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087A -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087A
KR20080074087A KR1020087004645A KR20087004645A KR20080074087A KR 20080074087 A KR20080074087 A KR 20080074087A KR 1020087004645 A KR1020087004645 A KR 1020087004645A KR 20087004645 A KR20087004645 A KR 20087004645A KR 20080074087 A KR20080074087 A KR 20080074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sodium
composition
toothpaste
adh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734B1 (ko
Inventor
치하루 키타가와
코우이치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6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 (methyl vinyl ether-co-maleic anhydr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A) 일반식 Mn +2PnO3n +1(단, 식중, M은 Na 또는 K를 나타내고, n은 2 또는 3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직쇄상의 수용성 폴리인산염의 적어도 1종을 0.3 내지 1.2질량%, (B) 25℃, pH7.0에서의 2.0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5 내지 1000mPa·s인 메틸비닐에테르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를 0.1 내지 2.0질량%, (C) 라우릴황산염을 0.6 내지 2.0질량%, (D)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0.2 내지 1.0질량%를 함유하고, 또한 (C)/(D)의 배합 비율이 질량비로 1 내지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이 치약 조성물은, 구강 점막에 대한 자격(刺激)이 거의 없고, 사용시의 거품 생김에 우수하고, 또한 치면 오염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에 우수하다.
치약 조성물

Description

치약 조성물{TOOTHPASTE COMPOSITION}
본 발명은, 구강(口腔)점막에 대한 자격(刺激)이 거의 없고, 사용시의 거품 생김(泡立)에 우수하고, 또한 치면 오염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에 우수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담뱃진이나 차앙금(茶澁))등으로 착색한 이빨을 하얗게 하기 위해, 종래로 부터 다양한 방법이 검토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고연마성 연마제의 사용이나, 과산화물에 의한 백색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에 의한 담뱃진의 용해 제거, 키레이트제에 의한 철(鐵)이온 등의 제거, 재석회화(再石灰化)에 의한 치면의 평활화 등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고연마성 연마제의 사용은 치아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고,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으로는 치석과 같은 완고한 착색 오염의 용해 제거 효과는 불충분하다. 또한, 과산화물에 의한 방법도, 에나멜질 표면의 유기물이 탈각(脫却)하여 내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어, 우리 나라에서는 치과의사(齒科醫)만이 가능한 처치로 되어 있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종래, 피로인산 나트륨 등의 직쇄상 폴리인산염은, 치석 예방이나 이빨의 오염을 제거하는 성분으로서 공지되어 있고,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되어 있다(특허 문 헌 1, 2, 3 참조). 또한, 수용성 폴리인산염과 메틸비닐에테르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합성 음이온 선상(線狀) 고분자 폴리카르복실레이트와 라우릴황산염을 배합한 치석(齒石)방지 구강용 조성물도 보고되고 있다(특허 문헌 4, 5, 6, 7, 8, 9, 10, 11 참조). 이들의 제안에서는, 예를 들면 피로인산 나트륨 등의 수용성 폴리인산염을 1.5질량% 이상과 라우릴황산염을 1.2질량% 이상 포함하는 조성이 제안되고 있고, 구강 점막에 대해 강한 자격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 문헌 12에서는, 실시예 1로서 메틸비닐에테르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상품명 : 간토레츠 S-97)를 13.6질량%, 피로인산 나트륨을 0.125질량%, 라우릴황산염을 0.945질량% 배합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 조성에서는 피로인산 나트륨의 배합 농도가 낮기 때문에, 치면 오염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특허 문헌 10에서는, 실시예 1로서 메틸비닐에테르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상품명 : 간토레츠 S-97)를 15질량%, 피로인산 나트륨을 0.25질량%, 라우릴황산염을 0.75질량% 배합한 조성이 기재되어 있지만, 조성물중의 피로인산 나트륨 및 계면활성제량의 배합량이 적고, 