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464A - 겔상 경장 영양제 및 그 조제 방법 - Google Patents

겔상 경장 영양제 및 그 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464A
KR20080092464A KR1020087021249A KR20087021249A KR20080092464A KR 20080092464 A KR20080092464 A KR 20080092464A KR 1020087021249 A KR1020087021249 A KR 1020087021249A KR 20087021249 A KR20087021249 A KR 20087021249A KR 20080092464 A KR20080092464 A KR 20080092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nutrient
enteric
nutrien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도야마
히로시 에치젠
Original Assignee
메이지뉴교오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지뉴교오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메이지뉴교오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2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연하 곤란자나 경관 투여중인 환자 등이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지 않고 안심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겔상 경장 영양제 및 그 조제 방법을 제공한다. 연하 곤란자나 경관 투여중인 환자 등이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지 않기 위한 적절한 물성값으로서, 경장 영양제와 소정의 pH의 수용액을 중량비로 3:7로 혼합한 직후에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 경우에 있어서 영양 성분의 용출률이 0∼0.2인 겔상 경장 영양제. 경장 영양제와 소정의 pH의 수용액을 중량비로 3:7로 혼합하고나서 30분간 유지한 후에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 경우에 있어서 영양 성분의 용출률이 0∼0.45인 겔상 경장 영양제.
Figure 112008061727320-PCT00004
경장 영양제, 경관, 겔, 소화관, 경비, 위, 연하장애.

Description

겔상 경장 영양제 및 그 조제 방법{ENTERIC GELATINOUS NUTRIE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하 곤란자나 경관 투여중인 환자 등이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지 않고 안심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경장 영양제 및 그 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관 영양법 등에 있어서 위 내부에서의 경장 영양제의 물성이나 상태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겔상 경장 영양제 및 해당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를 조정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장 영양법은 소화관을 경유하는 생리적인 영양 투여 경로로서, 고칼로리 수액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새삼 주목받고 있다.
한편, 경관 영양법은 섭식·삼킴 장애가 있는 환자(연하 곤란자 등)에게 유용하여 많이 실시되고 있다.
경관 영양법에는 경비 경관 영양법이나 위루 경관 영양 투여법 등이 있다. 위루 경관 영양 투여법이란 경피 내시경적 위루 조설술(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을 시행하여 위에 연결된 튜브에 의해 체외로부터 직접 위 내부로 영양을 공급(투여)하는 영양 관리법이다.
경관 영양법에 의해 장기간에 걸쳐 경장 영양을 시행한 경우에서는, 액상 영 양제(액상 식품)의 위식도 역류에 기인하는 오연성(誤嚥性) 폐렴 등의 합병증에 괴로워하는 증례도 적지 않다.
이에 대하여 액체 영양제를 고체화하거나 액상 영양제에 점성을 부여하여 점도(점조도)를 높임으로써 위식도 역류를 방지하는 방법이 보고된 바 있다. 즉, 한천으로 경장 영양제를 고체화하거나, 끈기 조정제로 경장 영양제에 점성을 부여하는 연구가 이루어진다.
이 때 종래 위 내부에서의 경장 영양제의 물성이나 상태에 대하여 실험적인 검토가 불충분하여 단순히 경장 영양제를 고형화하거나 단순히 경장 영양제에 점성을 부여하면 위식도 역류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였었다.
즉, 위 내부에서의 경장 영양제의 물성이나 상태에 대하여 배려한 후에 경장 영양제의 물성이나 상태에 대하여 명확하게 규정한 사례는 없어, 병원·간병 시설 등의 영양사에게 있어 연하 곤란자 등의 경장 영양법이나 경관 영양법에 있어서 적절한 물성으로 경장 영양제를 조제할 때의 판단 기준이 없는 상황이었다.
환자에게 경관적으로 투여된 경장 영양제가 환자의 위에서 식도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경장 영양제가 일본 특허 공개 2003-201230(특허 문헌 1)이나 일본 특허 공개 2004-26844(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끈기 조정제를 경장 영양제에 사용하였을 때의 위 내부에서의 경장 영양제의 물성이나 상태에 대하여 실험적인 검토가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예컨대 끈기 조정제로서 한천을 사용한 경우, 미리 열수에 가열 용해해 두고, 이 한천 수용액을 액상 영양제와 혼합한 후에 고형화하기 위하여 냉장 에서 냉각하는 번잡한 조작(작업)이 필요하다. 게다가, 이 한천 수용액과 농후한 액상 영양제를 혼합하기 때문에 액상 영양제를 희석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 내부에서의 경장 영양제의 물성이나 상태에 대하여 배려한 후에 설계된 경장 영양제 및 그 조제 방법은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아 그 개발이 요망되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20123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4-26844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연하 곤란자 등이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지 않고 안심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겔상 경장 영양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해당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를 조정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관 영양법 등에 있어서 위 내부에서의 경장 영양제의 물성이나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겔상 경장 영양제 및 해당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를 조정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위 내부를 상정한 소정의 pH의 수용액에 있어서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의 단백질의 용출(유리)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겔상 경장 영양제, 및 해당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를 조정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위 내부를 상정한 소정의 pH의 수용액에 있어서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의 단백질의 용출(유리) 상태가 끈기 조정제의 종류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그들 끈기 조정제의 종류나 농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pH의 수용액에 있어서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의 단백질의 용출(유리)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나아가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의 단백질의 용출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 및 해당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의 단백질의 용출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은, 특히 경관 영양법에 적합한 것이다.
