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411A - 조리기구 상에 감소된 두께의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기구 상에 감소된 두께의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411A
KR20080086411A KR1020080026607A KR20080026607A KR20080086411A KR 20080086411 A KR20080086411 A KR 20080086411A KR 1020080026607 A KR1020080026607 A KR 1020080026607A KR 20080026607 A KR20080026607 A KR 20080026607A KR 20080086411 A KR20080086411 A KR 20080086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tud
joint ring
outer plate
set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빠스깔 뀔르리
스떼판 쁠리숑
쟝-프랑수와 브라쎄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8978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8641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8008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 A47J45/085Heat shields f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구(2)의 외측판(6) 상에 손잡이(3)를 고정하는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는 스터드(5) 및 손잡이(3), 그리고 이음 고리(8)를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5)는 자신의 제1 전방 단부(14)를 통해서는 상기 조리기구(2)의 외측판(6)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자신의 제2 후방 단부(15)에 하나의 개방구(16)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3)의 일 단부는 하우징(33)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 32)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터드(5)를 수용하고, 나사(4)의 통행 및 상기 스터드(5) 개방구(16) 내로의 유입을 허용해주는 관통 구멍(39)이 상기 하우징에 뻗어 있고, 상기 이음 고리(8)는 상기 스터드(5) 및 상기 손잡이(8)의 돌출부(31,32)를 둘러싸면서 상기 손잡이(3)를 조리기구(2)의 상기 외측판(6)에 세로로 연결해준다.
본 발명에 적합하게,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손잡이(3)의 돌출부(31,32)는 측부 횡단 축(42) 내에서 상기 스터드(5)의 양쪽과 접촉되며, 상기 이음 고리(8)는 상기 스터드(5) 및 손잡이(3)에 맞닿는 수직 횡단 축(41) 내에서 세팅 수단들을 포함한다.
조리기구, 손잡이 고정 장치, 이음 고리, 스터드, 손잡이 돌출부, 세팅 수단.

Description

조리기구 상에 감소된 두께의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DEVICE FOR FASTENING HANDLE HAVING REDUCED THICKNESS ON COOKER}
본 발명은 냄비, 프라이팬 등의 조리기구 상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US 2787805는 자신의 단부에서 나사 홈이 파진 구멍을 가진 채 사각형 섹션으로 된 조리기구의 측벽에 인접한 주조된 스터드(stud)를 포함하는 유형의 조리기구의 측벽 또는 외측판 상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손잡이의 단부에 조리기구의 외측판이 붙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단부는 스터드의 사각형 섹션과 함께 작용하며 손잡이 축에 대한 두 수직 방향(수평 및 수직) 내에서의 세팅을 보장해주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의 연장선상에서, 손잡이는 스터드의 나사 홈이 파진 구멍과 함께 작용하는 나사용 지지구역 및 통로를 갖추고 있다. 화염 방패 역할을 하는 이음 고리는 손잡이의 단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 장치는 지속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단점을 나타낸다. 왜냐하면 손잡이를 조리기구 외측판 상에 조립한 후 얼마 되지않아 간극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조리기구의 외측판과 직접 접촉되는 손잡이의 재질은 순환되는 가열 및 냉각 사이클에 놓인 채 시간이 경과 하게 되면 손상된다.
아울러, 이러한 고정 장치는 손잡이 단부의 견고한 구성을 요구한다. 실제로, 손잡이로서 자주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은 열경화성 유형이다. 이러한 재질은 충분한 기계적 특성을 획득하기 위해, 그리고 사용자의 압력을 지탱하기 위해 두꺼운 측벽을 필요로 한다.
영국 특허 GB 1077475는 제1 단부를 통해 조리기구의 외측판에 고정되는 스터드 및 제1 단부를 통해 조리 용품의 외측판에 맞닿아 함께 놓여질 수 있으며 또한 자신의 제2 단부에 맞닿는 지주 형태로 손잡이의 버팀벽을 수용할 수 있는 손잡이 단부를 둘러싸는 반사장치 또는 이음 고리를 포함하는 유형의 조리기구의 외측판 상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또 다른 유형의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스터드의 제2 단부는 손잡이의 축방향 고정을 용이하게 해주는 수단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끼워넣기를 통해 손잡이를 세팅시키게 해주는 수단들 또한 포함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손잡이 단부의 버팀벽은 자신의 중앙부에서 스터드 수용 하우징을 갖추고 있는 평행육면체의, 또한 정사각형으로 불리기도 하는, 돌출부를 한정한다.
