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015B1 -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015B1
KR101709015B1 KR1020150132052A KR20150132052A KR101709015B1 KR 101709015 B1 KR101709015 B1 KR 101709015B1 KR 1020150132052 A KR1020150132052 A KR 1020150132052A KR 20150132052 A KR20150132052 A KR 20150132052A KR 101709015 B1 KR101709015 B1 KR 101709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ole
steam
discharger
steam dis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원준
Original Assignee
양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준 filed Critical 양원준
Priority to KR1020150132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4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뚜껑에 설치되되, 간단한 조작으로 뚜껑 상부의 몸체와 증기 배출기를 분리할 수 있어 손잡이 조립부위에 대한 세척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몸체(10)와; 조리용기로부터 올라오는 증기가 배출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증기 배출구(25)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증기 배출기(20)와; 뚜껑(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증기 배출기(20)가 수용되고 중앙 부분에는 내주면에 나사부(36)가 형성된 관통공(35)이 구비된 받침부재(30)와; 상기 뚜껑(10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재(30)에 체결되며 상기 증기 배출기(20)에 연통하는 관통홀(45)이 구비된 고정부재(4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55)의 탄성에 의해 외측단의 마찰편(51)이 상기 받침부재(30)의 내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상기 몸체(10)와 증기 배출기(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마찰부재(5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마찰부재(50)를 전후 이동시키는 누름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Cover Handle for Cookware}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뚜껑에 설치되는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조작으로 뚜껑 상부의 몸체와 증기 배출기를 분리할 수 있어 손잡이 조립부위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고 수납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 프라이팬 등의 조리 용기는 조리 도중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뚜껑에는 개폐를 위한 손잡이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조리용기 뚜껑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는 손으로 잡고 취급이 용이하도록 대개 뚜껑의 중앙 상부에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조리 시에 뚜껑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리용기 뚜껑의 손잡이는 뚜껑을 잡아 조리 용기를 개폐하는데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뚜껑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뚜껑에 설치되는 손잡이는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뚜껑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어 뚜껑 세척시 돌출된 손잡이로 인해 뚜껑을 깨끗하게 세척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조리용기 뚜껑에 설치된 손잡이의 돌출구조로 인해 조리 용기를 싱크대 수납장에 수납하는 경우에 있어서 뚜껑 손잡이 때문에 비교적 큰 수납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효율적인 수납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이는 제품의 포장시에도 패키지의 부피를 크게 하는 단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물론, 수납 공간을 축소하거나 포장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손잡이 부분이 아래를 향하도록 뚜껑을 뒤집은 상태로 수납하거나 포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프라이팬과 같이 높이가 낮은 조리용기의 조리면에 손잡이 끝단이 접촉될 수 있어 손잡이 끝단에 의해 조리면이 손상될 수 있게 되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손잡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을 용이하게 하고 포장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는 후술하는 특허문헌에 각각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기재된 각각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는 대부분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KR 20-0348530 Y1 KR 10-2012-0046135 A KR 10-2014-0013558 A KR 10-2014-0013559 A KR 10-1215123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조리용기의 뚜껑에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몸체와 증기 배출기를 분리할 수 있어 손잡이 조립부위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고 수납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조리시 쉽게 오염되고 세척이 어려운 부분을 분할함으로써 세척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이 미려하고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서로 분리되지 않음은 물론 통상의 체결 공구를 통해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몸체와; 조리용기로부터 올라오는 증기가 배출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저면에 고정되는 증기 배출기와; 뚜껑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증기 배출기가 수용되고 중앙 부분에는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관통공이 구비된 받침부재와; 상기 뚜껑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증기 배출기에 연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외측단의 마찰편이 상기 받침부재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와 증기 배출기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마찰부재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마찰부재를 전후 이동시키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저면에 상기 증기 배출기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일측에 상기 마찰부재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의 측면에 상기 누름부재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에 따르면, 상기 삽입구멍이 형성된 몸체의 측부에 상기 누름부재가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되지 않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에 따르면, 상기 증기 배출기는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부판과 그 중앙에서 상향 돌출되고 상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와, 일측은 상기 증기 배출구에 연통하고 타측은 상기 중앙 돌출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판에서 상향 돌출된 측면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뚜껑의 구멍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며 뚜껑의 상면에 밀착되는 바디와, 상기 뚜껑의 구멍에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의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증기 