경관 영양법에서는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제(제산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위 내부의 상태는 종래 pH 2 정도의 산성뿐이라고 생각되었었으나,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제(제산제)를 사용한 경우에 위 내부의 상태는 pH 7 정도의 중성이 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 내부의 상태를 재현한 모의액으로서 pH가 2와 pH가 7인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이들을 이용하여 위 내부의 pH를 산성과 중성으로 모의적으로 재현하고, 점성을 부여한 겔상 경장 영양제의 물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한 사례는 신규하다.
또한 끈기 조정제의 종류나 농도에 따라 위식도 역류에의 영향이 다르다는 개념과 실험 사실도 신규하다.
전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연하 곤란자 등이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지 않고 안심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경장 영양제 및 그 조제 방법에 대한 식견은 있으나, 위 내부에서의 경장 영양제의 물성이나 상태에 착안하여 그것을 적절하게 제어한 경장 영양제 및 그 조제 방법에 대한 식견은 없다.
즉, 위 내부에서의 경장 영양제의 물성이나 상태에 대하여 배려한 후에 경장 영양제의 물성이나 상태에 대하여 명확하게 규정한 사례는 없다.
이 점에서, 위 내부의 pH를 산성과 중성으로 모의적으로 재현하고, 점성을 부여한 겔상 경장 영양제의 물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한 본 발명은 병원·간병 시설 등의 영양사에게 있어 연하 곤란자 등의 경장 영양법이나 경관 영양법에 있어서 적절한 물성으로 경장 영양제를 조제할 때의 판단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상기한 식견에 의해 완성된 본 발명은 액상 영양제, 경장 영양제, 유동식, 유제품 등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에 끈기 조정제를 이용하여 점성을 부여할 때 명확한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하 곤란자 등이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지 않고 안심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경장 영양제를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본원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예컨대 유동식이나 의약품(의료용 영양제 등))는 유지, 단백질, 당질, 기타 식품 섬유, 비타민류, 미네랄류, 유기산, 유기염기, 과즙, 플레이버류 등의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종래 공지의 경장 영양제에 끈기 조정제를 첨가하여 그 점도를 조정하여 겔상으로 조제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것이다.
[1] 겔상 경장 영양제와 온도가 25℃인 수용액을 중량비로 3:7로 혼합한 직후에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 용출한 단백질의 중량을 혼합전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에 포함되어 있던 단백질의 중량으로 나눈 수치(용출률)가 0∼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
[2] 겔상 경장 영양제와 온도가 25℃인 수용액을 중량비로 3:7로 혼합하고나서 온도를 25℃로 하여 30분간 유지한 후에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 용출한 단백질의 중량을 혼합 전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에 포함되어 있던 단백질의 중량으로 나눈 수치(용출률)가 0∼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
[3] [1] 또는 [2]에 있어서, 카라기난 및/또는 잔탄 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
[4] [3]에 있어서,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전량에 대하여 카라기난을 0.1∼3 중량% 및/또는 잔탄 검을 0.2∼2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를 조정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은 것이다.
[5] [1] 또는 [2]에 기재된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으로서,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전량에 대하여 카라기난을 0.1∼3 중량% 및/또는 잔탄 검을 0.2∼2 중량%로 첨가함으로써 점도를 조정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겔상"이란 "끈적거리는 상태"라고도 하며, 위 내에 투여하였을 때 식도에의 역류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상태로서, 소위, "졸상"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백질의 중량"이란 켈달(Kjeldahl)법에 의한 측정값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다"란 예컨대 헤드 스페이스를 10%로 한 밀폐 용기를 이용하여 경장 영양제와 소정의 pH의 수용액을 혼합할 때, 밀폐 용기의 상하 위치를 느리게 2회 정도 예컨대 1회, 2회 또는 3회 역전(반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지한다"란 예컨대 헤드 스페이스를 10%로 한 밀폐 용기를 이용하여 경장 영양제와 소정의 pH의 수용액을 혼합한 후의 정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끈기 조정제"란 한천, 카라기난, 잔탄 검, 로커스트 빈검, 타라검, 구아검, 사일륨시드검 등의 점성 발현 물질을 포함하는 식용의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라기난"이란 예컨대 한천과 마찬가지로 홍조류로부터 추출된 수용성 다당류를 의미한다. 카파형이나 이오타형은 열수에 용해하여 랜덤 코일 형태가 되고, 냉각하여 더블 헤릭스 구조로 되어 겔화된다. 겔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한천과 마찬가지로 가열할 필요가 있는데, 나트륨형 카라기난은 냉수에 단시간에 수화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끈기 조정제로서 카라기난을 종래의 경장 영양제(예컨대 유동식)에 첨가하고, 본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예컨대 유동식)로 하는 경우에는 나트륨형 카라기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잔탄 검"이란 예컨대 미생물(Xanthomonas campestris)에 의해 생산된 다당류를 의미한다. 