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107A -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107A
KR20080085107A KR1020070012728A KR20070012728A KR20080085107A KR 20080085107 A KR20080085107 A KR 20080085107A KR 1020070012728 A KR1020070012728 A KR 1020070012728A KR 20070012728 A KR20070012728 A KR 20070012728A KR 20080085107 A KR20080085107 A KR 20080085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game
information
serial numb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6114B1 (ko
Inventor
김동성
Original Assignee
디지탈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지탈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지탈릭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114B1/ko
Publication of KR2008008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41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 G06K7/104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 G06K7/1043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positioned close to a conveyor belt or the like on which moving record carriers are passing
    • G06K7/1044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positioned close to a conveyor belt or the like on which moving record carriers are passing the record carriers being fixed to further objects, e.g. RFIDs fixed to packages, luggage, mail-pieces or work-pieces transported on a conveyor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xic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구매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소유하고 있는 게임 캐릭터 카드나 아이템 카드, 또는 온라인 상에서 캐릭터/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는 캐시를 충전하기 위한 캐시 카드 등의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은, 게임 연동 카드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에 대응되는 시리얼 번호 정보를 출력하는 카드 리더기; 상기 카드 리더기로부터 시리얼 번호 정보가 입력되면, 로그인한 게임 서버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및 시리얼 번호 정보를 카드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게임 클라이언트;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시리얼 번호를 확인하여 카드 인증을 수행하고, 해당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를 해당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카드 인증 서버;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부터 특정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가 수신되면,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응되는 캐릭터, 아이템 또는 캐시를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 해당 사용자에 대해 제공하는 게임 서버; 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게임 연동 카드, 카드 리더기, 게임 서버, 카드 인증 서버

Description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On-line Gam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Game linked C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르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따르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따르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온/오프라인에서 구매하여 소유하고 있는 게임 캐릭터 카드 또는 아이템 카드, 캐시 카드와 같은 게임 연동 카드를 온라인에서 인증받아 온라인 게임 서비스 이용 시 캐릭터나 아이템을 게임에 등장시키거나, 캐릭터/아이템 구매를 위한 전자 캐시를 충전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초고속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국내의 게임산업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초기 게임 포탈 사이트를 중심으로 확산되어 온 보드게임 위주의 단순 온라인 게임(P2P)에서 RPG 장르로의 확산이 뒤를 이었고, 온라인 특유의 커뮤니티 기능을 강화하여 게임에 접목시킨 MMO RPG (Massively Multi-user Online Role Playing Gameㆍ다중접속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 게임이 유료화에 성공, 게임의 산업화에 일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리니지'와 '뮤'로 대변되는 성공적인 MMO RPG는 게임의 대형화 추세를 가속화하였으며 수많은 게임업체들이 작게는 수억에서 많게는 수백억에 이르는 개발비를 투자하여 각종 차별화된 게임 개발을 위하여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온라인 게임의 전형적 특성인 집단적 성향은 일부 인기게임으로의 사용자 쏠림 현상을 부추기고 있으며 게임의 콘텐츠적 완성도 보다는 기타 마케팅적 활동 및 사용자의 구전으로 인한 영향력이 게임의 성공 여부에 있어 점차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MMO RPG 장르의 경우 게임의 진행방식이 Mission 또는 Quest라 불리는 임무수행방식(Role Playing) 위주이며 여러 명의 사용 자(Player)가 함께 모여 임무를 수행하는 방식의 비중이 게임의 내용 구성에서 높게 차지하고 있고 비인기 게임의 경우 낮은 동시접속자 수로 인한 게임의 진행 자체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런칭(Launching) 초기 마케팅과 사용자 반응(구전)의 중요도는 그 비중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위와 같은 이유로 많은 게임들이 상용화(유료화)에 실패하거나 그 기회조차 가지지 못하고 사라져 가고 있으며 불가피하게 특정 퍼블리셔 또는 대형 게임업체로 흡수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국내 게임(서비스)업계의 짧은 업력은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한 해외 제작사와 유통사(Publisher)에 비하여 일부 기술적 우위에 있다고도 할 수 있으나 콘텐츠 및 전문성 높은 마케팅 노하우, 클로벌 유통망 등에 있어 상대적으로 열등한 위치에 있으며 이는 국내 게임의 해외 진출은 물론이거니와 해외 게임의 국내 시장 진출 시 국내 업계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큰 위협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온라인 게임들은 퍼블리셔(게임 전문 유통사)를 통하거나 개발사가 독자적으로 서비스를 공급하는 2가지 형태로 사용자(유저)에게 서비스되고 있으며 개발사와 배급사(유통사, 퍼블리셔)는 수익기반의 유료화 모델을 기본적으로 지향하여 정액 요금제 등의 전면 유료 모델과 종량제 및 아이템 판매 등을 통한 부분 유료화 모델의 두 가지 방식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직접판매 방식 이외에 개발사와 유통사는 오프라인 영업을 통하여 PC방 사업자에게 보유 PC 수와 비례하는 만큼의 이용가격을(정액) 부가하는 간접 판매 방식도 함께 이뤄지고 있으며 PC방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PC방 비용 이외의 게임 이용에 따른 추가비용을 지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게임들은 치열한 경쟁관계로 인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자율성을 저하시키고 있으며 특히, 유료 게임의 높은 사용료는 사용자가 여러 다양한 게임을 부담없이 즐기지 못하게 하는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다양한 여러 게임을 부담없이 즐기기 위하여 사용자들은 PC방 등을 이용하는 측면도 없지 않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온라인 재판매 서비스를 통한 '일반 가정의 PC방화'는 국내뿐만 아니라 PC방 문화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해외에서 사용자의 요구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온라인 상의 특정 사이트(예: 싸이월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전자 캐시(도토리)를 오프라인 상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현금결제 시스템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종이로 된 카드에 소정의 시리얼 넘버를 