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542A -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542A
KR20080112542A KR1020070061068A KR20070061068A KR20080112542A KR 20080112542 A KR20080112542 A KR 20080112542A KR 1020070061068 A KR1020070061068 A KR 1020070061068A KR 20070061068 A KR20070061068 A KR 20070061068A KR 20080112542 A KR20080112542 A KR 20080112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nozzle
cleaning liquid
roller
mo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구환
박헌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1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2542A/ko
Priority to US12/056,460 priority patent/US20080316252A1/en
Publication of KR20080112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clean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41J2/16541Means to remove deposits from wipers or scraper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세척액 공급수단을 단순화할 수 있고 세척액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클리닝장치를 갖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개시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며 노즐부를 갖춘 잉크젯헤드와, 노즐부를 따라 이동하며 노즐부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장치를 포함하고, 클리닝장치는 노즐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롤러와, 노즐부를 닦는 와이퍼를 포함하며, 잉크젯헤드는 롤러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노즐과, 세척액을 수용하는 세척액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잉크젯 화상형성장치{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잉크젯헤드와 클리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클리닝장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회전부재와 일방향 회전장치 사시도로, 이동부재가 청소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이다.
도 5는 도 2의 클리닝장치 단면도로, 이동부재가 청소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이다.
도 6은 도 2의 클리닝장치 단면도로, 이동부재가 복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이다.
도 7은 도 2의 회전부재와 일방향 회전장치 사시도로, 이동부재가 복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이다.
도 8은 도 2의 이동부재가 복귀방향으로 이동할 때 회전부재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잉크젯헤드, 31: 노즐부,
34: 세척액노즐, 35: 세척액수용부,
40: 클리닝장치, 41: 회전부재,
42a~42d: 롤러, 43a~43d: 와이퍼,
44: 이동부재, 45: 안내부재,
50: 구동장치, 51: 구동벨트,
52: 구동풀리, 53: 종동풀리,
54: 구동모터, 60: 일방향 회전장치,
61: 래칫, 62: 스토퍼,
70: 걸림장치.
본 발명은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즐부를 청소하는 클리닝장치를 갖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잉크젯헤드의 노즐부로부터 기록매체로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잉크젯헤드의 노즐부에는 분사되지 않은 잉크방울이 남기 때문에 노즐부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 잉크방울이 고화될 수 있고 미세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노즐부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고화된 잉크는 잉크 분사방향을 왜곡시켜 인쇄품질을 저하시키거나 노즐의 막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는 노즐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이 필요하다. 노즐부를 클리닝하는 방법으로는 와이퍼를 갖춘 클리닝수단으로 노즐부에 고화된 잉크나 이물질을 닦아 내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노즐부에 굳은 잉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노즐부 표면을 세척액으로 적셔 고화된 잉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습식 클리닝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미국특허 6,281,909호는 잉크젯헤드의 노즐부를 습식으로 클리닝하는 클리닝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클리닝장치는 잉크젯헤드의 노즐부 하측에 배치되며 세척액이 담긴 용기와, 용기 내부의 세척액에 일부가 잠긴 상태로 회전하는 클리닝롤러를 구비한다. 이 클리닝장치는 세척액이 적셔진 클리닝롤러가 노즐표면에 세척액이 묻힘으로써 노즐표면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클리닝장치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잉크젯헤드의 노즐부 하측에 세척액이 담긴 용기를 배치해야 하고, 용기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공급수단(펌프, 세척액 공급유로, 별도의 세척액 용기 등)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기기의 구성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 이러한 방식은 세척액의 소모도 컸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액 공급수단을 단순화할 수 있고 세척액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클리닝장치를 갖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러에 의한 노즐부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클리 닝장치를 갖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노즐부를 갖춘 잉크젯헤드와, 상기 노즐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장치는 상기 노즐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롤러와, 상기 노즐부를 닦는 와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젯헤드는 상기 롤러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노즐과, 세척액을 수용하는 세척액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액노즐과 상기 세척액수용부는 상기 잉크젯헤드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잉크젯헤드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노즐부는 