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052A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052A
KR20080077052A KR1020080014460A KR20080014460A KR20080077052A KR 20080077052 A KR20080077052 A KR 20080077052A KR 1020080014460 A KR1020080014460 A KR 1020080014460A KR 20080014460 A KR20080014460 A KR 20080014460A KR 20080077052 A KR20080077052 A KR 20080077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electrode
inversion layer
region
conductivit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252B1 (ko
Inventor
히로아키 다카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81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isolation region manufacturing related aspects, e.g. to avoid interaction of isolation region with adjacen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 H01L27/08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7/09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omplementary MIS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7/0921Means for preventing a bipolar, e.g. thyristor, action between the different transistor regions, e.g. Latchup preven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93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ells or tubs, e.g. twin tubs, high energy well implants, buried implanted layers for lateral isolation [BILL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71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interconnection or wiring or contact manufacturing 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7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isolation region manufacturing related aspects, e.g. to avoid interaction of isolation region with adjacent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트렌치 분리 구조(trench isolation structure)와, 적어도 하나의 웰 영역, MOS 트랜지스터, 및 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호 접속부을 포함하는 고전압 회로부를 구비한다.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이 웰 영역의 단부 근처 및 상호 접속부의 아래에 제공되는 트렌치 분리 영역 상의 영역에 형성되어, 그 아래의 반도체 기판의 포텐셜과 동일한 포텐셜로 고정되는 상호 접속부의 포텐셜로 인해 반도체 기판의 표면 상에 반전층의 기생적인 형성을 방지한다. 또한, 반도체 기판과 동일한 도전형의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으로 형성되는 가드 링 영역이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의 아래에 제공되고, 반도체 기판의 포텐셜과 동일한 포텐셜에 고정되어 래치-업(latch-up)을 방지하도록 캐리어를 캡처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다중 전원 전압을 갖는 CMOS 장치 등에 사용되는 트렌치 분리 구조(trench isolation structure)를 갖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중 전원 전압을 사용하는 CMOS 장치를 갖는 반도체 장치에서는, 논리 회로와 같은 내부 회로를 형성하는 저전압부의 집적도를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장치 분리 영역에 기생 트랜지스터의 형성을 방지하여 입/출력 회로 등에 사용되는 고전압부의 래치-업(latch-up) 저항을 보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 장치 분리는, 다수의 경우에 LOCOS 분리보다 더 높은 집적에 더욱 적합한 트렌치 분리에 의해 실행된다. 그러나, LOCOS에는, 기생(parasitic) 채널을 방지하기 위한 중도핑된(heavily doped) 불순물 영역, 즉 소위 채널 스토퍼(stopper) 영역 또는 필드 도프(field dope) 영역이 반도체 기판의 반전을 방지하기 위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고전압 회로에 대한 장치 분리 특성이 우수하다. 반면에, 장치 분리에 트렌치 분리가 사용되는 반도체 장치는, 트렌치 분리 영역 상을 통과하는 상호 접속부의 포텐셜로 인해, 기생 채널이 트렌치 분리 영역의 하부 내의 반도체 기판 상에 쉽게 형성될 수 있어 특히 고전압 전원 회로부를 형성하는 문제를 유발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반전층 및 기생 채널의 형성, 및 반전층 및 기생 채널의 형성에 의해 초래되는 래치-업을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고전압 회로부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제1 웰(well) 영역으로서의 p-형 경도핑된(lightly doped) 불순물 영역의 p-웰 영역(201) 및 제2 웰 영역으로서의 n-형 경도핑된 불순물 영역의 n-웰 영역(202)이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으로서의 p-형실리콘 기판(101) 상에 나란히 형성된다.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또는 드레인 영역인 n-형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은 예를 들면, p-웰 영역(201)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한편,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또는 드레인 영역인 p-형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502)은 예를 들면, n-웰 영역(202)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장치 분리를 위한 트렌치 분리 영역(301)은 n-형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501)과 p-형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502) 사이에 형성된다. 소자들을 전기 접속하기 위한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된 상호 접속부(901)은 실리콘 산화물막 등인 제1 절연막(601)을 통해 그 위에 배치된다.
