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748B1 -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748B1
KR100925748B1 KR1020080102714A KR20080102714A KR100925748B1 KR 100925748 B1 KR100925748 B1 KR 100925748B1 KR 1020080102714 A KR1020080102714 A KR 1020080102714A KR 20080102714 A KR20080102714 A KR 20080102714A KR 100925748 B1 KR100925748 B1 KR 100925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oor
flexible sheet
flexib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병철
Original Assignee
곽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병철 filed Critical 곽병철
Priority to KR1020080102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구 개폐용 문의 승강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바 및 가요성 시트가 다단으로 승강하면서 출입구가 개폐되도록 출입구 개폐용 문을 구성하되, 가요성 시트를 연결하는 승강바 상면에 봉체를 설치하여 승강바의 상승시 봉체가 승강바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낙하하여 가요성 시트 상에 안치되게 하므로서, 승강바의 상승시 가요성 시트에 바람의 저항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봉체의 자중 및 버팀력에 의해 가요성 시트가 내측방향으로 절첩되는일 없이 외측방향으로 가지런히 절첩되게 하여 출입구 개폐용 문의 원활한 승강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FOLDING GUIDE APPARATUS OF FLEXIBLE SHEET FOR ENTRANCE DOOR}
본 발명은 승강바 및 가요성 시트가 다단으로 승강절첩 및 확개되는 출입구 개폐용 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특히 출입구 개폐용 문을 구성하는 승강바의 승강시 승강바 사이를 연결하는 가요성 시트가 외측방향으로 안정되게 절첩되게 하여 출입구 개폐용 문의 원활한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단으로 승강절첩 및 확개되는 출입구 개폐용 문에 대하여서는 본 발명자가 특허로 선출원(특허출원 제2008-9782호)한 것이 있다.
즉 도 16 및 도 17에서와 같이 건물의 출입구에 수직승강개폐되는 문(100)을 장치하되, 상기 문(100) 자체의 개폐수단이 롤상태로 권취되거나 풀리는 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아니라, 개방시에는 문(100)의 하단에서부터 다수개의 승강바(110)가 상승하면서 다단으로 중첩되게 하여 승강바(110) 사이를 연결하는 가요성 시트(120)가 단계적으로 절첩되게 하므로서 출입구가 개방되게 하고, 이와는 반대로 출입구를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중첩되었던 승강바(110)가 단계적으로 하강하면서 절첩되었던 가요성 시트(120)를 확개시켜 출입구가 폐쇄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문(100) 개폐장치는 대체로 출입구의 폭이 넓은 대형 출입구에 장치하여 길게 구성된 다수개의 승강바(110)가 승강하면서 가요성 시트(120)가 절첩되거나 확개되게 하여 폭이 넓은 건물출입구의 경우에도 편리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사용상 불편한 점도 있는 것이었다.
즉 상기 문(100)이 적용되는 출입구의 경우 대체로 폭이 넓기 때문에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출입구 문(100)의 개방시 승강바(110)가 상승하면서 승강바(110) 사이를 연결하는 가요성 시트(120)가 자중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가지런하게 절첩되어야 하나, 문의 개방시 어느 한쪽면의 가요성 시트가 바람의 저항을 받게 되면 가요성 시트(120)가 승강바(110)와 승강바(110) 사이의 내측으로 절첩이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승강바(11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가요성 시트(120)가 승강바(110) 사이에 끼이게 되면 승강바(110)의 좌우승강위치가 달라지게 되어 승강바의 승강작동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문의 원활한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될 뿐 아니라, 가요성 시트(120)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승강바가 다단으로 승강하면서 출입구가 개폐되는 출입구 개폐용 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개방과정에서 가요성 시트가 바람의 저항을 받더라도 내측방향으로 휘어져 절첩되지 않고 외측방향으로 가지런히 안정되게 절첩되게 하여 출입구 개폐용 문의 원활한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승강바 및 가요성 시트가 다단으로 승강하면서 출입구가 개폐되도록 출입구 개폐용 문을 구성하되, 가요성 시트를 연결하는 승강바 상면에 봉체를 설치하여 승강바의 상승시 봉체가 승강바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낙하하여 가요성 시트 상에 안치되게 하므로서, 승강바의 상승시 가요성 시트에 바람의 저항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봉체의 자중 및 버팀력에 의해 가요성 시트가 내측방향으로 절첩되는일 없이 외측방향으로 가지런히 절첩되게 하여 출입구 개폐용 문의 원활한 승강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바 