인쇄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판매하거나 배포하고, 이를 획득한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에서 카드에 인새된 시리얼 넘버를 입력하면 해당 사이트에서 그에 상응하는 전자캐시를 사용자의 계정에 충전시켜 주는 방식으로서, 시리얼 넘버가 외부에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정보 유출의 위험이 있고, 사용자가 직접 시리얼 넘버를 입력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에서는 게임을 플레이하는 캐릭터나, 캐릭터에 필요한 아이템을 등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캐릭터나 아이템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해당 캐릭터/아이템을 구입하여야 하나, 온라인 상에서의 구매는 결제 방식이 한정되고, 해킹의 위험이 있고, 게임 서비스 업체 측에서는 캐릭터 /아이템 등도 상업적 차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것이지만 오프라인 상에서의 영업이 어려워 그 이용률 증대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온/오프라인 상에서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캐시 카드 등의 게임 연동 카드를 판매 또는 배포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영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카드에 캐릭터/아이템 등을 인쇄하여 제공함으로써 기대 심리를 자극하여 이용률 증대를 통한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직접 시리얼 번호를 입력하는 번거로움 없이 해당 게임 연동 카드를 온라인 상에서 인증받아 캐릭터/아이템을 제공받거나, 온라인 상에서 결제하지 않아도 캐릭터/아이템의 구매를 위한 캐시를 충전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틱 카드 또는 바코드가 부착된 카드 형태로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캐시 카드 등을 제작하고, 해당 카드의 읽기 또는 읽기/쓰기가 가능한 카드 리더기를 게임 클라이언트와 연동시켜 카드 인증 절차상의 사용자 번거로움을 최소화하며, 카드의 사용 정보를 카드 또는 인증 서버에 기록함으로써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이 용이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카드 리더기에 바코드 리더기와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모두 구비하여, 캐릭터 카드나 아이템 카드와 같이 다수회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게임 연동 카드의 경우, 바코드 훼손으로 인한 사용상의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그네틱 카드로서 제작될 수 있도록 하고, 1회용 카드의 경우에는 개발 단가를 낮추어 바코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으며, 카드로의 사용 정보 기록을 통해 동일 종류의 카드에 대하여 동일한 바코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게임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및 캐시 카드를 포함하는 게임 연동 카드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에 대응되는 시리얼 번호 정보를 출력하는 카드 리더기와; 사용자 아이디로 특정 게임 서버에 로그인된 상태에서 상기 카드 리더기로부터 시리얼 번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로그인한 게임 서버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및 시리얼 번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특정 카드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게임 클라이언트와; 발급된 게임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및 캐시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시리얼 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번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카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해당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를 해당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카드 인증 서버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부터 특정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가 수신되면,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응되는 캐릭터, 아이템 또는 캐시를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 해당 사용자에 대해 제공하는 게임 서버; 를 포함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온/오프라인 판매되는 게임 연동 카드로 온라인 게임 서버의 캐릭터/아이템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캐릭터/아이템 구매를 위한 캐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게임 클라이언트와 연결되고,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가 특정 게임 서버에 로그인된 상태에서 게임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및 캐시 카드를 포함하는 게임 연동 카드의 정보를 독출하며, 독출된 정보에 대응되는 시리얼 번호 정보를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입력하는 카드 리더기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로그인한 게임 서버 정보, 로그인된 사용자 아이디 및 시리얼 번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면, 수신된 시리얼 번호가 게임 연동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번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카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해당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를 해당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카드 인증 서버; 를 포함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사용자의 게임 클라이언트,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와 연결되며 게임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및 캐시 카드를 포함하는 게임 연동 카드의 정보를 읽기 위한 카드 리더기, 게임 연동 카드의 인증을 위한 카드 인 증 서버 및 게임 서비스 제공을 위한 게임 서버 간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가 사용자 아이디로 특정 게임 서버에 로그인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카드 리더기에 특정 게임 연동 카드를 긁거나 삽입함에 따라, 상기 카드 리더기가 해당 게임 연동 카드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에 대응되는 시리얼 번호 정보를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가 상기 로그인한 게임 서버 정보, 사용자 아이디 및 시리얼 번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제3단계와; 발급된 게임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및 캐시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상기 카드 인증 서버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시리얼 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번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카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해당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를 상기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된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 대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응되는 캐릭터, 아이템 또는 캐시를 제공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100)은 캐릭터 카 드(110), 아이템 카드(120), 캐시 카드(130) 등의 게임 연동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 리더기(140), 카드 리더기(140)와 연결된 게임 클라이언트(150),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50)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카드 인증 서버(160) 및 게임 서버(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게임 연동 카드로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캐시 카드만을 언급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게임 서버에서 이용될 수 있는 어떠한 카드도 될 수 있다.
