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560A - 배출가스 정화장치 및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배출가스 정화장치 및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560A
KR20080114560A KR1020080059717A KR20080059717A KR20080114560A KR 20080114560 A KR20080114560 A KR 20080114560A KR 1020080059717 A KR1020080059717 A KR 1020080059717A KR 20080059717 A KR20080059717 A KR 20080059717A KR 20080114560 A KR20080114560 A KR 20080114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gas
discharge
suc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294B1 (ko
Inventor
사토루 아사오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4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draining or otherwise eliminating condensates or moisture accumulating in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배출가스 정화장치는 배출가스를 기상(氣相) 배출물(vapor phase emission)과 액상(液相) 배출물(liquid phase emission)로 분리하는 분리부 본체(310) 및 상기 분리부 본체(310)에서 분리된 액상 배출물을 배출하는 액상출구(350)를 포함하는 기액(氣液)분리부(300), 상기 엔진과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를 연결하고, 상기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를 상기 분리부 본체(310)로 공급하는 배출통로(400), 액상출구(350)와 유동적으로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액상출구(350)로부터 배출된 액상 배출물에 정화(淨化)처리를 실시하는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및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내의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입하여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에 공급하는 기체흡입수단(600, 600B, 600C, 352, 570, 570C, 570D, 6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출가스 정화장치 및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EXHAUST EMISSION CONTROL SYSTEM AND ENGINE-DRIVEN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배출가스 정화장치 및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는 공조회로에서 냉동싸이클을 실행하기 위해 냉매를 압축 또는 흡입하는 컴프레셔 및 이 컴프레셔를 구동하는 엔진을 포함한다. 상기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배출가스(exhaust gas)를 기상 및 액상으로 분리하는 기액(氣液) 분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기액분리장치는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배출통로와, 상기 배출통로에 연결된 기액분리부 및 액상출구를 통해 상기 기액분리부에서 기상 배출물로부터 분리된 액상 배출물을 받는 액체 배출물 정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액분리부는 배출파이프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에 포함된 기상(氣狀) 및 액상(液狀)을 분리한다. 배출가스로부터 분리된 액상은 액상출구를 통하여 액체 배출물 정화부로 유동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액체 배출물 정화부에서 정화된다. 종래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액상 배출물의 청정 또는 정화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된다.
상기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에 적용된 종래의 액체 배출물 정화부로서, 드레 인워터 처리장치가 JP7-259549A에 개시되어 있다. JP7-259549A에 개시된 드레인워터(drain water) 처리장치에 따르면, 드레인워터가 중화되어 정화되도록 중화시키는 중화제(neutralizer)를 수용하는 용기는 배출가스용 경로에 구비되고, 그것에 의해 드레인워터 입구포트를 통하여 상기 용기 내부로 드레인워터를 도입함으로써, 드레인워터를 중화시켜 드레인워터가 중화되고 정화된다. JP2000-213341A에 개시된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에 적용된 다른 종래의 액체 배출물 정화부는 드레인 입구로부터 도입된 드레인워터를 중화하기 위한 중화제를 수용하고, 상기 드레인 중화 용기 내부에 정렬된 복수의 디바이더(divider)에 의해 수밀(水密) 매카니즘(water sealing mechanism)을 형성한다. JP2000-213341A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드레인 중화 용기 내에서 유지된 배출가스의 바깥쪽으로의 배출물은 억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JP7-259549A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드레인워터의 처리장치의 공간에 있는 배출가스 잔존물이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이것은 드레인워터의 처리장치의 밀봉 처리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누설된 배출가스가 드레인워터의 처리장치 바깥쪽에서 응축되어 응축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전술한 바의 드레인워터의 처리장치 외부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드레인워터의 처리장치에 의해 정화처리로 처리되지 않거나, 드레인워터의 처리장치에 의해 정화처리될 가능성이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충분히 중화되고 정화되지 않은 물이 바깥으로 배출될 가능성이 있다.
