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1462A - 전동벨트 - Google Patents

전동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1462A
KR20080111462A KR1020087023970A KR20087023970A KR20080111462A KR 20080111462 A KR20080111462 A KR 20080111462A KR 1020087023970 A KR1020087023970 A KR 1020087023970A KR 20087023970 A KR20087023970 A KR 20087023970A KR 20080111462 A KR20080111462 A KR 20080111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elt
fibers
particles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 디외도네
필립 존탁
헤르브 바린
Original Assignee
허친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친슨 filed Critical 허친슨
Publication of KR2008011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04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 F16G5/0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06Driving-belts made of rubber
    • F16G1/08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2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틸렌/α-올레핀계 탄성체로 이루어진 톱니부(toothing)를 나타내며, 적어도 상기 톱니부의 측부는, 50,000 내지 200,000 그램/몰의 분자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적어도 30%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결합된 열가소성제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ribbed power transmission bel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열가소성 필름을, 비가교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상태에서 도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벨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필름, 에틸렌/α-올레핀 탄성체,

Description

전동벨트{POWER TRANSMISSION BELT}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벨트, 상세하게는, 즉, K 유형의 V-벨트 또는 V-리브 벨트(V-ribbed belt)에 관한 것이다.
가황된 고무로 구성된 상기 벨트의 리브(rib)는, 크랭크샤프트 풀리(crankshaft pulley) 및 구동 액세서리의 풀리와 직접접촉하는 면을 갖는다.
내연기관은 압축비가 증가하고(특히, 디젤엔진에 있어서), 실린더 수가 감소함에 따라 더욱 표명되는 순환성 교란 현상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순환성 교란(cyclic disturbance)은, 벨트에 상당한 기계적 스트레스를 부과한다.
이를 테면, 충전교류발전기(charging alternator)와 같은 일부 액세서리는, 순환성 교란이 증가함에 따라 상당히 증가하는 동적토크 수준을 발생시키는 고 관성(high inertias)을 나타낸다. 토크 수준에 있어서의 이러한 변동들은 그 차례대로 크게 반영되며, 실제로 벨트의 압력의 차이로 매우 크게 반영된다.
벨트의 압력수준이 너무 낮을 경우, 구동을 저지하고 잡음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히 큰 순간 미끄럼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벨트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마찰계수를 나타내야만 한다.
한편, 상기 벨트의 마찰계수가 너무 높으면, 잡음을 발생시키는 갑작스런 미끄럼(순간정지-미끄럼)에 뒤따르는 수신 풀리의 상당한 고착(sticking) 현상이 관찰될 수 있다.
세 번째의 잡음 잠재원인은 두 개 풀리의 상대적 오정렬(misalignment)이며, 이는 마찰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당히 증가하는 잡음-발생 순간정지-미끄럼 현상도 발생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또한, 경간 길이, 벨트의 치수 및 구성 물질의 성질에 따라 달라진다.
처음의 두 개 원인(과도하게 낮거나 또는 과도하게 높은 마찰계수)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하여, 크랭크샤프트(AVT) 상의 댐퍼 또는 교류발전기상의 디커플러 풀리나 프리휠과 같은 장치의 추가에 의해 압력 변동을 줄이는 것이 알려져 있다.
벨트의 평균압력수준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해결책은 상기 문제를 단지 부분적으로 해결할 뿐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해결책들이 매우 광대한 오정렬(great misalignment)을 바로 잡고, 그와 관련된 잡음 현상을 해결케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따라서, 크랭크샤프트(AVT) 상의 댐퍼 또는 교류발전기상의 디커플러 풀리나 프리휠과 같은 보조장치를 가능한 피하고, 상기 벨트와 풀리 간 부착(adhesion)을 조절하는 만족스런 해결책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도한 저 마찰계수로 인한 부적절한 동력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벨트의 톱니부에, 초고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증착함에 의해, 또는 톱니부의 상부에 만 폴리에틸렌 필름을 증착함에 의해((PCT 출원 WO 2004/011822), 접촉 잡음을 제한하는 프로비젼(provision)이 프랑스 특허출원 FR 2 210 251에 만들어졌다.
