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822A - 릴레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릴레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822A
KR20080114822A KR1020087026309A KR20087026309A KR20080114822A KR 20080114822 A KR20080114822 A KR 20080114822A KR 1020087026309 A KR1020087026309 A KR 1020087026309A KR 20087026309 A KR20087026309 A KR 20087026309A KR 20080114822 A KR20080114822 A KR 20080114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rm portion
flat
conductive leads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301B1 (ko
Inventor
데루히또 스즈끼
히데유끼 히라따
고지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11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랫 케이블 커넥터(10)는 삽입 개구(33)가 전방면에 있는 하우징(31)을 갖는다. 가요성 케이블(51a, 51b)의 두 개의 길이는 단부대 단부로 배치되고 개구에 삽입된다. 커넥터는 가요성 케이블 두 개의 길이 상에 노출된 전도성 리드와 정렬되는 상부 및 바닥부 대향 접촉부(43a, 44a)를 구비하는 단자(41)를 갖는다.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11)는 가요성 케이블 사이에 신뢰성있는 접속을 수행하도록 단자 접촉부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 커넥터, 액추에이터, 가요성 케이블, 단자, 릴레이 커넥터

Description

릴레이 커넥터 {RELAY CONNECTOR}
본 발명은 한정적이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플랫 케이블 사이에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릴레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릴레이 커넥터는 각각 가요성을 갖고 가요성 인쇄 회로(FPC) 또는 가요성 플랫 케이블(FFC)이라 종종 지칭되는 플랫 케이블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한다. 하나의 이런 커넥터는 일본특허출원 공개[고까이(kokai)]번호 제6-203932호에 설명된다. 도7은 종래의 릴레이 커넥터의 중요 부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는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301)과,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어 하우징(301)에 의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302)를 갖는다. 단자(302)는 하우징(301)의 케이블 삽입 개구에 형성되는 단자 유지 홈에 가압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식으로 장착된다. 각각의 단자(302)는 하우징(301)의 최내측부에 안착되는 주 본체로부터 하우징(301)의 전방면을 향해 연장되는 켄티레버형 아암 부재를 하우징의 각각의 상하부 측면 상에 갖는다.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 상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제1 플랫 케이블(303) 및 제2 플랫 케이블(306)은 하우징(301)의 케이블 삽입 개구 안으로 삽입된다. 제1 플랫 케이블(303)에는 스트립형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본체의 일 표면 (도7에서 보았을 때 하부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전도성 리드(304)와, 전도성 리드(304)의 표면을 덮는 절연층(305)이 제공된다. 제2 플랫 케이블(306)에는 스트립형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본체의 일 표면(도7에서 보았을 때 상부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전도성 리드(307)와, 전도성 리드(307)의 표면을 덮는 절연층(308)이 제공된다. 전자 구성요소(309)는 제1 플랫 케이블(303) 상에 장착되고, 전자 구성요소(309)의 단자는 전도성 리드(304)에 접속된다.
절연층(305)은 전도성 리드(304)를 노출시키도록 제1 플랫 케이블(303)의 단부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되고, 절연층(308)은 제2 플랫 케이블(306)의 단부에서 동일한 목적을 위해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따라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두 개의 단부를 함께 적층하고 하우징(301)의 케이블 삽입 개구 안으로 단일 편부로서 두 개의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전도성 리드(304, 307)는 전기 접속을 달성하도록 서로 접촉하여, 제2 플랫 케이블(306)에 제1 플랫 케이블(303)을 함께 접속시킨다. 단자(302)의 상부 및 하부 아암 부재는 위로부터 그리고 아래로부터 제1 플랫 케이블(303) 및 제2 플랫 케이블(306)을 압박하고, 전도성 리드(304, 307)는 제1 플랫 케이블(303)과 제2 플랫 케이블(306) 사이의 접속을 보장하도록 서로에 대해 가압된다. 로크 부재(도시되지 않음)는 단자(302)의 상부 및 하부 아암 부재가 로크 부재에 의해 위로부터 그리고 아래로부터 더 가압되도록, 하우징(301)의 뒤로부터 끼워 맞춰질 수도 있다. 이는 두 개의 플랫 케이블(303, 306) 사이에 확실한 접속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커넥터에서, 전도성 리드(304, 307) 사이의 전기 접속 저항의 변화는 신호의 전송 특성의 변화를 야기할 수도 있다. 즉, 전도성 리드(304, 307)는 단자(302)의 상부 및 하부 아암 부재에 의해 함께 가압되고 서로 접속된다. 그러나, 전도성 리드(304, 307) 양자 모두의 접속의 주의깊은 관찰에 따르면, 상술된 아암 부재의 돌출 부분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전도성 리드의 양자 모두의 접촉이 보장되지만, 지점의 전방 및 뒤에 놓인 구역에서, 양자 모두는 엇갈려서 서로 접촉하고 접촉 상태의 불확실성 때문에 서로 분리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지점의 전방 및 뒤에 놓이는 전도성 리드(304, 307) 양자 모두의 구역이 접촉 상태에 있을 때, 이런 접촉 상태의 일부분의 영역은 오히려 커져서, 전도성 리드(304, 307) 사이의 전기 접속 저항을 감소시킨다. 