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379B1 -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379B1
KR101633379B1 KR1020090022137A KR20090022137A KR101633379B1 KR 101633379 B1 KR101633379 B1 KR 101633379B1 KR 1020090022137 A KR1020090022137 A KR 1020090022137A KR 20090022137 A KR20090022137 A KR 20090022137A KR 101633379 B1 KR101633379 B1 KR 101633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pplication
layers
importan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014A (ko
Inventor
박수진
김학상
박상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379B1/ko
Priority to US12/720,902 priority patent/US9286823B2/en
Priority to EP19150585.8A priority patent/EP3525201A1/en
Priority to EP10156216A priority patent/EP2230662A3/en
Publication of KR20100104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체 영상 데이터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구분하는 단계와,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구분된 각 영상 데이터를 각각 기 설정된 영상 밝기로 보정하는 단계와, 각 애플리케이션의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전체 영상 데이터로 합성하는 단계 및 합성된 전체 영상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구동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라 애플리케이션별로 영상 데이터를 구분 및 밝기를 보정하여 사용자의 가독성을 떨어뜨리지 않고도 소모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 영상, 소모 전력, 휴대폰

Description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ELECTRONIC EQUIPMENT USING SELF-EMITTING TYPE DISPLAY}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기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의 비약적인 발전과 인터넷의 보급의 확대와 더불어, 다양한 형태와 용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출현하고 있다. 이들은 디지털 TV, 모니터 등 다소 큰 디스플레이를 요하는 기기로부터, 휴대폰, PDA 등 작고 편리한 디스플레이를 요하는 휴대용 기기들까지 다양한 기기들에 탑재된다. 그런데, 특히 휴대용 기기는 대형 기기와는 달리 충전식 배터리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줄임으로써 사용시간을 늘이는 것이 매우 중요한 관심사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게,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환으로 상기 LCD는 기본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백색의 백라이트를 제공받아 이를 액정 층을 통하여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LCD는 상기 액정 층의 양쪽 면에 구비된 전극에 가해지는 전압에 따라 배열을 달리함으로써 상기 백라이트의 투과비를 조절한다. 이때 투과된 빛은 컬러 필터에 의하여 컬러 색상으로 변환되어 외부로 출사된다. 상기 LCD와 같은 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상기 백라이트 광원의 밝기를 영상 정보와 상관 없이 일률적으로 조정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영상 정보가 흑색을 나타내든지 백색을 나타내든지와 관계없이 백라이트 광원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환으로 OLED의 발광 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OLED는 유기물 박막의 양면에 전글을 배치하고, 이 전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의 여기자(excition)를 형성하고 형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유기물 박막에 포함된 유기물 종류에 따라 RGB 색상을 발함으로써 완전 컬러(Full color)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발생하게되는 빛의 세기는 순수하게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와 달리 백라이트가 없는 자발광 소자의 특성상 입력 신호 크기의 저감을 통해서만 소비전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전력을 소모하지만, 상기 자발 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흐르는 전류(소비전력)에 비례하게 된다.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류의 양으로 밝기를 조절하기 때문에 밝은 빛을 낼 때는 전류 소모가 많아 휴대폰과 같이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이 어려운 기기의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저전력화가 필수이다. 더욱이, 단순히 영상의 모든 신호에 대해 구동 전압을 일괄적으로 낮추게 되면, 영상에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부분의 밝기까지 감소하여 화질이 열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기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견지로서, 본 발명은 자발광형 디스플레이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체 영상 데이터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구분하는 단계와,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구분된 각 영상 데이터를 각각 기 설정된 영상 밝기로 보정하는 단계와, 각 애플리케이션의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전체 영상 데이터로 합성하는 단계 및 합성된 전체 영상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구동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견지로서, 본 발명은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를 각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구분한 후, 각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각각 기 설정된 영상 밝기로 보정하고, 각 보정된 각 애플리케이션의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전체 영상 데이터로 합성하여, 상기 합성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구동 전력을 제어하는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 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기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별로 영상 데이터를 구분 및 밝기를 보정하여 사용자의 가독성을 떨어뜨리지 않고도 소모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기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자발광형 디스플레이의 소모 전력을 능동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하기 <표 1>은 종래의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색상에 따른 소모 전류를 나타낸다.