JP2000-213341A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디바이더를 가지는 수밀 매카니즘은 드레인워터의 처리장치 내에 형성된다. JP2000-213341A에 개시된 구성과 함께, 드레인 중화 용기 내에 잔류하는 배출가스의 바깥쪽으로의 배출물은 상기 수밀 매카니즘의 밀봉처리에 의해 억제된다. 그러나, 상기 드레인워터의 발생이 감소하는 상태에서(예를 들면, 여름, 더운 날씨), 수밀 매카니즘의 밀봉처리를 향상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완벽한 액체 배출물 정화 처리를 보장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액체 배출물의 정화처리를 보장하기 위해 유리한 배출가스 정화장치 및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가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바를 고려하여,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를 기상 배출물 및 액상 배출물로 분리하는 분리부 본체와, 상기 분리부 본체에서 분리된 액상 배출물을 배출하는 액상출구를 포함하는 기액분리부, 엔진과 상기 기액분리부의 분리부 본체를 연결하고 상기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를 상기 기액분리부의 분리부 본체로 공급하는 배출통로, 상기 액상출구와 유동적으로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이 액상출구로부터 배출된 액상 배출물에 대해서 정화처리를 하는 배출액 정화-처리부, 및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 내의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입하여 상기 기액분리부의 분리부 본체에 공급하는 기체흡입수단을 포함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기체흡입수단은 상기 배출통로를 통해 유동하는 배출가스에 의해 벤튜리 흡입작용(venturi suction effect)를 나타내기 위해 배출통로에서 구비된 흡입쓰로틀 통로(suction throttle passage) 및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 내의 기상공간과 흡입쓰로틀 통로 사이에서 연통할 수 있는 흡입연통로(suction communication passag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흡입연통로는 상기 액상출구를 통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로 상기 액상 배출물을 드레인하는 액상 드레인통로(liquid phase drain passage)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흡입연통로는 상기 액상출구를 통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로 상기 액상 배출물을 드레인하는 액상 드레인통로와 별도로 구비되는 통로에 상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기체흡입수단은 흡입팬(fan)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는 공조회로에서 냉동싸이클을 실행하기 위한 냉매를 압축 또는 흡입하는 컴프레셔, 상기 컴프레셔를 구동시키는 엔진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상기한 어느 청구항에 따른 배출가스 정화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체흡입수단은 상기 기액분리부의 분리부 본체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 내의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입한다. 그러므로, 상기 배출가스가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 내에 잔류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 내에 남은 배출가스가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의 외부에서 응축하여 응축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추가적인 형태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고려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첨부한 도 1 내지 2의 도시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는 공조회로에서 냉동싸이클을 실행하기 위한 냉매를 압축하고 흡입하는 컴프레셔, 및 배출가스를 발생원으로서, 그리고 상기 컴프레셔를 구동하는 상기 공조회로용 구동 원으로서 기능하는 엔진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기액분리 장치(2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액분리 장치(200)는 기액분리부(300), 배출통로(400) 및 배출액 정화-처리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액분리 장치(200)의 기본 구성요소인 기액분리부(300)는 배출가스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기액분리부(300)는 엔진의 배출가스에 포함된 기상 및 액상을 분리하는 분리부 본체(310)와, 상기 분리부 본체(310)에서 분리된 배출가스의 액상을 드레인워터로서 배출하는 액상출구로서 기능하는 드레인워터 출구(350)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부 본체(310)는 챔버(311)를 형성하는 실린더 바디(313) 및 대기와 유동적으로 연동되도록 상기 실린더 바디(313)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배출파이프(315)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바디(313)의 챔버(11)는 상기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배출가스를 촉진하거나 증진하기 위해 축(P1)에 대해서 상기 배출가스에 나선형 운동을 부여하는 벽면(312)에 의해 한정되어 있다. 상기 배출가스의 기상으로부터 분리된 액상을 드레인워터로서 배출하는 드레인 출구로서 기능하는 드레인워터 출구(350)는 상기 분리부 본체(310)의 챔버(311) 내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드레인워터 출구(350)는 상기 챔버(311)의 바닥부의 최하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최하부에 가깝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통로(400)는 엔진에 구비된 배출열교환기(170)와 상기 기액분리부(300)를 연결한다. 상기 배출열교환기(170)는 엔진의 배출포트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배출가스를 열교환매체(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냉각제)와 열교환하여 배출가스를 냉방 또는 냉각시키도록 형성되고, 그것에 의해 배출가스는 응축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상기 배출통로(400)는 배출열교환기(170)의 배출열포트(171) 및 기액분리부(300)의 배출포트(171)를 연결하고, 따라서, 엔진의 상기 배출열교환기(170)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가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의 챔버(311)에 공급된다.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는 기액분리부(300)에 구비된 드레인워터 출구(350)를 통하여 상기 기액분리부(300)에 구비된 분리부 본체(310)의 챔버(311)와 유동적으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는 중력에 의한 드레인워터의 아래로 흐르는 성질을 이용하기 위해 기액분리부(300)의 드레인워터 출구(350)에 관하여 중력방향에 상응한 아래쪽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드레인워터 출구(350)(즉, 액상출구)는 또한 기체흡입수단으로서도 기능하는 드레인통로(352)(즉, 액상 드레인통로)를 통하여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와 유동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는 오염물제거재(除去材 : contamination removing material)(예를 들면, 중화제(neutralizer))(501f)를 수용하는 오염물제거재 수용챔버(501)를 가지는 용기(510)와, 상기 오염물제거재 수용챔버(501)와 외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드레인파이프(55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510)는 배출된 액체가 저장되는 액상공간(510a)과, 기체가 저장되는 기상공간(510c)을 포함한다. 드레인파이프(550)는 상기 용기(510) 내의 배출된 액체(액상)를 드레인하는 제2 드레인통로(즉, 액상 드레인통로)로서 기능하고, 상기 기상공간(510c)과 유동적으로 연 통된다. 상기 드레인파이프(550)는 상기 액상공간(510a)과 유동적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배출된 액체(액상 배출물)의 오염물을 정화 또는 제거하기 위해 액상공간(510a)의 미리 정해진 체적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510)는 오염물제거재 수용챔버(501)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511)와, 그 상부 개구를 덮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커버(513)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는 드레인워터 출구(350)로부터 드레인된 배출된 액체(액상 배출물)인 드레인워터를 저장하고, 상기 드레인워터(액상배출물)에 대하여 오염물제거재(501f)(예를 들어, 중화제)에 의해 정화처리를 수행한다. 오염물제거재(501f)에 의해 오염물의 정화 또는 제거처리된 액상 배출물(501w)(드레인워터)은 상기 드레인파이프(550)로부터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바깥쪽으로 드레인된다.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는 상기 드레인파이프(550)를 통하여 주변(대기)과 유동적으로 연통된다.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가 구동될 때, 엔진은 공기조화를 위한 컴프레셔를 작동시키기 위해 가스연료 또는 액체연료에 의해 구동된다. 컴프레셔의 작동에 의해, 냉각제는 냉동싸이클을 실행하기 위해 공조회로에서 압축되거나 흡입된다. 상기 냉동싸이클이 실행되면, 엔진은 고온의 배출가스를 발생시킨다.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고온의 배출가스는 배출열교환기(170)에서 냉방되고(냉각되고), 그런 다음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로 화살표 X1 방향으로 배출통로(400)를 통하여 흐른다. 상기 분리부 본체(310)로 공급된 배출가스는 상기 분리부 본체(310)의 실 린더 바디(313)의 벽면(312)과 충돌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실린더 바디(313)의 축(P1)에 대해 나선형으로 움직인다. 그 결과, 기상과 액상으로의 배출가스의 분리가 촉진된다.