지점의 전방 및 뒤의 전술된 구역이 이격되어 접촉을 잃어버릴 때, 이러한 접촉 상태의 일부분의 영역은 협소해져서 전도성 리드(304, 307) 사이의 전기 접속 저항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전도성 리드(304, 307) 양자 사이의 전기 접속 저항의 변화는 불안정한 전송 특성을 야기하여 신호를 안정하게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벗겨진 상태로 노출되고 상호 적층되어 서로 마주보는 전도성 리드를 갖는 플랫 케이블용 릴레이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커넥터는 가압 돌출부와, 플랫 케이블의 삽입 및 후퇴 방향이 수행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와,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자를 포함한다. 설명되는 형상으로 인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액추에이터의 자세 변화가 제1 또는 제2 아암부의 각도를 변화시켜, 제1 아암부의 가압 돌출부 또는 제2 아암부의 가압 돌출부가 삽입이 수행되는 방향선을 향해 변위하도록 압박된다. 그 결과 각각의 플랫 케이블의 전도성 리드가 가압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접촉점을 함께 형성하고, 리드가 삽입 방향으로 접촉점으로부터 이격될 때 케이블의 전도성 리드가 이격된다. 따라서, 전도성 리드 양자 사이의 접속 저항은 일정하여, 신호의 안정된 전송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릴레이 커넥터는 벗겨진 상태로 노출되고 적층되어 서로 마주보는 전도성 리드를 갖는 제1 플랫 케이블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한 삽입 개구가 제공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안으로 탑재되고,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을 양쪽 측부로부터 압박하는 단자와, 하우징에 고정되고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한 제1 위치와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전도성 리드 사이의 전기 접속을 달성하기 위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에는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을 양쪽 측부로부터 가압하는 가압 돌출부가 제공되고, 또한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아암부와,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갖는다.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액추에이터의 이동의 변화가 제1 또는 제2 아암부의 각도의 변화를 야기시켜, 제1 아암부의 가압 돌출부 또는 제2 아암부의 가압 돌출부 중 어느 한쪽이 삽입이 수행되는 방향선을 향해 변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커넥터에서, 간극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액추에이터의 이동의 변화로 인해 삽입 개구 안으로 삽입되는 케이블의 팁에서 제1 및 제2 케이블의 대향 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삽입 개구 안으로 삽입된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전도성 리드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액추에이터의 이동의 변화로 인해 가압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도성 리드가 서로 접촉하는 접촉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삽입 개구 안으로 삽입된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전도성 리드는, 접촉점 이외에는 상호간에 이격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릴레이 커넥터는 전도성 리드가 벗겨진 상태로 노출되고 적층되어 서로 마주보는 플랫 케이블 삽입을 위해 구성되고, 가압 돌출부와, 플랫 케이블의 삽입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아암부와,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를 각각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갖는다.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액추에이터의 이동은 제1 또는 제2 아암부의 각도를 변화시켜, 제1 또는 제2 아암부의 가압 돌출부가 삽입 방향으로 변위된다. 각각의 플랫 케이블의 리드는 가압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접촉점에 형성되고, 이들 리드는 접촉점으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리드 사이의 접속 저항이 일정하여, 신호의 안정된 전송 특성을 허용한다.
도1은 액추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의 (a) 내지 도2의 (c)는 도1의 릴레이 커넥터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3은 액추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도1의 릴레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A-A를 따라 취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5는 액추에이터가 폐쇄된, 도4의 B 영역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6의 (a) 내지 도6의 (d)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릴레이 커넥터의 단자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7은 종래의 릴레이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커넥터(10)는 가요성 인쇄 회로, 가요성 플랫 케이블 등으로 불리는 제1 플랫 케이블(51a) 및 제2 플랫 케이블(51b) 사이를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플랫 케이블(51a) 및 제2 플랫 케이블(51b)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적층된 각각의 단부를 구비하는 커넥터(10)안으로 케이블을 삽입시킴으로써 서로 접속된다.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51a, 51b)이 적층되어 전도성 리드가 형성되는 표면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 케이블(51a, 51b)은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후 "플랫 케이블[flat cable(51)]"로서 공통으로 지칭될 것이다. 플랫 케이블(51)이 FPC, FFC 등으로 불리는 플랫 가요성 케이블이더라도, 이들은 전도성 리드가 제공되는 임의의 유형의 플랫 케이블이 될 수도 있다.
