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338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338A
KR20080096338A KR1020070065202A KR20070065202A KR20080096338A KR 20080096338 A KR20080096338 A KR 20080096338A KR 1020070065202 A KR1020070065202 A KR 1020070065202A KR 20070065202 A KR20070065202 A KR 20070065202A KR 20080096338 A KR20080096338 A KR 20080096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sheet
absorbent article
herbal medicine
absorbe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6802B1 (ko
Inventor
장려익
타츠야 타무라
사오리 오카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30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extracted from natural sources,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간 흡수체에 한방약 재료를 사용하여 이것을 시인(視認)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한방약 재료가 갖는 기능을 발휘시키면서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킨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와 이면 시트(20)를 적어도 구비하고, 흡수체(30)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한방약 재료를 함유하는 중간 흡수체(32)와 베이스 흡수체(31)를 구비한다. 또한, 표면 시트(10)와 베이스 흡수체(31)의 일부분을 압축하여 접합시키는 압축홈(4, 41)이 형성된다. 압축홈(4, 41)은 중간 흡수체(32)의 배치 영역을 제외한 위치에 형성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이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Y-Y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수성 물품
4, 41 : 압축홈
10 : 표면 시트
20 : 이면 시트
30 : 흡수체
31 : 베이스 흡수체
32 : 중간 흡수체
33 : 세컨드 시트
321 : 혼합 흡수체
322 : 외장 시트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탈취 기능 등의 흡수 능력 이외의 기능을 부여한 기능성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흡수성 물품은 배설물 등의 흡수 유지라는 기본적인 기능에만 그치지 않고, 흡수 유지 기능 이외의 또 다른 기능을 부여시켜 상품으로서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다른 기능으로는 탈취 기능, 방향 기능, 항균 기능, 온열 기능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하기의 특허 문헌 1에는 흡수성 물품에 소정의 기능을 부여하는 기능성 재료의 분립체(粉粒體)를 유지시킨 기능성 시트를 표면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 배치한 흡수성 물품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72769호 공보
이러한 기능성 재료의 분립체는 흑색, 갈색, 황색 등의 유색을 띠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그 유색성에 의해 상품에 상기한 다른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것이 외 부에서 시인(視認)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기능성을 발휘하는 부위가 특정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소비자가 인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들 유색성은 그것이 불균일하게 분산되어 있거나 색조의 차이가 있거나 하면, 반대로 이물에 의한 품질 불량으로 오인될 우려도 있다.
여기서, 특허 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은 기능성 시트가 표면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 배치되고, 기능성 시트는 표면 시트와 흡수체와 함께 압축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압축부에서는 기능성 시트의 표면이 노출되기 쉬워지고, 유색의 분립체가 압축홈에 점재하여 보이게 되며, 이것이 이물과 같이 보여 대폭적인 상품성의 저하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능성을 부여하는 영역의 존재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그 상품 가치를 높이는 한편, 기능성을 부여하는 영역을 이물 등의 품질 불량으로 오인하는 일이 없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적어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베이스 흡수체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베이스 흡수체 사이이면서 이 흡수성 물품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표면 시트와 색상이 다른 중간 흡수체를 가지며, 상기 중간 흡수체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유색인 한방약 재료를 함유하고, 상기 중간 흡수체의 배치 영역을 제외한 위치에 상기 베이스 흡수체와 상기 표면 시트와의 일부분을 압축하여 형성되는 압축홈을 갖는 흡수성 물품.
(2) 상기 압축홈은 상기 중간 흡수체의 배치 영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3)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표면 시트 측에서 측정한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명도 L*에 대해서 하기 (i) 및 (ii)의 범위 내인 (1) 또는 (2)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i) 중간 흡수체의 배치 영역과, 이 배치 영역의 주변 영역(압축홈을 제외함)과의 명도 L*의 차가 3.5 이상 10 이하
(ii) 압축홈과, 상기 주변 영역과의 명도 L*의 차가 1 이하
(4) 상기 한방약 재료는 애엽, 향부자 및 당귀를 함유하는 것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5) 상기 중간 흡수체는 상기 한방약 재료를 함유하는 혼합 흡수체를 외장 시트로 피복한 후에 압력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6)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중간 흡수체 사이에 배치되는 세컨드 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간 흡수체는 상기 세컨드 시트에 접합되어 있는 (5)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이면도이다. 도 3은 본 발 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1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1의 Y-Y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 도 6의 (B)는 실시예 4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흡수성 물품의 전체 구성>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은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10)와, 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0)와,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배치되며, 배설물 등의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30)를 적어도 갖는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거의 중앙에 길이 방향(LD)을 따라 띠 형상의 흡수부(3)가 형성된다. 흡수부(3)는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로 구성된다. 또한, 흡수부(3)에는 압축홈(4, 41)이 형성된다. 압축홈(4, 41)은 길이 방향(LD)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베이스 흡수체(31)를 접합시킨다.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의 폭 방향(WD)의 양측 각각에는 폭 방향(WD)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날개(2R, 2L)가 형성된다. 날개(2R, 2L)는 표면 시트(10)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양측에 길이 방향(LD)을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 시트(11)와, 이면 시트(20)에 의해 형성된다.
흡수체(30)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10)가 배치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이면 시트(20)가 배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면 시트(20)에 있어 서의 흡수체(30)와는 반대측의 면에는 어긋남 방지부(21) 및 날개측 어긋남 방지부(22R, 22L)가 형성된다.
