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943A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943A
KR20080075943A KR1020070015147A KR20070015147A KR20080075943A KR 20080075943 A KR20080075943 A KR 20080075943A KR 1020070015147 A KR1020070015147 A KR 1020070015147A KR 20070015147 A KR20070015147 A KR 20070015147A KR 20080075943 A KR20080075943 A KR 20080075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mold frame
ligh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0893B1 (ko
Inventor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5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893B1/ko
Priority to US11/953,322 priority patent/US8382361B2/en
Publication of KR2008007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light sources to drivers, circuit boards, or the like

Abstract

표시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 부재, 상기 도광 부재를 수납하는 틀(frame)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몰드 프레임 및 상기 광원을 구동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를 결합한 후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개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2,104,106 : 백라이트 어셈블리 110 : 광 발생부
112 : 발광 다이오드 114 : 제1 인쇄회로기판
114a: 광원 장착부 114b: 연장부
120 : 도광 부재 130 : 광학 부재
140,140b,140c : 몰드 프레임 142 : 측부
144 : 지지부 144a,144b : 개구 형성부
144c : 완충 부재 146,147 : 개구
200 :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 210 : 액정표시패널
220 : 구동칩 230 : 제2 인쇄회로기판
300 : 수납 용기
1000,1100,1200,1300 :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평판 표시장치 중의 하나이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액정을 제어하는 액정 제어 유닛 및 상기 액정에 광을 공급하는 광 공급 유닛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액정 제어 유닛으로서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 공급 유닛으로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광학 시트 등을 지지하기 위한 몰드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은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부를 감싸며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배면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몰드 프레임에는 상기 회로 기판의 연장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로 기판의 연장부가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배면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유리 기판은 상기 회로 기판의 연장부의 장력에 의해 응력을 받게 되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표시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광을 가이드하는 도 광 부재, 상기 도광 부재를 수납하는 틀(frame)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몰드 프레임 및 상기 광원을 구동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틀 형상을 정의하는 측부 및 상기 측부로부터 내측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도광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지지부 중 상기 광원과 대응되는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광원이 배치된 광원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광원 장착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광원 장착부는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경성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광원 장착부와 커넥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장부에 대응하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부의 상면은 플랫(flat)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개구를 정의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와 대응하는 면은 라운드(round)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개구를 정의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와 대응하는 면 상에 형성된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장부는 플렉시블(flexible)할 수 있고, 상기 개구는 상기 연장부에 대응하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부로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 부재, 상기 도광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 부재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도광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틀(frame)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몰드 프레임 및 상기 광원을 구동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제2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몰드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도록 절곡(bending)될 수 있으며, 상기 몰드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개구에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회로 소자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가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관통공은 상기 몰드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개구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단자와 대응하여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배면에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단자와 대응하여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전면에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 부재, 상기 도광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 부재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도광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틀(frame)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몰드 프레임, 상기 광원을 구동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제2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틀 형상을 정의하는 측부 및 상기 측부로부터 내측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도광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지지부 중 상기 광원과 대응되는 일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몰드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도록 절곡(bending)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연장부는 플렉시블(flexible)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제1 측부 및 상기 제1 측부와 반대편에 위치한 제2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의 상기 제2 측부로부터 상기 제2 연장부가 절곡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상기 제2 측부로부터 상기 제1 연장부가 절곡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보다 길다.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제1 측부를 감싸며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의 연장부는 몰드 프레임의 개구 형성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므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제1 기판의 하부 모서리에 충격을 주지 않고, 상기 제1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위에(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를 결합한 후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10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100),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 및 수납 용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광을 발생시키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로 상기 광을 제공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광 발생부(110), 도광 부재(120), 광학 부재(130) 및 몰드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상기 광 발생부(110)는 광원 및 제1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114)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일 실시예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112)들이다.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들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에 상기 광을 발생하기 위한 전압을 인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의 적어도 일부는 플렉시블(flexible)할 수 있다.
상기 도광 부재(120)은 상기 광 발생부(110)로부터 입사되는 상기 광을 수평한 방향을 따라 가이드하여 상기 광학 부재(130)를 향하여 출사한다. 상기 도광 부재(120)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로부터 발생한 점 형태 분포를 갖는 광을 면 형태 분포를 갖는 광으로 변환한다.
