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362A -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362A
KR20080092362A KR1020087016700A KR20087016700A KR20080092362A KR 20080092362 A KR20080092362 A KR 20080092362A KR 1020087016700 A KR1020087016700 A KR 1020087016700A KR 20087016700 A KR20087016700 A KR 20087016700A KR 20080092362 A KR20080092362 A KR 20080092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surface protection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9392B1 (ko
Inventor
세이지 우시오
요시히사 기무라
히카루 니시나가
Original Assignee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9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적어도 2장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을 접착제층을 매개로 첩합(貼合)하여, 플라스틱 필름의 합계 두께가 250~700 ㎛가 되는 적층판을 제작한 후, 상기 적층판에 형빼기(型拔) 처리를 행하여 표면보호판(5)을 얻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각각의 두께를 50~400 ㎛로 한다. 이것에 의해, 두께를 얇게 하면서 탄성이 강한 표면보호판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표면보호판(5)은 액정표시장치(6)의 표면보호판(5)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urface protection board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두께를 얇게 하면서 탄성을 강하게 할 수 있는 표면보호판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두께가 얇은 표면보호판을 사용하면서도 표면보호판이 휘어 화면이 번지지 않는 액정표시장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PC 모니터, 텔레비전, 휴대전화 등의 액정표시장치의 표면에는 유리판이나 플라스틱판 등의 표면보호판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판은 유리판에 비해 비산(飛散) 방지성이 우수한 측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판으로 되는 표면보호판은 플라스틱 원판을 레이저로 절삭 가공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60234호 공보(특허청구범위)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레이저로의 절삭 가공은 복수장이나 대면적의 동시가공이 곤란하고, 또한 플라스틱 원판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절삭처리에 시간이 소요되어 버린다. 따라서, 가공적성을 위해 플라스틱 원판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플라스틱 원판의 두께를 얇게 하면 탄성이 약해져, 액정표시장치 표면에 접촉했을 때 플라스틱판으로 되는 표면보호판이 휘어 화상이 번져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특히 휴대전화용)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전체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어, 표면보호판의 박형화에 대한 요망이 급속하게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두께를 얇게 하면서 탄성이 강한 표면보호판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가 얇은 표면보호판을 사용하면서도, 표시부 표면에 접촉했을 때 표면보호판이 휘어 화면이 번지는 경우가 없는 액정표시장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2장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을 접착제층을 매개로 첩합(貼合)하여, 플라스틱 필름의 합계 두께가 250~700 ㎛가 되는 적층판을 제작한 후, 상기 적층판에 형빼기(型拔) 처리를 행하여 보호판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적층판의 제작공정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을 3장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각각의 두께가 50~4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이축연신 가공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적어도 2장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으로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제조한 후, 당해 표면보호판을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부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보호판으로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두께를 얇게 하면서 탄성이 강한 표면보호판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제조시에 보호판의 원판이 되는 적층판이 깨지는 경우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두께가 얇은 표면보호판을 사용하면서도 표시부 표면에 접촉했을 때 표면보호판이 휘어 화상이 번지는 경우가 없고, 충격에 의해 표면보호판이 깨지기 어려운 액정표시장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먼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2장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을 접착제층을 매개로 첩합하여, 플라스틱 필름의 합계 두께가 250~700 ㎛가 되는 적층판을 제작한 후, 적층판에 형빼기 처리를 행하여 보호판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적어도 2장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을 접착제층을 매개로 첩합하여, 플라스틱 필름의 합계 두께가 250~700 ㎛가 되는 적층판을 제작하는 공정을 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2장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을 접착제층을 매개로 첩합하여, 플라스틱 필름의 합계 두께가 250~700 ㎛, 바람직하게는 300~6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600 ㎛가 되는 적층판을 제작하고, 이것을 보호판의 재료로 함으로써, 보호판의 탄성이 충분한 것으로 하고, 또한 적층판을 형빼기 처리할 때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층판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얻어지는 보호판의 탄성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적층판의 두께가 두꺼움에도 불구하고, 형빼기 처리시에 적층판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층판을 깨지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원인은 1장마다의 플라스틱 필름이 형빼기를 하기 쉬운 정도의 두께이고, 또한 접착제층이 형빼기시의 충격을 흡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접착제층이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완성된 보호판도 깨지기 어려운 것이 된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을 첩합하지 않고, 플라스틱 필름 1장만으로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없어 형빼기시에 깨지기 쉬운 것으로 되어 버린다.