도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시트(10)는 흡수체(30)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20)가 배치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흡수체(30)를 덮도록 배치되고, 배설물 등의 액체를 후술하는 흡수체(30)에 투과시킨다.
표면 시트(10)의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양측에는 사이드 시트(11)를 배치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11)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일부분이 폭 방향(WD) 외측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고, 후술하는 이면 시트(20)와 함께 날개(2R, 2L)를 형성한다. 또한, 사이드 시트(11)는 표면 시트(10)의 폭 방향(WD)의 양측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는 엠보스부에 의해 접합된다. 사이드 시트(11)를 구성하는 부재는 발수성의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30)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10)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이면 시트(20)가 배치된다. 이면 시트(20)는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의 샘 방지층을 구성한다. 이면 시트(20)는 액 불투과성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고, 흡수체(30)에 있어서 유지하는 배설물 등의 액체가 속옷에 부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흡수체의 구성>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인 흡수체(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는 흡수체(30)가 배치 된다. 흡수체(30)는 주로 배설물 등의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베이스 흡수체(31)와, 배설물 등의 액체를 흡수하면서 다른 기능을 갖는 중간 흡수체(32)에 의해 구성된다.
베이스 흡수체(31)는 배설물 등의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중간 흡수체(32)를 통과한 배설물 등의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한다. 베이스 흡수체(31)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압축홈(4, 41)에 의해 표면 시트(10)와 접합된다. 또한, 베이스 흡수체(31)와 이면 시트(20)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베이스 흡수체(31)는 예컨대 고흡수 폴리머가 혼입된 분쇄 펄프(311)를 적층하여 티슈(312)로 쌈으로써 형성된다. 티슈(312)의 단위 중량은 예컨대 15 g/㎡로 형성된다. 또한, 분쇄 펄프(311)의 단위 중량은 중간 흡수체(32)의 배치 영역에 있어서 300∼500 g/㎡이다. 또한, 베이스 흡수체(31)에 있어서의 중간 흡수체(32)의 배치 영역 이외의 영역의 단위 중량은 180∼250 g/㎡, 바람직하게는 190∼210 g/㎡이다.
중간 흡수체(32)는 베이스 흡수체(31)와 표면 시트(10) 사이에 배치되고, 표면 시트(10)로부터 투과한 배설물 등의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동시에 베이스 흡수체(31)와 함께 흡수체(30)를 구성한다. 또한, 중간 흡수체(32)는 배설물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것 이외에 중간 흡수체(32)에 함유되는 한방약 재료를 갖거나 또, 중간 흡수체(32)는 표면 시트(10)측에서 관찰되는 색상이 표면 시트(10)와는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중간 흡수체(3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흡수성 물품(1)의 흡수부(3)에는 표면 시트(10)와 베이스 흡수체(31)를 접합시키는 압축홈(4)이 배치된다. 압축홈(4)은 저압축부와 고압축부가 교대로 배치됨으로써 형성된다. 압축홈(4)은 길이 방향(LD)을 따라 길어지도록 환형으로 형성된다. 압축홈(4)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D) 양단에 가까운 부분은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거의 중앙 부분이 단부에 가장 가까워지도록 원호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압축홈(4)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내측에는 환형의 압축홈(4)을 폭 방향(WD)으로 연결하도록 완만한 원호형의 압축홈(41)이 형성된다. 흡수부(3)에 있어서의 압축홈(41)으로 둘러싸인 영역에는 후술하는 중간 흡수체(32)가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중간 흡수체(32)의 배치 영역을 제외한 위치에 압축홈(4, 41)이 형성된다.
<중간 흡수체의 구성>
중간 흡수체(3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컨드 시트(33)와 베이스 흡수체(3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중간 흡수체(32)는 흡수부(3)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압축홈(4, 41)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위치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압축홈(4, 41)은 중간 흡수체(32)의 배치 영역을 제외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 흡수체(32)는 배설물 등의 액체를 흡수하고, 또한 베이스 흡수체(31)와는 다른 기능을 갖는다.
중간 흡수체(32)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한방약 재료와 흡수 펄프를 혼합시킨 소정량의 혼합 흡수체(321)를 외장 시트(322)로 쌈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한방약 재료가 갖는 효능에 의해 배설물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기능에 부가하여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중간 흡수체(32)에 사용되는 한방약 재료는 유색의 한방약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방약 재료가 갖는 흑색, 갈색, 황색 등의 유색성에 의해 표면 시트(10) 및 세컨드 시트(33)를 통해 중간 흡수체(32)를 시인할 수 있게 된다.