이러한 고정 장치는 위에서 인용된 장치의 노화 문제를 개선하기는 하나, 사용자가 조리기구 가득 조리물을 채울 경우 스터드 및 이음 고리의 상부면 간에 세팅된 손잡이의 재질에 상당한 압력이 가해지며, 그 결과 손잡이 균열의 위험이 야기된다. 아울러, 이 장치는 견고한 손잡이 단부의 구성을 요구하는, 즉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 또한 내포한다.
보다 개선된 해결방안이 미국 특허 US 4032032에 기술되어 있다. 이 문헌에 기술된 조리기구의 외측판 상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는 제1 단부를 통해 조리기구의 외측판에 고정될 수 있는 스터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장치는 자신의 제2 단부에서 나사 홈이 파진 구멍을 포함하며, 또한 제2 단부를 통해 조리기구의 외측판에 맞닿아 함께 놓일 수 있으며 자신의 제2 단부에 맞닿는 지주 형태로 손잡이의 버팀벽을 수용할 수 있는 손잡이 단부를 둘러싸는 이음 고리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또한 한편으로는 그 개방 섹션이 스터드의 섹션에 상응하는 (이는 개방 섹션이 스터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임) 개방구를, 다른 한편으로는 이음 고리의 하부 섹션에 상응하는 (이는 하부 섹션이 이음 고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임) 외부 섹션 또한 포함한다. 이 장치에서 손잡이는 스터드 상에 세팅되는 것이 아니라 이음 고리 내에 세팅된다.
이 고정 장치는 보충 부품을 필요로 한다는, 즉 제작 비용의 증가라는 단점을 나타낸다. 아울러, 보충 부품의 제작 내성 문제로 인해 조리기구 상에 손잡이를 조립할 때 보충 분산 부품을 첨가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들을 개선하는 것과 사용되는 부품 수 및 손잡이 단부에 사용되는 재질의 양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가진 고정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정적으로 오래 유지될 수 있는 고정성을 보장해주는 고정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음 고리 부위 및 수직 방향의 손잡이 단부 부위에서 세심하게 다듬어진 고정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은 스터드와, 손잡이 및 이음 고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구의 외측판 상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와 함께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는 자신의 제1 전방 단부를 통해서는 조리기구의 외측판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자신의 제2 후방 단부에서는 하나의 개방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의 일 단부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스터드를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나사의 통행 및 스터드 개방구 내로의 그 유입을 허용해주는 관통 구멍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뻗어나가고, 상기 이음 고리는 돌출부 및 손잡이의 스터드를 둘러싸면서 손잡이를 조리기구의 외측판에 세로로 연결해준다. 하나 또는 다수의 손잡이 돌출부는 측면 횡단 축 내에서 스터드의 양쪽과 접촉되며, 이음 고 리는 스터드 및 손잡이에 맞닿는 수직 횡단 축 내에서 세팅 수단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는 손잡이의 돌출부 벽과 스터드의 측부면 사이에 존재하는 미미한 간극 덕분에 수평 횡단 방향으로 손잡이를 스터드 상에 정확하고 직접적인 방법으로 세팅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통해 손잡이의 세로 축 주위에서 조리기구가 회전하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배열은 손잡이를 이음 고리에 의해 직접적으로 스터드에 수직 횡단 방향으로 세팅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구성은 손잡이 부위에서 사용되는 재질의 양 관점에서 볼 때 대단한 경제성을 나타낸다.
