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151A -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151A
KR20080085151A KR1020087015950A KR20087015950A KR20080085151A KR 20080085151 A KR20080085151 A KR 20080085151A KR 1020087015950 A KR1020087015950 A KR 1020087015950A KR 20087015950 A KR20087015950 A KR 20087015950A KR 20080085151 A KR20080085151 A KR 20080085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ection
screw
filtration
back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인쯔 가이스바우아
Original Assignee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8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80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 B01D29/8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80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 B01D29/8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29/82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33/64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by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냉각 윤활제 순환로(35)용 액체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세척장치(1)는 여과전 영역(6)과 여과후 영역(7)을 분리하는 중공 실린더형 여과기본체(2)와, 여과전 영역(6)의 측면에 위치하고 여과전 영역(6)에 연결된 흡입구(8)와, 여과후 영역(7)의 측면에 위치하고 여과후 영역(7)에 연결된 배출구(9)와, 각 세그먼트마다 여과기본체(2)를 백워시하는 백워시장치(10)와, 여과전 영역(6)으로부터 여과된 고형물을 제거하는 방출메커니즘(12)을 포함한다. 여과전 영역(6)으로부터 여과된 고형물을 좀 더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기본체(2)는 여과전 영역(6)을 둘러싸고 동시에 여과후 영역(7)은 여과기본체(2)를 둘러싸며, 방출메커니즘(12)에는 여과된 고형물을 방출개구(14)로 이송하는 스크류 컨베이어(13)가 설치된다.
세척장치, 고형물, 방출메커니즘, 여과기, 백워시장치, 냉각 윤활제 순환로

Description

세척장치{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에서 고형물을 제거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가지는 냉각 윤활제 순환로에서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세척장치가 두 개 이상 설치된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 12 52 785 A1은 도입부에서 소개된 유형의 장치, 즉 하우징에서 여과전 영역과 여과후 영역을 분리시키는 중공 실린더형 여과기본체를 가지는 세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여과전 영역의 단부의 흡입구는 여과전 영역에 연결되는 반면 여과후 영역의 단부의 배출구는 여과후 영역에 연결된다. 게다가, 세척장치에는 여과기본체가 각 세그먼트마다 백워시 될 수 있게 하는 백워시 장치가 설치된다. 이는 백워시장치가 여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여과기본체를 통해 흐르는 적절한 백워시 매개물로 여과후 영역의 단부의 여과기본체에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여과된 고형물이 여과전 영역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방출 매커니즘도 설치된다.
공지의 세척장치에 있어서, 여과기본체는 여과후 영역을 둘러싸고 여과전 영역은 여과기본체를 둘러싼다. 따라서 여과기본체의 여과장치는 외부에서 내부로 향한다. 세척장치의 작동 중에, 불순물은 여과기본체의 여과전 영역의 단부에 퇴적된 다. 백워시 메커니즘은 이러한 퇴적물을 헹구어낸다. 공지의 세척장치에 있어서, 여과기본체는 수직으로, 즉 중력방향 쪽으로 향하는 중심종축에 배열된다. 외부의 여과전 영역으로의 백워시로 헹구어낸 불순물들은 (불순물들이 다시 여과기본체에 놓이지 않는다면) 중력으로 인해 여과전 영역 바닥 쪽에 침전된다. 하우징은 여과된 고형물이 퇴적되는 집수공을 포함한다. 공지의 세척장치에서의 방출메커니즘에는 상기 집수공이 여과전 영역 밖으로 끌어내 질 수 있는 하우징의 하부단부에 배열된 방출개구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방출개구가 개방될 때 오염된 액체가 방출개구를 통해 여과전 영역 밖으로 흘러나가야 하기 때문에 여과작용은 순간적으로 중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입부에서 설명된 유형의 세척장치와는 다르거나 향상된 실시형태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과된 고형물의 제거를 단순화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독립항의 주제로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인 신규한 세척장치는 여과기본체 설계의 일반적인 아이디어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여과방향은 내부에서 외부 쪽으로 향하고 여과된 고형물은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방출개구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설계에 의하면, 여과기본체를 수평으로, 즉 반드시 그 중심종축이 중력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배열할 수 있고, 이는 많은 실시형태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스크류 컨베이어가 설치된 방치 메커니즘은 중력방향에 무관하게 작동하므로 여과기본체가 수평으로 배열될 때 여과된 고형물을 방출개구로 이송할 수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설계로 인해 반드시 오염된 액체는 방출개구가 개방되기 전에 여과전 영역에서 배수되고 그로 인해 여과된 고형물은 대체로 건조한 형태로 제거된다.
본 발명인 신규한 세척 시스템은 흡입구 밸브장치로 인해 두 개 이상의 세척장치를 액체 순환로에 병렬로 결합시키는 일반적인 아이디어에 기초하고, 상기 세척 시스템은 편리하고 교란이 없는 세척을 위하여 여과작동에 대해 교대로 세척장치들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세척장치가 여과작동에 대해 여과된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될 때에도, 세척 시스템의 여과작동은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과작동이 비활성화되는 경우에도, 백워시가 일어날 수 있고, 이로써 각 세척장치의 세척 효율은 현저히 개선된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특징과 장점은 종속항, 도면 그리고 도면에 기초한 형태에 대한 각 설명에서 알 수 있다.
상기한 특징과 후술할 특징들은 여기서 주어진 특정 결합에서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결합 또는 결합없이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표 실시형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의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며, 여기서 동일한 도면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르면서 다른 실시형태를 가지는 세척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9 내지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의 세척장치의 배선도와 유사한 매우 단순화된 계략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따르면, 신규한 세척장치(1)는 중공 실린더형 여과기본체(2)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기본체(2)는 중심종축(4)에 대해 회전하도록 하우징(3)에 설치된다. 상기 여과기본체(2)를 구동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유닛(5)이 설치된다.
상기 여과기본체(2)는 여과후 영역(clean space)(7)과 여과전 영역(crude space)(6)을 분리한다. 본 발명인 신규한 세척장치(1)에 있어서, 여과전 영역(6)은 여과기본체(2) 내부에 배열되므로 여과기본체(2)로 둘러싸인다. 이와 대조적으로, 여과기본체(2)는 여과후 영역(7)의 내부에 배열되어, 여과후 영역(7)은 여과기본체(2)를 둘러싼다. 여과전 영역(6)은 그 단부에서 흡입구(8)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여과후 영역(7)은 그 단부에서 배출구(9)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기본체(2)는 여과방향이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여과기본체(2)는 예를 들어 에지 갭 여과기(edge gap filter)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적절한 여과기를 설계할 수도 있다.