사용시의 거품이 잘 일지 않고, 또한 치면 오염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도 얻을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치면 오염에 대한 우수한 부착 억제 효과를 가지며, 구강 점막에 대해 저자격이고, 또한 사용시의 거품 생김에 우수하고, 이들 특성의 전부를 만족하는 치약 조성물은 얻어지지 않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고, 이들의 과제를 극복하는 치약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9-175966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10-18238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평11-343220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평2-4708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 특개평4-270210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 특공평8-18961호 공보
특허 문헌 7 : 일본 특허 제2528492호 공보
특허 문헌 8 : 일본 특표평11-506104호 공보
특허 문헌 9 : 일본 특개2002-316920호 공보
특허 문헌 10 : 일본 특개2002-526394호 공보
특허 문헌 11 : 일본 특표2004-517833호 공보
특허 문헌 12 : 일본 특표2002-50017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구강 점막에 대해 저자격이고, 이 닦을 때의 입 안에서의 거품 생김도 양호하고, 또한 우수한 치면 오염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를 갖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치면 오염의 부착 억제를 위해 (A)직쇄상의 수용성 폴리인산염, (B) 25℃, pH7.0에서의 2.0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5 내지 1000mPa·s인 메틸비닐에테르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 (C) 라우릴황산염을 배합하고, 또한, 구강 점막에 대해 저자격이고, 또한 사용시에 우수한 거품 생김을 확보하기 위해 (D)베타인형 양성(兩性) 계면활성제를 (C)/(D)의 배합 비율이 질량비로 1 내지 4가 되도록 배합하고, 특히, 수용성 폴리인산염은 라우릴황산염과의 병용 배합 조성에서는 1.2질량%를 초과하면 구강 점막에 대해 자격이 생기기 때문에, (A)성분인 수용성 폴리인산염을 0.3 내지 1.2질량%, (B)성분인 메틸비닐에테르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를 0.1 내지 2.0질량%, (C)성분인 라우릴황산염을 0.6 내지 2.0질량%, (D)성분인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를 0.2 내지 1.0질량% 배합하고, 또한 (C)/(D)를 상기 비율로 함으로써, 구강 점막에 대해 저자격이며, 치면 오염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가 상승적으로 높아지고, 또한 이를 닦을 때에 우수한 거품 생김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일반식 Mn +2PnO3n +1(단, 식중, M은 Na 또는 K를 나타내고, n은 2 또는 3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직쇄상의 수용성 폴리인산염의 적어도 1종을 0.3 내지 1.2질량%, (B) 25℃, pH7.0에서의 2.0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5 내지 1000mPa·s인 메틸비닐에테르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를 0.1 내지 2.0질량%, (C) 라우릴황산염을 0.6 내지 2.0질량%, (D)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0.2 내지 1.0질량%를 함유하며, 또한 (C)/(D)의 배합 비율이 질량비로 1 내지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및, 또한, 연마제를 5 내지 50질량%, 점조제를 10 내지 50질량%, 및 증점제를 0.1 내지 5질량% 배합하고, 크림치약(練齒磨) 조성물로서 조제된 상기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구강 점막에 대해 저자격성이며, 사용시에 충분한 거품 생김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치면 오염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A)직쇄상의 수용성 폴리인산염, (B)메틸비닐에테르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 (C)라우릴황산염 및 (D)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사용되는 (A)성분인 수용성 폴리인산염은, 일반식 Mn+2PnO3n+1(단, 식중, M은 Na 또는 K를 나타내고, n은 2 또는 3의 정수이다)로 표시된다.
구체적인 화합물로서는, 중합도(n)=2의 피로인산 나트륨(태평화학산업(주)제 등)이나 피로인산 칼륨(태평화학산업(주)제 등), n=3의 트리폴리인산 나트륨(센트럴유리(주)제 등)이나 트리폴리인산 칼륨(태평화학산업(주)제 등)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피로인산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폴리인산염은, 그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된다.