용지의 폭에 상당하는 주주사방향 길이를 구비하며, 상기 클리닝장치는 상기 롤러와 상기 와이퍼를 지지하며 상기 노즐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과,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액노즐은 상기 노즐부의 한쪽 단부와 근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클리닝동작을 하지 않을 때 상기 롤러가 상기 세척액노즐과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세척액노즐 쪽의 정지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장치는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방사형으 로 배치된 복수의 롤러지지부를 갖춘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각 롤러지지부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는 상기 각 롤러지지부에 설치된 복수의 와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장치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정지위치로부터 청소방향으로 주행할 때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정지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허용하는 일방향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지위치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정지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회전부재가 걸려서 소정각도 회전하도록 하는 걸림장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방향 회전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된 래칫과, 상기 래칫에 걸리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래칫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주행하며 상기 이동부재를 청소방향과 복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는 표면이 다공질 흡수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노즐부를 갖춘 잉크젯헤드와, 상기 노즐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헤드는 상기 클리닝장치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노즐과, 세척액을 수용하는 세척액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의 폭에 상당하는 주주사방향 길이를 갖춘 노즐부를 구비하는 잉크젯헤드와, 상기 노즐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과,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롤러지지부를 갖춘 회전부재와, 상기 각 롤러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각 롤러지지부에 설치된 복수의 와이퍼와, 상기 이동부재가 청소방향으로 주행할 때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노즐부가 복귀할 때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방향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용지(P)를 수용하는 급지카세트(11),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12), 화상을 인쇄하는 잉크젯헤드(30), 용지이송을 위한 이송안내부(21) 및 이송롤러들(22,23)을 갖춘 이송유닛(20), 그리고 잉크젯헤드(30)의 노즐부(31)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장치(40)를 구비한다. 픽업롤러(12)에 의해 픽업된 용지(P)는 이송유닛(20)에 의해 부주사방향(S)으로 이송된다. 잉크젯헤드(30)는 하측의 노즐부(31)로부터 용지(P)로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용 지에 화상을 인쇄한다.
잉크젯헤드(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주사방향(M)으로 긴 길이를 구비하며 본체(10)에 고정되는 어레이 잉크젯헤드이다. 하측의 노즐부(31)는 용지(P)의 폭에 상당하는 주주사방향(M)의 길이를 구비하며, 잉크를 토출하는 다수의 노즐(미도시)을 구비한다. 또 잉크젯헤드(30)는 노즐부(31)로 서로 다른 색상(예를 들면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의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잉크수용부(32C,32M,32Y,32B)를 구비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각 잉크수용부(32C,32M,32Y,32B)는 내부의 잉크유로를 통해 노즐부(31)와 연계되며, 노즐부(31) 내측에는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압력을 제공하는 토출수단(예를 들어 피에조 소자, 히터)이 마련된 잉크챔버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들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정도이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잉크젯헤드(30)의 노즐부(31)에는 분사되지 않은 잉크방울이 고착되거나 미세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클리닝장치(40)는 이러한 노즐부(31)의 표면을 클리닝함으로써 노즐부(31)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한다.
클리닝장치(4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부(31)의 청소를 위한 복수의 롤러(42a,42b,42c,42d) 및 복수의 와이퍼(43a,43b,43c,43d)가 장착된 회전부재(41), 회전부재(41)를 지지하는 이동부재(44), 이동부재(44)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45), 그리고 이동부재(45)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50)를 구비한다.
이동부재(44)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상자형태이다. 안내부재(45)는 길이가 긴 환봉 형태이고 노즐부(31)의 하측에 노즐부(31)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안내부 재(45)는 이동부재(44)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부재(44)가 노즐부(31)의 하측을 왕복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44)의 동작을 안내한다. 이러한 안내부재(45)는 노즐부(3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동장치(50)는 구동벨트(51), 구동벨트(51)의 양측을 각각 걸어서 지지하는 구동풀리(52)와 종동풀리(53), 구동풀리(5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4)를 포함한다. 구동벨트(5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재(45)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측이 이동부재(44)와 연결된다. 구동모터(54)는 복수의 감속기어(55)를 통하여 구동풀리(52)와 연결된다. 이는 구동모터(54)의 동작에 의해 구동벨트(51)가 왕복함으로써 이동부재(44)가 안내부재(45)를 따라 노즐부(31) 하측을 왕복하도록 한 것이다.
