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267A - 용융아연도금욕 및 아연도금처리 철물제품 - Google Patents

용융아연도금욕 및 아연도금처리 철물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267A
KR20080091267A KR1020087020953A KR20087020953A KR20080091267A KR 20080091267 A KR20080091267 A KR 20080091267A KR 1020087020953 A KR1020087020953 A KR 1020087020953A KR 20087020953 A KR20087020953 A KR 20087020953A KR 20080091267 A KR20080091267 A KR 20080091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bath
plating
component
hot dip
allo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697B1 (ko
Inventor
카즈요시 오오하시
요시하루 코사카
Original Assignee
씨케이긴죠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케이긴죠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씨케이긴죠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1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31Foil or filament smaller than 6 mils
    • Y10T428/12438Compos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85Group I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92Zn-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85Group I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92Zn-base component
    • Y10T428/12799Next to Fe-base component [e.g., galvaniz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58Next to Fe-base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과제] 내식성 및 외관이 뛰어난 용융아연도금욕 및 아연도금처리 철물제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용융아연도금욕중에, Cu:O.OO5~O.2질량%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Al:O.OO1~O.1%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Zn-Bi계의 도금욕에 있어서는 Bi:O.05~5.0%, Zn-Pb계의 도금욕에 있어서는 Pb:O.05~3.0%가 좋다. 또, 이러한 용융아연도금욕에 의해 도금처리한 철물제품은 외관 및 내식성이 뛰어난다.
Figure P1020087020953
용융아연도금욕

Description

용융아연도금욕 및 아연도금처리 철물제품{HOT DIP ZINC PLATING BATH AND ZINC-PLATED IRON PRODUCT}
본 발명은, 용융아연도금에 관하고, 특히 합금층의 균일화를 도모한 도금욕 및 그것을 이용한 아연도금처리 철물제품에 관한다.
용융아연도금은, 피처리품인 철물제품의 Fe와의 합금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밀착성이 좋고, 희생양극 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내식성이 뛰어나므로 철강 재료에의 적용이 보급해 있다.
아연도금피막은, 철소지측에 형성하는 FeZn7(7~11% Fe)의 육방정
Figure 112008060963668-PCT00001
1합금층과, 그 위에 형성하는 FeZn13(약 6% Fe)의 단사정에 속하는 주상(柱狀)조직으로 되는
Figure 112008060963668-PCT00002
(zeta)합금층과, 그 위에 조밀 육방정의
Figure 112008060963668-PCT00003
아연층이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도금피막조직에 있어서,
Figure 112008060963668-PCT00004
합금층은 도금 두께를 두껍게 하는 점에서는 중요하지만 주상조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층에 비해 대칭성이 낮고,
Figure 112008060963668-PCT00005
합금층의 두께가 불균일하다면 내식성 저하의 원인이 되거나, 도금피막의 취화의 요인이 된다.
또,
Figure 112008060963668-PCT00006
합금층이 부분적으로 표면 근처까지 형성하면
Figure 112008060963668-PCT00007
합금층은 아연층과 비 교해 백미(白味)를 띠고 있기 때문에, 도금 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특개2004-285387호 공보에는, 도금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서 욕중(浴中)에 Al를 0.10~0.6% 첨가하는 기술을 개시고 있지만 이것은 Zn-Al-Fe 삼원계의 합금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4-285387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은, 내식성 및 외관이 뛰어난 용융아연도금욕 및 아연도금처리 철물제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용융아연도금욕에 있어서의 욕조성(浴組成)과
Figure 112008060963668-PCT00008
합금층과의 관계를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
솥에 전기아연지금(전기분해에 의한 정제 공정을 거친 아연지금)을 용해해 Al합금을 조금씩 첨가하여 조사하면, Al성분이 0.001~0.1질량%(이하 질량%를 단지 %라고 표시한다)의 범위에서는
Figure 112008060963668-PCT00009
합금층의 형성을 촉진하고, Al성분이 0.1%를 넘으면
Figure 112008060963668-PCT00010
합금층이 FeZn13(약 6% Fe)합금층에서 Fe-Zn-Al계의 삼원계의 합금층으로 변화하는 일도 밝혀졌다.