양쪽의 사례에서, 연속성 필름에 의해, 절단(shear) 및 굽힘/역굽힘 응력이 경험되었으며, 이는 상기 필름이 균열 및 분리에 의해 손상되게 하고, 불충분한 코팅 시간을 가지게 한다.
또, 미국특허 US 4 024 773, US 4 031 768 또는 US 4 892 510의 사례에서, 이를 테면 흑연으로써, 필러 형태의 물질을 톱니부에 결합하는 프로비젼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필러들은 톱니부의 중합체와의 충분한 결속(bonding)없이 결합되었으며, 이는 미끄럼 접촉 동안 필러 성분이 벗겨지고, 고무/필러 러빙(filler rubbing)이 방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필러가 벗겨져 나간 결과, 분리 개시가 용이해지고, 상기 탄성체가 국소적으로 약화된다.
따라서, 형성된 표면에 증착된 물질은 벨트의 수명기간 동안 충분히 안정적인 마찰계수를 보장하기에 충분히 강력한 부착성을 갖지는 않는다. 마모로 인해, 마찰계수는 서서히 증가하고, 잡음현상이 점진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잡음현상에 대해 성능이 향상된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틸렌/α-올레핀계 탄성체, 특히, EPDM 또는 EPM로 이루어진 톱니부를 나타내며, 적어도 상기 톱니부의 측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적어도 30%, 이를 테면,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30% 및 90%, 상세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50% 내지 90% 및 더 상세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80% 내지 90% 포함하는 열가소성제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드 전동벨트(ribbed power transmission belt)에 관한 것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50,000 그램/몰 내지 200,000 그램/몰, 더 상세하게는, 50,000 그램/몰 내지 150,000 그램/몰 및 바람직하게는 50,000 그램/몰 내지 100,000 그램/몰의 분자량을 갖는다. 특히, 상기 필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결합된 폴리올레핀의 혼합물 또는 폴리에틸렌계 공중합체, 상세하게는, 에틸렌/옥텐-폴리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이를 테면, 10㎛ 내지 500㎛ 및 더 상세하게는, 50㎛ 내지 200㎛의 두께를 나타낸다.
상기 필름은, 그 위에 정전하 축적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전도성을 주는 것을 가능케 하는 카본블랙 입자로 형성된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이롭게도, 흑연 또는 이황화몰리브덴(molybdenum disulfide)으로 형성되며, 및/또는 플루오린(특히, PTFE 및/또는 FEP 및/또는 PFA 및/또는 PVDF)을 포함하는 입자 및/또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그의 미끄럼 특성을 강화시키게 한다.
적어도 일부 입자 및/또는 섬유는, 비스코스 및/또는 폴리아미드, 더 상세하게는, 아라미드 섬유,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이미드 및/또는 폴리설폰 및/또는 폴리에테르설폰 및/또는 폴리에테르이미드 및/또는 폴리옥시메틸렌 및/또는 폴리에테르케톤(PEK, PEKK, PEEK 등) 및/또는 아크릴 섬유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자의 입자 크기 또는 상기 섬유 길이(L)는, 15㎛ 내지 200㎛, 상세하게는, 30㎛ 내지 100㎛ 및 더 상세하게는, 30㎛ 내지 90㎛가 될 수 있다. 상기 섬유 길이 대 직경의 가로세로의 비(aspect ratio)(L/d)는, 1 내지 100, 특히, 1 내지 50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벨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열가소성 필름을, 비가교 또는 적어도 부분 가교된 상태(이를 테면, 20%이상의 교차결합정도로)에서 톱니고무 표면(toothing rubber surface)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도포(application)는, 이롭게도 상기 벨트의 하이드라몰드(Hydramold) 및 가황에 있어서의 성형에 의해 톱니부의 형성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벨트의 가황 동안(대략 180℃에서)에 필름 구조의 변화가 오며, 특히, 첫 번째 사례에서는 비교차결합된 필름의 부분적 교차결합이, 두 번째 사례에서는 부분적으로 교차결합된 필름의 교차결합 정도가 증가하는 결과가 나온다. 