커넥터(10)는 절연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31)과, 절연 재료로 또한 형성되고 하우징 상에서 이동하도록 하우징(31)에 고정되는 액추에이터(11)를 갖는다. 즉, 액추에이터(11)는 액추에이터가 개방 위치(제1 위치)와 폐쇄 위치(제2 위 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31)에 고정된다.
하우징(31)은 하부(32)와, 상부(35)와, 우측 및 좌측부(36)와, 각각의 플랫 케이블(51)의 일 단부가 전방(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의 기울어진 하부)으로부터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 개구(33)를 갖는다. 개구는 하부(32), 상부(35) 및 측부(36) 사이에 형성된다. 삽입 개구(33)에는 전도성 단자가 탑재된 복수의 단자 수용 홈(34)이 제공된다. 개구(33)의 내부에서,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51)의 팁이 맞닿는 맞닿음부(38)가 이웃하는 단자 수용 홈(34)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이 상태에서, 이런 단자 홈(34)의 40개 전체는 대략 0.3 ㎜의 피치로 형성된다. 피치와, 단자 홈(34)의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단자 수용 홈(34)에 단자(41)가 전체적으로 탑재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몇몇 단자(41)는 플랫 케이블(51)의 전도성 리드의 어레이에 따라 적절하게 생략될 수도 있다.
보조 금속 브래킷의 형태의 스토퍼(21)는 하우징(31)의 양측면에 탑재된다. 스토퍼(21)는 액추에이터(11)가 하우징(31)으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토퍼(21)는 액추에이터(11)의 측면 돌출부와 결합함으로써 액추에이터(11)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액추에이터(11)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판 부재인 본체부(15)와, 본체부(15)에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 구멍(12)과, 단자 구멍(12)에 형성되는 샤프트(17)를 갖는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자(41)의 상부 아암부(44)의 작동 레버부(44b)는 각각의 단자 구멍(12)에 유지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각각의 단자(41)는 실질적으로 H-형상을 갖고, 플랫 케이블(51)의 대향 삽입 및 후퇴 방향, 즉 하우징(31)의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아암부로서의 하부 아암부(43)와, 제2 아암부로서의 상부 아암부(44)와, 하부 아암부(43) 및 상부 아암부(44)를 접속하는 연장 스트립형 접속부(45)를 갖는다. 접속부(45)는 하부 아암부(43)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 사이의 위치에 접속되고, 또한 상부 아암부(44)의 길이 방향 대향 단부 사이의 위치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부 아암부(44)는 하부 아암부(43) 위에 배치된다.
하부 아암부(43)는 접속부(45)의 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팁 돌출부(43c)와, 상향으로 돌출되는 가압 돌출부로서 제공되는 케이블 지지부(43a)와, 베어링부(43b)를 갖는다. 케이블 지지부(43a)는 하부 아암부(43)의 팁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열되고 팁 돌출부(43c) 뒤에 배치되고, 베어링부(43b)는 하부 아암(43)이 접속부(45)에 접속되는 지점의 뒤에 위치되는 위치에 접속되고, 아래로부터 샤프트(17)를 지지한다. 미부(42)는 베어링부(43b)의 후방 단부에 접속된다. 미부(42)는 후방 단부에서 하향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필요시 납땜 등에 의해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접속 패드에 접속되도록 기판 접속부로서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팁 돌출부(43c)는 그 상단부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3d)가 형성된다.
각각의 단자(41)는 하우징(31)의 후방측(도4에서 우측)으로부터 대응 단자 홈(34)으로 삽입된다. 각각의 단자(41)는 이하에서와 같이 하우징(31)에 고정된다. 하부 아암부(43)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하단부는 단자 홈(34)의 플로어면에 대해 맞닿고, 팁 돌출부(43c)는 단자 홈(34)에 배치되는 단자 지지 부재(32a)의 하부 면과 단자 홈(34)의 플로어면 사이에 가압 끼워 맞춰지고, 돌출부(43d)는 단자 지지 부재(32a)의 하부면 구멍부의 천장 표면의 일부분을 파지하고, 또한 미부(42)의 돌출부(42a)는 하우징(31)의 하부(32)에서 후방 에지의 하단부를 파지한다.