스터드에 맞닿는 이음 고리의 세팅 수단들은 스터드의 후방 단부의 하부 파트에 위치된 가장자리와 협력 작용하는 이음 고리의 하부 파트의 내부면 상에 위치된 리브(rib)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리브가 알루미늄 필터링을 통해 획득되는 것이 선호되는 이음 고리의 실현 시 직접적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부수적인 연결 부품 없이 스터드 상에 이음 고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스터드에 맞닿는 이음 고리의 세팅 수단들은 스터드의 하부면의 중앙 선과 협력 작용하는 이음 고리의 하부 파트의 내부면 상에 놓이는 리브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스터드에 맞닿는 이음 고리의 상부 파트의 세팅 수단들은 스터드의 상부면과 협력 작용하는 자신의 전방 단부의 상부 파트의 하부 가장자리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된 두 가지 배열을 통해 수직 횡단 방향으로 이음 고리를 조화롭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에 맞닿는 이음 고리의 세팅 수단들은 손잡이 단부의 하부 파트에 놓여진 버팀벽과 협력 작용하는 자신의 후방 단부의 하부 파트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손잡이에 맞닿는 이음 고리의 세팅 수단들은 손잡이 단부의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면과 협력 작용하는 자신의 후방 단부의 하부 파트의 상부 가장자리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두 돌출부의 외부 표면 각각은 손잡이에 대한 이음 고리를 측면 횡단 축 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음 고리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접촉 면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두 돌출부의 외부 표면들은 손잡이에 대한 이음 고리를 수직 횡단 축 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음 고리와 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직 접촉 면을 포함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두 배열을 통해 손잡이의 단부를 감소된 두께의 이음 고리 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손잡이 단부를 세련되게 개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보충 기능을 첨가할 수도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온도 유지 모듈 또는 이음 고리 상에 설치되는 분출 방지 덮개 또는 손잡이 회전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두 돌출부의 외부 표면들은 손잡이 세로 축에 대해 돋음부를 포함하는 것이 선호된다.
여기서 돋아난다는 것은 돌출부가 원뿔대 형태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돌출부 섹션이 손잡이의 더욱 작은 전방 단부 측면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단지 두 돌출부만을 기초로 손잡이를 이음 고리 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의 조리기구 조작 시, 두 돌출부를 구성하는 재질이 유연성을 나타내지 못하게 되며, 안전하고 지속적인 고정이 보장되는 것이다.
손잡이 단부는 이음 고리의 상부 파트 상에서 모퉁이 단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음 고리 맞은편에 놓이는 보호 덮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실상, 조리기구 사용 시, 외측판과 접촉되어 있는 이음 고리가 가열된다. 이음 고리 상에 떨어지는 분출물이 말라붙어, 탄화되어 단단하게 점착된다. 이점으로 인해 세척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것이다. 외측판과 접촉되지 않으므로 인해 차가운 특성을 지니는 모퉁이 단면부와 함께 분출물이 쉽게 세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비제정적으로 기술된 실시예들을 통해 더욱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되는 부품 수 및 손잡이 단부에 사용되는 재질의 양 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안정적으로 오래 유지될 수 있는 고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1)에 의해 손잡이(3)를 조리기구(2)의 외측판(6)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장치는 손잡이(3)의 단부(30)를 둘러싸는 이음 고리(8)와, 스터드(5) 및 나사(4)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스터드(5)는 세로 축(40)에 대해 사각형 베이스 등의 각기둥으로 된 일반적인 형태를 지닌다. 스터드(5)는 조리기구(2)의 외측판(6)에 고정되는 제1 전방 단부(14) 및 나사(4)를 수용하는 막힌 개방구(16)를 포함하고 있는 제2 후방 단부(15)를 포함한다. 스터드(5)의 전방 단부(14)는 조리기구(2)의 외측판(6)에 용이하게 용접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 쪽으로 놓인 뾰족 부위(18)를 갖춘 굽은 디스크(17)를 포함한다.
이음 고리(8)는 타원형의 파인 튜브로 된 일반적인 형태를 지닌다. 이음 고리(8)는 조리기구(2)의 외측판을 동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전방 단부(21) 및 손잡이(3)의 버팀벽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 후방 단부(22)를 포함한다. 이음 고리(8)의 전방 단부(21)가 조리기구(2)의 외측판(6)에 정확하게 동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방 단부(21)에 의해 한정되는 표면 또는 부분 및 이 표면 또는 부분이 함께 동반하는 외측판(6) 구역은 평행 상태를 나타낸다.