상기 세척장치(1)는 액체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액체는 냉각 윤활제, 예를 들어 공작물을 가공하는 기계의 냉각 윤활 순환로(cooling libricant circuit)용 윤활제이다. 상기 세척장치(1)는 고가의 냉각 윤활제에 필수적으로 동반되는 고형물로부터 냉각 윤활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냉각 윤활 순환로에 적절히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세척장치(1)는 여과기본체(2)가 각 세그먼트(segment)마다 백워시(backwash) 될 수 있도록 하는 백워시장치(backwashing device)(10)를 포함한다. 백워시가 일어날 때, 상기 여과기본체(2)는 여과방향의 반대방향인 백워시유동에 의한 작용을 받고, 따라서 백워시유동은 외부에서 내부로 여과기본체(2)를 관통하여 흐른다. 여기서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각 백워시 장치(10)는 상기 여과기본체(2)의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필수적으로 뻗어있는 백워시 노즐(11)을 포함한다. 따라서 여과기본체(2)의 원주방향 세그먼트는 백워시 노즐(11)에서의 백워시유동에 의해 작용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공기와 같은 백워시 가스 또는 액 은 백워시 매개물로 적합하여, 상기 세척장치(1)에 의해 여과된 액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적절히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인 신규한 세척장치(1)에는 여과된 고형물이 여과전 영역(6)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방출메커니즘(12)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방출메커니즘(12)은 세척장치(1)의 작동중에 여과된 고형물을 방출개구(14)로 이송하는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eyor)(13)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여과된 고형물은 상기 방출개구(14)를 통하여 여과전 영역(6)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방출개구(14)는 여과전 영역(6)에서 떨어져 배열되고 특히 상기 하우징(3)의 외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방출개구(14)는 하우징(3)의 외부에서 접근하기 쉽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3)는 여과전 영역(6) 밖으로 고형물을 이송하여, 그 자체로 고형물이 상기 방출개구(14)에 접근하기 용이하게 하고, 여과전 영역(6)으로부터 고형물을 간단히 제거한다.
본 발명인 신규한 세척장치(1)는 특히 수평방향 설치에 적합하여, 여과기본체(2)의 중심종축(4)은 수평방향이어야 하므로 여기서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들에서처럼 중력방향에 가로지르도록 방향이 정해져야 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기본체(2)는 종방향에서 세 개 이상의 축방향 섹션으로 세분된다. 제1 축방향 단부섹션(15)은 상기 방출개구(14)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되거나 멀리 떨어져 있고 하우징(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실질적인 여과기구조를 포함하고 유동이 반경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는 축방향 여과기섹션(16)은 제1 단부 섹션(15)에 축방향으로 이어진다. 상기 방출개구(14) 영역 에 배열되는 및/또는 배출구 영역에 배열되는 제2 단부 섹션(17)은 여과기 섹션(16)에 축방향으로 연결된다. 제2 단부 섹션(17)도 하우징(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백워시 노즐(11)은 적절히 상기 여과기 섹션(16)의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서 뻗어있어 외부로부터의 백워시 유동으로, 즉 백워시될 여과기 섹션(16)의 각 원주방향 세그먼트에서 여과기 섹션(16)에 작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 및 도 7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출장치(12)는 또한 여과전 영역(6)에, 즉 여과기본체(2) 내부에 배열된 도관(18)을 포함한다. 상기 도관(18)은 여과기 섹션(16)의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뻗어있어야 한다. 상기 도관(18)은 백워시 노즐(11)의 반대편측에서 방사상으로 적절히 배열되어, 도관(18)과 백워시 노즐(11)은 서로 평행하게 적절히 배열되어야 한다. 도관(18)에는 당연히 축방향으로 개방된 길이방향 측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길이방향 개구는 도 15에서 도면부호 19로 표시되어 있다. 도 15에 의하면 상기 도관(18)은 길이방향 개구(19)로부터 도관(18)의 베이스(20)로 갈수록 단면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적절히 갖는다.
따라서 도관(18)은 중력 반대방향인 위로 개방되어 있는 반면 백워시노즐(11)은 아래로, 즉 중력방향으로 백워시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백워시할 때 여과기본체(2)의 내부벽에서 떼어질 수 있는 고형물이 중력 때문에 도관(18) 속으로 가라앉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도관(18)은 백워시 장치(10)에 의해 여과기본체(2)로부터 떨어진 대부분의 고용체를 수집할 수 있다. 그 단부에서, 상기 도관(18)은 또 한 제1 단부섹션(15)으로부터 대략 제2 단부섹션(17)까지 뻗어있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3)는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스크류 샤프트(21)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도관(18)의 베이스(20)를 따라 뻗어있고, 도관(18)의 축방향 전체 길이를 따라 적절히 뻗어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도관(18)의 베이스(20)에서 수집되는 고형물을 방출개구(14)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출메커니즘(12)에는 또한 파이프(22)가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는 제2 단부섹션(17) 영역에서 도관(18)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파이프(22)는 방출개구(14)로 이어지고 및/또는 방출개구(14)를 가진다. 또한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파이프(22) 내에, 즉 방출개구(14)까지 및/또는 그 영역까지 적절히 뻗어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도관(18)에서 수집된 고형물을 파이프(22)를 통하여 방출개구(14)까지 이송한다.
