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759A - 자성의 덮개 파지 부재 - Google Patents

자성의 덮개 파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759A
KR20080073759A KR1020087015234A KR20087015234A KR20080073759A KR 20080073759 A KR20080073759 A KR 20080073759A KR 1020087015234 A KR1020087015234 A KR 1020087015234A KR 20087015234 A KR20087015234 A KR 20087015234A KR 20080073759 A KR20080073759 A KR 20080073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operating member
lid
base
magnet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455B1 (ko
Inventor
크리스토페 노르띠오르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8007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4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Manipulator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기구의 분리가능한 덮개용 파지 부재(1)에 관한 것으로, 이는 자화 가능 부품에 가해지는 자석(2)의 작용에 의해 상기 덮개 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지 부재(1)는 베이스 (3) 및 베이스(3)에 대하여 자화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조작 부재(4)를 포함하고, 이러한 자화 위치에서 자석(2)에 의해 자화 가능 부품에 가해지는 힘은 파지 부재(1)가 덮개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분리 위치에서는 이러한 힘이 덮개에 파지 부재(1)를 고정되도록 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조리 기구 뚜껑, 자화 가능 부품, 분리 가능한 파지 부재, 이동 가능한 조작 부재

Description

자성의 덮개 파지 부재{MAGNETIC LID GRIPPER}
본 발명은 주방 용품, 예를 들어 소스팬(saucepan)을 위한 자화되는 뚜껑용 파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구를 덮기에 적합한 덮개, 및 자화 가능한 부품 상의 자석의 작용에 의해 이러한 덮개에 고정되는 분리 가능한 파지 부재를 포함하는 종류의 뚜껑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석의 힘을 결정하는 것이 문제가 되는데, 자석의 힘이 너무 약할 경우 덮개는 적절하고도 단단히 파지 부재에 고정되지 않을 수도 있고, 그 힘이 너무 강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덮개를 파지 부재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점과 더불어, 자석의 힘이 어떠하든, 파지 부재를 제거 가능할 수 있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파지 부재에 인장력을, 그리고 덮개에 가압력을 가해야 하는데, 덮개가 뜨거울 경우 이러한 조작은 제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결점들을 덜어주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앞서 언급한 종류의 뚜껑이 가지고 있는 파지 부재는 베이스(base) 및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조작 부재는 베이스에 대해서 자화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데, 자화 위치에서는 자석에 의해 자화 가능한 부품에 가해지는 힘은 파지 부재가 덮개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분리 위치에서는 이러한 힘이 파지 부재가 덮개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는데 충분하지 않게 된다.
다른 여러 특징들과 장점들이 제한적이지 않은 예들을 통하여 소개되고 도면들에 의해 도시되는 네 개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나타나게 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파지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실시예에 따른 파지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파지 부재를 도시하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3실시예에 따른 파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파지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 선분을 따라 절단한 제3실시예에 따른 파지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4실시예에 따른 파지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파지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부엌 용품을 위한 뚜껑은 일반적으로 덮개를 첫 번째로 포함하고, 두 번째로 파지 부재(1)를 포함한다. 이러한 덮개는 부엌 용품을 덮기에 적합하고, 파지 부재(1)는 사용자가 뚜껑을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네 개의 실 시예들에서, 뚜껑은 첫 번째로 자석(2)을 포함하고, 두번째로 자화 가능한 부품을 포함하는데, 자석(2)은 파지 부재에 의해 이동되고, 자화 가능한 부품은 덮개에 의해 이동하여, 파지 부재(1)가 자화 가능한 부품 상에서 자석(2)의 운동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덮개에 부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파지 부재(1)는 베이스(base)(3) 및 조작 부재(4)를 포함한다. 베이스(3)는 파지 부재(1)의 몸체를 형성하고 사용자가 파지 부재(1)(단단히 고정되는 덮개뿐만 아니라)를 파지 가능하도록 한다. 조작 부재(4)는 베이스(3)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고 사용자가 파지 부재(1)를 덮개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해준다. 조작 부재(4)는 자화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데, 자화 위치에서는 자석 (2)에 의해 자화 부품에 가해지는 힘이 파지 부재(1)가 덮개에 단단히 고정 가능하도록 해주고, 분리 위치에서는 이러한 힘이 파지 부재(1)를 덮개에 단단히 고정시키기에는 부족하게 된다(따라서 이들 두 부품들이 나누어지도록 한다).