액상이 차단된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배출파이프(315)(즉, 굴뚝 구조를 가진 것)에서 위쪽으로 떠올라, 화살표 B1 방향으로 상기 배출파이프(315)의 상부 개구(315c)를 통해 바깥쪽으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파이프(315)에서 떠오르는 동안 냉각된 배출가스는 응축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배출파이프(315)의 내부 벽면(315f)을 타고 아래쪽으로 유동하고, 결국 상기 드레인워터 출구(350) 및 드레인통로(즉, 액상 드레인통로)(352)를 통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쪽으로 드레인된다. 상기 배출파이프(315)의 내부 직경은 그 내부를 유동하는 배출가스의 유속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교적 크게 설정된다.
분리된 액상 배출물은 드레인워터(배출액)로서 상기 분리부 본체(310)의 바닥면(310f)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워터(배출액)는 중력에 의해 상기 드레인워터 출구(350)로부터 화살표 A2 방향으로 상기 드레인통로(352)를 통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기상공간(510c) 쪽으로 드레인되고,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오염물제거재 수용챔버(501) 내에 저장된다. 상기 오염물제거재 수용챔버(501) 내에 저장된 드레인워터는 그 내부에 구비된 오염물제거재(예를 들면, 중화제)에 의해 정화 또는 오염물의 제거(예를 들면, 중화)가 이루어진다. 정화된 드레인워터는 드레인파이프(550)를 통해 상기 오염물제거재 수용챔버(501)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오염된 드레인워터에 의한 환경오염이 방지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체흡입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흡입쓰로틀 통로(600)는 상기 기액분리부(300)에 더 가깝게 상기 배출통로(400)의 단부(401)에 구비된다. 특히, 상기 배출통로(400)는 상기 배출통로(400) 내에서 유동하는 배출가스의 유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벤튜리 흡입작용을 나타내는 흡입쓰로틀 통로(600)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는 상기 드레인워터 출구(350)에 직면하도록 상기 분리부 본체(310)의 챔버(311) 내의 바닥 측에 위치된다.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는 드레인워터 출구(350)를 통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내에서 기상공간(510c)과 유동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실린더 바디(313)과 유동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는 드레인워터 출구(350) 위에 위치된다.
엔진의 배출포트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는 배출열교환기(170) 내에서 유동하고, 그런 다음 배출통로(400)로 유동한다. 또한, 상기 배출가스는 배출통로(400)의 단부에 구비된 흡입쓰로틀 통로(600) 내로 유동하고, 그것에 의해 그 유동 속도가 증가한다. 그 후, 상기 배출가스는 화살표 X1 방향으로 상기 분리부 본체(310)의 챔버(311)로 더 유동하고, 벽면(312)에 부딪혀 나선형으로 움직인다. 그 결과, 배출가스의 기상과 액상의 분리는 촉진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의 단면적은 상기 배출통로(400)의 다른 부분(400e)의 단면적에 비해 감소된다. 그러므로,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 내에서 유동하는 배출가스의 유속은 증가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는 배출가스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벤튜리 흡입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용기(510) 내의 기상공간(510c)에 존재하는 기체(501g)는 드레인통로(352)와 드레인워터 출구(350)를 통해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 쪽으로 흡입하는 방향(즉, 화살표 A1 방향)으로 흡입된다. 흡입된 기체(501g)는 상기 챔버(311) 내에서 나선형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배출통로(400) 내로 흐르는 배출가스와 함께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에서의 챔버(311)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용기(510) 내의 공간에 존재하는 가스(예를 들면, 배출가스)는 화살표 A1 방향으로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 쪽으로 흡입되고, 그것에 의해, 상기 챔버(311)로 공급된다.
