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821A - 반도체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821A
KR20080099821A KR1020080043503A KR20080043503A KR20080099821A KR 20080099821 A KR20080099821 A KR 20080099821A KR 1020080043503 A KR1020080043503 A KR 1020080043503A KR 20080043503 A KR20080043503 A KR 20080043503A KR 20080099821 A KR20080099821 A KR 20080099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tatic breakdown
region
layer
breakdown protecti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322B1 (ko
Inventor
후미노리 하시모또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9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Bipolar Integrated Circuits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반도체 집적 회로의 정전 파괴 강도, 래치 업 강도 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정전 파괴 강도, 래치 업 강도 등의 변동을 없애, 반도체 집적 회로로서 일정한 품질을 보증한다. 정전 파괴 보호 셀 EC1에서, 제1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 및 제2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는, P+형의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분리 영역(6)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어, 다른 소자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 분리 영역(6)의 폭 WB1은, 내부 회로(50)를 형성하고 있는 소자를 서로 분리하는 분리 영역(7)의 폭 WB2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전 파괴 강도, 래치 업 강도 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와 같은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 분리 영역(6)의 폭 WB1은, 분리 영역(7)의 폭 WB2(통상은, 그 반도체 집적 회로의 최소의 디자인 룰로 설계됨)보다 2배 이상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1020080043503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내부 회로, 분리 영역, 정전 파괴 보호 소자, 패드

Description

반도체 집적 회로{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 파괴 보호 소자를 구비한 반도체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반도체 집적 회로에서, 내부 회로를 정전 파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정전 파괴 보호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정전 파괴 보호 소자로서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또는 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고, 패드, 즉 내부 회로에 접속되며,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가 인가되거나, 또는 상기 내부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이 패드에 과대한 노이즈 펄스가 인가되면, 정전 파괴 보호 소자가 온하여 노이즈 펄스에 수반되는 전류를 전원선 또는 접지선으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내부 회로를 보호하고 있었다.
또한, 정전 파괴 보호 소자를 구비한 반도체 집적 회로에 대해서는,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3-26423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5-57138호 공보
그러나, 반도체 집적 회로의 패턴 레이아웃에 따라서는, 정전 파괴 강도가 저하되고, 또한, 패드에 인가되는 노이즈 펄스에 기인하여 래치 업이나 내부 회로의 오동작이라고 하는 문제도 생겼다.
본 발명은, 복수의 소자로 형성된 내부 회로와, 상기 내부 회로에 접속되며,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가 인가되거나, 또는 상기 내부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인가되는 패드와, 상기 패드에 접속되며, 상기 내부 회로를 정전 파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정전 파괴 보호 소자와, 상기 정전 파괴 보호 소자를 둘러싸서 형성된,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분리 영역과, 상기 내부 회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소자를 서로 분리하는,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 분리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분리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분리 영역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정전 파괴 보호 소자를 둘러싸서 형성된 제1 분리 영역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분리 영역을 베이스 영역으로 하는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전류 증폭율이 저감된다. 이에 의해, 패드에 노이즈 펄스가 인가되었을 때에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가 제한되어, 정전 파괴 강도, 래치 업 강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외에, 제1 분리 영역은 메탈 배선을 통해서 접지되어 있으므로,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위가 낮게 억제됨과 함께, 베이스 전류를 밖으로 흡출할 수 있으므로,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온하기 어려워져, 정전 파괴 강도, 래치 업 강도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외에, 정전 파괴 보호 소자와 제1 분리 영역을 일체화하여 1개의 정전 파괴 보호 셀을 형성하고,이 정전 파괴 보호 셀을 복수개, 복수의 패드의 각각에 대응시켜 배치하였으므로, 패드마다의 정전 파괴 강도, 래치 업 강도 등의 변동을 없애, 반도체 집적 회로로서 일정한 품질을 보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집적 회로의 정전 파괴 강도, 래치 업 강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전 파괴 강도, 래치 업 강도 등의 변동을 없애, 반도체 집적 회로로서 일정한 품질을 보증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반도체 집적 회로의 1개의 정전 파괴 보호 셀 주변의 회로도이고, 도 2는 정전 파괴 보호 셀 주변의 개략의 패턴 레이아웃도(평면도), 도 3은 도 2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정전 파괴 보호 셀 EC1은, 전원 전위 VCC를 공급하는 전원선(1)과 접지 전위 GND를 공급하는 접지선(2)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 및 제2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본 발명의 정전 파괴 보호 소자의 일례)를 구비한다. 그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베이스는 서로 공통 접속되고, 노이즈 펄스가 인가되지 않는 통상 상태에서는 도통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접속점은, 패드(5)에 접속되어 있다. 패드(5)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내부 회로(50)에 접속되며,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가 인가되거나, 또는 상기 내부 회로(50)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이다. 내부 회로(50)에는 전원선(1)과 접지선(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내부 회로(50)에는, 입력 회로, 출력 회로, 입출력 회로, 그 밖의 기능을 가진 각종 회로가 포함된다.