수용성 폴리인산염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3 내지 1.2%(질량%, 이하 마찬가지)이고, 특히 0.5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0.3% 미만이면 치면 오염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1.2%를 초과하면 라우릴황산염과의 병용 배합 조성에서는 구강 점막에 대해 자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사용하는 (B)성분인 메틸비닐에테르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는, 25℃, pH7.0에서의 2.0% 수용액의 점도가 5 내지 1000mPa·s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2.0% 수용액은, 메틸비닐에테르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와 물을 60 내지 70℃로 가온하면서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25℃로 냉각 후, 10N NaOH를 사용하여 pH7.0로 조정하고, 농도가 2.0%가 되도록 증류수를 가한 후, 최종 pH가 7.0이 되도록 제작하였다. 메틸비닐에테르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는, 메틸비닐에테르와 무수 말레인산을 공중합 반응시킨 것이고, 메틸비닐에테르와 무수 말레인산의 배합 비율은, 25℃, pH7.0에서의 2.0% 수용액의 점도가 상기 기재된 점도 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25℃, pH7.0에서의 2.0% 수용액의 점도는, 5 내지 1000mPa·s,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mPa·s이다. 점도가 5mPa·s 미만이면 오염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1000mPa·s를 초과하면 치약 조성물 사용시에 구강 내에 끈적거림이 생기고, 사용시에 충분한 거품 생김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점도는, (주)도쿄계량기제 B형 점토계(형식 : BL), 로터 No.1 또는 2를 사용, 회전수 30rpm, 측정 시간 3분간, 25℃, pH7.0로 조정한 2.0% 수용액에서의 측정치이다. 또 한, pH 조정에는, pH미터(동아 디케이케이 주식회사제, 형식 : HM-30G) 및 pH전극(동아 디케이케이 주식회사제, 형식 : GST-5721C)를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공중합체로서는, ISP사제의 간트레츠, 예를 들면, GANTREZ AN-119(25℃, pH7.0에서의 2.0% 수용액의 점도가 10mPa·s), AN-139(25℃, pH7.0에서의 2.0% 수용액의 점도가 60mPa·s), AN-169(25℃, pH7.0에서의 2.0% 수용액의 점도가 450mPa·s) 등이 이용 가능하다.
메틸비닐에테르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1 내지 2.0%이고, 특히 0.5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1% 미만이면, 치면 오염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2.0%를 초과하면 사용시의 거품이 잘 일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C)성분인 라우릴황산염은, 고급지방산으로 합성된 평균 알킬쇄(鎖) 길이가 12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구체적으로는, 라우릴황산 나트륨, 라우릴황산 칼륨, 라우릴황산 암모늄 등을 들 수 있지만, 치약 조성물에의 배합의 편리성으로부터, 라우릴황산 나트륨(동방화학공업(주)제, 제일제약(주)제 등)이 가장 바람직하다.
라우릴황산염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6 내지 2.0%이고,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이다. 배합량이 0.6% 미만이면 치면 오염 부착 억제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다. 또한, 2.0%를 초과하면 구강 점막에 대해 자격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거품 생김 성분으로서 (D)성분인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2-알킬-N-카르복시 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의 알킬쇄 길이로서는, 어느 경우도 거품이 생기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알킬쇄의 탄소수가 8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이다. 이들 중에서는, 거품 생김 및 저자격성인 점에서,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도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이 바람직하다.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도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으로서는, 상품명 에나지콜 C-4OH로서 라이온(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2-야자유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도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나트륨 수용액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 순분(純分) 환산으로서 0.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8%이다. 배합량이 0.2% 미만이면 이를 닦을 때에 있어서의 거품 생김이 불충분하다. 또한, 1.0%를 초과하면, 수용성 폴리인산염 및 라우릴황산염과의 병용 배합 조성에서는 구강 점막에 대해 자격이 생긴다. 또한,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는 물 등과의 혼액으로서 밖에 얻어지지 않는 것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의 배합시의 질량은 용매 등을 제외한 활성제의 순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치면 오염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와 사용시에 충분한 거품 생김을 가지며, 또한 구강 점막에 대해 저자격이기 때문에, 상기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라우릴황산염의 배합량((C)/(D))을 질량비로 1 내지 4, 바람 직하게는 2 내지 3의 범위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C)/(D)가 1 미만에서는 치면 오염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가 발휘되지 않고, 사용시의 거품 생김이 불충분하게 된다. 4를 초과하면 자격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크림치약, 액체치약, 윤제치약(潤製齒磨) 등으로서 통상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지만, 상기 필수 성분에 더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제형(劑型)에 따른 임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크림치약의 경우라면, 임의 성분으로서, 연마제, 라우릴황산염 및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이외의 계면활성제, 점조제, 점결제, 감미제, 방부제, 향료, 각종 유효 성분 등을 배합하고, 물과 혼화하여, 통상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연마제로서는, 제 2 인산 칼슘(2수화물 또는 무수물), 제 1 인산 칼슘, 제 3 인산 칼슘, 피로인산 칼슘, 탄산 칼슘, 수산화 알루미늄, 알루미나, 탄산 마그네슘, 제 3 인산 마그네슘, 불용성 메타인산 나트륨, 불용성 메타인산 칼륨, 산화 티탄, 제올라이트, 무수 규산, 함수(含水) 규산, 규산 티타늄, 규산 지르코니움, 합성수지계 연마제 등을 들 수 있지만, 효과의 면에서 무수 규산 등의 실리카계의 연마제가 바람직하다. 연마제의 배합량은, 대표적인 제형인 크림치약인 경우에는, 조성물 전체의 5 내지 50%가 좋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가 좋다.