또, 용융아연도금욕중에 Al성분을 첨가하면 Al성분이
Figure 112008060963668-PCT00011
아연층의 표면에 산화알루미늄의 매우 얇은 산화막을 형성해 내식성이 향상하는 일도 밝혀져 도금욕중에 Al성분을 0.001~0.1% 첨가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Al의 소량 첨가에 의해 철물제품을 도금욕에 침지중의 사이는
Figure 112008060963668-PCT00012
합금층이 형성하기 쉬워져, 도금피막의 두께가 두터워지지만, 처리품을 도금욕에서 꺼내, 다음 공정으로 옮길 때까지의 공랭시(空冷時)에 반응이 진행되어 주상조직의 두께가 아주 크게 불규칙하게 분포하는 일이 생기고, 주상조직이 부분적으로 도금피막의 표면 근처까지 달하면 금속광택얼룩이 발생해, 외관불량이 되기 쉽다.
이러한 주상조직이 크게 불규칙하게 분포하는 현상은 Pb성분을 1~2% 첨가한 Zn-Pb계의 도금욕에 있어서도, Pb프리 관점으로부터 Pb의 대신에 Bi를 0.1~3.0% 첨가한 Zn-Bi계의 도금욕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발생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이
Figure 112008060963668-PCT00013
합금층의 주상조직이 불규칙하게 분포하는 것을 균일하게 하는 첨가성분을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Cu성분을 0.005~0.2%정도 첨가하면
Figure 112008060963668-PCT00014
합금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큰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용융아연도금욕중에 Cu성분을 첨가함에 의해서, 우선 첫째로 도금피막의 표면 광택이 향상한다.
둘째로 용융아연도금욕중에 철물제품을 침지하고 있는 동안에 형성되는
Figure 112008060963668-PCT00015
합금층을 소정의 범위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처리품을 도금욕중에서 밖으로 꺼낸 후의 공간이동시(공랭시)의
Figure 112008060963668-PCT00016
합금층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이것에 의해
Figure 112008060963668-PCT00017
합금층으로 되는 주상조직의 난립이 불규칙하게 분포하는 것을 억제해, 두께의 균일성이 뛰어나는 것과 동시에 도금의 흘림, 요부(凹部)를 개선해, 외관 광택이 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용융아연도금욕중에, Cu:0.005~0.2 질량%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Cu성분의 상한을 0.2%로 한 것은 그것을 넘으면 도금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져, 0.005%미만에서는 Cu의 첨가 효과가 인정되지 않는다.
또, Cu성분이 많아지면 처리품을 도금욕에서 끌어올릴 때에, 표면에 부유 드로스가 부착하기 쉬워지므로 외관 품질의 안정성에서는 Cu:0.005~0.08%의 범위가 좋고, 공랭시의
Figure 112008060963668-PCT00018
합금층을 억제하기 쉬운 점에서는 Cu:0.01~0.08%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Al성분을 0.001~0.1% 첨가하면, 도금피막의 표면 광택이 향상하고, 한편 도금피막의 표면에 극히 얇은 알루미나 피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일차 녹방지가 좋아진다.
또한, Al성분은 0.1%를 넘어 첨가해도 Cu성분 첨가의 효과는 있지만 도금피막은 Fe-Zn-Al의 삼원계 합금이 되기 쉽다.
여기서, 용융아연도금욕의 Al성분이 0.001%미만이 되면 욕 표면에 Zn산화막을 형성해, 처리품의 끌어올릴시에 이 Zn산화막이 표면에 부착해 표면 윤기가 생기지 않는 원인이 되기 쉽기 때문에 Zn산화막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Al성분은 0.003%이상이 바람직하고, 욕중의 Al성분이 너무 많아 지면 반대로 욕면에 형성하는 알루미나층이 너무 두꺼워져서 처리품 투입시에 처리품의 표면에 이 알루미나층이 부착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Al:0.003~0.02%가 바람직하다.
도금 표면의 안정한 깃털모양 결정을 얻을 수 있고, 도금의 흘림을 방지하고, 밀착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환경 부하가 적은 Zn-Bi계 도금욕이 제안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아연의 용융도금욕중에, Bi:0.05~5.0%, Cu:0.005~0.2%, Al:0.001~0.1% 함유하고 있는 것이 좋다.