30 V의 전원 전압이 사용되는 고전압 회로에서는, 30 V의 전위가 종종 상호 접속부(901)에 인가된다. p-웰 영역(201)의 포텐셜은 접지 레벨(0 V)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n-형 반전층(911)은 p-웰 영역(201) 내에서 트렌치 분리 영역(301) 아래에 쉽게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n-형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501), n-형 반전층(911), 및 n-웰 영역(202)으로 형성된 기생 트랜지스터가 온 상태 전류 를 허용하도록 도전 상태로 된다. 온 상태 전류에 의해 초래되는 n-웰 영역(202)의 포텐셜의 상승으로 인해, p-형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502), n-웰 영역(202), 및 p-형 실리콘 기판(101)으로 형성되는 수직 기생(vertical parasitic) PNP 트랜지스터가 턴 온된다. 이것은 p-웰 영역(201)의 포텐셜 강하를 초래하여, 소위 래치-업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고전압 회로부에 충분한 래치-업 저항을 보증하기 위해, 기생 바이폴라 동작을 억제하도록 웰의 깊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NMOS 트랜지스터와 PMOS 트랜지스터 사이의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고 내(耐)고전압 특성을 보증하기 위해, 트렌치 분리부의 폭을 더 크게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저전압 회로부가 고전압 회로부의 트렌치 분리 구조와 동일한 트렌치 분리 구조를 사용할 때에는, 더 높아질 필요가 있는 저전압부 내에서의 장치의 집적도가 감소한다.
그것의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서, 고전압 회로부의 웰의 깊이를 저전압 회로부의 웰의 깊이보다 더 크게 제작하는 방법, 또는 고전압 회로부의 트렌치 분리부의 깊이를 저전압 회로부의 트렌치 분리부의 깊이보다 더 크게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0-58673A 참조).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소자들이 트렌치 분리에 의해 분리되는 다중 전원 전압을 갖는 반도체 장치에서는, 고전압 회로부에 충분한 래치-업 저항을 보증하기 위해, 기생 바이폴라 동작을 억제하도록 웰의 깊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NMOS 트랜지스터와 PMOS 트랜지스터 사이의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고 반전에 대한 내(耐)고전압 특성을 보증하기 위해, 트렌치 분리부의 폭을 더 넓게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저전압 회로부가 고전압 회로부의 트렌치 분리 구조와 동일한 트렌치 분리 구조를 사용할 때에는, 저전압 회로부에서의 장치의 집적도가 높은 집적도에 대한 요구에 반하여 감소한다.
고전압 회로부의 웰의 깊이가 저전압 회로부의 웰의 깊이보다 더 크게 제작되거나, 고전압 회로부의 트렌치 분리부의 폭이 저전압 회로부의 트렌치 분리부의 폭보다 더 크게 제작된 개량이 제안되어 왔지만, 제조 단계의 수가 증가한다는 문제점과, 트렌치 분리부의 폭의 증가가 비용의 증가를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는 아래에서와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는 고전압 회로부와 저전압 회로부; 트렌치 분리 영역에 의해 상기 고전압 회로부와 상기 저전압 회로부의 양자 내의 소자들을 분리하는 트렌치 분리 구조로서, 상기 고전압 회로부가, 웰 영역, MOS 트랜지스터, 및 소자들을 전기 접속하는 상호 접속부을 포함하는, 트렌치 분리 구조; 및 상기 웰 영역의 단부 근처 및 상기 상호 접속부의 아래에 제공되는 상기 트렌치 분리 영역 상의 영역에 제공되어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고, 상기 상호 접속부의 포텐셜에 의해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 상에 기생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전극의 포텐셜은 그 아래에 위치 결정되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포텐셜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반도체 기판과 동일한 도전형의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으로 형성된 가드 링 영역이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전극 아래에 제공되고, 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반도체 기판의 포텐셜이 확실하게 고정되고, 바이폴라이 동작이 일어날 때, 캐리어가 래치-업을 방지하도록 캡처된다.
