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626U - 고가 사다리용 붐 하강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고가 사다리용 붐 하강 안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1626U KR20090001626U KR2020070013596U KR20070013596U KR20090001626U KR 20090001626 U KR20090001626 U KR 20090001626U KR 2020070013596 U KR2020070013596 U KR 2020070013596U KR 20070013596 U KR20070013596 U KR 20070013596U KR 20090001626 U KR20090001626 U KR 2009000162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om
- lowered
- ladder
- support
-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04—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 E06C1/08—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multi-part
- E06C1/12—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multi-part extensible, e.g. telescopic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2—Lifts or other hoisting devices on lad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8—Ladder heads; Supports for heads of 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의 붐으로부터 제일 상부 붐 까지 순차적으로 각 붐이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고가 사다리용 붐 하강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붐대와 지지붐대에 다중으로 삽입되어 각 붐이 상승되었다가 하강되는 다수의 붐을 포함하는 고가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붐대와 각각의 붐은, 양 레일과 양 레일을 상호 연결하는 다단의 크로스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붐대와 제일 상부의 붐을 제외한 나머지 각 붐의 일측 레일의 측판 상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일 하부의 붐을 제외한 나머지 각 붐의 일측 레일의 측판 하부에는 제일 하부에 위치된 붐부터 제일 상부에 위치된 붐까지 순차적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가 사다리, 붐, 하강 안내장치
Description
본 고안은 고가 사다리용 붐 하강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의 붐으로부터 제일 상부 붐 까지 순차적으로 각 붐이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고가 사다리용 붐 하강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고가 사다리용 붐 하강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의 붐으로부터 제일 상부의 붐까지 순차적으로 각 붐이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고가 사다리용 붐 하강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 사다리는, 고층 건물의 화재시 인명을 구조하거나 화재를 진압할 경우, 또는 아파트 등에서 이삿짐을 올리거나 내리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써 각붐을 하강시킬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많이보여지는 고층짐운반용 고가사다리의 경우 사다리의 하강방법에 있어 주와이어의 인취방식에 의하여 각 붐들이 하강 및 상승함과 아울러 사다리의 각붐들이 동시에 균일하게 하강되게하기 위하여는 각 붐에 있어서 또다른 다수의 보조와이어들과 이 와이어들의 결합장치 등 각 사다리의 연결장치가 필요하여 위와 다른방법인 본 고안은 사다리가 위에있는 붐에서부터 맨아래 붐까지 순차적으로 하강되게 하는 방법으로써 많은 장점 즉 속붐대의 인출시 나머지 붐들이 자중으로 작용하여 안정성을 확보한다든가 많은 보조와이어 및 그에따른 장치들이 소거됨으로 인하여 장비를 단순하게 혹은 소형으로 만들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종래의 기술로써는 위와 같은 각종 보조장치 없이는 고가사다리의 각각의 붐들을 순서대로 하강 시킬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에 본 고안을 하게 되었는 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고가 사다리는, 차량의 적재함에 고정되는 지지붐대와 지지붐대에 삽입되어 상승수단을 통해 상승되었다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다수의 붐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붐은 2개 내지 4개로 구성되는데, 이하 설명함에 있어서 4개의 붐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제일 하부에 위치되는 붐을 제1 붐으로 칭하고 그 상부에 위치되는 각 붐을 제2,3,4 붐으로 칭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상승수단은 지지붐대에 구비된 와이어 인취모터와 각 붐에 구비된 롤들에 고정되어 있는 단일의 와이어로 구성되며 각각의 붐이 균일하게 동시에 하강되게 하기 위하여 각붐과 붐을 연결하는 수많은 보조와이어와 이를 연결하는 각각의 보조장치 등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진바,
즉 본고안은 종래의 고가 사다리는 와는 달리 수 많은 보조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어 인취모터 만을 사용하여 단순, 소형화 시키면서도 같은 기능 또는 보다 우월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는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가 사다리의 와이어 인취모터를 작동시켜 와이어를 인취시키게 되면, 제4 붐과 제3,2,1 붐의 순서로 붐들이 상승되는 작동이 진행되고, 반대로 와이어 인취모터에서 와이어를 풀어주게 되면 각 붐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작동이 진행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각 붐대가 상승되었다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과정에서, 제2 붐부터 제4 붐까지 순서적으로 하강되어야 하나 각 붐이 순서 없이 하강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 과정에서 각각의 붐이 무질서하게 낙하 하면서 각붐의 낙차에 의한 순간적으로 하강되는 순서가 바뀌면서 낙하됨으로써, 사다리및 고가사다리의 본체에 심한 충격을 주게되어 사다리 및 본체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각 붐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과정에서 제일 하부의 붐부터 제일 상부의 붐까지 