또한, 계면활성제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자당(蔗糖) 지방산 에스테르, 말토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말티톨 지방산 에스테르, 락톨방산 에스테르 등의 당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올마이도,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티어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라우릴산 모노 또는 디에탄올아미드 등의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고급 알코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플루로닉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1 내지 2%가 알맞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총 배합량은 0.8 내지 3%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조제로서는, 소르비트,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크실리톨, 말티톨, 락톨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에 더하여, 적절히, 1,3-부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변성 에탄올, 당알코올 환원전분 당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배합량은,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형태,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통상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10 내지 50%).
증점제로서는,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히도록시에틸셀룰로오스나트륨, 알긴산 나트륨, 크산탄검, 트라칸트검, 카라야검, 아라비아검, 로커스트빔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보폴, 실리카겔, 알루미늄실리카겔, 비검(bee gum), 라포나이트 등을 들 수 있다(통상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1 내지 5%).
감미제로서는, 사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스테비아 엑기스, 파라메톡시신나믹알데히도, 네오헤스피리딘 디히드로칼콘, 페릴라루틴, 글리시르리진, 타우마 틴, 아스파라틸페닐알라닌메틸에스텔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서는, 멘톨, 아네톨, 카르본, 유젠올, 리모넨, n-데실알코올, 시트로넬롤, α-테르피네올, 시트로넬릴아세테이트, 시네올, 린나롤, 에틸리나롤, 바닐린, 티몰, 스페아민트유, 페퍼민트유, 레몬유, 오렌지유, 세이지유, 로즈마리유, 계피유, 피멘토유, 계엽유(桂葉油), 자소유(紫蘇油), 동녹유(冬綠油), 정자유(丁字油) 또는 유칼리유 등을 들 수 있다(통상 배합량은 0.00001 내지 1%).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이들의 성분 이외에도 약효 성분 또는 유효 성분으로서, 덱스트라나제, 아밀라제, 푸로테이나제, 무타나제 등의 효소, 모노플루오로인산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모노훌오로포스페이트, 불화 나트륨, 불화 제 1 주석 등의 불화물, 트라넥삼산, 입실론아미노카프론산, 알루미니움크로르히드록시알란토인, 아줄렌, 글리시르리진산염, 글리시르레틴산, 염화 나트륨, 비타민류 등의 항염증제, 구리 클로로필, 글루콘산 구리, 세틸피리듐클로라이드, 염화 벤잘코늄, 트리클로산, 히노키티올, 염화 리소짐 등의 살균제, 폴리인산염류, 제올라이트 등의 치석 예방제 등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효 성분 또는 유효 성분의 배합량은, 유효량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의 pH는 6 내지 9가 알맞다. pH가 6 미만이면, 치약 사용시에 치아 에나멜질이 손상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pH가 9를 초과하면, 치면 오염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pH 조정형으로서는, 통상, 수산화나트륨, 인산 수소 2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재질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치약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등의 플라스틱 용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제한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 배합량은 모두 질량%이다.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9]
표 1, 2에 표시하는 조성의 치약 조성물을 하기 제조법에 의해 조제하였다.
치약 조성물의 제조법 :
(1) 정제수중에 수용(水溶) 성분(점결제,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제외한다)을 상온에서 혼합 용해시킨 A상(相)을 조제하였다.
(2) 프로필렌글리콜중 점결제를 상온에서 분산시킨 B상을 조제하였다.
교반중의 A상중에 B상을 첨가 혼합하고, C상을 조제하였다.