그러나, 상기 필름이 가황 중에 가교가능하다면, 이는 이를 테면, 과산화물과 함께 실행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벨트의 톱니부에 대한 필름의 매우 우수한 부착성의 이점을 가지고, 상기 필름과 벨트 톱니부의 탄성체(특히, EPDM 또는 EPM) 사이에 공가교(cocrosslinking)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이를 테면, 에틸렌/α-올레핀 족의 탄성체, 이를 테면, EPDM 또는 EPM으로 이루어지고, 측부(3) 및 꼭짓점(4)를 갖는 하나 이상의 톱니(teeth)(1)을 나타내는 벨트를 도시한다. 도면부호(10)은, 톱니(1)의 표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여, 50,000 그램/몰 내지 200,000 그램/몰, 더 상세하게는, 50,000 그램/몰 내지 150,000 그램/몰 및 바람직하게는 50,000 그램/몰 내지 100,000 그램/몰의 분자량을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적어도 30%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 교차결합된 열가소성제로 이루어진 필름(2)으로 구성된 코팅이, 적어도 상기 톱니(1)의 측부(3)의 표면(10)에 형성된다.
제조방법의 실시예에 의하여, 비교차결합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결합된 열가소성제의 필름이, 블랑크(blank)의 톱니고무를 구성하는 미가류상태(raw state)에서 시트 외부면에 위치된다. 상기 필름은, 가교 동안에 상기 필름과 톱니고무 간의 화학 친화성으로 인한 부착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완전히 가교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의 가황 및 톱니의 압입(indenting)을 가져오도록, 조립품은 하이드라몰드에 놓여진다. 가황 후에 상기 필름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교차결합되어, 상세하게는, 50% 내지 100%의 교차결합도(degree of crosslinking)를 나타내며, 이는 톱니고무의 생시트(raw sheet)(11)상에 위치된 필름의 것보다 크다.
틀(mold)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블랑크(blank)는 개별 벨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리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결합된 열가소성제 시트와 가황된 톱니고무 사이에서, 현저한 부착성이 발견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결합된 열가소성제 필름은, 특히 폴리올레핀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결합된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이다. 교차결합정도는 필름의 기계적 특성을 조절하고, 특히, 그의 영률(Young's modulus: 강성도를 특징하는)뿐 아니라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필름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이를 테면, 상기 폴리에틸렌을 50% 내지 90%,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폴리에틸렌을 80% 내지 90%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이 되는 것이 유익하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과산화물 또는 기타 가교제(crosslinking agent) 및 선택적으로, 상기 벨트의 톱니부가 구성되는 에틸렌/α-올레핀으로 일체형 부착물을 생성하고, 상기 톱니부의 탄성체에 대한 필름의 부착성을 강화하는 필름 매트릭스의 존재에 의해, EPDM 또는 EPM으로 공가교(cocrosslink)한다. 또, 상기 톱니부의 탄성체에 존재하는 에틸렌 블록(이를 테면, EPDM)을 갖는 폴리에틸렌의 우수한 호환성은 상기 두 층의 부착성을 증진시킨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약 0.94 g/cm3까지)이 선택되며, 이는 벨트의 톱니를 구성하는 고무의 기계적 특성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상기 필름(2)은, 백러버(back rubber)의 시트(12)에 일체하는 톱니고무의 생시트(11)상에 위치하는 경우, 헬리컬 코일 보강 코드(14)(도 3a)를 나타내며, 이를 테면, 10㎛ 내지 500㎛ 및 더 상세하게는 50㎛ 내지 200㎛의 두께를 나타낸다.