또한, 처음 세 개의 실시예들에서, 파지 부재(1)는 조작 부재(4)가 그 자화 위치 안으로 위치하도록 리턴(return) 부재(5)(이 경우에는 스프링(5))를 포함한다. 이러한 까닭에, 네 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조작 부재(4)를 그것의 자화 위치에서부터 이완 위치로 가도록 움직여야하고, 제4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또한 조작 부재(4)를 그것의 이완 위치에서 자화 위치로 가도록 움직여야 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 자석(2)은 베이스(3)에 의해 이동된다.
베이스(3)는 파지 부재(1)가 고정될 때 덮개와 마주하는 바닥벽(6)을 포함하 고, 자석(2)이 나사(7)에 의해 바닥벽(6)에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3)는 바닥벽(6)에 대해 실제적으로 직교하게 돌출하는 중앙 기둥(8)을 포함하는데, 나사(7)를 수용하는 오리피스(orifice)가 중앙 기둥(8) 안에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3)는 실제적으로 실린더 모양의 주변벽(9)을 포함하는데, 주변벽(9)은 바닥벽(6)에 대해 실제적으로 직교하게 돌출한다.
이러한 바닥벽(6), 중앙 기둥(8), 및 주변벽(9)은 첫 번째로 조작 부재(4)를 위해서 두 번째로 스프링(5)을 위해서 하우징(10)을 정의하는데, 하우징(10)은 푸시 버튼(push button)(4)에 의해 형성되고, 푸시 버튼(4)의 상면벽(11)은 수동 조작 면을 이동시키며, 스프링(5)은 베이스(3)의 바닥벽(6)과 조작 부재(4)의 상면벽(11) 사이에서 연장된다. 조작 부재(4)는 하우징 안에서 중앙 기둥(8)에 의해 정의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되도록 장착된다.
또한, 조작 부재(4)는 정지 부재(12)(이 경우에는 러그(lug)(12))를 포함하는데, 정지 부재(12)는 베이스(3)의 주변벽(9)을 따라 상면벽(11)에서부터 연장되어 개구부(13)에 있는 베이스(3)의 바닥벽(6)을 관통한다. 정지 부재(12)는 충분히 길어서, 그것의 자유단(14)은, 조작 부재(4)가 그것의 자화 위치에서부터 이완 위치로 지나갈 때 덮개에 의해 이동되는 지지 표면에 대해 돌출부 접합점 역할을 하고, 조작 부재(4)가 그것의 이완 위치 안에 있을 때 베이스(3)를 덮개로부터(따라서, 자화 가능한 부품으로부터 자석(2)을) 떨어지도록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그 일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의 조작 부재(4)의 이동으로, 자화 가능 부품으로부터 자석(2)을 분리시키는 거리가 바뀌게 된다(따라서 자화 가능 부품에 가해지는 자기력의 세기가 변경된다).
도 2 내지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 자석(2)은 베이스(3)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조작 부재(4)에 의해 구동되는 스터드(stud)(15)에 의해 이동된다. 조작 부재(4)는 자화 위치와 이완 위치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자화 위치에서 조작 부재(4)는 그것의 자화 위치에 있고, 이완 위치에서 자석(2)에 의해 자화 가능 부품에 가해지는 힘은 파지 부재(1)가 덮개에 단단히 고정되기에는 불충분하다.
제1실시예에서처럼, 베이스(3)는 실제적으로 실린더 모양을 한 주변벽(9) 및 내부 환형 어깨부(16)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내부 환형 어깨부(16)는 주변벽(9)의 회전축에 실제적으로 직교하여 연장된다. 또한 내부 환형 어깨부(16)는 개구부(17)를 포함한다.