(3) C상중에, 향료, 연마제, 계면활성제 등의 수용성 성분 이외의 성분을, 1.5ℓ 니더(이시야마공작소제)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혼합하고, 감압에 의한 탈포를 행하고, 치약 조성물 1.2㎏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 치약제를 사용하여, 치면 오염 부착 억제 효과, 구강 점막에 대한 자격성, 이 닦을 때의 거품 생김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치면 오염 부착 억제 효과의 평가는, 대표적인 치면 오염인 타닌철(鐵) 스테인 부착 억 제 평가를 행하였다.
타닌철 스테인 부착 억제 평가의 시험 방법 :
하이드록시 아바타이트 펠릿 표면(펜탁스사제, 직경 7㎜×두께 3.5㎜)을 샌드블라스트에 처리 후, 중성세제 수용액중, 초음파 세정기로 세정하였다. 30% 인산 수용액에 표면을 에칭(10 분간), 수세하고, 자연 건조 후, 분광식 색차계(일본전기색공업주식회사제, 형식 : SE-2000)를 이용하여 타닌철 스테인 부착 전의 펠릿의 Lab값을 측정하고, L값을 L0로 하였다. 또한, 조제한 치약제를 2배량의 이온교환수로 희석한 치약 분산액을 제작하였다. 상기한 펠릿에 대해, 치약 분산액→ 0.5질량% 알부민 수용액→ 타닌 추출액→ 0.6질량% 구연산철(Ⅲ)암모늄 수용액으로 1시간씩 반복 침지하는 조작을 50회 반복하고, 상온에서 1일 바람에 건조시킨(風乾) 후, 흐르는 물(流水)로 세정하고, 재차 바람에 건조시켜 착색 펠릿을 제작하였다. 타닌 추출액은, 비등시킨 이온교환수 1200㎖중 , 일본차(日本茶)(명칭 : 노송) 50g, 홍차(립톤제 브리스크 디벅) 5봉지, 인스턴트 커피(네스카페제) 12g을 넣고 하룻밤 방치하고, 일본차 및 홍차를 여과하여 제거하여 제작하였다. 제작한 착색 펠릿의 Lab값을 측정하고, L값을 L1으로 하였다. 또한, 치약 분산액 대신에 이온교환수 처리를 한 펠릿의 L값(L2)을 대조(對照)로 하여, 다음 식에 의해 착색 오염 부착 억제율을 산출하고, 착색 오염 부착 억제 효과를 산출하였다.
착색 오염 부착 억제율(%)=[(L1-L2)/(L0-L2)]×100
얻어진 착색 오염 부착 억제율로부터, 이하의 기준에 따라 담뱃진 제거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착색 오염 부착 억제율 60% 이상
○ : 착색 오염 부착 억제율 50% 이상 60% 미만
△ : 착색 오염 부착 억제율 40% 이상 50% 미만
× : 착색 오염 부착 억제율 40% 미만
구강 점막에 대한 자격성의 평가 방법 :
점막 자격에 민감한 피험자 10명을 이용하여, 표 1, 2에 도시하는 각 조성의 치약 조성물 약 1g을 칫솔에 취하고, 3분간 이 닦기를 행하였을 때의 구강 점막에 대한 자격의 정도를, 「자격을 강하게 느낀다」를 1점, 「자격을 느낀다」를 2점, 「자격을 거의 느끼지 않는다」를 3점, 「자격을 느끼지 않는다」를 4점으로 하여, 10명의 평균점으로부터 이하의 기준으로 구강 점막에 대한 자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 평균점 3.5점 이상 4.0점 이하
○ : 평균점 3.0점 이상 3.5점 미만
△ :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
× :, 평균점 1.0점 이상 2.0점 미만
이 닦을 때의 거품 생김 평가 방법 :
피험자 10명을 이용하여, 표 1, 2에 표시하는 각 조성의 치약 약 1g을 칫솔에 취하고, 3분간 이 닦기를 행하였을 때의 거품 생김을, 「거품 생김 매우 좋다」, 「거품 생김 좋다」, 「거품 생김 약간 적다」, 「거품 생김 적다」의 4단계로 회답을 얻었다. 이 회답중, 「거품 생김 매우 좋다」를 4점, 「거품 생김 좋다」를 3점, 「거품 생김 약간 적다」를 2점, 「거품 생김 적다」를 1점으로 하여, 10명의 평균점으로부터 이하의 기준으로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 : 평균점 3.5점 이상 4.0점 이하
○ : 평균점 3.0점 이상 3.5점 미만
△ :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
× : 평균점 1.0점 이상 2.0점 미만
[표 1]
Figure 112008014233555-PCT00001
*1 : 30% 물품을 사용하고, 표중의 값은 순분 환산한 배합량을 나타내었다.