배출가스의 기상으로부터 분리된 액상 배출물은 상기 드레인통로(352)를 통해 드레인워터 출구(350)로부터의 드레인워터로서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쪽으로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유동한다. 드레인통로(352) 내에서 드레인워터의 하강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의 벤튜리 흡입작용이 설정된다. 상기 드레인워터가 액상이고 이 액체의 비중이 기체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드레인워터는 흡입될 가능성이 없다. 즉, 기체와 액체를 포함하는 유체 중에서 기체만이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의 벤튜리 흡입작용에 의해 흡입쓰로틀 통로(600) 쪽으로 화살표 A1 방향으로 흡입되고, 그 때문에 정화된 드레인워터(정화공정 또는 오염물 제거공정을 가지는 배출된 액체)는 화살표 A5 방향으로 상기 드레인파이프(5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배출가스가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 부(500) 내부에 존재하더라도,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내의 배출가스는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로 보내지도록 상기 흡입방향(즉, 화살표 A1 방향)으로 흡입된다.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내에 잔류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에 남은 배출가스가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바깥쪽으로의 유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바깥쪽에 응축된 배출가스로 응축수를 발생할 가능성은 억제된다.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바깥쪽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오염물제거재(501f)와 충분히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그 정화 역시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용기 본체(511)와 커버(513) 사이에 밀봉 요소(예를 들면 가스켓, 수밀(water sealing) 등)는 고려되지 않거나 간단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배출통로(400) 내의 배출가스는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내부로 유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는 상기 배출통로(400)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에서의 상기 챔버(311) 내부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배출가스가 상기 배출통로(400)의 단부에서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로 유동할 때, 유동 속도는 벤튜리 흡입작용을 발생시키면서 증가된다. 증가된 유속을 가지는 배출가스는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의 챔버(311)의 벽면(312)에 부딪힌다. 따라서, 상기 기액분리부(300)에서 기체와 액상으로 분리하는 배출가스의 분리 효율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드레인워터 출구(350)는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와 드레인통로(352)와 유동적으로 연통된다. 그러므로, 상기 드레인워터 출구(350)와 드레인통로(352)는 화살표 A2 방향으로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에 드레인워터로서 상기 배출가스로부터 분리된 액상을 드레인하는 기능과, 화살표 A1 방향(즉, 화살표 A2 방향으로부터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기액분리부(300) 쪽으로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기상공간(510c) 내에 잔류하는 기체를 강제적으로 흡입 기능의 2가지 기능을 공통으로 가진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워터 출구(350) 및 드레인통로(352)는 드레인워터 드레인기능과 기체흡입기능을 모두 가진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기체를 상기 기액분리부(300) 쪽으로 흡입하기 위한 전용의 흡입 파이프를 배제할 수 있고, 그러므로 부품 수의 감소 및 시스템 자체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공조회로에서 공조하중이 증가하는 경우에, 엔진 회전속도가 증가되고, 그것에 의해 시간당 배출통로(400)에서 배출가스의 유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배출가스가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내에서 유동할 위험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간당 배출가스의 유량이 공조회로에서 공조 하중의 증가로 인해 엔진 회전 속도의 증가에 의해 증가되더라도,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에 의해 벤튜리 흡입작용이 증가되고, 그 결과,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내에서 유동하는 배출가스는 상기 드레인워터 출구(350)를 통해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 쪽으로 효율적으로 흡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하여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 시형태의 기본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점을 얻는다. 제1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이 후술될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쓰로틀 통로(600B)(즉, 기체흡입수단으로서 기능)는 흡입연통로(즉, 기체흡입수단으로서 기능)를 통해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와 유동적으로 연통된다.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는 화살표 X1 방향으로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B)를 통하여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로 유동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B)는 감압된 흡입쓰로틀 통로(600B)에서 유동하는 배출가스에 의해 벤튜리 흡입작용을 나타낸다. 그 결과,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용기(510) 내에서 상기 기상(510c)로 존재하는 기체(501g)는 상기 배출통로(400) 내에서 유동하는 배출가스와 함께 상기 기액분리부(2300)의 분리부 본체(310)의 챔버(311)로 공급되도록 상기 흡입연통로(570)를 통하여 흡입하는 방향(예를 들면, 화살표 A1 방향) 흡입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흡입연통로(570)는 상기 드레인워터 출구(35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드레인워터 출구(350) 및 드레인통로(352)와 평행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스로틀 통로(600B)에 의한 벤튜리 흡입작용이 중요한 때에도, 드레인통로(352)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유동하는 드레인워터(액상)는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B) 쪽으로 화살표 A2 방향으로 흡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드레인워터 출구(350)는 상기 분리부 본체(310)의 바닥부에 형성된다.
제3 실시형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기본구성은 상기 제2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고, 제3 실시형태의 이점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와의 다른 구성이 후술될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쓰로틀 통로(600C)(즉, 기체흡입수단으로 기능)는 드레인워터 출구(350)와 드레인통로(352)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흡입연통로(즉, 기체흡입수단으로 기능)(570C)를 통해 드레인파이프(550)에 더 가깝게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기상공간(510c) 내의 공간(500f)과 유동적으로 연통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용기(510) 내의 공간에 상기 드레인파이프(550)에 더 가까운 공간(500f) 내에 존재하는 기체는 흡입방향(화살표 A3 방향)으로 흡입되고, 배출통로(400)로 유동하는 배출가스와 함께 화살표 X1 방향으로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의 챔버(311)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용기(510) 내의 공간(500f)에 잔류하는 배출가스는 상기 드레인파이프(550)를 통해 바깥쪽으로 드레인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벤튜리 흡입작용에 의해 흡입된 흡입연통로(570C)는 상기 드레인워터 출구(350)와 드레인통로(352)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흡입연통로(570C)는 상기 드레인통로(352)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흡입쓰로틀 통로(600C)에 의한 벤튜리 흡입작용이 강할 때에도, 상기 드레인통로(352)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유동하는 드레인워터(액상)는 반대 방향으로, 즉, 도 4에서 화살표 A4 방향의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쪽으로 흡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의 기본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4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점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실시형태와의 다른 구성이 후술될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연통로(570D)(즉, 기체흡입수 단으로 기능)는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용기(510)의 기상공간(510c)과 분리부 본체(310)의 챔버(311) 사이와 연통되어 있다. 