상부 아암부(44)는 하부 아암부(43)에 대해 플랫 케이블(51)을 가압하는 이동가능한 가압 부재로서의 기능을 하고, 상부 아암부의 팁 부근에 하향으로 돌출된 가압 돌출부 형태의 케이블 가압부(44a)를 갖는다. 상부 아암부(44)에는 상부 아암부(44)가 접속부(45)에 접속되는 지점을 지나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작동 레버(44b)가 더 제공된다. 작동 레버부(44b)는 액추에이터(11)의 단자 구멍(12)에 진입하여, 샤프트(17)의 임의의 상향 운동을 제어하도록 배열된다.
각각의 샤프트(17)는 단면이 타원 또는 직사각형이고, 베어링부(43b)와 작동 레버부(44b) 사이에 개재된다. 각각의 샤프트(17)는 회전될 때 캠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개방 위치에서, 샤프트(17)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위치설정되기 때문에 작동 레버부(44b)를 밀어올린다. 작동 레버부(44b)가 밀어올려질 때, 접속부(45) 및 접속부의 주위는 탄성 변형되고, 전체 상부 아암부(44)는 상부 아암부(44)와 하부 아암부(43) 사이에 형성되는 상대적 각도를 변경하도록 회전되어, 상부 아암부(44)의 팁이 하향으로 시프트된다. 따라서, 케이블 가압부(44a)는 시프트되어 케이블 지지부(43a)에 인접하게 되고 이어서 플랫 케이블(51)에 대해 가압된다.
액추에이터(11)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샤프트(17)는 실질적으로 레벨 위치의 각도로 위치설정되어, 작동 레버부(44b)는 밀어올려지지 않고, 상부 아암부(44) 의 팁은 하향으로 시프트되지 않는다. 따라서, 충분하게 큰 공간이 케이블 가압부(44a)와 케이블 지지부(43a) 사이에 제공되어, 케이블 가압부(44a) 및 케이블 지지부(43a)로부터 약간의 접촉 압력 또는 비접촉 압력 하에서 플랫 케이블(51)의 단부가 개구(33)에 삽입되게 만들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ZIF(무삽발력;zero insertion force) 구조체를 실현시킨다.
플랫 케이블(51)을 접속시키는 작동의 설명이 이하에 제공될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릴레이 커넥터의 단자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각각의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51a, 51b)에서, 전도성을 갖는 포일 형상의 복수의 40개 전도성 리드는 전기 절연 특성을 나타내는 절연층 상에 소정의 피치로, 예를 들어 약 0.3 ㎜로 나란히 배열된다. 다른 절연층은 전도성 리드의 상부면을 덮는다. 커넥터(10)의 삽입 개구(33) 안으로 삽입되는 제1 플랫 케이블(51a)의 단부 및 제2 플랫 케이블(51b)의 단부(도4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우측 단부)의 측면 상에서, 즉, 팁부의 측면 상에서 절연층은 각각의 맨 끝의 팁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의 길이에 걸쳐 전도성 리드의 상부면을 벗겨진 상태로 노출시키도록 제거된다.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51a, 51b)의 팁부의 측면 상에서, 전도성 리드가 배열되는 각각의 표면은 면 대 면 관계로 적층된다. 특히, 전도성 리드의 상부면이 거의 노출되지 않은 범위에서,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51a, 51b)의 전도성 리드는 서로 면 대 면으로 적층된다. 이 단계에서,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51a, 51b)의 팁은 양쪽 측면 상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이부(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제공될 수도 있다.
조작자는 함께 적층된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각각의 팁을 하우징(31)의 삽입 개구(33) 안으로 삽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1)는 미리 액추에이터의 개방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51a, 51b)의 맨 끝의 팁으로부터의 소정의 범위가 대응 단자 홈(34) 내에 유지되는 각각의 단자(41)의 상부 아암부(44)와 하부 아암부(43)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제1 플랫 케이블이 제2 플랫 케이블 아래에 놓이지만, 제1 플랫 케이블은 제2 플랫 케이블 위에 놓일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각각의 팁은 단자 홈(34) 내에 위치설정되는 맞닿음부(38)에 대해 접합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51)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설정이 수행되어,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삽입이 완료된다.
후속적으로, 조작자는 액추에이터(11)의 개방 위치(도1)를 폐쇄 위치(도3)로 변경하도록 액추에이터(11)를 수동으로 작동한다. 이때, 액추에이터(11)는 도2의 (c)에서 시계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액추에이터의 이동을 폐쇄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다.