구분 White Red Green Blue Yellow Black
IBAT(mA) 278.8 71.1 85.5 131.3 148.6 2.4
IDDI(mA) 5.1 5.5 5.7 5.7 5.5 5.1
상기 <표 1>의 데이터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250cd(candela)의 휘도인 경우에 대하여 소모 전류를 3회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값으로서, IBAT는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기화합물에 의해 소비되는 전류값이고, IDDI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에서 소모되는 전류값이다. 상기 <표 1>의 측정값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같은 휘도를 출사하기 위해서는 IDDI의 경우 큰 변화가 없지만, IBAT는 차이가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최대 전류를 소모하는 White의 경우 278.8mA를 소모하는데 반해 Black의 경우 2.4mA로 대략 116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소비전류의 차이는 색상에 대한 차이 뿐만 아니라 명도의 차이에 따라서도 발생한다. 하기 표 2는 종래의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명도에 따른 소모 전류를 나타낸다.
구분 L252(White) L224 L192 L164 L132 L104 L72 L48(Black)
IBAT(mA) 271.1 209.4 146.6 99.1 63.2 41.2 22.7 12.9
IDDI(mA) 5.9 5.9 6.0 6.0 6.0 6.0 6.0 6.0
상기 <표 2>의 데이터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White에서 Black으로 변화하는 명도에 따라 소모되는 전류를 3회 측정한 평균값으로서, IBAT 및 IDDI는 상기 <표 1>과 동일하다. 상기 <표 2>의 측정값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L252와 L192의 명도 차이는 시각적으로 크지 않지만, 소모되는 전류는 54%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영상의 색상 및 명도(휘도)를 조절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출발점이 되는 인간의 시각 시스템 특성에 관하여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3은 마하 밴드 효과(Mach bend effect)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마하 밴드 효과는 밝기가 급격히 변화하는 경우 시각 반응은 경계 부분을 강조하여 보는 현상을 말한다. 도 1a와 같이 x축을 따라서 휘도가 일정 간격으로 증가되는 막대(bar)로 이루어진 영상이 있다고 할 때, 실제 휘도는 도 1b와 같이 계단형 그래프를 이룬다. 하지만, 도 1a의 영상을 인간의 시각 시스템이 인지하는 밝기는 도 1c와 같이 다소 왜곡된 형태로 나타난다. 즉, 막대의 경계 부분에서 어두운 부분(12)은 더 어둡게, 밝은 부분(11)은 더 밝게 인지됨을 알 수 있다. 상기 경계 부분은 주파수 관점에서는 고주파 영역이므로, 그 영역의 휘도(신호 레벨)를 다소 감소시키더라도 인간의 시감 시스템에는 그리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2는 영상의 위치별로 인간의 심리적인 시각 시스템의 민감도가 상이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인간의 심리적 시각 시스템은 영상의 중심부(21)에 보다 높은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영상의 중심부(21)에 비하여 외곽부(22)로 갈수록 변화에 둔감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화면의 외곽부(42)에 대하여 신호 레벨을 다소 감소시키더라도 주관적 화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3은 동영상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이미지에 대한 인간의 인지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어떤 시간(t=n)에서의 이미지(31)가 다음 시각(t=n+1)에서 아래로 이동한 이미지(32)가 된다고 하면, 인간의 시각은 변화된 영역(33)에 대해서는 두 시각 동안 혼합된 신호로서 인식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31)가 흑색이고 배경이 백색이라고 하면, 이미지의 움직임으로 변화된 영역(33)은 흑색과 백색이 혼합된 색상인 회색으로 인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움직임이 큰 영역이나 화소에 대해서는 신호 레벨을 다소 감소시키더라도 인간의 시각 시스템에 의하여 크게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영상 제어부(410), 상기 영상 제어부(41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에 구동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430)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는 상기 영상 제어부(42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는 본 발명의 배경 기술에서 전술한 OLED에서 보여지듯, 유기물 박막에 포함된 유기물 종류에 따라 RGB 색상을 발함으로써 완전 컬러(Full color)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발생하되는 빛의 세기는 순수하게 상기 전력 제어부(430)에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에 의하여 결정되며, 자발광 소자의 특성상 입력 신호 크기의 저감을 통해서만 소비전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영상의 빛의 세기(휘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영상 제어부(420)는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정보를 원하는 시간/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영상 제어부(42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가 출력할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여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 제어부(430)는 상기 영상 제어부(42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메모리부(430)은 상기 영상 제어부(420)가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에 관한 보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영상 제어부(420)에게 이를 제공한다.