톱니부(21)를 나타내는 하이드라몰드(20)로 통과하고, 벨트의 과산화물을 가지고 가황으로 톱니(1)의 형성 후, 상기 필름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교차결합하여 오더 100%의 평범한 드로윙(drawing)되며, 이는 그의 두께가 5㎛ 내지 250㎛, 더 상세하게는 25㎛ 내지 100㎛ 사이에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100㎛ 필름은, 약 50㎛ 두께를 가지는 톱니부 코팅을 완성 벨트 상에 제공한다.
도 2a 및 2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저밀도 폴리에틸렌(곡선Ⅱ)계 필름은 기계방향으로의 항복점(yield point)을 나타내지 않는다. 항복점의 존재는 곡선의 굴곡 후에 음의 경사 영역에 의해 반영된다. 이는 상기 기계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항복점을 나타내지만, 이러한 항복점은 다른 두 개의 필름에서 더 적게 표명된다.
사실상, 벨트의 가황 단계 동안에 상기 필름의 특성은 변경되며, 이는 감소로 결과되며, 실제로 항복점의 소멸 및 상기 필름의 계수 값의 감소를 초래한다(더욱 유동적이게 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필름을 사용한 상기 방법의 이점은 따라서, 구체적으로는, 하이드라몰드에 있어서 톱니의 형성 동안, 상기 필름이 100% 신장되는 횡방향으로의 항복점을 소거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가황된 벨트의 톱니를 코팅하는 상기 필름의 존재는, 잡음현상을 줄이고,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결합된(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필름이 마모에 의해 매우 우수한 내마모성을 나타냄으로써 시간이 지나도 이러한 이점을 유지케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파우더 형태의 카본 블랙과 같은 첨가제를,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결합된 열가소성 필름에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상기 벨트의 표면상에 정전하 축적 현상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전도성을 주게 한다.
상기 벨트의 미끄럼계수는, 상기 필름에서, 흑연 또는 이황화몰리브덴(molybdenum disulfide)의 입자 및/또는 섬유, 및/또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또는 FEP(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및/또는 PVDF(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또는 PFA(퍼플루오로알콕시)와 같은 플루오린을 포함하는 입자 및/또는 섬유(플루오로섬유)를 결합함에 의해 증진될 수 있으며, 이는 잡음 감소에 유익하다.
필름에서,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이미드 및/또는 폴리아미드, 바람직하게는, 아라미드 섬유, 및/또는 대안적으로는 비스코스 및/또는 폴리설폰(PSU) 및/또는 폴리에테르설폰(PES) 및/또는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및/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M)으로 이루어진 입자 및/또는 섬유, 및/또는 대안적으로 아크릴 섬유(PAN) 및/또는 폴리에테르케톤 족의 입자 및/또는 섬유를 결합하는 것이 특히 유익하다.상기 폴리에테르케톤 족은, 상세하게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테르케톤케톤(PEKK) 및 폴리에테르케톤(PEK)을 포함한다.
상기 필름 내 있어서의 입자 및/또는 섬유의 결합은, 마모에 직접노출되는 섬유를 갖는 플록가공된(flocked) 종래의 제품에 비해 내마모성을 현저히 증가시킨다.
입자 및/또는 섬유는, 상기 섬유의 제조 동안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은 하이드라몰드(20)에 있어서 가황 단계 이전에, 이를 테면, 분사(spraying)에 의해, 필름의 표면에서 상기 입자 및/또는 섬유(6)를 증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벨트의 가황 동안, 필름(2)은 가열되어, 톱니를 형성하도록 변형되며, 상기 입자 및/또는 섬유(6)는 상기 벨트 외부로의 돌출 없이, 필름(20)의 바디에서 결합된다.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결합된 열가소성 필름은, 일반적으로 탄화수소의 존재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가교성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EPDM 또는 EPM으로 이루어진 벨트를 위하여, 단일 중합체 또는 에틸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교차결합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익하다.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특히, 에틸렌/α-올레핀(EAO) 공중합체,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레이트/아크릴 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 산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용어 "공중합체"가 2개 이상 유형의 단량체로부터 결과된 중합체를 포함하며, 따라서, 터폴리머(terpolymer)를 포함하는 것임을 인지하여야 한다.