주변벽(9) 및 내부 환형 어깨부(16)는 먼저 스터드(15)를 위해서, 두 번째로 스프링(5)을 위해서 하우징(18)을 정의하는데, 이러한 스터드(15)는 베이스(3)에서 연장되고 개구부(17)에서 내부 환형 어깨부(16)를 관통한다.
스터드(15)는 중앙 기둥(19)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중앙 기둥(19)은 개구부(17)를 관통하고 베이스(3)에서 그 병진 운동 방향을 정의한다. 중앙 기둥(19)은 바닥면 단부(20)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바닥면 단부(20)에는 자석(2)이 나사(21)에 의해 고정되는데, 나사(21)는 중앙 기둥(19)에 의해 이동되는 하우징에 나사 결합된다. 스터드(15)는 또한 외부 어깨부(22)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외부 어깨부(22)는 조작 부재(4)가 그 자화 위치 안에 있을 때 내부 환형 어깨부(16)에 대해 돌출 부 접합점 역할을 하는데 적합하고, 따라서 스터드(15)의 자화 위치를 정의하는데 적합하다.
베이스(3)의 내부 환형 어깨부(16) 및 주변벽(9)은 제1하우징(23)을 정의하는데, 이러한 제1하우징(23)은 내부 환형 어깨부(16)의 제1측 상에 위치하고, 제1하우징(23) 안에 바닥면 단부(20) 및 자석(2)이 위치한다. 베이스(3)의 내부 환형 어깨부(16) 및 주변벽(9)은 제2하우징(24)을 정의하는데, 이러한 제2하우징(24)은 내부 환형 어깨부(16)의 타측 상에 위치하고, 제2하우징(24) 안에 스터드(15)의 외부 어깨부(22)가 위치한다. 제2실시예에서, 스프링(5)은 제1하우징(23) 안에 위치하고, 자석(2)과 베이스(3)의 내부 환형 어깨부(16) 사이에서 연장되어 스터드(15)가 그것의 자화 위치 안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3실시예에서, 스프링(5)은 제2하우징(24) 안에 위치하고, 덮개(25)와 스터드(15)의 상면 단부(27) 사이에 연장되어, 스터드(15)가 그것의 자화 위치 안에 위치하도록 하는데, 여기서 덮개(25)는 나사들(26)에 의해 베이스(3)에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스터드(15)는 캠 표면(28)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캠 표면(28)은,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에서 제2하우징(24) 안에 위치하고 베이스(3)에 연결된 조작 부재(4)와 함께 작동하는데 적합하다. 따라서, 조작 부재(4)가 그것의 자화 위치에서부터 이완 위치로 갈 때 그 자화 위치에서부터 이완 위치로 스터드(15)를 구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 부재(4)는 두 개의 구성 요소(4)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러한 두 개의 구성 요소(4)는 주변벽(9)의 회전 축에 대해 실제적으로 평행한 축 상에서 베이스(3)에 대하여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각의 구성 요소(4)는 샤프트(shaft)(29)에 의해 베이스(3)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샤프트(29)는 피봇 축을 정의하고 캠 표면(28)을 누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앞서 언급한 두 개의 실시예들에서, 그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시켜 두 개의 구성 요소들(4)을 서로 근접시킴으로써, 스터드(15)의 병진 운동을 야기한다. 또한, 베이스(3)는 그것의 주변벽(9)에 가이드 개구부(guide opening)(30)를 가지는 데, 이러한 가이드 개구부(30)는 그. 운동들을 두 개의 구성 요소들(4)에 가하여 샤프트들(29)에서 비틀림 힘들을 한정하고 따라서 스터드(15)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 그것의 일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의 조작 부재(4)의 운동에 의해 자화 가능 부품으로부터 자석(2)의 거리가 변경되고(따라서 자화 가능 부품에 가해지는 자기력의 세기가 변경된다).
제2실시예에서, 각각의 구성 요소(4)는 로드(rod)(4)로서 형성되고, 이것과 관련되는 샤프트(29)는 고정용 캐비티(cavity)(31) 안에 위치하는데, 고정용 캐비티(31)는 주변벽(9) 안에 형성되고 베이스(3)의 회전축에 대해서 가이드 개구부(30)에 실제적으로 반대편에 배치된다.