배출기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외벽부와, 상기 증기 배출기의 하부판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끼움홈에 대응하도록 상기 외벽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뚜껑의 구멍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며 뚜껑의 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상기 뚜껑의 구멍에 삽입된 상기 받침부재의 돌출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밀착판의 중앙에서 돌출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상기 증기 배출기의 중앙 돌출부에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체결 공구가 삽입되도록 육각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에 따르면,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받침부재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일측이 곡면으로 형성된 마찰편과, 상기 누름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가 돌출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마찰편의 내측과 상부판을 연결하는 수직판과,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조리용기의 뚜껑에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몸체와 증기 배출기를 분리할 수 있어 손잡이 조립부위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고 조리용기의 뚜껑 수납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에 따르면, 조리시 쉽게 오염되고 세척이 어려운 부분을 분할함으로써 세척이 용이하고 몸체와 증기 배출기를 받침부재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시키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에 따르면,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마찰편이 받침부재의 외벽부 내측을 가압하게 되므로 누름부재를 누르지 않는 한 몸체와 증기 배출기가 회전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뚜껑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몸체 및 증기 배출기가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에 따르면, 증기 배출기의 중앙 돌출부와 측면 돌출부에 의해 증기 배출로가 형성되고 측면 돌출부의 끝단에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증기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오는 고온의 증기로 인한 피해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에 따르면, 고정부재에 구비된 체결부에 형성된 관통홀이 육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육각 구조를 갖는 공기의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부재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가 도시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를 저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의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뚜껑 손잡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뚜껑 손잡이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가 오목한 사발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10)와; 조리용기로부터 올라오는 증기가 배출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증기 배출구(25)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증기 배출기(20)와; 뚜껑(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증기 배출기(20)가 수용되고 중앙 부분에는 내주면에 나사부(36)가 형성된 관통공(35)이 구비된 받침부재(30)와; 상기 뚜껑(10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재(30)에 체결되며 상기 증기 배출기(20)에 연통하는 관통홀(45)이 구비된 고정부재(4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55)의 탄성에 의해 외측단의 마찰편(51)이 상기 받침부재(30)의 내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상기 몸체(10)와 증기 배출기(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마찰부재(5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마찰부재(50)를 전후 이동시키는 누름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0)는 그 저면에 상기 증기 배출기(20)가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장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11)의 일측에는 상기 마찰부재(50)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용부(1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상기 누름부재(60)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삽입구멍(13)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재(60)가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구멍(13)이 형성된 몸체(10)의 외측부에는 오목부(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증기 배출기(20)는 상기 받침부재(30)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부판(21)과 그 중앙에서 상향 돌출되고 상면에 나사구멍(22')이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22)와, 일측은 상기 증기 배출구(25)에 연통하고 타측은 상기 중앙 돌출부(22)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판(21)에서 상향 돌출된 측면 돌출부(2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 돌출부(22)와 측면 돌출부(23)로 이루어진 증기 배출로를 따라 증기가 이동하여 상기 증기 배출구(25)로 배출된다.
또, 상기 받침부재(30)는 상기 뚜껑(100)의 구멍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며 뚜껑(100)의 상면에 밀착되는 바디(31)와, 상기 뚜껑(100)의 구멍에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31)의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공공(35)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돌출부(32)와, 상기 증기 배출기(20)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상기 바디(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외벽부(33)와, 상기 증기 배출기(20)의 하부판(21)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끼움홈(24)에 대응하도록 상기 외벽부(33)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증기 배출기(20)에 한 쌍의 끼움홈(24)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30)에 걸림턱(34)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증기 배출기(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받침부재(30)에 결합시킬 수 있고, 결합된 증기 배출기(20)를 회전시켜 상기 증기 배출기(20)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34)의 하부에는 각각 수분 배출공(37)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31)의 상측에 남아 있는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 배출공(37)은 상기 바디(3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그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반드시 상기 걸림턱(34)의 하부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뚜껑(100)의 구멍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며 뚜껑(100)의 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41)과, 상기 뚜껑(100)의 