제1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 및 제2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는, P+형의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분리 영역(6)(본 발명의 제1 분리 영역의 일례)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어, 다른 소자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 분리 영역(6)의 폭 WB1은, 내부 회로(50)를 형성하고 있는 소자를 서로 분리하는 분리 영역(7)(본 발명의 제2 분리 영역의 일례)의 폭 WB2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WB1>WB2).
정전 파괴 보호 셀 EC1 및 그 주변의 소자의 구조에 대해서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서는, 정전 파괴 보호 셀 EC1의 제2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1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와 마찬가지로, 분리 영역(6)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P-형의 반도체 기판(10) 상에 N-형의 에피택셜 반도체층(11)이 형성되고, 이에피택셜 반도체층(11)은, 분리 영역(6, 7)에 의해 복수의 섬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다. 분리 영역(6, 7)은 에피택셜 반도체층(11)의 하방의 반도체 기판(10)으로부터 상방으로 확산된 P+형 하 반도체층과, 에피택셜 반도체층(11)의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확산된 P+형 상 반도체층이 서로 중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형성되어 있 다(상하 분리 구조).
그리고, 분리 영역(6)에 의해 둘러싸여진 1개의 섬 영역(12) 내에, 제1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섬 영역(12)에서, 반도체 기판(10)과 에피택셜 반도체층(11) 사이에 N+형의 매립층(13)이 형성되어 있고, 에피택셜 반도체층(11)의 표면에 N+층(14), P-층(15)이 형성되고, P-층(15) 내에는 N+층(1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N-형의 에피택셜 반도체층(11)이 콜렉터 영역으로 되어 있고, P-층(15)이 베이스 영역으로 되어 있고, N+층(16)이 에미터 영역으로 되어 있다. P-층(15)(베이스 영역)과 N+층(16)(에미터 영역)은 공통 접속되고, 또한 접지되어 있다. N+층(14)은 콜렉터 전극 취출용의 확산층이며, 이 N+층(14)에 패드(5)가 배선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섬 영역(12)의 왼쪽 옆의 섬 영역(17)에는, 내부 회로(50)를 형성하고, 그 일부인 제3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18)가 형성되어 있다. 섬 영역(17)은, 분리 영역(6, 7)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제3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18)의 구조는, 제1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의 구조와 마찬가지이며, 반도체 기판(10)과 에피택셜 반도체층(11) 사이에 N+형의 매립층(19)이 형성되어 있고,에피택셜 반도체층(11)의 표면에 N+층(20), P-층(21)이 형성되고, P-층(21) 내에는 N+층(2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N-형의 에피택셜 반도체층(11)이 콜렉터 영역으로 되어 있고, P-층(21)이 베이스 영역으로 되어 있고, N+층(22)이 에미터 영역으로 되어 있다. 섬 영역(17)의 또 옆의 섬 영역(섬 영역(12)을 제외함)에는, 내부 회로(50)를 형성하고 있는 다른 소자(트랜지스터, 저항, 다이오드 등을 포함함)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섬 영역은 폭 WB2를 갖는 분리 영역(7)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또한,섬 영역(12)의 오른쪽 옆의 섬 영역(23)에는, 내부 회로(50)를 형성하고, 그 일부인 저항 소자(24)가 형성되어 있다. 섬 영역(23)에서도, 반도체 기판(10)과 에피택셜 반도체층(11) 사이에 N+형의 매립층(25)이 형성되어 있다. 저항 소자(24)은 에피택셜 반도체층(11)의 표면에 형성된, 전극 취출용의 P+층(26), 저항 본체를 형성하는 P-층(27)으로 이루어진다. 또한,에피택셜 반도체층(11)의 표면에는 N+층(28)이 형성되고, 이 N+층(28)이 전원선(1)에 접속됨으로써, 섬 영역(23)의 에피택셜 반도체층(11)은 전원 전위 VCC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섬 영역(23)의 또 옆의 섬 영역(섬 영역(12)을 제외함)에는, 내부 회로(50)를 형성하고 있는 다른 소자가 형성되어 있고, 그 섬 영역은 폭 WB2를 갖는 분리 영역(7)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상기의 구조에서,NPN형의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0, 31)가 부수적으로 형성된다.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0)에서,섬 영역(12, 17)을 분리하는 분리 영역(6)이 베이스 영역으로 되고, N+층(20), 섬 영역(17)의 N-형의 에피택셜 반도체층(11)이 콜렉터 영역으로 되고, N+층(14), 섬 영역(12)의 N-형의 에피택셜 반도체층(11)이 에미터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1)에서,섬 영역(12, 23)을 분리하는 분리 영역(6)이 베이스 영역으로 되고, N+층(28), 섬 영역(23)의 N-형의 에피택셜 반도체층(11)이 콜렉터로 되고, N+층(14), 섬 영역(12)의 N-형의 에피택셜 반도체 층(11)이 에미터 영역으로 되어 있다.
