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530Y1 -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530Y1
KR200348530Y1 KR20-2004-0001766U KR20040001766U KR200348530Y1 KR 200348530 Y1 KR200348530 Y1 KR 200348530Y1 KR 20040001766 U KR20040001766 U KR 20040001766U KR 200348530 Y1 KR200348530 Y1 KR 200348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upling member
lid handle
vertical movemen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호
Original Assignee
최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호 filed Critical 최철호
Priority to KR20-2004-0001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5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5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4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기구의 뚜껑과 뚜껑손잡이를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뚜껑을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시켜 건조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체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 만곡부에 관통홀이 천공된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되, 하측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관체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관체 내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고정구; 상기 뚜껑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뚜껑 상부로 노출되는 상기 결합관체와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 상기 고정구의 결합관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그 하측 결합부재 주연에 복수개의 걸림구를 출입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뚜껑손잡이; 그리고, 상기 뚜껑손잡이의 하측 결합부재 주연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걸림구를 고정 또는 해제위치로 가변 이동시키는 걸림구 이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Separation and combination device of a lid handle}
본 고안은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기구의 뚜껑과 뚜껑손잡이를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뚜껑을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시켜 건조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조리기구는 음식물을 담는 용기체와 상기 용기체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분되며, 음식물의 조리시에는 용기체에 음식 재료와 양념을 넣고 뚜껑을 덮은 후, 고열 또는 저열로 일정시간 가열하여 원하는 형태의 음식물을 만들게 된다.
음식물의 조리가 끝난 후에는 용기체와 뚜껑 내부에 뭍어 있는 각종 양념들을 제거하기 위해 세제를 이용하여 철저하게 닦아낸 다음, 용기체와 뚜껑의 세재를 세척하고 용기체는 뒤집어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리기구는 비교적 협소한 장소에서 여러개의 조리기구를 세척한 후 동시에 건조 및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통상적인 조리기구의 건조 및 보관 방법은 세척이 끝난 용기체를 뒤집은 상태에서 용기체 바닥면에 뚜껑을 올려 놓고 조리기구에서 물기가 제거되도록 하고 있지만, 여러개의 조리기구를 동시에 건조 및 보관시에는 뚜껑을 뒤집어 뚜껑손잡이가 용기체 내부를 향하도록 보관한 후, 상측을 향하는 뚜껑 내면에 다른 용기체가 적층되도록 배열함으로써, 통풍성이 저하되어 용기체 내부와 뚜껑에 잔존하는물기는 제대로 건조되지 않게 되며, 또한 잘 정돈된 보관상태를 구현할 수도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리기구를 보관하게 되는 원인은 뚜껑에 결합되는 뚜껑손잡이의 형상이 통상적으로 심미감이 적용된 둥근 형태나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형태로서 상면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구성됨에 따라 뚜껑만을 별도로 분리한 후 적층시켜 건조가 불가능하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상기 뚜껑을 뒤집어 용기체에 비스듬하게 결합한 후, 건조 및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정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손잡이 상면을 편평하거나 뚜껑 외면과 동일 곡면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뚜껑과 용기체를 각각 적층시켜 건조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적층되는 뚜껑들은 뚜껑손잡이 상면이 미끄러지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매우 불안정한 상태로 적층되는 것이어서 조그만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쓰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특히 조리기구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음식점 등에서 세척 및 건조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재 사용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 일예로서 별도로 세척하지 않은 뚜껑을 이미 세척된 용기체 상측에 다시 덮어 재사용하거나 천소재로 가볍게 닦아서 사용하게 되는 등 매우 비 위생적인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리기구의 뚜껑과 뚜껑손잡이를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뚜껑을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시켜 건조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이 결합된 상태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뚜껑손잡이가 뚜껑과 분리된 후 뚜껑이 적층되어 건조 및 보관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손잡이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손잡이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구, 12: 플랜지부, 14: 결합관체, 16: 결합홈, 16a: 걸림홈, 18: 안착돌기, 30: 고정너트, 32: 안착홈, 32a: 키이홈, 40: 패킹, 50: 뚜껑손잡이, 51: 상부캡, 52: 결합부재, 52a: 나사산, 52b: 걸림공, 54: 파지부, 54a: 나사산, 54b: 단턱, 54c: 키이, 56: 걸림돌기, 58: 탄성스프링, 59: 수직이동바, 59a: 걸림돌기이동홈, 60: 누름스위치, 60a: 들림스위치, 65: 연결고리, 70: 뚜껑, 100: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용기체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 만곡부에 관통홀이 천공된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되, 하측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관체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관체 내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고정구; 상기 뚜껑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뚜껑 상부로 노출되는 상기 결합관체와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 상기 고정구의 결합관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그 하측 결합부재 주연에 복수개의 걸림구를 출입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뚜껑손잡이; 그리고, 상기 뚜껑손잡이의 하측 결합부재 주연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걸림구를 고정 또는 해제위치로 가변 이동시키는 걸림구 이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손잡이는 상부가 개방된 채 내부에 걸림구 이동수단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측 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 상측에 나사 결합되며 중앙에 수직이동홀이 관통된 파지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구 이동수단은 결합부재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에 탄지되고 그 상측은 파지부 외측으로 돌출 구성되며 외면에는 걸림돌기이동홈이 형성된 수직이동바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의 걸림돌기는 상기 수직이동바의 상하 이동에 따라 걸림돌기이동홈에 걸림되어 출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에는 중앙에 관통공이 천공되어 수직이동바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부캡이 결합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이 결합된 상태의 작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뚜껑손잡이가 뚜껑과 분리된 후 뚜껑이 적층되어 건조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100)는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제조되어 용기체 상부를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뚜껑의 관통홀(72)에 설치된다.