냉수에 용해하였을 때 의소성(pseudo-plastic)의 점성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연하 곤란자나 경관 투여중인 환자 등이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지 않고 안심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겔상 경장 영양제 및 해당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를 조정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공지의 경장 영양제에 카라기난 및/또는 잔탄 검을 끈기 조정제로서 첨가·혼합하여 본원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를 조제함으로써 위 내부의 소정의 pH 상태에 있어서 해당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의 단백질의 용출(유리)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해당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경관 영양법 등에 있어서 위 내부에서의 경장 영양제의 물성이나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겔상 경장 영양제 및 해당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를 조정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 내부를 상정한 소정의 pH의 수용액에 있어서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의 단백질의 용출(유리)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겔상 경장 영양제 및 해당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를 조정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종래 공지의 경장 영양제에 카라기난 및/또는 잔탄 검을 끈기 조정제로서 첨가·혼합하여 위 내부의 소정의 pH 상태에 있어서 해당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의 단백질의 용출(유리)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해당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에 의하면, 본래의 통상의 위 내부의 상태(예컨대 pH가 2 정도인 산성) 또는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제(제산제)를 이용한 위 내부의 상태(예컨대 pH가 7 정도인 중성)에 있어서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의 영양 성분(단백질)의 용출을 임의로 제어하여 용출률이 급격하게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용출률이 급격하게 증가한 경우에는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기 쉬운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 및 해당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를 조정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에 의하면, 본래의 통상의 위 내부의 상태(예컨대 pH가 2 정도인 산성) 또는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제(제산제)를 이용한 위 내부의 상태(예컨대 pH가 7 정도인 중성)에 있어서 용출률을 낮게 억제하여 카라기난 및/또는 잔탄 검 등의 끈기 조정제의 다당류 등에 도입한 경장 영양제를 소화기의 활동에 따라 점차 용출시키고 영양 성분을 체내에 서서히 흡수시켜 위식도 역류를 잘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즉, 연하 곤란자나 경관 투여중인 환자 등이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지 않고 안심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적절한 물성값을 갖는 겔상 경장 영양제 및 해당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를 조정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는 온도가 25℃인 수용액과 중량비로 3(겔상 경장 영양제):7(수용액)로 혼합한 직후에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 용출한 단백질의 중량을 혼합전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에 포함되어 있던 단백질의 중량으로 나눈 수치(용출률)가 0∼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겔상 경장 영양제와 온도가 25℃인 수용액을 3:7로 혼합한 직후에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 경우에 있어서, 영양 성분의 용출률이 0.2보다 크면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 단백질 등의 영양 성분이 용출되기 쉬워 영양 성분이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기가 쉬워진다.
한편, 영양 성분의 용출률이 0이어도 끈기 조정제의 다당류 등에 도입된 겔상 경장 영양제가 위나 장관의 연동 운동 등의 동작에 의해 점차 용출하여 영양 성분은 서서히 체내에 흡수된다.
이와 같이 겔상 경장 영양제와 온도가 25℃인 수용액을 3:7로 혼합한 직후에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 경우에, 영양 성분의 용출률이 0∼0.2이면 본래의 통상의 위 내부의 상태(예컨대 pH가 2 정도인 산성) 또는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제(제산제)를 이용한 위 내부의 상태(예컨대 pH가 7 정도인 중성)에 있어서 용출률을 낮게 억제하고, 카라기난 및/또는 잔탄 검 등의 끈기 조정제의 다당류 등에 도입된 경장 영양제를 소화기의 활동에 따라 점차 용출시키고, 영양 성분을 체내에 서서히 흡수시켜 위식도 역류를 잘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본래의 통상의 위 내부의 상태(예컨대 pH가 2 정도인 산성) 또는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제(제산제)를 이용한 위 내부의 상태(예컨대 pH가 7 정도인 중성)에 있어서 용출률을 낮게 억제하고, 카라기난 및/또는 잔탄 검 등의 끈기 조정제의 다당류 등에 도입된 경장 영양제를 소화기의 활동에 따라 점차 용출시키고 영양 성분을 체내에 서서히 흡수시켜 위식도 역류를 잘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만들어 내는 데 있어 상기 용출률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이다.
또한 본래의 통상의 위 내부의 상태를 고려하면, 수용액의 pH가 1∼8의 범위에 있어서도 전술한 용출률(바람직하게는 0∼0.2,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스페이스를 10%로 한 밀폐 용기를 이용하여 겔상 경장 영양제와 수용액을 혼합할 때 밀폐 용기의 상하 위치를 느리게 2회 정도 역전(반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겔상 경장 영양제는 겔상 경장 영양제와 온도가 25℃인 수용액을 중량비로 3(겔상 경장 영양제):7(수용액)로 혼합하고나서 온도를 25℃로 하여 30분간 유지한 후에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 용출한 단백질의 중량을 혼합전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에 포함되어 있던 단백질의 중량으로 나눈 수치(용출률)가 0∼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겔상 경장 영양제와 온도가 25℃인 수용액을 중량비로 3:7로 혼합하고나서 온도를 25℃로 하여 30분간 유지한 후에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 경우에 있어서, 영양 성분의 용출률이 0.45보다 크면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 단백질 등의 영양 성분이 용출되기 쉬워 영양 성분이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기 쉬워진다.
한편, 영양 성분의 용출률이 0이어도 끈기 조정제의 다당류 등에 도입된 겔상 경장 영양제가 위나 장관의 연동 운동 등의 동작에 의해 점차 용출하여 영양 성분은 서서히 체내에 흡수된다.
이와 같이 겔상 경장 영양제와 온도가 25℃인 수용액을 중량비로 3:7로 혼합하고나서 온도를 25℃로 하여 30분간 유지한 후에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수용액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 용출한 단백질의 중량을 혼합전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에 포함되어 있던 단백질의 중량으로 나눈 수치(용출률)가 0∼0.45이면 본래의 통상의 위 내부의 상태(예컨대 pH가 2 정도인 산성) 또는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제(제산제)를 이용한 위 내부의 상태(예컨대 pH가 7 정도인 중성)에 있어서 용출률을 낮게 억제하여 카라기난 및/또는 잔탄 검 등의 끈기 조정제의 다당류 등에 도입된 경장 영양제를 소화기의 활동에 따라 점차 용출시키고, 영양 성분을 체내에 서서히 흡수시켜 위식도 역류를 잘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상기한 용출률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이다.
