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506B1 -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506B1
KR102585506B1 KR1020230075831A KR20230075831A KR102585506B1 KR 102585506 B1 KR102585506 B1 KR 102585506B1 KR 1020230075831 A KR1020230075831 A KR 1020230075831A KR 20230075831 A KR20230075831 A KR 20230075831A KR 102585506 B1 KR102585506 B1 KR 102585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tainer
main body
fixing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훈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닉
Priority to KR1020230075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5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하우징의 각 파트의 결합지점을 반복적이고 특이한 홈 돌기의 반복 구조로 구현하여 본체 하우징 각 파트의 결합력을 보장하고, 아울러 모터, 팬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상기 결합지점에서 효과적으로 분산 및 상쇄하여 자기 공명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획기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진수단의 일부인 패드부재 자체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선에서, 용기부의 탈거시 패드부재가 용기부에 임의로 딸려 올라오지 못하도록 충분한 결합력을 보장하여 사용편의를 향상시키며 또한, 반복 사용으로 인해 패드부재의 결합력이 낮은 지점부터 헐거워짐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Cooking device with vibration and noise red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하우징의 각 파트의 결합지점을 반복적이고 특이한 홈 돌기의 반복 구조로 구현하여 본체 하우징 각 파트의 결합력을 보장하고, 아울러 모터, 팬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상기 결합지점에서 효과적으로 분산 및 상쇄하여 자기 공명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획기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진수단의 일부인 패드부재 자체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선에서, 용기부의 탈거시 패드부재가 용기부에 임의로 딸려 올라오지 못하도록 충분한 결합력을 보장하여 사용편의를 향상시키며 또한, 반복 사용으로 인해 패드부재의 결합력이 낮은 지점부터 헐거워짐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반, 분쇄 및 가열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조리기기는 본체와 용기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본체 내부에는 모터, 팬 등의 각종 구동계가 중점적으로 내장 설치된다.
한편, 본체는 통상 4~5 개의 사출물 파트로 나누어지고, 이러한 사출물 파트의 경제적 설계 및 완제품 조립과정에서의 채산성을 감안할 경우 각 파트의 결합지점 구조의 단순화를 이루어야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rpm이 수만 회를 선회하는 모터, 팬 등이 본체 내에서 빠르게 작동하게 되면 이러한 진동이 각 파트의 결합부위에서 불필요한 소음으로 발현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은 단순히 감성적인 품질을 떠나, 결합부위의 파손, 결합력 저하 등 실질적인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고, 나아가 소비자의 다양한 불만을 초래하였다.
이에, 이러한 진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파트간 결합지점을 견고하게 구성하고, 특히, 반복적으로 착탈이 이루어지는 용기와 본체의 맞닿음 지점에 탄성재질의 제진패드를 구비하여 본체에서 발생된 진동이 용기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는 구조의 채택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진패드는 용기의 반복적인 착탈 과정에서 반복적인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용기 또는 본체와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문제가 있고, 심하면 용기의 분리 과정에서 용기와 함께 본체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사용구조상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진패드를 본체 또는 용기에 완전한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시키게 되면 유지 보수를 위해 각 파트를 분해하기 어려운 구조가 돼 실질적으로, 각 파트의 분해를 보장하면서도, 제진패드가 본체 또는 용기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182981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체 하우징의 각 파트의 결합지점을 반복적이고 특이한 홈 돌기의 반복 구조로 구현하여 본체 하우징 각 파트의 결합력을 보장하고, 아울러 모터, 팬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상기 결합지점에서 효과적으로 분산 및 상쇄하여 자기 공명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획기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진수단의 일부인 패드부재 자체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선에서, 용기부의 탈거시 패드부재가 용기부에 임의로 딸려 올라오지 못하도록 충분한 결합력을 보장하여 사용편의를 향상시키며 또한, 반복 사용으로 인해 패드부재의 결합력이 낮은 지점부터 헐거워짐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내부로 조리공간을 구비하고 조리공간 내로 수용된 식품을 교반분쇄 및 가열하는 용기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원형의 개방구가 관통 형성되고, 개방구의 테두리 부위를 따라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본체하우징; 개방된 상기 개방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되며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에 맞닿아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는 상부를 향해 림지지대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커버; 및 상기 제1 결합부재, 제2 결합부재 및 림지지대 상면을 동시에 덮도록 상기 본체커버 상부에 결합되는 고무재질의 패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는, 상하단이 개방 형성되되 개방된 상단은 마개부재를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측면으로 손잡이가 마련된 통 형상의 조리용기; 및 상기 조리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용기의 하부는 개방 형성되되, 상기 하부용기의 최 하단 및 하단과 이어지는 내측 테두리면은 상기 패드부재에 동시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면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제1 외곽틀; 상기 제1 외곽틀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제1 외곽틀과의 사이에 제1 외곽끼움공간을 형성하는 제1 중간틀; 상기 제1 중간틀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제1 중간틀과의 사이에 제1 내곽끼움공간을 형성하는 제1 내곽틀; 및 상기 제1 외곽틀과 제1 중간틀의 사이 및 제1 중간틀과 제1 내곽틀의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제1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제1 외곽틀과 제1 중간틀 사이에 접촉 지지되어 제1 외곽끼움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외곽틀; 상기 제2 외곽틀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제2 외곽틀과의 사이에 제2 외곽끼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중간틀과 제1 내곽틀 사이에 접촉 지지되어 제1 내곽끼움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내곽틀; 및 상기 제2 외곽틀과 제2 내곽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재는, 패드부재의 최 외곽 테두리를 구성하며 서로 마주한 제1 외곽틀과 제2 외곽틀 상단에 안착되는 외측수평판; 상기 외측수평판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외곽끼움공간으로 삽입되는 외측고정돌기; 및 상기 외측수평판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림지지대 상면을 덮는 림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림지지대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 일정 깊이의 지지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재는, 상기 림덮개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홈 내로 삽입되는 내측수평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홈의 바닥면에는 지지보조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내측수평판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보조홈으로 삽입되는 지지보조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외곽틀의 제2 외곽틀과 마주하는 상단 내측 모서리 부위에는 지지턱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외측수평판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턱에 걸림 지지되는 밀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상기 하부용기에 결합되되 개방된 조리용기 하단을 향해 배치되어 조리용기의 하면을 구성하는 히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히터플레이트는, 원반 형상의 주조바디; 