상술한 수단에 의하면, 제조 단계들의 수가 증가되지 않고, 고전압 회로부에 대해 충분한 장치 분리 특성 및 래치-업 저항이 보증되며, 저전압 회로부가 고전압 회로부의 트렌치 분리 구조와 동일한 트렌치 분리 구조를 사용하면서도 집적도가 높은, 반도체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반도체 장치의 고전압 회로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제1 웰로서의 p-형 경도핑된 불순물 영역의 p-웰 영역(201) 및 제2 웰로서의 n-형 경도핑된 불순물 영역의 n-웰 영역(202)이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으로서의 p-형 실리콘 기판(101) 상에 나란히 형성된다.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영역인 n-형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501)은 예를 들면, p-웰 영역(201)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한편,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또는 드레인 영역인 p-형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502)은 예를 들면, n-웰 영역(202)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장치 분리를 위한 트렌치 분리 영역(301)은 n-형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501)과 p-형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502) 사이에 형성된다.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박막인 다결정 실리콘 또는 금속의 박박으로 형성되는 n-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1)이, n-웰과의 접합면을 따라 실리콘 산화물막 등인 제1 절연막(601)을 통해 p-웰 영역(201) 상의 장치 분리를 위한 트렌치 분리 영역(301) 위에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n-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1)은 p-웰 영역(201)의 포텐셜과 동일한 포텐셜에 접속되어 예컨대, 접지 레벨로 고정된다.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박막인 다결정 실리콘 또는 금속의 박박으로 형성되는 p-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2)이, p-웰과의 접합면을 따라 실리콘 산화물막 등인 제1 절연막(601)을 통해 n-웰 영역(202) 상의 장치 분리를 위한 트렌치 분리 영역(301) 위에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2)은 n-웰 영역(202)의 포텐셜과 동일한 포텐셜에 접속되어 예컨대, 전원 전압으로 고정된다.
장치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된 상호 접속부(901)이, 제2 절연막(801)을 통해 n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1)과 p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2) 위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예컨대, 30 V만큼 높은 전위가 상호 접속부(901)에 인가될 때, n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1)이 상호 접속부(901)과 p-웰 영역(201) 사이에 배치되고 n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1)의 포텐셜이 p-웰 영역(201)의 포텐셜과 동일한 포텐셜로 고정되기 때문에, n-형 반전층이 p-웰 영역(201)의 표면 상에 형성되지 않는다.
예컨대, 0 V만큼 낮은 포텐셜이 상호 접속부(901)에 인가될 때, 상호 접속부(901)과 예컨대, 30 V만큼 높은 전원 전압으로 고정되는 n-웰 영역(202)의 표면 사이의 포텐셜 차이가 크기 때문에, p-형 반전층이 n-웰 영역(202)의 표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p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2)이 상호 접속부(901)과 n-웰 영역(202) 사이에 배치되고 p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2)의 포텐셜이 n-웰 영역(202)의 포텐셜과 동일한 포텐셜로 고정되기 때문에, n-웰 영역(202)에 비해 비교적 낮은 포텐셜이 상호 접속부(901)에 인가될 때에도, p-형 반전층이 n-웰 영역(202)의 표면 상에 형성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전층의 형성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그 래치-업의 발생이 미리 방지될 수 있다.