상기 도광 부재(120)은, 예를 들면,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와 인접한 일측으로부터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까지 균일한 두께를 갖는 평판형 도광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 부재(120)은 쐐기형 도광 부재일 수 있다. 즉, 상기 도 광 부재(120)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와 인접한 일측으로부터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130)는 상기 도광 부재(120) 상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 부재(120)로부터 제공된 광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광학 부재(130)는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확산 시트(132), 시야각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프리즘 시트(134), 휘도 및 광 시야각을 증가시키는 휘도 강화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1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 프레임(140)은 틀(frame)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 발생부(110), 상기 도광 부재(120) 및 상기 광학 부재(130)를 수납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140)은 측부(142) 및 지지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측부(142)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틀 형상을 정의한다. 상기 지지부(144)는 상기 측부(142)로부터 내측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광 발생부(110), 상기 도광 부재(120) 및 상기 광학 부재(130)를 지지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일측에는 개구(146)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144)는 개구 형성부(144a)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146)는 상기 개구 형성부(144a)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 형성부(144a)는 상기 지지부(144) 중에서 상기 광 발생부(110)와 대응되는 일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146)는 두 개가 형성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개구(146)는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반사 시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시트(150)는 상기 도광 부재(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반사 시트(150)는 상기 광 발생부(110)로부터 발생하여 상기 도광 부재(120)에 의해 가이드되는 광 중에서 누설되어 상기 반사 시트(150)로 향하는 광을 상기 도광 부재(120) 방향으로 반사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보강 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16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10) 및 상기 광학 부재(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몰드 프레임(140)과 상기 광학 부재(130) 사이의 결합 간극 및 상기 몰드 프레임(140)과 상기 수납 용기(300)의 측벽(320)과의 결합 간극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16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의 주변 영역에 대응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강 부재(160)는 흑색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은 액정표시패널(210), 구동 칩(220) 및 제2 인쇄회로기판(23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은 상기 도광 부재(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 부재(120)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은 제1 기판(212), 제2 기판(214) 및 액정층(216)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기판(212)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들(도시되지 않음), 상기 화소 전극들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thin film transistor; TFT)(도시되지 않음),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도시되지 않음)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기판(214)은 상기 제1 기판(210)에 형성된 상기 화소 전극들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컬러필터(도시되지 않음), 상기 컬러필터 상에 형성된 공통전극(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층(216)은 상기 제1 기판(212)과 상기 제2 기판(214)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1 기판(212)에는 제1 편광판(212a)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판(214)에는 제2 편광판(214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기판(212) 상에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구동 신호를 적절한 타이밍에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에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제어하는 구동 칩(220)이 배치된다. 이 때, 상기 구동 칩(220)을 상기 액정표시패널(210) 상에 직접적으로 실장하는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COG) 실장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의 적어도 일부는 플렉시블(flexible)할 수 있다.
상기 수납 용기(30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를 순차적으로 수납한다. 상기 수납 용기(300)는 바닥판(310) 및 상기 바닥판(310)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측벽(320)들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310) 및 상기 측벽(320)들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정의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들을 도 시한 것이다. 도 4는 제2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전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후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은 광원 장착부(114a) 및 연장부(114b)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 장착부(114a)는 상기 광학 부재(13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 장착부(114a)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112)들이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 장착부(114a)는 플렉시블(flexible)한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광원 장착부(114a)는 플렉시블하지 않은 경성인쇄회로기판(Rigid Printed Circuit Board; RPCB)일 수 있다.