제3실시예에서, 각각의 구성 요소(4)는 비행기에 있는 것과 같은 보조날개(32)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보조날개(32)는 아크부(arc)(33)에 의해 이동된다. 이러한 아크부(33)는 피봇 축에 대해서 중심이 벗어나 있는데, 스터드(15)의 캠 표면(28)에 대해 돌출부 접합점 역할을 하기에 적합하다. 이 실시예에서, 샤프트 들(29)은 내부 환형 어깨부(16)에 의해 이동된다.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서 자석(2)은 조작 부재(4)에 의해 이동된다.
베이스(3)는 바닥벽(6) 및 주변벽(9)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바닥벽(6)은 파지 부재(1)가 덮개에 고정될 때 덮개와 마주하고, 주변벽(9)은 실제적으로 실린더 모양이고 바닥벽(6)에 대해 실제적으로 직교한다.
또한, 베이스(3)는 두 개의 트랜스미션(transmission) 부재들(34)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트랜스미션 부재들(34)은 연강(soft steel)과 같은 자화 가능한 물질들로 만들어 진다. 각각의 트랜스미션 부재(34)는 덮개에 의해 이동되는 자화 가능 부품에 인접하거나 접하도록 주변벽(9)을 따라 연장하고 개구부(35)에서 바닥벽(6)을 관통한다. 베이스(3)의 내부는 먼저 조작 부재(4)를 위해서, 다음으로 자석(2)을 위해서 하우징(36)을 정의하는데, 조작 부재(4)는 주변벽(9)의 회전축 상의 하우징(36) 안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자석(2)은 조작 부재(4)에 고정된다. 하우징(36)은 바닥벽(6)에 의해 축 방향으로 한계가 정해지는데, 바닥벽(6)은 자석(2)을 덮개에 의해 이동되는 자화 가능 부품과 자기적으로 분리한다. 하우징(36)은 한편으로는 두 개의 트랜스미션 부재들(34)에 의해 방사상으로 한계가 정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두 개의 트랜스미션 부재들(34)을 서로 분리하는 주변벽(9)의 두 개의 영역들에 의해 한계가 정해진다.
하우징(36)의 모양과 상보적인 실린더 모양을 가진 자석(2)은 바이어스(bias)되어 있어서, 조작 부재(4)가 그것의 자화 위치 안에 있을 때, 자석(2)의 각각의 극(pole)(37, 38)은 하나의 트랜스미션 부재(34)와 접하고, 따라서 이들은 자화 가능 부품들에 자석(2)에 의해 생성된 자속(magnetic flux)을 전달하고, 조작 부재(4)가 그것의 이완 위치 안에 있을 때, 자석(2)의 각각의 극(37, 38)은 자기 회로가 단락되도록 두 개의 트랜스미션 부재들(34)과 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 부재(4)는 사분의 일 바퀴를 회전하며 자화 위치에서 이완 위치로 이완 위치에서 자화 위치를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서, 일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의 조작 부재(4)의 운동에 의해 자속의 순환에 변화가 발생된다.
이상의 다양한 도면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실시예들에서 파지 부재(1)는 다만 한 개의 자석(2)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파지 부재(1)에 의한 자화 가능 부품 및 덮개에 의해 자석(2)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 캠 표면(28)은, 스터드(15)에 의해 이동되는 대신에, 베이스(3)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조작 부재(4)는 스터드(15)에 연결된다.
제4실시예에서, 두 개의 트랜스미션 부재들(31, 32)은 각각이 실린더의 거의 반에 걸쳐 각지게 연장되는 대신에 훨씬 더 작은 각진 부분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부재(4)가 그것의 이완 위치로 갈 때, 자석(2)의 각각의 극은 두 개의 트랜스미션 부재들 (31, 32) 중 어떤 것과도 접하지 않게 되며, 자기 회로를 단락시키게 된다.
또한, 파지 부재가 여러 개의 자석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한데, 그렇게 되면 모든 자석들은 운동 측면에서 서로 완전히 통합된다.

