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629B1 -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629B1
KR102183629B1 KR1020190069034A KR20190069034A KR102183629B1 KR 102183629 B1 KR102183629 B1 KR 102183629B1 KR 1020190069034 A KR1020190069034 A KR 1020190069034A KR 20190069034 A KR20190069034 A KR 20190069034A KR 102183629 B1 KR102183629 B1 KR 102183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cooking
plate
block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필
Original Assignee
이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필 filed Critical 이상필
Priority to KR1020190069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라이팬과 전기그릴을 포함하는 가열조리기구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기름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조리구와 통풍구가 구비되어 음식물 조리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열조리기구의 상부 가장자리단에 안착되어 기름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정 너비를 가지고 너비방향을 따라 곡률지게 변형 가능한 제1차단판; 상기 제1차단판과 대응되게 일정 너비를 가지고 너비방향을 따라 곡률지게 변형 가능한 제2차단판;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의 일단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의 타단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Oil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for cooking}
본 발명은 프라이팬이나 전기그릴 등의 가열조리기구를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 기름의 비산을 방지하는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이팬이나 전기그릴 등의 가열조리기구는 식재료를 굽거나 볶을 때 사용하는 조리 기구의 하나이다. 이러한 가열조리기구에 육류나 어류를 굽거나 기름을 뿌리거나 부어 식재료를 볶거나 튀기게 되면 기름이 가열조리기구의 주변으로 비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조리기구의 주변으로 기름이 비산하게 되면 비산된 기름에 의해 손과 얼굴에 화상을 입게 될 뿐만 아니라 가열조리기구의 주변과 그 주변 바닥까지 기름에 의해 더러워지게 된다.
이러한 기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와 형태를 가진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는 가열조리기구의 상부를 완전히 덮는 덮개식 구조이거나, 일단과 타단에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열조리기구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 설치되는 환설식 구조 등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가열조리기구의 상부를 완전히 덮는 덮개식 구조는 조리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가열조리기구의 상부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는 환설식 구조는 가열조리기구에 안착시키는 안착수단이 없어 조리 중에서 쉽게 넘어가게 될 뿐만 아니라 조리구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조리 작업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름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쉽게 확인하면서 조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가열조리기구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5905호, 2018.03.09.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2638호, 2014.06.11.자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8863호, 2007.05.10.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기름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쉽게 확인하면서 조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가열조리기구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는 가열조리기구의 상부 가장자리단에 안착되어 기름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정 너비를 가지고 너비방향을 따라 곡률지게 변형 가능한 제1차단판; 상기 제1차단판과 대응되게 일정 너비를 가지고 너비방향을 따라 곡률지게 변형 가능한 제2차단판;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의 일단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의 타단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제1차단판과 제2차단판이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재에 의해 원형으로 연결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며 제1차단판과 제2차단판의 하단에 안착부가이 구비되어 가열조리기구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으므로 기름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차단판과 제2차단판이 원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가 개방되어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쉽게 확인해가면 조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차단판과 제2차단판에 조리구와 통풍구가 별도로 마련되어 조리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조리작업시 발생하는 연기나 유증기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차단판과 제2차단판의 일단 사이와 타단 사이에 제1연장판과 제2연장판을 더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원형의 프라이팬은 물론이고 사각형의 프라이팬에도 구애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타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의 제1,2연장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의 제1,2차단판과 제1,2연장판의 연결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프라이팬과 전기그릴 등을 포함하는 가열조리기구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 기름이 사방으로 비산되지 않게 하는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는 기름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조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가열조리기구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100)는 가열조리기구(F)의 상부 가장자리단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판(10), 제2차단판(20), 제1연결부(30), 제2연결부(40), 안착부(50), 제1연장판(60) 및 제2연장판(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은 가열조리기구(F)의 상부 가장자리단을 따라 둘러 설치할 수 있도록 각각 일정 너비를 가지고 너비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곡률지게 변형 가능한 형태를 가진다.
이때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의 너비가 확대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상부에는 음식물을 자르거나 뒤집는 조리작업이 가능하도록 조리구(11,2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단, 조리구(11,21)를 필요에 따라 개폐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리구(11, 21)에는 조리구개폐문(12, 22)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조리구개폐문(12, 22)은 하단이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에 경첩(121, 221)에 의해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하부에는 외기를 유입시켜 공기 순환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나 유증기가 원활하게 상부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통풍구(13, 23)가 너비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통풍구(13, 23)를 필요에 따라 개폐 사용할 수 있도록 통풍구(13, 23)에도 통풍구개폐문(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통풍구개폐문은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에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 중의 하나에는 가열조리기구(F)의 온도를 감지하여 조리에 적합한 온도를 색상 변화로 표시하는 온도감지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연결부(30)는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일단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를 위해 제1연결부(3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판(10)의 일단 외면에 함몰 형성된 걸림홈(31)과, 제2차단판(20)의 일단 내면에 돌출 형성되고 걸림홈(31)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3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단판(1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홈(31)에 제2차단판(2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돌기(32)를 끼움식으로 압입하면 제1차단판(10)의 일단과 제2차단판(20)의 일단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10)의 일단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끼움 삽입되는 고정홈(34)이 양측면에 함몰 형성된 끼움고정구(33)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단판(10)의 일단과 제2차단판(20)의 일단을 각각 끼움고정구(33)의 고정홈(34)에 각각 끼움 삽입하면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일단을 끼움고정구(33)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연결부(40)는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타단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한다.
