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304B1 -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304B1
KR101318304B1 KR1020130041892A KR20130041892A KR101318304B1 KR 101318304 B1 KR101318304 B1 KR 101318304B1 KR 1020130041892 A KR1020130041892 A KR 1020130041892A KR 20130041892 A KR20130041892 A KR 20130041892A KR 101318304 B1 KR101318304 B1 KR 101318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ntents
container
packaging container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주)바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쉔 filed Critical (주)바쉔
Priority to KR1020130041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or movable bottom being pulled upwards to dispense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edicinal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포장용기 상단에 상시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바로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상기 내부 공간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된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에는, 상면에 상기 내용물을 올려 두고 위쪽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여 상기 내용물이 상기 포장용기의 개방부에 인접하여 노출되도록 하는 위치 이동판과 상기 위치 이동판이 위쪽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이동판 위치 조절 수단이 구비된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 용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Packing case for easily drawing contents}
본 발명은 내용물 인출(引出)이 용이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상시 포장용기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가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내용물(사탕, 껌, 알약 등)을 포장하여 제공하는 포장용기는 용기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용기는, 사용자가 포장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므로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을 한 개씩 꺼내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의 잔류량이 적을 때는 포장용기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용기를 기울이고 흔드는 등 사용이 번거롭고 인출되는 내용물의 개수를 제어하기에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운전 중 운전자가 손가락을 더듬어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꺼내고자 하는 경우 정확한 위치에서의 파지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내용물이 손가락으로부터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져 버리므로 부득이 용기 내의 내용물의 배출 위치를 한차례 확인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집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안전운전의 방해 요소는 물론 바닥으로 떨어지는 내용물에 의한 낭비와 청소 등을 요구하게 되므로 여러 불편한 점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용기 내에서 내용물을 낱개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기가 제시된 바 있으나, 내용물을 낱개로 인출하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인출하는 구조가 고장이 날 경우에는 이 역시 포장용기를 기울이거나 손가락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거주 또는 운전 중 고형 내용물을 토출할 때 두 손으로 작동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내용물의 잔류량이 적을 때, 용기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얻기 위하여 용기를 기울이고 흔드는 등의 작업이 어렵고, 의도한 데로 토출되는 고형물 개수를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현재 고안되어 사용중인, 포장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지지하는 심대가 있고 포장용기 몸체가 위아래 이동하여 상기 심대에 의하여 일부 내용물이 포장용기 상부의 토출구로 나오도록 하는 펌프 용기는, 뚜껑 부분을 포함한 포장용기 몸체 전체를 최대한 상향으로 옮기고 다시 하향 이동해야 해서 작동을 위한 조작 거리가 크고, 내용물 전부를 들었다가 내려 놓아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포장용기 상부에 상시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바로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용기의 상측으로 내용물을 상시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는 내용물 이동수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장용기의 내용물 인출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포장용기의 내용물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포장용기의 기울임 없이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바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용물이 적게 남은 경우, 용기 내의 한쪽에 모이게 함으로써 인출이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출구(예를 들어 토출구가 포장용기의 측면에 형성되는 경우)로 직접 내용물이 나오는 경우 한 개 또는 정해진 수량으로 외부로 토출되거나 인출 대기 공간에 놓여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상기 내부 공간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된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에는, 상면에 상기 내용물을 올려 두고 위쪽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여 상기 내용물이 상기 포장용기의 개방부에 인접하여 노출되도록 하는 위치 이동판과 상기 위치 이동판이 위쪽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이동판 위치 조절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위치 이동판은 누름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이고,
상기 이동판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포장용기 내부에 상기 위치 이동판을 관통하며, 탄성수단에 의하여 일정 거리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몸통 외주에는 상기 위치 이동판을 지지하는 이동판지지부와 아래로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일부가 포장용기 외부로 노출되어 손으로 누를 수 있는 심대; 상기 위치 이동판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심대의 상기 이동판 지지부의 단면보다 직경이 좁되, 상기 심대가 강제로 눌러지는 상기 위치 이동판이 휘어지면서 상기 심대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심대의 상기 걸림턱이 통과되는 심대관통부; 및 상기 포장용기 내벽에는 상기 위치 이동판을 지지하는 돌출된 내벽 이동판 지지부와 상기 위치 이동판이 상기 심대의 상기 이동판 지지부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강제로 올려지는 경우 휘어지면서 다음 위에 위치한 내벽 이동판 지지부를 지나 다음 내벽 이동판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아래로 좁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내벽 경사 걸림턱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 용기를 개시한다.