상기 뚜껑손잡이 착탈장치(100)는 뚜껑의 관통홀(72)에 끼워지는 고정구(10)와 상기 고정구(10)가 뚜껑(70)과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되는 고정너트(30)와 상기 고정구(10)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뚜껑손잡이(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10)는 하측에 플랜지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2) 저면에는 안착돌기(18)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고정구(10)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관체(14)가 플랜지부(12)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관체(14) 내부에는 일정깊이를 갖는 결합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이같은 결합홈(16) 내주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띠형의 걸림홈(1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홈(16a)은 결합홈(16)내주면에 너무 깊지 않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10)를 뚜껑에 끼움시에는 고정구의 플랜지부(12) 상면과 뚜껑(70) 사이에 얇은 시트형태의 패킹(40)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구(10)의 결합관체(14)가 뚜껑(70)의 관통홀(72)을 통과하여 결합된 상태에서는 노출된 결합관체(14)의 나사산에 고정너트(30)가 체결됨으로써, 고정구(10)를 뚜껑(7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너트(30)의 상면에는 안착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2) 주연부에는 키이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32)은 고정너트(30)의 상면에 고정구의 결합관체(14) 외면보다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너트(30)가 고정구의 결합관체(14)에 체결되어 뚜껑(70)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뚜껑손잡이(50)가 결합되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뚜껑손잡이(50)를 분리하여 여러개의 뚜껑(70)을 동시에 적층시켜 건조 및 배열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뚜껑손잡이(50)는 고정구의 결합홈(16)에 착탈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결합부재(52)와, 상기 결합부재(52) 상측에 결합되는 파지부(54)와, 상기 결합부재(52)와 파지부(54) 내측에 설치되는 걸림구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재(52)는 고정구의 결합홈(16) 내주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52) 보다 조금 적은 직경으로 구성되고, 외면 상측에는 나사산(5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산(52b) 하측에는 복수개의 걸림공(5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공(52a)에는 볼 형상의 걸림돌기(56)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끼워지며, 상기 걸림돌기(56)가 끼워진 상태에서 일부분이 결합부재(52)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재(52)의 상측에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구성된 파지부(54)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54)는 그 하측에 결합부재(52)의 나사산(52b)과 결합되도록 나사산(54a)이 형성되고, 하단 외경이 결합부재(5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결합부재(52)와 파지부(54) 사이에 단턱(54b)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54)의 하단에는 고정너트의 키이홈(32a)과 결합되어 결합부재(52)가 고정구의 결합홈(16)에 끼워진 후 자유 회전되지 않도록 주연부에 키이(54c)가 돌설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부(54)의 하단 직경은 고정너트의 안착홈(32)과 동일 또는 조금 적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부드럽게 슬라이딩 되며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뚜껑손잡이(50)가 고정구(10)에 결합될 때에는 결합부재(52)가 고정구의 결합홈(16)에 삽입되면서 파지부의 단턱(54b)이 고정너트의 안착홈(32)에 안착되어 뚜껑손잡이(50)는 더이상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56)는 결합부재(52)가 결합홈(16)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56)가 결합홈(16) 내주면 보다 돌출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52)가 결합홈(16)에 걸림되어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부재(52)와 파지부(54) 내측에는 축방향으로 통로 형상의 수직이동홀(C)이 걸림공(52a)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직이동홀(C)에는 걸림구 이동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걸림구 이동수단이 걸림돌기(56)를 탄지하여 외압이 가해지는 경우 결합부재(52) 내측으로 밀려들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같은 걸림구 이동수단은 결합부재(52) 내측으로 수직 설치되는 탄성스프링(58)과, 상기 탄성스프링(58)에 하단이 끼워지고 그 상측은 파지부(54) 외측으로 돌출 구성되며 외면에는 걸림돌기이동홈(59a)이 형성된 수직이동바(59)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스프링(58)은 결합부재(52) 내측 저면에 수직 설치되며, 상기 탄성스프링(58) 상측에는 수직이동바(59)의 하단이 탄성스프링(58) 내측에 끼워지거나 밀착되고, 상단은 파지부(54) 상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56)는 외압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수직이동바(59)에 의해 지지되어 결합부재(52) 외면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파지부(54)에 돌출된 수직이동바(59)를 누르게 되면, 상기 수직이동바(59)는 탄성스프링(58)을 가압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직이동바(59)의 외면에는 수직한 장공으로 형성된 걸림돌기이동홈(59a)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이동바(59)가 하측으로 