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461A - 조리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461A
KR20110133461A KR1020110124743A KR20110124743A KR20110133461A KR 20110133461 A KR20110133461 A KR 20110133461A KR 1020110124743 A KR1020110124743 A KR 1020110124743A KR 20110124743 A KR20110124743 A KR 20110124743A KR 20110133461 A KR20110133461 A KR 20110133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id
coupling
cooking vessel
li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512B1 (ko
Inventor
연명흠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24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51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조리용기의 크기, 즉 뚜껑의 크기에 따라 손잡이의 결합위치를 달리하여 하나의 손잡이를 여러 개의 뚜껑에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을 용이하게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뚜껑 본체와 손잡이의 사이에 결합되는 밀폐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 뚜껑 {Lids of the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조리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조리용기의 크기, 즉 뚜껑의 크기에 따라 손잡이의 결합위치를 달리하여 하나의 손잡이를 여러 개의 뚜껑에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을 용이하게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찌개나 국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냄비 등의 조리용기는, 일측 또는 양측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조리가 완료되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아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끓게 되면 국물이 조리용기 밖으로 넘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조리용기 뚜껑을 열어놓고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조리용기 뚜껑은 렌지 주위의 싱크대 상에 뚜껑의 손잡이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엎어 놓게 되는데, 만약 뚜껑의 손잡이를 상부로 위치하도록 엎어놓게 되면 뚜껑 내면에 서려있는 수증기 또는 양념 등이 묻어있는 국물이 싱크대 상으로 흘러 내려 싱크대 주변을 지저분하게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리 중에 열어놓은 뚜껑에 의해 사용자가 조리 도중 화상을 입을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을 상기와 같이 열어 놓게 되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용기의 뚜껑을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의 구성이 다수 출원되고 있는데, 이러한 구성들은 모두 뚜껑과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의 파손시 뚜껑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조리용기를 보관하는 경우 뚜껑에 결합된 손잡이로 인해 각각의 조리용기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므로 조리용기의 보관에 많은 공간을 할애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의 크기, 즉 뚜껑의 크기와 무관하게 1개의 손잡이를 착탈식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조리용기와 뚜껑의 보관이 용이하고, 뚜껑 본체나 손잡이의 파손이나 재구매시, 손잡이 또는 뚜껑 본체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조리용기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의 조리 중에 열어놓은 뚜껑을 좁은 장소에 세워둘 수 있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취급이 편리하고, 세워둔 뚜껑에서 물방울이나 국물 등이 흘러 내려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는 조리용기 뚜껑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결합공이 형성된 뚜껑 본체와, 상기 결합공을 통해 뚜껑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파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뚜껑 본체의 테두리 한 점으로부터 상기 파지부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하여 뚜껑 본체의 중심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단부에는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에는 손잡이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측 단부 내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끼움 결합되는 착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에는 착탈부재가 걸림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조작하는 조작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에 의하면, 조리용기의 크기, 즉 뚜껑의 크기와 무관하게 1개의 손잡이를 착탈식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조리용기와 뚜껑의 보관이 용이하고, 조리용기와 뚜껑의 보관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뚜껑 본체나 손잡이의 파손시, 손잡이 또는 뚜껑 본체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재구매를 위한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의 조리 중에 열어놓은 뚜껑을 좁은 장소에 세워둘 수 있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취급이 편리하고, 세워둔 뚜껑에서 물방울이나 국물 등이 흘러 내려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3의 (a)~(c)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적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의 (a)~(c)는 도 3의 (a)~(c)에 나타낸 본 발명을 세워놓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의 (a)~(d)는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양한 적용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의 (a),(b)는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결합부재와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의 (a),(b)는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결합부재와 손잡이의 착탈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중 손잡이를 분리하여 뚜껑 본체를 보관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의 (a)~(c)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적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의 (a)~(c)는 도 3의 (a)~(c)에 나타낸 본 발명을 세워놓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의 (a)~(d)는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양한 적용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의 (a),(b)는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결합부재와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의 (a),(b)는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결합부재와 손잡이의 착탈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중 손잡이를 분리하여 뚜껑 본체를 보관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뚜껑(100,200)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120,220)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조리용기 