손잡이(3)의 단부(30)는 손잡이(3)의 축(40)과 직각인 수직 횡단 축(41)의 양쪽에 배치되며, 스터드(5)를 수용하는 하우징(33)을 형성하는 공간에 의해 분리되는 튀어나온 두 개의 돌출부(31, 32)를 포함한다. 하우징(33)은 스터드(5)의 두 측면(11, 12)과 함께 협력 작용하는 두 돌출부(31, 32)의 두 내부 측벽(34, 35)으로 구성되는 두 개의 평평한 면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손잡이(3)의 축과 직각인 측부 횡단 축(42)을 따라 스터드(5) 상에서 손잡이를 움직이지 못하게 할 수 있으며, 자신의 세로 축(40)을 중심으로 손잡이(3)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두 돌출부(31, 32)에 의해 형성되는 손잡이(3)의 단부(30)는 이음 고리(8) 내에 끼워 넣어진다. 돌출부(31, 32)는 자신들의 외부 파트에서 이음 고리(8)의 내측부의 표면(23, 24)에 맞춰지는 표면(36, 37)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표면(36, 37)은 각각 측부 횡단 축(42) 내에서 손잡이(3)에 대해 이음 고리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이음 고리(8)와 접하는 측부 접촉 면(46, 47)을 포함한다. 돌출부(31, 32)의 외부 표면(36, 37)은 수직 횡단 축(41) 내에서 손잡이(3)에 대해 이음 고리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음 고리(8)와 접하는 수직 접촉 면(48, 49)도 또한 포함한다.
두 돌출부(31, 32)의 외부 표면(36, 37)은 손잡이(3)의 세로 축(40)에 대해 하나의 돋움부를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돌출부(31, 32)는 원뿔대 형태를 나타낸다는 것이며, 돌출부 섹션이 손잡이(3)의 더욱 작은 전방 단부 측면이 된다는 것이다. 돋움부는 두 돌출부(31,32)의 상부 파트 및 하부 파트 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손잡이(3)의 단부(30)는 두 돌출부(31, 32)의 주변부로서, 이음 고리(8)의 후방 단부 파트에 맞닿아 지탱되는 버팀벽(38)을 통해 한정된다. 그 결과 돌출부(31, 32)가 이음 고리(8) 내로 파고드는 힘이 최대 한도로 된다. 이음 고리(8)의 후방 단부(22)의 하부 파트의 상부 가장자리는 돌출부(31, 32)의 하부면 상에 지지된다.
이음 고리(8)는, 자신의 하부 파트(25)의 내부면 상에서, 스터드(5) 후방 단부(15)의 하부 파트에 위치되는 가장자리(19) 상에 지지되는,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터드(5)의 하부면(10)의 중앙 라인 상에 지지되는 하나의 리브(26)를 포함한다.
이음 고리(8)는, 자신의 전방 단부(21)의 상부 파트에서, 스터드(5)의 상부면(13) 상에 지지되는 하부 가장자리(28)를 포함한다.