구멍에 삽입된 상기 받침부재(30)의 돌출부(32)에 체결되도록 상기 밀착판(41)의 중앙에서 돌출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상기 증기 배출기(20)의 중앙 돌출부(22)에 연통하는 상기 관통홀(45)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부(43)가 형성된 체결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홀(45)을 통해 배출되는 증기가 상기 증기 배출(20)기의 중앙 돌출부(22)와 측면 돌출부(23)를 거쳐 증기 배출구(25)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0)에 형성되는 관통홀(45)은 육각 렌치 등의 체결 공구가 삽입되도록 육각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부분의 체결 공구가 힘의 원활한 전달을 위하여 육각 단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마찰부재(50)는 상기 받침부재(3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일측이 곡면으로 형성된 마찰편(51)과, 상기 누름부재(60)에 형성된 구멍(65)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52')가 돌출 형성된 상부판(52)과, 상기 마찰편(51)의 내측과 상부판(52)을 연결하는 수직판(53)과, 상기 스프링(55)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판(53)에서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대(54)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는 조리용기의 뚜껑에 설치되며, 누름부재를 누르지 않으면 몸체와 증기 배출기가 받침부재에 고정되어 몸체를 잡고 뚜껑을 들어올릴 수 있고, 누름부재를 누른 상태에서 몸체를 회전시키면 몸체와 증기 배출기가 받침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세척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몸체와 증기 배출기를 별도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뚜껑의 수납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뚜껑(100)의 상부에 받침부재(30)를 위치시킨 후 상기 뚜껑(100)의 구멍에 받침부재(30)의 돌출부(32)를 삽입한다. 그리고, 뚜껑(100)의 하부에 고정부재(40)를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40)의 체결부(42)를 뚜껑(100)의 구멍으로 삽입하여 상기 체결부(42)가 받침부재(30)의 돌출부(32)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0)의 체결부(42)에 형성된 관통홀(45)이 육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육각 단면을 갖는 통상의 체결 공구를 이용하면 상기 고정부재(40)를 받침부재(3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후, 몸체(10)의 오목부(14)에 형성된 삽입구멍(13)에 누름부재(60)를 삽입하고, 상기 몸체(10)의 수용부(20)에 마찰부재(5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재(60)의 구멍(65)에 마찰부재(50)의 결합돌기(52')를 삽입시킴으로써 누름부재(60)와 마찰부재(50)가 일체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마찰부재(50)의 스프링 고정대(54)에 스프링(55)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마찰부재(50)에 스프링(55)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증기 배출기(20)를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홈(11)에 삽입하고, 상기 증기 배출기(20)의 중앙 돌출부(22)에 형성된 구멍(22')을 통해 체결나사를 삽입하여 몸체(1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증기 배출기(20)와 몸체(10)가 일체화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증기 배출기(20)의 하부판(21)은 상기 마찰부재(50)의 저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마찰부재(50)가 누름부재(6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재(60)를 눌러 스프링(55)을 압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증기 배출기(20)의 끼움홈(24)에 받침부재(30)의 걸림턱(34)이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10)와 증기 배출기(20)를 하향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증기 배출기(20)의 하부판(21)이 받침부재(30)의 바디(31)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몸체(10)와 증기 배출기(20)를 일정 정도 회전시킴으로써 받침부재(3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회전이 끝나면 상기 누름부재(60)를 놓아줌으로써 결합을 완료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증기 배출기(20)와 몸체(10)가 받침부재(30)에 결합되면, 상기 몸체(10)를 파지하여 뚜껑(100)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55)의 탄성력에 의해 마찰부재(50)의 마찰편(51)이 받침부재(30)의 외벽부(33) 내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누름부재(60)를 누르지 않는 한 상기 증기 배출기(20)와 몸체(10)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기 배출기(20)와 몸체(10)가 받침부재(3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뚜껑(100)의 세척 등을 위하여 상기 증기 배출기(20)와 몸체(1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누름부재(60)를 눌러 줌으로써 상기 마찰편(51)이 받침부재(30)의 외벽부(33) 내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증기 배출기(20)와 몸체(10)를 회전시켜 상기 끼움홈(24)과 걸림턱(34)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들어올리면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몸체
11...장착홈
12...수용부
13..삽입구멍
14...오목부
20...증기 배출기
21...하부판
22...중앙 돌출부
23...측면 돌출부
24...끼움홈
25....증기 배출구
30...받침부재
31...바디
32...돌출부
33...외벽부
34...걸림턱
35...관통공
36...나사부
37...수분 배출공
40...고정부재
41...밀착판
42...체결부
43...나사부
45...관통홀
50...마찰부재
51..마찰편
52..상부판
52'...결합돌기
53..수직판
54...스프링 고정대
55...스프링
60...누름부재
65...구멍
100...뚜껑

Claims (8)

  1. 상면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몸체(10)와;
    조리용기로부터 올라오는 증기가 배출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증기 배출구(25)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증기 배출기(20)와;
    뚜껑(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증기 배출기(20)가 수용되고 중앙 부분에는 내주면에 나사부(36)가 형성된 관통공(35)이 구비된 받침부재(30)와;
    상기 뚜껑(10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재(30)에 체결되며 상기 증기 배출기(25)에 연통하는 관통홀(45)이 구비된 고정부재(4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55)의 탄성에 의해 외측단의 마찰편(51)이 상기 받침부재(30)의 내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상기 몸체(10)와 증기 배출기(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마찰부재(5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마찰부재(50)를 전후 이동시키는 누름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50)는 상기 받침부재(3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일측이 곡면으로 형성된 마찰편(51)과, 상기 누름부재(60)에 형성된 구멍(65)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52')가 돌출 형성된 상부판(52)과, 상기 마찰편(51)의 내측과 상부판(52)을 연결하는 수직판(53)과, 상기 스프링(55)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판(53)에서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대(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상기 증기 