회전부재(41)는 회전축(46)에 의해 이동부재(4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부재(41)는 회전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방사형으로 연장된 복수의 롤러지지부(41a,41b,41c,41d)를 구비한다. 그리고 각 롤러지지부(41a,41b,41c,41d)에는 이동부재(44)가 노즐부(31)를 따라 주행할 때 노즐부(31) 표면으로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롤러들(42a,42b,42c,42d)이 각각 설치된다. 또 각 롤러지지부(41a,41b,41c,41d)에는 노즐부(31) 표면을 닦는 와이퍼들(43a,43b,43c,43d)이 설치된다. 각 롤러(42a,42b,42c,42d)는 후술할 세척액노즐(34)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표면이 섬유나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흡수체로 이루어진다. 각 와이퍼(43a,43b,43c,43d)는 이동부재(44)가 청소방향으로 주행할 경우를 기준으로 각 롤러(42a,42b,42c,42d)의 후방에 위치한다. 이는 롤러(42a,42b,42c,42d)로 노즐부(31)에 세척액을 공급한 상태에서 와이퍼(43a,43b,43c,43d)가 노즐부(31) 표면을 닦아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와이퍼(43a,43b,43c,43d)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마련된다.
잉크젯헤드(30)에는 롤러(42a,42b,42c,42d)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노즐(34)과, 세척액노즐(34)로 공급되는 세척액을 수용하는 세척액수용부(35)를 구비한다. 세척액노즐(34)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동작 종료 후 이동부재(44)가 구동모터(54) 상측의 정지위치에 있을 때 롤러(42a,42b,42c,42d)로 세척액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세척액노즐(34)은 잉크젯헤드(30) 하측에 마련되며 노즐부(31)의 한쪽 단부와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동부재(44)가 정지위치로 이동하면 세척액노즐(34)의 위치와 롤러(42a,42b,42c,42d)의 위치가 일치함으로써 세척액노즐(34)로부터 롤러(42a,42b,42c,42d)로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잉크젯헤드(30)는 세척액수용부(35)로부터 세척액노즐(34)로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와, 세척액노즐(34)을 통하여 세척액을 토출시키는 토출수단(예를 들면 피에조 소자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형태는 세척액노즐(34)과 세척액수용부(35)가 잉크젯헤드(30)와 일체로 마련됨으로써 잉크가 소진되어 잉크젯헤드(30)를 교환할 때 세척액노즐(34) 및 세척액수용부(35)도 함께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화성형성장치는 세척액의 보충을 위한 별도의 세척액 용기 교환작업 등이 필요치 않으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 세척액수용부(35)가 잉크젯헤드(30)와 일체로 마련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세척액 공급을 위한 수단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종래보다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하고 부피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 클리닝동작을 수행할 때만 롤러(42a,42b,42c,42d)로 세척액을 분사하듯이 공급하면 되므로 종래보다 세척액의 소모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동부재(44) 내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44)가 정지위치로부터 노즐부(31)를 청소하는 방향으로 주행할 때 회전부재(41)의 회전을 제한하고 이동부재(44)가 정지위치로 복귀할 때 회전부재(41)의 회전을 허용하는 일방향 회전장치(60)가 설치된다. 일방향 회전장치(60)는 회전부재(41)의 측면에 마련된 래칫(61), 래칫(61)에 걸리도록 이동부재(44) 내에 설치된 스토퍼(62), 스토퍼(62)를 래칫(61)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63)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방향 회전장치(60)는 회전부재(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44)가 청소방향(A)으로 주행할 때는 회전부재(41)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롤러(42a)와 와이퍼(43a)가 노즐부(31)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여 청소를 수행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44)가 복귀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회전부재(41)가 약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롤러(42a)와 와이퍼(43a)가 노즐부(31)와 이격된다.