적층판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은 2장 이상이면 되고, 3장 이상이어도 된다. 바람직한 플라스틱 필름의 장수는 3장이다.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크릴,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되는 각종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연신가공, 특히 이축연신 가공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탄성이 강하여 형빼기시에 깨지기 어려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1장의 적층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플라스틱 필름은 동일한 재질이어도 상이해도 된다. 또한, 이축연신 가공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적어도 양쪽 표면에 위치하여 다른 플라스틱 필름을 끼워 넣듯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는 코로나 방전처리나, 언더코팅 이접착처리 등의 이접착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플라스틱 필름의 각각의 두께는 50~4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35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0~3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각각의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를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형빼기 처리하기 쉽고, 또한 형빼기시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적층판이 2장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될 때는 2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동일한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층판이 3장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되는 경우는 표면측에 위치하는 2장의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천연고무계, 재생고무계, 클로로프렌고무계, 니트릴고무계, 스티렌·부타디엔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아크릴계,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등으로 되는 감압(感壓) 접착제, 핫멜트계 접착제, 전리방사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형빼기시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경화함으로써 보호판의 탄성을 강하게 할 수 있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접착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접착제층 중에는 레벨링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5~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4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3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5 ㎛ 이상으로 함으로써 적층판을 형빼기할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100 ㎛ 이하로 함으로써, 형빼기시에 접착제층의 단부(端部)가 깨지거나, 접착제층과 플라스틱 필름의 계면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각 층의 구성성분을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도포액을 조제하고, 당해 도포액을 롤 코팅법, 바 코팅법, 스프레이코팅법, 에어나이프 코팅법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지지체 상에 도포·건조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의 첩합은, 한쪽의 플라스틱 필름에 접착제(전술한 바와 같이 조제한 도포액)를 도포, 건조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당해 도포면에 다른 한쪽의 플라스틱 필름을 첩합하면 된다. 접착제로서 전리방사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는, 플라스틱 필름을 첩합한 후, 전리방사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킨다.
적어도 2장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을 접착제층을 매개로 첩합하여 적층판을 제작한 후에는, 당해 적층판을 형빼기 처리하여 보호판을 얻는다.
형빼기 처리는, 예를 들면 톰슨 칼날형(빅 칼날형)을 사용한 형빼기기 등을 사용하여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형빼기기를 사용한 형빼기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복수장이나 대면적의 동시 가공이 가능하여, 적층판의 두께를 두껍게 해도 가공시간이 짧아, 레이저에 의한 절삭 가공에 비해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구조로 되는 적층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형빼기시에 적층판이 깨져버리는 경우도 없다.
적층판은 적어도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을 가짐으로써, 탄성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하드코트층측의 면을 표면으로 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표면보호판으로서 사용함으로써, 표면보호판에 흠집이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하드코트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페놀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의 열경화형 수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수지 중에서도 경화함으로써 표면보호판의 탄성을 강하게 할 수 있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하드코트층 중에는 비침 방지를 위해 매트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의 두께는 2~1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 중에는 레벨링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하드코트층은 접착제층의 형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체 상에 도포·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하드코트층의 형성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형빼기 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하드코트층의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형빼기시 등에 표면보호판의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으로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제조한 후, 당해 표면보호판을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부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보호판으로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액정표시장치(6)는 유리기판(11) 및 액정(12)으로 되는 액정셀(1), 편광판(2), 백라이트(3), 상자체(4)로 되며, 추가로 표시부 표면에,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표면보호판(5)이 설치된 구성으로 된다. 표면보호판(5)은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상자체(4)의 프레임 중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면보호판 이외의 부재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표면보호판을 구비한 것이면 도 1의 액정표시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에 기재된 요소 이외의 요소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등 각종 액정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두께가 얇은 표면보호판을 사용하면서도, 표시부 표면에 접촉했을 때 표면보호판이 휘어 화상이 번지는 경우가 없고, 충격에 의해 표면보호판이 깨지기 어려운 액정표시장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부」, 「%」는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 한 중량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1]
두께 250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T60: 도오레사) 상에, 하기의 조성으로 되는 접착제층 도포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 ㎛가 되도록 바 코팅법으로 도포, 건조하였다. 이어서, 접착제층 상에 두께 250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T60: 도오레사)을 첩합하고, 자외선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켰다. 이어서, 한쪽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하기의 조성으로 되는 하드코트층 도포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5 ㎛가 되도록 바 코팅법으로 도포, 건조, 자외선 조사하여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적층판에 톰슨 칼날형을 사용한 형빼기기로 형빼기 처리를 행하여,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얻었다.
<접착제층 도포액>
·전리방사선 경화형 접착제 5부
(빔 세트 575: 아라카와 화학공업사)
·이소프로필알코올 20부
<하드코트층 도포액>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58부
(다이아 빔 UR6530: 미쯔비시레이온사)
·광중합 개시제 1.8부
(이루가큐어 651: 씨바스페셜티 케미컬즈사)
·메틸에틸케톤 80부
·톨루엔 60부
·에틸셀루솔브 7부
[실시예 2]
실시예 1의 2장의 두께 250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모두 두께 188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T60: 도오레사)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2장의 두께 250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모두 두께 125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T60: 도오레사)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얻었다.