상기 영상 제어부(420)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수의 레이어(layer)를 하나의 레이어로 합쳐 실제 사용자에게 보이는 영상을 생성하는 윈도우 블렌딩(blending)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R(Red), G(Green), B(Blue) 3색을 이용하게 되는데 여기에 알파 참조값이라 불리는 블랜딩 요소를 픽셀마다 정의하고, 이를 퍼센트(%) 값으로 환산해 색상을 변화시킨다. 상기 윈도우 블렌딩 기법은 두개의 영상 데이터가 있을 때, 두개의 영상 데이터를 알파 참조값을 근간으로하여 블렌딩하여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새로이 생성된 영상 데이터는 또 다른 영상 데이터의 알파 참조값을 근간으로 블렌딩되어 또 다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각 영상 데이터들은 순차적으로 블렌딩되어 하나의 영상 데이터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레이어 0은 TV 영상, 레이어 1은 화면 옆에 다른 채널의 영상을 보여주는 창, 레어어 2는 메뉴, 레이어 3은 자막, 레이어 4는 채널 정보를 표시하는 5개의 레이어가 블렌딩되어 TV 등의 기기는 하나의 영상을 표시한다.
특히, 상기 영상 제어부(420)는 레이어(또는, 영상 데이터)를 블랜딩하는 과정에서 명도값을 조절하기 위한 레이어를 하나 추가하고, 상기 명도값을 조절하기 위한 레이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영상 제어부(420)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구분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 영상의 밝기를 감소시켜 이에 상응하는 저감된 전력을 상기 전력 제어부(430)에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은 사용자 또는 어떤 경우에는 다른 응용프로그램에게, 특정한 기능을 직접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이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예로는 워드프로세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웹브라우저, 개발도구, 페인트 브러시,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통신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해당 기기의 운영체계와 기타 다른 지원프로그램들의 서비스를 사용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에 공식적으로 작업을 요청하여 상호간의 통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웹서핑, 메일, 문서작성 등의 정지 영상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수행시, 상기 영상 제어부(220)는 RGB의 밝은 회색(light gray) 레이어를 가장 우선 순위가 높게 생성 후 기 설정된 알파 참조값을 근간으로 블렌딩한다. 여기서, 우선 순위가 높다는 것은 해당 레이어가 다른 영상들과 합성되는 순서가 마지막임을 의미한다. 이는 전체 영상에 대하여 색상 변화를 동일하게 만들 수 있어서, 모든 영역의 R, G, B 값이 낮아지는 효과가 생기며, 즉, 모든 영역의 색이 어두워지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해당 정지 영상은 전체적으로 밝은 회색 톤으로 색이 변화된 영상을 나타내므로,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알파 참조값에 따라 두 영상 데이터의 합성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밝은 회색 레이어를 상기 배경 부분보다 나중에 합성하되 알파 참조값을 16진수인 0x9로 설정하여 블렌딩하면, 상기 배경의 색은 밝은 회색 톤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알파 참조값은 다양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통화 등의 동영상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수행시, 상기 영상 제어부(420)는 RGB의 밝은 회색 레이어를 생성 후 동영상의 배경부분을 상기 생성한 밝은 회색 레이어보다 우선 순위를 낮게 설정하고, 기 설정된 알파 참조값을 근간으로 블렌딩하여 전체적인 배경의 색을 어둡게 만든다. 이후 전체적으로 어두워진 배경과 동영상 부분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동영상의 기 설정된 알파 참조값으로 블렌딩하여 상기 동영상의 색상정보의 왜곡을 없앤다. 도 6을 참조하면, 원본 이미지는 동영상 부분과 배경 부분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밝은 회색 레이어는 상기 배경 부분보다 나중에 합성하되, 도 6b와 같이 알파 참조값을 0x9로 설정하여 블렌딩하면 상기 배경 부분의 색은 밝은 회색 톤으로 변화된다. 도 6a와 같이 배경과 동영상 부분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알파 참조값을 16진수 0xf로 설정하여 블렌딩하면, 상기 동영상 부분은 색상 정보 왜곡 없이 합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밝은 회색 레이어의 우선 순위는 상기 배경 부분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상기 동영상 부분의 우선 순위보다 낮다. 또한, 상기 동영상 부분은 상기 밝은 회색 레이어 이후에 합성하므로 상기 동영상 부분의 색상 정보가 왜곡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알파 참조값은 다양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제어부(400)는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될 전체 영상 데이터에서 각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구분한다(510 단계).