또, Cu성분은
Figure 112008060963668-PCT00019
합금층의 주상조직을 균일하게 하려면 0.005%이상이 필요하고 이상적으로는 0.01~0.08%의 범위이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Zn-Bi-Al-Cu계 도금욕은 다른 성분이 실질적으로 함유하고 있지 않은 도금욕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Sn성분을 0.001~0.1%정도 첨가하는 경우 등, 요구되는 품질 목적에 따라 개량 미량성분을 첨가해도 괜찮다.
Bi성분은 0.05%미만에서는 첨가 효과가 인정되지 않고, Bi성분은 Zn보다 고가이기 때문에 5.0%이하가 좋다.
아연 도금을 하는 피처리품이 강판과 같은 철제품의 경우에는 표면의 스케일이 비교적 적고, 도금피막의 밀착성이 좋고, 도금의 흘림, 요부의 개선 효과는 Bi:0.12~2.5%의 범위에서 현저하게 인정되고, 이상적으로는 Bi:0.12~0.3%의 범위이다.
피처리품이 철주물과 같이 비교적으로 표면 스케일이 많은 제품의 경우에는 도금욕 솥의 바닥으로부터 드로스 올림 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솥저부에 Bi층을 형성하는 편이 좋기 때문에 Bi:0.2~2.0%의 범위가 좋다.
또, 표면 광택을 강하게 유지하는 경우에는 Bi:0.05~0.3%의 범위가 좋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용융아연도금욕중에의 Cu성분 첨가 효과는 Zn-Pb계의 도금욕에서도 인정된다.
그 경우의 도금욕조성은, Pb:0.05~3.0%, Cu:0.005~0.2%, Al:0.01~0.1%, 및 잔부가 Zn가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도금욕에서 도금처리한 아연도금처리 철물제품은
Figure 112008060963668-PCT00020
합금층의 두께가 균일하며, 내식성 및 외관 품질이 뛰어난다.
이 경우에 도금피막중, 표면부의
Figure 112008060963668-PCT00021
아연층중에는 Cu성분이 0.005~0.2% 함유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과 관련되는 용융아연도금에 있어서는, 도금욕중에 Cu성분을 0.005~0.2%, 바람직하게는 0.01~0.08% 첨가한 것에 의해 도금욕에서 처리품을 꺼내, 다음 공정으로 옮길 때까지의 공랭시에
Figure 112008060963668-PCT00022
합금층의 성장을 억제해 주상조직이 균일하게 되어, 합금층의 두께 및 도금피막의 두께가 균일하게 되고, 철물(피처리품)에 부착한 도금의 두께가 제품 전체에서 균일하고, 제품의 장소에 의한 불규칙한 분포가 적어서 좋고, 회전성도 좋고, 내식성이 뛰어나고, 외관 품질도 좋다.
또, Cu성분의 첨가에 의해 도금 표면의 광택이 강해져, 1차 녹방지력도 향상한다.
[도 1] 내식성 평가용 샘플을 제작한 도금욕조성을 나타낸다.
[도 2] 염수분무 시험에 의한 도금피막의 감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3] 용융아연도금욕에 있어서의 Al 첨가 효과를 나타낸다.
[도 4] Zn-Bi계 도금욕에 있어서의 Cu 첨가 효과를 나타낸다.
[도 5] Zn-Pb계 도금욕에 있어서의 Cu 첨가 효과를 나타낸다.
[도 6] 전기아연지금을 용해한 도금욕에 Al를 첨가했을 경우의 도금피막구조 단면도 사진을 나타낸다.
[도 7] 전기아연지금을 용해한 도금욕에 Cu를 첨가했을 경우의 도금피막구조 단면도 사진을 나타낸다.
[도 8] 전기아연지금을 용해한 도금욕에 Al 및 Cu를 첨가했을 경우의 도금피막구조 단면도 사진을 나타낸다.
[도 9] 전기아연지금을 용해한 도금욕에 Bi를 첨가했을 경우의 도금피막구조 단면도 사진을 나타낸다.