기체흡입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흡입팬(650)은 상기 흡입연통로(570D)에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용기(510)의 기상공간(510c) 중의 드레인파이프(550)에 더 가까운 공간부(550h) 내에 존재하는 기체는 상기 흡입팬(650)의 작동에 의해 흡입방향(예를 들면, 화살표 A6 방향)으로 강하게 흡입되고, 그것에 의해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의 챔버(311)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파이프(550)를 통해 바깥쪽으로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용기(510) 내에서의 공간(550h)에 잔류하는 배출가스의 배출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상기 드레인워터 출구(350)(즉, 액상출구)에 연결된 드레인통로(352)에 비해 드레인파이프(550)에 더 가까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의 용기(510)의 공간은 상기 공간(550h)으로 규정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흡입연통로(570D)는 상기 드레인워터 출구(350)와 드레인통로(352)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드레인통로(352)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흡입팬(650)의 흡입력이 강할 때에도,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유동하는 드레인워터는 반대 방향, 즉 드레인통로(352)를 통하여 화살표 A4 방향으로 흡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5 실시형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5 실시형태의 기본구성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에 언급한 다른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5 실시형태는 상술한 다른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점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와 다른 제5 실시형태의 구성은 후술될 것이다. 도 6은 공조회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공조회로는 실내의 공조를 실행하는 복수의 인도어 유니트(1A, 1B), 상기 공조를 실행하는 냉매를 조절하는 아웃도어 유니트(2) 및 상기 아웃도어 유니트(2)와 각각의 인도어 유니트(1A, 1B)를 연결하는 냉매 회로 시스템(3)을 포함한다. 설명상, 하나의 아웃도어 유니트(2)와 2개의 인도어 유니트(1A, 1B)가 본 실시형태에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아웃도어 유니트 및 인도어 유니트의 수는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인도어 유니트가 하나의 아웃도어 유니트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아웃도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위치한 인도어 유니트(1A, 1B)는 공조를 위해 냉매와 실내공기 사이의 열을 교환하는 인도어 열교환기(10) 및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11)(즉, 그 개도(開度)가 고정된 것)를 포함한다. 인도어 유니트의 수는 가변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도어 유니트는 상기 인도어 유니트 1A, 1B로 대표되고 있다.
상기 아웃도어 유니트(2)는 외부에 위치된다. 상기 아웃도어 유니트(2)는 가스 엔진으로 형성된 엔진(20)(구동원), 기체냉매와 액체 냉매가 분리된 상태에서 냉매를 수용하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21), 상기 엔진(20)의 작동에 응하여 그 내부에서 압축하기 위해 상기 어큐뮬레이터(21)로부터 기체냉매를 흡입하도록 작동되는 컴프레셔(22) 및 공조를 위해 열교환을 실시하는 아웃도어 열교환기(23)를 포함한다. 상기 엔진(20)의 회전 속도는 센서(24B)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컴프레셔(22)는 타이밍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부재를 통하여 상기 엔진(20)과 연동된다. 즉, 상기 엔진(20)은 상기 컴프레셔(22)에 대한 구동원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컴프 레셔(22)는 상기 어큐뮬레이터(21)로부터 압축챔버 내로 기체냉매를 흡입하는 흡입포트(22i) 및 상기 압축챔버 내에서 압축된 고압 기체냉매를 배출하는 출구포트(22p)를 포함한다.
하기한 바와 같이, 제어밸브(팽창밸브)로서 기능하는 전자조절밸브(25)와 체크 밸브(26)는 냉매가 열 운전에서 상기 인도어 유니트(1A, 1B)로부터 아웃도어 유니트(2)로 리턴하는 이 냉매의 리턴 방향(화살표 K1 방향)에 있어서 아웃도어 열교환기(23)의 상류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체크 밸브(26)는 냉매가 상기 아웃도어 유니트(2)의 아웃도어 열교환기(23)로부터 상기 인도어 유니트(1A, 1B)로 유동하도록 허용하고, 상기 인도어 유니트(1A, 1B)로부터 상기 아웃도어 유니트(2)의 아웃도어 열교환기(23)로의 냉매의 유동을 막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자조절밸브(25)는 전기적 제어에 의해 개도를 조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자조절밸브(메인 조절 밸브)(25)는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그 개도가 가변적으로 변화하는 밸브부를 포함하여 유량을 변화시킨다.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제어밸브(25)에 의해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메인 제어밸브(25)의 개도를 제어한다.
실내를 가열할 때의 운전은 후술될 것이다. 상기 엔진(20)이 연료 가스에 의해 구동될 때, 상기 컴프레셔(22)가 작동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21) 내에서 기체냉매는 상기 컴프레셔(22)의 압축챔버 내에서 압축되도록 상기 어큐뮬레이터(21)의 흡입포트(21i)와 상기 컴프레셔(22)의 흡입포트(22i)를 통해 상기 컴프레셔(22)로 흡입된다. 고온 고압을 가지는 압축된 기체냉매는 유로(3a)를 통해 상기 컴프레 셔(22)의 출구부(22p)로부터 오일 분리기(27)로 배출된다. 오일은 상기 오일 분리기(27)에서 상기 냉매로부터 분리된다. 오일을 제거하고 고온 고압인 기체냉매는 4-웨이(way) 밸브(28)의 제3 포트(28t), 유로(3c), 볼 밸브(291) 및 유로(3d, 3e)를 통과하여 상기 냉매가 응축되기 위해(즉, 액화하기 위해) 실내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상기 인도어 열교환기(10)에 이르게 한다. 응축열이 실내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공기는 가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도어 유니트(1A, 1B)의 가열 운전 중에, 상기 인도어 열교환기(10)는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그 후, 상기 인도어 열교환기(10)를 통한 액화가 진행된 냉매는 액상 또는 기체와 액체를 포함하는 2상 상태를 취하고, 상기 팽창밸브(11)에 도달하며, 감압되도록 상기 인도어 유니트(1A, 1B)의 팽창밸브(11)에서 팽창한다. 또한, 상기 감압된 냉매는 유로(3f, 3g), 볼 밸브(292), 유로(3h)를 통하여 화살표 K1 방향으로 유동하고, 상기 전자조절밸브(25)에 도달하며, 상기 전자조절밸브(25)를 통해 유동하고, 상기 아웃도어 열교환기(23)에 도달한다. 상기 냉매는 주변 공기(외부 공기)와 열을 교환하도록 상기 아웃도어 열교환기(23)에서 증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웃도어 열교환기(23)는 상기 인도어 유니트(1A, 1B)의 가열운전 중에 증발기(23)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전자조절밸브(25)는 상기 냉매를 팽창시키도록 상기 인도어 유니트(1A, 1B)의 가열 운전 중에 팽창밸브로서 기능한다. 상기 전자조절밸브(25)의 개도는 조정가능하다.