즉, 제2연결부(40)는 각각의 일단이 제1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된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타단을 일체로 연결하여 가열조리기구(F)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이 원형을 이루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2연결부(40)는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판(10)의 타단에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된 연결공(41)과, 제2차단판(20)의 타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연결공(41)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연결돌기(4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일단이 제1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제1차단판(10)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공(41)에 제2차단판(20)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돌기(42)를 삽입 고정하면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타단도 일체로 연결되면서 원형을 이루게 된다.
이때 제2연결부(40)는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이 이루는 직경이 가열조리기구(F)의 크기 규격에 대응되게 조절될 수 있도록 연결공(41)의 내부에는 연결돌기(42)가 삽입 고정되는 위치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연결공(41)의 내부에 제1차단판(10)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411)에 의해 가능하다.
따라서 연결돌기(42)를 가이드홈(411)에 의해 구분되는 연결공(41)의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삽입하면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이 이루는 원형 직경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안착부(50)는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이 제1연결부(30)와 제2연결부(40)에 의해 원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가열조리기구(F)의 상부 가장자리단에 안착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안착부(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열조리기구(F)의 상부 가장자리단 내면에 지지되는 지지편(51)과, 지지편(51)의 외면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어 가열조리기구(F)의 상부 가장자리단 상면에 지지되는 수평지지편(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분리 구성되는 것으로,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하단 내외면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판지지편(53)과, 판지지편(53)의 사이에 함몰되어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하단이 끼움 결합되는 판끼움홈(54)과, 판지지편(53)의 하부 내측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열조리기구(F)의 상부 가장자리단 내면에 지지되는 내측지지편(55)과, 내측지지편(55)의 하부 외측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열조리기구(F)의 상부 가장자리단 상면에 지지되는 외측지지편(5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은 제1연결수단(30)과 제2연결수단(40)에 의해 원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안착수단(50)에 의해 가열조리기구(F)의 상부 가장자리단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연장판(60)과 제2연장판(70)은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일단과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타단을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한다.
즉, 제1연장판(60)과 제2연장판(70)은 원형이 아니라 모서리가 둥근 장방형 형상을 가진 가열조리기구(F)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도 9과 같이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일단 사이와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어 너비가 연장되게 연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연장판(60)의 양단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3연결부(80)가 구비되고, 제2연장판(70)의 양단에는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4연결부(90)가 구비된다.
상기 제3연결부(80)는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일단에 구비된 제1연결부(30)와 대응되도록 제1연장판(60)의 일단 외면에 함몰 형성된 걸림홈(81)과, 제1연장판(60)의 타단 내면에 돌출 형성되고 걸림홈(81)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82)로 구성되거나 양측에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끼움고정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연결부(90)는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의 타단에 구비된 제2연결수단(40)과 대응되도록 제2연장판(70)의 일단에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된 연결공(91)과, 제2연장판(70)의 타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연결공(91)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연결돌기(92)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제2연장판(70)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공(91)은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과 제1연장판(60)과 제2연장판(70)가 이루는 너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차단판(10)에 형성된 연결공(41)과 대응되게 연결공(91)의 내부에 가이드홈(91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장판(60)과 제2연장판(70)은 제1차단판(10)과 제2차단판(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루는 직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확대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너비가 확대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제1연장판(60)과 제2연장판(70)의 하부에도 통풍구(63, 73)가 구비될 수 있고, 통풍구(63, 73)를 필요에 따라 개폐 사용할 수 있도록 통풍구(63, 73)에는 통풍구개폐문(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연장판(60)과 제2연장판(70)의 하단에는 가열조리기구(F)의 상부 가장자리단에 안착되는 안착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연장판(60)은 뜨거운 조리용기를 받치는 용기받침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면 또는 외면에 복수 개의 지지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장판(70)은 도마나 쟁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면 또는 외면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깊이로 경계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되거나 소정높이의 경계턱(미도시)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제1차단판 11: 조리구
12: 조리구개폐문 121: 경첩
13: 통풍구 20: 제2차단판
21: 조리구 22: 조리구개폐문
221: 경첩 23: 통풍구
30: 제1연결부 31: 걸림홈
32: 걸림돌기 33: 끼움고정구
34: 고정홈 40: 제2연결부재
41: 연결공 411: 가이드홈
42: 연결돌기 50: 안착부
51: 지지편 52: 수평지지편
53: 판지지편 54: 판끼움홈
55: 내측지지편 56: 외측지지편
60: 제1연장판 63: 통풍구
70: 제2연장판 73: 통풍구
80: 제3연결부 81: 걸림홈
82: 걸림돌기 90: 제4연결부
91: 연결공 911: 가이드홈
92: 연결돌기 100: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