여기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또한 구동유닛(5)에 의해 구동-결합(drive-coupled)되어 있어 상기 구동유닛(5)은 여과기본체(2) 뿐만 아니라 스크류 샤프트(21)도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유닛(5)은 구동 샤프트(23)를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 샤프트는 여과기본체(2) 뿐만 아니라 스크류 샤프트(21)에도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은 축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에 도시된 세척장치(1)는 여과된 액체를 위한 저장용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하므로 여과된 액체 속에 완전히 가라앉아 있어야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2 내지 도 7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은 밀폐되어 있어 상기 세척장치(1)는 여과된 액체의 순환로의 어느 위치에든 필수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1)는 회전축과 여과기본체(2)의 중심종축(4)이 수평면에 대해 약간 경사지게 뻗도록 조립된다. 이 경사는 수평면에 대해 15˚ 미만,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이다. 이 경사는 여과작동이 비활성화될 때 개방되는 방출개구(14)로부터 고형물이 반드시 건조한 형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1)는 회전축과 여과기 본체(2)의 중심종축(4)이 수평면에 반드시 평행하게 뻗어있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도관(18)만 예를 들어 최대 15˚까지 수평면에 약간 경사지게 뻗어있다. 상기 구동 샤프트(23)는 회전축(4)에 동축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구동 샤프트(23)와 스크류 샤프트(21) 사이의 구동 결합은 조인트(24)를 둘러싸고, 상기 조인트는 특히 카던 조인트(cardan joint)로 설계된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구동 샤프트(4)를 통해 한쪽 단부에 그리고 파이프(22)에서 다른 쪽 단부에 설치된다. 추가적인 베어링 수단은 불필요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회전하는 브러시를 가질 수 있어 도관(18)에서 수집된 고형물은 스크류 샤프트(21)의 회전때문에 방출개구(14) 쪽에 배열되어 있어 도관(18)을 따라 솔질된다.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방출개구(14)는 방출밸브(2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방출밸브(25)가 닫혀 있다면, 방출개구(14)는 밀봉되어 세척장치(1)의 작동중 상기 방출개구를 통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방출밸브(25)가 열렸을 때, 방출개구(14)는 개방되어 고형물은 방출개구(14)와 방출밸브(25)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방출개구(25)가 열릴 때 스크류 컨베이어(13)의 연속작동 에 의해 방출개구(14)에 형성된 고형물의 많은 양의 수집물은 압력 서지(pressure surge) 원리에 따라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여과전 영역(6)에서의 통상 발생하는 초과압력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여과전 영역(6)에서 고형물의 제거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파이프(22)는 축베어링(26)을 포함한다. 상기 축베어링(26)에 의해 길이가 축방향으로 균등해질 수 있고, 이는 열유도 팽창효과 때문에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축베어링(26)은 세척장치(1)의 조립을 단순화한다.
상기 세척장치(1)에는 또한 린스노즐(rinsing nozzle)(27)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린스노즐은 여과전 영역(6), 즉 여과기본체(2) 내부에 배열되고 거기에 응착된 고형물을 헹구어내는 여과기본체(2)의 원주방향 세그먼트에서 린스증기에 의해 작용을 받을 수 있다. 한 예로써, 린스노즐(27)이 도 5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나 있고, 여기에서 이런 린스노즐(27)이 백워시장치(10)의 세척효과를 지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도시된 어떠한 실시예에도 필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 린스노즐(27)은 바람직하게는 여과기 섹션(16)의 전체 축방향 길이를 따라 뻗어있다. 린스매개물은 백워시 매개물로도 사용되는 매개물과 같은 매개물, 즉 바람직하게는 여과후 단부에서 얻은 액체인 것이 적절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관(18)은 제1 단부 섹션(15) 영역에서 축방향 개방 단부를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도관(18)은 파이프(22)에 의해 하우징(3)에 부착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6 및 도 7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관(18)은 제1 단부 섹션(15)의 영역에서 하우징(3)에 부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도관(18)은 제1 단부 섹션(15)에서 제2 단부 섹션(17)까지 뻗어있고 끝부분은 프리스탠딩(free-standing) 형식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도관(18)은 제2 단부섹션(17) 영역에서 축방향 개방단부(28)를 가진다. 게다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도관(18)은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서, 도관(18)에 수집된 고형물은 중력 때문에 상기한 자유단부(28) 쪽으로 이동하고, 거기에서 고형물은 도관(18)으로부터 떨어지고 여과기본체(2)의 내부벽에 부딪힌다. 제2 단부섹션(17) 영역에서 도관(18)의 자유단부(28)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관(18)에서 제거된 고형물은 유동이 통과할 수 없는 여과기본체(2)의 섹션, 즉 제2 단부섹션(17)에 할당된 여과기본체(2)의 내부벽 영역으로 떨어진다.
도 5 내지 도 7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3)는 하나 이상의 헬리컬 웨브(helical web)(29)를 가진다. 상기 웨브(29)는 여과기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고 측면에서 볼 때 내측 반경방향으로 뻗어있다. 도 5 및 도 6에 따 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웨브(29)는 여과기 섹션(16)의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있어야 한다. 상기 웨브(29)는 여기에 제1 단부섹션(15)에서 제2 단부섹션(17)까지 헬리컬(helical) 또는 스파이어럴(spiral) 코일 형태로 감겨있다. 도 5 및 도 6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 하나의 웨브(29)가 각각 설치되고, 제1 단부섹션(15)으로부터 제2 단부섹션(17)까지 연속으로 뻗어있다. 여과기본체(2)의 회전 으로 인하여, 상기 헬리컬 웨브(29)는 스크류 피드(screw feed)를 전진시키고 거기서 스크류 컨베이어(13)를 형성한다.
도 7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웨브(29)가 설치된다. 하나의 웨브(29a)는 제2 단부섹션(17) 영역에서만 뻗어있으므로 이송된 고형물을 도관(18)에서 상기 제2 단부섹션(17)까지 방출개구(14) 방향으로 이송한다. 게다가, 다른 하나의 웨브(29b)는 제1 단부섹션(15)에만 뻗도록 설치될 수 있고, 여기에서는 백워시 때문에 어떠한 세척도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제2 웨브(29b)는 고형물을 이송시켜 고형물은 임의로 여과기 섹션(16) 영역의 제1단부 섹션(15)으로 들어가고, 거기서 고형물은 특히 백워시를 통하여 도관(18)으로 들어간다. 도관(18)에 수집된 고형물은 제2 단부섹션(17)에 형성된 경사 때문에 도관을 통하여 이송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따른 실시예에 도시된 스크류 컨베이어(13)는 여과기에 대체로 일체형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1 내지 도 4에 도시된 여과기본체(2)의 실시예에 있는 스크류 컨베이어(13)는 독립하여 분리된 구성요소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13)의 원리는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의 원리와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여과된 고형물을 방출개구(14)로 보내기 위해 스크류 샤프트(21) 및/또는 헬리컬 권선 또는 단순히 스크류(47)는 도관(18)의 베이스(20)와 연동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8 내지 도 14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어떤 도관(18)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대신에, 스크류 샤프트(21)의 스크류(47)가 이러한 실시예에 맞게 설계되어, 상기 스크류는 여과된 불순물을 방출개구(14)로 보내기 위해 여과기본체(2)의 내부벽(48)과 연동한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여과기본체(2)와 동축으로 배열되어, 상기 스크류(47)의 외부단면적은 내부벽(48)의 내부단면적과 대략 일치한다. 스크류(47)와 내부벽(48)은 서로 접촉한 상태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여과기본체(2)와 같은 구동 샤프트(23)에 영구적으로 구동-결합된다. 따라서 구동 유닛(5)이 작동될 때, 여과기본체(2)와 스크류 샤프트(21)는 동일한 회전속도로 구동된다. 결국,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류(47)와 상기 내부 샤프트(48) 사이에 어떠한 상대운동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3)는 아르키메데스의 스크류 방식으로 작동하여 여과된 외부물질을 방출개구(14)로 보낼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10 내지 도 14에 따른 실시예에는 각각 커플링 장치(49)가 설치된다. 상기 커플링 장치(49)에 의해, 구동 유닛(5)과 여과기본체(2) 간의 구동결합은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류 샤프트(21)는 구동유닛(5)에 영구적으로 구동결합되는 반면에, 여과기본체(2)는 상기 커플링 장치(49)로 인해 필요할 때 스위치온(switch-on) 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실시예 에서 상기 여과기본체(2)는 영구적으로 구동되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활성화 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본적으로 여과기본체(2)와 스크류 샤프트(21)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유닛(5)에 커플링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샤프트(23)는 스위치봉(50)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중공 샤프트로 설계된다. 상기 스위치봉(50)은 크로스바 형태로 구동요소(51)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도시된 작동위치에서, 상기 구동요소(51)는 대응하는 상보적인 구동요소 윤곽(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여과기본체(2)의 제1 단부섹션(15)과 맞물린다. 상기 구동요소(51)는 스위치봉(50)에 의해 축방향으로 조절되는 종방향 슬롯(52)에서 구동 샤프트(23)을 관통한다. 여기서 도시된 상기 예에서, 구동요소(51)는 스위치봉(50)에 의해 복원스프링의 복원력에 반하여 작동위치로 눌려진다. 복원스프링의 스프링력 방향으로 스위치봉(50)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구동요소(51)는 상기 구동요소 윤곽으로부터 방출되는 휴지위치로 조절될 수 있어, 상기 구동요소(51)와 여과기본체(2) 사이의 적절한 형태의 커플링은 해제된다. 그 후,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만이 구동유닛(5)에 구동-연결되는 반면, 상기 여과기본체(2)는 작동하지 않는다.