제1 절연막(601)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존재하지만, 제1 절연막(601)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도체 기판과 웰 영역의 조합에 대하여, p-형 실리콘 기판은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이고, p-웰은 제1 웰이며, n-웰은 제2 웰이다. 그러나, n-형 실리콘 기판이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이고, n-웰이 제1 웰이며, p-웰이 제2 웰인 경우에는, 그 극성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극성과 반대로 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가 하나의 도전형만을 갖는 웰 영역들을 갖도록 구성될 때, 예컨대, p-형 실리콘 기판이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이고 n-웰이 제2 웰일 때, p-형 실리콘 기판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p-웰 영역으로 간주함으로써,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n-형 실리콘 기판이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이고, n-웰이 제1 웰이며, p-웰이 제2 웰인 경우와 반대의 조합이면서 유사한, n-형 실리콘 기판이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이고 p-웰이 제2 웰인 경우에는, 그 극성이 반대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반도체 장치의 저전압 회로부(도시 생략)에서의 낮은 동작 전압이 기생 바이폴라 동작 및 래치-업의 발생 확률을 낮게 만드는 것임을 유념해야 한다. 상술한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이 불필요하게 되어, 그에 따라 더 높은 집적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반도체 장치의 고전압 회로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제1 웰로서의 p-형 경도핑된 불순물 영역의 p-웰 영역(201) 및 제2 웰로서의 n-형 경도핑된 불순물 영역의 n-웰 영역(202)이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으로서의 p-형 실리콘 기판(101) 상에 나란히 형성된다. n-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영역인 n-형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501)은 예를 들면, p-웰 영역(201)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한편, p-형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또는 드레인 영역인 p-형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502)은 예를 들면, n-웰 영역(202)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소자 분리를 위한 트렌치 분리 영역(301)은 n-형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501)과 p-형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502) 사이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는, p-웰 영역(201)과 동일한 도전형인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의 p형 가드 링(guard ring) 영역(421)이 p-웰 영역(201)의 표면 상에 및 제1 절연막(601)을 통해 형성되는 n-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1)의 아래에 형성되어, 바이폴라 동작이 일어날 때 래치-업을 방지하도록 캐리어(carrier)를 캡처하기 위해 그리고 p-웰 영역(201)의 포텐셜을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접촉 영역(411)을 통해 n-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점과, n-웰 영역(202)과 동일한 도전형을 갖는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의 n-형 가드 링 영역(422)이 n-웰 영역(202)의 표면 상에 및 제1 절연막(601)을 통해 형성되는 p-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2)의 아래에 형성되어, 바이폴라 동작이 일어날 때 래치-업을 방지하도록 캐리어를 캡처하기 위해 그리고 n-웰 영역(202)의 포텐셜을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접촉 영역(411)을 통해 p-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실 시예와 상이하다.
장치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는 상호 접속부(901)이, 제2 절연막(801)을 통해 n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1)과 p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2) 위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예컨대, 30 V만큼 높은 전위가 상호 접속부(901)에 인가될 때, n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1)이 상호 접속부(901)과 p-웰 영역(201) 사이에 배치되므로 n형 반전층이 p-웰 영역(201)의 표면 상에 형성되지 않고, n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1)이, 바이폴라 동작이 일어날 때 래치-업을 방지하도록 캐리어를 캡처하기 위해 그리고 아래에 위치하는 p-웰 영역(201)의 포텐셜을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p-웰 영역(201)과 동일한 도전형을 갖는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의 p-형 가드 링 영역(4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n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1)의 포텐셜이 p-웰 영역(201)의 포텐셜과 동일한 포텐셜로 고정된다.
예컨대, 0 V만큼 낮은 포텐셜이 상호 접속부(901)에 인가될 때, 상호 접속부(901)과 예컨대, 30 V만큼 높은 전원 전압으로 고정되는 n-웰 영역(202)의 표면 사이의 포텐셜 차이가 크기 때문에, p-형 반전층이 n-웰 영역(202)의 표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p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2)이 상호 접속부(901)과 n-웰 영역(202) 사이에 배치되므로 p형 반전층이 n-웰 영역(202)의 표면 상에 형성되지 않고, p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2)이, 바이폴라 동작이 일어날 때 래치-업을 방지하도록 캐리 어를 캡처하기 위해 그리고 아래에 위치하는 n-웰 영역(202)의 포텐셜을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n-웰 영역(202)의 도전형과 동일한 도전형을 갖는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의 n-형 가드 링 영역(4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2)의 포텐셜이 n-웰 영역(202)의 포텐셜과 동일한 포텐셜로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덧붙여, p-형 