중간 흡수체(32)가 갖는 기능이란, 배설물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동시에, 예컨대, 소취 기능을 들 수 있다.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1)과 피부가 스치거나 통풍이 되지 않아 습기차고 후끈거리거나 함으로써 생기는 일이 있는 가려움이나 염증을 저감시키거나 하는 효과를 갖도록 하여도 좋다. 중간 흡수체(32)에 사용되는 한방약 재료는 중간 흡수체(32)에 요구되는 기능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방약 재료의 선택은 중간 흡수체(32)에 요구되는 기능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동시에 제조 공정의 관점에서도 고려된다. 구체적으로는, 한방약 재료의 입도 분포나 평균 입자 직경을 고려한다. 예컨대, 중간 흡수체(32)를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한방약 재료와 혼합되는 흡수 펄프의 평균 입자 직경과의 관계를 고려한다. 흡수 펄프보다도 평균 입자 직경을 크게 했을 경우에는, 한방약 재료가 중간 흡수체(32) 속에 점재하여 얼룩이 발생하여 외관이 나빠진다. 한방약 재료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흡수 펄프의 평균 입자 직경의 절반 정도이다. 구체적으로는 150∼250 메쉬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조 공정의 관점에서의 한방약 재료의 선택은 제조시에 있어서의 한방약 재료의 유동성을 고려하여 행한다. 제조시의 한방약 재료를 반송하는 공정에 있어서 분말끼리의 응집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이동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른 유동성이 높은 한방약 재료를 혼합하거나 또는 혼합 비율을 크게 함으로써 한방약 재료 전체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중간 흡수체(32)에 사용되는 한방약 재료는 구체적으로 생약인 애엽, 당귀, 향부자 중 적어도 1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당귀, 애엽 및 향부자를 각각 1:1:1의 비율로 혼합한다. 이에 따라, 중간 흡수체(32)에 소취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
중간 흡수체(32)에 사용되는 한방약 재료는 유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방약 재료로서 사용되는 애엽이 갖는 색으로는 녹색 내지 갈색이고, 당귀가 갖는 색으로는 다색(茶色)이며, 향부자가 갖는 색으로는 짙은 다색이다. 이들 색을 갖는 한방약 재료가 혼합됨으로써, 중간 흡수체(32)는 전체적으로 다갈색상의 색을 갖는다. 이에 따라, 예컨대, 백색계의 주위의 색과의 명도차(콘트라스트)가 생겨 중간 흡수체(32)를 표면 시트(10)측에서 적합하게 시인할 수 있다.
애엽(艾葉)의 효능으로는 신체를 따뜻하게 하고, 식욕증진, 담즙분비촉진, 지혈작용이 있으며, 복통, 가슴앓이, 설사, 변비, 코피, 혈뇨, 치질을 들 수 있다.
당귀(當歸)의 효능으로는 혈색불량, 냉증, 혈행장해에 대하여 보혈, 강장, 진통약으로서 부인병을 들 수 있다.
향부자(香附子)의 효능으로는 통경, 정혈(淨血), 진통, 진정제로서 월경불순, 생리통, 갱년기 장해 등의 부인병, 만성위염, 십이지장궤양, 신경성위염을 들 수 있다.
한방약 재료와 함께 혼합되는 흡수 펄프는 베이스 흡수체(31)에 이용되는 흡수 펄프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 펄프는 50∼70 g/㎡가 바람직하다.
한방약 재료는 40∼60 g/㎡를 사용할 수 있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55 g/㎡일 때 0.1 g이 사용된다. 이 양을 사용함으로써, 표면 시트(10)를 통하여 중간 흡수체(32)에 있어서 한방약 재료가 혼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혼합되어 있는 한방약 재료의 분포에 얼룩도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된다. 혼합 흡수체(321)에 있어서, 한방약 재료가 40 g/㎡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표면 시트(10)를 통해서 한방약 재료가 혼합되어 있는 것을 시인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나아가서는, 혼합된 한방약 재료의 분포에 얼룩이 발생한다. 또한, 한방약 재료가 60 g/㎡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혼합 흡수체(321)에 있어서의 흡수 펄프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흡수 속도가 나빠져서 액 복귀가 쉬워진다. 또한, 혼합 흡수체(321)에 있어서의 한방약 재료의 비율이 커지기 때문에, 외장 시트(322)에 의한 시일성이 나빠져서 한방약 재료의 탈락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 흡수체(321)에 있어서의 한방약 재료와 흡수 펄프의 양 및 비율은 중간 흡수체(32)의 흡수성이나 생산성 및 제품 외관상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또한,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한방약 재료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 시트(3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방약 재료와 흡수 펄프로 이루어지는 혼합 흡수체(321)를 싸는 시트이다. 외장 시트(322)는 혼합 흡수체(321)를 감도록 싸고, 이 외장 시트(322)의 단부끼리가 상기 베이스 흡수체(31)측에 있어서 서로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중간 흡수체(32)는 베이스 흡수체(31)와 간헐적으로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흡수체(32)를 구성하는 외장 시트(322)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31) 측의 면과 베이스 흡수체(31)에 있어서의 중간 흡수체(32) 측의 면이 간헐적으로 배치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여기서 간헐적이란, 외장 시트(322)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31) 측의 면 전체에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이 아니라,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는 영역을 갖도록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접착제를 도트형이나 점선형, 선형, 스파이럴형 등으로 접착제가 접착면에 배치된다.
외장 시트(322)는 액 투과성의 시트이면 좋고, 예컨대 티슈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장 시트(322)의 단위 중량은 예컨대 16 g/㎡이다.
<세컨드 시트>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중간 흡수체(32)와 표면 시트(10) 사이에는 세컨드 시트(33)를 배치할 수 있다. 세컨드 시트(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로 접은 상태에서 중간 흡수체(32)와 표면 시트(10) 사이에 배치된다.