또한, 상기 냉매는 4-웨이 밸브(28)의 제1 포트(28f)와 제2 포트(28s) 및 유로(3m)를 통해 상기 어큐뮬레이터(21)의 리턴 포트(21r)로 되돌아 간다. 되돌아 간 냉매는 상기 액체 냉매가 가스 냉매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상기 어큐뮬레이터921)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아웃도어 열교환기(23)로 공기를 보내는 제1 팬(51)은 상기 아웃도어 유니트(2)에 구비되고, 상기 인도어 열교환기(10)로 공기를 보내는 제2 팬(52)은 상기 인도어 유니트(1A, 1B)에 구비된다.
상기 인도어 유니트(1A, 1B)에 의해 실내를 냉각할 때의 운전에 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가스 엔진(20)이 연료 가스에 의해 구동될 때, 상기 컴프레셔(22)는 작동하여 상기 어큐뮤렐이터(21) 내의 기체냉매는 상기 컴프레셔(22)의 압축챔버에서 압축되도록 상기 컴프레셔(22)의 흡입포트(22i)로부터 흡입된다. 고온 고압을 가지도록 압축된 기체냉매는 상기 유로(3a)를 통하여 상기 오일 분리기(27)에 도달하도록 상기 컴프레셔(22)의 출구포트(22i)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오일은 상기 오일 분리기(27)에서 냉매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오일이 차단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유로 전환 밸브로서 기능하는 4-웨이 밸브(28)의 제1 포트(28f)를 통해 상기 아웃도어 열교환기(23)에 도달한다. 고온 고압을 가진 냉매는 액화되도록 상기 아웃도어 열교환기(23)에서 상기 외부 공기와 열교환에 의해 냉각되거나 또는 차가워진다. 액화가 진행되거나 액화 과정(즉, 액상 또는 기체와 액체를 포함하는 2상 상태) 중인 냉매는 상기 체크 밸브(26), 유로(3h), 볼 밸브(292) 및 유로(3g, 3f)를 통해 상기 팽창밸브(11)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상기 냉매는 더 낮은 온도가 되도록 상기 팽창밸브(11)에서 팽창된다. 일반적으로, 냉방 운전 중에, 상기 전자조절밸브(25)는 전폐(全閉)된다. 그러나, 상기 전자조절밸브(25)는 상기 냉방 운전 중에 열릴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더 낮은 온도가 되도록 상기 아웃도어 열교환기(23)에서 열을 빼앗긴 냉매는 상기 유로(3g, 3f)를 통과하고, 저온 저압이 되도록 팽창밸브(11)에서 팽창하며, 또한 냉매가 실내공기를 시원하게 하도록 실내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인도어 열교환기(10)에 도달한다. 또한, 상기 냉매는 유로(3e), 볼 밸브(291), 유로(3c), 4-웨이 밸브(28)의 제3 포트(28t), 4-웨이 밸브(28)의 제2 포트(28s) 및 유로(3m)를 통해 어큐뮬레이터(21)의 리턴 포트(21r)로 되돌아 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액분리부(300)는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하기 위해 배출가스의 나선형 움직임에 의해 원심 분리를 이용한다. 그러나, 상기 기액분리에 적용된 방법은 이 원심분리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하기 위한 다른 방법, 예를 들면, 배출가스를 냉각하는 것에 의해 응축수를 발생시키는 것, 또는 필터를 이용하는 것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또한, 중화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오염물제거재 수용챔버(501) 내에 저장된 오염물제거재(501f)로서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 오염물제거재는 중화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능제(agent)가 적용될 수도 있다. 공조회로는 도 6에 나타낸 회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적용은 상기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에 한정되지 않고, 엔진-구동 열병합 발전(cogeneration)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다. 가스연료 또는 액체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특별한 구성 및 기능은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특별한 구성 및 기능과 그와 다른 실시형태의 특 별한 구성 및 기능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배출가스 정화장치는 구동원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가 통과하는 배출통로, 상기 배출통로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통로로 유동하는 배출가스를 처리하는 배출가스 처리부, 상기 배출통로와 유동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배출가스 내에 포함된 액상을 배출하는 액상출구, 상기 액상출구와 유동적으로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액상출구로부터 배출된 액상의 오염물을 정화처리하거나 제거하는 배출액 정화-처리부, 및 상기 배출가스 처리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 내의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입하는 기체흡입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내연 기관 엔진(internal combustion engine) 또는 외연 기관 엔진(external combusion engine)은 구동원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이점은 앞서 개진한 것과 같이 나타낸다.