가드 링 영역(421) 및 n-형 가드 링 영역(422)이, 바이폴라 동작이 일어날 때 래치-업을 방지하도록 캐리어를 캡처하기 위해 그리고 p-웰 영역(201) 및 n-웰 영역(202)의 포텐셜을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가드 링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래치-업 저항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형 가드 링 영역(421) 및 n-형 가드 링 영역(422)이 각각 n-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1) 및 p-형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전극(702) 아래에 배치되기 때문에, 부가적인 영역이 불필요하고 비용의 증가도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반도체 기판과 웰 영역의 조합에 대하여, 여러 가지 조합이 가능하며,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다른 부재들에 대해서는, 유사한 번호들이 도 1에 도시된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재들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그 설명을 또한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단계들의 수가 증가되지 않고, 고전압 회로부에 대해 충분한 장치 분리 특성 및 래치-업 저항이 보증되며, 저전압 회로부가 고전압 회로부의 트렌치 분리 구조와 동일한 트렌치 분리 구조를 사용하면서도 집적의 스케일이 큰, 반도체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반도체 장치의 고전압 회로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반도체 장치의 고전압 회로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고전압 회로부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Claims (8)

  1.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배치되는 고전압 회로부와 저전압 회로부;
    트렌치 분리 영역에 의해 상기 고전압 회로부와 상기 저전압 회로부의 양자 내의 소자들을 분리하는 트렌치 분리 구조(trench isolation structure)로서, 상기 고전압 회로부가,
    웰 영역,
    MOS 트랜지스터, 및
    소자들을 전기 접속하는 상호 접속부을 포함하는, 트렌치 분리 구조; 및
    상기 웰 영역의 단부 근처 및 상기 상호 접속부의 아래에 제공되는 상기 트렌치 분리 영역 상의 영역에 제공되어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고, 상기 상호 접속부의 포텐셜에 의해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 상에 기생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회로부는,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상기 제1 도전형의 제1 웰; 및
    제2 도전형의 제2 웰을 더 포함하고,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은, 상기 트렌치 분리 영역 상 및 상기 상호 접속부 아래의 상기 제1 웰 및 상기 제2 웰 사이의 접합에서, 상기 제1 웰의 단부에서의 영역과 상기 제2 웰의 단부에서의 영역의 각각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웰 상에 형성되는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의 포텐셜은 상기 제1 웰의 포텐셜과 동일하고,
    상기 제2 웰 상에 형성되는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의 포텐셜은 상기 제2 웰의 포텐셜과 동일한, 반도체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웰 상에 형성되는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 아래에 제공되는 상기 제1 웰과 동일한 도전형의 중도핑된(heavily doped) 불순물 영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웰 상에 형성되는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바이폴라 동작이 일어날 때 래치-업을 방지하도록 캐리어를 캡처하고 상기 제1 웰의 포텐셜을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제1 가드 링 영역; 및
    상기 제2 웰 상에 형성되는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 아래에 제공되는 상기 제2 웰과 동일한 도전형의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웰 상에 형성되는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바이폴라 동작이 일어날 때 래치-업을 방지하도록 캐리어를 캡처하고 상기 제2 웰의 포텐셜을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제2 가드 링 영역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회로부는,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및
    제2 도전형의 제2 웰을 포함하며,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은, 상기 제1 도전형의 상기 반도체 기판의 단부에서의 영역과, 상기 제1 도전형의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트렌치 분리 영역 상 및 상기 상호 접속부 아래의 상기 제2 웰 사이의 접합에 가까운 상기 제2 웰의 단부에서의 영역의 각각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는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의 포텐셜은 상기 제1 도전형의 상기 반도체 기판의 포텐셜과 동일하고,
    상기 제2 웰 상에 형성되는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의 포텐셜은 상기 제2 웰의 포텐셜과 동일한, 반도체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는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 아래에 제공되는 상기 제1 도전형의 상기 반도체 기판과 동일한 도전형의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는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바이폴라 동작이 일어날 때 래치-업을 방지하도록 캐리어를 캡처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상기 반도체 기판의 포텐셜을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제1 가드 링 영역; 및
    상기 제2 웰 상에 형성되는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 아래에 제공되는 상기 제2 웰과 동일한 도전형의 중도핑된 불순물 영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웰 상에 형성되는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바이폴라 동작이 일어날 때 래치-업을 방지하도록 캐리어를 캡처하고 상기 제2 웰의 포텐셜을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제2 가드 링 영역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반전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상기 전극은 상기 고전압 회로부 내에 형성되는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박막과 같은 박막으로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KR1020080014460A 2007-02-17 2008-02-18 반도체 장치 KR101442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37226 2007-02-17