세컨드 시트(33)는 중간 흡수체(32)를 덮도록 배치되지만, 세컨드 시트(33)가 둘로 접혀진 상태에서 후술하는 압축홈(4, 41)으로 둘러싸인 영역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컨드 시트(33)가 둘로 접혀진 상태에서 중간 흡수체(32)의 표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커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세컨드 시트(33)의 단위 중량은 20 g/㎡이며, 세컨드 시트(33)에 있어서의 길 이 방향의 길이가 100∼110 ㎜, 바람직하게는 90∼110 ㎜의 시트를 둘로 접어 형성된다.
세컨드 시트(33)에 사용되는 부재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을 코어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시스로 한 코어-시스 구조의 섬유로서, 3.3 dtex, 섬유 길이가 51 ㎜인 섬유로 이루어진 에어 스루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세컨드 시트(33)는 예컨대 20 g/㎡의 부직포를 둘로 접어 사용하면, 단위 중량은 40 g/㎡이 된다. 세컨드 시트(33)는 표면 시트(10)보다도 밀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컨드 시트(33)는 표면 시트(10)보다도 밀도가 높음으로써, 표면 시트(10)로부터의 액 이행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세컨드 시트(33)는 그 둘로 접은 상태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31)측의 면에 중간 흡수체(32)가 접합된다. 세컨드 시트(33)와 중간 흡수체(32)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세컨드 시트(33)에 중간 흡수체(32)를 접합시킴으로써, 중간 흡수체(32)와 세컨드 시트(33) 및 표면 시트(10)가 보다 밀착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10)가 배치된 면에서, 표면 시트(10) 및 세컨드 시트(33)를 통해 중간 흡수체(32)를 확인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중간 흡수체(32) 및 흡수성 물품(1)은 이하와 같이 제작된다. 우선 한방약 재료와 흡수 펄프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흡수체(321)를 외장 시트(322)에 적층시킨다. 그리고, 적층된 한방약 재료와 흡수 펄프와의 혼합 흡수체(321)를 외장 시트(322)로 감도록 전체를 감싼다. 이 경우, 혼합 흡수체(321)를 감싼 외장 시 트(322)의 단부는 서로 적층된 상태가 된다. 이 적층된 부분은 베이스 흡수체(31)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베이스 흡수체(31)측에 외장 시트(322)가 적층된 부분이 배치됨으로써, 적층된 부분에 의한 단차의 영향을 표면 시트(10)측으로 미치게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단차나 시트가 적층됨에 따른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혼합 흡수체(321)는 외장 시트(322)로 포장된 상태에서 소정의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압축되어 소정의 두께로 시트화된다. 이 압축 처리에 의해 중간 흡수체(32) 속의 공극이 적어져 중간 흡수체(32)의 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축됨으로써, 사용시에 있어서 일정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일단 흡수한 배설물 등의 액체를 방출하기 어렵게 되어 액 복귀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배설물 등의 액체를 흡수할 때에 표면 시트(10) 상에 액체가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압축 처리에 있어서 중간 흡수체(32)에 가해지는 압력은 2.0∼3.3 kgf인 것이 바람직하다. 2.0 kgf보다도 작은 압력의 경우에는, 중간 흡수체(32)에 있어서의 액체의 침투 속도는 좋아지지만, 제조시의 반송시에 있어서 외장 시트(322)에 의한 구속력이 작아 혼합 흡수체의 탈락이 일어난다. 또한, 3.3 kgf보다도 압력이 큰 경우에는, 중간 흡수체(32)에 있어서의 배설물 등의 액체가 침투하는 침투 속도가 느려진다.
다음에, 중간 흡수체(32)는 세컨드 시트(33)에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세컨드 시트(33)는 둘로 접은 상태에서 표면 시트(10)에 적층되어 서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중간 흡수체(32)는 세컨드 시트(33)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31)측의 면에 적층되어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이 경우, 중간 흡수체(32)는 전술한 압축 처리에 의해 소정의 두께로 시트화되어 있고,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세컨드 시트(33)에 적층된다.
중간 흡수체(32)의 길이 방향(LD)에 있어서의 길이는 55∼85 ㎜, 바람직하게는 45∼100 ㎜이다. 또한,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길이는 20∼30 ㎜, 바람직하게는 20∼35 ㎜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LD)의 길이가 65 ㎜, 폭 방향(WD)의 길이가 28 ㎜이다. 길이 방향(LD)의 길이가 45 ㎜보다도 작은 경우, 또는 폭 방향(WD)의 길이가 20 ㎜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중간 흡수체(32)에 적합한 단위 중량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한방약 재료의 시각적인 인식이 곤란해진다. 또한, 소취에 필요한 한방약 재료를 소정량보다 많이 봉입하면, 한방약 재료의 탈락 등의 폐해가 있어 반송이 곤란해진다. 길이 방향(LD)의 길이가 85 ㎜보다도 큰 경우 또는 폭 방향(WD)의 길이가 35 ㎜보다도 큰 경우에는 주위를 둘러싸는 압축홈(4, 41)에 중간 흡수체(32)가 겹치게 된다. 그렇게 하면, 중간 흡수체(32)가 겹치는 부분은 압축홈(4, 41)과 함께 압축됨으로써, 한방약 재료가 압축홈(4, 41)으로 시인되어 이물로 간주되는 경우가 있다.
표면 시트(10)의 세컨드 시트(33)와는 반대측의 면으로서, 폭 방향(WD)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LD)을 따라 사이드 시트(11)가 배치되고, 표면 시트(10)와 사이드 시트(11)와 함께 핫멜트 접착제 및/또는 엠보스 처리에 의해 접합된다.