몸체(10)의 크기, 즉 뚜껑(100,200)의 크기에 따라 손잡이(120,220)의 결합위치를 달리하여 하나의 손잡이(120,220)를 여러 개의 뚜껑(100,200)에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100,200)을 용이하게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 뚜껑(100,2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 본체(110)와 손잡이(120) 및 밀폐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뚜껑 본체(110)는 조리용기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방된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외부와의 유통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뚜껑 본체(110)에는 손잡이(120)가 결합되는 결합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공(112)은 조리용기의 크기 즉, 뚜껑 본체(110)의 크기에 따라 그 형성 위치가 달라지는데, 이는 뚜껑 본체(110)의 크기에 상관없이 하나의 손잡이(120)를 다수 개의 뚜껑(100)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 본체(110)는 내열 유리, 내열 자기, 내열 플라스틱, 금속 등의 내열 재질로 형성되는데, 최근에는 사용자가 조리용기 몸체(10) 내부의 조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열 유리로 이루어진 뚜껑 본체(110)를 많이 사용한다. 또한, 상기 뚜껑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내열 실리콘 재질의 패킹(116)이 결합되어 뚜껑 본체(110)를 조리용기 몸체(10)의 상부에 덮는 경우 외부와의 유통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손잡이(120)는 뚜껑 본체(11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뚜껑 본체(1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하겠지만 상기 손잡이(120)는 뚜껑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20)는 결합부(122)와 파지부(124)로 구성되는데, 상기 결합부(122)는 손잡이(120)를 뚜껑 본체(11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손잡이(1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124)는 결합부(122)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10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파지부(124)의 단부에는 지지부(126)가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126)는 도 4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100)을 수직방향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뚜껑(100)을 보다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파지부(124)보다 그 폭이 넓게 형성되어 지면과 닿는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체적인 손잡이(120)의 외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밀폐부재(130)는 뚜껑 본체(110)와 손잡이(120)의 사이에 결합되어 결합부(122)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뚜껑 본체(110)와 손잡이(12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밀폐부재(130)의 중앙부에는 손잡이(120)의 결합부(122)가 관통되는 관통홀(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폐부재(130)는 연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밀폐부재(130)가 손잡이(120)가 결합되는 뚜껑 본체(110)의 결합공(112)에 압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공(112)과 손잡이(120)의 사이를 보다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폐부재(130)의 압착력에 의해 결합공(112)과 손잡이(12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뚜껑 본체(110)와 손잡이(120) 및 밀폐부재(130)의 결합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밀폐부재(13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132)의 내측으로 손잡이(120)의 결합부(122)를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관통홀(132)의 직경은 손잡이(120) 결합부(1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지만 밀폐부재(130)가 연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므로 탄성에 의해 손잡이(120)의 결합부(122)를 관통홀(132)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할 수 있게 되고, 손잡이(120)의 결합 후 관통홀(132)의 내측면은 손잡이(120)의 결합부(122) 외측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손잡이(120)와 밀폐부재(130)의 관통홀(132) 사이는 완벽하게 밀폐된다.
그 후, 밀폐부재(130)가 결합된 손잡이(120)의 결합부(122)를 뚜껑 본체(110)에 형성된 결합공(112)에 결합시키는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12)에는 결합홈(112a)이 형성되고, 손잡이(120)의 결합부(122)에는 결합홈(112a)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122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22a)가 결합홈(112a)에 끼움 결합되도록 위치시킨 후, 손잡이(120) 및 밀폐부재(130)를 상부로부터 가압하여 상기 결합돌기(122a)가 결합홈(112a)을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122a)가 결합공(112)에 걸리게 됨으로써 뚜껑 본체(110)에 결합되고, 연질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밀폐부재(130)는 손잡이(120)의 회전에 의해 뚜껑 본체(110)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어 뚜껑 본체(110)와 손잡이(120) 및 밀폐부재(130)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뚜껑 본체(110)와 밀폐부재(130)에는 각각 위치확인표시부(114)(134)가 형성되어 뚜껑 본체(110)에 손잡이(12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밀폐부재(130)가 끼움 결합된 손잡이(120)를 뚜껑 본체(110)의 결합공(112)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뚜껑 본체(110)와 밀폐부재(130)에 형성된 위치확인표시부(114)(134)를 맞춤으로써 결합공(112)에 형성된 결합홈(112a)에 손잡이(120)의 결합돌기(122a)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게 되고, 손잡이(120)를 뚜껑 본체(1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뚜껑 본체(110)와 밀폐부재(130)에 형성된 위치확인표시부(114)(134)가 일치하도록 손잡이(120)를 회전시키면 용이하게 손잡이(120)를 뚜껑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리용기의 사용 도중 상기 밀폐부재(130)가 회동되면 뚜껑 본체(110)와 밀폐부재(130)에 각각 형성된 위치확인표시부(114)(134)의 위치가 정확히 맞지 않을 수 있으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20)의 상부에도 위치확인표시부(128)를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120)의 결합 및 분리 위치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뚜껑 본체(110)에 형성되는 위치확인표시부(114)는 인쇄에 의해 형성되고, 밀폐부재(130) 및 손잡이(120)에 각각 형성되는 위치확인표시부(134)(128)는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120)는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주방용기의 크기 즉, 뚜껑 본체(110)의 크기에 상관없이 하나의 손잡이(120)를 여러 개의 뚜껑(100)에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도 4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기가 서로 다른 뚜껑(100)을 수직으로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뚜껑 본체(110)에 형성되는 결합공(112)의 위치를 뚜껑 본체(110)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야 한다.
