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1071A -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자발광 표시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자발광 표시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1071A
KR20080111071A KR1020087025378A KR20087025378A KR20080111071A KR 20080111071 A KR20080111071 A KR 20080111071A KR 1020087025378 A KR1020087025378 A KR 1020087025378A KR 20087025378 A KR20087025378 A KR 20087025378A KR 20080111071 A KR20080111071 A KR 20080111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display area
highlight
highligh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쓰시 오자와
미쓰루 타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28Gradation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표시 콘텐츠에 연동해서, 표시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와 크기가 강조 표시영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그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 부분에 대해서만, 그 영역 부분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적극적으로 저하시킴과 동시에 화질을 강조 표시영역에 비해 적극적으로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시인성과 저소비전력화를 확실히 양립시킬 수 있다.
표시장치, 전력, 화질, 프로그램

Description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자발광 표시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PER-REGION DISPLAY QUALITY CONTROL DEVICE, SELF-LUMINOUS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발명은, 소비 전력을 배려하면서 임의로 지정된 영역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때, 발명자들이 제안하는 발명은,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자발광 표시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측면을 가진다.
선택된 표시영역(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강조 표시영역」에 대응한다.)의 화상을 강조해서 표시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기간 이상 계속된 경우에, 휘도 저하, 축소 표시, 표시 정지, 전원정지의 순으로 동작 모드를 이행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평8-320679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0-242255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을 적용할 경우, 동시에 소비 전력도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은,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지만, 일정하게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기존의 기술에서는, 시인성과 소비 전력 중 한쪽밖에 확실히 개선할 수 없고, 시인성과 저소비 전력화를 확실히 양립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따라서, 발명자들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표시 콘텐츠에 연동하여, 표시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와 크기가 강조 표시영역으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 그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 부분에 대해서만, 그 영역 부분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적극적으로 저하시킴과 동시에 화질을 강조 표시영역에 비해서 적극적으로 저하시키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 때, 강조 표시영역에 비해서 기타 영역 부분의 화질을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다른 표시영역 부분의 화면휘도를 일정하게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조 표시영역에 비해서 기타 영역 부분의 화질을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기타 영역 부분만 원화상 데이터 중 일부의 컬러 정보만을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발명자들이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강조 표시영역과 기타 영역 부분과의 돋보임 차이를 이용해서 강조 표시영역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동시에,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 부분은, 소비 전력이 적극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표시 디바이스 전체로서의 소비 전력을 확실히 저감할 수 있다. 즉, 시인성과 저소비 전력화를 양립할 수 있다.
도 1은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 구성예(형태예 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감마 변환에 의한 감마특성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능을 실행했을 경우의 표시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능을 실행했을 경우의 표시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강조 표시영역과 비강조 표시영역의 감마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능을 실행했을 경우의 표시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능을 실행했을 경우의 표시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능을 실행했을 경우의 표시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d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능을 실행했을 경우의 표시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e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능을 실행했을 경우의 표시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f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능을 실행했을 경우의 표시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 구성예(형태예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감마 변환 전의 감마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감마 변환 어의 강조 표시영역과 비강조 표시영역의 감마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 구성예(형태예 3)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각 화소의 구동회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점등 기간의 가변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전원전압의 제어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화면휘도의 조정에 연동한 감마 변환에 따르는 감마특성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화면상에서 확인되는 강조 표시영역과 비강조 표시영역의 감마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능을 실행했을 경우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b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능을 실행했을 경우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 구성예(형태예 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강조 표시영역과 비강조 표시영역의 감마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기능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기능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기능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는 강조 표시영역의 다른 지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b는 강조 표시영역의 다른 지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표시 모듈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전자기기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전자기기 상품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a는 전자기기 상품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b는 전자기기 상품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전자기기 상품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a는 전자기기 상품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b는 전자기기 상품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전자기기 상품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발명에 따른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술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때, 본 명세서에서 특히 도시 또는 기재되지 않는 부분에는, 해당 기술분야의 주지 또는 공지기술을 적용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형태예는, 발명의 하나의 형태예이며,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형태예 1
여기에서는, 강조시키고 싶은 영역(강조 표시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해서만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방향으로 화상처리를 가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에 의해, 표시 패널 전체의 소비 전력 삭감과 영역 간의 돋보임 차이(휘도차이 및 색감차이)의 확대를 실현한다. 즉, 강조 표시영역의 화질을 변경하지 않고, 강조 표시영역의 시인성을 높이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A-1) 시스템 구성
도 1에, 이 종류의 화상처리기능을 탑재하는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게시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1)는, 유기EL 패널모듈(3)과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부(5)로 구성된다.
유기EL 패널모듈(3)은, 3종류의 기본 원색(R, G, B)으로 구성되는 표시상의 1화소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된 표시 디바이스다. 개개의 기본 원색은, 유기EL 발광소자가 발생한다.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부(5)는, 비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01), 화질선택 부(503) 및 화질전환 제어부(505)로 구성한다.
비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01)는,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비강조 표시영역)용에 소비 전력과 화질을 모두 크게 저하시키는 화상변환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디바이스다.