[실시예 4]
2장의 두께 188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T60: 도오레사)의 한쪽 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접착제층 도포액을, 각각 건조 후의 두께가 20 ㎛가 되도록 바 코팅법으로 도포, 건조하여, 2장의 접착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2장 의 접착필름을, 두께 188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T60: 도오레사)의 각각 상이한 면에 첩합하고, 자외선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켰다. 이어서, 한쪽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여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적층판에 톰슨 칼날형을 사용한 형빼기기로 형빼기 처리를 행하고,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4의 3장의 두께 188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 표면측에 위치하는 2장의 필름을 두께 100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T60: 도오레사)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4의 3장의 두께 188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모두 두께 100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T60: 도오레사)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4의 3장의 두께 188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 표면측에 위치하는 2장의 필름을 두께 50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T60: 도오레사)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얻었다.
[실시예 8]
2장의 두께 50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T60: 도오레사)의 한쪽 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접착제층 도포액을, 각각 건조 후의 두께가 50 ㎛가 되도록 바 코팅법으로 도포, 건조하여, 2장의 접착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2장의 접착필름을, 두께 300 ㎛의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필름(팬라이트: 데이진 화성사)의 각각 상이한 면에 첩합하고, 자외선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켰다. 이어서, 한쪽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여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적층판에 톰슨 칼날형을 사용한 형빼기기로 형빼기 처리를 행하여,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2장의 두께 250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모두 두께 100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T60: 도오레사)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4의 3장의 두께 18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 중심이 되는 1장의 필름을 두께 350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S10: 도오레사)으로 변경하고, 표면측에 위치하는 2장의 필름을, 두께 250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T60: 도오레사)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얻었다.
[비교예 3]
두께 188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T60: 도오레사)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여, 1장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되는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얻었다.
[비교예 4]
두께 350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 S10: 도오레사)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여, 1장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되는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얻었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4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에 대해서 하기 항목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 가공적성
형빼기기에 의한 형빼기시에 전혀 깨지지 않았던 것을 「○」, 일부 깨져버린 것을 「×」로 하였다.
(2) 탄성 강도
실시예 1~8 및 비교예 1~4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하드코트층이 표면측이 되도록 하여 휴대전화(P901i: NTT DoCoMo사)의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으로서 삽입하고, 표면보호판에 손가락으로 접촉했을 때, 밀어넣어도 액정의 표시가 번지지 않는 것을 「◎」, 밀어넣으면 다소 번지지만 접촉하는 것 만으로는 번지지 않는 것을 「○」, 접촉했을 때 다소 번지는 것을 「△」, 접촉했을 때 번짐이 두드러진 것을 「×」로 하였다.
Figure 112008049483101-PCT00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1~8의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탄성이 강한 표면보호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탄성이 강함에도 불구하고 제조시에 표면보호판의 원판이 되는 적층판이 깨져버리는 경우도 없었다.
특히, 실시예 1, 2, 4, 5, 8에서 제조된 표면보호판은, 플라스틱 필름의 합계 두께와 개개의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가 적합한 범위이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용으로서 적합한 탄성의 강도를 갖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 1에서는 2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첩합하고 있지만, 합계 두께가 200 ㎛로 적기 때문에, 탄성이 충분한 표면보호판을 제조할 수 없었다.
비교예 2에서는 3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첩합하고 있지만, 플라스틱 필름의 합계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 형빼기시에 깨져 버렸다.
