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411B1 -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411B1
KR101401411B1 KR1020120096769A KR20120096769A KR101401411B1 KR 101401411 B1 KR101401411 B1 KR 101401411B1 KR 1020120096769 A KR1020120096769 A KR 1020120096769A KR 20120096769 A KR20120096769 A KR 20120096769A KR 101401411 B1 KR101401411 B1 KR 10140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handle
ball
moving mem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065A (ko
Inventor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Priority to KR1020120096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4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4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뚜껑을 보관할 때에는 용기 뚜껑으로부터 분리하고 용기 뚜껑을 사용할 때에는 용기 뚜껑에 부착하여 용기 뚜껑의 수납과 사용을 편리하게 한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는 손잡이 본체; 상기 손잡이 본체 상부에 노출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버튼; 상기 손잡이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버튼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볼 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부재;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볼 수용홈에 수용되는 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는 손잡이를 용기 뚜껑에 체결할 때 손잡이가 용기 뚜껑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고정되고, 복수 개의 볼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용기 뚜껑을 잡아주기 때문에 용기 뚜껑과 체결이 보다 견고하다.

Description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A DETACHABLE HANDLE OF A COOKING POT LID}
본 발명은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뚜껑을 보관할 때에는 용기 뚜껑으로부터 분리하고 용기 뚜껑을 사용할 때에는 용기 뚜껑에 부착하여 용기 뚜껑의 수납과 사용을 편리하게 한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에서 사용하는 용기들의 경우, 그 뚜껑에 손잡이가 일체로 달려있기 때문에 수납할 때 많은 공간이 필요함은 물론 수납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손잡이가 뚜껑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많은 구조들이 제안되었는데, 대표적으로 특허문헌 1에는 퀵 릴리즈 핀(quick release pin)의 원리를 적용한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퀵 릴리즈 핀이란 핀 헤드에 있는 버튼을 누르거나 누름 해제하면 핀의 단부에서 볼이 후퇴하거나 돌출되도록 하여 핀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구조의 핀인데, 종래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퀵 릴리즈 핀의 헤드 버튼(1)을 누르면 핀 단부의 볼(2)이 핀 내부로 후퇴하여 핀이 체결부(3)와 쉽게 분리되고, 헤드 버튼(1)을 해제하면 핀 단부의 볼(2)이 핀 외부로 돌출되어 핀이 체결부(3)에 체결된다.
특허문헌 1에 게재된 발명은 용기 뚜껑에 환형으로 볼 수용홈(4)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볼 수용홈(4)에 상기 핀 단부의 볼(2)이 수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는 볼 수용홈(4)에 볼이 수용되더라도 단순히 손잡이를 볼 높이 위치에서 잡아줄 수 있을 뿐 손잡이를 용기 뚜껑 방향으로 밀착시키지 못하므로 손잡이가 용기 뚜껑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없다.
또한, 손잡이에서 볼이 튀어나오는 위치와 볼 수용홈의 높이가 불일치할 경우 작동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제작시 필요 이상의 정밀도와 정확도를 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볼이 환형의 수용홈을 따라 돌아갈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손잡이와 용기 뚜껑을 체결하더라도 손잡이가 용기 뚜껑에 대해 회전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회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서는 손잡이와 용기 뚜껑에 키홈(5)과 키(6)를 형성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지만,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용기 뚜껑에 체결할 때 일일이 키홈(5)과 키(6)가 일치하도록 방향을 맞춘 상태에서 손잡이를 용기 뚜껑에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KR 20-0348530 Y1 (2004. 4. 1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체결력이 우수하면서도 용기 뚜껑에 간편하게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마련되는 오목홈을 구비한 용기 뚜껑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 상기 손잡이 본체 상부에 노출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버튼; 상기 손잡이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버튼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볼 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부재;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볼 수용홈에 수용되는 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볼이 용기 뚜껑의 오목홈에 삽입되면 손잡이와 용기 뚜껑이 체결되고, 볼이 볼 수용홈에 삽입되면 손잡이와 용기 뚜껑이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는 용기 뚜껑에 체결할 때 손잡이가 용기 뚜껑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고정되고, 복수 개의 볼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용기 뚜껑을 잡아주기 때문에 종래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에 비해 손잡이와 용기 뚜껑의 체결이 견고하다.