*2 : (D)성분은 순분 환산하고, 그 값을 이용하여 (C)/(D)의 비율을 구하였다.
[표 2]
Figure 112008014233555-PCT00002
*1 : 30% 물품을 사용하고, 표중의 값은 순분 환산한 배합량을 나타내었다.
*2 : (D)성분은 순분 환산하고, 그 값을 이용하여 (C)/(D)의 비율을 구하였다.
피로인산 4나트륨 : 태평화학사제
트리폴리인산 나트륨 : 센트럴유리(주)제
메틸비닐에테르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 : ISP사제(상품명 : 간토레츠 AN-169)
라우릴황산 나트륨 : 동방화학사제
2-야자유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도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나트륨(30% 수용액)): 라이온사제(상품명 : 에나지콜 C-4OH)
표 1, 2로부터, 본 발명의 (A) 내지 (D)성분을 특정량 함유하며, 또한 (C)/(D)의 질량비가 1 내지 4인 치약 조성물(실시예 1 내지 9)은, 치면 오염 부착 억제 효과, 구강 점막에 대한 자격성, 이 닦을 때의 거품 생김이 모두 양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의 어느 하나를 결여한 치약 조성물(비교예 1 내지 9)은, 치면 오염 부착 억제 효과, 구강 점막에 대한 자격성, 이 닦을 때의 거품 생김중 어느 하나의 점에서 충분한 효과가 발휘되지 않았다.
[실시예 10] 크림치약
(A)피로인산 4나트륨 1.2%
(B)간토레츠 AN-169 1.0
(C)라우릴황산 나트륨 1.2
(D)2-야자유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도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나트륨(*1) 0.6
무수 규산 25.0
70% 소르비트액 20.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메틸술룰로오스나트륨 1.4
사카린나트륨 0.1
글리시르진산 칼륨 1.0
토라넥삼산 0.05
α-알루미나 무수물 3.0
메틸파라벤 0.05
염화 벤제토늄움 0.25
향료 1.0
인산 수소 2나트륨 1.0
잔부
계 100.0%
*1 : 30% 물품을 사용하고, 순분 환산한 배합량을 나타내었다.
(C)/(D)=2
타닌철 스테인 부착 억제 효과 : ◎
구강 점막에 대한 자격성 : ○
사용시의 거품 생김 평가 : ○
상기한 치약 조성물은, 대표적인 치면 오염인 타닌철 스테인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를 가지며, 구강 점막에 대해 저자격이며, 사용시의 거품 생김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크림치약
(A)피로인산 2나트륨 2칼륨 1.0%
(B)간토레츠 AN-139 1.0
(C)라우릴황산 나트륨 1.2
(D)2-야자유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도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나트륨(*1) 0.4
수산화 알루미늄 35.0
산화 티탄 2.0
85% 글리세린 20.0
히도록시에틸셀룰로오스나트륨 1.4
프로필렌글리콜 3.0.
사카린나트륨 0.1
콜로이드상 실리카 3.0
불화 나트륨 0.22
트릭로산 0.1
메틸파라벤 0.05
향료 1.0
잔부
계 100.0%
*1 : 30% 물품을 사용하고, 순분 환산한 배합량을 나타내었다.
(C)/(D)=3
타닌철 스테인 부착 억제 효과 : ○
구강 점막에 대한 자격성 : ◎
사용시의 거품 생김 평가 : ○
상기한 치약 조성물은, 대표적인 치면 오염인 타닌철 스테인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를 가지며, 구강 점막에 대해 저자격이며, 사용시의 거품 생김도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크림치약
(A)피로인산 4나트륨 0.8%
(B)간토레츠 AN-119 1.0
(C)라우릴황산 나트륨 0.9
(D)2-야자유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도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나트륨(*1) 0.3
무수 규산 30.0
70% 소르비트액 20.0
85% 글리세린 10.0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1.5
프로필렌글리콜 3.0
사카린나트륨 0.2
안식향산 나트륨 0.3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모노플루오로인산 나트륨 0.76
아세트산 토코페롤 0.1
향료 1.0
잔부
계 100.0%
*1 : 30% 물품을 사용하고, 순분 환산한 배합량을 나타내었다.