액추에이터(11)의 본체부(15)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생성하도록 회전된다. 샤프트(17)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또한 회전된다. 즉, 샤프트(17)의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또는 직사각형인 단면의 주축은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샤프트(17)에 의해, 베어링부(43b)와 작동 레버부(44b) 사이의 공간은 이격되고, 작동 레버부(44b)는 상향으로 밀려진다. 따라서, 접속부(45) 및 접속부의 주위는 탄성 변형되고, 전체 상부 아암부(44)는 상부 아암부(44)와 하부 아암부(43) 사이에 형성되는 상대적 각도를 변경하도록 회전되어, 상부 아암부(44)의 팁은 하향으로 시프트된다. 따라서, 케이블 가압부(44a)가 시프트되어 케이블 지지부(43a)에 인접하게 되고, 이어서 제2 플랫 케이블(51b)의 상부면, 즉 전도성 리드가 배열된 표면에 대향하는 표면에 대해 가압된다. 그 결과, 제2 플랫 케이블(51b)의 하부면 상에 거의 노출되지 않은 전도성 리드는 제1 플랫 케이블(51a)의 상부 표면 상에 거의 노출되지 않은 전도성 리드에 대해 가압된다.
이 경우에, 케이블 지지부(43a)가 케이블 가압부(44a)의 대향되는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케이블 지지부(43a)는 제1 플랫 케이블(51a)의 하부면, 즉 전도성 리드를 갖는 표면에 대향하는 표면에 대해 가압된다. 그 결과,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은 케이블이 케이블 가압부(44a) 및 케이블 지지부(43a)에 의해 위로부터 그리고 아래로부터 함께 샌드위치되는 상태로 압박된다. 도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리드는 제1 플랫 케이블(51a)의 상부면 상에 거의 노출되지 않고, 제2 플랫 케이블(51b)의 하부면 상에 노출된 전도성 리드는 케이블 지지부(43a) 및 케이블 가압부(44a) 대응하는 위치에 신뢰성있는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점(55)을 형성한다.
한편, 접촉점(55) 뒤의 측면 상에서, 즉 삽입 방향에서 볼 때 전방 측면(도5에서 보았을 때 우측)상에서, 제1 케이블(51a)의 상부면 및 제2 케이블(51b)의 하 부면은 그들 사이에 간극(C)이 남도록 이격된다. 접촉점(55)의 전방에 위치되는 측면 상에, 제1 케이블(51a)의 리드 및 제2 케이블(51b)의 리드는 비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이격된다. 또한, 접촉점(55)으로부터 역 삽입 방향으로 측면 상에서, 즉 접촉점(55)의 후방측 상에서, 제1 케이블(51a)의 상부면 및 제2 케이블(51b)의 하부면은 간극(D)이 남도록 이격된다. 다시 말하면, 접촉점(55)의 후방측 상에서, 제1 케이블(51a)의 전도성 리드 및 제2 케이블(51b)의 전도성 리드는 비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또한 이격된다.
이는 상부 아암부(44)의 케이블 가압부(44a)가 제2 플랫 케이블(51b)의 상부면에 대해 가압될 때, 삽입 방향, 즉 제2 플랫 케이블(51b)의 전방단을 향해 변위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단자(41)의 치수 및 형상은 이하의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 조절된다. 즉, 케이블 가압부(44a)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의 액추에어터(11)의 자세 변경에 반응하여 케이블 지지부(43a)에 인접하도록 이동될 때, 삽입 방향에 대한 케이블 가압부(44a)의 위치는 케이블 가압부(44a)가 제2 플랫 케이블(51b)의 상부면과 접촉할 때부터 이동을 완료할 때까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시프트된다.
도6의 (a) 내지 도6의 (d)는 케이블 가압부(44a)가 제2 케이블(51b)의 상부면에 대해 가압될 때 상부 아암부(44)와 플랫 케이블(51)의 이동 사이의 관계를 계략적으로 과장하여 도시한다. 특히, 도6의 (a)는 상부 아암부(44)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6의 (b)는 케이블 가압부(44a)가 제2 플랫 케이블(51b)의 상부면과 접촉하기 전의 단계를 도시한다. 도6의 (c)는 케이블 가압부(44a)가 제2 케이블(51b) 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6의 (d)는 액추에이터가 폐쇄 위치이고, 케이블 가압부(44a)가 제2 케이블(51b)의 상부면에 대해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액추에이터(11)가 개방될 때,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아암부(44)의 팁(도면에서 좌측 단부)은 위로 비스듬하게 배향된다. 다시 말하면, 하부 아암부(43)의 연장 방향을 기초로 하여, 팁이 상부 아암부(44)의 회전의 중심으로부터 보일 때의 앙각(elevation angle), 즉 상부 아암부(44)의 연장 방향의 앙각은 플러스 값을 갖는다.