화질조정 파라미터는, 소비 전력을 저하할 수 있고, 또한, 화상의 내용을 조금이라도 시인할 수 있는 정도까지 저하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파라미터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휘도, 콘트라스트, 색상, 색조, 기타 여러 가지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형태예에서는, 계조값과 휘도값의 대응관계를 주는 감마특성을 변경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감마 변환은, 상당히 간이할 뿐만 아니라, 큰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유는, 휘도를 크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비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01)는, 전체 화소를 감마 변환의 대상영역으로 한다.
도 2에, 본 형태예에서 채용하는 감마 변환 동작을 나타낸다. 도 2는, 감마 변환 전의 감마특성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감마 변환 후의 감마특성을 실선으로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형태예에 있어서의 비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01)는, 감마 커브의 특성은 그대로 두고(감마값은 바꾸지 않고), 계조값에 대응시키는 휘도 레벨을 전체적으로 저하시키는 방법을 채용한다.
화질선택부(503)는, 입력 화상 데이터와 감마 변환된 입력 화상 데이터의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처리 디바이스다. 선택 동작은 화소단위로 실행한 다.
화질전환 제어부(505)는, 화질선택부(503)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전환동작을 제어하는 처리 디바이스이며, 강조 표시영역에서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선택을 지시하고, 그 외의 영역에서는 감마 변환된 입력 화상 데이터의 선택을 지시한다.
이 때, 강조 표시영역을 특정하는 정보는, 강조 표시영역의 위치를 주는 정보(예를 들면, 기점위치의 화소좌표)와 크기를 주는 정보(예를 들면, 수평방향의 화소수와 수직방향의 화소수)로 구성된다. 강조 표시영역을 특정하는 정보는, 콘텐츠 표시에 연동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주어진다.
즉, 여기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우선도가 높은 정보가 기재된 영역, 주목도가 높은 정보가 기재된 영역, 이용 빈도가 높은 정보의 기재된 영역, 기타를 표시 콘텐츠에 연동해서 지정하는 기능을 탑재하는 것으로 한다.
(A-2) 강조 표시 동작
도 3a 및 도 3b에,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능을 실행했을 경우의 표시 이미지 예를 게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사진 등을 일람 형식으로 섬네일 표시할 경우의 표시 이미지다. 도 3a 및 도 3b는, 수평방향에 2개, 세로방향에 3개의 섬네일 화상을 일람적으로 표시할 경우를 나타낸다.
도 3a는, 원화상의 이미지다. 즉, 입력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표시했을 경우의 이미지다.
도 3b는, 오른쪽 아래의 섬네일 화상이 강조 표시영역으로 선택되었을 경우의 표시예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 부분 은 대폭 휘도가 저하된다.
이 휘도차이에 의해, 강조 표시영역은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경우와 같이 상대적으로 강조되어서 표시된다.
도 4에, 강조 표시영역과 비강조 표시영역의 휘도관계를 나타낸다. 도면 중, 강조 표시영역의 감마특성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비강조 표시영역의 감마특성을 실선으로 나타낸다.
비강조 표시영역은, 전체적으로 휘도 레벨이 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저계조영역에 있어서의 계조의 재현성은 다소 손상되게 된다. 다만, 기본적인 계조관계는 유지되기 때문에(감마값을 변경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보인다. 또한 비협조 표시영역은, 화면휘도가 어두워지므로 화질이 문제되지 않는다.
이 때, 유기EL패널 모듈(3)을 구성하는 유기EL 발광소자는, 자발광 표시소자이므로, 발광 휘도가 낮을수록 소비되는 전력도 저하된다. 따라서, 비강조 표시영역을 저휘도로 표시하는 것 자체가 소비 전력을 확실히 저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소비 전력의 삭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감마 변환의 정도를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감마 변환에 의한 휘도 저하가 지나치게 크면, 비강조 표시영역에 존재하는 화상의 내용을 인식조차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형태예에서는, 휘도 저하에 의한 화질의 저하를 어느 정도로 제 한하고, 비강조 표시영역의 시인성도 어느 정도는 확보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화면 전체의 화면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어느 영역이 강조 표시영역으로 지정되어 있는지, 그 외에는 어떤 표시 항목이나 화상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f에, 유저의 조작에 의해 강조 표시영역을 이동시켰을 경우의 표시예를 게시한다. 강조 표시영역의 이동은, 도시하지 않은 포인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포인터)를 통해서 입력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강조 표시영역의 이동으로서 인식한다. 그 후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화질전환 제어부(505)에 강조 표시영역을 주는 정보를 줌으로써, 도 5a 내지 도 5f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강조 표시영역의 이동이 실현된다.
(A-3)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강조 표시영역에 대해서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표시하고, 비강조 표시영역에 대해서만 입력 화상 데이터의 소비 전력과 화질을 대폭 저하한 화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시인성과 소비 전력의 삭감을 모두 확실히 실현할 수 있는 표시 기술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유기EL 패널모듈(3)의 전력 절약화에 의해,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 전체로서의 소비 전력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기대금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이 표시 기술의 실현에 필요한 회로 규모나 연산량은 작아도 충분하다. 따라서,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부(5)는, 타임 제너레이터 등의 집적회로의 일부로서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존의 주변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제조에도 유리하다.