이동부재(44)가 정지하는 위치(구동모터 상부)의 본체(10)에는 도 2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44)가 정지위치로 복귀할 때 회전부재(41)의 롤러지지부(41a)가 걸리는 걸림장치(70)가 마련된다. 걸림장치(70)는 이동부재(44)의 복귀동작에 의해 롤러지지부(41a)가 걸림장치(70)에 걸림으로써 회전부재(41)가 소 정각도 회전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 예는 롤러지지부(41a,41b,41c,41d)가 대략 90도 간격이므로 회전부재(41)가 90도 회전하도록 설정한 것이다. 이는 이동부재(44)의 복귀과정에서 회전부재(41)가 90도 회전함으로써 이미 청소를 수행한 롤러(42a) 및 와이퍼(43a)는 하부로 이동하고 새로운 롤러(42d)와 와이퍼(43d)가 다음 청소를 위해 상승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걸림장치(70)는 도 4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에 고정되는 케이스부(71), 롤러지지부(41a) 쪽으로 돌출하도록 케이스부(71)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부(72), 걸림부(72)를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케이스부(71) 내에 설치된 스프링(73)을 포함한다. 또 걸림부(72)는 회전부재(41)와 접하는 한 쪽 단부에 곡면형태의 경사부(72a)를 구비한다. 경사부(72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71)가 청소방향(A)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롤러지지부(41a,41b,41c,41d)와 접하여 걸릴 경우 걸림부(72)가 케이스부(71) 내로 진입하도록 안내한다. 이는 회전부재(41)가 청소방향으로 이동할 때 회전하지 않고서도 걸림장치(7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걸림장치(70)는 회전이 제한된 회전부재(41)가 청소방향(A)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다음은 이러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노즐부 청소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인쇄작업 후에는 노즐부(31)의 잉크 찌꺼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동작을 수행한다. 청소동작을 수행할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잉크젯헤드(30)에 마련된 세척액노즐(34)로부터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롤러(42a)로 소정량의 세척액이 분사된다. 세척액은 롤러(42a)가 충분히 적셔질 정도로 분사된다.
롤러(42a)에 세척액이 분사된 후에는 구동장치(50)의 동작에 의해 이동부재(44)가 청소방향(A)으로 이동한다. 이때 회전부재(41)는 회전이 제한된다. 그리고 걸림장치(7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72)가 회전부재(41)의 롤러지지부(41a)에 접하면서 케이스부(71)로 진입한다. 따라서 회전부재(41)는 큰 저항없이 걸림장치(71)의 위치를 통과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44)가 청소방향(A)으로 주행할 때는 롤러(42a)가 노즐부(31)와 접하므로 롤러(42a)로 공급된 세척액이 노즐부(31) 표면을 적신다. 따라서 노즐부(31)의 이물질이나 잉크 찌꺼기는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와이퍼(43a)는 이러한 상태의 이물질이나 잉크 찌꺼기를 와이핑함으로써 노즐부(31) 표면을 청소한다. 이러한 동작은 이동부재(44)가 세척액노즐(34) 쪽(정지위치)으로부터 반대편으로 이동하는 동안 지속된다.
노즐부(31) 청소를 완료한 후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50)의 역 동작에 의하여 이동부재(44)가 복귀방향(B)으로 이동한다. 이때는 복귀동작이 시작됨과 동시에 와이퍼(43a)와 노즐부(31)의 접촉에 의해 회전부재(41)에 소정의 회전력이 가해지므로 회전부재(41)는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 따라서 복귀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롤러(42a)와 와이퍼(43a)가 노즐부(31)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노즐부(31) 표면이 청소상태로 유지되고, 다수의 노즐들(미도시) 내부의 잉크는 메니스커스(meniscus)가 유지된다. 즉 다음 인쇄시 잉크토출이 용이한 상태가 된다.