(C)/(D)=3
타닌철 부착 억제 효과 : ○
구강 점막에 대한 자격성 : ◎
사용시의 거품 생김 평가 : ○
상기한 치약 조성물은, 대표적인 치면 오염인 타닌철 스테인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를 가지며, 구강 점막에 대해 저자격이며, 사용시의 거품 생김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3] 액상 치약
(A)피로인산 4나트륨 1.0%
(B)간토레츠 AN-139 2.0
(C)라우릴황산 나트륨 1.0
(D)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1) 0.4
무수 규산 15.0
60% 소르비트액 30.0
85% 글리세린 35.0
크산탄검 0.2
카리기난 0.5
알긴산 나트륨 1.0
프로필렌글리콜 2.0.
모노플루오로인산 나트륨 0.76
덱스트라나제(100만u/g) 0.5
사카린나트륨 0.1
향료 1.0
잔부
계 100.0%
*1 : 30% 물품을 사용하고, 순분 환산한 배합량을 나타내었다.
(C)/(D)=2.5
타닌철 스테인 부착 억제 효과 : ◎
구강 점막에 대한 자격성 : ◎
사용시의 거품 생김 평가 : ○
상기한 치약 조성물은, 대표적인 치면 오염인 타닌철 스테인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를 가지며, 구강 점막에 대해 저자격이며, 사용시의 거품 생김도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4] 크림치약
(A)피로인산 4나트륨 1.0%
(B)간토레츠 AN-169 1.2
(C)라우릴황산 나트륨 1.0
(D)2-야자유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도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나트륨(*1) 0.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1.2
70% 소르비트액 30.0
무수 규산 25.0
프로필렌글리콜 2.5
불화 나트륨 0.21
청색 1호 0.0001
향료 1.3
산화 알루미늄 2.0
4A형 제올라이트 1.5
사카린나트륨 0.2
산화 티탄 0.2
잔부
계 100.0%
*1 : 30% 물품을 사용하고, 순분 환산한 배합량을 나타내었다.
(C)/(D)=2
타닌철 스테인 부착 억제 효과 : ◎
구강 점막에 대한 자격성 : ◎
사용시의 거품 생김 평가 : ◎
상기한 치약 조성물은, 대표적인 치면 오염인 타닌철 스테인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를 가지며, 구강 점막에 대해 저자격이며, 사용시의 거품 생김도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5] 크림치약
(A)피로인산 4나트륨 0.3%
(B)간토레츠 AN-169 1.5
(C)라우릴황산 나트륨 1.2
(D)2-야자유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도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나트륨(*1) 0.4
무수 규산 25.0
70% 소르비트액 30.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1.2
프로필렌글리콜 2.0
사카린나트륨 0.2
안식향산 나트륨 0.3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모노플루오로인산 나트륨 0.76
아세트산 토코페롤 0.1
향료 1.0
잔부
계 100.0%
*1 : 30% 물품을 사용하고, 순분 환산한 배합량을 나타내었다.