[도 10] 도금피막 단면을 면 분석한 Al과 Cu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 전기아연지금만을 이용한 도금피막의 공랭시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2] Al를 첨가했을 경우의 공랭시의 도금피막 구조변화를 나타낸다.
[도 13] Al의 첨가량과 공랭시의 도금피막 구조변화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4] Cu를 첨가했을 경우의 공랭시의 도금피막 구조변화를 나타낸다.
[도 15] Cu의 첨가량과 공랭시의 도금피막 구조변화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6] Al 및 Cu를 첨가했을 경우의 공랭시의 도금피막 구조변화를 나타낸다.
[도 17] Al 및 Cu의 첨가량과 공랭시의 도금피막 구조변화의 관계를 나타낸 다.
[도 18] Bi를 첨가했을 경우의 공랭시의 도금피막 구조변화를 나타낸다.
[도 19] Bi의 첨가량과 공랭시의 도금피막 구조변화의 관계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내용을 실험데이터에 근거해 이하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표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조성의 각 도금욕을 건조하고, 재질 SS400, 크기 70㎜×150㎜×두께 3.2㎜의 판재를 용융아연도금처리했다.
또한, 도 1의 표에 나타내는 성분의 잔부는 Zn이다.
시험 샘플의 도금피막 평균 막 두께는 약 60㎛이며, 이것을 JISZ2371 「도금의 내식성 시험방법의 중성염수분무 시험방법」에 준거해, 시험 개시전과 소정의 시험 시간 마다의 중량차로부터 부식에 의한 소모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2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샘플 N0.1을 제작한 도 1에 나타내는 도금욕은 전기아연지금만을 용해한 것이며, 이 전기아연만의 것이 가장 내식성이 뛰어나지만 도금의 기계적 특성에 약간 뒤떨어져, 도금 표면 광택이 부족하거나 도금 흘림나 요부가 생기기 쉽고, 외관 품질에 문제가 생기기 쉽다.
그래서 Al, Cu, Bi성분의 첨가에 의한 내식성의 변화를 고찰하면, 샘플 N0.2에 나타내듯이 Bi의 첨가만으로는 내식성이 나빠지지만, Bi+Al 첨가한 샘플 N0.3 및 Bi+Cu 첨가의 샘플 N0.4의 결과로부터, Bi 외에 Al 또는 Cu를 첨가하는 것으로 내식성이 개선되고 있다.
샘플 N0.5에 나타내듯이 전기아연에 Cu 및 Al를 첨가한 것은 Bi만 첨가의 것보다 내식성이 좋고, Cu 첨가에 의해 도금의 표면 광택이 좋다.
샘플 N0.6은 Bi를 첨가한 것에 Cu 및 Al를 첨가한 것으로 이 경우에도 내식성이 개선되고 있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용융아연도금욕에 있어서는, Cd가 10ppm이하에서 환경부하에 쉽고, Pb도 50ppm이하로 억제하는 일도 가능하다.
다음에 용융아연도금욕에의 첨가성분이 도금피막 구조에 주는 영향을 조사했다.
철제의 솥에 전기아연지금을 용해하고, 욕온을 450℃로 했다.
이때는 Bi:0.004%, Pb:20ppm이하, Cd:5ppm이하이며, Al성분은 0.001%미만이었다.
이 도금욕에 강판을 2분간 침지하고, 그 후에 도금욕에서 꺼내 수랭했을 경우의 도금피막의 단면 현미경 사진을 도 3(a)에 나타낸다.
도금피막은 철소지측에
Figure 112008060963668-PCT00023
1합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Figure 112008060963668-PCT00024
합금층을 형성해, 표면
Figure 112008060963668-PCT00025
아연층이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Al성분을 0.013% 첨가한 도금욕을 이용해 상기와 같이 도금처리한 도금피막 단면의 현미경 사진을 도 3(b)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0963668-PCT00026
합금층의 형성이 촉진되어 두꺼워지고 있는 것을 안다.
이 Al성분을 첨가한 도금욕에 Cu성분을 0.039% 첨가했을 경우의 도금피막 단면 사진을 도 3(c)에 나타낸다.