하나의 관통 구멍(39)이 하우징(33)의 연장선 상에서 손잡이(3)의 단부(30) 내에 실현된다. 구멍(39) 내에 미리 끼워져 있는 나사(4)는 스터드의 막힌 개방구(16)와 협력 작용한다. 구멍(39)은 하나의 버팀벽을 포함하며, 나사의 헤드는 이 버팀벽에 맞닿아 지탱된다. 나사(4)는 스터드의 막힌 개방구(16)에 나사 홈을 파는 작업을 생략하기 위해, 그리고 본 장치 제작 비용의 절감을 위해 자동으로 홈을 파는 유형일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라 사각형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손잡이 단부의 돌출부는 손잡이(3)의 측부 횡단 축(42)을 따라 스터드(5) 상에 위치시키는 최소한도로 감소된 기능을 가진다. 조리기구의 사용 시, 기계적인 측면에서 이음 고리(8)는 자신의 기본적인 기능에 머무른다. 즉 나사(4)-손잡이(3)-스터드(5)에 의한 상부 연결 및 외 측판(6)-이음 고리(8)-손잡이(3)에 의한 하부 연결 간의 대항 커플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받는 하나의 파트를 가진다. 특히 이 압력 수용 파트에는 상당히 힘이 가해지며, 조리 레인지가 가열되면 그 영향을 받게 된다. 이음 고리(8)의 상부 파트는 자신의 전방 파트 덕분에 단지 스터드 상에 놓이는 역할에만 참여한다. 후방 상부 파트는 기계적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보충적인 기능성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3)의 단부(30)는 이음 고리(8)의 상부 파트(27)를 덮는 모퉁이 단면부(45)를 포함한다. 모퉁이 단면부(45) 및 외측판(6) 간의 거리는 3mm 이하이다. 이 모퉁이 단면부는 조리 시 분출물에 노출되는 이음 고리(8)의 보호 덮개 역할을 수행하며, 장치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기능성에 관련된 다른 하나의 변형 실시예에서, 이음 고리(8)의 후방 상부 가장자리 내에 하나의 균열부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 균열부 내에 손잡이의 모퉁이 단면부를 넣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손잡이(3) 단부의 형태를 더욱 세련되게 개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1)를 이용하여 손잡이(3)를 조리기구(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스터드(5)의 전방 단부(14)를 예를 들어 용접 등을 통해 조리기구(2)의 외측판(6)에 고정시킨다.
손잡이(3) 단부(30)의 두 돌출부(31, 32)를 이음 고리(8)의 후방 단부(22) 내로 유입시킨다. 이어서 손잡이(3)의 두 돌출부(31, 32)의 평평한 면(34, 35)과 이음 고리(8)를 스터드(5) 주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사(4)를 손잡이(3)의 구멍(39) 내로 끼워 넣는다. 이때 구멍(39)과 스터드(5)의 막힌 개방구(16)는 상호 간에 마주 놓이기 때문에 나사(4)는 이 막힌 개방구(16) 내로 파고들어가게 된다.
구멍(39)은 하나의 버팀벽을 포함하며, 나사(4) 헤드는 이 버팀벽에 맞닿은 채 지탱된다. 나사가 파고 들면서 이음 고리(8)의 전방 단부(21) 파트는 조리기구의 외측판(6)에 맞닿아 부착되며, 이음 고리(8)의 후방 단부(22) 파트는 손잡이(3)의 버팀벽(38)에 맞닿아 부착된다.
나사가 파고드는 작용이 끝나는 시점, 이음 고리(8)를 통해 조리기구(2)의 기울어진 외측판 상에 가해지는 방사상 힘이, 이음 고리(8) 전방 단부(21)의 상부 파트의 하부 가장자리(28)가 스터드(5)의 상부면(13) 상에 압박을 가하는 것을 만들어 낼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된 실시예 및 그 변형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절대 아니며, 아래의 청구항에서 기술되는 틀 내에서 변형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 또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터드(5)에 맞닿는 이음 고리(8)의 세팅 수단들이 스터드(5) 후방 단부(15)의 하부 파트에 놓이는 가장자리(19)와 함께 직접적으로 협력 작용하는 이음 고리(8) 하부 파트(25)의 내부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터드(5)에 맞닿는 이음 고리(8)의 세팅 수단들이 스터드(5)의 상부면(13)과 협력 작용하는 이음 고리(8) 상부 파트(27)의 내부면 상에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변이형을 통해 스터드(5)에 대한 이음 고리(8)의 위치를 바꿀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첫 번째 변형된 형태를 통해 수직 횡단 축(41) 내에서 이음 고리를 더욱 세련되게 개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외측판 상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장치가 손잡이 축에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Claims (10)

  1. 조리기구(2)의 외측판(6) 상에 손잡이(3)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스터드(5)와 손잡이(3) 및 이음 고리(8)를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5)는 자신의 제1 전방 단부(14)에 의해 상기 조리기구(2)의 외측판(6)에 결합될 수 있고, 자신의 제2 후방 단부(15)에 하나의 개방구(16)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3)의 일 단부는 하우징(33)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 32)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터드(5)를 수용하고, 나사(4)의 통행 및 상기 스터드(5)의 개방구(16) 내로의 유입을 허용해주는 관통 구멍(39)이 상기 하우징 내에 뻗어 있고, 상기 이음 고리(8)는 상기 스터드(5) 및 상기 손잡이(8)의 돌출부(31, 32)를 둘러싸면서 상기 손잡이(3)를 조리기구(2)의 상기 외측판(6)에 세로로 연결해주며,