상기 필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교차결합 방법이 존재한다.
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교제(과산화물, 실란 등) 및 적어도 하나의 활성 조건(열, 압력 및/또는 방사선에 대한 노출)을 이용하는 화학적 교차결합.
화학적 교차결합은, 특히, SBS 또는 SIS와 같은 폴리에틸렌 및 TPE를 위해, 또는 대안적으로 염화 폴리에틸렌(CM 또는 CPE) 또는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CSM)을 위해, 110℃ 내지 220℃에서 이를 테면, 과산화물을 사용하여 실행된다.
교차결합의 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필름을 위해 사용된 혼합물에, 특히, 아크릴레이트(이관능성 아크릴레이트 DA, 삼관능성 아크릴레이트 TA), 메타크릴레이트(이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 DMA 또는 삼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 TM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TMPTMA) 또는 시아누레이트(cyanurate)(트리아릴 이소사이아누레이트:TAIC) 군 또는 대안적으로 PB(1,2-비닐폴리부타디엔) 또는 mPDM(N,N'-m-페닐렌디말이미드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2) 가교제가 사용될 수도 혹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는, 조사(irradiation)에 의한 교차결합(전자 빔, 엑스레이,
Figure 112008068725055-PCT00001
레이 또는 β- 레이). 상기 전자들을 위하여, 에너지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4 eV와 동일하다.
조사에 의한 교차결합을 위하여, 이를 테면, 0℃ 내지 60℃의 온도 및 바람직하게는, 대기온도(20℃)에서 10 kGray 내지 300 kGray의 선량(dose)이 사용된다.
교차결합의 정도는, 이를 테면, 표준 ASTM D 2765-95에 따라, 특히, 겔 함량을 측정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겔 함량(%으로)을 측정하는 다른 실험은, 수지의 가교된 단편(겔)을 용해하지 않는 용매 내에서 비가교된 단편을 용해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얻어진 비율은, 수지의 총 중량에 대한 불용성(교차결합된) 단계의 일부이다.
다른 방법은, 표준 ASTM D 1238-98에 따라,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를 측정하는 것이다.
비교예 시험
시험유형 (표준) 조건 측정 특징 플록가공된 표준 EPDM 벨트 UHMW PE 필름을 가진 벨트 본 발명에 의한 PE 필름을 가진 벨트
디젤엔진 4개 실린더 디젤엔진, 작동 액세서리, 아이들링 균열 수명 (h) 800 65 1200
내열성 (SAE J2432A) 121℃/ 20 Sm/K6 수명 (h) 600 910 920
잡음 성질 (SAE J2432A) 25℃/50% RH 잡음도의 출현 각도(°) ±2 ±4.5 ±4.5
시험된 본 발명에 의한 PE 필름을 가진 EPDM 벨트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인 폴리에틸렌-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플라스토머 필름을 포함한다.
SAE J2432A에 의해 측정된 각도는, °로 표현되는 오정렬 각도(misalignment angle)이다. 정접(tangent)으로서, 비오정렬 경간(span) 길이(L)에 대한 풀리들 간의 의 축 오정렬 비율(a)(mm 의)을 갖는 각도(각도= Arctg (a/L)) 이다.
상기 시험은 축 오정렬을 적용하고, 잡음도가 나타나는 오정렬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에 있다. 각이 커질수록, 더 좋은 결과가 나온다.
실시예: 두 개의 시험 풀리들 간의 비오정렬(nonmisaligned) 경간 길이(L):80mm; 잡음도 출현을 위한 축 오정렬(a)=6.3mm;
각 = Arctg (6.3/80) = 4.5°.
본 발명은 도면의 설명을 독해함으로써 이해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K 유형의 차량 벨트를 도시하며,
도 2a 및 2b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곡선Ⅰ), 저밀도 폴리에틸렌(곡선Ⅱ) 및 중밀도 폴리에틸렌(곡선Ⅲ) 각각의 세 개 폴리에틸렌계 열가소성 필름의 돌출방향, "기계방향"(도 2a) 및 상기 돌출방향과 수직하는 횡방향에서의 인장 시험 각각을 나타내며, 및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도시한다.