또한, 배출가스 정화장치는 배출가스 발생원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배출통로, 상기 배출통로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가스를 통하여 유동하는 배출가스를 처리하는 배출가스 처리부, 상기 배출통로와 유동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배출가스 내에 포함된 액상을 배출하는 액상출구, 상기 액상출구와 유동적으로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액상출구로부터 배출된 액상에 대하여 정화를 실시하거나 오염물 제거처리를 실시하는 배출액 정화-처리부, 및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 내의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가스 처리부로 공급하는 기체흡입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배출가스의 발생원으로서, 엔진과 같은 구동 시스템, 가연성 가스를 태우는 연소기 및 음식 찌꺼기나 쓰레기과 같은 폐물을 태우는 연소 기가 배출가스 발생원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연 기관 엔진 또는 외연 기관 엔진이 구동원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이점은 앞서 개진한 것과 같이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배출가스 정화장치는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를 기상 배출물과 액상 배출물로 분리하는 분리부 본체(310)와 상기 분리부 본체(310)에서 분리된 액상 배출물을 배출하는 드레인워터 출구(액상출구(350)를 포함하는 기액분리부(300), 상기 엔진 및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에 연결되어 상기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를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로 공급하는 배출통로(400), 상기 드레인워터 출구(350)와 유동적으로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레인워터 출구(350)로부터 배출된 액상 배출물에 대하여 정화처리하는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및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로 공급되도록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내의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입하는 기체흡입수단(600, 600B, 600C, 352, 570, 570C, 570D, 650)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주제에 따르면, 상기 기체흡입수단(600, 600B, 600C, 352, 570, 570C, 570D)은 상기 배출통로(400)를 통하여 유동하는 배출가스에 의해 벤튜리 흡입작용을 나타내기 위해 배출통로(400)에 구비된 흡입쓰로틀 통로(600, 600B, 600C)와,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내의 기상공간(510c)과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 600B, 600C) 사이가 연통하도록 이루어지는 흡입연통로(352, 570, 570C, 570D)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주제에 따르면, 상기 흡입연통로(352)는 상기 액상출구(350)를 통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로 액상 배출물을 드레인하는 액상 드레인통로(352)로서 기능한다.
상기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주제에 따르면, 상기 흡입연통로(570, 570C, 570D)는 상기 액상출구(350)를 통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로 액상 배출물을 드레인하는 액상 트레인 통로(352)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로(570, 570C, 570D)에 상응한다.
상기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주제에 따르면, 상기 기체흡입수단은 흡입팬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는 공조회로에서 냉동싸이클을 실행하기 위해 냉매를 압축하거나 흡입하는 컴프레셔(22), 상기 컴프레셔(22)를 구동시키는 엔진(20) 및 상기 엔진(20)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상술한 배출가스 정화장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엔진이 구동될 때, 엔진은 배출가스를 발생시킨다. 상기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는 상기 기액분리부의 분리부 본체로 상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유동한다. 상기 기액분리부의 분리부 본체는 상기 배출통로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를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한다. 분리된 액상는 드레인 출구(액상출구)를 통해 배출액 정화-처리부(드레인 정화 처리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드레인 정화-처리부)는 상기 드레인 출구(액상출구)로부터 드레인된 액상(드레인)에 대하여 정화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배출가스가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드레인 정화 처리부)로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앞서 말한 결점 가능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상기 기체흡입수단은 기액분리부의 분리부 본체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드레인 정화 처리부) 내의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입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드레인 정화 처리부)에 남아 있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종래 시스템과 달리,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드레인 정화 처리부)에 남아 있는 배출가스가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드레인 정화 처리부)의 외부에서 응축되는 것이 억제되고, 따라서 상기 배출가스가 응축수(즉, 불출분하게 정화된 곳)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억제된다.
상기 기체흡입수단은 배출통로와 기액분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다. 즉, 상기 기체흡입수단은 상기 배출통로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기액분리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배출통로와 상기 기액분리부 양쪽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기체흡입수단으로서, 어떤 장치든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드레인 정화 처리부) 내의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입하여 그것을 상기 기액분리부의 분리부 본체에 공급하는 한 어떤 장치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기체흡입수단은 상기 배출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배출가스에 의해 벤튜리 흡입작용을 나타내는 흡입쓰로틀 통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는 상기 드레인 출구(액상출구)를 통하여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드레인 정화 처리부) 내의 공간과 유동적으로 연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는 상기 흡입 연통로를 통하여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드레인 정화 처리부) 내의 공간과 유동적으로 연통될 수도 있다. 흡입팬이나 흡입블로워 등도 상기 기체흡입수단으로서 채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출가스 정화장치 및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에 이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를 위한 기액분리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를 위한 기액분리장치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를 위한 기액분리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를 위한 기액분리장치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를 위한 기액분리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를 위한 기액분리장치의 개략도.