(B) 형태예 2
여기에서는, 형태예 1의 변형예로서, 비강조 표시영역용 화상을 생성하는 다른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이 때, 본 형태예는, 특히 입력 화상 데이터가 컬러화상인 경우에 효과적이다.
(B-1) 시스템 구성
도 6에, 이 종류의 화상처리기능을 탑재하는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다. 이 때, 도 6에는, 도 1과의 대응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착해서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11)의 기본적인 블록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1)와 동일하다.
다른 점은, 비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07)에서 실행되는 화질의 저감 방법이다. 비협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07)는, 컬러화상을 단색 컬러화상으로 감색하는 처리 디바이스다. 즉, 비강조 표시영역은, 어떤 1개의 기본 원색에 대응하는 유기EL 발광소자만으로 발광 제어하고, 다른 2개의 기본 원색에 대응하는 유기EL 발광소자는 소등 제어하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B-2) 강조 표시 동작
도 7에, 화질변환 전의 감마특성을 나타낸다. 도 7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감마특성은 모든 기본 원색을 발광 제어할 경우의 감마특성에 대응한다. 또한 굵은 선, 점선, 얇은 선으로 나타내는 감마특성은, 각각 녹색단색화상, 적색단색화상, 청색단색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의 감마특성에 대응한다.
비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07)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3개의 기본 원색 데이터 중 1색의 기본 원색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단순히 생각해도 3원색의 휘도와 비교하면 단원색화에 의해 휘도를 1/3로 저감할 수 있다. 본 형태예에서는, 청색 데이터만을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에, 이 경우에 있어서의 강조 표시영역과 비강조 표시영역의 휘도관계를 나타낸다. 도면 중, 강조 표시영역의 감마특성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비강조 표시영역의 감마특성을 실선으로 나타낸다. 비강조 표시영역의 표시가 청색단독의 화상으로 변환됨으로써 상당히 큰 휘도차이가 생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대폭적인 휘도 저하는, 소비 전력을 대폭 저감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래는 3종류의 기본 원색화상을 합성한 컬러화상이었던 것이 단색화상으로 변환됨으로써 화질은 대폭 열화한다. 다만, 형태예 1의 경우와 같이 청색만이어도 표시 내용의 대략의 내용은 확인할 수 있다.
(B-3)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예의 경우에도, 소비 전력을 적극적으로 저하시키면서 강조 표시영역과 비강조 표시영역의 돋보임 차이를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강조 표시영역의 양호한 화질과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비강조 표시영역의 표시색을 선택하면, 강조 표시영역의 돋보임이나 전력 절약화의 효과를 조정할 수 있다.
(C) 형태예 3
여기에서는, 유기EL 패널모듈(3)의 발광 휘도의 조정 동작에 연동하여, 비강조 표시영역으로 사용하는 화면휘도를 조정하고, 화면 전체에서의 전력 절약화를 실현하는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C-1) 시스템 구성
도 9에, 이 종류의 화상처리기능을 탑재하는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게시한다. 이 때, 도 9에는, 도 1과의 대응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착해서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21)의 기본적인 블록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1)와 동일하다.
본 형태예의 경우, 휘도조정 신호에 의한 유기EL 패널모듈(3)의 휘도조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패널 드라이버(7)를 명시한다. 패널 드라이버(7)는, 전술한 것 이외의 형태예라도 사용한다. 여기에서, 패널 드라이버(7)는, 유기EL 패널모듈(3)과 같은 패널 위에 형성된다.
또한 본 형태예의 경우, 휘도조정 신호에 따라 비강조 표시영역의 휘도조정용으로 변환량 제어부(509)를 탑재한다.
변환량 제어부(509)는, 휘도조정 신호에 의한 휘도 상승량만큼 비강조 표시영역의 휘도를 더 낮게 저하시키도록 기능한다. 이 때, 휘도 저하량은, 최종적으로 소비되는 전력량을 고려해서 결정한다. 휘도 상승량에 대응하는 비강조 표시영역의 저하량과의 관계는 사전의 실험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해 구한 관계는, 변환량 제어부(509)에 저장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엄밀히는, 강조 표시영역과 비강조 표시영역의 면적비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엄밀한 제어를 실현할 경우에는, 변환량 제어부(509)에도 강조 영역정보를 입력하고, 변환량의 조정시에 참조하는 구조를 채용한다.
(C-2) 화면휘도의 조정 원리
여기에서는, 패널 드라이버(7)에 의해 실현되는 피크 휘도의 조정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에, 개개의 유기EL소자의 발광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회로예를 게시한다.
구동회로(30)는, 데이터선과 주사선의 교점 위치에 배치된다. 구동회로(30)는, 데이터 스위치 소자 Tl, 커패시터 C1, 전류공급 소자 T2, 발광기간 제어소자 T3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데이터 스위치 소자 Tl은, 데이터선을 통해서 주어지는 전압값의 입력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다. 입력 타이밍은 주사선을 통해서 선 순차로 주어진다.