순차적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고가 사다리용 붐 하강 안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지붐대와 지지붐대에 다중으로 삽입되어 각 붐이 상승되었다가 하강되는 다수의 붐을 포함하는 고가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붐대와 각각의 붐은, 양 레일과 양 레일을 상호 연결하는 다단의 크로스판을 포함하며; 상기지지붐대와 제일 상부의 붐을 제외한 나머지 각 붐의 일측 레일의 측판 상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일 하부의 붐을 제외한 나머지 각 붐의 일측 레일의 측판 하부에는 제일 하부에 위치된 붐부터 제일 상부에 위치된 붐까지 순차적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일측 레일의 측판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의 내측부에는 탭부가 형성된 관과, 상기 관의 내부에 레일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돌출 구비된 원뿔형 록킹축과, 관의 내부에 원뿔형 록킹축의 내측면과 밀착되게 구비된 스프링과, 관의 탭부에 체결되어 스프링의 탄성을 조정하는 텐션조정 마감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각 붐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과정에서 제일 하부의 붐부터 제일 상부의 붐까지 순차적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붐이 무질서하게 하강하면서 사다리 및 고가사다리 장비에 충격을주어 구성품의 손상을 주는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안정성이 확보된 고가 사다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붐 하강 안내장치가 장착된 붐대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붐대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각 록킹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붐 하강 안내장치는, 지지붐대(1)와 지지붐대(1)에 다중으로 삽입되어 각 붐(2)이 상승되었다가 하강되는 다수의 붐(2)을 포함하는 고가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각 붐(2)을 개량하여 각 붐(2)이 제일 하부에 위치된 제4 붐(2)부터 제일 상부에 위치된 제1 붐(2)까지 순차적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하여 각 붐(2)이 손상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붐 하강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붐대(1)와 각각의 붐(2)은, 양 레일(21)과 양 레일(21)을 상호 연결하는 다단의 크로스판(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붐대(1)와 제일 상부의 붐(2)을 제외한 나머지 각 붐(2)의 일측 레일(21)의 측판 상부에는 관통홀(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일 하부의 붐(2)을 제외한 나머지 각 붐(2)의 일측 레일(21)의 측판 하부에는 제일 하부에 위치된 붐(2)부터 제일 상부에 위치된 붐(2)까지 순차적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록킹수단(3)이 구비되는 것이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수단(3)은, 상기 일측 레일(21)의 측판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의 내측부에는 탭부가 형성된 관(31)을 포함한다.
즉 상기 관(31)은 외측의 단부가 일측 레일(21)의 외측면과 일치되게 구비되고 내측은 일측 레일(21)의 안쪽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용접이나 브라켓 등의 조립으로 장착되는데, 도면에서는 용접으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상기 록킹수단(3)은, 상기 관(31)의 내부에 레일(21)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돌출 구비된 원뿔형 록킹축(32)과, 상기 관(31)의 내부에 원뿔형 록킹축(32)의 내측면과 밀착되게 구비된 스프링(33)과, 상기 관(31)의 탭부에 체결되어 스프링(32)의 탄성을 조정하는 텐션조정 마감캡(34)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관(31)의 외측 단부에는 내부 둘레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뿔형 록킹축(32)의 내측 단부의 둘레에는 이탈이 방지되는 외부 둘레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원뿔형 록킹축(32)의 외측 단부측은 외측이 좁고 내측이 넓은 원뿔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원뿔형 록킹축(32)의 외측 원뿔부가 상기 제4,3,2 붐(2)의 상부에 위치된 관통홀(4)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 붐(2)에 하중이 걸리게 되 면 각 원뿔형 록킹축(32)이 순차적으로 후진되는 작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상기 텐션조정 마감캡(34)은 회전을 통해 체결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스프링(33)의 압축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원뿔형 록킹축(32)의 전진 록킹력을 조정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30과 40은 와이어 인취모터(도시않됨)에 의해 와이어(도시않됨)가 인출될 경우에 각 붐(2)이 연동되어 상승될 수 있도록 지지붐대(1)와 제4 붐(2)을 제외한 각 붐(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전방 상부걸림턱(30)”과 각 붐(2)의 하부에 구비된 “후방 하부걸림턱(40)”을 나타낸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붐 하강 안내장치가 장착된 붐대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함에 있어서 붐대가 신장된 상태에서 접혀지는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인취모터의 작동을 통해 와이어를 인취하여 각 붐(2)을 상승시키게 되면, 제3,2,1 붐(2)의 일측 레일(21)에 구비되어 있는 각 록킹수단(3)의 원뿔형 록킹축(32)이 일측 레일(21)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 4,3,2 붐(2)의 상부에 구비된 관통홀(4)에 삽입되고, 각 원불형 록킹축(32)의 외측에 형성된 원뿔부가 제 4,3,2 붐(2)을 구성하는 일측 레일(21)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4 붐(2) 내지 제1 붐(2)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반대로, 도 1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붐(2)이 신장된 상태에서 와이어 인취모터에서 와이어를 풀어주게 되면, 제4 붐(2)부터 제1 붐(2)까지 각 붐(2)이 순차적으로 하강되어 접혀지게 된다.