도 8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거의 제2 단부 섹션(17) 쪽으로 뻗어있다. 상기 스크류(47)는 여과기섹션(16) 내부까지만 뻗어있다.
도 9, 도 10, 도 12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제2 단부 섹션(17)을 지나서, 즉 천이 섹션(transitional section)(52)까지 뻗어있다. 상기 천이섹션(52)에서, 여과기본체(2)는 방출개구(14) 쪽에 배열되어 있는 제2 축방향 단부 섹션(17)에서 축방향으로 천이유동을 가진다. 상기 천이섹션(52)이 형성되어 있어 여과전 영역(6)은 방출개구까지의 거리가 증가되어 원뿔의 또는 깔때기 형상에서 넓어진다. 상기 천이섹션(52)은 실린더형 여과기본체(2)와 실린더형 파이프 섹션(53) 사이에 전이를 발생시키고, 상기 파이프섹션은 방출개구(14)에 연결되고 상기 여과기본체(2)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진다.
도 9, 도 10, 도 12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천이섹션(52)까지 뻗어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류(47)에는 원뿔형 스크류 섹션(54)이 설치되고, 상기 원뿔형 스크류 섹션은 천이섹션(52) 내에서 뻗어있고 대응하는 형상, 즉 상기 원뿔형 스크류 섹션(54)이 방출개구 방향으로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크류 샤프트(21)와 스크류(47)는 천이섹션(52) 내부까지 뻗어있다. 게다가,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21)와 스크류(47)도 파이프섹션(53) 내부까지, 바람직하게는 직접적으로 방출개구(14)까지 뻗어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47)에는 실린더형 스크류 섹션(55)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 섹션은 파이프섹션(53)과 상보적이다. 도 9 내지 도 14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또한 적어도 천이영역(52)에서 원뿔형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류(47)와 내부벽(48) 사이의 상대운동은 구동 유닛(5)과 여과기본체(2) 사이의 구동 결합의 비활성화를 통하여 일어날 수 있고, 상기 스크류(47)의 외부 가장자리(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스크레이퍼(scraper)(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내부벽(48)과 연동한다. 상기 스크레이퍼는 제조공차와 위치공차를 보상할 수 있고, 내부벽(48) 및/또는 스크류(47)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스크류(47)와 내부벽(48) 사이에 효율적인 밀봉(seal)을 형성할 수 있고, 스크류 컨베이어(13)의 이송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8 내지 도 11 뿐만 아니라 도 13 및 도 14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47)는 상대적으로 강성소재, 특히 금속박판 또는 플라스틱 박판으로 구성되지만 도 12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47)는 가요성 강모(bristles)(5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스크류형상의 브러쉬를 지지한다. 이송 효과 이외에, 상기 스크류(47)가 추가적으로 스크류(47)와 내부벽(48) 사이의 상대운동하는 강모(56)로 내부벽(48)을 솔질하기 때문에, 상기 스크류(47)는 세척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13 및 도 17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47)에는 스크레이퍼 장치(57)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레이퍼 장치(57)는 세 개의 스크레이퍼(58)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들은 원주방향에 설치되고, 스크류 샤프트(21)와 여과기본체(2) 사이의 상대회전운동이 존재하는 경우 응착된 불순물을 떼어내기 위하여 내부벽(48)과 연동한다. 상기 스크레이퍼(58)는 봉형상의 스크레이퍼 캐리어(59)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는 스크류(57)에 설치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류(47)에는 브러쉬장치(60) 가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장치는 스크류(47)의 원주방향에 설치된 복수의 둥근 브러쉬(61)를 포함한다. 또한 여과기본체(2)와 스크류 샤프트(21) 사이 및/또는 내부벽(48)과 각 둥근 브러쉬(61) 사이의 상대운동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브러쉬장치(60)는 내부벽(48)을 세척한다.
도 15 및 도 16에 따르면, 상기 여과기본체(2)는 지지구조(30)를 적절히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조는 실질적인 여과물질(31)을 지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기물질(31)은 어떠한 적절한 구성 및/또는 성질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기물질(31)은 에지 갭 여과기로 여과기본체(2)를 형성하는 촘촘한 코일형상의 와이어이다.