커패시터 C1은, 입력한 전압값을 1프레임 동안 유지하는 소자다. 커패시터 C1을 사용함으로써 면 순차 구동이 실현된다.
전류공급 소자 T2는, 커패시터 C1의 전압값에 따른 구동전류를 유기EL 발광소자 D1에 공급하는 트랜지스터다.
발광기간 제어소자 T3은, 유기EL 발광소자 D1에 대한 구동전류의 공급과 정 지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다.
발광기간 제어소자 T3은, 구동전류의 공급 경로에 대하여 직렬로 배치된다. 발광기간 제어소자 T3이 온 동작하고 있는 동안, 유기EL 발광소자 D1이 점등한다. 한편, 발광기간 제어소자 T3이 오프 동작하고 있는 사이, 유기EL 발광소자 D1이 소등한다.
본 예의 경우, 발광기간 제어소자 T3의 개폐 동작은, 점등기간 제어신호로 실현한다.
본 회로 구성의 경우, 화면휘도의 조정은, 유기EL 발광소자 D1의 발광 기간의 조정을 통해서 실현한다.
도 11에, 발광기간 제어소자 T3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점등기간 제어신호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때, 도 11a는, 타이밍 신호로서의 수직동기신호다. 수직 펄스 사이에 개재된 기간이 1프레임 기간에 해당한다.
도 11b 및 11c는, 점등기간 제어신호다. 점등기간 제어신호는, 1프레임 내에서 유기EL 표시소자 D1이 점등하는 시간의 비율을 제어하는 신호다. 본 형태예의 경우, 「L」레벨 기간이 점등 시간에 대응한다. 따라서, 패널 드라이버(7)는, 휘도조정 신호로 규정된 화면휘도를 달성하도록, 점등기간 제어신호의 「L」레벨 기간(발광 기간)을 가변 제어한다.
이 때, 휘도조정 신호로 규정된 화면휘도의 달성은, 전원전압 Vcc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도 12에, 전원전압 Vcc의 공급예를 게시한다. 도 12a는, 휘도조정 신호에 의 한 휘도조정 전의 전원전압 Vcc이다. 한편, 도 12b는, 휘도조정 신호에 의한 휘도조정 후의 전원전압 Vcc이다.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전압 Vcc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유기EL 표시소자 D1에 흐르는 전류량을 증가시키고, 그만큼, 같은 계조값에서도 발광 휘도가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C-3) 강조 표시 동작
도 13에, 화질선택부(503)에서 선택적으로 출력된 시점에서의 강조 표시영역과 비강조 표시영역의 휘도관계를 나타낸다. 도면 중, 강조 표시영역의 감마특성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비강조 표시영역의 감마특성을 실선으로 나타낸다. 이 때, 비강조 표시영역의 피크 휘도는, 최종적인 휘도증가를 고려해서 미리 낮은 값으로 변환된다.
도 14에, 화면상에서의 강조 표시영역과 비강조 표시영역의 휘도관계를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조 표시영역의 휘도는, 휘도조정 신호에 의한 조정 전의 휘도를 100%로 할 경우에, 100% 이상의 휘도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비강조 표시영역의 휘도도 휘도조정 신호에 의한 조정 전의 휘도보다는 밝지만, 강조 표시영역에 비해서는 상당히 어두운 상태에서 표시된다.
도 15a 및 도 15b에,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능을 실행했을 경우의 표시 이미지 예를 게시한다. 도 15a 및 도 15b은, 도 3a 및 도 3b에 대응하는 화면의 표시예다.
도 15a는, 원화상의 이미지다. 즉, 입력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표시했을 경 우의 이미지다.
도 15b는, 오른쪽 아래의 섬네일 화상이 강조 표시영역으로 선택되었을 경우의 표시예다.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형태예의 경우, 강조 영역정보는, 원화상보다도 밝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강조 표시영역과 비강조 표시영역의 휘도차이가 확대되어,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C-4) 효과
본 형태예와 같이, 화면 전체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동작에 연동해서 비강조 표시영역 부분의 휘도 레벨을 보다 낮은 휘도 레벨로 변환하고, 전체로서는 전력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의해, 강조 표시영역의 시인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 때, 여기에서의 제어 기능은, 비강조 표시영역의 전력 삭감분을 강조 표시영역의 화소 증가(휘도 증가)에 할당하는 경우와 같다.
또한 본 형태예의 제어 기능은, 실외나 태양광 아래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에 탑재하면 상당히 효과적이다.
즉, 강조 표시영역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화면휘도를 상승시킬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전력 절약화의 효과는 유지할 수 있다.
(D) 형태예 4
전술한 형태예에서는, 비강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화질만을 저하시킬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다. 여기에서는, 강조 표시영역의 화질을 더욱 증가시키도록 입력 화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처리 디바이스를 탑재하는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D-1) 시스템 예
도 16에, 이 종류의 기능을 탑재한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31)의 구성예를 게시한다. 도 16은, 도 1과의 대응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착해서 나타낸다. 이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31)의 경우, 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11)를 새롭게 탑재한다.