및 가요성 시트가 다단으로 승강하면서 출입구가 개폐되도록 한 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가요성 시트와 연결되는 승강바 상면에 봉체를 안치하여 승강바의 상승시 봉체가 승강바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낙하하여 가요성 시트 상에 안치되게 하므로서, 승강바의 상승시 가요성 시트에 바람의 저항이 작용하게 되 더라도, 봉체의 자중 및 버팀력에 의해 가요성 시트가 내측방향으로 절첩되지 않고, 외측방향으로 가지런히 절첩되게 하여 문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출입구 개폐용 문(10)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요지는 다수개의 승강바(20)와 상기 승강바(20)를 연결하는 가요성 시트(30)로 구성되는 출입구 개폐용 문(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출입구 개폐용 문(10)의 개폐작동시 승강바(20) 사이를 연결하는 가요성 시트(30)가 외측방향으로 가지런히 절첩되게 하여 문의 승강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즉 승강바(20)를 구성하는 본체(21)의 각 코너부에 결합홈(22)을 구성하고, 상기 본체(21) 전면에 구성된 결합홈(22)에 가요성 시트(30)의 고리부(31)가 끼워져 결합되게 구성하고, 본체(21) 상하부에 구성된 결합홈(22')에는 지지밴드(40)의 고리부(41)를 끼워 가요성 시트(30) 및 지지밴드(40)에 의해 각 승강바(20)가 서로 연결구성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출입구 개폐용 문(10) 상단에 구성된 권취봉(70)을 회전시키면 권취봉(70)에 구성된 권취롤러(71)에 작동벨트(72)가 감기면서 하단에 위치한 승강바(20)가 문틀프레임(76)을 따라 단계적으로 상승하여 중첩되게 하므로서 가요성 시트(50)가 단계적으로 절첩구성되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지지밴드(40)와 가요성 시트(30)로 연결되는 승강바(20)의 본체(21) 상면에 봉체(60)를 설치하되, 상기 봉체(60)는 도 2에서와 같이 지지밴드(40)와 가요성 시트(30) 사이의 승강바(20) 상면에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승강바(20)가 상승하여 가요성 시트(30)가 느슨해지면 봉체(60)는 승강바(20) 외측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낙하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절첩된 가요성 시트(30) 내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승강바(20)가 계속하여 상승하게 되면 봉체(60) 및 가요성 시트(30)의 자중에 의해 가요성 시트(30)는 외측방향으로 가지런히 정열된 상태로 절첩된다.
이때 봉체(60)가 안치되는 승강바(20)의 본체 외측 상단부에는 도 7에서와 같이 하향경사진 경사면(23)을 구성하여 승강바(20)의 상승작동시 봉체(60)가 경사면(23) 의해 자연스럽게 외측방향으로 굴러 낙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바(20) 상면에 안치되는 봉체(60)는 원형 봉체인것이 바람직하나, 다각형이나 타원형의 봉체(60)를 사용하여도 적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도 6에서와 같이 봉체(60) 양측 단부에 봉체(60)의 외경보다 큰 베어링(6)을 설치하여 가요성 시트(30)가 절첩되는 과정에서 가요성 시트(30) 내에서 봉체(60)의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하므로서 승강바(20)의 승강 및 가요성 시트(30)의 절첩과 확개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승강바(20) 상면에 안치되는 봉체(60)는 승강바(20) 상면 양측에 설치하여 내외측 가요성 시트(30)가 봉체(60)에 의해 가지런히 절첩되게 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바람의 저항을 대체로 많이 받는 외측 가요성 시트(30)가 위치하는 쪽의 승강바(20) 상면에만 봉체(6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승강바(20) 상면에 봉체(60)를 안치하되, 봉체(60)의 직경을 다소 크게 구성하여 휨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케 하여 밀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승강바(20) 상면에 안치되는 봉체(60)의 직경을 크게 구성하되, 승강바(20) 외측에 설치된 가요성 시트(30) 내측면과, 승강바(20) 중앙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승강바(20)를 관통하여 최하단 승강바(20)와 연결고정된 작동벨트(72) 측면과 접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하여 휨에 대한 내구성을 우수하게 하여 사용케 한다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도 11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봉체(60)의 직경(L)을 승강바(20)를 연결하는 가요성 시트(30)와 작동벨트(72) 사이의 간격(L-1)과 동일하게 하거나 10m/m정도 작거나 크게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봉체(60)의 직경(L)이, 가요성 시트(30)와 작동벨트(72) 사이의 간격(L-1)보다 10m/m이하일 경우에는 봉체(60)가 그 사이에서 유동이 심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10m/m이상이면 가요성 시트(30)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승강바(20)와 승강바(20)를 연결하는 지지벨트(40)는 도 11에서와 같이 작동벨트(72)쪽에 위치되게 하거나, 도 12에서와 같이 가요성 시트(30)쪽에 위치되 