및 호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조바디 내부에 일체로 주조되는 시즈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주조바디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고정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대 각각에는 온도 센서, 서미스터 및 온도 퓨즈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대 각각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평평한 판상의 형태로 주조바디의 하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 주변에서 돌출 형성되되 내측으로 나사산을 가지는 결합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센서, 서미스터 및 온도 퓨즈는 각각의 고정판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나사를 통해 상기 결합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의 테두리 부위에는 고정턱이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고, 온도 센서, 서미스터 및 온도 퓨즈는 서로 마주하는 고정턱 사이 지점에 배치되되, 각각의 고정판과 온도 센서, 서미스터 및 온도 퓨즈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커버와 패드부재의 결합지점을 홈 돌기가 반복되는 다소 복잡하고 구현함으로써 양자간 구성이 충분한 결합력을 가지고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결합지점에서 효과적으로 분산 및 상쇄하여 자기 공명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획기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패드부재 자체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선에서, 용기부의 탈거시 패드부재가 용기부에 임의로 딸려 올라오지 못하도록 충분한 결합력을 보장하여 사용편의를 향상시키며 또한, 반복 사용으로 인해 패드부재의 결합력이 낮은 지점부터 헐거워짐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체부와 용기부의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체부의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체부와 용기부의 결합지점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체하우징 상부 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체하우징의 상부 요부의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체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체커버의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패드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패드부재의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체하우징, 본체커버 및 패드부재의 단면을 기준으로 한 분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히터플레이트 상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히터플레이트의 하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서 온도 프로텍터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히터플레이트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히터플레이트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는 도 16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8a는 도 16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 구성을, 도 18b는 도 16에 도시된 C-C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 구성을, 도 18c는 도 16에 도시된 D-D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9는 조리리기의 히터플레이트 주변의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크게, 본체부(20) 및 용기부(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본체부(20)로는 용기부(10)의 교반분쇄 및 가열 작동을 위한 전원, 제어 및 전자장치를 구비하며 특히, 용기부(10)의 로터부재(400)를 회전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M), 모터의 냉각을 위한 팬 등을 구비한다.
용기부(10)는 이러한 본체부(20) 위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용기부(10) 내측에 마련된 조리공간(S) 내로 수용된 식품을 교반분쇄하고 아울러, 전달받은 전원을 통해 내부 식품을 가열 조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20)는 크게, 본체하우징(600), 본체커버(700) 및 패드부재(8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본체하우징(600)은 본체부(20)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로 모터(M), 팬, 각종 전자장치 등을 수용하는 함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체하우징(600)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의 하부본체하우징(610)과 상기 하부본체하우징(6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하부본체하우징(6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원형의 개방구(630)가 관통 형성되는 상부본체하우징(620)의 양자간 조립을 통해 구성할 수 있다.
상부본체하우징(620)에는 조리기기의 구동 상태, 용기부(10) 내측의 온도 등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과 제어버튼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방구(630)의 내측 테두리 부위를 따라 제1 결합부재(6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재(640)에는 후술 될 본체커버(700)의 테두리 부위가 결합 지지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64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체커버(700)는 개방된 상기 개방구(630)를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600)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본체하우징(600)에 내장된 모터(M)의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축통과홀(710)이 관통 형성되고,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640)에 맞닿아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7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720)는 본체커버(700)의 최 외곽 테두리 지점에서 제1 결합부재(640)를 추종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본체커버(700)의 결합시 제2 결합부재(720)는 제1 결합부재(640)에 홈돌기 구조로 끼워맞춰지는 한편, 하부본체하우징(610) 내측으로 별도의 나사홀을 구비한 지지대를 마련하고, 상기 지지대의 대응위치에 볼트를 체결하여 본체커버(700)를 본체하우징(600) 상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체커버(700)에는 제2 결합부재(720)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 상부를 향해 림지지대(730)가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체커버(700)는 전체가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어 소정의 강도를 가지며, 이에,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림지지대(730)는 본체커버(700) 위로 커버되는 고무 재질의 패드부재(800)의 아래에서 패드부재(800)에 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제1 결합부재(640)와 제2 결합부재(72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 결합부재(640)는 크게, 제1 외곽틀(641), 제1 중간틀(642), 제1 내곽틀(644) 및 제1 연결대(646)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틀(641), 제1 중간틀(642), 제1 내곽틀(644) 및 제1 연결대(646)는 상부본체하우징(620)과 일체로 형성되어 개방구(630)의 내측 테두리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외곽틀(641), 제1 중간틀(642), 제1 내곽틀(644) 및 제1 연결대(646)는 개방구(630) 주변으로 제2 결합부재(720)와의 결합을 위한 돌기와 홈 구조를 교호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외곽틀(641)은 상부본체하우징(620)의 상면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서 제1 결합부재(640)의 최 외곽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중간틀(642)은 제1 외곽틀(641)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제1 외곽틀(641)과의 사이에 제1 외곽끼움공간(643)을 형성한다.
제1 중간틀(642) 역시 제1 외곽틀(641)과 마찬가지로 상부본체하우징(620)의 높이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되, 제1 중간틀(642)의 상단은 제1 외곽틀(641)의 상단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지점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부로 돌출된 제1 외곽틀(641)과 제1 중간틀(642) 사이에 제1 외곽끼움공간(643)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제1 외곽틀(641)과 제1 중간틀(642)은 제1 연결대(646)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곽틀(644)은 제1 중간틀(642)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제1 중간틀(642)과의 사이에 제1 내곽끼움공간(645)을 형성한다.