복귀동작이 완료될 즈음에는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41) 의 롤러지지부(41a)가 걸림장치(70)에 걸려 회전하므로 청소를 완료한 롤러(42a)와 와이퍼(43a)가 하강하고 새로운 롤러(42d)와 와이퍼(43d)가 상승한다. 그리고 이동부재(44)가 정지위치로 완전히 이동하면, 새로운 롤러(42d)는 세척액노즐(34)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다음 청소를 할 때는 새로운 롤러(42d)와 와이퍼(43d)가 사용된다.
이처럼 회전부재(41)가 회전하면, 청소를 마친 롤러(42a)와 와이퍼(43a)는 다시 청소를 위해 이용될 때까지 한동안 사용되지 않으므로 충분한 건조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충분히 건조된 롤러(42a)는 청소를 수행할 때 세척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노즐부(31)의 청소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이전 청소과정에서 묻은 이물질이 충분히 마르기 때문에 다음 청소를 수행할 때 롤러(42a)나 와이퍼(43a)에 묻은 이물질에 의한 노즐부(31)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는 각각 4개의 롤러(42a,42b,42c,42d)와 와이퍼(43a,43b,43c,43d)를 번갈아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롤러나 와이퍼의 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롤러나 와이퍼는 각각 2개나 3개 또는 5개 이상일 수 있다.
잉크젯헤드(30)의 잉크가 소진되면, 잉크젯헤드(30)를 교체한다. 이때 본 실시 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세척액노즐(34)과 세척액수용부(35)가 잉크젯헤드(30)와 일체이기 때문에 이들도 함께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세척액노즐과 세척액수용부가 일크젯헤드와 일체이기 때문에 세척액 공급수단을 종 래보다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세척액노즐로부터 롤러로 소정량의 세척액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세척액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세척액노즐과 세척액수용부가 잉크젯헤드와 일체이기 때문에 잉크젯헤드를 교환할 때 세척액노즐 및 세척액수용부도 함께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세척액노즐과 세척액수용부가 잉크젯헤드와 일체이기 때문에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종래보다 단순화할 수 있고 부피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노즐부의 청소를 위해 복수의 롤러 및 와이퍼가 번갈아 사용되기 때문에 노즐부를 청소할 때 충분히 건조된 롤러 및 와이퍼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에 세척액이 충분히 적셔지도록 할 수 있어 노즐부의 청소효과를 높일 수 있고, 롤러나 와이퍼에 의한 노즐부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노즐부를 갖춘 잉크젯헤드와, 상기 노즐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장치는 상기 노즐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롤러와, 상기 노즐부를 닦는 와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젯헤드는 상기 롤러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노즐과, 세척액을 수용하는 세척액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노즐과 상기 세척액수용부는 상기 잉크젯헤드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용지의 폭에 상당하는 주주사방향 길이를 구비하고,
    상기 클리닝장치는 상기 롤러와 상기 와이퍼를 지지하며 상기 노즐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과,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노즐은 상기 노즐부의 한쪽 단부와 근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청소동작을 하지 않을 때 상기 롤러가 상기 세척액노즐과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세척액노즐 쪽의 정지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장치는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롤러지지부를 갖춘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각 롤러지지부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는 상기 각 롤러지지부에 설치된 복수의 와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장치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정지위치로부터 청소방향으로 주행할 때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정지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허용하는 일방향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위치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정지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회전부재가 걸려서 소정각도 회전하도록 하는 걸림장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회전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된 래칫과, 상기 래칫에 걸리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래칫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주행하며 상기 이동부재를 청소방향과 복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표면이 다공질 흡수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1. 노즐부를 갖춘 잉크젯헤드와, 상기 노즐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젯헤드는 상기 클리닝장치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노즐과, 세척액을 수용하는 세척액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2. 용지의 폭에 상당하는 주주사방향 길이를 갖춘 노즐부를 구비하는 잉크젯헤드와, 상기 노즐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노즐부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과,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롤러지지부를 갖춘 회전부재와, 상기 각 롤러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각 롤러지지부에 설치된 복수의 와이퍼와, 상기 이동부재가 청소방향으로 주행할 때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노즐부가 복귀할 때 상기 회전부재가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방향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장치는 상기 이동부재가 복귀할 때 상기 회전부재가 걸려서 회전하도록 하는 걸림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61068A 2007-06-21 2007-06-21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20080112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068A KR20080112542A (ko) 2007-06-21 2007-06-21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US12/056,460 US20080316252A1 (en) 2007-06-21 2008-03-27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068A KR20080112542A (ko) 2007-06-21 2007-06-21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542A true KR20080112542A (ko) 2008-12-26