Cu성분 첨가에 의해
Figure 112008060963668-PCT00027
합금층의 형성이 억제되어 균일화하고 있는 것을 안다.
또, 도금의 기계적 특성이 뛰어나 도금피막의 표면 광택이 좋아지고, 도금의 흘림이나 요부의 상태가 좋지 않음이 발생하기 어려워졌다.
다음에, Cu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Al성분이 0.01% 첨가된 도금욕에 Bi성분을 첨가한 실험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a)는 Bi성분을 0.63% 첨가한 도금욕에서 도금처리한 단면 사진을 나타내고, 도 4(b)는 Bi성분을 1.94% 첨가한 도금욕에서 도금처리한 단면 사진을 나타낸다.
Bi성분 첨가에 의해
Figure 112008060963668-PCT00028
합금층이 두꺼워지지만, 두께의 불균형이 매우 큰 것을 안다.
이것에 대해서, Cu성분을 0.082%첨가한 도금욕중에서 도금처리한 도금피막의 단면 사진을 도 4(c)에 나타낸다.
이 결과, Cu성분을 첨가하면 도 3에 나타낸 예와 같이
Figure 112008060963668-PCT00029
합금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안다.
또한, 이때의 욕조성을 재분석하면 Bi:2.359%, Cu:0.082%, Al:0.014%, 잔부가 실질적으로 Zn이였다.
이러한 Cu 첨가 효과는 Zn-Pb계 도금욕에서도 확인되고, 그 도금피막 단면 사진을 도 5에 나타낸다.
ζ합금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때의 도금욕에는 Pb:0.88~0.91%, Cu:0.036%, Al:0.017%, 잔부가 실질적으로 Zn이였다.
다음에, Al, Cu, Bi의 첨가에 의한 도금피막 구조변화의 원인을 상세히 조사하기 위해, 각 성분 첨가에 대해서 용융아연도금욕에서 피처리품을 꺼낸 후의 공중 방치 시간(공랭시간) 경과(단위초)와 도금피막 구조의 변화를 현미경 관찰했다.
그 사진을 도 6~도 9에 나타내고, 도 중, 전기아연지금이란 전기아연지금을 용해해, 특히 성분 첨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 현미경 사진에 근거해 합금층(
Figure 112008060963668-PCT00030
Figure 112008060963668-PCT00031
1) 및
Figure 112008060963668-PCT00032
층을 합쳐서 전 도금피막 두께를 측정한 데이터를 도 11~도 19에 나타내고, 도금욕에 Al를 첨가했을 경우와 Cu성분을 첨가했을 경우의 도금피막 단면의 면 분석 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Al는 도금 표면에 많이 분석(分析)하기 쉽고, Cu성분은 피막중에 비교적 균일하게 분산하고 있는 것을 안다.
도금피막 구조의 변화를 고찰하면, 전기아연지금만을 용해해 도금욕에 이용했을 경우에 도 11에 나타내듯이, 공랭시간 5초와 15초의 사이에서는 합금층의 두께에 거의 변화가 없지만, 도금욕에 Al성분을 첨가했을 경우에는 도 12, 도 13에 나타내듯이 공랭시간 5초에서 비교하면 Al성분이 0.006% 일때는 합금층의 두께는 약 25㎛인 것에 대해, Al의 첨가량을 늘리면, 합금층의 두께가 두꺼워져 Al:0.062% 에서는 30㎛를 넘고 있다.
또한, Al:0.123%에서 합금층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것은 현미경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합금층이 Zn-Fe-Al계의 삼원계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Al성분의 첨가에 의해 합금층은 두꺼워지는 것과 동시에 그 두께가 불균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안다.
Cu성분의 첨가 효과는 도 7, 도 14, 도 15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공랭시에서의 합금층의 성장을 억제하고 있어, 합금층이 균일인 채인 것을 안다.
예를 들면 Cu성분 0.0065%의 공랭 변화를 보면
Figure 112008060963668-PCT00033
층의 두께의 변화가 거의 인정되지 않는다.
