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880B1 -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880B1
KR102207880B1 KR1020190036188A KR20190036188A KR102207880B1 KR 102207880 B1 KR102207880 B1 KR 102207880B1 KR 1020190036188 A KR1020190036188 A KR 1020190036188A KR 20190036188 A KR20190036188 A KR 20190036188A KR 102207880 B1 KR102207880 B1 KR 102207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composition
phosphate
toothpaste
silic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428A (ko
Inventor
박성우
김지영
하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90036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88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2080024468.8A priority patent/CN113631143B/zh
Priority to CA3134464A priority patent/CA3134464A1/en
Priority to EP20779633.5A priority patent/EP3949942A4/en
Priority to US17/053,974 priority patent/US11701313B2/en
Priority to PCT/KR2020/004266 priority patent/WO2020197342A1/ko
Publication of KR20200114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428A/ko
Priority to KR1020210007514A priority patent/KR102502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880B1/ko
Priority to US18/084,879 priority patent/US20230128275A1/en
Priority to US18/128,025 priority patent/US20230248624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1Chelating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 효과 및 사용감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킬레이트제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과포화되어 포스페이트가 석출되고,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입자에 의해 강한 세정력, 미백 효과, 스테인 제거와 사각거리는 사용감이 구현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A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 chelating agent with supersaturated phosphate}
본 발명은 미백 효과 및 사용감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킬레이트제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과포화되어 포스페이트가 석출되고,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입자에 의해 강한 세정력, 미백 효과, 스테인 제거와 사각거리는 사용감이 구현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 미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종류의 미백 치약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효과가 좋은 미백제를 치약에 함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치약은 사용 시간이 1~3분으로 짧아서, 유효성분이나 향이 빠르게 방출되어 나오는 것이 사용감과 효과면에서 필요하다. 치아 미백을 위해서는, 치아 표면에 착색된 물질이나 치아 사이사이에 끼어있는 착색 성분이 제거되어야 한다.
치아의 표면 착색은 식품 유래의 색소(차, 커피, 붉은 와인 등) 외인성 스테인(extrinsic stain)으로서의 침착, 치아의 표면을 피복하고 있는 타액 중의 당 단백질의 변성에 의한 메일라드 반응 유래의 착색, 함황 아미노산이나 금속에 의한 착색, 또한 단백 중의 이중 결합 부분의 착색화가 원인이라고 하고 있다.
다만, 강한 세정력과 깔끔한 사용감을 주기 위해 종래에 입자 함유 치약이 개발되었으나, 미흡한 효과, 안전성 및 환경 오염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한 결과,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의 경우,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입자에 의해 강한 세정력, 미백 효과, 스테인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사각거리는 사용감을 갖는 치약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킬레이트제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과포화되어 포스페이트가 석출되고, 상기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함량이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0%인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원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되는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출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킬레이트제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과포화되어 포스페이트가 석출되고, 상기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함량이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이상, 구체적으로는 2 내지 10%인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석출된 포스페이트"은 25 ℃를 기준으로 용매, 특히 물에 대한 최대용해량 이상으로 조성물에 첨가된 포스페이트를 의미하며, 용매가 물인 경우 물 함량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물 함량 측정법, 예를 들면 Karl-fisher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는 금속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TSPP(tetrasodium pyrophosphate), SAPP(sodium acid pyrophosphate) 및 SHMP(sodium hexameta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SHMP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킬레이트제는 과포화되어 포스페이트가 석출되고, 석출된 포스페이트는 입자를 가지고, 이러한 입자로 인해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사각사각한 사용감이 구현되며, 세정력 및 미백효과가 우수해진다.
본 발명에서의 석출된 포스페이트에 의한 입자는 연마제로 브러싱하는 힘과 함께 치간 사이나 치아와 잇몸 사이에 잘 끼어들어서 물리적으로 착색 성분을 제거해줄 수 있다. 치아의 외인성 착색물질의 경우, 표면에 살짝 붙어있거나 금속에 의해 착색물질이 치아 표면에 붙어있는 메커니즘이므로, chelating agent와 연마제가 들어있는 치약으로 칫솔질하여 제거가 가능하며 빠른 시일 안에 치아가 깨끗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칫솔질 할 때 작은 입자들이 들어있으면 물리적인 자극을 주면서도 사각사각 거리는 사용감을 줄 수 있어서 양치 후 상쾌감도 느낄 수 있고, 더 높은 세정감을 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 중에서도, 양치 시 사각거림을 줄 수 있는 크기와 강도를 갖고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스페이트의 "최대 용해량"은 사용된 물 함량에 따라 포스페이트의 과포화 상태의 직전까지 최대로 용해시킬 수 있는 포스페이트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스페이트의 "과포화덧량"은 최대용해량 이상으로 포스페이트를 첨가할 경우, 석출되어 입자를 형성하는 포스페이트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과포화되어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이상, 구체적으로는 2 내지 10%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3 내지 10% 또는 4 내지 9%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5 내지 8% 또는 5.5 내지 7.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과포화되어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함량이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이상이어야 입자에 따른 사각거림이 구현되고, 세정력, 스테인 제거력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 다만, 과포화되어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함량이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를 초과하는 경우, 구강 내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포스페이트의 용해도는 25 ℃에서 6 내지 100 g/100 mL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0 g/100 m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SPP의 용해도는 6.7 g/100 mL(25 ℃), SAPP의 용해도는 12.5 g/100 mL(25 ℃), SHMP의 용해도는 50 g/100 mL(25 ℃)이다.