다음에, 적층된 중간 흡수체(32)에 있어서의 세컨드 시트(33)와는 반대측의 면에는 중간 흡수체(32)를 덮도록 베이스 흡수체(31)가 더 적층되고, 베이스 흡수체(31)와 표면 시트(10)를 일체화하도록 압축홈(4, 41)이 형성된다. 이 경우, 압축홈(4, 41)은 중간 흡수체(32)의 배치 영역을 제외한 위치에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중간 흡수체(32)는 압축홈(4) 및 압축홈(41)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된다. 중간 흡수체(32)는 흡수부(3)의 폭 방향(WD) 및 길이 방향(LD)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며, 엠보스 처리에 의한 압축홈(4, 41)이 형성되지 않는 장소에 배치된다. 따라서, 압축홈(4, 41)에 의해 한방약 재료가 압축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한방약 재료가 압축홈(4, 41)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한방약 재료의 색이 점재되어 보이는 것에 따른 외관상의 시인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압축홈(4, 41)을 형성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에 소정의 강성을 부여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1)이 꼬이거나 흡수부(3)의 표면에 있어서 배설물 등의 액체가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간 흡수체(32)와 베이스 흡수체(31)는 서로 접하는 면에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간헐적으로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흡수체(32)와 베이스 흡수체(31)가 접하는 면에서 핫멜트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서로 접합된다. 핫멜트 접착제는 액 불투과성이기 때문에, 핫멜트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중간 흡수체(32)로부터 베이스 흡수체(31)로의 액의 투과를 저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간 흡수체(32)는 세컨드 시트(33)와 베이스 흡수체(31)에 각각 접하는 면이 접합되게 된다. 또한, 세컨드 시트(33)는 표면 시트(10)와 접합되기 때문에, 중간 흡수체(32)는 간접적으로 표면 시트(10)와 접합되며, 표면 시트(10)와 베이스 흡수체(31)가 간접적으로 접합된다. 이에 따라, 이 흡수성 물품(1)의 장착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이 꼬이거나 하는 경우에 한방약 재료가 외장 시트(322)의 외측으로 나오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표면 시트(10)측으로부터 중간 흡수체(32)에 있어서의 한방약 재료의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중간 흡수체(32)는 적어도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의 신체의 배설구가 접촉된다고 상정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배설물 등의 액체를 배출되자마자 곧바로 흡수시킬 수 있다. 또한, 냄새의 발생원인 배설물 등의 액체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소취 기능을 적합하게 발휘할 수 있다.
베이스 흡수체(31)에 있어서의 중간 흡수체(32)가 배치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이면 시트(20)가 배치되어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색차에 의한 규정>
중간 흡수체(32)는 표면 시트(10) 및 세컨드 시트(33)를 통해 시인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시트(10)측에서 측정한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명도 L*의 차를 비교한다. 즉, 중간 흡수체(32)의 배치 영역과, 이 배치 영역의 주변 영역[단, 압축홈(4, 41)을 제외함. 예컨대, 도 1에 있어서의 베이스 흡수체(31)의 인출선 종단의 위치]와의 명도 L*의 차가 3.5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명도 L*의 차가 3.5 미만이면, 한방약 재료를 함유하는 중간 흡수체(32)의 배치 영역의 존재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명도 L*의 차가 10을 초과하면, 중간 흡수체(32)의 배치 영역의 존재 가 시각적으로 과도해져서 원래 흡수성 물품이 갖는 위생감이 손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압축홈(4, 41)과, 상기한 주변 영역과의 명도 L*의 차는 1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방약 재료를 함유하는 중간 흡수체(32)의 배치 영역을 제외한 위치에 압축홈(4, 4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홈(4, 41)의 형성에 의해 유색의 한방약 재료가 압축홈(4, 41)에 점재되어 보이는 일이 없다. 이것은 명도 L*의 차로 보았을 경우, 상기한 명도 L*의 차가 작은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방약 재료를 혼합한 중간 흡수체(32)를 배치함으로써, 한방약 재료를 함유하는 흡수체의 위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한방약 재료를 베이스 흡수체(31)에 혼합한 경우에는, 베이스 흡수체(31) 전체에 한방약 재료가 혼합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압축홈(4, 41)이 형성되면, 베이스 흡수체(31) 전체에 점재하는 한방약 재료도 압축된다. 그렇게 하면, 압축된 한방약 재료가 검은 점과 같이 시인되는 경우가 있는 등, 외관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검은 점은 사용자에게는 먼지나 벌레가 혼입된 것처럼 오인되어 이러한 흡수성 물품은 불량품인 것처럼 인식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중간 흡수체(32)에만 한방약 재료를 혼합하여 시트화함으로써 한방약 재료를 배치하는 위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의 외관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압축홈(4, 41)에 한방약 재료가 위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오인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중간 흡수체(32)를 압축하여 시트화함으로써, 중간 흡수체(32) 내부의 공극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단 흡수한 배설물 등의 액체가 일정한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배출되는 액 복귀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1) 사용중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중간 흡수체(32)에 한방약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에 소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예컨대, 가려움 등의 생리중의 여성 특유의 증상을 저감시키는 다른 효능을 갖는 한방약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효과를 기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중간 흡수체(32)에 사용되는 한방약 재료는 유색이다. 