또, 도금욕 침지중의 Cu성분의 효과로서, Cu성분의 첨가량이 0.011% 때는 합금층의 두께가 25~28㎛인데 대해 0.175%에서는 20㎛레벨로 합금층의 두께가 억제되고 있다.
Al 및 Cu성분의 첨가 효과는 도 8, 도 16, 도 17를 보면 알 수 있듯이 Al성분의 첨가에서 도금욕에서 침지중에 합금층의 두께를 촉진하지만, 공랭시에 있어서는 Cu성분의 첨가에 의해 합금층의 성장을 억제하고 있어,
Figure 112008060963668-PCT00034
층이 균일하며, 도금 표면에 광택이 있었다.
Bi성분의 첨가의 영향은 도 9, 도 18, 도 19의 데이터로부터 공랭시에 합금층이 성장해, 불균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안다.
이상의 조사결과로부터 용융아연도금욕에 Cu성분을 첨가하면
Figure 112008060963668-PCT00035
합금층을 균일하게 하는 작용이 있고, 그것은 피처리품을 도금욕에서 꺼낸 후의 공랭시(공송 시)에 있어서의
Figure 112008060963668-PCT00036
합금층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균일성이 좋아지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용융아연도금욕에 의하면 도금피막의 균일성이 높고, 광택이 있고, 일차 녹방지, 내식성이 향상하므로 철제품에의 뛰어난 용융아연도금방법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용융아연도금욕중에, Cu:0.005~0.2질량%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욕.
  2. 제1항에 있어서, 용융아연도금욕중에, 한층 더 Al:0.001~0.1질량%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융아연도금욕중에, 한층 더 Bi:0.05~5.0질량%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융아연도금욕중에, 한층 더 Pb:0.05~3.0질량%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욕.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용융아연도금욕중을 이용해 도금 처리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처리 철물제품.
  6. 제5항에 있어서, 도금층 가운데,
    Figure 112008060963668-PCT00037
    층중의 Cu성분이 0.005~0.2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처리 철물제품.
KR1020087020953A 2006-02-02 2007-01-31 용융아연도금욕 및 아연도금처리 철물제품 KR101052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25316 2006-02-02
JP2006025316 2006-02-02
PCT/JP2007/051598 WO2007088890A1 (ja) 2006-02-02 2007-01-31 溶融亜鉛メッキ浴及び亜鉛メッキ処理鉄物製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267A true KR20080091267A (ko) 2008-10-09
KR101052697B1 KR101052697B1 (ko) 2011-07-29

Family

ID=3832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953A KR101052697B1 (ko) 2006-02-02 2007-01-31 용융아연도금욕 및 아연도금처리 철물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11674B2 (ko)
EP (1) EP1980639B1 (ko)
JP (1) JP4020409B2 (ko)
KR (1) KR101052697B1 (ko)
CN (1) CN101374970B (ko)
ES (1) ES2427155T3 (ko)
MY (1) MY146250A (ko)
WO (1) WO20070888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590A (ko) 2020-09-25 2022-04-01 비피시 주식회사 도금밀착성을 향상한 마그네슘 도금계 고내식 패스너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3878A (ja) * 2007-02-20 2008-10-02 Hoya Corp 防塵性反射鏡及びそれを具備する光学系装置
JP2013227594A (ja) * 2012-04-24 2013-11-07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溶融亜鉛めっき鋼管及び溶融亜鉛めっき鋼管の製造方法
CN102816984A (zh) * 2012-07-21 2012-12-12 靖江市大通标准件厂 一种热镀锌添加剂
PL2997173T3 (pl) * 2013-05-17 2019-04-30 Ak Steel Properties Inc Sposób wytwarzania stali powleczonej cynkiem do utwardzania w procesie tłoczenia na gorąco
JP6409838B2 (ja) * 2015-09-14 2018-10-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亜鉛めっき鋼管
CN110747422B (zh) * 2019-12-05 2021-08-24 上海高强度螺栓厂有限公司 一种焊接性能优异的紧固件耐腐蚀合金镀层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5446A (en) 1980-01-29 1981-08-21 Mitsubishi Metal Corp Zinc alloy for hot dipping
JPS5952947B2 (ja) 1980-01-29 1984-12-22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溶融メツキ用亜鉛合金
JPS5952946B2 (ja) 1980-01-29 1984-12-22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溶融メツキ用亜鉛合金