상기 연장부(114b)는 상기 광원 장착부(114a)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114b)는 상기 개구 형성부(144a)에 형성된 개구(146)를 통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의 배면으로 연장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상기 연장부(114b)는 상기 광원 장착부(114a)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광원 장착부(114a)와 인접한 상기 연장부(114b)의 단부에는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114b)는 상기 광원 장착부(114a)와 커넥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장부(114b)는 플렉시블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연장부(114b)는 연성회로필름(flexible circuit fil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114b)가 상기 개구 형성부(144a)에 형성된 개구(146)를 통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의 배면으로 연장되지 않고,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측부(142)를 감싸며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의 배면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114b)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의 제1 기판(212)의 하부 모서리에 충격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14b)가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측부(142)를 감싸며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의 배면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측부(142)의 상면에는 상기 연장부(114b)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114b)는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액정표시장치(1000)의 배면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기판(212)은 몰드 프레임(140)에 형성된 홈과 인접한 부분에서 집중 응력을 받을 수 있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장부(114b)는 상기 개구 형성부(144a)에 형성된 개구(146)를 통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의 제1 기판(212)의 하부 모서리에 충격을 주지 않고, 상기 제1 기판(2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14b)가 상기 개구 형성부(144a)에 형성된 상기 개구(146)를 통하여 연장되므로,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측부(142)의 상면에는 상기 연장부(114b)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114b)에 대응하는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측부(142)의 상면은 플랫(flat)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은 베이스 기판(232), 회로 소자(234) 및 연결부(236)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을 구동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기판(232)에는 다수의 회로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232)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232)은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절곡(bending)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232)은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측부(142)를 감싸며 상기 수납 용기(300)의 바닥판(310)의 배면으로 절곡된다.
이 때, 상기 베이스 기판(232)이 감싸는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측부(142)와 반대편에 위치한 측부(142)로부터 상기 베이스 기판(232)이 절곡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는, 상기 베이스 기판(232)이 감싸는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측부(142)와 반대편에 위치한 측부(142)로부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의 연장부(114b)가 절곡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상기 회로 소자(234)는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개구 형성부(144a)에 형성된 상기 개구(146)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232)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기판(232)이 상기 수납 용기(300)의 바닥판(310)을 향하여 절곡되어 위치할 때, 상기 몰드 프레임(140)에 형성된 상기 개구(146)에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에 형성된 상기 회로 소자(234)가 위치한다. 그 결과, 상기 액정표시장 치(1000)는 상기 회로 소자(234)의 공간 점유로 인하여 야기되는 크기의 증가를 방지 수 있다.
상기 연결부(236)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의 연장부(114b)의 단부에 위치한 단자와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기판(232)의 배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과 상기 연결부(236)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으로부터 구동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232)에는 상기 연장부(114b)가 관통하도록 관통공(238)이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연장부(114b)는 상기 베이스 기판(232)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38)은 상기 몰드 프레임(140)에 형성된 상기 개구(146)에 대응한다. 상기 연장부(114b)는 상기 관통공(238)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232)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기판(232)의 배면에 위치한 상기 연결부(2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의 상기 연장부(114b)보다 크거나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는 몰드 프레임의 개구의 형상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일측에는 개구(147)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개구(147)는 상기 개구 형성부(144a)에 형성된다.
상기 개구(147)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의 상기 연장부(114b)에 대응하는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측부(142)로 개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 기판(232)이 상기 수납 용기(300)의 바닥판(310)을 향하여 절곡되어 위치할 때,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에 형성된 상기 회로 소자(234)는 상기 개구(147)와 인접하여 형성된 홈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개구(147)는 상기 회로 소자(234)가 위치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는 몰드 프레임의 개구 형성부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1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102),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 및 수납 용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2)는 광 발생부(110), 도광 부재(120), 광학 부재(130) 및 몰드 프레임(140b)을 포함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140b)은 측부(142) 및 지지부(144)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140b)의 일측에는 개구(146)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44)는 개구 형성부(144b)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146)는 상기 개구 형성부(144b)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 형성부(144b)는 상기 지지 부(144) 중에서 상기 광 발생부(110)와 대응되는 일측에 위치한다.
도 7에서, 상기 개구 형성부(144b)에 형성된 상기 개구(146)를 정의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의 상기 연장부(114b)와 대응하는 면은 라운드(round)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 형성부(144b)는 상기 광 발생부(110)의 광원 장착부(114a)로부터 연장된 상기 광 발생부(110)의 연장부(114b)에 대응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140b)의 측부(142)를 향하여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114b)는 상기 개구 형성부(144b)의 상기 라운드 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장부(114b)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개구 형성부(144a)가 플랫(flat)한 경우에 비하여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14b)가 상기 라운드 면과 비교적 넓은 면으로 접촉할 수 있어, 상기 연장부(114b)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는 몰드 프레임의 개구 형성부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2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104),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0) 및 수납 용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4)는 광 발생부(110), 도광 부재(120), 광학 부재(130) 및 몰드 프레임(140c)을 포함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140c)은 측부(142) 및 지지부(144)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140c)의 일측에는 개구(146)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44)는 개구 형성부(144a)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146)는 상기 개구 형성부(144a)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 형성부(144a)는 상기 지지부(144) 중에서 상기 광 발생부(110)와 대응되는 일측에 위치한다.