이에 따라, 이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한방약 재료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애엽, 당귀 및 향부자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들 한방약 재료가 갖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적합한 시인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들 한방약 재료가 갖는 냄새나 유색성에 의해 사용자가 이들 기능이 발휘되는 것에 대한 감정을 유발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중간 흡수체(32)가 세컨드 시트(33)와 접합된다. 이 때문에, 중간 흡수체(32)와 세컨드 시트(33) 및 표면 시트(10)를 밀착시킬 수 있어, 표면 시트(10)측으로부터 중간 흡수체(32)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흡수성 물품(1)의 특징을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세컨드 시트(33)를 표면 시트(10)와 중간 흡수체(32) 사이에 배치하였지만, 세컨드 시트(33)는 배치하지 않고, 표면 시트(10)와 베이스 흡수체(31) 사이에 중간 흡수체(32)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압축홈(4, 41)에 있어서도 액 투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한방약 재료는 액을 투과하지 않기 때문에, 압축홈(4, 41)에 한방약 재료가 함유되면, 압축홈(4, 41)에 있어서 한방약 재료가 함유된 부분에서는 액 불투과가 된다. 이 때문에, 배설물 등의 액체가 배설된 경우에, 표면에 액체가 남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방약 재료가 함유되는 영역에는 압축홈(4, 41)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압축홈(4, 41)에 있어서도 액 투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방약 재료로서 당귀, 애엽 및 향부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3종류의 한방약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소취 효과 및 시인성에 있어서 적합하게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한방약 재료의 향기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제조상에 있어서도 이들 3종류의 한방약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분말형의 한방약 재료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중간 흡수체(32)를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D) 및 길이 방향(LD)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 흡수체(32)는 압축홈(4, 41)이 형성되지 않는 장소라면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압축홈(4, 41)을 환형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압축홈(4)을 흡수부(3)의 폭 방향(WD) 양측 근방에 길이 방향(LD)을 따르도록 2줄 형성하고, 중간 흡수체(32)를 그 사이에 길이 방향(LD)을 따라 띠 형상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의 중간 흡수 체(32)는 적어도 배설구가 접촉된다고 상정되는 위치를 포함하고, 흡수부(3)의 전체에 걸쳐 배치되어도 좋으며, 흡수성 물품(1)의 단부측 중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중간 흡수체(32)는 한방약 재료가 함유되는 혼합 흡수체(3)를 면 형상으로 배치하여 외장 시트(322)가 감싸도록 하여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외장 시트(322)에 부분적으로 혼합 흡수체(321)를 배치하여 외장 시트(322)로 감싸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혼합 흡수체(321)를 소위 스트라이프상이나 도트상으로 배치하여 외장 시트(322)로 쌈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1)은 소위 입체 주름을 형성하지 않지만, 입체 주름을 배치하여도 좋다. 예컨대, 사이드 시트(11)의 표면 시트(10)측의 단부를 길이 방향(LD)을 따라 접어서 실 형상 고무를 일정한 배율로 신장한 상태로 끼워 사이드 시트(11)가 접힌 부분에 고정함으로써 입체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1)의 중간 흡수체(32)는 생리용 냅킨으로서 사용되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팬티라이너나 기저귀(성인용, 아이용)에도 중간 흡수체(32)를 마찬가지로 배치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중간 흡수체(32)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중간 흡수체(32)를 천 생리대에 끼우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중간 흡수체(32)를 이하와 같이 제작하였다. 한방약 재료로서 애엽, 향부자 당귀를 각각 1:1:1의 비율로 0.1 g, 단위 중량이 55 g/㎡가 되도록 혼합하고, 또한, 단위 중량이 66 g/㎡의 흡수 펄프와 혼합하고, 16 g/㎡의 티슈로 싸서 3.0 kgf의 압력을 가하여 시트화하였다. 그리고, 이 중간 흡수체(32)를 흡수성 물품(1)에 삽입하여 샘플을 제작하였다.
시험 방법은 이하와 같다. 샘플을 일정량의 악취 성분 시료와 함께 테드라백(tedlar bag; 냄새봉지) 안에 봉입하여 240분간 항온으로 유지하였다. 그리고, 240분간 시간 경과 중인 분위기를 골라내어 각 악취 성분 시료에 대응하는 검지관에 의해 간이 농도 측정을 행하였다. 습식(wet) 시험의 경우는 여과지에 물 1 ㎖를 함유시킨 후, 샘플과 함께 테드라백 안에 봉입하였다. 또한, 악취 성분 시료는 트리메틸아민과 암모니아로 하였다.
이하의 표 1은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단위는 ppm이다.