이 때, 물에 대한 용해도가 너무 낮으면, 치약 내에서 보관 중 석출이 일어나서 조성물의 안정성에 유리하지 않고, 용해도가 100g/100mL 이상인 TKPP(tetrapotassium pyrophosphate) (187g/100mL(25℃)), KAPP(potassium acid pyrophosphate) 149.25g/100mL(25℃?))의 경우는, 물 10 %에 대해 포스페이트 10 %를 사용시 대부분 녹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는다. 피로포스페이트(Pyrophosphate)나 메타포스페이트(metaphosphate)의 경우 chelating 효과가 우수하여 세정력에 도움을 주지만 10 % 이상 함량으로 사용하게 되면 치아의 자극이 우려되므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과포화되어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입자의 평균직경은 75 내지 180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05 내지 180 ㎛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05 내지 15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과포화되어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입자의 직경이 75 ㎛ 미만인 경우, 치약 조성물을 사용시 사각거림을 느낄 수 없고, 75 ㎛ 이상인 경우 사각거리는 느낌이 가장 우수하고, 세정력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실리카는 이산화규소를 의미하며 치약제에 이용되는 실리카는 비결정질 이산화규소를 주성분으로 제조된다. 실리카는 가공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 물성과 연마도를 가지는데 입자의 크기에 따라 연마용 실리카와 점증용 실리카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실리카는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50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40 %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3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실리카는 연마용 실리카를 포함하고, 연마용 실리카는 실리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90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90 %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70 내지 9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물을 포함할 수 있고, 물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이하,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0 % 함량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 내지 7 % 함량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2 내지 6% 함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물의 함량을 감소하여 포스페이트를 과포화시켜 석출되게 할 수 있다. 다만, 포스페이트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물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의 점도는 60,000 내지 110,000 cP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카라기난, 잔탄검, 점증용 실리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의 점도를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점도에 의해 연마제 및 과포화된 포스페이트 등의 분산을 안정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미백용 및 스테인 제거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세정력 및 스테인 제거력이 개선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치약 조성물은 치아 표면에 얼룩이 제거되는 효과와 치아가 밝아지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사각거림이 구현되어 사용감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연마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약효제, 첨가제 및 기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연마제는 치아의 표면을 연마시켜 치태를 닦아내는 역할을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마제는 덴탈타입실리카,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인산일수소칼슘, 탄산칼슘, 함수알루미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슘, 지르코니움 실리케이트 및 수산화인회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계면활성제"는 구강 조성물의 상용감과 세정작용을 좋게 하며, 약효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 하여 구강 내 이물질을 쉽게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및 알킬 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이온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아주까리경화유 유도체, N-라우릴 사르코신에이트,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 폴리소르베이트, 데카글리세린 모노라우레니트,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코코아미드 디이에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습윤제"는 연고상의 제형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베이스 성분으로 구강 조성물이 공기 중에 노출될 때 건조,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치약의 표면에 윤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종류에 따라서는 양치 시 감미효과를 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습윤제는 소르비톨액,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효제"는 치아의 세정 및 청결을 위한 다양한 약효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로서, 치약 내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기능성 성분, 한방 소재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치아에 불소막을 형성하며 충치균의 대사 산물인 산(젖산 등)에 내산성을 만드는 불화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포제"는 제품의 사용감을 증진시키고 세정 작용을 도와주며, 기타 약효 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 하고, 계면장력을 감소시킴으로서 구강내 이물질을 쉽게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첨가제"는 향료, 감미제, pH 조절제, 증백제, 부형제, 방부제 및 색소가 가능하며, 이때 함량은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향료는 식용 가능한 것으로, 멘톨, 녹차향, 민트향과 같은 합성향료, 페파민트 오일, 스피아민트 오일, 세이지 오일, 유칼립톨, 및 유게놀과 같은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과, 과일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감미제로는 사카린 나트륨, 자일리톨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pH 조절제로는 탄산수소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증백제로는 산화티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형제로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색소로는 주로 식용 색소를 사용한다.