이 때, 비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01)와 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11)는, 모두 감마 커브의 특성은 그대로 두고(감마값은 바꾸지 않고), 계조값에 대응시키는 휘도레벨을 전체적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비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01)와 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11)는, 동시에 비트수를 변환하는 동작도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본 형태예의 경우, 계조값이 8비트로 주어지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계조값이 9비트로 주어지는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본 형태예에서 사용하는 유기EL 패널모듈(3)은,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이 9비트로 주어질 경우에도, 계조값에 따라 발광 휘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본 예의 경우, 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11)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을 「0」∼「511」까지의 계조값으로 감마 변환하는 것으로 한다. 즉, 최고 휘도를 원화상의 2배로 변경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최고 휘도는 원화상의 2배에 한정되지 않고, 1.5배 정도 내지 3배 정도의 범위여도 좋다.
이 때, 강조 표시영역이 화면 전체에 차지하는 비율은 비교적 작으므로, 이 정도의 범위 내면, 강조 표시영역 부분에서의 소비 전력의 증가분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소비 전력의 증가분은, 비강조 표시영역 부분의 휘도 저하에 따르는 전력 절약화에 의해 충분히 상쇄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덧붙여, 본 형태예의 경우, 비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01)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계조값을 「0」∼「127」까지의 계조값으로 감마 변환한다. 즉, 최고 휘도를 원화상의 절반 정도로 변경하는 것으로 한다.
(D-2) 강조 표시 동작
도 17에, 본 형태예에 대응하는 강조 표시 동작의 실행시에 있어서의 강조 표시영역과 비강조 표시영역의 휘도관계를 나타낸다. 도면 중, 화질변환 전의 감마특성을 파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화질변환 후의 강조 표시영역의 감마특성을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비강조 표시영역의 감마특성을 얇은 선으로 나타낸다.
(D-3) 효과
본 형태예와 같이, 비강조 표시영역 부분의 화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강조 표시영역 부분의 화질을 적극적으로 상승시키는 방법을 채용하면, 돋보임 차이를 적극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다 시인성이 우수한 표시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많은 경우, 강조 표시영역 부분의 화질향상은 비강조 표시영역 부분의 전력 절약효과에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화면 전체로서의 전력 절약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E) 기타 형태예
(a) 상기 형태예에서는, 강조 표시영역이 기본적으로 1개인 경우를 상정했 다. 그러나 강조 표시영역은 복수 존재해도 좋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강조 표시영역에 각각 다른 화상변환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도 18에, 이 경우에 대응하는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41)의 구성예를 게시한다.
도 16과의 대응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착한 도 18에서는, 강조 표시영역용에 2종류의 변환 동작부를 준비할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즉, 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11A 및 511B)를 2개 준비한다.
(b) 상기의 형태예에서는, 비강조 표시영역이 기본적으로 1개인 경우를 상정했다. 그러나 비강조 표시영역은 복수 존재해도 좋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비강조 표시영역에 각각 다른 화상변환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도 19에, 이 경우에 대응하는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51)의 구성예를 게시한다.
도 16과의 대응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착한 도 19에서는, 비강조 표시영역용에 2종류의 변환 동작부를 준비할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즉, 비강조 영역용 화질변환부(501A 및 501B)를 2개 준비한다.
(c) 상기의 형태예에서는, 화질변환부에 의해 화면 전체를 일제히 계조 변환하고, 후단에 배치한 화질선택부(503)에서 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도 20에 나타내는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61)와 같이, 단지 1개의 화질변환부(513)와 화질전환 제어부(505)에 의하여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부(5)를 구성해도 좋다.
이 예의 경우, 화질변환부(513)는, 화질전환 제어부(505)로부터 주어지는 전 환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화소마다 다른 화질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d) 상기의 형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표시 콘텐츠에 연동해서 지정되는 강조 표시영역의 예로서, 사진을 일람 형식으로 섬네일 표시할 경우를 예시했다.
그러나, 강조 표시영역의 지정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 대상을 나타내는 버튼이나 아이콘, 타이틀 바 등을 지정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도 21a에 나타내는 시각 표시나 도 21b에 나타내는 배터리 잔량 표시를 지정해도 좋다.
(e) 상기의 형태예에서는, 기본 원색이 RGB의 3색일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기본 원색은 보색을 포함해서 4색 이상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f) 상기의 형태예에서는, 기본 원색의 발색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기본 원색별로 발광소자재료가 다른 유기EL 발광소자를 준비해도 좋고, 컬러필터 방식이나 색 변환방식을 사용해서 기본 원색을 생성해도 좋다.
(g) 상기의 형태예에서는, 자발광 표시장치의 일례로서 유기EL디스플레이 패널을 예시했지만, 다른 자발광 표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FED(field emission display), 무기EL 디스플레이 패널, LED패널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h) 상기의 형태예에서는, 화소 어레이부와 구동회로(패널 드라이버(7))가 1개의 패널 위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화소 어레이부와 구동회로는 각각 제조하고, 유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구동회로는 각각 독립된 드라이브IC(integrated circuit)로서 제조하고, 유 기EL 패널과는 독립적으로 유통할 수도 있다.