시간 경과(min) 트리메틸아민 (건식) 트리메틸아민 (습식) 암모니아 (건식) 암모니아 (습식)
0 5.0 5.0 10.0 10.0
1 3.5 3.5 3.0 3.0
15 1.0 0.5 0.5 0.5
30 0.5 0.2 0.0 0.0
60 0.5 0.2 0.0 0.0
120 0.2 0.0 0.0 0.0
240 0.0 0.0 0.0 0.0
시료질량 7.2 6.85 7.21 7.52
트리메틸아민과 암모니아에 대해서 각각 건식(dry) 시험과 습식(wet)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는 모두 시험 개시로부터 240분 경과까지는 악취 성분 농도가 0 ppm이 되어 소취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샘플과 동일한 샘플을 제작하고, 제작하고 나서 3일간, 14일간, 28일간 샘플을 방치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기간을 방치한 샘플을 일정량의 악취 성분 시료와 함께 테드라백 안에 봉입하여 240분간 항온으로 유지하였다. 그리고, 240분간 시간 경과 중인 분위기를 골라내어 각 악취 성분 시료에 대응하는 검지관에 의해 간이 농도 측정을 행하였다. 악취 성분 시료는 트리메틸아민,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4성분을 혼합한 혼합 시료를 사용하였다. 시험 결과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5에 따르면, 3일간, 14일간, 28일간 방치한 어느 샘플에 있어서도, 악취 성분 시료의 농도가 낮아지고, 소취 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일정 기간 방치했다고 해도 소취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사용한 샘플과 동일한 샘플을 제작하여 중간 흡수체(32)의 배치 영역(A), 흡수부(3)에 있어서의 압축홈(4, 41) 및 중간 흡수체(32) 이외의 영역(B) 및 압축홈(4, 41)의 부분(C)의 색차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코니카미놀타사에서 제조한 색채 색차계(모델 번호: CR-300)를 사용하였다. 또한, 측정은 한방약 재료에 대해서 2개의 로트에 대하여 3개의 샘플을 제작하고, 그 평균을 측정 결과로 하였다. 이하의 표 2는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의 E, L*, a, b는 각각 L* a* b* 표색계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의 기준색(백색 교정판)에 대한 샘플의 색차, 밝기, 붉은 정도, 노란 정도의 값을 나타낸다.
샘플 A B C
E L* a b E L* a b E L* a b
평균1 12.26 -12.21 -0.03 1.15 3.19 -3.07 -0.79 -0.08 2.68 -2.51 -0.86 0.41
평균2 7.96 -7.86 -0.34 1.22 3.75 -3.61 -0.99 -0.10 4.14 -4.07 -0.76 0.10
L* a* b* 표색계에 있어서의 명도 L*의 차를 비교한다. 중간 흡수체(32)의 배치 영역 A는 다른 영역 B, C에 비하여 명도 L*가 낮다고 하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명도 L*의 영역 A와 B와의 차는 4.25이며, 바람직한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샘플과 동일한 샘플을 제작하였다. 단, 중간 흡수체(32)에 있어서의 한방약 재료의 양을 샘플 1에 대해서는 0.1 g, 샘플 2에 대해서는 0.4 g으로 하였다. 각 샘플에 대해서 각각 4℃ 또는 50℃의 상황 하에 있어서 28일간 경과시켰다. 그리고, 기간 동안의 향기의 변화에 대해서 시험을 행하였다. 평가는 향기의 강도에 대해서 0에서 6까지의 5단계 평가로 하였다. 시험 결과는 도 6의 (A),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의 (A)는 4℃의 조건 하에 있어서 샘플 1 샘플 2의 향기 강도에 대한 시험 결과이고, 도 6의 (B)는 50℃의 조건 하에 있어서의 샘플 1 샘플 2의 향기 강도에 대한 시험 결과이다. 도 6의 (A), 도 6의 (B)에 따르면, 샘플 1 및 샘플 2에 있어서의 향기의 강도는 일정 기간 경과한 후에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방약 재료의 유색성에 의해 기능성을 부여하는 영역의 존재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한편, 한방약 재료를 이물의 혼입 등의 품질 불량으로 오인하는 일이 없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베이스 흡수체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베이스 흡수체 사이이면서 이 흡수성 물품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표면 시트와 색상이 다른 중간 흡수체를 가지며,
    상기 중간 흡수체는 1종류 이상의 유색인 한방약 재료를 함유하고,
    상기 중간 흡수체의 배치 영역을 제외한 위치에 상기 베이스 흡수체와 상기 표면 시트와의 일부분을 압축하여 형성되는 압축홈을 갖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홈은 상기 중간 흡수체의 배치 영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표면 시트측에서 측정한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명도 L*에 대해서 하기 (i) 및 (ii)의 범위 내인 흡수성 물품:
    (i) 중간 흡수체의 배치 영역과, 이 배치 영역의 주변 영역(압축홈을 제외함)과의 명도 L*의 차가 3.5 이상 10 이하
    (ii) 압축홈과, 상기 주변 영역과의 명도 L*의 차가 1 이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약 재료는 애엽, 향부자 및 당귀를 함유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약 재료는 애엽, 향부자 및 당귀를 함유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흡수체는 상기 한방약 재료를 함유하는 혼합 흡수체를 외장 시트로 피복한 후에 압력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형상인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중간 흡수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세컨드 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간 흡수체는 상기 세컨드 시트에 접합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070065202A 2007-04-27 2007-06-29 흡수성 물품 KR100926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20339 2007-04-27
JP2007120339A JP4261593B2 (ja) 2007-04-27 2007-04-27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338A true KR20080096338A (ko) 2008-10-30
KR100926802B1 KR100926802B1 (ko) 2009-11-12

Family

ID=4005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202A KR100926802B1 (ko) 2007-04-27 2007-06-29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61593B2 (ko)
KR (1) KR100926802B1 (ko)
CN (1) CN101292930B (ko)
TW (1) TWI4639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47066B1 (en) 2003-02-12 2008-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fortable diaper
EP1447067B1 (en) 2003-02-12 2007-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and dry diaper
EP2157950B1 (en) 2007-06-18 2013-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and method
DE112008000011B4 (de) 2007-06-18 2013-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inwegabsorptionsartikel und dessen Verwendung
BRPI0910858A2 (pt) 2008-04-29 2018-03-27 Procter & Gamble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 núcleo absorvente com uma cobertura de núcleo resistente à estiramento
US8292864B2 (en) 2008-08-08 2012-10-2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multilayer visual signal
US8262633B2 (en) 2008-08-08 2012-09-1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multi-component visual signal
JP5815916B2 (ja) * 2009-03-31 2015-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X2012001996A (es) * 2009-08-27 2012-02-29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que tiene una señal visual de multiples capas.