상기 위치 이동판의 바깥쪽 둘레단부는 상기 포장용기 내벽의 경사면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대관통부도 상기 심대의 경사면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장용기는 용기본체와 용기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뚜껑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마감하는 하부 덮개부와 상기 하부 덮개부의 상측에 포개어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덮개부에는 내용물 인출을 위한 하부덮개개방부가 형성되고 있고, 상기 상부 덮개부에는 내용물 인출을 위한 상부덮개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대의 상단부는 상기 용기뚜껑을 관통하여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심대의 하단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과 연결되되 압력을 가하여 누르는 경우 아래로 이동하였다가 압력을 제거하는 경우 탄성으로 원상태로 회복되며; 상기 심대의 하단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대의 아래에는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심대 걸이구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심대 걸이구가 하부 안쪽으로 걸려지도록 형성되며 타단이 용기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걸림고정구를 더 포함하여 포장용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심대의 하단부는 핀 결합되고, 상기 핀 결합을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이 끼워져 있는 바닥 돌출핀이 형성되고, 상기 심대가 일정 거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심대의 아래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이 일정부분이 턱을 가지며 낮추어진 형태의 바닥 심대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뚜껑은 경사진 형태이고 개방부가 상기 용기뚜껑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이동판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 내용물이 경사진 위치 이동판의 아래쪽에 보관됨으로써 상기 내용물이 소량 남은 경우에도 상기 개방부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포장용기 상단에 상시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바로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내용물 이동수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쉽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내용물 인출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포장용기의 내용물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포장용기의 기울임 없이 바로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이 소량 남은 경우에도 내용물이 포장용기 내부에서 한쪽으로 모아져서 보관됨으로써 그 인출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구(예를 들어 토출구가 포장용기의 측면에 형성되는 경우)로 직접 내용물이 나오는 경우 한 개 또는 정해진 수량으로 외부로 토출되거나 인출 대기 공간에 놓여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시실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통상의 포장용기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내용물(10)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상기 내부 공간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장용기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나, 본 실시예는 용기본체(110)와 용기뚜껑(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용기뚜껑(120)은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마감하는 하부 덮개부(122)와 상기 하부 덮개부(122)의 상측에 포개어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덮개부(121)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하부 덮개부(122)에는 둘레 단턱이 내외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덮개부(121)와 상기 용기본체(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덮개부(121)에는 상기 하부 덮개부(122)의 둘레 단턱에 대응하는 요홈이 형성되어 억지 끼움 결합하여 이탈이 방지되면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 덮개부(122)에는 내용물 인출을 위한 하부덮개개방부(1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덮개부(121)에는 내용물 인출을 위한 상부덮개개방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덮개부(121)를 회전하여 상기 하부덮개개방부(124)와 상기 상부덮개개방부(123)을 일치시켜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에 위쪽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여 상기 내용물(10)이 상기 포장용기의 개방부에 인접하여 노출되도록 하는 위치 이동판(140)에 있다. 상기 위치 이동판(140)은 평판형으로서, 포장 용기 내부 단면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면, 그 상면에는 상기 내용물을 올려 두고 보관한다.
상기 위치 이동판(140)은 위치 조절 수단에 의하여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은 기본적으로 중앙의 심대(130)와 포장 용기의 내벽 경사 걸림턱(113)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심대(130)의 상부는 상기 뚜껑에 천공 형성된 축공(125)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 4 내지 도 6으로 상기 위치 이동판(140)을 이동시키는 구성과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단, 상기 위치 이동판(140)은 누름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이는 공지의 다양한 합성수지재나 금속재 등으로 제조하면 된다.
상기 이동판 위치 조절 수단으로서 상기 심대(130)는 상기 포장용기 내부에 상기 위치 이동판을 관통하며, 탄성수단에 의하여 일정 거리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몸통 외주에는 상기 위치 이동판을 지지하는 이동판 지지부(131)와 아래로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132)을 가지는 걸림턱(133)이 형성되고, 일부가 포장용기 외부로 노출되어 손으로 누를 수 있다.