상기 카드 리더기(140)는 게임 연동 카드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에 대응되는 시리얼 번호 정보를 게임 클라이언트(150)로 전송하며, 상기 게임 연동 카드가 바코드 부착 형태 또는 마그네틱 카드 형태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바코드 리더기 또는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 등일 수 있고, 두 종류 이상의 카드 리더기를 모두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카드 리더기(140)는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부착된 바코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해당 바코드 데이터를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거나,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기록된 자기(Magnetic)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자기 정보를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한다. 이 때, 자기 정보 자체가 시리얼 번호 정보인 경우 별도의 변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드 리더기(140)는 게임 연동 카드가 삽입된 상태로 해당 카드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타입일 수 있고, 슬래시 방식 즉, 카드를 긁어 데이터를 독출하는 타입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카드 리더기(140)는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을 위해 게임 연동 카드가 삽입된 상태로 시리얼 번호 정보를 게임 클라이언트(150)로 전송하고,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50)로부터 사용 정보 기록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카드에 사용 정보를 기록한 후 카드 삽입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드 리더기(140)에는 기록 장치 및 추출 장치가 추가되어야 하긴 하나, 각 카드마다 서로 다른 시리얼 넘버를 부여할 필요 없이 동일 종류(동일 아이템, 동일 캐릭터, 동일 금액의 캐시)의 카드에 대하여는 동일 시리얼 넘버를 사용할 수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150)는 사용자 아이디로 특정 게임 서버(170)에 로그인된 상태에서 상기 카드 리더기(140)로부터 시리얼 번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로그인한 게임 서버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및 시리얼 번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카드 인증 서버(160)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한 장치이며, 온라인 게임을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사용자 PC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드 리더기(140)가 카드에 소정의 사용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50)는 로그인한 게임 서버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및 시리얼 번호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카드 리더기(140)로 사용 정보 기록 명령 신호를 전송하여, 카드 리더기(140)가 해당 신호를 수신한 후 사용 정보를 기록하고 카드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카드 인증 서버(160)는 기 발급된 게임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및 캐시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50)로부터 수신되는 시리얼 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번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카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해당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를 해당 게임 서버(17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카드 인증 서버(160)는 시리얼 번호 정보 대신 캐릭터나 아이템의 식별 번호 또는 캐시 금액 정보(캐시 번호)를 게임 서버(17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카드 인증 서버(160)가 게임 서버(170)로 전송하는 시리얼 번호 정보는 카드의 시리얼 번호에 대응되는 캐릭터 번호, 아이템 번호, 캐시 금액을 나타내는 번호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카드 인증 서버(160)는 카드 인증에 성공하면,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 및 통계 처리를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한 사용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며,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 또는 사용된 카드인지의 여부 확인을 위해 각 게임 연동 카드의 종류 별 카드 사용 제한 횟수 정보를 저장하고, 게임 클라이언트(150)로부터 수신한 시리얼 번호에 해당하는 카드 사용 제한 횟수와,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해 이전까지 기록된 사용 정보에 따르는 카드 사용 횟수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게임 서버(170)는 게임 클라이언트(150)로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카드 인증 서버(160)로부터 특정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가 수신되면,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응되는 캐릭터, 아이템 또는 캐시를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 해당 사용자에 대해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게임 서버(170)는 캐릭터 카드의 각 시리얼 번호 별 캐릭터 정보, 아이템 카드의 각 시리얼 번호 별 아이템 정보, 캐시 카드의 각 시리얼 번호 별 캐시(금액) 정보를 저장하며, 카드 인증 서버(160)로부터 캐릭터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가 수신되면, 해당 시리얼 번호에 따르는 캐릭터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사용자의 온라인 게임 시 해당 캐릭터로 게임을 진행하도록 처리하고, 아이템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가 수신되면, 해당 시리얼 번호에 따르는 아이템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사용자의 온라인 게임 시 해당 아이템을 해당 사용자의 캐릭터 인벤토리에 표시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캐시 카드의 경우 게임 서버(170)는 해당 시리얼 번호에 따르는 캐시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사용자 전자 계정에 해당 금액의 캐시를 충전시켜 아이템 또는 캐릭터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카드 인증 서버(160)는 시리얼 번호 정보 대신 캐릭터나 아이템의 식별 정보 또는 캐시 금액 정보를 게임 서버(170)로 전달할 수 있고, 이 경우 게임 서버(170)는 별도로 시리얼 번호 별 캐릭터/아이템/캐시 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없으며, 수신된 캐릭터나 아이템의 식별 정보 또는 캐시 금액 정보에 따라 즉시 해당 캐릭터나 아이템을 적용시키거나, 캐시를 충전시킬 수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7은 카드의 제작 형태에 따르는 실시예 별 설명을 위한 도면으로서, 카드의 형태나 사용 횟수의 제한 등에 따르는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 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르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1000)은 게임 캐릭터 카드(1100), 아이템 카드(1200), 캐시 카드(1300), 카드 리더기(1400), 게임 클라이언트(1500), 카드 인증 서버(1600) 및 게임 서버(1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게임 서비스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게임시장이 인터넷 통신 기술의 발달함에 따라서 클라이언트 게임에서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으로 바꿔지고 있다. 최근에는 다수의 사람이 하나의 게임에 동시에 접속하여 게임하는 머그 게임이 게이머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머그 게임은 일종의 롤플레잉과 어드벤처 게임을 혼합한 형태의 게임으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동시에 참여하여 게임을 즐기는 것이 특징이며, 온라인 게임의 대표가 되는 게임이다.