즉 상기 각 붐(2)이 접혀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최초 각 붐(2)이 신축을 시작할 경우에는 제4 내지 제1 붐의 전체적인 자중이 제4 붐(2)으로 집중됨으로써 제4 붐(2)이 먼저 하강된다.
그런 다음 제3 내지 제1 붐(2)의 취합 자중이 제3 붐(2)의 하부에 구비된 원뿔형 록킹축(32)으로 집중됨으로써, 제3 붐(2)의 원뿔형 록킹축(32)이 지지붐대(1)의 상단에 밀착 하강되면서 후퇴된 다음, 제4 붐(2)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4)에서 이탈되면서 후퇴됨에 따라 제3 붐(2)이 하강된다. 즉 상기 원뿔형 록킹축(32)의 외측 원뿔부가 지지붐대(1)의 상부에 밀착되면서 후퇴된 후 제4 붐(2)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4)의 하부에 밀착되면서 후퇴되는 과정을 통해 제3 붐(2)이 하강된다.
다음 제2 내지 제1 붐(2)의 취합 자중이 제2 붐(2)의 하부에 구비된 원뿔형 록킹축(32)으로 집중됨으로써, 제2 붐(2)의 원뿔형 록킹축(32)이 제4 붐(2)의 상단에 밀착 하강되면서 후퇴된 다음, 제3 붐(2)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4)에서 이탈되면서 후퇴됨에 따라 제2 붐(2)이 하강된다. 즉 상기 원뿔형 록킹축(32)의 외측 원뿔부가 제4 붐(2)의 상부에 밀착되면서 후퇴된 후 제3 붐(2)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4)의 하부에 밀착되면서 후퇴되는 과정을 통해 제2 붐(2)이 하강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제1 붐(2)의 자중이 제1 붐(2)의 하부에 구비된 원뿔형 록킹축(32)으로 집중됨으로써, 제1 붐(2)의 원뿔형 록킹축(32)이 제3 붐(2)의 상단에 밀착 하강되면서 후퇴된 다음, 제2 붐(2)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4)에서 이탈되면서 후퇴됨에 따라 제2 붐(2)이 하강된다. 즉 상기 원뿔형 록킹축(32)의 외측 원뿔부가 제3 붐(2)의 상부에 밀착되면서 후퇴된 후 제2 붐(2)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4)에 하부에 밀착되면서 후퇴되는 과정을 통해 제2 붐(2)이 하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4 붐(2)부터 제1 붐(2)까지 순차적으로 각 붐(2)이 하강되어 붐대가 접혀지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각 붐(2)이 순차적으로 하강되게 할 수 있는 것은, 각 붐(2)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록킹수단(3)의 스프링(33) 압축력을 조정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각 록키수단(3)에 걸리는 자중을 산출하여 각 원뿔형 록킹축(32)의 록킹력을 조정함으로써 각 붐(2)을 안정적이면서 순차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붐(2)을 하부에서 상부까지 순차적으로 하강시킴에 따라서 각 붐이 무질서하게 하강하면서 사다리 및 고가사다리 장비에 충격을 주어 구성품의에 손상을 주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과 아울러 작동 와이어와 와이어가 권취된 롤러들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붐 하강 안내장치가 장착된 붐대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각 록킹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붐 하강 안내장치가 장착된 붐대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붐대,
2 : 붐,
21 : 레일, 22 : 크로스판,
3 : 록킹수단,
31 : 관, 32 : 스프링,
33 : 전방 록킹롤, 34 : 후방 록킹롤,
4 : 관통홀,
30 : 후방 하부걸림대, 40 : 전방 상부걸림대.