Claims (20)

  1. 에틸렌/α-올레핀계 탄성체로 이루어진 톱니부(toothing)를 나타내며, 적어도 상기 톱니부의 측부는, 50,000 내지 200,000 그램/몰의 분자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적어도 30%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결합된 열가소성제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ribbed power transmission belt).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50,000 내지 150,000 그램/몰 및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100,000 그램/몰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제의 교차결합도는 5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30% 내지 90% 및 특히,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50% 내지 9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75% 내지 9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상세하게는, 에틸렌/옥텐-폴리에틸렌계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탄성체는, EPDM 또는 E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10㎛ 내지 500㎛, 더 상세하게는, 50㎛ 내지 200㎛의 두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카본 블랙의 입자로 형성된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에, 삽지되는(embeded) 입자 및/또는 섬유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입자 크기를 가지며, 및/또는 상기 섬유가 15㎛ 내지 200㎛, 특히, 30㎛ 내지 100㎛, 더욱 상세하게는, 30㎛ 내지 90㎛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섬유는 1 내지 100의 가로세로 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 입자 및/또는 섬유는, 흑연 및/또는 이황화몰리브덴(molybdenum disulfide)로 이루어지고, 및/또는 플루오린을 포함하며, 특히, PTFE 및/또는 FEP 및/또는 PFA 및/또는 PVDF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
  14. 제 11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 입자 및/또는 섬유는, 비스코스 및/또는 폴리아미드, 더욱 상세 하게는, 아라미드 섬유,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이미드 및/또는 폴리설폰 및/또는 폴리에테르설폰 및/또는 폴리에테르이미드 및/또는 폴리옥시메틸렌 및/또는 폴리에테르케톤 및/또는 아크릴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 전동벨트.
  15. 비가교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상태에서, 열가소성 필름을, 톱니고무 표면(toothing rubber surface)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전동벨트의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가, 상기 벨트의 하이드라몰드(Hydramold) 및 가황에 있어서의 성형에 의해 톱니부를 형성하기 전에, 미가류상태(raw state)에서 톱니고무 상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벨트의 제조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및/또는 섬유가, 비가교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상태에서 상기 필름 내에서 결합되는(incorpora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벨트의 제조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및/또는 섬유가, 비가교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된 상태에서 상기 필름의 표면에 증착되고, 하이드라몰드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가황 중의 후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벨트의 제조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 입자 및/또는 섬유는, 흑연 및/또는 이황화몰리브덴(molybdenum disulfide)로 이루어지고, 및/또는 플루오린을 포함하며, 특히, PTFE 및/또는 FEP 및/또는 PVDF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벨트의 제조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 입자 및/또는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이미드 및/또는 폴리아미드, 더욱 상세하게는, 아라미드 섬유, 및/또는 비스코스 및/또는 폴리설폰 및/또는 폴리에테르설폰 및/또는 폴리에테르이미드 및/또는 폴리옥시메틸렌 및/또는 폴리에테르케톤 및/또는 아크릴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벨트의 제조방법.
KR1020087023970A 2006-03-03 2007-03-01 전동벨트 KR200801114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1923A FR2898171B1 (fr) 2006-03-03 2006-03-03 Courroie de transmission de puissance.
FR0601923 2006-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462A true KR20080111462A (ko) 2008-12-23

Family

ID=3727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970A KR20080111462A (ko) 2006-03-03 2007-03-01 전동벨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62522B2 (ko)
EP (1) EP1996831B1 (ko)
JP (1) JP5191400B2 (ko)
KR (1) KR20080111462A (ko)
BR (1) BRPI0708532B1 (ko)
ES (1) ES2402421T3 (ko)
FR (1) FR2898171B1 (ko)
WO (1) WO200709923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998A (ko) * 2012-01-11 2014-09-16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마찰 전동 벨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벨트 전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3494B1 (fr) * 2007-11-09 2010-01-15 Hutchinson Membranes imper-respirantes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DE102008012044A1 (de) * 2008-03-01 2009-09-03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Elastischer Artikel, insbesondere Antriebsriemen, mit einer Folienschutzschich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FR2936291B1 (fr) * 2008-09-23 2011-06-03 Hutchinson Courroie de transmission de puissance.