또한 본래의 통상의 위 내부의 상태를 고려하면, 수용액의 pH가 1∼8의 범위에 있어서도 전술한 용출률(바람직하게는 0∼0.4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유지란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스페이스를 10%로 한 밀폐 용기를 이용하여 겔상 경장 영양제와 수용액을 혼합한 후의 정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본원의 발명자들은 전술한 사실을 후술하는 실시예에 의해 확인하고 본원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이상에 설명한 본원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에 따르면, 경장 영양제로부터 단백질 등의 영양 성분이 적당한 시간 용출됨으로써 영양 성분이 체내에 흡수되기 쉬워 위식도 역류를 잘 일으키지 않는 상태가 된다.
종래 경장 영양제(예컨대 유동식)는 개발 당시 에너지량으로 1.0kcal/㎖ 정도의 상품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의 기술 혁신 등에 의해 1.5kcal/㎖ 정도의 농후한 상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2.0kcal/㎖의 초농후한 상품도 개발이 진행해 가리라 생각된다.
유동식이 농후해짐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영양 보급이 가능해지는 것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의 에너지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0kcal/㎖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kcal/㎖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kcal/㎖ 이상이다. 만일 1.0kcal/㎖ 미만에서는 효율적인 영양 보급이 어려워진다.
유지, 단백질, 당질, 기타 식품 섬유, 비타민류, 미네랄류, 유기산, 유기염기, 과즙, 플레이버류 등의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종래 공지의 경장 영양제의 점도는 5∼100cP 정도이었다.
이 종래 공지의 경장 영양제에 끈기 조정제를 첨가하여 그 점도를 조정하고, 겔상으로 조제한 본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의 상한값은 시린지 등으로 용이하게 압출할 수 있을 정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00∼50,000cP,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20,000cP,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10,000cP이다.
이러한 점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본래의 통상의 위 내부의 상태(예컨대 pH가 2 정도인 산성) 또는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제(제산제)를 이용한 위 내부의 상태(예컨대 pH가 7 정도인 중성)에 있어서 용출률을 낮게 억제하고, 카라기난 및/또는 잔탄 검 등의 끈기 조정제의 다당류 등에 도입된 경장 영양제를 소화기의 활동에 따라 점차 용출시키고, 영양 성분을 체내에 서서히 흡수시켜 위식도 역류를 잘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만들어 낸다는 관점에서 정해진다.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가 너무 낮으면 튜브 등을 통과하여 체내에 축적된 직후에 부서져서 무른 상태가 된다. 튜브를 통과한 직후부터 유동식(영양 성분)은 매트릭스에 유지되어 있지 않다. 매트릭스에 유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수용액)이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기 쉬운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점도가 너무 높으면 매트릭스는 잘 부서지지 않아 튼튼한 상태가 되는데, 튜브 등을 통과하기가 어려워진다. 튜브에서의 유동성이 나빠지면 경관 영양법(경위 투여법 등)에 적합하지 않은 물성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겔상 경장 영양제에 이용하는 지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대두유, 옥수수유, 면실유, 차조기유, 야자유, 채종유 등의 식물유, 우지, 돈지, 어유 등의 동물유, 합성 트리글리세리드 등을 단독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전체 에너지 양에 차지하는 지질의 에너지 양은 5∼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겔상 경장 영양제에 사용하는 단백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유단백질이나 육단백질 등의 동물성 단백질, 대두 단백질 등의 식물성 단백질, 펩타이드나 아미노산을 포함한 단백질의 효소 분해물 등을 단독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경장 영양제의 전체 에너지 양에 차지하는 단백질의 에너지 양은 1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겔상 경장 영양제에 사용하는 당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전분, 덱스트린 등의 다당류, 말토오스, 젖당 등의 2당류를 포함하는 올리고당류를 단독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경장 영양제의 전체 에너지 양에 차지하는 당질의 에너지 양은 30∼8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겔상 경장 영양제에 사용하는 영양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식품 섬유, 비타민류, 미네랄류, 유기산, 유기 염기, 과즙, 플레이버류 등을 단독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는 특히 끈기 조정제의 종류나 농도를 한정하지 않으나, 끈기 조정제에 카라기난 및/또는 잔탄 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카라기난과 잔탄 검은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양자를 병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카라기난은 냉수 가용성의 나트륨(Na)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한천에서는 미리 열수에 가열 용해해 두고, 이 한천 수용액을 액상 식품과 혼합한 후에 고형화하기 위하여 냉장에서 냉각하는 번잡한 조작이 필요하며, 게다가 이 한천 수용액과 농후한 액상 식품을 혼합하기 때문에 액상 식품을 희석해 버리게 된다.
한편, 냉수 가용성의 나트륨형 카라기난이나 잔탄 검을 주성분으로 한 끈기 조정제는 경장 영양제와 상온이나 냉장에서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전량에 대하여 카라기난을 단독으로 혼합하는 비율로서 바람직하게는 0.1∼3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2.5 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2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전량에 대하여 잔탄 검을 단독으로 혼합하는 비율로서 바람직하게는 0.2∼2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4∼1 중량%이다.