(i) 상기의 형태예에 관련되는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22에 나타내는 외관구성을 갖는 표시 모듈(71)의 형태로 유통할 수도 있다.
표시 모듈(71)은 지지 기판(75)의 표면에 대향부(73)를 부착한 구조를 갖고 있다. 대향부(73)는 유리 등의 투명 부재를 기본재료로 하고, 그 표면에는 컬러필터, 보호막, 차광막 등이 배치된다.
이 때, 표시 모듈(71)에는, 외부로부터 지지 기판(75)에 신호 등을 입출력하기 위한 FPC(플랙시블 프린트 서킷)(77) 등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j) 상기의 형태예에 관련되는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품형태라도 유통된다.
도 23에, 전자기기(81)의 개념 구성예를 게시한다. 전자기기(81)는, 전술한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83) 및 시스템 제어부(85)로 구성된다. 시스템 제어부(85)에서 실행되는 처리 내용은, 전자기기(81)의 상품형태에 따라 다르다.
이 때, 전자기기(81)는, 기기 내에서 생성되는 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면, 특정한 분야의 기기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 종류의 전자기기(81)에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정된다. 도 24에, 텔레비전 수상기(91)의 외관예를 게시한다.
텔레비전 수상기(91)의 케이싱 정면에는, 프런트 패널(93) 및 필터 유리(95)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 화면(97)이 배치된다. 표시 화면(97)의 부분이, 형태예에서 설명한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한다.
또한 이 종류의 전자기기(81)에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가 상정된다. 도 25a 및 도 25b에, 디지털 카메라(101)의 외관예를 게시한다. 도 25a가 정면측(피사체측)의 외관예이며, 도 25b가 배면측(촬영자측)의 외관예다.
디지털 카메라(101)는 촬상 렌즈(도 25a 및 도 25b는 보호 커버(103)가 닫힌 상태이므로, 보호 커버(103)의 이면측에 배치된다.), 플래시용 발광부(105), 표시 화면(107), 컨트롤 스위치(109) 및 셔터 버튼(111)으로 구성된다. 이 중, 표시 화면(107)의 부분이, 형태예에서 설명한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한다.
또한 이 종류의 전자기기(81)에는,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가 상정된다. 도 26에, 비디오 카메라(121)의 외관예를 게시한다.
비디오 카메라(121)는, 본체(123)의 전방에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렌즈(125), 촬영의 스타트/스톱 스위치(127) 및 표시 화면(129)으로 구성된다. 이 중, 표시 화면(129)의 부분이, 형태예에서 설명한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한다.
또한 이 종류의 전자기기(81)에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장치가 상정된다. 도 27a 및 도 27b에, 휴대 단말장치로서의 휴대전화기(131)의 외관예를 게시한다. 도 27a 및 도 27b에 나타내는 휴대전화기(131)는 접이식이며, 도 27a가 케이싱을 연 상태의 외관예이며, 도 27b가 케이싱을 접은 상태의 외관예다.
휴대전화기(131)는, 상측 케이싱(133), 하측 케이싱(135), 연결부(본 예에서는 힌지부)(137), 표시 화면(139), 보조 표시 화면(141), 픽처 라이트(143) 및 촬 상 렌즈(145)로 구성된다. 이 중, 표시 화면(139) 및 보조 표시 화면(141)의 부분이, 형태예에서 설명한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한다.
또한 이 종류의 전자기기(81)에는, 예를 들면 컴퓨터가 상정된다. 도 28에, 노트형 컴퓨터(151)의 외관예를 게시한다.
노트형 컴퓨터(151)는, 하형 케이싱(153), 상측 케이싱(155), 키보드(157) 및 표시 화면(159)으로 구성된다. 이 중, 표시 화면(159)의 부분이, 형태예에서 설명한 유기EL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한다.
이 외에, 전자기기(81)에는, 오디오 재생장치, 게임기, 전자서적, 전자사전 등이 상정된다.
이 때, 배터리를 탑재하는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능의 탑재에 의해 구동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콘센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능의 탑재에 의해 전기대금을 절약할 수 있다.
(k) 상기의 형태예에서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 기술을 기능적인 측면에서 설명했지만, 말할 필요도 없이, 동등한 기능을 하드웨어로서도 소프트웨어로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이들 처리 기능을 모두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일부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실현해도 된다. 즉,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구성으로 해도 된다.