WO2011025485A1 (en) * 2009-08-27 2011-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multi-component visual signal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JP5665374B2 (ja) * 2010-06-07 2015-02-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L2532332T5 (pl) 2011-06-10 2018-07-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ieluszka jednorazowego użytku o zredukowanym połączeniu pomiędzy wkładem chłonnym a warstwą spodnią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CA2838432C (en) 2011-06-10 2018-0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RU2630211C1 (ru) 2011-06-10 2017-09-05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Одноразовые подгузники
EP3287109B1 (en) 2011-06-10 2023-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CA2838980A1 (en) 2011-06-10 2012-1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PL2532328T3 (pl) 2011-06-10 2014-07-31 Procter & Gamble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orzenia struktur chłonnych z materiałem chłonnym
JP5904841B2 (ja) * 2012-03-30 2016-04-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5996236B2 (ja) * 2012-03-30 2016-09-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26128B2 (ja) 2012-05-09 2015-05-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X348890B (es) 2012-11-13 2017-07-03 Procter & Gamble Artículos absorbentes con canales y señales.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EP2740452B1 (en) 2012-12-10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PL3254656T3 (pl) 2013-06-14 2022-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i wkład chłonny tworzący kanały w stanie mokrym
MX2016002608A (es) 2013-08-27 2016-06-17 Procter & Gamble Articulos absorbentes con canales.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US10292875B2 (en) 2013-09-16 2019-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EP3351225B1 (en) 2013-09-19 2021-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S2606320T3 (es) 2013-12-19 2017-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s absorbentes que tienen áreas formadoras de canal y juntas de envoltura en c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JP6238808B2 (ja) * 2014-03-25 2017-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271997B2 (en) 2014-04-08 2019-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substrates having zonal treatments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CN107405242A (zh) 2015-03-16 2017-11-28 宝洁公司 带有改善的芯的吸收制品
EP3270857B1 (en) 2015-03-16 2019-12-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strength
US10736795B2 (en) 2015-05-12 2020-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re-to-backsheet adhesive
US10543129B2 (en) 2015-05-29 2020-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s and wetness indicator
CN107865978B (zh) * 2015-11-04 2020-07-14 泉州市洛江区汇丰妇幼用品有限公司 中药卫生保健护垫的制作方法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JP6320466B2 (ja) * 2016-07-07 2018-05-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88731B2 (ja) * 2018-04-27 2022-06-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RU2759934C1 (ru) * 2018-06-05 2021-11-18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Одноразовое изделие типа трусов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дноразовых изделий типа трусов
CN109602544A (zh) * 2019-01-22 2019-04-12 徐美岭 一种预防妇科炎症的医用护理垫
JP7179072B2 (ja) 2019-03-06 2022-11-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270A (ja) * 1995-02-21 1996-09-03 Hideki Kamiya 使い捨て衛生着用品
JP2002114617A (ja) * 2000-10-04 2002-04-16 Yamaso Micron:Kk 天然消臭抗菌剤、それを用いた消臭抗菌製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消臭抗菌方法
JP4127494B2 (ja) * 2002-06-21 2008-07-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20030077509A (ko) * 2003-09-09 2003-10-01 주식회사 퓨어린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및 그 제조방법
CN1286533C (zh) * 2004-12-29 2006-11-29 山东益母妇女用品有限公司 矫味卫生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32198A (en) 2009-08-01
JP4261593B2 (ja) 2009-04-30
TWI463970B (zh) 2014-12-11
JP2008272269A (ja) 2008-11-13
CN101292930B (zh) 2013-07-24
KR100926802B1 (ko) 2009-11-12
CN101292930A (zh)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802B1 (ko) 흡수성 물품
JP6307184B2 (ja) 吸収性物品
US8822752B2 (en) Disposable diaper
CN108024883B (zh) 吸收性物品
JP5904841B2 (ja)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2016067912A5 (ko)
CZ293346B6 (cs) Absorpční výrobek
JP6186136B2 (ja) 吸収性物品
JP5665374B2 (ja) 吸収性物品
JP5330804B2 (ja) 吸収性物品
WO2016047319A1 (ja) 吸収性物品
WO2013105571A1 (ja) 吸収性物品
JP2001258936A (ja) 吸収性物品
WO2020195483A1 (ja) 吸収性物品
JP3244472U (ja) 吸収性物品
WO2021192640A1 (ja) 吸収性物品、及び包装吸収性物品
JP7429520B2 (ja) 吸収性物品
WO2023112900A1 (ja) 吸収性物品
CN113784695B (zh) 吸收性物品
MX2008007105A (en) Absorbent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