제1 내곽틀(644) 역시 전술한 제1 중간틀(642)과 마찬가지로 상부본체하우징(620)의 높이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이 되며, 상단은 제1 중간틀(642)의 상단과 동일 지점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내곽틀(644)과 제1 중간틀(642)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제1 외곽틀(641)과 제1 중간틀(642)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크게 설정돼, 제1 내곽끼움공간(645)을 제1 외곽끼움공간(643)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제1 중간틀(642)과 제1 내곽틀(644)을 연결하는 제1 연결대(646)는 제1 중간틀(642)과 제1 내곽틀(644)의 중간 부위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 결합부재(640)는 개방구(630)의 테두리 부위에서 개방구(630) 중심을 향해 서로 동심원상에 배치된 제1 외곽틀(641), 제1 외곽끼움공간(643), 제1 중간틀(642), 제1 내곽끼움공간(645)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1 결합부재(640)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720)는 크게, 제2 외곽틀(721), 제2 내곽틀(722) 및 제2 연결대(72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2 외곽틀(721)은 제2 결합부재(720)의 최 외곽을 구성하며 제1 외곽틀(641)과 제1 중간틀(642) 사이에 접촉 지지되어 하단 일부가 제1 외곽끼움공간(643)으로 삽입되고, 상단으로는 후술 될 패드부재(800)의 외측수평판(810)이 안착될 수 있다.
제2 내곽틀(722)은 제2 외곽틀(721)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제2 외곽틀(721)과의 사이에 제2 외곽끼움공간(723)을 형성한다.
제2 내곽틀(722) 상단에 상기 림지지대(730)가 이어져 상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곽틀(722)은 제1 중간틀(642)과 제1 내곽틀(644) 사이에 접촉 지지되어 하단 일부가 제1 내곽끼움공간(645)으로 삽입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제2 외곽틀(721)과 제2 내곽틀(722) 사이 지점에는 제2 연결대(724)가 형성되어 제2 외곽틀(721)과 제2 내곽틀(722)을 연결하되, 이때, 제2 연결대(724)는 제2 외곽틀(721)과 제2 내곽틀(722)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여 이로 하여금 제2 외곽틀(721)과 제2 내곽틀(722) 사이의 제2 외곽끼움공간(723)을 상하로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로 구획된 제2 외곽끼움공간(723)으로는 제1 중간틀(642)의 상단이, 상부로 구획된 제2 외곽끼움공간(723)으로는 후술 될 패드부재(800)의 외측고정돌기(820)가 각각 상하로 마주보게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패드부재(80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본체부(20)의 진동이 용기부(10)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을 흡수 내지 완충시키는 구성으로, 용기부(10)는 본체부(20)에 결합시 이러한 패드부재(800) 위주로 접촉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부재(800)는 적어도, 본체부(20)에서 상부로 돌출된 구조물 중 제1 결합부재(640), 제2 결합부재(720) 및 림지지대(730) 상면을 동시에 덮도록 상기 본체커버(700) 상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용기부(10)의 결합시 용기부(10)의 개방된 하단에 접촉 지지되거나 혹은 개방된 하단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용기부(10)에서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용기(200)는 본체부(20)의 돌출된 구조물과 직접적으로 결합이 되는 부위로서, 하단이 개방된 통형 구조를 이루며 이때, 하부용기(200)의 하부는 개방 형성되되, 상기 하부용기(200)의 최 하단 및 하단과 이어지는 내측 테두리면은 적어도 상기 패드부재(800)에 동시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부(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부(10) 방향으로 진동을 최대한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추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패드부재(800)는 크게, 외측수평판(810), 외측고정돌기(820), 림덮개(840) 및 내측수평판(85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외측수평판(810), 외측고정돌기(820), 림덮개(840) 및 내측수평판(850)은 일체형 구성이며, 내측수평판(850)이 패드부재(800)의 중앙을 구성하고, 그 바깥쪽으로 림덮개(840), 외측수평판(810)이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외측수평판(810)은 패드부재(800)의 최 외곽 테두리를 구성하며 하면은 서로 마주한 제1 외곽틀(641)과 제2 외곽틀(721) 상단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외측고정돌기(820)는 외측수평판(810) 하면에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 외곽끼움공간(723)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외측고정돌기(820)는 제2 외곽틀(721)과 제2 내곽틀(722)에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제2 외곽끼움공간(723)에 끼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외곽틀(641)의 상단에는 제2 외곽틀(721)과 마주하는 상단 내측 모서리 부위에 지지턱(641a)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수평판(810)의 외곽 테두리 지점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턱(641a)에 걸림 지지되는 밀림방지돌기(8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측수평판(810)의 하면에는 서로 편심된 외측고정돌기(820)와 밀림방지돌기(830)가 각각 개별적으로 돌출될 수 있고, 외측고정돌기(820)는 제2 외곽끼움공간(723)에, 밀림방지돌기(830)는 제1 외곽틀(641)과 제2 외곽틀(721) 사이의 상단 지지턱(641a)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용기부(10)의 착탈 과정에서 패드부재(800)에 소정의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고무재질이며 특히나 얇은 외측수평판(810) 부위가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들뜨는 등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외측고정돌기(820)와 밀림방지돌기(830) 사이에는 밀림방지홈(880)이 형성되고 전술한 제2 외곽틀(721)의 상단 일부가 상기 밀림방지홈(880)에 삽입돼 외측수평판(810)의 변형 억제 및 본체커버(700)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외측수평판(810)의 상면에는 하부용기(200)의 하단이 안착되므로 하부용기(200)의 무게가 크면 클수록 외측수평판(810) 자체를 아래로 눌러주는 힘이 커지므로, 용기부(10)의 결합시에 자연적으로 외측수평판(810)의 들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림덮개(840)는 외측수평판(810)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림지지대(730) 상면을 덮는 구조로서, 상부로 돌출된 림지지대(73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림덮개(840) 내부에는 경질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림지지대(730)가 마련되어 림덮개(840)의 코어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용기(200)의 내측 테두리면을 따라 림덮개(840)가 균일하게 접촉 지지되어 있으므로, 용기부(10)로의 진동 전달 및 용기부(10) 자체의 임의 기울어짐이나 이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내측수평판(850)은 림덮개(840)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는 판상의 구조물로서 중앙이 일정 면적 개방 형성되어 본체커버(700)의 중앙 부위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본체커버(700)의 상면에는 상기 림지지대(730)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 일정 깊이의 지지홈(740)이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이 지지홈(740)의 대응위치에 내측수평판(850)이 삽입되어 내측수평판(850)의 상면과 본체커버(700)의 중심부 상면이 동일선상을 이룰 수 있다.