(l) 상기의 형태예에는,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예를 생 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기재에 기초하여 창작되는 또는 조합되는 각종 변형예 및 응용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Claims (13)

  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표시 콘텐츠에 연동하여, 표시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와 크기가 강조 표시영역으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 그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 부분에 대해서만, 그 영역 부분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적극적으로 저하시킴과 동시에 화질을 강조 표시영역에 비해서 적극적으로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표시 화면 전역으로서의 소비 전력의 절감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기타 영역 부분에서의 소비 전력의 저하분을 상기 강조 표시영역의 소비 전력의 증가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표시 콘텐츠에 연동하여, 표시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와 크기가 강조 표시영역으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 그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 부분의 화면휘도만을 일정하게 저하시켜, 강조 표시영역에 비해서 화질을 대폭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표시 화면 전역으로서의 소비 전력의 절감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기타 영역 부분에서의 소비 전력의 저하분을 상기 강조 표시영역의 소비 전력의 증가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5.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표시 콘텐츠에 연동하여, 표시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와 크기가 강조 표시영역으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 그 강조 표시영역에는 원화상 데이터가 갖는 컬러 정보를 그대로 표시하는 한편, 그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 부분에는 원화상 데이터 중 일부의 컬러화상 정보만을 표시하고, 강조 표시영역에 비해서 화질을 대폭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표시 화면 전역으로서의 소비 전력의 절감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기타 영역 부분에서의 소비 전력의 저하분을 상기 강조 표시영역의 소비 전력의 증가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7. 표시 화면 전역 중 강조 표시영역에 요구하는 화질에 따라 원화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제1 화질변환부와,
    표시 화면 전역 중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 부분의 화질과 소비 전력을 적극적으로 저하시키도록 원화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제2 화질변환부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표시 콘텐츠에 연동해서 지정되는 위치와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화질변환부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중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자발광 표시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화질선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8. 자발광 표시 소자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된 표시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표시 콘텐츠에 연동하여, 표시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와 크기가 강조 표시영역으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 그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 부분에 대해서만, 그 영역 부분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적극적으로 저하시킴과 동시에 화질을 강조 표시영역에 비해서 적극적으로 저하시키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장치.
  9. 자발광 표시 소자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된 표시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표시 콘텐츠에 연동하여, 표시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와 크기가 강조 표시영역으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 그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 부분의 화면휘도만을 일정하게 저하시켜, 강조 표시영역에 비해서 화질을 대폭 저하시키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장치.
  10. 자발광 표시 소자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된 표시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표시 콘텐츠에 연동하여, 표시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와 크기가 강조 표시영역으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 그 강조 표시영역에는 원화상 데이터가 갖는 컬러 정보를 그대로 표시하는 한편, 그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 부분에는 원화상 데이터 중 일부의 컬러 정보만을 표시하고, 강조 표시영역에 비해서 화질을 대폭 저하시키는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표시장치.
  11. 자발광 표시 소자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된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화질을 영역별로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표시 콘텐츠에 연동하여, 표시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와 크기가 강조 표시영역으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 그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 부분에 대해서만, 그 영역 부분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적극적으로 저하시킴과 동시에 화질을 강조 표시영역에 비해서 적극적으로 저하시키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2. 자발광 표시 소자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된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화질을 영역별로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표시 콘텐츠에 연동하여, 표시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와 크기가 강조 표시영역으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 그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 부분의 화면휘도만을 일정하게 저하시켜, 강조 표시영역에 비해서 화질을 대폭 저하시키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3. 자발광 표시 소자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된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화질을 영역별로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표시 콘텐츠에 연동하여, 표시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와 크기가 강조 표시영역으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 그 강조 표시영역에는 원화상 데이터가 갖는 컬러 정보를 그대로 표시하는 한편, 그 강조 표시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 부분에는 원화상 데이터 중 일부의 컬러 정보만을 표시하고, 강조 표시 영역에 비해서 화질을 대폭 저하시키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87025378A 2006-04-27 2007-04-25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자발광 표시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0801110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24033 2006-04-27
JP2006124033 2006-04-27
JP2007083081A JP5023756B2 (ja) 2006-04-27 2007-03-27 領域別表示画質制御装置、自発光表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JP-P-2007-083081 2007-03-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071A true KR20080111071A (ko) 2008-12-22

Family

ID=3865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378A KR20080111071A (ko) 2006-04-27 2007-04-25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자발광 표시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73728B2 (ko)
EP (1) EP2012300A4 (ko)
JP (1) JP5023756B2 (ko)
KR (1) KR20080111071A (ko)
CN (1) CN101432796B (ko)
TW (1) TW200746014A (ko)
WO (1) WO20071259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014A (ko) * 2009-03-16 201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9176B2 (ja) * 2007-12-28 2013-08-0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264193B2 (ja) * 2008-01-18 2013-08-1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013294A (ja) * 2009-06-30 2011-01-20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輝度制御方法