F: 가열조리기구

Claims (10)

  1. 가열조리기구의 상부 가장자리단에 안착되어 기름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정 너비를 가지고 너비방향을 따라 곡률지게 변형 가능한 제1차단판;
    상기 제1차단판과 대응되게 일정 너비를 가지고 너비방향을 따라 곡률지게 변형 가능한 제2차단판;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의 일단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의 타단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이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조리기구의 상부 가장자리단에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의 하단에 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조리기구의 상부 가장자리단 내면에 지지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외면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열조리기구의 상부 가장자리단 상면에 지지되는 수평지지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차단판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의 연결에 따른 너비 조절이 세밀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차단판의 타단에 형성되는 연결공과, 상기 연결공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공을 일정 간격으로 구분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제2차단판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열조리기구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구분되는 상기 연결공 중의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연결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는 조리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구는 조리구개폐문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조리구개폐문은 하단이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경첩에 의해 내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은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이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의 너비가 확대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는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를 통해 외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나 유증기가 원활하게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통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의 양단 사이에는 상기 가열조리기구의 규격에 대응되게 너비가 증가되도록 제1연장판과 제2연장판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차단판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제2차단판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식으로 삽입 걸림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차단판의 일단과 상기 제2차단판의 일단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끼움 삽입되는 고정홈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고정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69034A 2019-06-12 2019-06-12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 KR102183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034A KR102183629B1 (ko) 2019-06-12 2019-06-12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034A KR102183629B1 (ko) 2019-06-12 2019-06-12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629B1 true KR102183629B1 (ko) 2020-11-26

Family

ID=7367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034A KR102183629B1 (ko) 2019-06-12 2019-06-12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736B1 (ko) * 2020-11-30 2022-03-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리물 비산 방지용 커버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2347A (en) * 1995-03-20 1996-08-06 Joseph; William G. Fry pan cooking shield and method
KR200232899Y1 (ko) * 2001-02-16 2001-10-25 이응석 호환성을 갖는 기름 비산방지 뚜껑
KR20040058153A (ko) * 2004-06-03 2004-07-03 남주희 일회용 프라이팬 덮개
KR100704892B1 (ko) * 2005-12-29 2007-04-09 최리나 조리용기의 뚜껑구조
KR20070048863A (ko) 2005-11-07 2007-05-10 최리나 기름비산 방지용 프라이팬 뚜껑
JP2011224090A (ja) * 2010-04-16 2011-11-10 Chikako Sado 調理用液滴飛散防止具
KR101402638B1 (ko) 2014-01-06 2014-06-11 이기태 기름튀김방지덮개
KR20180025905A (ko) 2015-06-26 2018-03-09 고와너스 키친 랩, 엘엘씨 조리용 튐 보호 디바이스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2347A (en) * 1995-03-20 1996-08-06 Joseph; William G. Fry pan cooking shield and method
KR200232899Y1 (ko) * 2001-02-16 2001-10-25 이응석 호환성을 갖는 기름 비산방지 뚜껑
KR20040058153A (ko) * 2004-06-03 2004-07-03 남주희 일회용 프라이팬 덮개
KR20070048863A (ko) 2005-11-07 2007-05-10 최리나 기름비산 방지용 프라이팬 뚜껑
KR100704892B1 (ko) * 2005-12-29 2007-04-09 최리나 조리용기의 뚜껑구조
JP2011224090A (ja) * 2010-04-16 2011-11-10 Chikako Sado 調理用液滴飛散防止具
KR101402638B1 (ko) 2014-01-06 2014-06-11 이기태 기름튀김방지덮개
KR20180025905A (ko) 2015-06-26 2018-03-09 고와너스 키친 랩, 엘엘씨 조리용 튐 보호 디바이스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736B1 (ko) * 2020-11-30 2022-03-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리물 비산 방지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55971A1 (en) Air Fryer
US61873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king foods in a barbeque grill
KR100907608B1 (ko) 간편 조리기
US6293271B1 (en) Multifunctional cooking pot
US5404795A (en) Barbeque grill
EP1071355B1 (en) Table top grill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102075069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CA2523528A1 (en) Sideburner assembly for barbecue grills
KR102263362B1 (ko) 전골 및 구이용 팬이 마련된 가정용 불판
US20170332840A1 (en) Cooktop Insert
KR200460018Y1 (ko) 다목적 조리기
KR102183629B1 (ko)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
KR200482923Y1 (ko) 기름비산방지구 및 가열판을 구비한 가열장치
KR20110046002A (ko) 구이용 불판
KR20190093916A (ko) 구이용 불판
KR20110000683U (ko) 오븐형 직화조리기
KR20200127852A (ko) 회전식 오븐용 꼬치고정장치
KR200359428Y1 (ko) 바비큐 구이기
US20200297162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JP4871068B2 (ja) 電磁調理器用油はね防止器具
KR200335328Y1 (ko) 양면 조리기구
CA3091425C (en) A multi-purpose cooking set
KR200359184Y1 (ko)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