    상기 손잡이(3)의 하나 또는 다수의 돌출부(31, 32)는 측부 횡단 축(42) 내에서 상기 스터드(5)의 양쪽과 접촉되고,
    상기 이음 고리(8)는 상기 스터드(5) 및 손잡이(3)에 맞닿는 수직 횡단 축(41) 내에서 세팅 수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터드(5)에 맞닿는 이음 고리(8)의 상기 세팅 수단들은 상기 스터드(5) 후 방 단부(15)의 하부 파트에 위치된 가장자리(19)와 협력 작용하는 상기 이음 고리(8)의 하부 파트(25)의 내부면 상에 위치된 리브(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터드(5)에 맞닿는 이음 고리(8)의 상기 세팅 수단들은 상기 스터드(5)의 하부면(10)의 중앙 라인과 협력 작용하는 상기 이음 고리(8) 하부 파트(25)의 내부면 상에 놓이는 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터드(5)에 맞닿는 이음 고리(8)의 상부 파트(27)의 상기 세팅 수단들은 상기 스터드(5)의 상부면(13)과 협력 작용하는 자신의 전방 단부(21)의 상부 파트의 하부 가장자리(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3)에 맞닿는 이음 고리(8)의 상기 세팅 수단들은 상기 손잡이(3)의 단부(30)의 하부 파트에 놓여진 버팀벽(38)과 협력 작용하는 자신의 후방 단부(22)의 하부 파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3)에 맞닿는 이음 고리(8)의 상기 세팅 수단들은 상기 손잡이(3)의 단부(30)의 돌출부(31, 32)의 하나 이상의 하부면과 협력 작용하는 자신의 후방 단부(22)의 하부 파트의 상부 가장자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돌출부(31, 32)의 외부 표면(36, 37)은 각각 상기 손잡이(3)에 대한 이음 고리를 상기 측부 횡단 축(42) 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음 고리(8)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부 접촉 면(46, 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돌출부(31, 32)의 외부 표면(36, 37)은 상기 손잡이(3)에 대한 이음 고리를 상기 수직 횡단 축(41) 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음 고리(8)와 접하는 두 개 이상의 수직 접촉 면(48, 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돌출부(31, 32)의 외부 표면(36, 37)은 상기 손잡이(3)의 세로 축에 대해 하나의 돋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의 단부(30)는 상기 이음 고리(8)의 상부 파트(27) 상에 하나의 모퉁이 단면부(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KR1020080026607A 2007-03-21 2008-03-21 조리기구 상에 감소된 두께의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 KR200800864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2041 2007-03-21
FR0702041A FR2913869B1 (fr) 2007-03-21 2007-03-21 Dispositif de fixation de poignee d'epaisseur reduite sur un article culina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411A true KR20080086411A (ko) 2008-09-25

Family

ID=3889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607A KR20080086411A (ko) 2007-03-21 2008-03-21 조리기구 상에 감소된 두께의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972243B1 (ko)
JP (1) JP2008289857A (ko)
KR (1) KR20080086411A (ko)
CN (1) CN101268920B (ko)
AU (1) AU2008201234A1 (ko)
BR (1) BRPI0800964B1 (ko)
CA (1) CA2626155C (ko)
ES (1) ES2674078T3 (ko)
FR (1) FR2913869B1 (ko)
MX (1) MX2008003823A (ko)
PL (1) PL1972243T3 (ko)
PT (1) PT1972243T (ko)
RU (1) RU2468734C2 (ko)
TR (1) TR201808686T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10922A1 (it) * 2011-05-24 2012-11-25 Termoplastic Fbm Srl Elemento di fissaggio dell'impugnatura su un recipiente di cottura per cibi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7805A (en) 1955-06-09 1957-04-09 West Bend Aluminum Co Flame guard for plastic handle
GB1077475A (en) 1965-02-01 1967-07-26 London Aluminium Compan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andles for holloware
JPS5239648Y2 (ko) * 1975-01-31 1977-09-08
US4032032A (en) 1976-05-04 1977-06-28 William Michael Carroll Flame guard anti-rotation device
GB1555031A (en) * 1977-08-08 1979-11-07 Lsd Woodturning Handles
JPS5753476Y2 (ko) * 1978-06-30 1982-11-19
JPS5711650Y2 (ko) * 1978-11-24 1982-03-08
JPH041885Y2 (ko) * 1985-06-27 1992-01-22
FR2683136A1 (fr) * 1991-11-06 1993-05-07 Berrod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 organe de prehension sur un ustensile de cuisine.