상기 지지구조(30)는 복수의 반경방향 웨브(32)에 의해 원주방향에서 분할되지만, 유동은 반경방향에서 모든 세그먼트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웨브(3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인접 세그먼트(33) 사이에서 액체를 교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기 백워시 노즐(11)은 각 세그먼트마다 작동하고, 즉 상기 백워시 노즐(11)은 항상 단 하나의 원주방향 세그먼트(33)만을 헹군다. 이러한 방식으로, 백워시 유동의 효과는 각 세그먼트(33)에 집중될 수 있고, 이는 세척효과를 향상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백워시 매개물의 유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도 16은 린스 노즐(27)이 여과기본체(2)의 내부벽 쪽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생성된 린스 증기가 유동이 향하는 여과기본체(2)의 내부벽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스크레이퍼 방식에 있어 긁어내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린스 노즐(27) 및/또는 백워시 노즐(11)은 바람직하게는 고압 노즐 로 설계될 수 있어, 백워시 매개물은 여과기본체(2)의 외부벽 쪽을 향하여 고압으로 쏘여지고 및/또는 린스 매개물은 여과기본체(2)의 내부벽 쪽을 향하여 고압으로 쏘여진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도 17 및 도 18은 세척노즐(62)이 여과후 영역(7)에 설치될 수 있고, 노즐의 포인트형 또는 선형 세척 제트(zet)가 외부에서 여과기본체 쪽을 향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19 내지 도 24는 세척장치(1)의 대표적인 설치개략도를 다양하게 도시한다. 이에 따르면, 배출구(9)는 설치된 상태에 있는 배출구 라인(63)에 연결된다. 흡입구(8)는 흡입구 라인(64)에 연결되고 방출개구(14)는 방출 밸브(25)를 통해 방출 라인(65)에 연결된다. 게다가, 모터(67)로 구동되는 펌프(66)도 설치된다. 도 19 내지 도 21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백워시 라인(68)은 또한 백워시 장치(10)에 연결된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66)는 흡입구 라인(64), 즉 가변차단밸브(69)의 상류에 설치된다. 백워시 라인(68)은 또한 가변차단밸브(69)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역류차단밸브(70)를 포함한다. 여과작동 시에, 상기 펌프(66)은 세척장치(1)를 통하여 오염된 액체를 이송한다. 동시에, 액체 또는 가스 특히 공기일 수 있는 백워시 매개물은 여과기본체(2)를 세척하는 백워시장치(10)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 세척장치(1)를 비우기 위하여, 상기 펌프(66)는 작동이 정지될 수 있고 펌프의 하류에 설치된 차단밸브(69)는 폐쇄될 수 있다. 가스, 바람직하게는 공기(특히 압축공기)는 백워시 라인(68)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어 모든 액체는 배출구(9)를 통하여 세척장치(1)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 후에 일어나는 여과작동 시에 세척장치(1) 외부에 찬 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에는 대응하는 환기밸브(71)가 설치된다.
도 20에서 도시된 실시예는 가변차단밸브(69) 뿐만 아니라 유입라인(72)과 유출라인(73)에 있어 도 19에서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유입라인(72)은 설치된 차단밸브(69)의 상류에 있는 배출구 라인(63)에 연결되고 펌프(66)의 상류에 있는 흡입구 라인(64)에 연결된다. 상기 유출라인(73)은 펌프(66)의 하위에 있고 설치된 차단밸브(69)의 상류에 있는 흡입구 라인(64)에 연결된다. 상기 유입라인(72)과 유출라인(73)은 모두 차단밸브(69)를 포함한다.
여과작동 시에, 유입라인(72)과 유출라인(73)의 차단밸브(69)는 폐쇄되어, 상기 펌프(66)는 세척장치(1)를 통해 여과된 액체를 이송시킨다. 유입작동 시에, 흡입구 라인(64)과 배출구 라인(63)에 위치한 차단밸브(69)는 폐쇄되는 반면, 유입라인(72)과 유출라인(73)의 차단밸브(69)는 개방된다. 이때 상기 펌프(66)는 배출구(9)에서 액체를 세척장치(1) 외부로 끌어내고 세척장치(1)로부터 떨어진 유입라인(72)과 유출라인(73)을 통하여 상기 액체를 이송한다. 동시에, 공기 또는 다른 가스는 백워시 라인(68) 또는 통기밸브(74)를 통하여 재공급될 수 있다.
도 21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66)는 배출구 라인(63) 상에 배열된다. 게다가, 상기 백워시 라인(68)은 펌프(66)의 하류에 있고 배출구 라인(63)에 배열된 차단밸브(69)의 상류에 있는 배출구 라인(63)에 연결된다. 여과작동 시에, 상기 펌프(66)는 세척장치(1)를 통하여 여과된 매개물을 끌어당긴다. 동 시에, 여과된 매개물의 지류는 백워시 라인(68)을 통하여 여과기본체(2)를 백워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척장치(1)를 비우기 위하여, 흡입구 라인(64)에 배열된 차단밸브(69)는 폐쇄되어 상기 펌프(66)는 상기 세척장치(1)를 빨아들여 비운다. 따라서 공기 또는 가스는 통기밸브(74)를 통해 재공급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66)는 흡입구 라인(64) 상에, 즉 흡입구 라인(64) 상에 배열되는 차단밸브(69)의 상류에 배열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압력발생기(75)는 흡입구 단부에서 백워시 장치(10)에 연결된다. 상기 압력발생기(75)가 설계되어 여과기본체(2)의 백워시는 각 세그먼트마다 실시되도록 린스 매개물의 백워시 압력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압력발생기(75)는 주기적으로 작동하여 압력유동으로 각 세그먼트(33)마다 작용한다. 여기서 압력유동은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지는 여과기본체(2)에 작용하는 유동에서 기인한 것으로 이해된다. 비교적으로 작은 부피의 린스 매개물은 백워시로 인한 효율적인 세척효과를 얻는데 있어 중요할 수 있다. 일시적인 압력유동이 있다면, 이를 압력 펄스 또는 펄스에 유사한 백워시라고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압력발생기(75)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진공발생기로서 작동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진공발생기로 작동하는 동안, 상기 압력발생기(75)는 백워시 장치(10)를 통하여 백워시 압력유동에 반대인 유동방향을 가지는 플러싱 흡입유동(flushing suction flow)을 발생시킨다. 흡입유동을 통하여, 백워시장치(10) 영역에서 여과기본체(2)의 여과후 영역단부(7)에 위치되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4는 여과전 영역(6) 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압력유동과 여과전 영 역(6) 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흡입유동을 도시한다.
여기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발생기(75)는 바람직하게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으로 설계되므로 조절가능한 스트로크를 가지는 실린더(77)에 배열된 피스톤(76)을 포함한다. 도 22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발생기(75)가 백워시 압력유동을 발생시키는 전진 스트로크를 실행하기 위하여 압력발생기(75)는 제어라인(75)을 통해 공압식 또는 유압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역 스트로크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77)는 반대방향으로 피스톤(76)을 구동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한다. 역 스트로크는 예를 들어 플러싱 흡입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3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제어라인(78)은 상기 압력발생기(75)에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76)은 전진 스트로크를 실행하기 위해 제어라인(78)을 통해 유압식 또는 공압식으로 구동되는 반면, 역 스트로크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피스톤은 제어라인(78)을 통해 공압식 또는 유압식으로 구동된다.