상기 위치 이동판(140)에는 상기 심대(130)의 상기 이동판 지지부(131)의 단면보다 직경이 좁되, 상기 심대가 강제로 눌러지는 상기 위치 이동판(140)이 휘어지면서 상기 심대(130)의 상기 경사면(132)을 따라 상기 심대(130)의 상기 걸림턱(133)이 통과되는 심대관통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장용기 내벽에는 상기 위치 이동판(140)을 지지하는 돌출된 내벽 이동판 지지부(111)와 상기 위치 이동판(140)이 상기 심대의 상기 이동판 지지부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강제로 올려지는 경우 휘어지면서 상기 위치 이동판(140)의 둘레단부(142)가 다음 위에 위치한 내벽 이동판 지지부를 지나 다음 내벽 이동판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아래로 좁아지는 경사면(115)을 가지는 내벽 경사 걸림턱(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심대(130)를 누르는 경우, 상기 위치 이동판(140)은 상기 내벽 경사 걸림턱(113)의 내벽 이동판 지지부(111)에 지지되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나, 상기 심대(130)는 경사면(132)을 따라 상기 위치 이동판(140)의 심대관통부(141) 통과하고; 사용자가 상기 심대(130)의 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심대(130)는 탄성에 의하여 윗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심대(130)의 걸림턱(133)의 이동판 지지부(131)로 상기 위치 이동판(140)을 함께 윗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위치 이동판(140)의 둘레단부(142)는 상기 내벽 경사 걸림턱(113)의 경사면(115)을 미끄러지듯이 타고 넘어가면서 윗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심대(130)의 걸림턱(133)과 상기 포장용기의 내벽 경사 걸림턱(113)은 다수개가 형성되어 종단 길이 방향으로 톱니 형태와 같이 돌출되고, 이로써 상기 위치 이동판(140)은 단계적으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최초 상태의 상기 위치 이동판(140)은 포장용기 최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내용물(10)을 상기 위치 이동판(140)의 위에 저장한 후, 상기 내용물(10)이 일부 소진되면 그에 맞게 단계적으로 상기 위치 이동판(140)을 상부로 이동시켜 항시 상기 내용물(10)이 상부 뚜껑의 개방부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탄성에 의한 심대(130)의 상하 운동은 인접하는 상기 걸림턱(133) 간의 간격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수단의 이완거리는 상기 내벽 경사 걸림턱(113)을 상기 위치 이동판(140)이 통과할 수 있는 거리이어야 한다.
상기 위치 이동판(140)의 바깥쪽 둘레단부(142)는 상기 포장용기 내벽의 경사면(115)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위치 이동판(140)이 위로 이동할 때 미끄러져 보다 부드럽게 상기 내벽 경사 걸림턱(113)을 넘어가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심대관통부(141)도 상기 심대(130)의 경사면(132)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심대(130)의 걸림턱(133)이 상기 심대 관통부(141)를 미끄러져 보다 부드럽게 통과하기 위함이다.
상기 심대(130)의 상단부는 상기 용기뚜껑(120)을 관통하여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일부가 노출되어 누름편(134)를 형성하고, 상기 심대(130)의 하단부는 상기 용기본체(110)의 바닥면(114)과 연결되되 압력을 가하여 누르는 경우 아래로 이동하였다가 압력을 제거하는 경우 탄성으로 원상태로 회복되며 상기 심대(130)의 하단부와 상기 용기본체(110)의 바닥면(114)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5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노출되어 있는 심대의 누름편(134)을 사용자가 누르면 심대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나, 사용자가 상기 심대의 누름편(134)에서 손을 떼면 심대가 원 상태로 회복하면서 상기 위치 이동판(140)은 위로 올라가게 된다.