또한, 손잡이 내부의 부품이 서로 돌아가는 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중 발생하는 마모를 줄여 부품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와 용기 뚜껑을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체결하면서도 손잡이와 용기 뚜껑이 서로 돌아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손잡이 체결 후 용기 뚜껑의 취급이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B-B 단면도
도 5는 용기 뚜껑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C-C, D-D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의 버튼이 눌러져 용기 뚜껑과 체결이 해제된 상태의 A-A 및 B-B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가 용기 뚜껑에 체결된 상태의 A-A 및 B-B 단면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a)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4(b)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는 용기 뚜껑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손잡이로서, 손잡이 본체(10); 상기 손잡이 본체(10) 상부에 노출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버튼(20); 상기 손잡이 본체(1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버튼(20)과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재(30); 볼 수용홈(44)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부재(30)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부재(40); 상기 이동부재(30)와 고정부재(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30)를 상기 고정부재(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50) 및 상기 볼 수용홈(44)에 수용되는 볼(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잡이 본체(10)는 중공이 있는 원뿔대 형상으로, 중공의 중간 부분에는 격벽(12)이 중공의 원주에서 손잡이 본체(10)의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12)의 끝단의 일부에는 아래로 절곡된 체결부(14)가 형성된다. 격벽(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본체(10)의 중공을 완전히 막는 것이 아니라 중앙이 비어있어, 후술할 버튼(20)과 이동부재(30)가 비어있는 중앙의 공간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14)는 후술할 이동부재(30)를 관통하여 고정부재(40)와 체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손잡이 본체(10)와 고정부재(4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버튼(20)은 손잡이 본체(10)의 중공에 끼워지고, 사람이 손으로 눌러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를 용기 뚜껑에 체결하거나 용기 뚜껑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20)은 아래쪽으로는 손잡이 본체(10)의 격벽(12)에 가로막혀 있고, 후술할 이동부재(30)와 결합되어 있어 위쪽으로도 이동이 제약된다. 즉, 버튼(20)은 손잡이 본체(10)의 상부면과 격벽(12) 사이의 제한된 공간에서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이동부재(30)는 손잡이 본체(10)의 격벽(12) 아래쪽 중공에 수용되고, 상부면이 버튼(20)에 결합되어 사람이 버튼(20)을 누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구성요소로, 슬롯(32), 제1 탄성체수용홈(34), 볼 후퇴홈(36) 및 돌출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부재(30)는 종 모양과 같이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고정부재(40)가 상기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동부재(30)의 상부면에는 손잡이 본체(10)의 체결부(14)가 관통되는 슬롯(32)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32)이 체결부(14)를 따라 가이드 되기 때문에 이동부재(30)는 손잡이 본체(10)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동부재(30)의 내부 공간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탄성체(50)가 수용되는 제1 탄성체수용홈(34)이 형성된다. 제1 탄성체수용홈(34)은 탄성체(50)의 일단이 이동부재(30)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탄성체(50)가 이동부재(30)를 고정부재(40)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볼 후퇴홈(36)은 이동부재(30)의 내부 공간의 측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버튼(20)이 눌러져 이동부재(30)가 아래쪽으로 이동되면, 후술할 볼(60)이 후퇴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돌출부(38)는 버튼(20)이 해제되어 이동부재(30)가 탄성체(50)에 의하여 위쪽으로 이동하면, 볼(60)을 볼 후퇴홈(36) 바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이동부재(30)의 내부 공간 하단에서 이동부재(30)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동부재(30)가 위쪽으로 이동될 때 볼(60)이 부드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완만한 곡선 형상일 수 있다.
고정부재(40)는 이동부재(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이동부재(30)의 슬롯(32)를 관통한 손잡이 본체(10)의 체결부(14)와 체결되며, 제2 탄성체수용홈(42), 볼 수용홈(44) 및 고정돌기(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재(40)도 종 모양과 같이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용기 뚜껑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다.