방부제는 구강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 중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치약의 보존을 장기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사용하며, 벤조산나트륨 또는 파라벤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과포화되어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입자에 의해 사각거리는 사용감을 가지며, 강한 세정력, 미백 효과, 스테인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치약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제수에 기타성분(첨가제 등)을 용해시킨 것과 습윤제(PEG, 글리세린)에 점증제(카라기난, 잔탄검)을 분산시켜 미리 준비한 것을 혼합한 다음 실리카(연마용, 점증용)를 투입하고 약 20분간 교반한 후, 여기에 계면활성제(SLS 등)를 투입하고 진공상태에서 약 20분간 교반하고, chelating agent(SHMP, TSPP, SAPP) 및 향료를 투입하고 진공상태에서 약 20분간 교반하여 치약을 제조하였다.
점도계(Brookfield RVF)를 이용하여, 25℃, 20 rpm의 회전속도에서 7 번 스핀들바(Spindle bar)를 이용하여 5 회전 (15초) 후 치약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Water 2.72 4.00 5.00 5.00 5.00 16.95 18.95 12.00 13.00 16.00
Microbeads           2.00        
TSPP 5.68                  
SAPP   6.00                
> 75 um SHMP     8.00         8.00 8.00 8.00
105~180 um SHMP       8.00 10.00          
제삼인산나트륨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연마용 실리카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점증용 실리카 5.00 5.00 5.00 5.00 5.00 9.00 9.00 3.00 3.00 5.00
글리세린 58.60 57.00 54.00 54.00 52.00 43.00 43.00 48.15 47.15 41.95
PEG(polyethylene glycol)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카라기난 0.15 0.15 0.15 0.15 0.15 1.20 1.20 0.80 0.80 1.20
잔탄검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50 0.50 0.30
SLS(sodium lauryl sulfate)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산화티탄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사카린나트륨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플루오르화나트륨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최대용해량 0.18 0.50 2.50 2.50 2.50 - - 6.00 6.50 8.00
과포화량(덧량) 5.50 5.50 5.50 5.50 7.50 -  -  2.00 1.50 0.00
점도(cP) 85,000 80,000 75,000 76,000 78,000 85,000 80,000 76,000 74,000 85,000
실험예 1. in vitro 세정 효과 및 미백 효과 측정
(1) in vitro 세정 효과 및 미백 효과 측정 방법
인공 치아(치아 에나멜, 상아질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물질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를 태블릿 시편으로 만들고, 치아 착색물질은 차, 커피, mucin, 금속염 등을 이용하여 착색시켰다. 이 후, 세정력을 평가하는 Brushing machine을 사용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태블릿 시편을 고정시킨 후, 본원발명의 치약 조성물을 실제 사용 농도 (25g/40mL)의 슬러리로 1초에 90회의 속도로 5400회 칫솔질하였을 때, 세정 전후의 착색된 인공 치아 시편의 밝아진 정도를 색차계를 사용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태블릿 시편 표면의 색조 변화량(△ E)을 측정하였다.
(2) in vitro 세정 효과 및 미백 효과 측정 결과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치약 조성물 각각에 대한 상기 in vitro 치아 미백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 E 16.1 16.7 18.5 20.1 22.5 9.0 8.0 14.6 14.5 14.0
상기 표 2의 결과를 통해, SHMP를 인산염으로 사용한 실시예 3 내지 5의 치약 조성물의 경우 SHMP를 인산염으로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2의 치약 조성물에 비해 미백 효과가 2.1 내지 2.8배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HMP를 인산염으로 사용하였으나, 물의 함량을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10% 이상 함유한 비교예 3 내지 5의 치약 조성물에 비해 미백 효과가 1.3 내지 1.6배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TSPP 및 SAPP를 인산염으로 사용한 각각의 실시예 1 및 2의 치약 조성물의 경우 SHMP를 인산염으로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2의 치약 조성물에 비해 미백 효과가 1.8 내지 2.1배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SHMP를 포함하고, 물의 함량을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10% 이하로 포함함으로써 인산염의 과포화량을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2% 초과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의 경우, 입자감을 나타내어 치아 표면에 착색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더욱 우수한 치아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험예 2. 사용감 측정
(1) 사각거림 측정 방법
성인 12 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칫솔(리치 센서티브 칫솔)을 사용하여 1 cm 길이의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치약 조성물로 1분 동안 하루에 3번 2주 동안 양치하게 한 후에 사각거림에 대해 설문 평가하였다.
설문 응답 기준
5 : 기존 사용하던 치약보다 확실히 사각거린다
4 : 기존 사용하던 치약보다 약간 사각거리는 것 같다.
3 : 치악 내 입자가 느껴진다.
2 : 기존 사용하던 치약과 사각거리는 느낌이 비슷하다.
1 : 기존 사용하던 치약보다 사각거리는 느낌이 확실히 미흡하다.