온라인 게임의 스토리는 게임종류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인 게임 스토리는 게이머가 캐릭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캐릭터의 스피드, 힘, 마법 등의 능력을 향상시키며, 자원채취 등의 방법으로 부를 증가시키며, 게임 스토리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게임과정에 캐릭터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훈련을 통한 방법, 캐릭터간의 대전을 통한 방법, 특정 아이템을 습득하고 습득된 아이템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아이템은 게임을 재미있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아이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 효과적인 공격과 방어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1400)는 게임 연동 카드에 속하는 게임 캐릭터 카드(1100) 또는 아이템 카드(1200), 캐시 카드(1300)와 호환되며, 게임 캐릭터 카드(1100) 또는 아이템 카드(1200)에 대응되는 캐릭터나 아이템, 캐시 카드(1300)로 충전 가능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판독하여 시리얼 넘버를 게임 클라이언트(1500)로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드 리더기(1400)는 기록장치를 탑재하고, 탑재된 기록장치를 통해 게임 연동 카드(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캐시 카드) 중 복수회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카드에 대하여는 사용 횟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일회용으로 제작된 카드에 대하여는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기록할 수 있다.
즉, 카드 리더기(1400)는 사용자에 의해 온라인/오프라인으로 구매한 게임 캐릭터 카드(1100) 또는 아이템 카드(1200), 캐시 카드(1300)를 인식함에 따라, 기록 장치를 통해 게임 캐릭터 카드(1100) 또는 아이템 카드(1200), 캐시 카드(1300)에 사용 횟수 정보(또는,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카드(1100~1300)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자기 정보 또는 바코드 데이터)를 시리얼 정보로 변환한다. 경우에 따라, 판독한 데이터 자체가 시리얼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변환 과정은 생략된다.
또한, 카드 리더기(1400)는 기록 장치를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에 등장시킨 캐릭터가 사용자에 의해 키워져 변경된 경우, 게임 서버(1700)로부터 변경된 캐릭터 정보를 수신받아 기록 장치를 통해 캐릭터 카드에 기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캐릭터 카드는 복수회의 사용이 가능하며 쓰기(WRITE)가 허용되도록 제작되어야 한 다.
한편, 게임 캐릭터 카드(1100) 및 아이템 카드(1200)의 사용 횟수는 개발사의 필요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캐릭터 카드(1100)의 경우 읽기/쓰기 횟수가 100회 내지 200회 등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아이템 카드(1200)의 경우 1회로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아이템 카드(1200)는 캐릭터에 귀속되는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게임 서버(1700)에 아이템 정보가 기록되어, 아이템 카드의 1회 인증으로 캐릭터 카드 사용시마다 아이템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캐시 카드(1300)의 경우 1회 사용으로 해당 캐시 카드(1300)에 의해 사용 가능한 금액이 게임 서버(1700)로 한번에 충전되는 방식일 수 있으며, 횟수의 제한 없이 캐시 카드(1300)를 카드 리더기(1400)에 삽입 시 사용자가 현재 충전할 금액을 선택하면, 해당 캐시 카드(1300)의 총 금액 중 사용자가 선택한 금액만큼만 사용되도록 하고, 이후에도 해당 카드의 총 금액이 사용될 때까지 복수회만큼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캐시 카드의 1회 사용만이 허용되는 경우, 카드 인증 서버(1600)는 캐시 카드(1300)의 시리얼 번호 별로 사용 여부만을 관리하면 되고, 원하는 금액만큼 복수 회 사용이 가능한 경우, 카드 인증 서버(1600) 또는 게임 서버(1700)는 시리얼 번호 별 사용 여부와, 각 시리얼 번호에 대해 남아있는 금액(사용 가능한 잔액)에 대한 정보를 함께 관리하여야 한다.
게임 클라이언트(15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게임 서버(1700)로 접속되어 게임 서버(1700)로부터 온라인 게임의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며, 카드 리더 기(1400)로부터 전달된 시리얼 정보를 카드 인증 서버(1600)로 전송하고, 인증이 완료된 경우 게임 서버(1700)가 해당 캐릭터나 아이템 생성 및 캐시 충전을 수행함에 따라, 캐릭터나 아이템을 온라인 게임 상에 등장시켜 게임을 진행하고, 캐시를 이용하여 캐릭터나 아이템을 구매하여 온라인 게임 상에 등장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게임 내에서 캐릭터/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1500)는 캐시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게임 상에 충전된 캐시를 등장시킬 수도 있다.
카드 인증 서버(1600)는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시리얼 번호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거나, 사용 횟수를 확인함으로써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사용 횟수 또는 사용 정보를 기록 장치에 기록, 저장하고, 해당 시리얼 번호 정보 또는 해당 시리얼 번호에 해당하는 캐릭터/아이템의 식별 정보 또는 캐시 금액 정보를 사용자 아이디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게임 서버(1700)는 온라인 게임의 응용 프로그램을 게임 클라이언트(1500)에 제공하고,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시리얼 정보(또는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에 따라 해당 캐릭터나 아이템 또는 가상의 전자 캐시를 생성하여 온라인 게임에 적용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먼저 카드 리더기는 사용자가 온라인/오프라인으로 구매한 게임 연동 카드를 읽어 사용 여부를 확인하며(S1, S2), 게임 연동 카드의 사용 횟수(사용 정보)를 기록 장치를 이용하여 카드에 기록 한다(S3). 이때, 사용 횟수(사용 정보)의 기록은 인증 및 적용이 완료된 후 실시될 수 있다.
카드 리더기는 게임 연동 카드로부터 읽은 데이터를 시리얼 정보로 변환하여 게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며(S4), 게임 클라이언트는 카드 리더기로부터 변환된 시리얼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시리얼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송신한다(S5, S6).