Claims (11)

  1. 자화 가능 부품 상에 자석(2)의 작용에 의해 뚜껑 덮개에 고정되기 적합한, 분리 가능한 조리 기구 뚜껑용 파지 부재(1)에 있어서,
    베이스(base)(3) 및 상기 베이스(3)에 대하여 자화 위치와 분리 위치에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조작 부재(4)를 포함하고,
    상기 자화 위치에서 상기 자석(2)에 의해 상기 자화 가능 부품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파지 부재(1)가 상기 덮개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분리 위치에서 이러한 힘은 상기 덮개에 상기 파지 부재(1)를 고정되도록 하기에는 불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부재(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것은 상기 자석(2)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부재(1).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석(2)은 상기 베이스(3)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부재(1).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석(2)은 자화 위치와 이완 위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3)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스터드(stud)(15)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조작 부재(4)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자화 위치에서 상기 조작 부재(4)는 그것의 자화 위치에 있고 상기 이완 위치에서 상기 자석(2)에 의해 상기 자화 가능 부품에 가해지는 상기 힘은 상기 파지 부재(1)가 상기 덮개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기에는 불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부재(1).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석(2)은 상기 조작 부재(4)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부재(1).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것은 상기 조작 부재(4)를 그것의 자화 위치로 보내는 스프링(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부재(1).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4)가 그것의 위치들 중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함으로 인해 상기 자석(2)과 상기 자화 가능 부품들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부재(1).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4)가 그것의 위치들 중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함으로 인해 자속(magnetic flux)의 순환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부재(1).
  9. 청구항 3에 종속되는 청구항 7 또는 그것에 종속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4)는 상기 덮개에 의해 이동되는 지지 표면에 대해 돌출부 접합점 역할을 하는데 적합한 정지 부재(12)를 이동시켜서,
    상기 조작 부재(4)가 그것의 자화 위치에서 그것의 이완 위치로 지나갈 때, 상기 돌출부 접합점 부재(12)가 돌출부 접합되어 상기 베이스(3)가 상기 덮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부재(1).
  10. 청구항 4에 종속되는 청구항 7 또는 그것에 종속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5)는 상기 조작 부재(4)와 함께 작용하기에 적합한 캠 표면(28)을 포함해서, 상기 조작 부재(4)가 그것의 자화 위치에서 그것의 이완 위치로 지나갈 때, 그것이 상기 스터드(15)를 그 자화 위치에서 그 이완 위치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부재(1).
  11. 청구항 5에 종속되는 청구항 8 또는 그것에 종속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는 서로 접하지 않는 두 개의 자화 가능 트랜스미션 부재들(34)을 포함하고,
    상기 자화 가능 부품과 자기적으로 분리되는 상기 자석(2)은 바이어스(bias)되고 상기 베이스(3)에 위치해서,
    상기 조작 부재(4)가 그것의 자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자석(2)의 각각의 극(pole)(37, 38)은 하나의 트랜스미션 부재(34)와 접해서 이들은 상기 자화 가능 부품에 상기 자석(2)에 의해 생성된 자속을 전달하고,
    상기 조작 부재(4)가 그것의 이완 위치 안에 있을 때, 각각의 극(37, 38)은 상기 두 개의 트랜스미션 부재들(34)과 접하거나 상기 두 개 중 어느 것과도 접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부재(1).