Family

ID=4013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068A KR20080112542A (ko) 2007-06-21 2007-06-21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316252A1 (ko)
KR (1) KR200801125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8632B2 (ja) * 2010-08-31 2014-03-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
EP2620287B1 (en) 2012-01-25 2019-01-09 Neopost Technologies Wiping device for an ink jet franking machine
US9315029B2 (en) 2014-07-31 2016-04-19 Ricoh Company, Ltd. Printhead cleaning assembly
JP6572878B2 (ja) * 2016-12-21 2019-09-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575501B2 (ja) * 2016-12-22 2019-09-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858879B2 (ja) * 2017-06-13 2021-04-14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液体ディスペ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5514A (en) * 1996-11-13 1999-05-18 Hewlett-Packard Company Servicing system for an inkjet printhead
US5969731A (en) * 1996-11-13 1999-10-19 Hewlett-Packard Company Print head servic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a solid liquefiable substance
US6281909B1 (en) * 1998-09-24 2001-08-28 Eastman Kodak Company Cleaning orifices in ink jet printing apparatus
US6367905B1 (en) * 2000-06-09 2002-04-09 Eastman Kodak Company Print head cleaning assembly with roller and method for an ink jet print head with fixed gutter
TW579332B (en) * 2002-06-07 2004-03-11 Benq Corp Method for maintaining inkjet chip of an inkjet device
JP4389443B2 (ja) * 2002-12-20 2009-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ワイピングユニット、これを備えた液滴吐出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EP1674266B1 (en) * 2003-10-16 2009-01-21 Seiko Precision Inc. Inkjet printer
JP2006075687A (ja) * 2004-09-08 2006-03-23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装置、ヘッドのクリーニング方法、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096316B2 (ja) * 2004-09-29 2008-06-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79351B2 (ja) * 2005-02-28 2009-12-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765754B1 (ko) * 2005-07-04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트헤드 와이퍼, 이를 구비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보전동작 수행방법
KR20080104509A (ko) * 2007-05-28 2008-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헤드 클리닝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16252A1 (en) 200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5725B1 (en) Maintenance method for an ink-jet printhead
KR100782816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노즐부 메인터넌스 방법
JP419700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020126B2 (ja) 液体吐出装置
US7748821B2 (en) Ink-jet printer
CN108128033B (zh) 喷墨记录装置
US6679578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5515715B2 (ja) 液体噴射装置
JP2010125854A (ja) 回転ベルトを用いたペンの拭き取り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0184446A (ja) 液体吐出装置
US9592673B2 (en) Maintenance device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US20080278536A1 (en) Inkjet imag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80112542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JP422217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これに備えられた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6418207B2 (ja) 液体噴射装置
KR20100083033A (ko) 와이퍼 클리닝 기능이 개선된 잉크젯 프린터
US20050248613A1 (en) Head maintenance device and ink jet printer incorporating the same
JP6194576B2 (ja) 液体噴射装置
KR100727987B1 (ko) 하이브리드 잉크젯 헤드 및 그 잉크젯 헤드의 와이핑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3924979B2 (ja) 液体吐出装置
JP2015231729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
CN107415476B (zh) 液体喷射头的清洁装置以及液体喷射装置
JP6401967B2 (ja) 液体吐出装置
JP6170775B2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453685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