카드 인증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시리얼 정보의 사용 횟수를 기록하며, 시리얼 정보의 사용 여부를 확인함에 따라, 해당 시리얼 정보(또는 그에 대응되는 캐릭터/아이템 식별정보나 캐시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한다(S7, S8).
사용횟수가 제한될 수 있는 캐릭터 카드나 아이템 카드의 경우, 상기 카드 인증 서버는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미사용된 카드의 경우 인증을 성공시키며, 사용된 카드의 경우 사용 가능한 횟수가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캐시 카드의 경우, 한번에 해당 캐시 카드의 충전 금액을 모두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사용 여부를 체크하여 인증을 성공시키며, 충전 금액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해당 카드에 대해 남아있는 금액과, 사용자가 현재 충전하고자 한 금액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면 된다.
인증이 완료되면, 게임 서버는 카드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해당 캐릭터 또는 아이템을 생성하여 온라인 게임에 적용시키거나, 해당 캐시를 충전시키며, 이에 따라 게임 클라이언트는 온라인 게임 상에 해당 캐릭터/아이템 또 는 캐시를 등장시킬 수 있게 된다(S9, S10).
만약, 캐릭터 카드와 아이템 카드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 게임 서버는 해당하는 캐릭터에 해당 아이템을 반영하여 주며, 게임 이용 중 캐시 카드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캐시를 게임 상에 반영하여 사용자가 게임 내에서 캐릭터나 아이템을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회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캐릭터 카드의 경우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면서 캐릭터가 변경된 경우, 게임 종료 시에 그 변경된 캐릭터 정보가 카드에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게임 클라이언트는 게임 종료시에 변경된 캐릭터 정보를 게임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카드 리더기로 전달하고, 카드 리더기는 기 삽입되어 있는 캐릭터 카드에 변경된 캐릭터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 카드와 아이템 카드가 동시에 사용되고, 캐릭터 카드는 복수회의 사용이 가능하고, 아이템 카드는 일회용으로 제작되는 경우, 아이템이 캐릭터에 적용된 상태로 변경된 캐릭터 정보가 캐릭터 카드에 기록될 수 있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르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2000)은 게임 캐릭터 카드(2100), 아이템 카드(2200), 캐시 카드(2300), 카드 리더기(2400), 게임 클라이언트(2500), 카드 인증 서버(2600) 및 게임 서버(27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게임 연동 카드의 바코드가 슬래시 방식으로 읽혀지도록 하는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2400)는 게임 연동 카드에 쓰기를 수행할 수 없으며, 단지 사용자에 의해 온라인/오프라인으로 구매한 게임 연동 카드(2100~2300)를 인식함에 따라, 카드의 고유 바코드 정보를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슬래시 방식(긁는 방식)의 경우에는 카드에 사용 정보의 기록이 불가능하므로, 카드의 종류가 동일하더라도 각 카드마다 서로 다른 시리얼 넘버의 바코드가 사용되어야 한다.
게임 클라이언트(2500)는 카드 리더기(2400)로부터 시리얼 정보를 수신받아 유무선 통신망으로 송신하며, 해당 시리얼 정보의 인증이 완료되면 게임 서버(2700)를 통한 온라인 게임 시 해당 캐릭터/아이템을 온라인 게임 상에 등장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캐시도 온라인 게임 상에 등장시킬 수 있다.
카드 인증 서버(26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시리얼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하고, 시리얼 정보의 사용 횟수 또는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록 장치에 기록한 후, 해당 정보(시리얼 정보 또는 캐릭터/아이템/캐시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만약, 캐시를 분할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카드 인증 서버(2600)는 특정 캐시 카드의 시리얼 번호에 대해 사용한 금액 정보 또는 잔액 정보를 기록하여야 할 것이며, 카드 인증 서버(2600)가 오직 하나의 게임 서 버(2700)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카드의 인증만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게임 서버(2700)에서 잔액 관리 등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임 서버(2700)는 온라인 게임의 응용 프로그램을 게임 클라이언트(2500)에 제공하며, 카드 인증 서버(26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시리얼 번호 정보, 사용자 아이디 등)에 따라 해당 캐릭터 또는 아이템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온라인 게임에 적용시킨다.
또한, 게임 서버(2700)는 온라인 게임의 응용 프로그램을 계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온라인 게임의 응용 프로그램을 게임 클라이언트(2500)에 수시로 제공한다.
본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우선 카드 리더기는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인식함에 따라, 해당 카드의 고유 바코드 정보 또는 자기 정보 등 읽혀진 데이터를 시리얼 정보로 변환한다(S1', S2').
게임 클라이언트는 카드 리더기로부터 시리얼 정보를 수신받아 유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한다(S3'~S4').
카드 인증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시리얼 정보를 수신하고, 시리얼 정보를 인증한 후 사용 횟수를 기록 장치에 기록 저장하고,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해당 시리얼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한다(S'5, S6').
이에 따라 게임 서버는 해당 캐릭터/아이템 또는 가상의 전자캐시를 생성하고(S7'), 해당 캐릭터/아이템 또는 전자캐시를 해당 사용자에 대해 적용하여 게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게임 클라이언트는 온라인 게임 상에 해당 캐릭터/아이템 또는 캐시를 등장시키거나, 충전된 캐시를 통해 게임 진행을 위한 캐릭터/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S8').