DE102011002274A1 (de) 2011-04-27 2012-10-31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Elastischer Artikel, insbesondere Antriebsriemen, mit einer Beschichtung in Form eines Vlieses aus einem schmelzbaren Kunststoff
DE102011050483A1 (de) 2011-05-19 2012-11-22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Antriebsriemen mit einem Verstärkungsband oder einem Verstärkungsgeflecht oder mit zonenweise angeordneten Verstärkungselementen innerhalb des Unterbaus
JP5926543B2 (ja) * 2011-11-25 2016-05-25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1056071A1 (de) 2011-12-06 2013-06-06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Verfahren zur Oberflächenbeschichtung eines Artikels, insbesondere eines Keilrippenriemens, sowie Vorrichtung hierzu
KR101516934B1 (ko) 2011-12-14 2015-05-04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마찰 전동 벨트 및 그 제조방법
DE102012208091A1 (de) 2011-12-16 2013-06-20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Elastischer Artikel, insbesondere Antriebsriemen
JP5881409B2 (ja) * 2011-12-26 2016-03-09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伝動ベルト
JP5956162B2 (ja) * 2012-01-16 2016-07-27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EP2664645B1 (de) 2012-05-15 2018-01-17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Elastischer artikel, insbesondere antriebsriemen, mit einer beschichtung
FR2996617B1 (fr) 2012-10-08 2014-12-26 Hutchinson Courroie de transmission de puissance avec film thermoplastique comprenant un elastomere silicone.
JP6059111B2 (ja) * 2012-10-31 2017-01-11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
DE102012112637A1 (de) 2012-12-19 2014-06-26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Elastischer Artikel, insbesondere Antriebsriemen
DE102014210707A1 (de) 2014-06-05 2015-12-17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Elastischer Artikel, insbesondere Keilrippenriemen
DE102014008622A1 (de) * 2014-06-17 2015-12-17 Arntz Beteiligungs Gmbh & Co. Kg Kraftübertragungsriemen mit einer Polyethylen-Beschichtung
CA2985190C (en) 2015-05-11 2019-10-01 Gates Corporation Cvt belt
JP6480392B2 (ja) * 2015-09-29 2019-03-06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Vリブド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057202A1 (ja) * 2015-09-29 2017-04-06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Vリブド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FR3042246B1 (fr) 2015-10-09 2018-03-23 Hutchinson Courroie de transmission de puissance avec film thermoplastique comprenant un elastomere silicone et des nanotubes de carbone
JP6348133B2 (ja) * 2016-01-22 2018-06-2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126324A1 (ja) 2016-01-22 2017-07-2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348136B2 (ja) * 2016-03-23 2018-06-2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10514083B2 (en) * 2016-08-16 2019-12-24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Cross-linked elastomeric low friction faced synchronous power transmission belt
DE102016116558A1 (de) * 2016-09-05 2018-03-08 Arntz Beteiligungs Gmbh & Co. Kg Kraftübertragungsriemen
US10708700B1 (en) 2019-06-11 2020-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external speaker system
JP7323560B2 (ja) * 2021-01-29 2023-08-08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7277A (en) * 1959-01-02 1963-01-30 Dunlop Rubber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dustrial belting
ZA738857B (en) 1972-12-08 1974-10-30 Uniroyal Inc Toothed bel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964328A (en) * 1973-09-07 1976-06-22 The Gates Rubber Company Elastomer-free fabric surface for power transmission belt tooth facing
US4024773A (en) 1976-06-01 1977-05-24 Dayco Corporation Endless power transmission belt structure
US4031768A (en) 1976-06-18 1977-06-28 Dayco Corporation Endless power transmission belt structure
US4392842A (en) * 1980-10-10 1983-07-12 Uniroyal, Inc. Toothed positive drive power transmission belt with a fabric reinforcement suspended within the belt teeth
US4892510A (en) 1985-03-04 1990-01-09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V-ribbed belt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630449B1 (en) * 1992-03-02 1997-05-07 Dayco Products, Inc. Belt construction formed mainly of thermoplastic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1163116A (ja) * 1997-08-21 1999-03-05 Izumi Kk ポリオレフィン含有フィルム積層ベルト
US6770004B1 (en) * 1999-03-26 2004-08-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lectrically conductive timing belt
DE10081019B4 (de) * 1999-04-13 2010-04-08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autschukzusammensetzung
US6409621B1 (en) * 2000-05-12 2002-06-2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ower transmission belt
IT1320359B1 (it) * 2000-05-23 2003-11-26 Dayco Europe Srl Cinghia dentata.