도 24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발생기(75)는 구동유닛(5)에 구동-결합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또한 여과기본체(2) 및/또는 스크류 샤프트(21)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결합은 구동벨트(80) 또는 체인을 통하거나 또는 기어톱니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피스톤(76)의 구동은 스핀들 구동기(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5에 따르면, 신규한 세척 시스템(34)은 두 개 이상의 세척장치(1)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될 수 있지만, 공지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세척 시스템(34)은 액체 순환로(35) 내에 결합되 고, 상기 액체순환로는 여기서 화살표로 표시된다. 상기 액체순환로(35)는 바람직하게는 냉각 윤활 순환로(35)이다. 상기 세척 시스템(34)은 상기 액체 순환로(35)의 복원유동을 통해 고형물로 오염된 액체를 수용한다. 상기 단부에서, 상기 액체 순환로(35)는 세척 시스템(34)의 공통 흡입구 연결장치(37)에 연결된다. 고형물이 제거된 액체는 액체순환로(35)의 용기(39)가 연결된 공통 배출구 연결장치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공통 흡입구 연결장치(37)는 두 개의 세척장치(1)의 두 개의 흡입구(8)로 갈라져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통 배출구 연결장치(38)는 두 개의 세척장치(1)의 두 개의 배출구로 갈려져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두 개의 세척장치(1)는 세척 시스템(34) 내에서 액체 순환로(35)에 평행하게 연결된다.
상기 세척 시스템(34)은 흡입구 밸브장치(40)를 포함하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 상기 밸브장치는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두 개의 흡입구 밸브(41,42)로 형성되고, 하나의 흡입구 밸브(41)는 하나의 세척장치(1)의 흡입구(8)를 제어하는 반면에 나머지 흡입구 밸브(42)는 나머지 세척장치(1)의 흡입구(8)를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흡입구 밸브장치(40)는 액체 순환로(35)로부터 하나 또는 나머지 세척장치(1)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장치(34)는 적절히 여과가 연속적으로 실행되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두 개의 세척장치(1)에 의해 여과작용은 교대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다. 여과작용이 비활성화될 때, 각 흡입구 밸브(41,42)는 차단되어, 여과전 영역(6)의 압력은 낮아진다. 상기 방출개구(14) 및/또는 각 방출개구밸브(25)는 이에 따라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3)는 여전히 작동중이고 각 세척장치(1)의 하우징(3) 밖으로 여과된 고형물을 반드시 건조한 형태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장치(1)에 있어 여과작용이 비활성화된다면, 상기 백워시 장치(10)는 비활성화되기 전처럼 여전히 적절히 작동중이고, 상기 백워시장치는 여과기본체(2)를 완벽하게 세척한다.
여기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 시스템(34)은 공통 공급라인(43)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공급라인은 공통 공급기연결장치(44)를 포함하고 각 세척장치(1)의 백워시 장치(10)에 각 백워시 매개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장치(45)까지 이어져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공통 공급기연결장치(44)는 공통 백워시 매개물 공급기에 연결된다. 따러서 여과작용이 두 개의 세척장치에서 교대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때에도 두 개의 세척장치(1)의 백워시장치(10)는 연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세척 시스템(34)를 작동하는 제어를 매우 단순화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것처럼, 상기 백워시 매개물은 적절히 액체 순환로(35)의 여과된 액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라인(43)은 공급기 연결장치(44)를 통하여 세척시스템(34)의 여과후 영역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즉 라인라우팅(line routing) 상에 저장하는 세척 시스템(34) 내부에 존재한다. 상기 연결장치는 도 25에서 파선으로 표시되고 도면번호 46으로 표시된다.

Claims (27)

  1. 냉각 윤활제 순환로(35)에서 액체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하는 세척장치로서,
    A: 여과후 영역(7)과 여과전 영역(6)을 분리하는 중공 실린더형 여과기본체(2)와,
    B: 상기 여과전 영역(6)에 연결된 여과전 영역 단부에 있는 흡입구(8)와,
    C: 상기 여과후 영역(7)에 연결된 여과후 영역 단부에 있는 배출구(9)와,
    D: 각 세그먼트마다 상기 여과기본체를 백워시(backwash)하는 백워시장치(10)와,
    E: 상기 여과전 영역(6)에서 세척된 고형물을 제거하는 방출메커니즘(12)을 포함하는 세척장치에 있어서,
    F: 상기 여과기본체(2)는 상기 여과전 영역(6)을 둘러싸고,
    G: 상기 여과후 영역(7)은 상기 여과기본체(2)를 둘러싸고,
    H: 상기 방출메커니즘(12)은 세척으로 제거된 고형물을 방출개구(14)로 이송하는 스크류 컨베이어(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본체(2)에 구동-결합되어 있어 세척장치(1)의 작동시 중심종축(4)에 대해 여과기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5)이 제공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3)는 상기 여과기본체(2) 내부에 부착되고 반경방향 안쪽으로 뻗어있는 하나 이상의 코일형 웨브(29; 29a, 29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일형 웨브(29)는 유동이 반경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여과기본체(2)의 여과기섹션(16)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일형 웨브 중 한 웨브(29a)는 여과기본체(2)의 축방향 단부 섹션(17)에만 배열되고, 상기 축방향 단부 섹션은 상기 방출개구(14)쪽에 배치되어 있고 유동이 반경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상기 여과기본체(2)의 여과기섹션(16)에 축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코일형 웨브 중 다른 웨브(29b)는 상기 여과기본체(2)의 축방향 단부 섹션(15)에만 배열되고, 상기 축방향 단부 섹션은 상기 방출개구(14)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기섹션(16)에 축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동이 반경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상기 여과기본체(2)의 여과기섹션(16)에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뻗어있는 도관(18)은 여과전 영역(6)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 상기 백워시장치(10)는 상기 여과기섹션(16)에 반드시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뻗어있고 백워시를 위해 백워시유동을 가지고 상기 여과기섹션(16)의 원주방향 세그먼트(33)에 작용하는, 여과후 영역(7)에 배열된 백워시 노즐(11)을 포함하고,
    - 상기 도관(18)은 상기 백워시 노즐(11)의 반대쪽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18)은, 방출개구(14)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기섹션(16)에 축방향으로 연결된 여과기본체(2)의 단부섹션(15)으로부터, 적어도 방출개구(14) 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기센션(16)에 축방향으로 연결된 단부섹션(17)까지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18)은 방출개구(14) 쪽에 배치되어 있는 단부섹션(17)의 영역에서 축방향 개방단부(2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3)는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고 상기 도관(18)의 베이스(20)를 따라 뻗어있는 스크류 샤프트(2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 상기 도관(18)은 여과기본체(2)의 축방향 단부 섹션(15) 영역에서 방출개구(14)까지 이르는 파이프(22) 내로 뻗어있고, 상기 축방향 단부 섹션은 상기 방출개구(14) 쪽을 향하여 유동이 반경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여과기본체(2)의 여과기섹션(16)에 축방향으로 연결되고,