도 6은 본 발명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르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3000)에서는 게임 연동 카드가 바코드를 부착한 형태로 제작되어, 카드가 카드 리더기에 삽입된 상태로 읽기/쓰기가 가능하도록 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3400)는 사용자가 소유한 캐릭터 카드(3100) 또는 아이템 카드(3200), 캐시 카드(3300) 등을 인식함에 따라, 기구비된 기록 장치를 통해 카드에 사용 여부 또는 사용 횟수 등을 기록하며, 기록된 정보를 통해 사용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카드 리더기(3400)는 삽입된 게임 연동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로 확인되면, 해당 카드에서 읽은 데이터를 시리얼 정보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게임 연동 카드 자체에 사용 정보가 기록되므로, 동일 종류에 대하여는 동일한 바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3500)는 카드 리더기(3400)로부터 전달된 시리얼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송신하고,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해당 캐릭터/아이템/캐시를 온라인 게임 상에 등장시키거나, 충전된 캐시로 캐릭터/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게임 클라이언트(3500)는 캐릭터 카드를 인증받은 경우, 온라인 게임 진행시 캐릭터를 온라인 게임 상에 등장케 한다. 또한, 게임 클라이언트(3500)는 특정 캐릭터와 호환되는 아이템 카드를 인증받은 경우, 해당 아이템을 사용자의 캐릭터에 반영하여 온라인 게임 상에 등장시킨다. 캐시 카드의 경우에는, 게임 상에 캐시를 반영하여 게임 내에서 캐시로 캐릭터/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거나, 게임 진행 이전에 미리 충전된 캐시로 캐릭터/아이템을 구매한 경우에는 해당 캐릭터/아이템을 게임 상에 등장시킨다.
카드 인증 서버(3600)는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시리얼 정보의 사용 여부를 확인함에 따라 해당 시리얼 정보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미사용된 시리얼 정보이거나 또는, 사용 가능 횟수(또는 잔액)가 남아있는 시리얼 정보인 경우에는 인증을 성공시킨다. 그리고,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해당 시리얼 정보 또는 캐릭터 식별 정보, 아이템 식별 정보, 캐시 정보 등을 게임 서버(3700)로 전송한다.
게임 서버(3700)는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해당 캐릭터/아이템/캐시를 해당 사용자의 온라인 게임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생성 및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우선 카드 리더기는 사용자가 소유한 카드를 읽어 사용 여부를 확인하며, 미사용 카드이거나 사용 가능 횟수가 남아있는 경우 사용 횟수를 기록 장치를 통해 카드에 기록한다(S1", S2").
또한, 카드 리더기는 사용 가능한 카드임이 확인되면, 해당 카드의 고유 바 코드 정보를 시리얼 정보로 변환하며(S3"), 게임 클라이언트는 카드 리더기로부터 시리얼 정보를 수신받아, 유무선 통신망으로 송신한다(S4", S5").
카드 인증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시리얼 정보의 사용 여부를 확인함에 따라 기사용된 시리얼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미사용된 시리얼 정보가 수신된 경우 인증을 성공시킨 후, 해당 시리얼 정보 또는 캐릭터/아이템/캐시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한다(S"6, S7").
게임 서버는 수신한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캐릭터/아이템 또는 전자캐시를 생성하며(S8"), 게임 클라이언트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게임 실행 시 상기 생성된 캐릭터/아이템/전자캐시를 온라인 게임 상에 등장시킨다(S9"). 이 때, 전자캐시의 경우 게임 상에 등장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오프라인 상에서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캐시 카드 등의 게임 연동 카드를 판매 또는 배포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영업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캐릭터/아이템 카드의 경우 단순한 종이 카드가 아닌, 특정 캐릭터/아이템 이미지가 인쇄된 카드 형태로 제공할 경우, 카드를 사용할 때 카드에 인쇄된 그림이 게임 상에서 동적이고, 입체적인 형상의 캐릭터/아이템으로 실감나게 표출되므로, 캐릭터/아이템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 심리를 자극하여 카드 구매 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용률 증대를 통한 수익 창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 연동 카드를 소유한 사용자가 직접 시리얼 번호를 입력하는 번거로움 없이 해당 게임 연동 카드를 온라인 상에서 인증받아 캐릭터/아이템을 제공받거나, 온라인 상에서 결제하지 않아도 캐릭터/아이템의 구매를 위한 캐시를 충전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틱 카드 또는 바코드가 부착된 카드 형태로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캐시 카드 등을 제작하고, 해당 카드의 읽기 또는 읽기/쓰기가 가능한 카드 리더기를 게임 클라이언트와 연동시킴으로써 카드 인증 절차상의 사용자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고, 카드의 사용 정보를 카드 또는 인증 서버에 기록함으로써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 리더기에 바코드 리더기와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모두 구비하여, 캐릭터 카드나 아이템 카드와 같이 다수회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게임 연동 카드의 경우, 바코드 훼손으로 인한 사용상의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그네틱 카드로서 제작할 수 있고, 1회용 카드의 경우에는 바코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여 개발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카드로의 사용 정보 기록을 통해 동일 종류의 카드에 대하여 동일한 바코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카드 발행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0)

  1. 게임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및 캐시 카드를 포함하는 게임 연동 카드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에 대응되는 시리얼 번호 정보를 출력하는 카드 리더기와;
    사용자 아이디로 특정 게임 서버에 로그인된 상태에서 상기 카드 리더기로부터 시리얼 번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로그인한 게임 서버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및 시리얼 번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특정 카드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게임 클라이언트와;
    발급된 게임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및 캐시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시리얼 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번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카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해당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를 해당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카드 인증 서버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부터 특정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가 수신되면,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응되는 캐릭터, 아이템 또는 캐시를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 해당 사용자에 대해 제공하는 게임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기는,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부착된 바코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해당 바코드 데이터를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바코드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상기 로그인한 게임 서버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및 시리얼 번호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카드 리더기로 사용 정보 기록 명령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카드 리더기는,
    상기 게임 연동 카드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부착된 바코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입력하며,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부터 사용 정보 기록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을 위해 해당 카드에 사용 정보를 기록한 후 카드 삽입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기는,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기록된 자기(Magnetic)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자기 정보를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기는,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부착된 바코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해당 바코드 데이터를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바코드 리더기와;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기록된 자기(Magnetic)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자기 정보를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리더기는,
    상기 게임 연동 카드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부착된 바코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입력하며,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부터 사용 정보 기록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을 위해 해당 카드에 사용 정보를 기록한 후 카드 삽입 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는,
    상기 바코드 리더기로부터 시리얼 번호 정보가 입력되면, 로그인한 게임 서버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및 시리얼 번호 정보의 전송 완료 후 상기 바코드 리더기로 사용 정보 기록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인증 서버는,