고정부재(40)의 상부면에는 탄성체(50)가 수용되는 제2 탄성체수용홈(42)이 형성된다. 제2 탄성체수용홈(42)은 탄성체(50)의 타단이 고정부재(40)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탄성체(50)가 이동부재(30)를 고정부재(40)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동부재(30)의 제1 탄성체수용홈(34)과 고정부재(40)의 제2 탄성체수용홈(42) 사이에 탄성체(50)가 개재됨으로써, 이동부재(30) 및 상기 이동부재(30)에 결합되는 버튼(20)은 항상 위쪽으로 탄성 지지된다.
볼 수용홈(44)은 고정부재(40)의 측면에 형성되어 볼(60)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외측벽 직경은 볼(60)의 직경보다 크고, 내측벽 직경은 볼(6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볼 수용홈(44)의 내측벽을 통해 볼(60)의 일부분이 고정부재(40)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될 수는 있지만 완전히 빠져나갈 수는 없다. 반면 볼 수용홈(44)의 외측벽을 통해서는 볼(60)이 빠져나갈 수 있는데, 고정부재(40)가 이동부재(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볼(60)이 빠져나가더라도 이동부재(30)의 내측벽, 즉 볼 후퇴홈(36)에 수용될 뿐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외부로 완전히 빠져나가지는 않는다. 이렇게 볼 후퇴홈(36)에 수용된 볼은 버튼(20)이 해제되어 이동부재(30)가 위쪽으로 이동하면 돌출부(38)에 의하여 다시 볼 수용홈(44)에 수용된다.
고정돌기(46)는 고정부재(40)의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구성요소로, 용기 뚜껑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가 용기 뚜껑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탄성체(50)는 이동부재(30)와 고정부재(40) 사이에 개재되어, 이동부재(30)가 항상 위쪽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부재(30)에 결합된 버튼(20)도 항상 위쪽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며, 사람이 버튼(20)을 누르는 경우에만 이동부재(30)가 탄성력을 극복하여 고정부재(40)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재(30)가 고정부재(40) 쪽으로 이동되면, 이동부재(30)의 돌출부(38)가 아래쪽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볼(60)이 이동부재(30)의 볼 후퇴홈(36)으로 후퇴하여 해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볼(60)은 고정부재(40)의 볼 수용홈(44)에 수용되어, 고정부재(40)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가 용기 뚜껑과 체결되고, 볼 후퇴홈(36)으로 후퇴하면 체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와 결합되는 용기 뚜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용기 뚜껑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5의 C-C 단면도, 도 6(b)는 도 5의 D-D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가 체결되는 용기 뚜껑(100)은 중앙에 결합공(112)이 형성된 뚜껑본체(110), 상부로부터 상기 결합공(112)에 안착되는 상부부재(120) 및 상기 결합공(112) 하부에 받쳐지는 하부부재(130)로 이루어지며, 상부부재(120)와 하부부재(120)는 나사(140)로 체결되어 뚜껑본체(110)에 고정된다.
상부부재(120)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122)의 측면에는 복수 개(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오목홈(124)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홈(124)의 하단에는 고정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의 구조가 용기 뚜껑 체결되어 사용되는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의 버튼이 눌러져 용기 뚜껑과 체결이 해제된 상태의 A-A 및 B-B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가 용기 뚜껑에 체결된 상태의 A-A 및 B-B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를 용기 뚜껑(100)에 체결하고자 할 때에는, 도 7과 같이 손잡이의 버튼(20)을 눌러 볼(60)이 볼 수용홈(44)에서 볼 후퇴홈(36)으로 후퇴될 수 있는 상태에서 고정부재(40) 내부로 용기 뚜껑의 돌출부(122)를 끼워 넣는다. 이때, 손잡이 본체(10)와 상부부재(120)가 접하는 부분이 서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손잡이 본체(10)와 돌출부(122)를 정확히 일치시키지 않아도 상부부재(120)의 경사면을 따라 손잡이 본체(10)가 용기 뚜껑의 중심으로 안내될 수 있다.