(2) 세정감 측정 방법
성인 12 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칫솔(리치 센서티브 칫솔)을 사용하여 1 cm 길이의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치약 조성물로 1분 동안 하루에 3번 2주 동안 양치하게 한 후에 세정감에 대해 설문 평가하였다.
설문 응답 기준
5: 양치 후 치아 표면이 깨끗해진 것 같고 뽀드득해진 것 같다
4: 양치 후 치아가 표면이 깨끗해진 것 같다.
3: 양치 후 치아가 뽀드득해진 것 같다
2: 기존 치약 대비 세정력 차이를 모르겠다
1: 기존 치약보다 세정력이 떨어지는 것 같다.
(3) 사용감 측정 결과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치약 조성물 각각에 대한 상기 사각거림 및 세정감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사각거림 3.5 3.5 4 4.5 5 3 2 2.5 2.5 2
세정감 4 4 4 4.5 5 2 2 3 3 3
상기 표 3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의 모든 치약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5의 치약 조성물에 비하여, 기존 사용하던 치약보다 사각거림이 확실히 우수하였고, 치아 표면이 깨끗해진 것 같고 뽀드득해진 것 같다고 하여 세정감이 더 우수하게 평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물에 대해 최대 용해량 이상 첨가되어 과포화되어 포스페이트가 석출되고, 상기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함량이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0%이며,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함량의 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가 과포화되어 석출된 포스페이트는 입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석출된 포스페이트의 입자 직경은 75 내지 180 ㎛인, 치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TSPP(tetrasodium pyrophosphate), SAPP(sodium acid pyrophosphate) 및 SHMP(sodium hexameta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인, 치약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연마용 실리카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50%인, 치약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용 실리카의 함량은 실리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90 %인, 치약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연마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약효제, 첨가제 및 기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치약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미백용 및 스테인 제거용인, 치약 조성물.
KR1020190036188A 2019-03-28 2019-03-28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2207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88A KR102207880B1 (ko) 2019-03-28 2019-03-28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CA3134464A CA3134464A1 (en) 2019-03-28 2020-03-27 Toothpaste composition
EP20779633.5A EP3949942A4 (en) 2019-03-28 2020-03-27 TOOTHPASTE COMPOSITION
US17/053,974 US11701313B2 (en) 2019-03-28 2020-03-27 Toothpaste composition
CN202080024468.8A CN113631143B (zh) 2019-03-28 2020-03-27 牙膏组合物
PCT/KR2020/004266 WO2020197342A1 (ko) 2019-03-28 2020-03-27 치약 조성물
KR1020210007514A KR102502250B1 (ko) 2019-03-28 2021-01-19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US18/084,879 US20230128275A1 (en) 2019-03-28 2022-12-20 Toothpaste Composition
US18/128,025 US20230248624A1 (en) 2019-03-28 2023-03-29 Toothpaste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88A KR102207880B1 (ko) 2019-03-28 2019-03-28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514A Division KR102502250B1 (ko) 2019-03-28 2021-01-19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428A KR20200114428A (ko) 2020-10-07
KR102207880B1 true KR102207880B1 (ko) 2021-01-26

Family

ID=7288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188A KR102207880B1 (ko) 2019-03-28 2019-03-28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8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2389A (ja) * 1996-12-27 1998-07-07 Lion Corp 歯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428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6549B2 (ja) 生体活性ガラスを用いたフッ化物取り込みを良く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TWI391148B (zh) 含有生物可接受性及生物活性之玻璃的非水性牙膏組成物及其使用與製造之方法
AU2010232507B2 (en) Oral compositions for treating tooth sensitivity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US11701313B2 (en) Toothpaste composition
KR101331734B1 (ko) 치약 조성물
EP3166692B1 (en) Oral care formulation system providing amorphous calcium phosphate
US8263048B2 (en) Calcium phosphate complex for oral care applications, its preparation method,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JP2009215176A (ja) 歯磨組成物及び歯磨製品
KR102246287B1 (ko)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분리된 형태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WO2011081573A1 (ru) Сред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табачных смол и композиции на его основе
KR102207880B1 (ko)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2502250B1 (ko)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2582065B1 (ko)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2413711B1 (ko)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분리된 형태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JPH01104004A (ja) 口腔用組成物
JP5516796B2 (ja) 歯磨組成物
KR100891972B1 (ko) 액상치약 조성물
KR101898448B1 (ko) 액체 또는 액상의 구강용 조성물 및 설태 부착 억제제
KR20200114426A (ko) 풀림성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KR102389707B1 (ko) 풀림성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KR100704585B1 (ko) 치약 조성물
JP3951085B2 (ja) 歯磨組成物
KR100564231B1 (ko) 소프트 비드를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RU2816006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чистки зубов, содержащая карбоновую кислоту или её соль щелочного металла и источник свободных фторид-ионов
JP2014105181A (ja) 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