지지홈(740)의 바닥면에는 지지보조홈(750)이 더 깊게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측수평판(850)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보조홈(750)으로 삽입되는 지지보조돌기(860)가 돌출 형성되어 본체커버(700) 위에서 내측수평판(850)의 밀림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한편, 외측수평판(810)의 하면과 제2 내곽틀(722) 상단이 맞닿는 지점에는 소정의 도피공간(870)을 형성하여 패드부재(800)의 결합시 상기 도피공간(870)으로 압력해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패드부재(800)의 용이한 결합을 가능케 한다.
아울러, 본체커버의 림지지대(730) 내측면에는 상기 도피공간(87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도피공(73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피공(731)은 림지지대(731) 내측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해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커버(700)와 패드부재(800)의 결합지점을 홈 돌기가 반복되는 다소 복잡하고 구현함으로써 양자간 구성이 충분한 결합력을 가지고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하우징(6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결합지점에서 효과적으로 분산 및 상쇄하여 자기 공명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획기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패드부재(800) 자체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선에서, 용기부(10)의 탈거시 패드부재(800)가 용기부(10)에 임의로 딸려 올라오지 못하도록 충분한 결합력을 보장하여 사용편의를 향상시키며 또한, 반복 사용으로 인해 패드부재(800)의 결합력이 낮은 지점부터 헐거워짐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용기부(10)를 설명하도록 한다.
용기부(10)는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조리용기(100), 하부용기(200), 히터플레이트(300) 및 로터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조리용기(100)는 상하단이 개방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부의 식품 조리의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아울러, 조시에 따른 가열 온도에 견디도록 투명한 내열유리재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조리용기(100)의 개방된 상단에는 마개부재(1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마개부재(110)를 통해 조리용기(100) 상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조리용기(100) 측면으로 용기부(10)를 이동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120)가 결합될 수 있다.
조리용기(100)의 상단에는 내부의 식품을 용이하게 덜어내도록 일부분에 주둥이가 외측방향으로 경사 형성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조리용기(100) 내측면에는 식품 교반분쇄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조리용기(100)의 외측면에는 내부 식품의 양을 가늠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용기(200)는 조리용기(100)와 이종재료, 예컨대, 강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 사출물로서 조리용기(100)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용기(200)는 조리용기(100) 하부로 이어지는 구조물로서 조리용기(100)와 같이 상하단이 모두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이룰 수 있되, 조리용기(100)에 나사 체결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거나 또는 조리용기(100) 하단에 일정 구간 나사산을, 하부용기(200) 상단에 이와 결합되는 일정 구간의 나사산을 형성해 조리용기(100)와 하부용기(200)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회전 결합해 일체형을 구성할 수 있다.
하부용기(200)의 내부로는 후술 될 히터플레이트(300)가 수용될 수 있고, 하단 테두리 부위는 본체부(20) 위로 안착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용기(200) 내부에는 히터플레이트(300)의 유지 고정을 위한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조리용기(100), 히터플레이트(300) 등과 맞닿는 지점에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오링이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히터플레이트(300)는 하부용기(200)에 결합되되 개방된 조리용기(100) 하단을 향해 배치되어 조리용기(100)의 하면을 구성하고, 자체 발열을 통해 조리공간(S) 내 식품을 가열 조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조리용기(100)의 개방된 상단은 마개부재(110)를 통해, 하단은 히터플레이트(300)를 통해 밀폐 구성되며 이렇게 조성된 조리용기(100)의 내부 공간을 조리공간(S)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히터플레이트(300)는 크게 주조바디(310), 시즈히터(360) 및 온도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주조바디(310)는 조리용기(100)의 개방된 하단 개방 면적에 대응되는 원반형 구조로서 히터플레이트(300)의 전체적인 외관 및 골격을 구성한다. 주조바디(310)의 상면은 조리공간(S) 내측을 향해 배치되고, 하면은 하부용기(200)의 내측 공간을 향해 배치되는 한편, 식품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상면에는 조리 과정에서 열에 의해 식품이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도록 불소 또는 테프론 코팅이 이루어져 식품의 고착을 억제할 수 있다.
주조바디(310)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고정대(320-1,320-2,320-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대(320-1,320-2,320-3) 각각에는 온도 프로텍터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프로텍터라 함은 식품의 적정 조리온도를 고려해 시즈히터(360)의 온도 제어 및 유지를 위하여 시즈히터(360)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시즈히터(360)가 임계 온도 이상이 됐을 경우 과열 오작동 방지를 위해 전원을 차단하는 퓨즈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의 온도 프로텍터는 온도 센서(330), 서미스터(340) 및 온도 퓨즈(350)를 포함하며, 각각의 수단은 해당 고정대(320-1,320-2,320-3)의 적소 위치, 예를 들어, 온도 센서(330)는 제1 고정대(320-1)에, 서미스터(340)는 제2 고정대(320-2)에, 온도 퓨즈(350)는 제3 고정대(320-3)에 각각 고정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온도 센서(330)와 서미스터(340)는 제어기와 연결돼 측정된 온도를 제어기로 송출하고, 제어기는 이를 근거로 시즈히터(360)의 실시간 온도를 정밀 제어해 식품의 가열온도를 목적 온도로 유지 관리할 수 있다. 온도 퓨즈(350)의 경우 시즈히터(360)의 온도가 200℃ 를 선회하는 고열로 감지되면 시즈히터(360)의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는 차단회로를 구성한다.