후속적으로, 액추에이터(11)의 이동이 개방으로부터 폐쇄 위치로 변경될 때, 전체 상부 아암부(44)는 상부 아암부(44)와 하부 아암부(43) 사이에 형성되는 상대적 각도를 변경하도록 회전된다. 그 결과, 하부 아암부(43)의 연장 방향을 기초로 하여 상부 아암부(44)의 연장 방향의 앙각은 감소되고, 상부 아암부(44)의 팁은 하향으로 시프트된다. 앙각이 0일 때, 도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가압부(44a)는 제2 플랫 케이블(51b)의 상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후속적으로, 상부 아암부(44)의 팁이 하향으로 더 시프트될 때, 하부 아암부(43)의 연장 방향을 기초로 하여 상부 아암부(44)의 연장 방향의 앙각은 마이너스 값을 갖고, 그에 의해 앙각의 절대값이 증가한다. 액추에이터(11)가 폐쇄 위치로 이동될 때, 도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가압부(44a)는 제2 플랫 케이블(51b)의 상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 아암부(43)의 연장 방향을 기초로 하여 상부 아암부(44) 의 연장 방향의 앙각은 큰 절대값을 갖는 마이너스 값을 갖는다. 제1 케이블(51a)의 상부면 상의 거의 노출되지 않은 전도성 리드와, 제2 케이블(51b)의 하부면 상의 리드는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리드가 케이블 지지부(43a) 및 케이블 가압부(44a)에 각각 대면하는 방식으로 그들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접촉점(55)을 형성한다. 접촉점(55)으로부터 삽입 방향으로의 측면 상에서, 제1 케이블(51a)의 상부면과 제2 케이블(51b)의 하부면은 간극(C)이 남도록 이격된다. 접촉점(55)으로부터 역 삽입 방향으로의 측면 상에서, 제1 플랫 케이블(51a)의 상부면 및 제2 플랫 케이블(51b)의 하부면은 간극(D)이 남도록 이격된다.
도6의 (a)는 도6의 (b) 내지 도6의 (d)에 도시된 상부 아암부(44)의 이동을 도시한다. 화살표(E)는 케이블 가압부(44a)가 이동되는 궤적을 표시한다. 화살표(F)는 설명을 위해서 화살표(E)의 곡률을 과장되게 표현한다. 케이블 가압부(44a)가 케이블 가압부(44a)가 도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랫 케이블(51b)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상태로부터, 케이블 가압부(44a)가 도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랫 케이블(51b)의 상부면에 대해 가압되는 상태까지 삽입 방향으로, 즉 플랫 케이블(51)의 전방단을 향하여 거리 G 만큼, 변위되는 것을 화살표(F)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부 아암부(44)의 각도는 변경되고, 케이블 가압부(44a)는 제1 플랫 케이블(51b)의 상부면과 접촉한 후에 삽입 방향으로 변위된다. 그러므로, 접촉점(55)으로부터 삽입 방향으로의 측면 상에서, 제2 플랫 케이블(51a)의 상부면 및 제2 플랫 케이블(51b)의 하부면은 간극(C)이 남도록 이격된다. 이는 이후와 같이 고려될 수 있다. 즉, 제1 플랫 케이블(51a)의 본체 및 제2 플랫 케이블(51b)의 본체는 합성 수지와 같이, 약간의 연성이고 탄소성(elastoplasticity)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플랫 부재이다. 따라서, 적층된 상태의 협소한 핀-포인트 범위의 두 개의 본체가 위로부터 그리고 아래로부터 가압되고, 이 범위에서 이들 본체는 서로 밀착되도록 변형되고, 잔여부는 이 범위에서 변형의 영향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도록 변형된다. 제2 플랫 케이블(51b)의 상부면이 케이블 가압부(44a)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본체를 구성하는 부재는 삽입 방향으로 약간 활주되어, 접촉점(55)으로부터 삽입 방향으로의 측면 상에 큰 간극(C)을 남기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삽입 방향으로의 상술된 부재의 이런 약간의 활주는 접촉점(55)으로부터 역 삽입 방향으로의 간극(C)보다 작은 간극(D)을 남기는 것으로 보인다.
액추에이터(11)가 폐쇄될 때, 제1 케이블의 상부면 상에 노출된 리드 및 제2 케이블의 하부면 상에 노출된 전도성 리드는 접촉점(55)에서 전기적인 연속성을 달성하도록 서로 접속된다. 반면, 접촉점(55)과 다른 범위에서는, 두 개의 케이블이 접촉하지 않아서,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의 리드 사이에 전기 접속 저항의 변동을 야기하지 않는다. 즉, 그들 사이의 접속 저항은 신호의 안정적인 전송 특성을 발생하도록 안정화될 수 있다.