이후, 상기 영상 제어부(400)는 상기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구분된 각 영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영상 밝기로 보정한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보정 방법은 밝은 회색(light grayer) 레이어를 생성 후 기 설정된 알파 참조값을 근간으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영상 데이터를 블렌딩함으로써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520 단계).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사용 빈도, 화면에서의 표시 위치, 구동시간 등의 참조값에 의해서 그 중요도를 달리할 수 있으며, 상기 중요도에 따라 보정되는 밝기의 정도 또한 비례할 것이다. 더욱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도가 높은 것에서 부터 중요도가 낮은 것까지 다수의 섹션 영상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섹션 영상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보정되는 밝기의 정도 또한 비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영상 제어부(400)는 상기 520 단계에서 각 애플리게이션에 따라 구분된 후 밝기가 보정된 각 영상 데이터를 통합하여 변경된 하나의 전체 영상 데이터로 합성한다(530 단계). 이때, 각 애플리케이션의 보정된 영상 데이터 간의 합성시 잡음 등의 왜곡을 없애기 위하여 영상 필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변경된 전체 영상 데이터로의 합성 방법은 합성(synthesis), 블렌딩(blending), 보간(interpolation) 등의 합성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필터의 방법은 영상데이터에서 명암도에 따른 픽셀의 수를 고르게 분포시키는 히스토그램 평준화(Histogram Equalization), 영상 데이터의 각 픽셀에서 일정한 주위의 픽셀값의 평균치를 구하여 현재 픽셀값과 대체시키는 평균값 필터(Average Filt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a는 휘도가 일정 간격으로 증가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1b는 도 1a의 영상의 실제 휘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c는 도 1a의 영상이 인간의 시각 시스템에 의하여 인지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영상의 위치 별로 인간 시각 시스템의 민감도가 상이함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동영상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이미지에 대한 인간의 인지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알파 참조값에 따라 두 영상 데이터의 합성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14)

  1.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다수의 영상 레이어들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중요도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다수의 영상 레이어들에 상기 중요도에 대응하는 밝기의 회색 레이어를 추가하는 과정;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근간으로 상기 중요도에 대응하는 밝기의 회색 레이어 및 상기 다수의 영상 레이어들 간의 합성 순서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합성 순서에 따라 상기 중요도에 대응하는 밝기의 회색 레이어 및 상기 다수의 영상 레이어들을 합성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 구동 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영상을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중요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 표시 위치, 및 구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영상 레이어들은, 동영상에 해당하는 제 1 영상 레이어와, 상기 동영상의 배경에 해당하는 제 2 영상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상 레이어는, 상기 제 1 영상 레이어 및 상기 중요도에 대응하는 밝기의 회색 레이어를 먼저 합성한 이후에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순서에 따라 상기 중요도에 대응하는 밝기의 회색 레이어 및 상기 다수의 영상 레이어들을 합성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레이어들 간의 합성 시 왜곡을 없애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 필터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필터는,
    히스토그램 평준화(histogram equalization) 및 평균값 필터(Average Fil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순서에 따라 상기 중요도에 대응하는 밝기의 회색 레이어 및 상기 다수의 영상 레이어들을 합성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은,
    기 설정된 알파 참조 값을 근간으로 상기 레이어들을 블렌딩(blen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7. 삭제
  8. 전자 장치에 있어서,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및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다수의 영상 레이어들을 확인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중요도를 확인하고,
    상기 다수의 영상 레이어들에 상기 중요도에 대응하는 밝기의 회색 레이어들을 추가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근간으로 상기 중요도에 대응하는 밝기의 회색 레이어들 및 상기 다수의 영상 레이어들 간의 합성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합성 순서에 따라 상기 중요도에 대응하는 밝기의 회색 레이어 및 상기 다수의 영상 레이어들을 합성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 구동 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영상을 상기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며,