패드(5)에 부극성의 노이즈 펄스가 인가되면, 제1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가 온하여, 노이즈 펄스에 수반되는 전류를 접지선(2)으로 빠져나가게 한다. 그러나, 이 때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0, 31)도 노이즈 펄스에 의해 온하면, 그것에 수반되는 서지 전류에 의해 정전 파괴 강도가 저하되게 된다. 또한,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0, 31)에 흐르는 서지 전류에 의해, 내부 회로(50)의 다른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의해 형성되는 기생 사이리스터(40)가 온하여 래치 업이 생겨, 내부 회로(50)의 오동작이 생길 우려도 있다(도 1 참조).
여기서, 래치 업의 메카니즘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기생 사이리스터(40)는, 예를 들면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1)와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2)로 형성된다.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0, 31)에 흐르는 서지 전류에 의해,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1)가 온하면, 그 콜렉터·에미터간의 전류에 의해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2)의 베이스 전위가 상승하여,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2)가 온한다.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2)가 온하면, 그 콜렉터·에미터간의 전류에 의해,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1)의 베이스 전위가 더 저하되어,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1)의 콜렉터·에미터간의 전류가 증가한다. 그리하여, 기생 사이리스터(40)에서, 정귀환이 생겨, 전원선(1)과 접지선(2) 사이에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 영역(6)의 폭 WB1은, 통상의 분리 영역(7)의 폭 WB2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0, 31)의 전류 증폭율이 낮게 억제된다. 이에 의해, 정전 파괴 강도, 래치 업 강도 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와 같은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 분리 영역(6)의 폭 WB1은, 분리 영역(7)의 폭 WB2(통상은, 그 반도체 집적 회로의 최소의 디자인 룰로 설계됨)보다 2배 이상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리 영역(6)의 폭 WB1은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리 영역(6)은 메탈 배선을 통해서 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0, 31)의 베이스 전위가 낮게 억제됨과 함께, 베이스 전류를 저저항의 메탈 배선을 통해서 접지에 신속하게 흡출할 수 있으므로,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0, 31)가 온하기 어려워져, 정전 파괴 강도, 래치 업 강도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전 파괴 보호 셀 EC1은, 제1 및 제2 NPN형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3, 4)와, 분리 영역(6)을 일체화하여, 1개의 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 정전 파괴 보호 셀 EC1은, 복수개, 복수의 패드(5)의 각각에 대응시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 파괴 보호 셀 EC1을 사용하면, 일정한 정전 파괴 강도, 래치 업 강도 등이 얻어진다. 즉, 패드(5)마다의 정전 파괴 강도, 래치 업 강도 등의 변동을 없애, 반도체 집적 회로로서 일정한 품질을 보증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1개의 정전 파괴 보호 셀 주변의 회로도이고, 도 5는 정전 파괴 보호 셀 주변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전 파괴 보 호 셀 EC2는, 전원 전위 VCC를 공급하는 전원선(1)과 접지 전위 GND를 공급하는 접지선(2)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51) 및 제2 다이오드(52)를 구비한다. 제1 다이오드(51) 및 제2 다이오드(52)의 접속점에 패드(5)가 접속되어 있다. 통상의 상태에서, 제1 다이오드(51) 및 제2 다이오드(52)는 오프하고 있지만, 패드(5)에 부극성의 노이즈 펄스가 인가되면, 제1 다이오드(51)가 온하고, 패드(5)에 정극성의 노이즈 펄스가 인가되면, 제2 다이오드(52)가 온하여, 노이즈 펄스에 수반되는 전류를 전원선(1) 또는 접지선(2)에 흘려, 내부 회로(50)를 정전 파괴로부터 보호한다.