이동시 걸림돌기(56)는 걸림돌기이동홈(59a)으로 이동되어 상기 뚜껑손잡이(50)는 고정구(10)와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56)는 수직이동바(59) 상측에서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수직이동바(59)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탄성스프링(58)을 가압하여 상기 수직이동바는 걸림돌기(56)를 외측으로 더이상 지지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수직이동바(59)의 상측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스프링(58)의 복원력을 통해 수직이동바(59)가 원위치하면서 걸림돌기이동홈(59a)으로 이동된 걸림돌기(56)가걸림공(52b) 외측으로 밀려지면서 원위치하게 되며, 상기 걸림돌기(56)는 결합홈의 걸림홈(16a)에 끼워져 상기 뚜껑손잡이(50)와 고정구(10)가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이동홈(59a)과 걸림돌기(56) 중심까지의 거리는 결합홈(16) 내면과 결합부재(52) 사이의 거리에 1/2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56)가 걸림공(52b)에 항상 일부분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원리를 통해 상기 뚜껑손잡이(50)는 고정구(10)와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세척이 끝난 뚜껑(70)을 쉽게 적층시켜 건조 및 배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뚜껑(70)을 적층시켜 건조 및 배열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너트의 안착홈(32)에 적층되는 고정구의 안착돌기(18)가 끼워져 여러개의 뚜껑(70)은 적층이 가능하게 되며, 뚜껑(70)이 적층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뚜껑(70) 사이에 뚜껑(70)과 고정구의 안착돌기(18) 상단만큼 이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이격공간을 통해 통풍기능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뚜껑(70)을 적층시키게 되면, 뚜껑(70)이 마치 잘 정돈된 탑과 같은 형태로 적층되어 있어 배열에 따른 심미감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뚜껑 손잡이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결합부재(52)와 파지부(54)와 걸림구 이동수단으로 구분 조립되는 뚜껑손잡이(50)의 구조에서결합부재(52)와 걸림구 이동수단을 하나의 독립적인 구성요소로 조립하고, 파지부(54)를 결합하여 조립성이 우수하면서도 파지부(54)의 교체가 용이하며, 상기 수직이동바(59)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구 이동수단의 결합부재(52) 상측에는 수직이동바(59)의 상단이 노출되도록 관통공(51a)이 형성된 상부캡(51)을 나사 결합한다. 상기 수직이동바(59)의 상단에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결합부재(52)에 파지부(54)를 결합한 후, 나사산에 누름스위치(60)를 파지부(54)의 공간부(C) 상측에서 끼워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52) 상측에 상부캡(51)을 결합하게 되면, 상기 상부캡(51)의 결합을 통해 조립성이 우수하면서도 파지부(54)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며, 동시에 상부캡(51)이 수직이동바(59)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수직이동바(59)는 결합부재(52) 내측에서만 제한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뚜껑 손잡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손잡이 내측에 설치되는 걸림구 이동수단을 파지부(54) 상측에서 당기게 되면, 상기 수직이동바(59)가 상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돌기(56)를 결합부재(52) 내외측으로 이동시켜 뚜껑손잡이(50)를 고정구(10)에서 분리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뚜껑손잡이(50) 내측에 설치된 수직이동바(59)에 탄성스프링(58)을 결합하고, 상기 수직이동바(59) 상측을 파지부(54) 상면으로 노출되게 형성한 다음, 연결고리(65)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연결고리(65)를 당길 경우 상기 수직이동바(59)는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탄성스프링(58)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이동바(59)의 하단에는 걸림돌기(56)가 걸림돌기이동홈(59a)으로 이동하여 수직이동바(59)는 원할하게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이동바(59)는 탄성스프링(58)을 가압하지 않을 경우 수직이동바(59)의 하측이 걸림돌기(56) 내측을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56)는 항상 걸림부(52)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뚜껑손잡이(50)가 고정구(10)와 견고히 결합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뚜껑손잡이(50)를 누르게 되면, 뚜껑손잡이(50)는 고정구(10)에서 분리됨으로써 원터치 형식으로 편리하게 착탈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파지부(54) 상측에서 연결고리(65)를 당겨 뚜껑손잡이(50)를 고정구(10)에서 분리하는 방법 이외에도 본 고안의 뚜껑손잡이(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54) 상면에 수직이동바(59) 상단을 중심으로 상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한쌍의 돌기(54d)를 각각 구성한다. 상기 수직이동바(59) 상단에는 저면에 경사면(미부호)이 형성된 들림스위치(60a)를 결합하여 들림스위치(6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하게 되면, 상기 들림스위치(60a)는 돌기(54d)의 경사면을 타고 회전되면서 수직이동바(59)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걸림돌기(56)를 결합부재(52) 내외측으로 출입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는 조리기구의 뚜껑과 뚜껑손잡이를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뚜껑을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시켜 건조 및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뚜껑손잡이의 분리를 통해 세재찌꺼기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매우 청결한 상태의 뚜껑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겠다.