    상기 중요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 표시 위치, 및 구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영상 레이어들은, 동영상에 해당하는 제 1 영상 레이어와, 상기 동영상의 배경에 해당하는 제 2 영상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상 레이어는, 상기 제 1 영상 레이어 및 상기 중요도에 대응하는 밝기의 회색 레이어를 먼저 합성한 이후에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합성 순서에 따라 상기 중요도에 대응하는 밝기의 회색 레이어 및 상기 다수의 영상 레이어들을 합성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영상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레이어들 간의 합성 시 왜곡을 없애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 필터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필터는,
    히스토그램 평준화(histogram equalization) 및 평균값 필터(Average Fil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합성 순서에 따라 상기 중요도에 대응하는 밝기의 회색 레이어 및 상기 다수의 영상 레이어들을 합성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영상을 생성하는 경우, 기 설정된 알파 참조 값을 근간으로 상기 레이어들을 블렌딩(blen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삭제
KR1020090022137A 2009-03-16 2009-03-16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33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137A KR101633379B1 (ko) 2009-03-16 2009-03-16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2/720,902 US9286823B2 (en) 2009-03-16 2010-03-10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electronic equipment using self-emitting type display
EP19150585.8A EP3525201A1 (en) 2009-03-16 2010-03-11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electronic equipment using self-emitting type display
EP10156216A EP2230662A3 (en) 2009-03-16 2010-03-11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electronic equipment using self-emitting typ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137A KR101633379B1 (ko) 2009-03-16 2009-03-16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014A KR20100104014A (ko) 2010-09-29
KR101633379B1 true KR101633379B1 (ko) 2016-06-27

Family

ID=4222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137A KR101633379B1 (ko) 2009-03-16 2009-03-16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86823B2 (ko)
EP (2) EP3525201A1 (ko)
KR (1) KR101633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2546B (zh) * 2011-10-28 2018-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装置
US9666119B2 (en) 2012-08-30 2017-05-3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urrent in display devices
KR102071631B1 (ko) * 2013-10-01 2020-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감마 편차 보정 방법
US10379772B2 (en) * 2016-03-16 2019-08-13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operations using compressed and decompressed data
EP3474539B1 (en) * 2016-06-16 2023-03-2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Image processing device, and superimposed image generation method
CN106598201B (zh) * 2016-12-13 2020-07-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界面控制方法及装置
JP6648932B2 (ja) * 2017-09-21 2020-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8777134B (zh) * 2018-06-01 2020-08-14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器驱动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334875B (zh) * 2018-11-30 2022-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耗预测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7502A1 (en) * 2004-10-21 2006-04-27 Karidis John P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power saving
KR20060048929A (ko) * 2004-09-17 2006-05-18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개선된 두드러짐을 갖는 활성화된 컨텐츠 위자드 실행
KR20080015679A (ko) * 2006-08-16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밝기조정방법