JPS5735672A (en) 1980-08-11 1982-02-26 Nippon Mining Co Ltd Galvanizing method providing high corrosion resistance
US5022937A (en) 1986-11-21 1991-06-11 Nippon Mining Co., Ltd. Colored zinc coating
JPS63247332A (ja) * 1987-04-03 1988-10-14 Nikko Aen Kk 玉虫色着色溶融亜鉛メッキ方法
JPS63247331A (ja) * 1987-04-03 1988-10-14 Nikko Aen Kk 着色溶融亜鉛メッキ方法
EP0269006B1 (en) 1986-11-21 1992-08-26 Nippon Mining Company Limited Colored zinc coating
JPH04154950A (ja) 1990-10-16 1992-05-27 Nippon Steel Corp Fe‐Zn合金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EP0852264A1 (en) * 1997-01-02 1998-07-08 Industrial Galvanizadora S.A. Zinc alloys yielding anticorrosive coatings on ferrous materials
US6517955B1 (en) * 1999-02-22 2003-02-11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 strength galvanized steel plate excellent in adhesion of plated metal and formability in press working and high strength alloy galvanized steel plat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2004285387A (ja) 2003-03-20 2004-10-14 Nippon Steel Corp 外観に優れ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342803B (es) * 2003-04-18 2016-10-13 Jfe Steel Corp Placa de acero galvanizada revestida con zinc por baño caliente, excelente en formabilidad de prensado y metodo par su elaborac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590A (ko) 2020-09-25 2022-04-01 비피시 주식회사 도금밀착성을 향상한 마그네슘 도금계 고내식 패스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0639A4 (en) 2010-11-24
JP4020409B2 (ja) 2007-12-12
MY146250A (en) 2012-07-31
US20080072784A1 (en) 2008-03-27
CN101374970A (zh) 2009-02-25
CN101374970B (zh) 2011-11-23
KR101052697B1 (ko) 2011-07-29
EP1980639A1 (en) 2008-10-15
US7811674B2 (en) 2010-10-12
ES2427155T3 (es) 2013-10-29
WO2007088890A1 (ja) 2007-08-09
JPWO2007088890A1 (ja) 2009-06-25
EP1980639B1 (en)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697B1 (ko) 용융아연도금욕 및 아연도금처리 철물제품
CN107109608B (zh) 磷酸盐处理性和点焊性优异的镀锌合金钢板及其制造方法
JP2015531817A (ja) 耐食性及び表面外観に優れた溶融亜鉛合金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68545B1 (ko) 도금 강판
KR102544940B1 (ko) 도금 강판
CN101818316A (zh) 一种热浸镀用锌基多元合金及制备方法
KR102297298B1 (ko) 굽힘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4163232B2 (ja) 溶融亜鉛メッキ
CN102936711B (zh) 一种热浸镀Zn-Al-Ni合金、制备工艺以及热浸镀方法
KR101568508B1 (ko) 산화칼슘 함유 용융 아연합금 도금 조성물, 용융 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S6350419B2 (ko)
JP4497431B1 (ja) 溶融亜鉛めっき
US20230032557A1 (en) Hot dip alloy coated steel material having excellent anti-corrosion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2031308B1 (ko) 도금강선 및 그 제조방법
TWI282372B (en) Corrosion resistance excellent steel for ship
KR101568527B1 (ko) 드로스 생성이 억제된 용융 아연합금 도금액 및 고내식성 용융 아연합금 도금강판
JP6131774B2 (ja) 耐食性に優れた溶融めっき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604765B (zh) 一种钢带热浸镀方法
JP7290757B2 (ja) めっき鋼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5521932B2 (ja) 耐食性、半田強度および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Sn−Zn溶融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30376B2 (ko)
KR20020041029A (ko)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아연합금계 도금강판
JPS6362835A (ja) 溶融亜鉛メツキ用亜鉛合金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30052200A (ko) 표면외관 및 내식성이 우수한 합금 도금강판
JP2017014586A (ja) 溶融亜鉛めっき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た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