Claims (6)

  1.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를 기상(氣相) 배출물(vapor phase emission)과 액상(液相) 배출물(liquid phase emission)로 분리하는 분리부 본체(310) 및 상기 분리부 본체(310)에서 분리된 액상 배출물을 배출하는 액상출구(350)를 포함하는 기액(氣液)분리부(300),
    상기 엔진과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를 연결하고, 상기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를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로 공급하는 배출통로(400),
    액상출구(350)와 유동적으로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액상출구(350)로부터 배출된 액상 배출물에 대해서 정화(淨化)처리를 실시하는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및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내의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입하여 상기 기액분리부(300)의 분리부 본체(310)에 공급하는 기체흡입수단(600, 600B, 600C, 352, 570, 570C, 570D, 6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입수단(600, 600B, 600C, 352, 570, 570C, 570D)은,
    상기 배출통로(400)를 통하여 유동하는 배출가스에 의해 벤튜리 흡입작용(venturi suction effect)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배출통로(400)에 구비된 흡입 쓰로틀(throttle) 통로(600, 600B, 600C)와,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 내의 기상공간(510c)과 상기 흡입쓰로틀 통로(600, 600B, 600C) 사이에서 연통하고 있는 흡입연통로(352, 570, 570C, 570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연통로(352)는 상기 액상출구(350)를 통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로 액상 배출물을 드레인(drain)하는 액상 드레인통로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연통로(570, 570C, 570D)는 상기 액상출구(350)를 통해 상기 배출액 정화-처리부(500)로 액상 배출물을 드레인하는 액상 드레인통로(352)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로(570, 570C, 570D)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입수단은 흡입팬(fan)(6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6. 공조회로에서 냉동싸이클을 실행하기 위해 냉매를 압축하거나 흡입하는 컴프레셔(22),
    상기 컴프레셔(22)를 구동시키는 엔진(20), 및
    상기 엔진(20)으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배출가스 정화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
KR1020080059717A 2007-06-25 2008-06-24 배출가스 정화장치 및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 KR101013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6461A JP4863085B2 (ja) 2007-06-25 2007-06-25 エンジン排ガス用浄化装置およびエンジン駆動式空気調和機
JPJP-P-2007-00166461 2007-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560A true KR20080114560A (ko) 2008-12-31
KR101013294B1 KR101013294B1 (ko) 2011-02-09

Family

ID=3973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717A KR101013294B1 (ko) 2007-06-25 2008-06-24 배출가스 정화장치 및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009257A1 (ko)
JP (1) JP4863085B2 (ko)
KR (1) KR101013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1142B2 (en) 2008-04-11 2011-11-22 General Electric Company Mixer for a combustor
TR200809852A1 (tr) * 2008-12-26 2010-07-21 Yenbu Maki̇ne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Gazların genleşmesinden yararlanılarak yapılan tüketim tasarruf sistemi.
KR200478190Y1 (ko) 2013-10-10 2015-09-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기가스 파이프의 드레인포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US10288293B2 (en) 2013-11-27 2019-05-14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nozzle with fluid lock and purge apparatus
US10451282B2 (en) 2013-12-23 2019-10-22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nozzle structure for air assist injection
CA2933539C (en) 2013-12-23 2022-01-18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nozzle with flexible support structures
KR20150073704A (ko) * 2013-12-23 2015-07-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연기관의 배기열 재활용 시스템
JP2016113920A (ja) * 2014-12-12 2016-06-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空気調和装置のドレン排水器
CN113250787A (zh) * 2020-02-12 2021-08-13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排气处理系统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07962A1 (de) * 1980-03-01 1981-09-10 Helfried Dipl.-Phys. 8021 Icking Crede Abgasreinigungsanlage
JPS60137110A (ja) * 1984-11-27 1985-07-20 Hitachi Ltd 利得制御回路
DE4303514A1 (de) * 1993-02-06 1994-08-11 Richard Vetter Einrichtung zur Verringerung des Schadstoffausstosses bei Kraftfahrzeugen
JP3511059B2 (ja) * 1994-03-24 2004-03-2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エンジン排気ガス中のドレン水処理装置
KR100271684B1 (ko) * 1997-09-04 2001-05-02 신수항 자동차 배출가스 정화 및 재순환 장치
JP4035909B2 (ja) * 1999-01-20 2008-01-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空気調和機のドレン中和器
JP4243036B2 (ja) * 2001-03-30 2009-03-25 三洋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排気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装置
JP4660311B2 (ja) * 2005-07-29 2011-03-30 三洋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排気処理装置及び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63085B2 (ja) 2012-01-25
EP2009257A1 (en) 2008-12-31
KR101013294B1 (ko) 2011-02-09
JP2009002307A (ja)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294B1 (ko) 배출가스 정화장치 및 엔진구동식 공기조화기
MXPA01011080A (es) Unidad externa de intercambio de calor, unidad externa, y bomba de calor de gas tipo aire acondicionado.
KR20150048403A (ko) 가스 히트펌프 시스템
KR100777577B1 (ko) 엔진 배기 처리 장치 및 엔진 구동식 히트 펌프 장치
JP5458717B2 (ja) 冷凍装置
AU2004264485A1 (en) Refrigeration system
CN100404978C (zh) 空气调节机
CN101113853A (zh) 燃气空调回油装置及控制方法
JP4610471B2 (ja) エンジンの排気熱回収装置
JPH06248944A (ja) エンジン駆動式熱ポンプ装置のドレン水処理装置
JP4243036B2 (ja) エンジン排気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装置
JPH11351704A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
JP4610470B2 (ja) エンジンの排気熱回収装置
JP2011047344A (ja)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装置
JP2018204906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における排気ガス処理装置
KR100565520B1 (ko) 리니어 압축기가 구비된 냉동 사이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281734B2 (ja) 冷凍装置
CN200965387Y (zh) 燃气空调回油装置
JPH11248287A (ja) ガスエンジン装置、室外機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KR200312488Y1 (ko) 일체형 에어컨
JP2010104912A (ja) 中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2010138794A (ja) 排気ガス凝縮水の中和装置及びガス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
JP2011047345A (ja) エンジン排気処理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た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装置
JP2003240364A (ja)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JP2001280740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