KR1020087015234A 2005-11-23 2006-11-22 자성의 덮개 파지 부재 KR101100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11873 2005-11-23
FR0511873A FR2893494B1 (fr) 2005-11-23 2005-11-23 Organe de prehension de couvercle aimante
PCT/FR2006/002568 WO2007060326A1 (fr) 2005-11-23 2006-11-22 Organe de prehension de couvercle aima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759A true KR20080073759A (ko) 2008-08-11
KR101100455B1 KR101100455B1 (ko) 2011-12-29

Family

ID=3681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234A KR101100455B1 (ko) 2005-11-23 2006-11-22 자성의 덮개 파지 부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109207B2 (ko)
EP (1) EP1951095B1 (ko)
JP (1) JP4928557B2 (ko)
KR (1) KR101100455B1 (ko)
CN (1) CN101312675B (ko)
AT (1) ATE437597T1 (ko)
CA (1) CA2630435C (ko)
DE (1) DE602006008175D1 (ko)
FR (1) FR2893494B1 (ko)
WO (1) WO20070603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370B1 (ko) * 2011-12-29 2014-02-21 김교연 탈부착 형 조리용기 손잡이
KR102520891B1 (ko) * 2022-01-13 2023-04-12 김순식 조리용기 뚜껑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28146B1 (no) * 2008-04-03 2009-12-21 Mnt As Magnetisk frigjorbart handtak for et lokk eller lignende
FR2983693B1 (fr) * 2011-12-09 2015-03-06 Arc Internat France Poignee amovible et ustensile de cuisine adapte a cette poignee
KR101401411B1 (ko) 2012-08-31 2014-05-30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CN109770754B (zh) * 2019-01-24 2021-10-01 广东工业大学 一种磁性夹碗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1663A (en) * 1953-10-15 1956-01-24 Thompson Murray Pot lid with magnetic quick-detachable handle
CH394421A (de) * 1961-07-19 1965-06-30 Bosch Gmbh Robert Dauermagnetische Spannvorrichtung
JPS5045494Y2 (ko) 1971-05-27 1975-12-23
GB2211356A (en) * 1987-10-16 1989-06-28 Holdings James Neill Magnetic work holders
JPH0365523U (ko) 1989-10-28 1991-06-26
EA006279B1 (ru) * 2001-08-24 2005-10-27 Дзе Осси Кидз Той Компани Пти Лимитед Переключаемое магн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3203810A (ja) 2001-11-02 2003-07-18 Mitsutoyo Corp 磁気回路ブロックおよび磁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370B1 (ko) * 2011-12-29 2014-02-21 김교연 탈부착 형 조리용기 손잡이
KR102520891B1 (ko) * 2022-01-13 2023-04-12 김순식 조리용기 뚜껑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0455B1 (ko) 2011-12-29
FR2893494B1 (fr) 2013-04-05
CA2630435A1 (fr) 2007-05-31
JP2009516556A (ja) 2009-04-23
WO2007060326A1 (fr) 2007-05-31
CN101312675A (zh) 2008-11-26
EP1951095B1 (fr) 2009-07-29
EP1951095A1 (fr) 2008-08-06
CN101312675B (zh) 2010-08-25
DE602006008175D1 (de) 2009-09-10
ATE437597T1 (de) 2009-08-15
FR2893494A1 (fr) 2007-05-25
JP4928557B2 (ja) 2012-05-09
US8109207B2 (en) 2012-02-07
US20080282506A1 (en) 2008-11-20
CA2630435C (fr) 201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455B1 (ko) 자성의 덮개 파지 부재
TWI685395B (zh) 磁力卡盤
PT1358970E (pt) Utensilios manuais com parte permutavel fixada magneticamente ao cabo
WO2007127472B1 (en) Remotely actuated surface preparation device
JPH04261005A (ja) 磁気掛止具
CA3020272A1 (fr) Pipette for sampling an extended range of volumes of liquid
MX2013008029A (es) Abrazadera de palanca articulada.
AU2011320255A1 (en) Exercise barbell
US20050264019A1 (en) Electric tweezers
CN109994339A (zh) 具有磁体的操作装置
US9125506B2 (en) Tray handling systems
TWM517051U (zh) 帶輪研磨機
US9386872B2 (en) Tray handling systems
JP6883854B2 (ja) マグネットベース
JP2010162325A (ja) パチンコ機のヒンジ装置
KR101895070B1 (ko)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SI1256679T1 (ko)
TWI529040B (zh) Quickly adjust and fix the head angle of the pneumatic tool
US20020107121A1 (en) Resistance device for a physical exerciser
KR101684888B1 (ko) 마그네틱 척 장치
TWM537965U (zh) 電動工具聯動調節裝置
WO2020085481A1 (ja) 嵌合構造
KR101603094B1 (ko)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장치
TWM637213U (zh) 棘輪扳手與外接棘輪襯套防脫快拆結構
KR101802772B1 (ko)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