도 8에서, 상기 몰드 프레임(140c)은 상기 개구 형성부(144a)에 형성된 상기 개구(146)를 정의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의 상기 연장부(114b)와 대응하는 면 상에 배치된 완충 부재(144c)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 부재(144c)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완충 부재(144c)는 상기 광 발생부(110)의 광원 장착부(114a)로부터 연장된 상기 광 발생부(110)의 연장부(114b)에 대응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140c)의 측부(142)를 향하여 라운드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연장부(114b)는 상기 완충 부재(144c)에 대응하여 연장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장부(114b)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개구 형성부(144a)가 플랫(flat)한 경우에 비하여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14b)가 상기 완충 부재(144c)와 비교적 넓은 면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 부재(144c)가 상기 연장부(114b)의 장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장부(114b)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는 제1 인쇄회로기판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의 배치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3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106),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6) 및 수납 용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6)는 광 발생부(110), 도광 부재(120), 광학 부재(130) 및 몰드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상기 광 발생부(110)는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112) 및 제1 인쇄회로기판(114)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206)은 액정표시패널(210), 구동 칩(220) 및 제2 인쇄회로기판(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은 광원 장착부(114a) 및 연장부(114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은 베이스 기판(232), 회로 소자(234) 및 연결부(236a)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210)을 구동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232)은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절곡(bending)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232)은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측부(142)를 감싸며 상기 수납 용기(300)의 바닥판(310)의 배면으로 절곡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1000)와는 다르게,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의 연장부(114b)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의 베이스 기판(232)의 전면(front surface)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의 연장부(114b)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의 전면 상에 배치되므로, 상기 연결부(236a)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의 연장부(114b)의 단부에 형성된 단자와 대응하여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의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14)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과 상기 연결부(236a)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30)으로부터 구동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1300)는, 일 실시예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몰드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액정표시장치(1300)는 도 7에 도시된 몰드 프레임(140b) 또는 도 8에 도시된 몰드 프레임(140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은 연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연장부는 몰드 프레임의 개구 형성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어, 액정표시패널의 구동을 위한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부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연장부가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제1 기판의 하부 모서리에 충격을 주지 않고, 상기 제1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가 연장될 때 접촉하게 되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지지부 중 상기 개구를 정의하며 상기 연장부와 대응하는 면은 라운드지거나, 상기 면 상에 완충 부재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연장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3)

  1.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 부재;
    상기 도광 부재를 수납하는 틀(frame)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몰드 프레임; 및
    상기 광원을 구동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틀 형상을 정의하는 측부; 및
    상기 측부로부터 내측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도광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지지부 중 상기 광원과 대응되는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광원이 배치된 광원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광원 장착부로부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장착부는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경성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광원 장착부와 커넥터 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대응하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부의 상면은 플랫(flat)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정의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와 대응하는 면은 라운드(round)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개구를 정의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와 대응하는 면 상에 형성된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플렉시블(flexible)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연장부에 대응하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부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 부재;
    상기 도광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 부재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도광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틀(frame)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몰드 프레임; 및
    상기 광원을 구동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틀 형상을 정의하는 측부; 및
    상기 측부로부터 내측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도광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지지부 중 상기 광원과 대응되는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광원이 배치된 광원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광원 장착부로부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장착부는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경성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제2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몰드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도록 절곡(bend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개구에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회로 소자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가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 인 쇄회로기판의 배면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관통공은 상기 몰드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단자와 대응하여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배면에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단자와 대응하여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전면에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대응하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부의 상 면은 플랫(flat)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정의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와 대응하는 면은 라운드(round)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개구를 정의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연장부와 대응하는 면 상에 형성된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플렉시블(flexible)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8.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 부재;