상기 심대의 상하 이동과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심대(130)의 아래에는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심대 걸이구(160)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심대 걸이구(160)가 하부 안쪽으로 걸려지도록 형성되는 걸림고정구(170)가 그 타단이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심대 걸이구(160)는 상기 심대(1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10)의 바닥면(114)과 상기 심대(130)의 하단부는 핀 결합되고, 상기 핀 결합을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110)의 바닥면(114)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50)이 끼워져 있는 바닥 돌출핀(115)이 형성되고, 상기 심대(130)가 일정 거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심대의 아래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용기본체(110)의 바닥면(114)이 일정부분이 턱을 가지며 낮추어진 형태의 바닥 심대 삽입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대(130)의 걸림턱(133)이 하나의 열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110)의 내벽 경사 걸림턱(113)이 상기 용기본체(110)의 내벽 중 일부분에만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10)의 수평 중심에서 내벽 쪽으로 120도에 위치하는 3곳에 상기 내벽 경사 걸림턱(113)이 형성되고 있다. 또한, 뚜껑의 형태도 개방부를 제1 실시예와 다르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뚜껑(120)이 경사진 형태이고 개방부(126)가 상기 용기뚜껑(120)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이동판(140)도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 내용물(10)이 경사진 위치 이동판(140)의 아래쪽에 보관됨으로써 상기 내용물(10)이 극소량 남은 경우에도 상기 개방부(126)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심대(130)의 걸림턱(133)도 상기 위치 이동판(140)의 경사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심대의 걸림턱과 용기본체 내벽의 내벽 경사 걸림턱의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경우에는 위치 이동판이 단계적으로 아래로 이동하여 하부에 보관 중인 내용물에 압을 가하여 토출시킬 수도 있다. 각각의 경우 그에 따른 토출구를 구성하면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심대는 세장한 목부분이 있는 로드(rod)형태로 설명되었으나,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으며, 용기 상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하 작동하여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10 : 내용물
100 : 포장용기
110 : 용기본체
111 : 내벽 이동판 지지부
112 : 경사면
113 : 내벽 경사 걸림턱
114 : 바닥면
115 : 바닥 돌출핀
116 : 바닥 심대 삽입부
120 : 용기뚜껑
121 : 상부덮개부
122 : 하부덮개부
123 : 상부덮개개방부
124 : 하부덮개개방부
125 : 축공
126 : 개방부
130 : 심대
131 : 이동판 지지부
132 : 경사면
133 : 걸림턱
134 : 누름편
140 : 위치 이동판
141 : 심대관통부
142 : 둘레단부
150 : 탄성 스프링
160 : 심대걸이구
170 : 걸림고정구

Claims (7)

  1. 내부에 내용물(10)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상기 내부 공간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된 포장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에는,
    상면에 상기 내용물을 올려 두고 위쪽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여 상기 내용물이 상기 포장용기의 개방부에 인접하여 노출되도록 하는 위치 이동판(140)과
    상기 위치 이동판이 위쪽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이동판 위치 조절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위치 이동판(140)은 누름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이고,
    상기 이동판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포장용기 내부에 상기 위치 이동판을 관통하며, 탄성수단에 의하여 일정 거리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몸통 외주에는 상기 위치 이동판을 지지하는 이동판 지지부(131)와 아래로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132)을 가지는 걸림턱(133)이 형성되고, 일부가 포장용기 외부로 노출되어 손으로 누를 수 있는 심대(130);
    상기 위치 이동판(140)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심대(130)의 상기 이동판 지지부(131)의 단면보다 직경이 좁되, 상기 심대가 강제로 눌러지는 상기 위치 이동판(140)이 휘어지면서 상기 심대(130)의 상기 경사면(132)을 따라 상기 심대(130)의 상기 걸림턱(133)이 통과되는 심대관통부(141); 및
    상기 포장용기 내벽에는 상기 위치 이동판을 지지하는 돌출된 내벽 이동판 지지부(111)와 상기 위치 이동판이 상기 심대의 상기 이동판 지지부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강제로 올려지는 경우 휘어지면서 다음 위에 위치한 내벽 이동판 지지부를 지나 다음 내벽 이동판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아래로 좁아지는 경사면(115)을 가지는 내벽 경사 걸림턱(113)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는, 용기본체(110)와 용기뚜껑(12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대(130)의 상단부는 용기뚜껑(120)을 관통하여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심대(130)의 하단부는 용기본체(110)의 바닥면(114)과 연결되되 압력을 가하여 누르는 경우 아래로 이동하였다가 압력을 제거하는 경우 탄성으로 원상태로 회복되며;