즉, 뚜껑(100)을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손잡이(120) 파지부(124)의 길이와 뚜껑 본체(110)의 테두리 한 점으로부터 뚜껑 본체(110)의 중심을 지나 결합공(112)에 이르는 길이가 거의 동일하도록 하여 결합공(112)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손잡이(120)를 가지고 여러 개의 뚜껑(100)에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뚜껑(100)의 크기와 상관없이 손잡이(120)의 지지부(126)를 이용하여 뚜껑(100)을 수직으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뚜껑 본체(110)에 형성되는 결합공(112)은 뚜껑 본체(110)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한 점을 기준으로 하여 뚜껑 본체(110)의 중심방향으로 손잡이(120)의 파지부(124) 길이와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하여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뚜껑(100)을 하나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손잡이(120) 및 밀폐부재(130)가 뚜껑 본체(110)에 결합되는 위치는 도 3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용기 몸체(10) 및 뚜껑(1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다음,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2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뚜껑 본체(210), 결합부재(230) 및 손잡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결합공(212) 및 실리콘 재질의 패킹(216)을 포함하는 뚜껑 본체(210)의 구성 및 하나의 손잡이(220)를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뚜껑(200)에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공(212)의 형성위치를 뚜껑(200)의 크기에 따라 변경하는 구성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결합부재(230)는 뚜껑 본체(210)에 형성되는 결합공(212)을 통해 뚜껑 본체(210)에 결합되어 손잡이(220)가 뚜껑 본체(2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내측에는 손잡이(220)의 일측 단부, 즉 결합부(222)가 수용되어 안치되는 수용부(232)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32)에는 걸림돌기(234)가 돌출 형성되어 수용부(232)에 삽입된 손잡이(220)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220)는 뚜껑 본체(210)에 결합된 결합부재(230)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결합부(222), 파지부(224) 및 지지부(22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30)의 수용부(232)에 수용되는 손잡이(220)의 일측 단부, 즉 결합부(222)의 내측에는 삽입홈(222b)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22b)에는 결합부재(230)의 걸림돌기(234)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착탈부재(222a)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220)의 상부에는 착탈부재(222a)가 걸림돌기(234)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조작버튼(228)이 구비되는데, 상기 조작버튼(228)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착탈부재(222a)에 연결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착탈부재(222a)가 걸림돌기(234)에 걸림 또는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220)를 결합부재(23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뚜껑 본체(210)에 결합된 결합부재(230)에 손잡이(22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조작버튼(228)을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220)의 결합부(222)를 결합부재(230)의 수용부(232) 내측으로 결합시키는데, 이때,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버튼(228)의 누름 작동에 의해 착탈부재(222a)가 손잡이(2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부재(230)의 수용부(232)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234)가 손잡이(220)의 삽입홈(222b)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34)가 손잡이(220)의 삽입홈(222b)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조작버튼(228)의 누름 작동을 해제하면, 손잡이(2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있던 착탈부재(222a)가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돌기(234)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걸림돌기(234)는 삽입홈(222b)과 착탈부재(222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내측에 고정되고, 따라서 손잡이(220)가 결합부재(23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220)를 결합부재(23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단순히 조작버튼(228)을 누르기만 하면 걸림돌기(234)를 지지하고 있던 착탈부재(222a)가 손잡이(220)의 내측으로 인입되므로 조작버튼(228)을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220)를 들어올리면 걸림돌기(234)가 손잡이(220)의 삽입홈(222b)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용이하게 손잡이(22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100)(200)은 보관시 손잡이(120)(22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뚜껑의 크기별로 차곡차곡 엎어서 보관하거나, 벽면 등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20)에 뚜껑 본체(110)(210)에 형성된 결합공(112)(212)을 끼워 넣어 보관할 수 있는 등 보관이 용이하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다수의 뚜껑(100)(200)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100)(200)에 