    -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상기 방출개구(14)까지 상기 파이프(22)를 통해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13)는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스크류 샤프트(21)를 가지고, 그 스크류(47)는 상기 여과기본체(2)의 내부벽(48)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 상기 방출개구(14) 쪽에 배치된 축방향 단부 섹션(17)에서, 상기 여과기본체(2)는 천이섹션(52) 내부로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천이섹션에서 여과전 영역(6)은 방출개구(14)로부터 멀어질수록 원뿔형으로 확대되고,
    -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상기 천이섹션(52) 내부까지 뻗어있고,
    - 상기 스크류(47)는 상기 천이섹션(52)에 대응하는 원뿔형 스크류 섹션(5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 상기 천이섹션(52)은 상기 여과기본체(2)에서 멀리 떨어진 쪽에 배치된 단부에서 방출개구(14)에 연결되는 실린더형 단부섹션(53) 내부까지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 상기 스크류 샤프트(21)는 상기 파이프섹션(53) 내부까지 뻗어있으며,
    - 상기 스크류(47)는 상기 파이프섹션(53)에 대응하는 실린더형 스크류섹션(5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여과기본체(2)의 내부벽(48)을 솔질해 내는 브러시장치(60)는 상기 스크류(47)에 배열되고 및/또는,
    - 상기 여과기본체(2)의 내부벽(48)을 긁어내는 스크래이퍼장치(57)는 상기 스크류(47)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21)와 상기 여과기본체(2)는 공통 구동 유닛(5)에 구동-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구동유닛(5)과 여과기본체(2) 및/또는 스크류 샤프트(21) 사이의 구동결합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킬 있는 커플링장치(4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21)의 스크류(47)는 유연한 강모(bristle)(56)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개구(14)는 방출밸브(25)로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린스 유동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린스 노즐(27)이 상기 여과기본체(2)의 원주방향 세그먼트를 헹구어내기 위해 여과전 영역(6)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배출구(9)는 배출구 라인(63)에 연결되고,
    - 상기 흡입구(8)는 흡입구 라인(64)에 연결되고,
    - 펌프(66)가 상기 흡입구 라인(64)에 배열되고,
    - 상기 배출구 라인(63)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펌프(66)의 상류에 있는 흡입구 라인(64)에 연결되는 유입라인(72)이 제공되고,
    - 상기 펌프(66)의 하류에 있는 흡입구 라인(64)에 연결되는 유출라인(73)이 제공되고,
    - 가변차단밸브(69)가 상기 배출구 라인(63), 상기 흡입구 라인(64), 상기 유출라인(73) 그리고 상기 유입라인(72)에 배열되어, 상기 펌프(66)는 유입작동시 상기 배출구(9)에서 액체를 배수시킬 수 있고 상기 유입라인(72)과 상기 유출라인(73)을 통하여 액체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세척장치.
  22.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가변차단밸브(6)는 상기 흡입구(8)에 연결된 흡입구 라인(64)에 배열되고,
    - 상기 흡입구 라인(64)이 폐쇄된 경우, 액체는 상기 백워시장치(62)를 통해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배출구(9)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워시장치(10)는 흡입구단부에서 린스 매개물의 백워시 압력유동을 발생시키는 압력발생기(7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 상기 압력발생기(75)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으로 설계되고, 및/또는
    -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은 공압식 또는 유압식으로 구동되어 전진 스크로크를 실행하고 복원스프링(79)에 의해 구동되어 역 스트로크를 실행하고, 및/또는
    -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은 공압식 또는 유압식으로 구동되어 전진 스트로크와 역 스트로크를 실행하고, 및/또는
    -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과 상기 여과기본체(2)는 공통 구동유닛(5)에 구동-결합되고, 및/또는
    -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은 스핀들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고, 및/또는
    - 상기 압력발생기(75)는 린스 흡입유동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기로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5. 냉각 윤활제 순환로(35)에서 액체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하는 세척장치로서,
    - 제1항의 A 내지 E의 특성을 가지고 제1항 내지 제24항 중 하나 이상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세척장치(1)를 포함하고,
    - 상기 세척장치(1)는 액체를 이송하는 순환로(35)에 병렬로 연결되고,
    - 순환로(35)의 하나 이상의 세척장치(1)와 상기 흡입구(8)를 분리시킬 수 있는 흡입구 밸브장치(4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 각 세척장치(1)는 백워시 매개물을 각 세척장치(1)의 백워시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는 연결장치(45)를 가지고,
    - 상기 세척장치(1)의 연결장치(45)는 백워시 매개물을 제공하는 공통 공급라인(4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43)은 상기 세척장치(1)들의 배출구(9)에 연결되거나 이어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KR1020087015950A 2005-12-02 2006-11-30 세척장치 KR200800851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7591A DE102005057591A1 (de) 2005-12-02 2005-12-02 Reinigungsvorrichtung
DE102005057591.9 2005-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151A true KR20080085151A (ko) 2008-09-23

Family

ID=3780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950A KR20080085151A (ko) 2005-12-02 2006-11-30 세척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18347B2 (ko)
EP (1) EP1960079B1 (ko)
JP (1) JP2009517204A (ko)
KR (1) KR20080085151A (ko)
CN (1) CN101351254B (ko)
BR (1) BRPI0619108A2 (ko)
DE (2) DE102005057591A1 (ko)
WO (1) WO200706264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7961A (zh) * 2019-06-04 2021-12-03 Hydac处理技术有限公司 过滤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63243A1 (de) * 2007-12-31 2009-07-02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einrichtung
ES2749851T3 (es) 2009-07-01 2020-03-24 Liquidstrip Ltd Mejoras relacionadas con un aparato de filtración y deshidratación
AU2011224246B2 (en) * 2010-03-12 2014-03-27 Spiral Water Technologies, Inc. Fluid filtration and particle concentration device and methods