US6443866B1 (en) * 2000-08-14 2002-09-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ower transmission belt
JP3582486B2 (ja) * 2000-12-22 2004-10-27 油化電子株式会社 成形部材、エンドレスベルト、画像形成装置用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195353A (ja) * 2000-12-26 2002-07-10 Mitsuboshi Belting Ltd 高負荷伝動ベルト
CN100447447C (zh) * 2001-04-12 2008-12-31 盖茨公司 有热塑性塑料蒙皮的传动带
JP2002321228A (ja) * 2001-04-26 2002-11-05 Mitsuboshi Belting Ltd ベルトスリーブの加硫用ジャケット
JP2003222195A (ja) * 2002-01-28 2003-08-08 Mitsuboshi Belting Ltd 歯付ベルト
US20040018906A1 (en) * 2002-07-29 2004-01-29 Sedlacek Douglas R. Belt
US7025699B2 (en) * 2003-04-23 2006-04-11 Dayco Products, Llc Elastomer composition for power transmission belt tooth facing
EP1696150A1 (en) * 2005-02-28 2006-08-30 Megadyne S.r.l. Toothed belt
JP4683470B2 (ja) * 2005-04-15 2011-05-18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998A (ko) * 2012-01-11 2014-09-16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마찰 전동 벨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벨트 전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62522B2 (en) 2012-09-11
EP1996831B1 (fr) 2013-01-16
US20080207371A1 (en) 2008-08-28
JP5191400B2 (ja) 2013-05-08
FR2898171A1 (fr) 2007-09-07
BRPI0708532B1 (pt) 2019-03-19
EP1996831A2 (fr) 2008-12-03
WO2007099233A2 (fr) 2007-09-07
WO2007099233A3 (fr) 2007-10-18
BRPI0708532A2 (pt) 2011-05-31
ES2402421T3 (es) 2013-05-03
FR2898171B1 (fr) 2009-02-27
JP2009533606A (ja)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1462A (ko) 전동벨트
US7244207B2 (en) Frictional forced power transmission belt and belt drive system with the same
JP6466166B2 (ja)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616852B2 (ja) 伝動ベルト
WO2006057129A1 (ja) Vリブドベ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の補機駆動用ベルト伝動装置
CN109477548B (zh) 传动用v带
WO2013105191A1 (ja)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ベルト伝動装置
WO2018155722A1 (ja) 伝動ベルト
JP5926543B2 (ja)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11300178B2 (en) Friction drive belt
WO2006001408A1 (ja) 伝動ベルト
JP6795466B2 (ja) 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073040B (zh) 摩擦传动带
JPH10238596A (ja) 伝動用vベルト
EP3396201A1 (en) Friction drive belt
JP6676725B2 (ja) 摩擦伝動ベルト、そのためのコード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CN108884907B (zh) 摩擦传动带
EP3444500B1 (en) Friction transmission belt
JP6486156B2 (ja) 歯付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179690A1 (ja) 摩擦伝動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