온도 퓨즈(350)는 자체적으로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를 기반해 자체적으로 동작하는 능동형 퓨즈이거나 혹은 온도 센서(330) 또는 서미스터(340)에서 측정된 온도를 토대로 제어기를 통해 제어되는 수동형 퓨즈를 이용한다.
별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기는 본체부(20) 상에 기판 형태로 내장될 수 있고, 시즈히터(360), 온도 프로텍터, 모터 등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전자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해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제1 고정대(320-1), 제2 고정대(320-2) 및 제3 고정대(320-3) 각각은 크게, 고정판(321-1,321-2,321-3) 및 결합대(322-1,322-2,322-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제1 고정대(320-1)의 고정판(321-1)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평평한 판상의 형태로 주조바디(310)의 하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별도의 정밀 가공을 통한 후처리로 평면에 대한 정밀한 공차값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고정판(321-1)에 온도 프로텍터, 바람직하게 온도 센서(330)가 면 대 면으로 부착될 수 있고, 이러한 고정판(321-1)이 온도 센서(330)의 센싱면으로 활용된다.
결합대(322-1)는 고정판(321-1) 주변 또는 고정판(321-1) 자체에서 돌출 형성되되 내측으로 나사산을 가지는 기둥형 구조물로서 온도 센서(330)는 고정판(321-1)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나사를 통해 상기 결합대(322-1)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온도 센서(330)에는 고정나사를 수용하는 나사홀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별도로 고정나사가 관통되는 홀을 가지는 브라켓(331)을 그 위로 덧대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고정판(321-1)의 테두리 부위에는 고정턱(323-1)이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고정턱(323-1)은 적어도 서로 마주하는 양 측 모서리 부위에 돌출되거나, 고정판(321-1)이 사각형 형태일 때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을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 부위에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331)은 양 단부가 마주하는 한 쌍의 결합대(322-1)에 각각 안착되고, 중앙 부위는 고정턱(323-1) 내측으로 수용된 온도 센서(330)를 향해 다수 회 절곡되어 온도 센서(330)의 표면을 적절히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브라켓(331)을 관통해 결합대(322-1)에 나사결합된 고정나사의 헤드와 브라켓(331) 사이에는 탄성스프링(S)이 개재돼 브라켓(331)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온도 센서(330)를 보다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온도 센서(330)는 고정턱(323-1)에 의해 항상 고정판(321-1) 상의 고정위치로 안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각각의 온도 프로텍터의 고정력 향상을 위하여 고정판(321-1)과 온도 센서(330) 사이에는 접착제(AD)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AD)는 각각의 온도 프로텍터를 고정판(321-1)에 밀착 결합하여 온도를 측정할때 열손실을 막아주어 오차를 줄이기 위한 구성이며, 부가적으로, 접착제(AD)의 접착력을 통하여 온도 센서(330)를 제1 고정대(320-1) 상에 1차적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즉, 접착제(AD)의 부착에 이어서, 결합대(322-1)에 고정나사를 체결해 2차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온도 프로텍터를 보다 강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한편 로터부재(400)의 강한 회전에 따른 진동이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 인해 고정나사의 풀림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온도 프로텍터가 접착제(AD)의 고정력을 통해 제1 고정대(320-1) 위에서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착제(AD)의 열손실 관련된 효과는 후술 될 다른 온도 프로텍터와 관련된 설명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접착제(AD)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소량의 접착제(AD)라도 과잉될 경우 접착제(AD)가 고정판(321-1)을 넘어 주조바디(310)의 하면으로 유출돼 마감 품질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는데, 이때, 고정턱(323-1)이 접착제(AD)가 주변으로 과잉돼 흘러 넘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오히려, 고정턱(323-1)에 가로막힌 접착제(AD)가 고정턱(323-1)을 접착면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접착제(AD)의 접착면적을 더 넓혀줌으로 인한 고정력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온도 센서(330)가 고정판(321-1), 고정턱(323-1) 및 브라켓(331) 내측으로 가둬지게 돼 온도를 보다 직관적으로 센싱할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다음으로, 제2 고정대(320-2)의 고정판(321-2)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평평한 판상의 형태로 주조바디(310)의 하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별도의 정밀 가공을 통한 후처리로 평면에 대한 정밀한 공차값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고정판(321-2)에 온도 프로텍터, 바람직하게 서미스터(340)가 면 대 면으로 부착될 수 있다.
결합대(322-2)는 고정판(321-2) 주변 또는 고정판(321-2) 자체에서 돌출 형성되되 내측으로 나사산을 가지는 기둥형 구조물로서 서미스터(340)는 고정판(321-2)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나사를 통해 상기 결합대(322-2)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서미스터(340)에는 고정나사를 수용하는 나사홀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별도로 고정나사가 관통되는 홀을 가지는 브라켓(341)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미스터(340) 주변으로 일체로 돌출된 브라켓(341) 양 단부가 마주하는 한 쌍의 결합대(322-2)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브라켓(341)을 관통해 결합대(322-2)에 나사결합된 고정나사의 헤드와 브라켓(331) 사이에는 탄성스프링(S)이 개재돼 브라켓(341)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서미스터(340)를 보다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온도 프로텍터의 고정력 향상을 위하여 고정판(321-2)과 서미스터(340) 사이에는 접착제(AD)가 도포될 수 있다.