비교예 3에서는 두께가 두껍지 않은 1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이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비교예 4의 것은 두께가 두꺼운 1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예와 같이 접착제층이 충격을 흡수할 수 없어, 형빼기시에 깨져 버렸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면보호판의 일 사용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액정셀
2…편광판
3…백라이트
4…상자체
5…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
6…액정표시장치

Claims (7)

  1. 적어도 2장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을 접착제층을 매개로 첩합(貼合)하여, 플라스틱 필름의 합계 두께가 250~700 ㎛가 되는 적층판을 제작한 후, 상기 적층판에 형빼기(型拔) 처리를 행하여 보호판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판의 제작공정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을 3장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각각의 두께가 50~4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이축연신 가공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적어도 2장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판을 구성하는 각 플라스틱 필름은 동일한 재질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판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은 상이한 재질로 되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으로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을 제조한 후, 당해 표면보호판을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부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보호판으로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87016700A 2006-01-12 2008-07-09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101269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04541 2006-01-12
JPJP-P-2006-00004541 2006-01-12
PCT/JP2006/325794 WO2007080774A1 (ja) 2006-01-12 2006-12-25 液晶表示装置用表面保護板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362A true KR20080092362A (ko) 2008-10-15
KR101269392B1 KR101269392B1 (ko) 2013-05-29

Family

ID=3825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700A KR101269392B1 (ko) 2006-01-12 2008-07-09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62457B2 (ko)
EP (1) EP1975683B1 (ko)
JP (1) JP5070063B2 (ko)
KR (1) KR101269392B1 (ko)
CN (1) CN101356471B (ko)
AT (1) ATE517367T1 (ko)
TW (1) TWI444289B (ko)
WO (1) WO2007080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3993B2 (ja) * 2007-11-27 2013-08-28 株式会社きもと 表示装置用表面保護板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EP2325004A4 (en) * 2008-09-09 2013-08-28 Kimoto Kk LAMINATE AND DISPLAY DEVICE
EP2415596A4 (en) * 2009-03-31 2015-08-19 Kimoto Kk FUNCTION FILM AND LAMINATE THEREFOR
US20130063393A1 (en) * 2010-03-04 2013-03-14 Susumu Kurishima Functional laminated plate, and transparent electrically conductive laminated plate for touch panel and touch panel produced using same
KR20130046758A (ko) * 2011-10-28 2013-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보호용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40141924A (ko) * 2013-06-03 2014-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구조물 및 윈도우 구조물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3395272B (zh) * 2013-07-02 2015-06-24 无锡吉兴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行李箱盖板的生产工艺
JP2016164641A (ja) * 2015-03-06 2016-09-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677271B1 (ko) 2016-05-20 2016-11-17 주식회사 101컴퍼니 스마트폰 잠금화면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금리할인형 대출관리시스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0014A (en) * 1981-02-06 1982-08-12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US5155005A (en) * 1990-03-29 1992-10-13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of producing polychromatic colored image
US6800378B2 (en) * 1998-02-19 2004-10-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reflection films for use with displays
US6589650B1 (en) * 2000-08-07 2003-07-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scope cover slip materials
JP2002060234A (ja) 2000-08-16 2002-02-2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透明板状物の切断方法及び装置
TW575765B (en) * 2001-02-19 2004-02-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iquid crystal device using plastic substrate
JP2003029645A (ja) * 2001-07-19 2003-01-3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用積層板及び画像表示装置のパネルに用いる透明粘着シート
JP2004034631A (ja) * 2002-07-08 2004-02-05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
CN100373226C (zh) * 2002-10-08 2008-03-05 王子制纸株式会社 液晶偏光板保护用透明粘着膜
JP2005125659A (ja) * 2003-10-24 2005-05-19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145009B1 (ko) * 2004-02-20 2012-05-11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 및 보호패널의 제조방법
JP4688431B2 (ja) * 2004-04-21 2011-05-25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マザーガラス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4756626B2 (ja) * 2004-05-24 2011-08-24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付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6039211A (ja) * 2004-07-27 2006-02-09 Nitto Denko Corp 積層位相差板、位相差板付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103169A (ja) * 2004-10-06 2006-04-20 Mitsubishi Gas Chem Co Inc 液晶ディスプレーカバー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5683A4 (en) 2009-12-23
ATE517367T1 (de) 2011-08-15
CN101356471A (zh) 2009-01-28
KR101269392B1 (ko) 2013-05-29
EP1975683A1 (en) 2008-10-01
TWI444289B (zh) 2014-07-11
EP1975683B1 (en) 2011-07-20
CN101356471B (zh) 2010-09-08
TW200738452A (en) 2007-10-16
JPWO2007080774A1 (ja) 2009-06-11
JP5070063B2 (ja) 2012-11-07
US8062457B2 (en) 2011-11-22
US20090000728A1 (en) 2009-01-01
WO2007080774A1 (ja) 200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392B1 (ko) 액정표시장치용 표면보호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JP4806730B2 (ja) 透明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0039458A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偏光板
KR20110106796A (ko) 평면판 접합용 수지적층체 및 적층평면판
JP5525446B2 (ja) 積層板、及び表示装置
KR20090112445A (ko) 화면 보호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20210144755A (ko) 적층체 및 표시 장치
KR102389656B1 (ko)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및 이에 이용하는 광학 적층체
KR20190073283A (ko) 매엽 필름의 제조 방법
JP2009126134A (ja) 表示装置用表面保護板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KR101733600B1 (ko) 인쇄용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20110261552A1 (en) Method for affixing adhesive films and main board with adhesive films applied using the method
KR102603101B1 (ko)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광학체의 형성 방법 및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CN113632235B (zh) 柔性图像显示装置以及用于其的光学层叠体
KR102478375B1 (ko)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JP7016729B2 (ja) 枚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672679B2 (ja) 筐体用積層板及び筐体
KR20210146324A (ko) 적층체 및 표시 장치
KR20110107586A (ko) 상판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026326A (ja) アース取り出し部を有する電磁波遮蔽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7065169A (ja) 筐体用積層板及び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