이러한 카라기난, 잔탄 검의 첨가량 및 비율은 전술한 본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의 바람직한 점도(바람직하게는 100∼50,000cP,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20,000cP,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10,000cP)로부터 정해지는 것이다.
이 때, 카라기난과 잔탄 검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끈적거리는 상태의 경장 영양제의 전량에 대하여 각각의 혼합하는 비율을 줄일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카라기난과 잔탄 검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혼합비를 99:1∼1:99의 임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카라기난 및/또는 잔탄 검을 주성분으로 하여 로커스트 빈검, 타라검, 구아검, 사일륨시드검 등의 끈기 조정제(점성 발현 물질)를 병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위 내부의 모의액에서의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의 영양 성분의 용출률
위 내부의 모의액(모델 위 내용액)에서의 겔상(끈적거리는 상태)의 경장 영양제(본 명세서에 있어서 "매트릭스"라고 할 수 있음.)로부터의 영양 성분(단백질)의 용출률(용출량)에의 끈기 조정제(점성 부여제, 점도 조정제, 점성 발현 물질)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모델 위 내용액은 본래의 통상의 위 내부의 상태에 가까운 산성 수용액(pH=2)과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제(제산제)를 이용한 위 내부의 상태에 가까운 중성 수용액(pH=7)의 2종류로 하였다. 용출률은 다음 식으로 정의하였다.
즉, 용출률[-]=(모델 위 내용액에 유리해 온 단백질의 중량)/(최초로 경장 영양제에 포함되어 있던 단백질의 중량)이다.
끈기 조정제의 종류를 바꾸어 용출률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위 내부의 상태를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용출률이 급격하게 증가한 경우에는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기 쉬운 상태를 드러내게 된다.
한편, 용출률이 낮게 억제된 경우에는 끈기 조정제의 다당류 등에 도입된 경장 영양제가 소화기의 활동에 따라 용출하고, 영양 성분이 체내에 서서히 흡수되어 위식도 역류를 잘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드러내게 된다.
종래 공지의 경장 영양제로서 유동식(메이지 뉴교(주) 제, 지질: 2.8 중량%, 단백질: 4 중량%, 당질: 14.5 중량%, 식품 섬유: 1 중량%)을 사용하고, 여기에 끈기 조정제로서 카라기난, 도로메이크(등록 상표)(메이지 뉴교(주) 제, 주성분: 잔탄 검(함유율: 33%))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를 조제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끈기 조정제로서 한천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한 경장 영양제를 준비하였다.
조제한 경장 영양제의 배합(조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모델 위 내용액으로서 산성 수용액에는 염산/염화 칼륨 완충액(pH=2), 중성 수용액에는 인산 완충액(pH=7)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중성 수용액의 인산 완충액은 제산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위 내부의 상태를 모의적으로 나타내었다(모델화하였다).
Figure 112008061727320-PCT00001
구체적인 실험 순서는 아래와 같다.
(1)산성 수용액의 염산/염화 칼륨 완충액(pH=2) 70g과 중성 수용액의 인산 완충액(pH=7) 70g을 각각 본래의 위 내부와 제산제를 투여한 위 내부에서의 모델 위 내용액으로서 사용하였다. 모델 위 내용액의 온도는 25℃ 정도로 하였다.
(2)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조제한 겔상(끈적거리는 상태)의 경장 영양제 30g을 플라스틱 시린지(테루모디스포 타입, 용량: 50㎖)에 충전하였다. 여기서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에 있어서 한천은 증류수에 가열(85℃)하여 용해하고, 카라기난과 도로메이크(등록 상표)는 증류수에 상온에서 용해하여 각각의 끈기 조정제의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이들 끈기 조정제의 수용액을 유동식에 가하여 혼합하여 겔상 경장 영양제를 조제하였다. 겔상 경장 영양제의 온도는 25℃ 정도로 하였다.
(3)시린지에 충전한 겔상 경장 영양제 30g을 각각의 모델 위 내용액(pH=2와 pH=7) 70g에 가하였다.
(4)겔상 경장 영양제를 모델 위 내용액에 가한 직후에 교반하는 경우에는 헤드 스페이스를 10%로 한 밀폐 용기를 이용하여 5초간 밀폐 용기의 상하 위치를 느리게 2회 역전(반전)시켰다. 이 때, 끈적거리는 경장 영양제(매트릭스)에 유지되어 있는 유동식(영양 성분)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본 실험의 주목적이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는 위나 장 등의 연동 운동을 상정하지 않고 매트릭스 이외의 부분을 균일하게 할 목적으로 역전(반전) 조작을 행하였다. 헤드 스페이스를 10%로 한 밀폐 용기를 이용하여 정치하였다. 유지 온도는 25℃로 하였다.
(5)한편, 후술하는 실시예 2에서는 위나 장 등의 연동 운동을 상정한 조작을 행하였다. 즉, 실시예 2에서는 진탕하면서 유지하였다. 이 때 진탕 조건은 진폭을 35mm 정도로 하여 120회/분으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온도 25℃(상온)로 한 데 반해, 실시예 2에서는 온도 37℃로 하였다.