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13에서와 같이 지지벨트(40)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양측에 위치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4와 같이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하여 출입구 개폐용 문(10)의 승강개폐시 권취봉(70)을 회전시키면 작동벨트(72)가 권취롤러(71)에 감기면서 문틀프레임(76)을 따라 하단에 위치한 승강바(20)가 상승하여 각 승강바(20)가 다단으로 중첩되고, 동시에 각 승강바(20)를 연결하는 가요성 시트(30)가 절첩되게 하여 출입구가 개방되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출입구 개폐용 문(10)은 도 2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승강바(20)가 상승하게 되면, 상면에 위치한 봉체(60)가 승강바(20)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낙하하여 도 3 및 도 10에서와 같이 가요성 시트(30) 내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승강바(20)가 계속하여 상승하게 되면 가요성 시트(30) 내면에 위치한 봉체(60)는 회전을 하면서 가요성 시트(30)에 적절한 하중을 부여하게 되므로 가요성 시트(30)는 가지런한 상태로 절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가요성 시트(30)가 절첩되는 과정에서 바람이 불어 가요성 시트(30)가 내측방향으로 휘어지려는 저항이 발생되더라도 가요성 시트(30) 내에 끼워진 봉체(60)의 자중 및 버팀력에 의해 휘어지지 않고 외측방향으로 가지런히 정열된 상태로 절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출입구 개폐용 문(10)의 승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승강바(20) 상면에 위치한 봉체(60)는 본체(21) 상면 양측에 구성된 경 사면(23)에 위치하고 있어, 승강바(20)가 상승하면서 가요성 시트(30)의 장력이 느슨해지면 경사면(23)을 따라 승강바(20) 외측방향으로 굴러 떨어지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가요성 시트(30) 내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승강바(20)의 승강작동 중 가요성 시트(30) 내면에 위치하는 봉체(60)의 양측 단부는 자연스럽게 문틀 프레임(76) 내측면과 접하게 되므로 외부로 이탈하는 현상은 방지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체(60)의 형상은 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각형이나 타원형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며, 봉체(60) 양측단부에 봉체(60)의 외경보다 큰 베어링(61)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 : 본 발명 장치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 장치의 요부사시도
도 3 : 도 2의 상태에서 승강바가 상승하여 봉체가 가요성 시트 내저면에 위치한 상태도
도 4 : 본 발명 장치에서 승강바가 상승하여 가요성 시트가 절첩된 상태도
도 5 : 본 발명에 사용되는 봉체의 사시도
도 6 : 본 발명에 사용되는 봉체로서 양측 단부에 베어링이 결합된 상태도
도 7 :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승강바의 측면구성도
도 8 : 본 발명 타실시예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9 : 본 발명 타실시예의 요부사시도
도 10 : 도 9의 상태에서 승강바가 상승하여 봉체가 가요성 시트 내저면에 위치한 상태도
도 11 : 도 8의 상태에서 지지벨트가 봉체로부터 작동벨트쪽에 위치한 측면구성도
도 12 : 도 8의 상태에서 지지벨트가 봉체로부터 가요성 시트쪽에 위치한 측면구성도
도 13 : 도 8의 상태에서 지지벨트가 양측에 위치한 구성도
도 14 : 본 발명 출입구 개폐용 문의 사시도로서 문이 닫힌 상태도
도 15 : 본 발명 출입구 개폐용 문의 사시도로서 문이 개방된 상태도
도 16 : 종래 출입구 개폐용 문에 적용된 승강바와 가요성 시트의 절첩상태도
도 17 : 종래 출입구 개폐용 문에 적용된 승강바와 가요성 시트 부분의 연결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출입구 개폐용 문 (20)--승강바
(21)--본체 (22)--결합홈
(23)--경사면 (30)--가요성 시트
(31)--고리부 (40)--지지밴드
(41)--고리부 (60)--봉체
(61)--베어링 (70)--권취봉
(71)--권취롤러 (72)--작동벨트
(76)--문틀프레임

Claims (6)

  1.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하여 출입구 개폐용 문의 승강개폐시, 문틀 프레임(76)을 따라 승강바(20)가 승강하면서 각 승강바(20)를 연결하는 지지밴드(40)와 가요성 시트(30)가 절첩 및 확개되게 하여 출입구가 개폐되게 하는 통상의 출입구 개폐용 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가요성 시트(30)로 연결되는 승강바(20)의 본체(21) 상면에 봉체(60)를 설치하여, 출입구 개폐용 문(10)의 개방을 위한 승강바(20) 상승시, 봉체(60)가 승강바(20) 외측방향으로 낙하하여, 가요성 시트(30) 내저면에 위치되게 하므로서 봉체(60)의 자중 및 버팀력에 의해 가요성 시트(30)가 가지런히 정열된 상태로 절첩되거나 확개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봉체(60)가 위치하는 승강바(20)의 본체(21) 상면에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23)을 구성하여, 승강바(20)가 상승하여 가요성 시트(30)의 장력이 느슨해 지면 봉체(60)가 외측방향으로 낙하하여 가요성 시트(30)의 내저면에 