고정부재(40)에 돌출부(122)가 삽입된 상태에서 버튼(20)을 놓게 되면 이동부재(30)가 탄성체(50)에 의해 상방으로 힘을 받는다. 이때 고정부재(40)의 볼 수용홈(44)과 돌출부(122)의 오목홈(124)이 서로 마주하게 된 상태라면 이동부재(30)가 상승하면서 볼(60)을 오목홈(124) 쪽으로 밀어 넣게 되고, 오목홈(1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갈수록 더 함몰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볼(60)이 오목홈(124) 쪽으로 전진하면서 더 함몰된 오목홈(124)의 하방으로 이동하려고 하고, 이러한 힘에 의해 손잡이 본체(10)가 상부부재(120)와 밀착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40)의 볼 수용홈(44)과 돌출부(122)의 오목홈(124)이 서로 어긋나 있는 상태라면 볼 수용홈(44)의 볼(60)이 돌출부(122)의 오목홈(124)으로 삽입되지 않고 볼 후퇴홈(36)에 걸려있기 때문에 이동부재(30)가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이처럼 손잡이 본체(10)를 용기 뚜껑의 상부부재(120)에 끼워 넣고 버튼(20)을 누르는 힘을 해제하였는데도 버튼(20)이 올라오지 않으면, 단순히 손잡이 본체(10)를 뚜껑본체(110)에 대해 약간 회전시키기만 해도 고정부재(40)의 볼 수용홈(44)과 돌출부(122)의 오목홈(124)이 서로 마주하게 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가 용기 뚜껑(100)에 체결된 모습은 도 8과 같다. 용기 뚜껑(100)에는 복수의 볼 수용홈(44)에 대응하여 오목홈(124)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각각의 볼(60)이 걸려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부재(40)의 돌출부(122)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특히 고정부재(40)의 하단에는 볼 수용홈(44)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돌기(46)가 하향 돌출되어 있는데 볼(60)이 상기 오목홈(124)으로 전진하면서 손잡이를 하부로 내려 손잡이와 용기 뚜껑(100)이 밀착될 때 상기 고정돌기(46)가 상기 고정홈(126)에 끼워지게 되므로 더욱 확실하게 고정부재(40)가 상부부재(120)에 대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불어 상부부재(120)의 오목홈(124)은 하방으로 갈수록 더 함몰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손잡이를 용기 뚜껑(100)에 밀착시키는 힘을 제공함은 물론, 사출 성형 등을 할 때 코어가 필요 없이 간단한 금형 구조로 성형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를 용기 뚜껑(10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버튼(20)을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를 용기 뚜껑(100)으로부터 들어올리면 된다. 즉, 다시 도 7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버튼(20)을 누르면 이동부재(30)가 하강하여 볼 수용홈(44)과 볼 후퇴홈(36)이 마주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를 들어 올리면 볼(60)이 오목홈(124)의 곡면에 밀려 볼 후퇴홈(36)으로 후퇴한다.