(6)모델 위 내용액에 유리해 온 단백질의 중량은 42메시(눈 크기: 0.35mm)의 체에 상기한 (4)나 (5)의 처리를 행한 모델 위 내용액(시료)을 통과시키고, 그 통과한 용액의 농도를 측정하여 구하였다. 이 때, 시료는 측정 조건마다 준비하였다. 즉, 후술하는 그래프에서는 동일한 시료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아니라, 동일 조건의 시료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경장 영양제(한천, 카라기난, 도로메이크(등록 상표)의 농도 등)와 모델 위 내용액(pH=2와 pH=7)의 종류를 조합하여 실험 조건을 설정하였다. 이들 실험 조건을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각각의 실험 조건에서의 용출률을 도 1∼도 3에 도시하였다.
Figure 112008061727320-PCT00002
도 1은 한천(비교 대조), 도 2는 카라기난, 도 3은 도로메이크(등록 상표)(잔탄 검)의 실험 결과이다. 이 때, 매트릭스의 성상으로서 한천에서는 강도가 높은 겔상, 카라기난에서는 강도가 낮은 겔상, 도로메이크(등록 상표)(잔탄 검)에서는 유동성이 있는 졸상이었다.
비교 대조의 도 1(한천)에서는 매트릭스를 시린지로부터 압출한 직후에 매트릭스는 부서져서 무른 상태가 된다. 매트릭스를 시린지로부터 압출한 직후로부터 유동식(영양 성분)은 매트릭스에 유지되어 있지 않다. 매트릭스에 유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수용액)이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기 쉬운 것이라 생각된다. 이 때, 한천을 고농도로 사용하면 매트릭스는 잘 부서지지 않아 튼튼한 상태가 되나, 매트릭스를 시린지로부터 압출할 때 강한 힘이 필요해진다. 매트릭스가 시린지로부터 잘 압출되지 않는 상태이면 경관 영양법(경위 투여법 등)에 있어서 튜브에서의 유동성이 나빠지게 되어 경관 영양법에 적합하지 않은 물성이 된다.
도 2(카라기난)에서는 매트릭스를 시린지로부터 압출하면 매트릭스가 시린지로부터 압출된 채의 가늘고 긴 상태(끈 형태)가 된다.
도 3(도로메이크(등록 상표))에서는 도 2(카라기난)와 전체적으로는 동일한 경향이다. 이 가늘고 긴 상태(끈 형태)는 상기한 (4)에 개시한 가벼운 교반 정도로 부서진다.
더욱이, 겔상(끈적거리는 상태)의 경장 영양제는 위나 장관의 연동 운동 등의 동작으로 충분하게 부서져서 체내에 소화 흡수되는 것을 실시예 2에서 확인하였다.
한편, 이 가늘고 긴 상태(끈 형태)는 정치해 있으면 유지되며, 유동식(영양 성분)은 매트릭스에 적절하게 유지되어 있다. 매트릭스에 적절하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위식도 역류가 잘 일어나지 않는 것이라 생각된다. 경관 영양법(경위 투여법 등)에서의 소화 흡수의 속도를 제어(컨트롤)하는 경우에도 유용하다.
이 때, 카라기난을 사용하면 매트릭스를 시린지로부터 압출할 때 강한 힘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매트릭스가 시린지로부터 압출되기 쉬운 상태이면 경관 영양법(경위 투여법 등)에 있어서 튜브에서의 유동성이 양호해져 경관 영양법에 적합한 물성이 된다.
도 3(도로메이크(등록 상표))에서는 도 2(카라기난)에 비하여 교반 등의 물리적인 동작에의 내성이 있어 유동식(영양 성분)은 매트릭스에 유지되기 쉽다. 도 2(카라기난)와 도 3(도로메이크(등록 상표))에서는 다소 서로 다른 물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위 내부의 모의액에서의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의 영양 성분의 용출률
위나 장관의 연동 운동 등의 동작을 상정한 실험 조건으로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의 단백질의 용출률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 조건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구체적인 실험 조건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겔상 경장 영양제를 모델 위 내용액에 가하여 유지하는 경우에, 실시예 1에서는 정치한 데 반해 실시예 2에서는 진동하면서 유지하였다. 이 때 진동 조건은 진폭을 35mm 정도로 하고 120회/분으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온도 25℃(상온)로 한 데 반해 실시예 2에서는 온도 37℃로 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경장 영양제(한천, 카라기난, 도로메이크(등록 상표)의 농도 등)와 모델 위 내용액(pH=2와 pH=7)의 종류를 조합하여 실험 조건을 설정하였다. 이들 실험 조건을 표 3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각각의 실험 조건에서의 용출률을 도 4∼도 6에 도시하였다.
Figure 112008061727320-PCT00003
도 4는 한천(비교 대조), 도 5는 카라기난, 도 6은 도로메이크(등록 상표)(잔탄 검)의 실험 결과이다.
매트릭스의 성상으로서 한천에서는 강도가 높아 무른 겔상, 카라기난에서는 강도가 낮은 겔상, 도로메이크(등록 상표)(잔탄 검)에서는 유동성이 있는 졸상이었다.
pH가 7(중성)인 경우에는 도 4∼도 6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단백질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용출하였다. 이로부터,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제(제산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겔상(끈적거리는 형태)의 경장 영양제는 위의 연동 운동 등의 동작으로 충분히 깨져 체내에 소화 흡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pH가 2(산성)인 경우에는 도 4∼도 6에서 거동이 달랐다.