의하면 조리용기의 크기, 즉 뚜껑의 크기와 무관하게 1개의 손잡이(120)(220)를 착탈식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조리용기와 뚜껑의 보관이 용이하고, 조리용기와 뚜껑의 보관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뚜껑 본체(110)(210)나 손잡이(120)(220)의 파손시, 손잡이(120)(220) 또는 뚜껑 본체(110)(210)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재구매를 위한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조리 중에 열어놓은 뚜껑을 좁은 장소에 세워둘 수 있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취급이 편리하고, 세워둔 뚜껑에서 물방울이나 국물 등이 흘러 내려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조리용기의 크기, 즉 뚜껑의 크기에 따라 손잡이의 결합위치를 달리하여 하나의 손잡이를 여러 개의 뚜껑에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을 용이하게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10: 조리용기 몸체 20: 지지대
100, 200: (조리용기) 뚜껑 110, 210: 뚜껑 본체
112, 212: 결합공 112a: 결합홈
114, 134: 위치확인표시부 116, 216: 패킹
120, 220: 손잡이 122, 222: 결합부
122a: 결합돌기 124, 224: 파지부
126, 226: 지지부 130: 밀폐부재
132: 관통홀 222a: 착탈부재
222b: 삽입홈 228: 조작버튼
230: 결합부재 232: 수용부
234: 걸림돌기

Claims (5)

  1. 결합공이 형성된 뚜껑 본체와,
    상기 결합공을 통해 뚜껑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파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뚜껑 본체의 테두리 한 점으로부터 상기 파지부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하여 뚜껑 본체의 중심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단부에는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에는 손잡이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측 단부 내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끼움 결합되는 착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착탈부재가 걸림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조작하는 조작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
KR1020110124743A 2011-11-28 2011-11-28 조리용기 뚜껑 KR101181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743A KR101181512B1 (ko) 2011-11-28 2011-11-28 조리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743A KR101181512B1 (ko) 2011-11-28 2011-11-28 조리용기 뚜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797A Division KR101181510B1 (ko) 2010-02-26 2010-02-26 조리용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461A true KR20110133461A (ko) 2011-12-12
KR101181512B1 KR101181512B1 (ko) 2012-09-11

Family

ID=4550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743A KR101181512B1 (ko) 2011-11-28 2011-11-28 조리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5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7696A (zh) * 2013-11-28 2014-03-19 常熟卡斯玛因厨具有限公司 脱卸式锅盖提手
KR20200123533A (ko) * 2019-04-22 2020-10-30 주식회사 씨엘피에스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824A (ja) * 1999-01-12 2000-07-25 Keiko Fukuda 鍋蓋用つまみ
KR200323762Y1 (ko) * 2003-06-03 2003-08-19 권만현 조리 용기용 손잡이
KR200368218Y1 (ko) * 2004-08-23 2004-11-17 주식회사 해피콜 조리용기용 뚜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7696A (zh) * 2013-11-28 2014-03-19 常熟卡斯玛因厨具有限公司 脱卸式锅盖提手
CN103637696B (zh) * 2013-11-28 2015-07-29 常熟卡斯玛因厨具有限公司 脱卸式锅盖提手
KR20200123533A (ko) * 2019-04-22 2020-10-30 주식회사 씨엘피에스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512B1 (ko) 201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6878T3 (es) Aparato de cocción
US6029843A (en) Cookware lid
CN203302865U (zh) 厨房用具
US9784302B2 (en) Cooking splatter protection device
US9125514B1 (en) Cooking vessel with lid and handle device
US10130213B2 (en) Cooking splatter protection device
KR20160011152A (ko) 주방기구 배치부를 갖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US20160045056A1 (en) Micro kettle
US20140224810A1 (en) Multi-Functional Flat Lid
KR101499112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KR101181512B1 (ko) 조리용기 뚜껑
KR101181510B1 (ko) 조리용기 뚜껑
WO2011139007A1 (ko) 주방용품 수납기구
WO2007026384A1 (en) Container for cooking foods
JP2009535123A (ja) 食洗機内で哺乳瓶ボトルコンポーネントを保持する装置
US20150182067A1 (en) Grilling Utensil That Doubles as a Removable Handle
JP6407424B2 (ja) 着脱式取っ手を備えた調理容器
KR100791807B1 (ko)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US6827224B2 (en) Food liquid strainer for cooking
KR200478961Y1 (ko) 다중구조냄비
KR200383876Y1 (ko) 뚜껑 겸용 후라이팬
KR200201402Y1 (ko) 조미료 보관용구
KR102489365B1 (ko) 다용도 조리용기용 뚜껑
CN204306665U (zh) 锅盖可立的汤锅
KR102473849B1 (ko) 일체형 성찬식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