위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승강바(20)의 본체(21) 상면에 위치하는 봉체(60)의 양측 단부에 베어링(61)이 끼워져 결합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승강바(20) 상면에 위치하는 봉체(60)는, 승강바(20)를 연결하는 가요성 시트(30)와 지지밴드(40)가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가요성 시트(30)와 지지밴드(40) 사이에 봉체(60)가 위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승강바(20) 상면에 위치하는 봉체(60)는, 승강바(20)를 연결하는 가요성 시트(30)와 작동벨트(72)가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가요성 시트(30)와 작동벨트(72) 사이에 봉체(60)가 위치되게 하되, 봉체(60)의 외면이 가요성 시트(30) 및 작동벨트(72)와 접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봉체(60)의 직경(L)은 가요성 시트(30)와 작동벨트(72) 사이의 간격(L-1)보다 10m/m범위 내에서 크거나 작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
KR1020080102714A 2008-10-20 2008-10-20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 KR100925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714A KR100925748B1 (ko) 2008-10-20 2008-10-20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714A KR100925748B1 (ko) 2008-10-20 2008-10-20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748B1 true KR100925748B1 (ko) 2009-11-11

Family

ID=4156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714A KR100925748B1 (ko) 2008-10-20 2008-10-20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818B1 (ko) 2009-11-09 2012-02-15 곽병철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 안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393U (ja) 1981-08-18 1983-02-19 ト−ソ−株式会社 巻上カ−テン装置
JPS58178988U (ja) 1982-05-24 1983-11-30 林口経木工業株式会社 カ−テンの開閉装置
KR100661317B1 (ko) 2004-12-06 2006-12-27 (주)일성자동화 자동문의 가이드프레임
KR20090083785A (ko) * 2008-01-30 2009-08-04 곽병철 다단으로 승강절첩 및 확개되는 출입구 개폐용 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393U (ja) 1981-08-18 1983-02-19 ト−ソ−株式会社 巻上カ−テン装置
JPS58178988U (ja) 1982-05-24 1983-11-30 林口経木工業株式会社 カ−テンの開閉装置
KR100661317B1 (ko) 2004-12-06 2006-12-27 (주)일성자동화 자동문의 가이드프레임
KR20090083785A (ko) * 2008-01-30 2009-08-04 곽병철 다단으로 승강절첩 및 확개되는 출입구 개폐용 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818B1 (ko) 2009-11-09 2012-02-15 곽병철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 안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894287T3 (en) HOLY GLASS SUN SHADING DEVICE
ES2900261T3 (es) Dispositivo de persiana enrollable
EP2666954B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locking lift cords used to lift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AU2003201365B2 (en) Bottom-up/top-down retractable cellular shade
US9045934B1 (en) Devices and systems for accumulating lift cords used to lift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CN105593450B (zh) 开口部分的打开/关闭设备
KR100925748B1 (ko)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안내장치
WO2007085533A1 (en) Device for obscuring apertures in buildings
EP1619348A1 (en) Cloth venetian blind
KR101114818B1 (ko) 출입구 개폐용 문의 가요성 시트 절첩 안내장치
KR101021325B1 (ko) 수동식 스크린 블라인드
EP4219877A1 (en) Retractable blind assembly
JP2002349160A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ES2620983B1 (es) Persiana de cerramiento
KR200363365Y1 (ko) 블라인드
EP2440734A1 (en) A shade device
JP2004124608A (ja) ブラインド用の昇降コード巻取装置
ITUB20156296A1 (it) Tenda ad avvolgimento
JPH0328713Y2 (ko)
KR200361792Y1 (ko) 로만쉐이드
JP6110083B2 (ja) 日射遮蔽装置
JP6487138B2 (ja) 日射遮蔽装置
KR200442426Y1 (ko) 로만쉐이드의 승강조절띠 안내장치
JP2541892Y2 (ja) シートシャッタの昇降装置
KR20230154621A (ko) 캔버스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