도 4(한천)에서는 매트릭스를 시린지로부터 압출한 직후에 단백질은 용출하였으나, 그 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는 거의 용출하지 않았다. 이는 온도 37℃의 산성 조건 하에서 유지됨으로써 경장 영양제(단백질의 일부가 변성하여 불용화되어 있음)와 한천(잘게 부서져 있음)이 일체가 되어 불용물을 형성한 것에 따른다. 그리고, 더욱이 진탕 조작에 의해 그들 불용물이 응집하여 42메시의 체를 통과하지 않은 것에 따른다. 이들은 육안에 의해 확인되었다. 통상의 위 내부를 모의적으로 재현한 경우에는 강도가 높아 무른 겔상 경장 영양제는 위의 연동 운동 등의 동작으로 불용성의 응집물을 형성하는 경향이 보였다.
도 5(카라기난)에서는 매트릭스를 시린지로부터 압출한 직후에 단백질은 용출하지 않았으나, 그 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서히 용출하였다. 통상의 위 내부를 모의적으로 재현한 경우에는 강도가 낮은 겔상 경장 영양제는 위의 연동 운동 등의 동작으로 서서히 부서졌다. 이는 산성 조건하에서 카라기난이 불용화되어 중성 영역보다 매우 강고한 매트릭스를 형성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들로부터, 강도가 낮은 겔상 경장 영양제가 체내에 조금씩 소화 흡수되어 가는 현상을 모의적인 실험으로 증명할 수 있었던 것이라 생각한다.
도 6(도로메이크(등록 상표))에서는 매트릭스를 시린지로부터 압출한 직후에 단백질은 용출되지 않았으나, 그 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적절히 용출되었다. 통상의 위 내부를 모의적으로 재현한 경우에는 유동성이 있는 졸상의 경장 영양제는 위의 연동 운동 등의 동작으로 적절하게 부서졌다. 이는 산성 조건하에서 도로메이크(등록 상표)(잔탄 검)에서도 카라기난과 마찬가지로 중성 영역보다 강고한 매트릭스를 형성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단, 카라기난이 산성 조건하에서 불용화한 데 반해 잔탄 검은 산성 조건 하에서도 불용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응집물 등의 형성은 없으며, 매트릭스로부터 적당히 영양 성분이 용출된 것이라 생각된다.
이들로부터, 유동성이 있는 졸상의 경장 영양제가 체내에 소화 흡수되어 가는 현상을 모의적인 실험으로 증명할 수 있었던 것이라 생각한다.
도 6(도로메이크(등록 상표))에서는 도 5(카라기난)에 비하여 위나 장관의 연동 운동 등을 상정한 물리적인 동작으로 부서지기 쉽고, 유동식(영양 성분)은 매트릭스로부터 적절하게 방출되기 쉽다. 도 5(카라기난)와 도 6(도로메이크(등록 상표))에서는 서로 다른 물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로부터 본원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는 "겔상 경장 영양제와 온도가 25℃인 수용액을 중량비로 3:7로 혼합한 직후에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 용출한 단백질의 중량을 혼합전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에 포함되어 있던 단백질의 중량으로 나눈 수치(용출률)가 0∼0.2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겔상 경장 영양제와 온도가 25℃인 수용액을 중량비로 3:7로 혼합하고나서 온도를 25℃로 하여 30분간 유지한 후에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 용출한 단백질의 중량을 혼합전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에 포함되어 있던 단백질의 중량으로 나눈 수치(용출률)가 0∼0.45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실시예 2에서의 검토 결과, 전술한 실시예 1과 같이 확인된 본원 발명의 겔상 경장 영양제에 대하여 위나 장 등의 연동 운동을 상정한 경우라도 체내에 조금씩 소화 흡수되어 가는 현상을 모의적인 실험으로 증명할 수 있었다.
연하 곤란자나 경관 투여중인 환자 등이 위식도 역류를 일으키지 않고 안심 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경장 영양제 및 그 조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경관 영양법 등에 있어서 위 내부에서의 경장 영양제의 물성이나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겔상 경장 영양제 및 그 조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끈기 조정제에 한천을 이용하여 정치상태에서 유지한 경우에 있어서의 비교 대조의 경장 영양제의 용출률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끈기 조정제에 카라기난을 이용하여 정치상태에서 유지한 경우에 있어서의 경장 영양제의 용출률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끈기 조정제에 도로메이크(등록상표)을 이용하여 정치상태에서 유지한 경우에 있어서의 경장 영양제의 용출률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끈기 조정제에 한천을 이용하여 진동 상태에서 유지한 경우에 있어서의 비교 대조의 경장 영양제의 용출률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끈기 조정제에 카라기난을 이용하여 진동 상태에서 유지한 경우에 있어서의 경장 영양제의 용출률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끈기 조정제에 도로메이크(등록상표)을 이용하여 모습 묻는 상태에서 유지한 경우에 있어서의 경장 영양제의 용출률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5)

  1. 겔상 경장 영양제와 온도가 25℃인 수용액을 중량비로 3:7로 혼합한 직후에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 용출한 단백질의 중량을 혼합전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에 포함되어 있던 단백질의 중량으로 나눈 수치(용출률)가 0∼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
  2. 겔상 경장 영양제와 온도가 25℃인 수용액을 중량비로 3:7로 혼합하고나서 온도를 25℃로 하여 30분간 유지한 후에 5초간 조심스럽게 교반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로부터 용출한 단백질의 중량을 혼합전에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에 포함되어 있던 단백질의 중량으로 나눈 수치(용출률)가 0∼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카라기난 및/또는 잔탄 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전량에 대하여 카라기난을 0.1∼3 중량% 및/또는 잔탄 검을 0.2∼2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으로서, 상기 겔상 경장 영양제의 전량에 대하여 카라기난을 0.1∼3 중량% 및/또는 잔탄 검을 0.2∼2 중량%로 첨가함으로써 점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경장 영양제의 조제 방법.