Claims (4)

  1. 용기체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 만곡부에 관통홀이 천공된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되, 하측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관체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관체 내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고정구;
    상기 뚜껑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뚜껑 상부로 노출되는 상기 결합관체와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
    상기 고정구의 결합관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그 하측 결합부재 주연에 복수개의 걸림구가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뚜껑손잡이; 그리고,
    상기 뚜껑손잡이의 하측 결합부재 주연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걸림구를 고정 또는 해제위치로 가변 이동시키는 걸림구 이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손잡이는 상부가 개방된 채 내부에 걸림구 이동수단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측 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 상측에 나사 결합되며 중앙에 수직이동홀이 관통된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 이동수단은 결합부재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에 탄지되고 그 상측은 파지부 외측으로 돌출 구성되며 외면에는 걸림돌기이동홈이 형성된 수직이동바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의 걸림돌기는 상기 수직이동바의 상하 이동에 따라 걸림돌기이동홈에 걸림되어 출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중앙에 관통공이 천공되어 수직이동바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부캡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KR20-2004-0001766U 2004-01-26 2004-01-26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KR200348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766U KR200348530Y1 (ko) 2004-01-26 2004-01-26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766U KR200348530Y1 (ko) 2004-01-26 2004-01-26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530Y1 true KR200348530Y1 (ko) 2004-04-28

Family

ID=4934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766U KR200348530Y1 (ko) 2004-01-26 2004-01-26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53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755B1 (ko) 2012-07-25 2014-03-31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101388807B1 (ko) 2014-02-14 2014-04-23 양원준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KR101401411B1 (ko) * 2012-08-31 2014-05-30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KR101499112B1 (ko) * 2014-02-24 2015-03-11 양원준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KR200481197Y1 (ko) * 2016-06-01 2016-08-26 박량호 조리용기 뚜껑
KR101709015B1 (ko) 2015-09-18 2017-02-21 양원준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KR102122680B1 (ko) * 2019-06-07 2020-06-12 김화옥 금속재 뚜껑이 구비된 조리용기
CN112853684A (zh) * 2019-11-26 2021-05-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压盖及洗衣机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755B1 (ko) 2012-07-25 2014-03-31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101401411B1 (ko) * 2012-08-31 2014-05-30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KR101388807B1 (ko) 2014-02-14 2014-04-23 양원준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KR101499112B1 (ko) * 2014-02-24 2015-03-11 양원준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KR101709015B1 (ko) 2015-09-18 2017-02-21 양원준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KR200481197Y1 (ko) * 2016-06-01 2016-08-26 박량호 조리용기 뚜껑
KR102122680B1 (ko) * 2019-06-07 2020-06-12 김화옥 금속재 뚜껑이 구비된 조리용기
CN112853684A (zh) * 2019-11-26 2021-05-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压盖及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3298A (en) Dual-function filter type pot cover
KR200348530Y1 (ko)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KR101499112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US20040069154A1 (en) Universal pan lid absorbing and filtering steam and smell
JP2017225809A (ja) 取外し可能な取っ手を有する台所器具
KR101379754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101215123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JP3112196U (ja) 断熱飲料容器
JP6235352B2 (ja) 食品保温容器
KR101709015B1 (ko)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KR101379755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200454958Y1 (ko) 양면 후라이팬
CN210020461U (zh) 一种筷子消毒器
KR101452153B1 (ko) 주방용 조리기구
KR200344671Y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착 손잡이
KR200238404Y1 (ko) 가스와 버너의 수납기능을 갖는 코펠
CN104490214A (zh) 一种小型筷子收纳筒
CN216090232U (zh) 一种可拆式足浴桶
CN204306665U (zh) 锅盖可立的汤锅
CN211093473U (zh) 一种具有活动内盖的电饭锅锅盖
KR200199929Y1 (ko) 적층가능한 냄비
KR200495571Y1 (ko) 욕실용 코너 선반
JP2007085107A (ja) 排水栓用ケレップ軸構造
JP3200100U (ja) 飲料容器
KR102141250B1 (ko) 접이용 뚜껑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