    상기 카드 인증에 성공하면, 카드 사용 제한을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한 사용 정보를 기록하며, 카드 인증 시 시리얼 번호의 존재 유무 및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한 사용 정보를 근거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인증 서버는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을 위해 각 게임 연동 카드의 종류 별 카드 사용 제한 횟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시리얼 번호에 해당하는 카드 사용 제한 횟수와,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해 이전까지 기록된 사용 정보에 따르는 카드 사용 횟수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캐릭터 카드의 각 시리얼 번호 별 캐릭터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부터 캐릭터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가 수신되면, 해당 시리얼 번호에 따르는 캐릭터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사용자의 온라인 게임 시 해당 캐릭터로 게임을 진행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아이템 카드의 각 시리얼 번호 별 아이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부터 아이템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가 수신되면, 해당 시리얼 번호에 따르는 아이템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사용자의 온라인 게임 시 해당 아이템을 해당 사용자 인벤토리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캐시 카드의 각 시리얼 번호 별 캐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부터 캐시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가 수신되면, 해당 시리얼 번호에 따르는 캐시 정보를 인식하여, 아이템 또는 캐릭터를 구매할 수 있는 해당 사용자 전자 계정에 해당 금액의 캐시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12. 온/오프라인 판매되는 게임 연동 카드로 온라인 게임 서버의 캐릭터/아이템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캐릭터/아이템 구매를 위한 캐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게임 클라이언트와 연결되고,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가 특정 게임 서버에 로그인된 상태에서 게임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및 캐시 카드를 포함하는 게임 연 동 카드의 정보를 독출하며, 독출된 정보에 대응되는 시리얼 번호 정보를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입력하는 카드 리더기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로그인한 게임 서버 정보, 로그인된 사용자 아이디 및 시리얼 번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면, 수신된 시리얼 번호가 게임 연동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번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카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해당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를 해당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카드 인증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기는,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부착된 바코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해당 바코드 데이터를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바코드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기는,
    상기 게임 연동 카드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부착된 바코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입력하며, 게임 클라이언트가 상기 입력된 정보의 전송을 완료함에 따라, 상기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을 위해 해당 카드에 사용 정보를 기록한 후 카드 삽입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기는,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기록된 자기(Magnetic)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자기 정보를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기는,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부착된 바코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해당 바코드 데이터를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바코드 리더기와;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기록된 자기(Magnetic)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자기 정보를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리더기는,
    상기 게임 연동 카드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부착된 바코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입력하며, 게임 클라이언트가 상기 입력된 정보의 전송을 완료함에 따라, 상기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을 위해 해당 카드에 사용 정보를 기록한 후 카드 삽입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인증 서버는,
    상기 카드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을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한 사용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인증 서버는,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을 위해 각 게임 연동 카드의 종류 별 카드 사용 제한 횟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시리얼 번호에 해당하는 카드 사용 제한 횟수와,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해 이전까지 기록된 사용 정보에 따르는 카드 사용 횟수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아이디로 특정 게임 서버에 로그인된 상태에서 상기 카드 리더기로부터 시리얼 번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로그인한 게임 서버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 및 시리얼 번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게임 클라이언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21.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부터 특정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가 수신되면,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응되는 캐릭터, 아이템 또는 캐시를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 해당 사용자에 대해 제공하는 게임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22. 사용자의 게임 클라이언트,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와 연결되며 게임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및 캐시 카드를 포함하는 게임 연동 카드의 정보를 읽기 위한 카드 리더기, 게임 연동 카드의 인증을 위한 카드 인증 서버 및 게임 서비스 제공을 위한 게임 서버 간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가 사용자 아이디로 특정 게임 서버에 로그인하는 제1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카드 리더기에 특정 게임 연동 카드를 긁거나 삽입함에 따라, 상기 카드 리더기가 해당 게임 연동 카드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에 대응되는 시리얼 번호 정보를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가 상기 로그인한 게임 서버 정보, 사용자 아이디 및 시리얼 번호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제3단 계와;
    발급된 게임 캐릭터 카드, 아이템 카드 및 캐시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상기 카드 인증 서버가,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시리얼 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번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카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해당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를 상기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된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 대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응되는 캐릭터, 아이템 또는 캐시를 제공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카드 리더기가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부착된 바코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해당 바코드 데이터를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기는 카드 삽입 방식의 리더기이며,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카드 리더기가 상기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을 위해 해당 카드에 사용 정보를 기록한 후 카드 삽입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카드 리더기가, 상기 게임 연동 카드에 기록된 자기(Magnetic)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자기 정보를 시리얼 번호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게임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카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카드 인증 서버가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을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한 사용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인증 서버는 카드 사용 횟수의 제한을 위해 각 게임 연동 카드의 종류 별 카드 사용 제한 횟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카드 인증 서버는 상기 수신한 시리얼 번호에 해당하는 카드 사용 제한 횟수와, 해당 시리얼 번호에 대해 이전까지 기록된 사용 정보에 따르는 카드 사용 횟수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부터 캐릭터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 보 및 사용자 아이디가 수신되면, 해당 시리얼 번호에 따르는 캐릭터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사용자의 온라인 게임 시 해당 캐릭터로 게임을 진행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부터 아이템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가 수신되면, 해당 시리얼 번호에 따르는 아이템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사용자의 온라인 게임 시 해당 아이템을 해당 사용자 인벤토리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카드 인증 서버로부터 캐시 카드의 시리얼 번호 정보 및 사용자 아이디가 수신되면, 해당 시리얼 번호에 따르는 캐시 정보를 인식하여, 아이템 또는 캐릭터를 구매할 수 있는 해당 사용자 전자 계정에 해당 금액의 캐시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방법.