KR1020087021249A 2006-02-20 2007-02-20 겔상 경장 영양제 및 그 조제 방법 KR200800924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43060 2006-02-20
JPJP-P-2006-00043060 2006-02-20
JP2006108921 2006-04-11
JPJP-P-2006-00108921 2006-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464A true KR20080092464A (ko) 2008-10-15

Family

ID=3843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249A KR20080092464A (ko) 2006-02-20 2007-02-20 겔상 경장 영양제 및 그 조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5280194B2 (ko)
KR (1) KR20080092464A (ko)
CN (1) CN101389353B (ko)
HK (1) HK1125567A1 (ko)
WO (1) WO2007097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0194B2 (ja) * 2006-02-20 2013-09-04 株式会社明治 ゲル状の経腸栄養剤及びその調製方法
BR112013022060B1 (pt) 2011-03-01 2019-11-26 Nestec Sa produto nutricional, métodos para sua preparação e para melhorar sua coesão, e usos de um polímero de grau alimentício
CN108902914A (zh) * 2011-12-15 2018-11-30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在吞咽困难患者中促进安全吞咽的粘性稀薄液体
CN104114039A (zh) * 2011-12-15 2014-10-22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促进食物团块安全吞咽的拉伸粘度
TWI565418B (zh) * 2012-02-22 2017-01-11 Terumo Corp Semi - solid nutrition for gastric stoma
TWI544876B (zh) * 2012-02-22 2016-08-11 Terumo Corp Gastro-intubation with semi-solid nutrition
CN110495609B (zh) * 2018-05-18 2021-10-26 江苏祈瑞医药有限公司 一种等渗大豆肽凝胶制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4260A (ja) * 1986-03-27 1987-10-02 Asahi Chem Ind Co Ltd 経管栄養剤
EP0480305A1 (en) * 1990-10-11 1992-04-15 Abbott Laboratories Liquid nutritional products containing iota-carrageenan
CH681343A5 (ko) * 1990-10-26 1993-03-15 Nestle Sa
US5514655A (en) * 1993-05-28 1996-05-07 Abbott Laboratories Enteral nutritional with protein system containing soy protein hydrolysate and intact protein
US5700513A (en) * 1996-01-19 1997-12-23 Abbott Laboratories Liquid nutritional product containing improved stabilizer composition
JP3959192B2 (ja) * 1998-12-03 2007-08-15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経管栄養食品
AU730929B2 (en) * 1999-07-06 2001-03-22 Nestec S.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longing the useful life of enteral feeding tubes
JP2004217531A (ja) * 2003-01-09 2004-08-05 Fushimi Pharm Co Ltd 経管栄養剤、経管栄養剤セットおよび経管栄養剤の投与方法
JP2005342429A (ja) * 2004-06-07 2005-12-15 Fushimi Pharm Co Ltd 経管栄養剤セットおよび経管栄養剤の投与方法
US20070292457A1 (en) * 2004-10-12 2007-12-20 Meiji Dairies Corporation Electrical Nutritional Supplement
JP2006273804A (ja) * 2005-03-30 2006-10-12 Healthy Food Kk 粘度調整剤及びその用途
JP5280194B2 (ja) * 2006-02-20 2013-09-04 株式会社明治 ゲル状の経腸栄養剤及びその調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80194B2 (ja) 2013-09-04
JP2013144709A (ja) 2013-07-25
WO2007097315A1 (ja) 2007-08-30
JPWO2007097315A1 (ja) 2009-07-16
HK1125567A1 (en) 2009-08-14
CN101389353B (zh) 2012-07-04
CN101389353A (zh) 2009-03-18
JP5586731B2 (ja)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0118B2 (ja) 乳化食品組成物
JP5586731B2 (ja) ゲル状の経腸栄養剤
CN101516402B (zh) 凝胶状经肠营养剂
CN1731938B (zh) 益生元组合物
KR101067266B1 (ko) 영양 조성물
NL1011680C2 (nl) Voedingssamenstellen die licht negatief geladen, niet-verteerbare polysacchariden bevatten en gebruik ervan voor het verminderen van transport door tight junctions.
CN104080358B (zh) 营养组合物的制造方法
JP2011004702A (ja) 食物繊維含有栄養組成物
TWI434659B (zh) 包含碳水界面活性劑複合物之增黏營養乳劑
JP3132652B2 (ja) 高エネルギーゲル状栄養組成物
TWI693898B (zh) 稀釋型之營養組合物
JPH06135838A (ja) 経口経管栄養組成物
WO2007044637A1 (en) Methods for reducing calorie intake
JP6148849B2 (ja) 胃瘻または腸瘻患者用の酸性ゲル状経腸栄養剤
CN112890179A (zh) 一种解决肠内营养不耐受的半固化营养剂及其制备方法
JP4302182B1 (ja) ゲル状栄養剤の製造方法
JPS62224260A (ja) 経管栄養剤
JP4870957B2 (ja) 液体栄養食品用ゲル化食品
CN115067504B (zh) 用于肠道准备的特医食品及其制备方法
US20080248163A1 (en) Butter related food product and method
CN107692215A (zh) 透明质酸增稠的用于吞咽困难患者的营养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40016254A (ko) 영양 조성물
MXPA98005036A (en) Nutrit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