즉, 접착제(AD)의 접착력을 통하여 서미스터(340)를 제2 고정대(320-2) 상에 1차적으로 고정시키고, 이어서, 결합대(322-2)에 고정나사를 체결해 2차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온도 프로텍터를 보다 강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한편 로터부재(400)의 강한 회전에 따른 진동이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 인해 고정나사의 풀림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온도 프로텍터가 접착제(AD)의 고정력을 통해 제2 고정대(320-2) 위에서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3 고정대(320-3)의 고정판(321-3)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평평한 판상의 형태로 주조바디(310)의 하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별도의 정밀 가공을 통한 후처리로 평면에 대한 정밀한 공차값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고정판(321-3)에 온도 프로텍터, 바람직하게 온도 퓨즈(350)가 면 대 면으로 부착될 수 있다.
결합대(322-3)는 고정판(321-3) 주변 또는 고정판(321-3) 자체에서 돌출 형성되되 내측으로 나사산을 가지는 기둥형 구조물로서 온도 퓨즈(350)는 고정판(321-3)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나사를 통해 상기 결합대(322-3)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온도 퓨즈(350)에는 고정나사를 수용하는 나사홀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고정판(321-3)의 테두리 부위에는 고정턱(323-3)이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고정턱(323-3)은 적어도 고정판(321-3)의 서로 마주하는 양 측 모서리 부위에 돌출될 수 있다.
결합대(322-1)에 나사결합된 고정나사의 헤드와 온도 퓨즈(350) 사이에는 탄성스프링(S)이 개재돼 온도 퓨즈(35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온도 퓨즈(350)를 보다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온도 퓨즈(350)는 고정턱(323-3)에 의해 항상 고정판(321-3) 상의 고정위치로 안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각각의 온도 프로텍터의 고정력 향상을 위하여 고정판(321-3)과 온도 퓨즈(350) 사이에는 접착제(AD)가 도포될 수 있다.
즉, 접착제(AD)의 접착력을 통하여 온도 퓨즈(350)를 제3 고정대(320-3) 상에 1차적으로 고정시키고, 이어서, 결합대(322-3)에 고정나사를 체결해 2차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온도 프로텍터를 보다 강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한편 로터부재(400)의 강한 회전에 따른 진동이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 인해 고정나사의 풀림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온도 프로텍터가 접착제(AD)의 고정력을 통해 제3 고정대(320-3) 위에서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접착제(AD)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소량의 접착제(AD)라도 과잉될 경우 접착제(AD)가 고정판(321-3)을 넘어 주조바디(310)의 하면으로 유출돼 마감 품질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는데, 이때, 고정턱(323-3)이 접착제(AD)가 주변으로 과잉돼 흘러 넘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오히려, 고정턱(323-3)에 가로막힌 접착제(AD)가 고정턱(323-3)을 접착면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접착제(AD)의 접착면적을 더 넓혀줌으로 인한 고정력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온도 센서(330)는 요리를 할때 맛을 결정하는 온도를 관리하는 중요한 센서로 보통 섭씨 70~100도의 온도 측정 범위 내에서 관리 조정되고, 서머스터(340)는 온도 센서 제어가 불능일 때 기계적제어로 제품을 보호하는 보조 안정장치로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 복구가 되는 한편 제어 가능 온도는 105도~180도 범위이다. 온도 퓨즈(350)는 어떤 원인에 의해 제어부가 고장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헤서 제품의 소손을 막고 화재를 막기위한 안전 프로텍터서 보통 제어 온도는 140도~260도 정도를 사용하며 한 번 오프되면 자동 복구가 안되고 교체를 해야 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온도 프로텍터의 구성, 예를 들어, 온도 센서(330), 서미스터(340) 및 온도 퓨즈(350)는 서로 불가분에 있으므로 쌍을 이루어 온도 프로텍터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조바디(310)는 알류미늄을 이용한 일체형 주조(die casting)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때 시즈히터(360)는 주조바디(310) 제조 과정에서 주조바디(310) 내부에 일체로 주조될 수 있다.
즉, 주조바디(310)의 주조 금형 내부에 시즈히터(360)를 기배치한 상태에서 알류미늄을 주입해 주조바디(310) 사출물 내측에 시즈히터(360)를 일체로 장입 구성할 수 있다.
알류미늄 주조체는 고온에서 강도 및 내마모성이 높고 열팽창 계수가 작아 구조 안정성이 뛰어나며 스테인레스에 비해 코팅 작업에서 흡착력 및 변형이 없어 코팅 안정성이 좋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주조바디(310) 내부에 시즈히터(360)를 일체로 주조하게 되면 시즈히터(360)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용접이나 부착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정 및 히터플레이트(300)의 구조를 대폭 간소화시킬 수 있고, 특히, 시즈히터(360)가 주조바디(310) 내부에 완전한 일체형 구조로서 장입되므로 주조바디(310)로부터 기계적으로 임의 분리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여 구조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다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즈히터(360)의 열기가 주조바디(310) 내측에서부터 고루 전달이 되므로 열손실이 적어 결과적으로 열효율이 뛰어난 구조를 보인다.
아울러, 주조바디(310)의 주조 과정에서 전술한 고정대(320)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대(320) 자체의 평탄도 및 정밀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고정대(320) 상에 부착된 온도 프로텍터는 시즈히터(360)의 발열로 인한 주조바디(310) 표면 온도를 보다 직관적이고 정밀하게 측정하여 보다 정밀한 온도조건 하에서 조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정보를 제어기에 제공한다.
이러한 주조바디(310)와 시즈히터(360)의 제조는 통상의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부터 참고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제조 과정의 설명은 생략한다.
시즈히터(360)는 일정 길이의 호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 단부의 단자(361)는 주조바디(310) 하면을 향해 외부로 노출되어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시즈히터(360)의 발열부위는 주조바디(310) 내측에 매립이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주조바디(310)의 하면에는 시즈히터(360)의 대응위치 일부분에 절개부위(313)가 형성되어 시즈히터(360)를 부분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절개부위(313)를 통해 시즈히터(360)의 열기를 적절히 방출시킴으로써 주조바디(310)의 과열 및 열기 집중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전원이 오프됨에 따라 히터플레이트(300)의 빠른 냉각작용을 유도하여 안전성을 높힐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개부위(313)는 주조바디(310)의 주조 과정에서 금형 내부에 시즈히터(36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의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금형 내에서 사출물을 탈형시킴에 따라 금형 내에서 시즈히터(360)를 파지하던 고정편의 위치에서 상기 절개부위(313)가 일정 공간의 형태로서 자연적으로 치환되는 구조이다.