절연층이 전도성 리드의 상부면을 노출시키도록 제거되는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정도는 두 케이블의 맨 끝의 팁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이다. 이 범위는 맞닿음부(38)로부터 케이블 가압부(44a) 및 단자 수용 홈(34)에서 케이블 지지 부(43a)까지의 길이보다 조금 더 길다. 따라서, 전도성 리드가 노출되는 범위는 접촉점(55)으로부터 역 삽입 방향으로의 측면 상에서 짧다. 그러므로, 간극(D)이 작더라도,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리드 사이의 접촉 가능성은 없다.
한편, 접촉점(55)으로부터 삽입 방향으로의 측면 상에서, 전도성 리드가 노출되는 범위는 접촉점(55)으로부터 팁까지의 전체 범위에 걸쳐 제1 및 제2 케이블의 표면 상에 리드가 노출되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길다. 그러나, 삽입 방향으로의 케이블 가압부(44a)의 변위는 다량의 간극(C)을 남기게 만들 수 있어서, 제1 플랫 케이블(51a)의 상부면 상에 거의 노출되지 않은 전도성 리드와 제2 플랫 케이블(51b)의 하부면 상에 거의 노출되지 않은 전도성 리드 사이에 접촉을 야기할 가능성을 없앤다.
하부 아암부(43)의 연장 방향을 기초로하여 상부 아암부(44)의 연장 방향의 앙각이 플러스에서 마이너로 변경되는 경우가 도6의 (a) 내지 도6의 (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상부 아암부(44)와 하부 아암부(43) 사이의 상대적 각도 변경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삽입 방향으로의 케이블 가압부(44a)의 변위가 삽입 방향으로의 제2 플랫 케이블(51b)의 상부면의 변위를 허용하는 임의의 다른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아암부(43)의 연장 방향을 기초로 하여 상부 아암부(44)의 연장 방향의 앙각은 마이너스 값을 갖고,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액추에이터(11)의 자세 변경은 큰 절대값을 갖는 마이너스 값으로 앙각을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상부 아암부(44)가 액추에이터(11)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 지만, 하부 아암부(43)는 회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케이블 지지부(43a)는 케이블 가압부(44a)에 근접하고 삽입 방향으로 변위되어, 제1 플랫 케이블(51a)의 하부면이 삽입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 각각의 단자(41)는 대향 측면으로부터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을 가압하는 케이블 지지부(43a) 및 케이블 가압부(44a)를 갖는다. 개방에서 폐쇄 위치로의 액추에이터(11)의 이동은 하부 아암부(43) 또는 상부 아암부(44)의 각도를 변경시켜 케이블 지지부(43a) 또는 케이블 가압부(44a)가 삽입 방향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전도성 리드는 접촉점(55)을 형성하여 서로 접촉하고 전도성 리드는 케이블 지지부 및 케이블 가압부와 마주선다. 이들 리드는 접촉점(55) 이외에서 이격된다. 이는 이들 전도성 리드 사이의 접속 저항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게 만들어, 신호의 안정된 전송 특성을 허용한다.
특히, 제1 플랫 케이블(51a)의 맨 끝의 팁 및 제2 플랫 케이블(51b)의 맨 끝의 팁에서 대향면 사이에 대량의 간극(C)의 제공은 접촉점(55) 이외에서 전도성 리드 사이에 임의의 접촉의 신뢰성 있는 방지를 보장한다.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개념을 기초로 하여, 후속의 청구범위에서 청구되고 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릴레이 커넥터이며,
    노출된 리드가 서로 대면하도록 배열되는 제1 플랫 케이블 및 제2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삽입 개구가 구비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을 양쪽 측부로부터 샌드위치 방식으로 함께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단자와,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 안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전도성 리드 사이의 전기 접속을 달성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각각의 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을 대향 측부로부터 가압할 수 있는 가압 돌출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삽입 및 후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와, 상기 제1 아암부 및 상기 제2 아암부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상기 액추에이터의 이동의 변화가 상기 제1 또는 제2 아암부의 각도 변화를 유발시켜 상기 제1 아암부의 상기 가압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아암부의 가압 돌출부가 케이블 삽입이 수행되는 방향선을 향해 변위되는 릴레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상기 액추에이터의 이동은 상기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팁 단부의 대향면 사이에 간극을 생성하는 릴레이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상기 액추에이터의 이동은, 상기 삽입 개구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의 상기 전도성 리드로 하여금, 상기 전도성 리드가 상기 가압 돌출부와 직면하는 상기 커넥터의 위치에서 상기 전도성 리드 양자 모두가 서로 접촉하는 접촉점을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는 릴레이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랫 케이블의 상기 전도성 리드는 상기 접촉점 이외에서 서로 이격되는 릴레이 커넥터.