    상기 도광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 부재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도광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틀(frame)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몰드 프레임;
    상기 광원을 구동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제2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틀 형상을 정의하는 측부; 및
    상기 측부로부터 내측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도광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지지부 중 상기 광원과 대응되는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몰드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도록 절곡(bending)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플렉시블(flexible)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제1 측부 및 상기 제1 측부와 반대편에 위치한 제2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의 상기 제2 측부로부터 상기 제2 연장부가 절곡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상기 제2 측부로부 터 상기 제1 연장부가 절곡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제1 측부를 감싸며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70015147A 2007-02-14 2007-02-14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320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147A KR101320893B1 (ko) 2007-02-14 2007-02-14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11/953,322 US8382361B2 (en) 2007-02-14 2007-12-10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147A KR101320893B1 (ko) 2007-02-14 2007-02-14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943A true KR20080075943A (ko) 2008-08-20
KR101320893B1 KR101320893B1 (ko) 2013-10-22

Family

ID=3968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147A KR101320893B1 (ko) 2007-02-14 2007-02-14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82361B2 (ko)
KR (1) KR1013208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697A (ko) * 2016-04-14 2017-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210055176A (ko) 2019-11-07 2021-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7496B2 (ja) * 2011-07-25 2016-0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909913B2 (ja) * 2011-08-03 2016-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1861628B1 (ko) * 2011-09-16 2018-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8721155B2 (en) * 2011-12-06 2014-05-13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ght bar assembly and backlight module
KR102135415B1 (ko) * 2013-06-28 2020-07-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TWI507790B (zh) * 2013-08-02 2015-11-11 Radiant Opto Elec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US9581758B2 (en) 2013-08-02 2017-02-28 Radiant Opto-Electronics Corporatio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307432B1 (ko) * 2013-12-09 2021-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448391B2 (ja) * 2015-01-28 2019-01-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モジュール
CN107923579A (zh) * 2015-08-31 2018-04-17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及显示装置
KR20170040437A (ko) 2015-10-02 2017-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5717682B (zh) * 2015-12-31 2023-03-2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装置
JP6408516B2 (ja) * 2016-07-01 2018-10-17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及び基板
JP6762196B2 (ja) * 2016-10-21 2020-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光学表示装置
TWI610283B (zh) * 2016-12-23 2018-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10189633B (zh) * 2019-05-27 2022-01-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电子装置及显示屏组件的制造方法
CN114839808B (zh) * 2022-03-29 2023-06-3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1370A (ja) * 1998-12-18 2000-06-30 Fujitsu Ltd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432424B2 (ja) * 2003-09-25 2010-03-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5191528A (ja) * 2003-12-01 2005-07-14 Sharp Corp 半導体発光装置のパルス駆動方法およびパルス駆動回路
TWI230827B (en) * 2004-02-12 2005-04-1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TWI316831B (en) * 2004-03-04 2009-11-01 Au Optronics Corp Electronic device
JP4468061B2 (ja) * 2004-04-30 2010-05-2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TWM270369U (en) * 2004-11-26 2005-07-11 Innolux Display Corp Back 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22216B1 (ko) * 2004-11-29 2012-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JP4552637B2 (ja) * 2004-12-09 2010-09-29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060071553A (ko) 2004-12-22 2006-06-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KR200383915Y1 (ko) 2005-02-22 2005-05-10 윈테크 코포레이션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되는 프레임
JP4244942B2 (ja) * 2005-03-08 2009-03-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照明装置、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697A (ko) * 2016-04-14 2017-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210055176A (ko) 2019-11-07 2021-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82361B2 (en) 2013-02-26
KR101320893B1 (ko) 2013-10-22
US20080192505A1 (en) 200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893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620024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090070328A (ko) 액정표시장치
US788082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80056365A (ko) 표시장치
KR2006012391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23567B1 (ko) 표시장치용 백 라이트 유닛
KR101791538B1 (ko) 연성회로기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0745351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1085491B1 (ko) 표시장치
KR20080059849A (ko) 표시장치
KR200446859Y1 (ko) 표시장치
KR2006005947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44631A (ko) 평판 표시 장치
KR10080510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38679B1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64483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69639A (ko) 구동 회로 필름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42432A (ko) 표시장치
KR20080054503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79668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70146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57188A (ko) 표시장치
KR20080010165A (ko) 빛 샘 방지를 위한 액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0245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