이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위(313) 내측으로 수용된 시즈히터(360)의 일부분과 마주하는 주조바디(310) 일측면(313a)은 시즈히터(36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되, 절개부위(313)의 개방면적이 하부(도 17을 기준으로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구조를 갖추도록 상기 일측면(313a)은 하부로 갈수록 주조바디(310) 중심으로 치우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조바디(310)의 중앙에는 로터부재(400)의 결합 설치를 위한 축결합홀(31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주조바디(31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주조바디(310)는 크게 보아 원반형 박판 구조를 이루되 식품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상면은 평평한 면이 아닌 동심원 상에서 다수 회 단차진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예컨대, 주조바디(310)는 주조바디(310)의 중앙을 구성하며 상부 중앙에 오목하게 함몰된 수용홈(315)을 가지는 코어바디(311) 및 코어바디(311)의 테두리 상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림체(312)를 포함한다.
코어바디(311)의 바닥면(311b)은 평평한 면을 구성하며 이때, 하부용기(200) 내측을 바라보는 코어바디(311)의 바닥면(311b) 상에 상기 고정대(320)가 마련돼 온도 프로텍터를 결합 지지할 수 있다.
코어바디(311)의 바닥면(311b) 중앙에 상기 축결합홀(314)이 관통될 수 있되, 코어바디(311) 중심에 상부로 길게 축보스(311c) 구조물을 형성하고, 이러한 축보스(311c) 내측에 축결합홀(314)을 구성한다.
코어바디(311)의 바닥면(311b) 테두리를 따라 소정 두께를 지닌 테두리부재(311a)가 둘러져 바닥면(311b)과 테두리부재(311a) 사이에 수용홈(315)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시즈히터(360)는 테두리부재(311a)의 둘레방향을 추종하여 테두리부재(311a)에 내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시즈히터(360)는 수용홈(315) 주위를 둘러싸게 되는 구조가 갖춰지는 한편, 서로 수직 관계에 있는 테두리부재(311a)의 내측 테두리면(311a')과 상면(311a'')에 동시에 가열 면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도 15에 가열 면적 및 열기 방출 방향을 유색 및 파선처리해 개략 도시하였다.)
이에, 수용홈(315)에 고여 계류된 식품의 경우 테두리부재(311a)의 내측 테두리면(311a')에서 방열되는 열기를 통해 가열 조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그 위에 적층된 식품의 경우 테두리부재(311a)의 상면(311a'')에서 방열되는 열기를 통해 가열 조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결국 조리공간(S) 내의 식품을 보다 골고루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질 수 있다.
아울러, 테두리부재(311a)로부터 각각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면(311b)과 림체(312)로는 시즈히터(360)를 내장한 테두리부재(311a)의 열기가 간접적으로 전도되기 때문에 결국 주조바디(310)의 전반적인 면적에 열기가 활성화되어 열기가 특정 부분에 치우치지 아니하고 균일하게 방열이 이루어져 특정 부위의 과열로 인해 식품이 타는 문제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상대적으로 점도가 커 조리공간(S) 내에서 교반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식품군도 균일하게 가열 조리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온도 프로텍터가 보다 객관적으로 시즈히터(360) 온도를 센싱할 수 있게 되는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림체(312)의 경우 조리공간(S) 내의 식품을 중앙 부위의 수용홈(315)으로 유도하도록 상면을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로터부재(400)는 축결합홀(314)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단에는 조리공간(S)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41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주조바디(310) 하부로 배치되는 제1 커플러(420)로 구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블레이드(410)는 조리공간(S) 내 식품의 교반 및 분쇄 작용을 수행하며, 제1 커플러(420)는 용기부(10) 자체가 본체부(20)에 결합됨에 따라 본체부(20)에 마련된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 커플러(C)와 직결돼 로터부재(40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별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용기(200)의 개방된 하부로는 하부커버가 결합돼 하부용기(200)에 내장된 히터플레이트(300)가 하부커버를 통해 외부 노출이 제한될 수 있게 되는 한편, 하부커버에는 히터플레이트(300)의 시즈히터(360) 및 온도 프로텍터를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하는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고, 본체부(20)에는 상기 커넥터가 접속되는 단자부(P)가 형성돼, 용기부(10) 자체가 본체부(20)에 결합될 시에만 본체부(20)의 제어기가 시즈히터(360) 및 온도 프로텍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용기부(10)의 착탈에 따라 히터플레이트(300)와 제어기의 전기적인 연결을 선택적으로 하는 구성, 예컨대, 하부커버, 커넥터, 단자부 등의 설명은 종래기술로부터 참조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용기부
20: 본체부
100: 조리용기
200: 하부용기
300: 히터플레이트
400: 로터부재
600: 본체하우징
700: 본체커버
800: 패드부재
110: 마개부재
120: 손잡이
310: 주조바디
320: 고정대
330: 온도센서
340: 서미스터
350: 온도퓨즈
360: 시즈히터
410: 블레이드
610: 하부본체하우징
620: 상부본체하우징
630: 개방구
640: 제1 결합부재
710: 축통과홀
720: 제2 결합부재
730: 림지지대
740: 지지홈
750: 지지보조홈
810: 외측수평판
820: 외측고정돌기
830: 밀림방지돌기
840: 림덮개
850: 내측수평판
860: 지지보조돌기
641: 제1 외곽틀
642: 제2 중간틀
643: 제1 외곽끼움공간
644: 내곽틀
645: 제1 내곽끼움공간
646: 제1 연결대
721: 제2 외곽틀
722: 제2 내곽틀
723: 제2 외곽끼움공간

Claims (5)

  1.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내부로 조리공간을 구비하고 조리공간 내로 수용된 식품을 교반분쇄 및 가열하는 용기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원형의 개방구가 관통 형성되고, 개방구의 테두리 부위를 따라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본체하우징;
    개방된 상기 개방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되며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에 맞닿아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는 상부를 향해 림지지대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커버; 및
    상기 제1 결합부재, 제2 결합부재 및 림지지대 상면을 동시에 덮도록 상기 본체커버 상부에 결합되는 고무재질의 패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는,
    상하단이 개방 형성되되 개방된 상단은 마개부재를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측면으로 손잡이가 마련된 통 형상의 조리용기; 및
    상기 조리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용기의 하부는 개방 형성되되, 상기 하부용기의 최 하단 및 하단과 이어지는 내측 테두리면은 상기 패드부재에 동시 접촉 지지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면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제1 외곽틀;