KR1020087026309A 2006-03-29 2007-03-29 릴레이 커넥터 KR101057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89873 2006-03-29
JP2006089873A JP4722745B2 (ja) 2006-03-29 2006-03-29 中継コネクタ
PCT/US2007/007891 WO2007123666A1 (en) 2006-03-29 2007-03-29 Relay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822A true KR20080114822A (ko) 2008-12-31
KR101057301B1 KR101057301B1 (ko) 2011-08-16

Family

ID=3847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309A KR101057301B1 (ko) 2006-03-29 2007-03-29 릴레이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79861B2 (ko)
JP (1) JP4722745B2 (ko)
KR (1) KR101057301B1 (ko)
CN (1) CN101449428B (ko)
WO (1) WO2007123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2980B2 (ja) * 2006-03-16 2011-02-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中継コネクタ
JP4722745B2 (ja) * 2006-03-29 2011-07-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中継コネクタ
JP5918634B2 (ja) * 2012-06-05 2016-05-1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JP5392929B2 (ja) * 2012-06-11 2014-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4904070B (zh) * 2012-12-11 2018-11-13 诺基亚技术有限公司 提供用于接触柔性平坦连接件的插座触点的装置和方法
CN105191004B (zh) * 2013-03-14 2017-10-27 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挠性电源连接器
CN111224267B (zh) * 2020-01-09 2021-08-20 环荣电子(惠州)有限公司 可挠性扁平电缆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2389A (en) * 1979-03-27 1981-02-24 Amp Incorporated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having integral unloading means
US5246382A (en) * 1992-03-02 1993-09-21 G & H Technology, Inc. Crimpless, solderless, contactless, flexible cable connector
JPH06203932A (ja) * 1992-12-28 1994-07-22 Seiko Epson Corp 基板接続構造
US5873739A (en) * 1996-05-14 1999-02-23 Miraco, Inc. Direct circuit to circuit stored energy connector
JP3101951B2 (ja) * 1997-01-24 2000-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JP3047862B2 (ja) * 1997-07-08 2000-06-05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3484659B2 (ja) * 2001-03-09 2004-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116454C2 (de) * 2001-04-03 2003-08-14 Fci Automotive Deutschland Gmb Verbindungsanordnung für Flex-Flachbandkabel
DE10121307C1 (de) * 2001-05-02 2002-12-05 Framatome Connectors Int Verbindungssystem für Flex-Flachbandkabel mit Exzenter
DE10262045B4 (de) * 2002-10-31 2005-06-02 Fci Verbinder für Flex-Flachbandkabel
JP4145226B2 (ja) * 2002-12-26 2008-09-03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280621B2 (ja) * 2003-12-19 2009-06-1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28497B2 (ja) * 2004-02-26 2007-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22745B2 (ja) * 2006-03-29 2011-07-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中継コネクタ
JP4199271B2 (ja) * 2006-08-23 2008-1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38738B2 (ja) * 2007-02-02 2009-10-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858249B2 (ja) * 2007-03-1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79861B2 (en) 2011-12-20
US20100068938A1 (en) 2010-03-18
JP2007265825A (ja) 2007-10-11
CN101449428B (zh) 2012-05-09
JP4722745B2 (ja) 2011-07-13
CN101449428A (zh) 2009-06-03
WO2007123666A1 (en) 2007-11-01
KR101057301B1 (ko)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301B1 (ko) 릴레이 커넥터
KR100739916B1 (ko) 접속시 인가된 응력이 컨택에 의해 수용되는 커넥터
US7648377B2 (en) Connector having connection detecting means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US810510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388879B2 (ja) コネクタ
US20060084311A1 (en) Connector
KR20180066822A (ko) 커넥터 장치
KR20010040019A (ko)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US9112306B2 (en) Connector
WO2007120419A1 (en) Fpc joining connector
US7950952B2 (en) FPC connector with rotating latch
US20070175741A1 (en) Cam structure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US20110021052A1 (en) Stacked fpc connector
US7448893B2 (en) Connector
US9252516B2 (en) Connector
WO2018042930A1 (ja) 電気コネクタ
JP5077032B2 (ja) コネクタ装置
JP7076770B2 (ja) 電気コネクタ
JP5776894B2 (ja) コネクタ装置
JP4442195B2 (ja) 電気コネクト構造
US20230056542A1 (en)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JP4717680B2 (ja) 中継コネクタ
JP3788957B2 (ja) Zifコネクタ
WO2023021490A1 (en)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JP3276715B2 (ja) 平板状導体の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る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