KR20080111071A (ko) * 2006-04-27 2008-12-2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자발광 표시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3009390A (ja) * 2007-11-29 2013-01-10 Qualcomm Inc 高線形性相補型増幅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5141B2 (en) * 2001-07-10 2006-01-10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driv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US20060227125A1 (en) 2005-03-29 2006-10-12 Intel Corporation Dynamic backlight control
JP4777055B2 (ja) * 2005-11-29 2011-09-21 京セラ株式会社 表示装置、制御方法
US7872688B2 (en) * 2005-11-30 2011-01-18 Broadcom Corporation Selectively applying spotlight and other effects using video layering
KR100745982B1 (ko) 2006-06-19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발광형 디스플레이의 전력 저감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및 방법
US7742011B2 (en) * 2006-10-31 2010-06-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display system
JP4655030B2 (ja) 2006-11-30 2011-03-23 株式会社デンソー 画像表示装置
TWI479891B (zh) * 2007-06-26 2015-04-01 Apple Inc 動態背光調適
FR2921189B1 (fr) * 2007-09-18 2015-11-20 Thales Sa Dispositif de presentation temporaire de donnees sur un ecran de visualisation
JP4530014B2 (ja) * 2007-09-20 2010-08-2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駆動方法
US8144251B2 (en) * 2008-04-18 2012-03-27 Sony Corporation Overlaid images on TV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929A (ko) * 2004-09-17 2006-05-18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개선된 두드러짐을 갖는 활성화된 컨텐츠 위자드 실행
US20060087502A1 (en) * 2004-10-21 2006-04-27 Karidis John P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power saving
KR20080111071A (ko) * 2006-04-27 2008-12-2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영역별 표시화질 제어장치, 자발광 표시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080015679A (ko) * 2006-08-16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밝기조정방법
JP2013009390A (ja) * 2007-11-29 2013-01-10 Qualcomm Inc 高線形性相補型増幅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30662A2 (en) 2010-09-22
US9286823B2 (en) 2016-03-15
EP3525201A1 (en) 2019-08-14
US20100231616A1 (en) 2010-09-16
EP2230662A3 (en) 2011-03-30
KR20100104014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379B1 (ko)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기기에서 소모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TWI393113B (zh) 轉換三或三以上色彩元素影像輸入信號至一影像輸出信號及顯示該影像輸入信號在一顯示器上的方法、以及四色彩顯示器
TWI395180B (zh) 顯示裝置,視頻信號處理方法,及程式
JP5304211B2 (ja) 表示装置、輝度調整装置、バックライト装置、輝度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46685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adjusting luminance of a display based on remaining battery level and estimated power consumption
US8933972B2 (en) Luminance adjustment in a display unit
US8358293B2 (en) Method for driving light source blocks, driving unit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driving unit
US2008029746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7456852B2 (en) Disp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luminance control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WO2010067839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1003904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US2009021314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color tone or hue of image
US11462143B2 (en) Area brightness adjusting method and display therefor
KR102154698B1 (ko) 표시장치와 그 휘도 향상 방법
KR20110072000A (ko)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N112309321A (zh) 显示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
Choi et al. Adaptive color saturation control for low power RGBW OLED displays
JP2010109794A (ja)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JP4519493B2 (ja) 表示装置
US20150356933A1 (en) Display device
US8446105B2 (en) Display apparatus
CA2769377C (en) Method and system to quickly fade the luminance of an oled display
JP2009152678A (ja)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