    상기 제1 외곽틀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제1 외곽틀과의 사이에 제1 외곽끼움공간을 형성하는 제1 중간틀;
    상기 제1 중간틀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제1 중간틀과의 사이에 제1 내곽끼움공간을 형성하는 제1 내곽틀; 및
    상기 제1 외곽틀과 제1 중간틀의 사이 및 제1 중간틀과 제1 내곽틀의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제1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제1 외곽틀과 제1 중간틀 사이에 접촉 지지되어 제1 외곽끼움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외곽틀;
    상기 제2 외곽틀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제2 외곽틀과의 사이에 제2 외곽끼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중간틀과 제1 내곽틀 사이에 접촉 지지되어 제1 내곽끼움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내곽틀; 및
    상기 제2 외곽틀과 제2 내곽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재는,
    패드부재의 최 외곽 테두리를 구성하며 서로 마주한 제1 외곽틀과 제2 외곽틀 상단에 안착되는 외측수평판;
    상기 외측수평판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외곽끼움공간으로 삽입되는 외측고정돌기; 및
    상기 외측수평판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림지지대 상면을 덮는 림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림지지대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지점에 일정 깊이의 지지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재는,
    상기 림덮개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홈 내로 삽입되는 내측수평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의 바닥면에는 지지보조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내측수평판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보조홈으로 삽입되는 지지보조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외곽틀의 제2 외곽틀과 마주하는 상단 내측 모서리 부위에는 지지턱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외측수평판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턱에 걸림 지지되는 밀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하부용기에 결합되되 개방된 조리용기 하단을 향해 배치되어 조리용기의 하면을 구성하는 히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히터플레이트는,
    원반 형상의 주조바디; 및
    호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조바디 내부에 일체로 주조되는 시즈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주조바디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고정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대 각각에는 온도 센서, 서미스터 및 온도 퓨즈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대 각각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평평한 판상의 형태로 주조바디의 하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 주변에서 돌출 형성되되 내측으로 나사산을 가지는 결합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센서, 서미스터 및 온도 퓨즈는 각각의 고정판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나사를 통해 상기 결합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의 테두리 부위에는 고정턱이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고, 온도 센서, 서미스터 및 온도 퓨즈는 서로 마주하는 고정턱 사이 지점에 배치되되, 각각의 고정판과 온도 센서, 서미스터 및 온도 퓨즈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
KR1020230075831A 2023-06-13 2023-06-13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 KR102585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831A KR102585506B1 (ko) 2023-06-13 2023-06-13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831A KR102585506B1 (ko) 2023-06-13 2023-06-13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506B1 true KR102585506B1 (ko) 2023-10-06

Family

ID=8829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831A KR102585506B1 (ko) 2023-06-13 2023-06-13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5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813B1 (ko) 2018-01-05 2018-02-19 김홍배 분쇄, 혼합, 가열기능을 갖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식품가공기기
KR101943098B1 (ko) * 2018-09-14 2019-01-28 이클립스리빙(주) 진공 믹서기
KR102391071B1 (ko) * 2021-02-05 2022-04-27 방훈민 모터 직결식 가열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813B1 (ko) 2018-01-05 2018-02-19 김홍배 분쇄, 혼합, 가열기능을 갖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식품가공기기
KR101943098B1 (ko) * 2018-09-14 2019-01-28 이클립스리빙(주) 진공 믹서기
KR102391071B1 (ko) * 2021-02-05 2022-04-27 방훈민 모터 직결식 가열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6205B2 (ja) 温度センサ付きブレンダ
US7780337B2 (en) Blend soup maker
JPH11218332A (ja) 調理面のカットアウトに調理用レンジとしてセラミック加熱素子を配置した装置
JP4893473B2 (ja) 組込み型加熱調理器
US20180070775A1 (en) Preparation vessel for an electric motor-operated food processor
KR102585506B1 (ko)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가 적용된 가정용 조리기기
JP2007312867A (ja) 炊飯器
EP2042066A1 (en) An electrical domestic appliance for food processing, with integrated weighing and hating funcitons
US20010023865A1 (en) Cooking device
KR102672877B1 (ko) 열효율 및 온도측정 정밀도가 향상된 히터플레이트를 구비한 가정용 조리기기
JP2013232282A (ja) 誘導加熱調理器
CN208463815U (zh) 防溢组件、杯盖组件及料理机
JP5348454B2 (ja) 炊飯器
CN213309235U (zh) 一种测温准确的食品加工机
CN213309233U (zh) 一种耐用的食品加工机
CN213309234U (zh) 一种安装方便的食品加工机
EP4100682B1 (en) Gas cooktop with a thermal protector
KR200273417Y1 (ko) 전기 렌지
CN210961476U (zh) 一种电磁加热的电压力锅
CN211533898U (zh) 烹饪器具
CN210043823U (zh) 发热盘组件、杯组件和料理机
CN211582704U (zh) 烹饪器具
CN210961477U (zh) 一种电磁加热的电压力锅
CN108236383A (zh) 发热盘组件及烹饪电器
RU24687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рукоятки уменьшенной толщины на изделии, относящемся к кухонной посуд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