KR1020070012728A 2007-02-07 2007-02-07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876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728A KR100876114B1 (ko) 2007-02-07 2007-02-07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728A KR100876114B1 (ko) 2007-02-07 2007-02-07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107A true KR20080085107A (ko) 2008-09-23
KR100876114B1 KR100876114B1 (ko) 2008-12-26

Family

ID=4002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728A KR100876114B1 (ko) 2007-02-07 2007-02-07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1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8949A (ko) * 2014-01-24 2015-08-04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92492B1 (ko) * 2015-06-05 2016-02-18 주식회사비주얼샤워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리더기
WO2016195447A1 (ko) * 2015-06-05 2016-12-08 주식회사 비주얼샤워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6195445A1 (ko) * 2015-06-05 2016-12-08 주식회사 비주얼샤워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6195446A1 (ko) * 2015-06-05 2016-12-08 주식회사 비주얼샤워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927B1 (ko) 2010-09-30 2012-05-23 디게이트 주식회사 한자 교육 게임 제어방법 및 게임장치
KR101415112B1 (ko) * 2013-12-03 2014-07-08 김종용 게임 플레이 시간 제어 시스템
CN107220839B (zh) * 2017-06-26 2020-11-27 南京熊猫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的智能电视鉴权与信息报备的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656A (ja) 2000-06-01 2001-12-11 Kddi Corp ゲーム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ゲームサーバおよびゲーム端末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8949A (ko) * 2014-01-24 2015-08-04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92492B1 (ko) * 2015-06-05 2016-02-18 주식회사비주얼샤워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리더기
WO2016195447A1 (ko) * 2015-06-05 2016-12-08 주식회사 비주얼샤워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6195445A1 (ko) * 2015-06-05 2016-12-08 주식회사 비주얼샤워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6195443A1 (ko) * 2015-06-05 2016-12-08 주식회사 비주얼샤워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리더기
WO2016195446A1 (ko) * 2015-06-05 2016-12-08 주식회사 비주얼샤워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8521816A (ja) * 2015-06-05 2018-08-09 ビジュアルシャワ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ゲームサービス提供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8527134A (ja) * 2015-06-05 2018-09-20 ビジュアルシャワ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ゲームサービス提供装置、その方法、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そのリーダ
US10265618B2 (en) 2015-06-05 2019-04-23 Visualshower Corp. De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ader for providing game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114B1 (ko) 200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114B1 (ko) 게임 연동 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US8206217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physical game components
KR100522059B1 (ko) 비디오 게임 시스템, 비디오 게임 장치 및 비디오 게임실행 제어 방법
CN101111872B (zh) 具有电子即赢游戏的抽奖和游戏系统
US20020068632A1 (en) Interconnection of users via a communications network, for competitive gaming
US20090248544A1 (en) Reverse product purchase in a virtual environment
CN101288107A (zh) 带有虚拟奖励的博彩游戏
Koeder et al. Game of chance elements in free-to-play mobile games. A freemium business model monetization tool in need of self-regulation?
Chou et al. The evolution and social impact of video game economics
US200600945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enhancement of video games with vendor specific data
JP2009000568A (ja) 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JP2020141804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803255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US201403029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A Treasure Hunting Board And Video Game
JP2010178764A (ja) ゲーム提供システム
JP4420352B2 (ja)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
KR20130083009A (ko) 온라인 게임 캐릭터 정보를 이용한 트레이드 카드 게임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Lee Business models and strategies in the video game industry: An analysis of Activision-Blizzard and Electronic Arts
US20020068630A1 (en) Interconnection of users via a communications network, for competitive gaming
Lehtimäki Analysing the changes in monetization of games in the 21st century
RU2195699C2 (ru) Способ сетевой компьютерной игры
KR101273319B1 (ko) 게임순서 아이템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010110854A (ko) 온라인게임의 아이템을 이용한 광고방법 및 광고시스템,지불방법
JP4732608B2 (ja) プリペードカードシステム
KR20220121662A (ko) 게임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