도 5의 단면도에서는, 제1 다이오드(51)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제2 다이오드(5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형성할 수 있다. 섬 영역(12)의 N-형 에피택셜 반도체층(11)이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음극)로 되어 있고, 패드(5)에 접속된 N+층이 캐소드 전극 취출용의 확산층으로 되어 있다. 또한,N-형 에피택셜 반도체층(11)의 표면에 형성된 P+층(29)이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양극)로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반도체 집적 회로의 1개의 정전 파괴 보호 셀 주변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전 파괴 보호 셀 EC3은, 전원 전위 VCC를 공급하는 전원선(1)과 접지 전위 GND를 공급하는 접지선(2)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MOS 트랜지스터(61) 및 제2 MOS 트랜지스터(62)를 구비한다. 제1 MOS 트랜지스터(61) 및 제2 MOS 트랜지스터(62)의 접속점에 패드(5)가 접속되어 있다. 제1 MOS 트랜지스터(61)는 N채널형이며, 소스와 게이트가 공통 접속되고, 그들은 접지선(2)에 접속되어 있다. 제2 MOS 트랜지스터(62)는 P채널형이며, 소스와 게이트가 공통 접속되고, 그들은 전원선(1)에 접속되어 있다.
통상에 상태에서는, 제1 MOS 트랜지스터(61), 제2 MOS 트랜지스터(62)는 오프하고 있지만, 패드(5)에 노이즈 펄스가 인가되면, 제1 MOS 트랜지스터(61) 또는 제2 MOS 트랜지스터(62)가 온하여, 노이즈 펄스에 수반되는 전류를 전원선(1) 또는 접지선(2)에 흘려, 내부 회로(50)를 정전 파괴로부터 보호한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분리 영역(6, 7)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상하 분리 구조에 한하지 않고, P+형의 반도체층이 에피택셜 반도체층(11)의 표면으로부터 반도체 기판(10)에 도달하고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정전 파괴 보호 소자, 내부 회로(50)를 형성하는 소자는, NPN형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한하지 않고, PNP형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나 그 밖의 소자가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의 정전 파괴 보호 셀 및 그 주변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의 정전 파괴 보호 셀 및 그 주변의 패턴 레이아웃도(평면도).
도 3은 도 2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의 정전 파괴 보호 셀 및 그 주변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의 정전 파괴 보호 셀 및 그 주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의 정전 파괴 보호 셀 및 그 주변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선
2 : 접지선
3 : 제1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4 : 제2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5 : 패드
6, 7 : 분리 영역
10 : 반도체 기판
11 : 에피택셜 반도체층
12, 17, 23 : 섬 영역
13, 19, 25 : 매립층
14, 16, 20, 22, 28 : N+층
15, 21, 27 : P-층
18 : 제3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24 : 저항 소자
26, 29 : P+층
30, 31 : 기생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40 : 기생 사이리스터
51 : 제1 다이오드
52 : 제2 다이오드
61 : 제1 MOS 트랜지스터
62 : 제2 MOS 트랜지스터
EC1, EC2, EC3 : 정전 파괴 보호 셀

Claims (6)

  1. 복수의 소자로 형성된 내부 회로와, 상기 내부 회로에 접속되며,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가 인가되거나, 또는 상기 내부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인가되는 패드와, 상기 패드에 접속되며, 상기 내부 회로를 정전 파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정전 파괴 보호 소자와, 상기 정전 파괴 보호 소자를 둘러싸서 형성된,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분리 영역과, 상기 내부 회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소자를 서로 분리 하는,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 분리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분리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분리 영역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영역은 상기 정전 파괴 보호 소자의 상하 좌우를 둘러싸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분리 영역의 폭의 2배 이상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영역은 메탈 배선을 통해서 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파괴 보호 소자와 상기 제1 분리 영역을 일체화하여 1개의 정전 파괴 보호 셀을 형성하고,이 정전 파괴 보호 셀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파괴 보호 소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또는 MOS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KR1020080043503A 2007-05-10 2008-05-09 반도체 집적 회로 KR100976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25342 2007-05-10
JP2007125342A JP5252830B2 (ja) 2007-05-10 2007-05-10 半導体集積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821A true KR20080099821A (ko) 2008-11-13
KR100976322B1 KR100976322B1 (ko) 2010-08-16

Family

ID=3953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503A KR100976322B1 (ko) 2007-05-10 2008-05-09 반도체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68100B2 (ko)
EP (1) EP1990835A3 (ko)
JP (1) JP5252830B2 (ko)
KR (1) KR100976322B1 (ko)
CN (1) CN1013040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8015B2 (ja) * 2015-03-18 2019-0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64A (ja) * 1990-10-30 1993-01-14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FR2693032B1 (fr) * 1992-06-25 1994-09-30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Structure de diodes de protection de plot.