JP2007037226A JP2008205053A (ja) 2007-02-17 2007-02-17 半導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052A true KR20080077052A (ko) 2008-08-21
KR101442252B1 KR101442252B1 (ko) 2014-09-23

Family

ID=39705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460A KR101442252B1 (ko) 2007-02-17 2008-02-18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80240B2 (ko)
JP (1) JP2008205053A (ko)
KR (1) KR101442252B1 (ko)
CN (1) CN1012719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6191B2 (ja) * 2009-09-25 2014-07-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8492866B1 (en) * 2012-01-09 2013-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solated Zener diode
US20230317722A1 (en) * 2022-03-24 2023-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ze-efficient mitigation of latchup and latchup propaga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4958A (en) * 1985-02-11 1987-04-07 Intel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isolated silicon regions and field-effect devices on a silicon substrate
JPH0770685B2 (ja) * 1985-04-25 1995-07-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相補形mis半導体集積回路
JPH02172253A (ja) * 1988-12-24 1990-07-0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92449A (ja) * 1990-08-07 1992-03-25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
KR0149256B1 (ko) * 1995-08-25 1998-10-01 김주용 씨모스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JP2000058673A (ja) 1998-08-14 2000-02-25 Nec Corp トレンチ分離構造を有する半導体装置
JP3414656B2 (ja) * 1998-11-16 2003-06-09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232165B1 (en) * 1998-12-09 2001-05-15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Buried guard ring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4577948B2 (ja) * 2000-06-20 2010-11-10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オフセットゲート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GB2367945B (en) * 2000-08-16 2004-10-20 Secr Defence Photodetector circuit
JP3531808B2 (ja) * 2000-10-31 2004-05-31 シャープ株式会社 保護回路および半導体装置
JP4895430B2 (ja) * 2001-03-22 2012-03-1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898024B2 (ja) * 2001-06-21 2012-03-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564318A (zh) * 2004-03-26 2005-01-12 清华大学 0.35μm LDMOS高压功率显示驱动器件的设计方法
US7091079B2 (en) * 2004-11-11 2006-08-15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of forming devices having three different operation voltages
JP4845410B2 (ja) * 2005-03-31 2011-12-28 株式会社リコー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71900B (zh) 2012-03-21
CN101271900A (zh) 2008-09-24
JP2008205053A (ja) 2008-09-04
US20080197425A1 (en) 2008-08-21
US7880240B2 (en) 2011-02-01
KR101442252B1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4827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on a substrate a diode formed by making use of a DMOS structure
US7671423B2 (en) Resistor ballasted transistors
US8164872B2 (en) Power supply clamp circuit
US20060027880A1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high-breakdown voltage MOS transistor
US8686531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a guard ring to protect a control device in a power semiconductor IC
US10262997B2 (en) High-voltage LDMOSFET devices having polysilicon trench-type guard rings
US7342283B2 (en) Semiconductor device
US20090250759A1 (en) Semiconductor device
US8110454B2 (en) Methods of forming drain extended transistors
US10256340B2 (en) High-voltag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892907B2 (en) CMOS latch-up immunity
KR20080077052A (ko) 반도체 장치
CN101364596A (zh) 半导体器件
JP2007019413A (ja) 保護回路用半導体装置
US10128331B1 (en) High-voltag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90039431A1 (en) Semiconductor device
TW200915535A (en) Semiconductor device
JP5463698B2 (ja) 半導体素子、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5147319B2 (ja) 半導体装置
US7667280B2 (en) Semiconductor device
US20050224917A1 (en) Junction diode
KR100961549B1 (ko) 고전압 트랜지스터 및 로직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JP2011103408A (ja) 半導体装置
JP2008205055A (ja) 半導体装置
JP2000012855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