DE102010038417A1 (de) * 2010-07-26 2012-01-26 Huber S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von Siebgut aus einer Flüssigkeit
AT12606U1 (de) * 2011-05-20 2012-08-15 Applied Chemicals Handels Gmbh Schneckenpresse
CN103083989B (zh) * 2013-02-07 2016-05-18 沧州市博锐达数控科技有限公司 污水处理装置及污水处理方法
EP2767321B1 (en) * 2013-02-13 2018-06-27 F.M., S.r.L. Unipersonale Self-cleaning filter
US10286338B2 (en) * 2014-01-13 2019-05-14 Spiral Water Technologies, Inc. Flow control features for fluid filtration device and methods
WO2015112860A1 (en) * 2014-01-23 2015-07-30 Prime Solution Inc. Inline dewatering system
CN105148591A (zh) * 2015-06-17 2015-12-16 镇江港和新型建材有限公司 自动清洗装置
WO2017211363A1 (en) * 2016-06-07 2017-12-14 Gea Process Engineering A/S Screw press apparatus including an improved cip arrangement and method of cleaning the apparatus
CN106079893B (zh) 2016-06-17 2018-07-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洁装置及清洁方法
CN107288560B (zh) * 2017-07-17 2023-05-26 长江大学 一种具有泥浆过滤功能的螺旋输送装置
CN108312597A (zh) * 2018-04-03 2018-07-24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黄连木籽油冷榨提取专用生产线及方法
CN109621528A (zh) * 2018-11-26 2019-04-16 广州蓝泽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清洗式微滤机
CN109489351A (zh) * 2018-12-19 2019-03-19 南京金弓厨具设备有限公司 一种厨余垃圾脱水提升机
US11008241B2 (en) * 2018-12-27 2021-05-18 E. Bayne Carew Apparatus and method to concentrate and dry generally organic solids and produce purified water therefrom
CN112023488B (zh) * 2020-08-24 2022-01-25 深圳市卡曼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清理的全屋净水装置
CN112691421A (zh) * 2020-12-25 2021-04-23 单德福 一种反冲洗固液分离装置
CN112807859B (zh) * 2021-01-14 2022-05-27 邵兵 一种厨房油烟机清洁设备
CN115970362A (zh) * 2023-02-27 2023-04-18 浙江金安制药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清洗型中药生产过滤装置及其清洗方法
CN116272055B (zh) * 2023-03-01 2024-04-19 平顶山泰克斯特高级润滑油有限公司 一种废润滑油再生循环柱塞泵过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61453A1 (de) * 1965-08-20 1969-08-07 Passavant Werke Eindicker fuer feststoffhaltige Fluessigkeiten
GB1131194A (en) * 1966-02-16 1968-10-23 Elly Wassberg A device for separating liquid from a slurry
US3938434A (en) * 1973-03-19 1976-02-17 Cox Clyde H Sludge dewatering
DE3524037A1 (de) 1985-07-05 1987-01-15 Wandel Gmbh & Co Chr Sortiervorrichtung, insbesondere zum sortieren von faserstoffaufschwemmungen fuer die papierherstellung
JPH0357595A (ja) * 1989-07-24 1991-03-12 Kuri Kagaku Sochi Kk 連続濾過装置
US5370791A (en) * 1991-08-22 1994-12-06 G A Industries, Inc. Backwashable self-cleaning strainer
DE19514596A1 (de) * 1995-04-20 1996-10-24 Huber Hans Gmbh Maschinen Und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Abscheidegut aus einer Flüssigkeit
DE19917259A1 (de) * 1999-04-16 2000-10-19 Mahle Filtersysteme Gmbh Rückspülbares Flüssigkeitsfilter
DE19956859A1 (de) * 1999-11-25 2001-06-07 Hydac Filtertechnik Gmbh Rückspülfiltervorrichtung
GB2390986B (en) * 2002-06-24 2006-03-29 C D Bissell Engineering Ltd Sludge treatment
JP3627810B2 (ja) * 2002-10-01 2005-03-09 栗田工業株式会社 汚泥濃縮装置および汚泥濃縮装置の洗浄方法
DE10252785B4 (de) * 2002-11-13 2011-04-07 Mahle Filtersysteme Gmbh Selbstreinigendes Flüssigkeitsfil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7961A (zh) * 2019-06-04 2021-12-03 Hydac处理技术有限公司 过滤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6006062D1 (de) 2010-03-18
US7918347B2 (en) 2011-04-05
CN101351254B (zh) 2012-01-11
BRPI0619108A2 (pt) 2011-09-13
WO2007062643A2 (de) 2007-06-07
EP1960079A2 (de) 2008-08-27
DE102005057591A1 (de) 2007-06-06
CN101351254A (zh) 2009-01-21
JP2009517204A (ja) 2009-04-30
EP1960079B1 (de) 2010-01-27
US20100084324A1 (en) 2010-04-08
WO2007062643A3 (de)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5151A (ko) 세척장치
FI92800B (fi) Itsestään puhdistuva suodatin
US7055699B2 (en) Self-cleaning mechanical filter
EP3110521B1 (en) Filtration assembly for gradually screening of fine and coarse particles in a single operational unit
US6500339B2 (en) Filtration apparatus for filtering a machining fluid
US6543624B1 (en) Back-washable filter for liquids
US7288186B2 (en) Filtrate immersed activation assembly for disk filters
AU2008203009A1 (en) Self-cleaning system for filter
WO2001021281A1 (en) Coolant fluid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US4394264A (en) Magnetic liquid filter
US5815544A (en) Self-cleaning strainer
EP3663009B1 (en) System for treating wash waste liquid of a continuous tunnel washing machine in the field of preclinical pharmaceutical research
KR102053710B1 (ko) 연속 여과 운전이 가능한 마이크로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시스템
KR102590332B1 (ko) 역세척 필터장치
JP2005098440A (ja) 夾雑物除去装置
JP6124014B2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100380225B1 (ko) 싸이클론식 연속여과기의 자동 역세 장치
KR102015536B1 (ko) 다중 에어필터 자동세척 장치
JP6109582B2 (ja) 液体浄化装置
CN219309337U (zh) 一种方便清理的筛分过滤仓
CN214742297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疏水装置
CN213049722U (zh) 一种离心油液净化机
JPH01228515A (ja) 浄化装置
WO2009109852A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from liquids with automatic washing of filter by the use of high pressure spray nozzles moved by a hydraulic piston actuated by the same washing liquid
SU1503860A1 (ru) Фильтр дл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