FR2723570B1 (fr) * 1994-08-10 1996-09-27 Seb Sa Dispositif pour fixer une queue a un recipient culinaire et recipient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FR2831042B1 (fr) * 2001-10-19 2004-08-13 Seb Sa Dispositif et procede de fixation de poignee sur un article culinaire
FR2863470B1 (fr) * 2003-12-12 2006-02-24 Seb Sa Systeme de fixation d'une poignee de prehension a un recipient d'un article culina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26155A1 (fr) 2008-09-21
FR2913869A1 (fr) 2008-09-26
CN101268920A (zh) 2008-09-24
FR2913869B1 (fr) 2012-07-20
BRPI0800964A2 (pt) 2011-06-14
CA2626155C (fr) 2014-11-25
PL1972243T3 (pl) 2018-08-31
CN101268920B (zh) 2011-11-30
RU2468734C2 (ru) 2012-12-10
EP1972243B1 (fr) 2018-05-16
ES2674078T3 (es) 2018-06-27
JP2008289857A (ja) 2008-12-04
AU2008201234A1 (en) 2008-10-09
MX2008003823A (es) 2009-02-27
EP1972243A2 (fr) 2008-09-24
TR201808686T4 (tr) 2018-07-23
EP1972243A3 (fr) 2012-03-14
BRPI0800964B1 (pt) 2018-12-11
PT1972243T (pt) 2018-06-26
RU2008110819A (ru) 200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6851A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RU2597270C2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прибор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RU2386085C2 (ru) Варочная поверхность с оптимизированным распределением пламени
KR20080086411A (ko) 조리기구 상에 감소된 두께의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
US7009149B2 (en) Slow cooker and stand
US20120000457A1 (en) Cooking appliance
US6888107B2 (en) One-piece burner element/switch support for a cooktop
KR20080086412A (ko) 조리시 음식 분출을 막는 덮개를 갖는 손잡이를 조리기구상에 고정하는 장치
KR100863249B1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20060083068A (ko) 고기구이용 구이판
KR102183629B1 (ko)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
FR2827036A1 (fr) Appareil de cuisson compotant un bac en vitroceramique, avec une zone de chauffe en creux, bombee
JP2006334253A (ja) キッチン用スクリーン
KR101143578B1 (ko) 전기 구이전골기
KR102585506B1 (ko)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
CN211408715U (zh) 烹饪器具
US11583136B1 (en) Griddle
CN215675339U (zh) 一种安全性高的厨具内火盖
CN213371323U (zh) 一种便于清理的早餐机
KR20110092771A (ko) 직화 오븐
KR20180000511U (ko) 수직그릴 조리기
CN105942886A (zh) 一种方便使用的新型煎烤锅
KR19990008345U (ko) 불판 겸용 냄비
KR200225796Y1 (ko) 육류 구이판
JPS5829966Y2 (ja) 「ちゅう」房用家具の防熱継目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