형 선별기
CN110395525B (zh) 一种摆轮分拣机
JP5106920B2 (ja) フリートレイの方向整列装置
CN212711516U (zh) 一种全电机驱动摆轮分拣机
JP2019000770A (ja) 農産物の選別装置
KR102224615B1 (ko) 물류 자동 분류장치
CN210392444U (zh) 分拣输送系统
KR102482940B1 (ko) 단위 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
KR100460538B1 (ko) 농산물 선별기
CN209064830U (zh) 用于辊道输送机的自适应货物偏转导向装置
WO2020199457A1 (zh) 分拣输送系统
KR102415926B1 (ko) 선별롤러유닛과 이를 이용한 다목적 리프트 선별장치.
KR102614035B1 (ko) 롤러 확장형 선별기
KR20240044242A (ko) 물류 볼소터
CN218963322U (zh) 一种果蔬分选机及其果蔬传输装置
CN213001256U (zh) 一种物件分离装置
CN216827296U (zh) 一种分拣设备
CN220277622U (zh) 一种包裹摆臂分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