US5374565A (en) * 1993-10-22 1994-12-20 United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for ESD protection improvement
JP3252569B2 (ja) * 1993-11-09 2002-02-04 株式会社デンソー 絶縁分離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835986A (en) * 1996-09-06 1998-11-10 Lsi Logic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structure and buffer driver structure for providing ESD and latchup protection for integrated circuit structures in minimized I/O space
KR100222078B1 (ko) * 1996-11-02 1999-10-01 윤종용 최소면적에 형성되는 정전기 보호 회로
JP3446569B2 (ja) 1997-10-31 2003-09-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3472911B2 (ja) 1997-10-31 2003-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
DE69739267D1 (de) * 1997-12-31 2009-04-02 St Microelectronics Srl Methode und Schaltung zur Verbesserung der Eigenschaften eines ESD-Schutzes für integrierte Halbleiterschaltungen
US20010043449A1 (en) * 2000-05-15 2001-11-22 Nec Corporation ESD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391153B1 (ko) * 2001-03-12 200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레이아웃 방법
US6605493B1 (en) * 2001-08-29 2003-08-1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ESD structures with trench isolation
JP3888912B2 (ja) 2002-03-04 2007-03-07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03264238A (ja) 2002-03-11 2003-09-19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
JP4067346B2 (ja) * 2002-06-25 2008-03-26 三洋電機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4401097B2 (ja) * 2003-03-28 2010-01-2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
JP2005057138A (ja) 2003-08-06 2005-03-03 Sanyo Electric Co Ltd 保護回路
JP2006093361A (ja) 2004-09-24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096170A (ja) * 2005-09-30 2007-04-12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
JP2007125342A (ja) 2005-11-02 2007-05-24 Makoto Inayoshi 逆立牽引装置
JP2007317869A (ja) * 2006-05-25 2007-12-06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667241B1 (en) * 2006-09-26 2010-02-23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US7709329B2 (en) * 2007-02-20 2010-05-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voltage variable breakdown voltage (BV) diode for electrostatic discharge (ESD)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04027A (zh) 2008-11-12
JP5252830B2 (ja) 2013-07-31
US7768100B2 (en) 2010-08-03
US20080315344A1 (en) 2008-12-25
CN101304027B (zh) 2010-09-22
KR100976322B1 (ko) 2010-08-16
EP1990835A3 (en) 2011-09-07
JP2008282948A (ja) 2008-11-20
EP1990835A2 (en)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651B1 (ko) 정전기 방전용 실리콘 제어 정류기
KR100236138B1 (ko) 반도체 장치
WO2016148156A1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209433B2 (ja) 静電破壊保護装置
JP3713490B2 (ja) 半導体装置
JP2010182727A (ja) 半導体装置
US8093683B2 (en) Semiconductor device
US7187037B2 (en) ESD protection devices with SCR structures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JP5147044B2 (ja) 半導体装置
US7196378B2 (en) Electrostatic-protection dummy transistor structure
US20090302347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5156331B2 (ja) 半導体装置
KR100842340B1 (ko)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KR100976322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JP4295370B2 (ja) 半導体素子
JP2003060059A (ja) 保護回路および保護素子
US6809393B1 (en) Level shifter
KR20020079603A (ko) 반도체 장치
JP4821086B2 (ja) 半導体装置
JP5383357B2 (ja) 半導体装置
US20070023782A1 (en) Semiconductor device
JP4620387B2 (ja) 半導体保護装置
US8014114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20230290771A1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s having a low trigger voltage
JP5458720B2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