배출기(20)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장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11)의 일측에 상기 마찰부재(50)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용부(1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상기 누름부재(60)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삽입구멍(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멍(13)이 형성된 몸체(10)의 외측부에 상기 누름부재(60)가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되지 않도록 오목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기(20)는 상기 받침부재(30)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부판(21)과 그 중앙에서 상향 돌출되고 상면에 나사구멍(22')이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22)와, 일측은 상기 증기 배출구(25)에 연통하고 타측은 상기 중앙 돌출부(22)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판(21)에서 상향 돌출된 측면 돌출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30)는 상기 뚜껑(100)의 구멍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며 뚜껑(100)의 상면에 밀착되는 바디(31)와, 상기 뚜껑(100)의 구멍에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31)의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5)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돌출부(32)와, 상기 증기 배출기(20)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상기 바디(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외벽부(33)와, 상기 증기 배출기(20)의 하부판(21)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끼움홈(24)에 대응하도록 상기 외벽부(33)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뚜껑(100)의 구멍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며 뚜껑(100)의 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41)과, 상기 뚜껑(100)의 구멍에 삽입된 상기 받침부재(30)의 돌출부(32)에 체결되도록 상기 밀착판(41)의 중앙에서 돌출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나사부(43)가 형성된 체결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에 형성되는 관통홀(45)은 체결 공구가 삽입되도록 육각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8. 삭제
KR1020150132052A 2015-09-18 2015-09-18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KR101709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052A KR101709015B1 (ko) 2015-09-18 2015-09-18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052A KR101709015B1 (ko) 2015-09-18 2015-09-18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015B1 true KR101709015B1 (ko) 2017-02-21

Family

ID=5831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052A KR101709015B1 (ko) 2015-09-18 2015-09-18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0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739B1 (ko) * 2021-01-27 2021-06-07 (주)드림셰프 조리기구
WO2021179594A1 (zh) * 2020-03-09 2021-09-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饭煲的控制方法及装置、电饭煲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530Y1 (ko) 2004-01-26 2004-04-28 최철호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KR20120046135A (ko) 2012-03-26 2012-05-09 우경식 탈착 식 조리용기 뚜껑 손잡이
KR101215123B1 (ko) 2012-06-18 2012-12-24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20140013558A (ko) 2012-07-25 2014-02-05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20140013559A (ko) 2012-07-25 2014-02-05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101397283B1 (ko) * 2013-04-05 2014-05-20 진우 이 용기 뚜껑
KR101401411B1 (ko) * 2012-08-31 2014-05-30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KR101499112B1 (ko) * 2014-02-24 2015-03-11 양원준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530Y1 (ko) 2004-01-26 2004-04-28 최철호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KR20120046135A (ko) 2012-03-26 2012-05-09 우경식 탈착 식 조리용기 뚜껑 손잡이
KR101215123B1 (ko) 2012-06-18 2012-12-24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20140013558A (ko) 2012-07-25 2014-02-05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20140013559A (ko) 2012-07-25 2014-02-05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101401411B1 (ko) * 2012-08-31 2014-05-30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KR101397283B1 (ko) * 2013-04-05 2014-05-20 진우 이 용기 뚜껑
KR101499112B1 (ko) * 2014-02-24 2015-03-11 양원준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9594A1 (zh) * 2020-03-09 2021-09-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饭煲的控制方法及装置、电饭煲
KR102260739B1 (ko) * 2021-01-27 2021-06-07 (주)드림셰프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12509A1 (en) Safety and guide type brewing kettle
KR101499112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KR101709015B1 (ko)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KR101215123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JP2015527143A (ja) 容器に載置するキッチン用具、キッチン用具とさまざまな機能的ユニットとを備えたキッチン用具セット
KR101379754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101558995B1 (ko) 착탈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101388807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KR200348530Y1 (ko)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KR101379755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20170039330A (ko) 조리용기용 뚜껑
US10729269B2 (en) Drip-stop attachment for a food processing device
WO2012150496A9 (en) A controlled emptying kitchen saucepan
CN209753617U (zh) 一种新型容器体定位座及无把容器
KR20160003449U (ko) 조리도구 보관함
KR20190133970A (ko) 나사선을 통해 크기조절이 가능한 착탈식 냄비뚜껑
KR101181510B1 (ko) 조리용기 뚜껑
KR20190003280U (ko) 다용도 물받이 채반
KR200422659Y1 (ko) 조리기구용 손잡이 고정구조
CN209284922U (zh) 一种便于安装且结构可靠的烹饪器具
CN212140199U (zh) 锅盖和锅具
KR20060052742A (ko) 조리기구용 손잡이 고정구조
KR20110133461A (ko) 조리용기 뚜껑
KR101584190B1 (ko) 착탈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CN211093473U (zh) 一种具有活动内盖的电饭锅锅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