볼 후퇴홈(36)은 상부로 갈수록 더 함몰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버튼(20)을 끝까지 꽉 누르지 않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만 누르게 되면, 볼(60)이 오목홈(124)의 곡면에 밀려 볼 후퇴홈(36)으로 후퇴하게 되고, 그 밀리는 힘에 의해 볼(60)이 볼 후퇴홈(36)의 더 함몰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므로 결국 볼의 후퇴력이 이동부재(30)를 하부로 당겨주게 된다. 따라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손잡이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볼 후퇴홈(36) 역시 상부로 갈수록 더 함몰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사출 성형 등을 할 때 코어가 필요 없이 간단한 금형 구조로 성형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10: 손잡이 본체 12: 격벽
14: 체결부 20: 버튼
30: 이동부재 32: 슬롯
34: 제1 탄성체수용홈 36: 볼 후퇴홈
38: 돌출부 40: 고정부재
42: 제2 탄성체수용홈 44: 볼 수용홈
46: 고정돌기 50: 탄성체
60: 볼

Claims (7)

  1.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22) 및 상기 돌출부(122)의 측면에 마련되는 오목홈(124)을 구비한 용기 뚜껑(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10);
    상기 손잡이 본체(10) 상부에 노출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버튼(20);
    상기 손잡이 본체(1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버튼(20)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재(30);
    볼 수용홈(44)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부재(30)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부재(40);
    상기 이동부재(30)와 고정부재(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30)를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50) 및
    상기 볼 수용홈(44)에 수용되는 볼(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부재(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볼(60)이 용기 뚜껑(100)의 오목홈(124)에 삽입되면 손잡이와 용기 뚜껑(100)이 체결되고, 볼(60)이 볼 수용홈(44)에 삽입되면 손잡이와 용기 뚜껑(100)이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 본체(10)는 내부에 체결부(14)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30)는 상기 체결부(14)가 관통하는 슬롯(32)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이동부재(30)의 내부에서 상기 체결부(14)와 결합되어서,
    상기 슬롯(32)이 상기 체결부(14)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상기 이동부재(30)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20)은 손잡이 본체(10)의 상면에 노출되며, 상기 이동부재(30)와 체결되어 일체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30)에는 상기 버튼(20)을 작동시켰을 때 상기 볼 수용홈(44)과 대면하여 볼(60)이 후퇴할 수 있는 볼 후퇴홈(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볼 후퇴홈(36)은 상부로 갈수록 더 함몰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하부에는 용기 뚜껑(100)의 상부부재(120)에 형성된 고정홈(1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4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볼 수용홈(44)은 용기 뚜껑(100)의 오목홈(124)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KR1020120096769A 2012-08-31 2012-08-31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KR101401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769A KR101401411B1 (ko) 2012-08-31 2012-08-31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769A KR101401411B1 (ko) 2012-08-31 2012-08-31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065A KR20140029065A (ko) 2014-03-10
KR101401411B1 true KR101401411B1 (ko) 2014-05-30

Family

ID=5064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769A KR101401411B1 (ko) 2012-08-31 2012-08-31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015B1 (ko) * 2015-09-18 2017-02-21 양원준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7558U (ko) * 1976-11-06 1978-06-07
KR200348530Y1 (ko) * 2004-01-26 2004-04-28 최철호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KR20120009164A (ko) * 2010-07-22 2012-02-01 정진우 조리용기의 뚜껑용 탈착식 손잡이
US8109207B2 (en) 2005-11-23 2012-02-07 Seb Sa Gripping member for a magnetised li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7558U (ko) * 1976-11-06 1978-06-07
KR200348530Y1 (ko) * 2004-01-26 2004-04-28 최철호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US8109207B2 (en) 2005-11-23 2012-02-07 Seb Sa Gripping member for a magnetised lid
KR20120009164A (ko) * 2010-07-22 2012-02-01 정진우 조리용기의 뚜껑용 탈착식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015B1 (ko) * 2015-09-18 2017-02-21 양원준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065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3977B2 (ja) 閉鎖可能な注ぎ開口部を備えたティー・メーカー
US20060289687A1 (en) Food masher
EP2781465A1 (en) Detachable sealable li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sealing ring for use with the lid
US20100282748A1 (en) Hermetic container
CN106102529B (zh) 饮料泡制装置
US20080006645A1 (en) Pot having detachable handle
EP2494896B1 (en)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US20130036563A1 (en) Spiral drive mechanism and spin mop with the same
US20150122817A1 (en) Container with an insert and a lid
KR101401411B1 (ko)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KR20030096845A (ko) 분리 가능한 가압 냄비 손잡이
KR101803794B1 (ko) 원핸드 방식의 버튼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JP3129264U (ja)
WO2021060333A1 (ja) レフィル中皿
US6123196A (en) Insulating jugs stackable one over the other
CN112211508B (zh) 锁和具有这种锁的容器
KR101709015B1 (ko)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EP1731061B1 (en) Food masher
KR101318304B1 (ko)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KR101244391B1 (ko)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JP4480497B2 (ja) スパウト支持機構
US11963631B2 (en) French press
CN211093473U (zh) 一种具有活动内盖的电饭锅锅盖
JP6286257B2 (ja)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