Claims (2)
- 지지붐대(1)와 지지붐대(1)에 다중으로 삽입되어 각 붐(2)이 상승되었다가 하강되는 다수의 붐(2)을 포함하는 고가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붐대(1)와 각각의 붐(2)은, 양 레일(21)과 양 레일(21)을 상호 연결하는 다단의 크로스판(22)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붐대(1)와 제일 상부의 붐(2)을 제외한 나머지 각 붐(2)의 일측 레일(21)의 측판 상부에는 관통홀(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일 하부의 붐(2)을 제외한 나머지 각 붐(2)의 일측 레일(21)의 측판 하부에는 제일 하부에 위치된 붐(2)부터 제일 상부에 위치된 붐(2)까지 순차적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록킹수단(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 사다리용 붐 하강 안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3)은 상기 일측 레일(21)의 측판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의 내측부에는 탭부가 형성된 관(31)과, 상기 관(31)의 내부에 레일(21)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돌출 구비되어 바로 하부의 각 붐(2)에 형성된 관통홀(4)에 삽입되도록 구비된 원뿔형 록킹축(32)과, 관(31)의 내부에 원뿔형 록킹축(32)의 내측면과 밀착되게 구비된 스프링(33)과, 관(31)의 탭부에 체결되어 스프링(32)의 탄성을 조정하는 텐션조정 마감캡(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 사다리용 붐 하강 안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3596U KR20090001626U (ko) | 2007-08-16 | 2007-08-16 | 고가 사다리용 붐 하강 안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3596U KR20090001626U (ko) | 2007-08-16 | 2007-08-16 | 고가 사다리용 붐 하강 안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1626U true KR20090001626U (ko) | 2009-02-19 |
Family
ID=4129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3596U KR20090001626U (ko) | 2007-08-16 | 2007-08-16 | 고가 사다리용 붐 하강 안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1626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42205A (zh) * | 2019-07-05 | 2019-09-17 | 郭宗勤 | 一种单人使用单脚可伸缩梯 |
JP2019173466A (ja) * | 2018-03-29 | 2019-10-10 | 特殊梯子製作所有限会社 | 伸縮可能な梯子 |
-
2007
- 2007-08-16 KR KR2020070013596U patent/KR20090001626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173466A (ja) * | 2018-03-29 | 2019-10-10 | 特殊梯子製作所有限会社 | 伸縮可能な梯子 |
CN110242205A (zh) * | 2019-07-05 | 2019-09-17 | 郭宗勤 | 一种单人使用单脚可伸缩梯 |
CN110242205B (zh) * | 2019-07-05 | 2021-08-13 | 山东欣晖电力科技有限公司 | 一种单人使用单脚可伸缩梯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1991B1 (ko) | 고가 사다리차 | |
CN102031927B (zh) | 避难用梯子装置 | |
JP6533641B2 (ja) | 巻取式墜落防止器を用いた墜落防止工法とそれに使用するハーネス型安全帯 | |
KR20080100523A (ko) | 다단 고가사다리차 | |
KR101762771B1 (ko) | 고가 사다리차용 복합 신축 붐 | |
CN211226043U (zh) | 一种移动龙门吊架 | |
KR20090001626U (ko) | 고가 사다리용 붐 하강 안내장치 | |
CN114408831A (zh) | 一种大截面钢构件的翻身装置及使用方法 | |
KR101166319B1 (ko) |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 |
EP2400079A1 (en) | Tilting device for tilting a panel carrier | |
KR101250920B1 (ko) | 고가 사다리차 | |
CN115465774A (zh) | 一种吊装用钢结构吊架 | |
EP2374986B1 (en) | Falling safety device for a telescopic ladder set | |
JP3133900U (ja) | 伸縮梯子 | |
KR200412071Y1 (ko) |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 |
JP3656888B2 (ja) | 塔状建築物の構築方法 | |
JP2006132078A (ja) | 伸縮支柱 | |
CN114150870B (zh) | 一种建筑施工模板低扰动拆除装置及其方法 | |
CN213629813U (zh) | 一种通信插框防倒装置 | |
JP5616068B2 (ja) | ワイヤリフト | |
CN213774700U (zh) | 一种垂直升降装置、齿梳升降机以及塔库 | |
CN217708619U (zh) | 水喷雾泵房设备及管道吊装装置 | |
CN212774105U (zh) | 逃生梯 | |
CN115645774B (zh) | 一种防脱落的装卸船用高安全性防坠网 | |
KR100925748B1 (ko) |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