(C)/(D)=3
타닌철 부착 억제 효과 : ○
구강 점막에 대한 자격성 : ◎
사용시의 거품 생김 평가 : ◎
상기한 치약 조성물은, 대표적인 치면 오염인 타닌철 스테인에 대한 부착 억제 효과를 가지며, 구강 점막에 대해 저자격이며, 사용시의 거품 생김도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2)

  1. (A) 일반식 Mn +2PnO3n +1(단, 식중, M은 Na 또는 K를 나타내고, n은 2 또는 3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직쇄상의 수용성 폴리인산염의 적어도 1종을 0.3 내지 1.2질량%, (B) 25℃, pH7.0에서의 2.0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5 내지 1000mPa·s인 메틸비닐에테르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를 0.1 내지 2.0질량%, (C) 라우릴황산염을 0.6 내지 2.0질량%, (D)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0.2 내지 1.0질량%를 함유하고, 또한 (C)/(D)의 배합 비율이 질량비로 1 내지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연마제를 5 내지 50질량%, 점조제를 10 내지 50질량%, 및 증점제를 0.1 내지 5질량% 배합하고, 연치약(練齒磨) 조성물로서 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KR1020087004645A 2005-12-15 2006-11-17 치약 조성물 KR101331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61264 2005-12-15
JPJP-P-2005-00361264 2005-12-15
PCT/JP2006/322952 WO2007069429A1 (ja) 2005-12-15 2006-11-17 歯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087A true KR20080074087A (ko) 2008-08-12
KR101331734B1 KR101331734B1 (ko) 2013-11-20

Family

ID=3816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645A KR101331734B1 (ko) 2005-12-15 2006-11-17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WO2007069429A1 (ko)
KR (1) KR101331734B1 (ko)
WO (1) WO20070694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803B1 (ko) * 2008-11-11 2011-02-14 (주)아모레퍼시픽 치석 형성 방지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8969B2 (ja) * 2007-09-14 2014-07-16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磨組成物
US8778312B2 (en) * 2009-04-01 2014-07-15 Colgate-Palmolive Company Densensitizing dentifrice exhibiting dental tissue antibacterial agent uptake
JP5572346B2 (ja) * 2009-08-26 2014-08-13 花王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6007660B2 (ja) * 2012-08-08 2016-10-12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及び歯石形成抑制剤
KR102199880B1 (ko) * 2014-10-31 2021-01-08 (주)아모레퍼시픽 구강용 발열 조성물
JP6424087B2 (ja) * 2014-12-26 2018-11-14 アース製薬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US11666532B2 (en) 2018-01-19 2023-06-06 Hyloris Developments Sa Tranexamic acid oral solution
GB201811065D0 (en) 2018-07-05 2018-08-22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hcare UK IP Ltd Novel composition
GB201811061D0 (en) 2018-07-05 2018-08-22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hcare UK IP Ltd Novel composition
JPWO2022059642A1 (ko) * 2020-09-17 2022-03-24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9712A (en) * 1986-03-20 1989-12-26 Colgate-Palmolive Company Anticalculus oral composition
US5582816A (en) * 1995-06-01 1996-12-10 Colgate Palmolive Company Preparation of a visually clear gel dentifrice
JPH10182389A (ja) * 1996-12-27 1998-07-07 Lion Corp 歯磨組成物
JPH1149654A (ja) * 1997-07-31 1999-02-23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3978609B2 (ja) * 2003-08-25 2007-09-19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及び口腔用組成物中におけるラウリル硫酸カリウムの析出防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803B1 (ko) * 2008-11-11 2011-02-14 (주)아모레퍼시픽 치석 형성 방지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69429A1 (ja) 2007-06-21
KR101331734B1 (ko) 2013-11-20
JPWO2007069429A1 (ja) 200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734B1 (ko) 치약 조성물
EP2600938B1 (en) Oral care compositions
JP2007145740A (ja) 歯磨剤組成物
JP2003335646A (ja) 歯磨組成物
KR20200093439A (ko) 구강용 스테인 제거제, 구강용 스테인 형성 억제제 및 구강용 조성물
CN114502136B (zh) 包含六偏磷酸盐的口腔护理喷雾组合物
JP2011126840A (ja) 口腔用組成物
JP2007161657A (ja) 歯磨組成物
JP3528389B2 (ja) 口腔用組成物
JP2004123684A (ja) 歯磨組成物
JP2006104101A (ja) 口腔用組成物
KR102413711B1 (ko)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분리된 형태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JPH01104004A (ja) 口腔用組成物
US20060093562A1 (en) Use of sodium decyl sulfate in toothpaste
CN114430678B (zh) 包含六偏磷酸盐和颜料的口腔护理组合物
KR102582065B1 (ko)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0478211B1 (ko) 미백치약조성물
KR100494627B1 (ko) 미백치약 조성물
KR102207880B1 (ko)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20030040411A (ko) 구강용 조성물
RU2701727C1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с повышенной эффективностью отбеливания
JP2005298498A (ja) 口腔用組成物
KR100416416B1 (ko) 적당한 양치시간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치약조성물
KR20040021954A (ko) 미백치약 조성물
JP2005075825A (ja) 歯牙美白用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