US8706911B2 (en) 2010-01-27 2014-04-2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ower saving display information converting system and method
US8957886B2 (en) * 2010-01-27 2015-02-1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ower-saving and context-showing display information converting system and corresponding apparatus
CN102713831B (zh) * 2010-02-18 2015-09-16 日本电气株式会社 终端设备和照明控制方法
JP2011216066A (ja) * 2010-03-15 2011-10-27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td 情報処理装置
KR20120079398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 방지 방법 및 장치
WO2012156942A1 (en) * 2011-05-17 2012-11-22 Ignis Innov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 systems with dynamic power control
JPWO2013080444A1 (ja) * 2011-11-29 2015-04-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GB201203830D0 (en) * 2012-03-05 2012-04-18 Elliptic Laboratories As Touchless user interfaces
CN103631547A (zh) * 2012-08-21 2014-03-12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移动终端屏幕的显示方法及装置
US9697797B2 (en) 2012-11-30 2017-07-04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CN103021348A (zh) * 2012-12-28 2013-04-03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和屏幕背光控制方法
CN103092325B (zh) * 2013-01-24 2015-12-23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界面显示的方法及其终端
CN105103106B (zh) * 2013-05-16 2019-08-20 英特尔公司 自动调节显示区域以降低功率消耗
CN104318913B (zh) * 2014-10-28 2018-06-05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终端的显示控制方法和装置
CN104850317A (zh) * 2014-12-31 2015-08-19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可穿戴设备的屏幕的显示方法及可穿戴设备
JP2016133640A (ja) * 2015-01-20 2016-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287821B1 (ko) 2015-02-16 2021-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4809347B (zh) 2015-04-28 2018-08-24 南京巨鲨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显示器突出区域显示的实现方法
JP2017090595A (ja) * 2015-11-06 2017-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10114447B2 (en) 2015-12-10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in low-power mode
JP6727047B2 (ja) * 2016-07-12 2020-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6774811A (zh) * 2016-12-30 2017-05-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省电方法及移动终端
CN106919243B (zh) * 2017-03-10 2019-09-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2018022510A (ja) * 2017-09-19 2018-02-08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コンテンツ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2423637B1 (ko) * 2017-10-27 2022-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20210225305A1 (en) * 2018-05-21 2021-07-22 Nec Display Solutions, Ltd. Display device
WO2019239989A1 (ja) * 2018-06-15 2019-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9192146A (zh) * 2018-10-12 2019-0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JP2019070855A (ja) * 2019-01-31 2019-05-09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電力消費を低減させるための表示エリアの自動調整
EP3905233A4 (en) * 2019-02-23 2022-04-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CONTROL SYSTEM, DISPLAY MODULE, DISPLAY SCREE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0964289B2 (en) 2019-07-25 2021-03-30 Google Llc OLED display with different spatial gamma
CN111048056A (zh) * 2019-12-19 2020-04-2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亮度调节方法及其系统、存储介质及终端设备
KR20210148468A (ko) 2020-05-28 2021-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계조값 조정방법
TWI804245B (zh) * 2022-03-23 2023-06-01 聯詠科技股份有限公司 控制器電路與影像處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5834A (ja) * 1992-09-17 1994-04-08 Fujitsu Ltd 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方式
US5598565A (en) 1993-12-29 1997-01-2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power saving
JP3563461B2 (ja) * 1994-02-14 2004-09-08 クラリオン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8320679A (ja) * 1995-05-26 1996-12-03 Nec Home Electron Ltd 表示装置
US5936608A (en) * 1996-08-30 1999-08-10 Dell Usa, Lp Computer system including display control system
US6160532A (en) * 1997-03-12 2000-12-12 Seiko Epson Corporation Digital gamma correction circuit, gamma correction method,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id digital gamma correction circuit and gamma correction method
JP2001117693A (ja) * 1999-10-21 2001-04-27 Canon Inc 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0242255A (ja) 1999-02-17 2000-09-08 Canon Inc 画像表示装置
JP2001175239A (ja) * 1999-12-21 2001-06-29 Canon Inc マルチ画面表示装置、マルチ画面表示システム、マルチ画面表示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2251621A (ja) * 2001-02-22 2002-09-06 Fujitsu Ltd 画像作成システム、画像作成方法および画像作成プログラム
JP3972193B2 (ja) * 2002-08-08 2007-09-05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014A (ko) * 2009-03-16 201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286823B2 (en) 2009-03-16 2016-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electronic equipment using self-emitting type display
KR101633379B1 (ko) * 2009-03-16 2016-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32796B (zh) 2012-04-25
TWI364017B (ko) 2012-05-11
US20100182332A1 (en) 2010-07-22
CN101432796A (zh) 2009-05-13
US8373728B2 (en) 2013-02-12
EP2012300A4 (en) 2010-12-01
TW200746014A (en) 2007-12-16
EP2012300A1 (en) 2009-01-07
JP2007316606A (ja) 2007-12-06
WO2007125960A1 (ja) 2007-11-08
JP5023756B2 (ja)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3756B2 (ja) 領域別表示画質制御装置、自発光表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854150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375711B2 (en)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559367B1 (ko) 점등기간의 설정방법, 표시패널의 구동방법, 백라이트의 구동방법, 점등조건 설정장치, 반도체 디바이스, 표시패널 및 전자기기
JP4016213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00149167A1 (en) Emissive type display device,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power supply line driving method
JP6423243B2 (ja)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1484447B1 (ko) 문자 강조 제어장치, 표시장치, 강조 표시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101604197B1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JP5135790B2 (ja) ピーク輝度レベル制御装置、自発光表示装置、電子機器、ピーク輝度レベル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299145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TW200903439A (en)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8158399A (ja) 消費電力削減装置、自発光表示装置、電子機器、消費電力削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65185A (ja) 表示コントローラ、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07264659A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316239A (ja) 表示装置
JP2008158400A (ja) 駆動条件制御装置、自発光表示装置、電子機器、駆動条件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323175A (ja) 携帯機器
JP2005148571A (ja) El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