    상기 심대(130)의 하단부와 상기 용기본체(110)의 바닥면(114)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50)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심대(130)의 아래에는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심대 걸이구(160)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심대 걸이구(160)가 하부 안쪽으로 걸려지도록 형성되며, 타단이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고정되는 걸림고정구(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0)의 바닥면(114)과 상기 심대(130)의 하단부는 핀 결합되고,
    상기 핀 결합을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110)의 바닥면(114)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50)이 끼워져 있는 바닥 돌출핀(115)이 형성되고,
    상기 심대(130)가 일정 거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심대의 아래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용기본체(110)의 바닥면(114)이 일정부분이 턱을 가지며 낮추어진 형태의 바닥 심대 삽입부(1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120)은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마감하는 하부 덮개부(122)와;
    상기 하부 덮개부(122)의 상측에 포개어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덮개부(1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덮개부(122)에는 내용물 인출을 위한 하부덮개개방부(124)가 형성되고 있고, 상기 상부 덮개부(121)에는 내용물 인출을 위한 상부덮개개방부(1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120)은 경사진 형태이고 개방부(126)가 상기 용기뚜껑(120)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이동판(140)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 내용물(10)이 경사진 위치 이동판(140)의 아래쪽에 보관됨으로써 상기 내용물(10)이 극소량 남은 경우에도 상기 개방부(126)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KR1020130041892A 2013-04-16 2013-04-16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KR101318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892A KR101318304B1 (ko) 2013-04-16 2013-04-16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892A KR101318304B1 (ko) 2013-04-16 2013-04-16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304B1 true KR101318304B1 (ko) 2013-10-15

Family

ID=4963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892A KR101318304B1 (ko) 2013-04-16 2013-04-16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3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698B1 (ko) * 2013-12-17 2015-03-10 광주광역시 광산구 팝콘 용기
US10737871B2 (en) 2018-04-27 2020-08-11 Joel Shalowitz Food container and dispens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652U (ko) * 1990-02-15 1991-10-30
KR101109886B1 (ko) * 2009-07-06 2012-02-14 (주)아이디플라텍 상하 승강에 의하여 인출되는 껌 추출 용기
KR101218258B1 (ko) * 2010-12-29 2013-01-08 김종훈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KR20130022480A (ko) * 2011-08-24 2013-03-07 (주)아이디플라텍 위생상태가 구현된 상하 승강에 의하여 인출되는 껌 추출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652U (ko) * 1990-02-15 1991-10-30
KR101109886B1 (ko) * 2009-07-06 2012-02-14 (주)아이디플라텍 상하 승강에 의하여 인출되는 껌 추출 용기
KR101218258B1 (ko) * 2010-12-29 2013-01-08 김종훈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KR20130022480A (ko) * 2011-08-24 2013-03-07 (주)아이디플라텍 위생상태가 구현된 상하 승강에 의하여 인출되는 껌 추출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698B1 (ko) * 2013-12-17 2015-03-10 광주광역시 광산구 팝콘 용기
US10737871B2 (en) 2018-04-27 2020-08-11 Joel Shalowitz Food container and dispen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1327B2 (ja) 手持播種器
KR101201734B1 (ko) 립스틱 용기
WO2013103168A1 (ko) 이쑤시개와 꽂이 및 면봉용 멀티 수납케이스
KR10157200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CN104071435A (zh) 上部出料用食品或药品分配器
KR101288327B1 (ko) 팝업식 드로퍼
KR101328457B1 (ko) 잔류량 사용을 위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318304B1 (ko)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US20170311695A1 (en) Button-Type Pencil Cosmetic Dispenser
KR200494062Y1 (ko) 화장품 드로퍼
CA2745156A1 (en) Container with adjustable lift
KR200415343Y1 (ko) 물품 보관용기
US6688490B2 (en) Coffee filter extractor and inserter
FI58063C (fi) Anordning foer avskrapning och uppsamling av medicinskt avfall samt foer foerhindrande av spridning av detsamma
KR101850856B1 (ko)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JP2009057060A (ja) 粒体収納容器
KR200464060Y1 (ko) 이쑤시개와 꽂이 및 면봉용 멀티 수납케이스
KR20170025749A (ko) 일회용 종이컵 수거함
JP6866032B2 (ja) 錠剤定量取出容器
KR10123902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드
KR20110106614A (ko) 컵 배출기
KR101181510B1 (ko) 조리용기 뚜껑
JP5117325B2 (ja) 錠剤の定量取出し容器
ITMI20100490A1 (it) Dispositivo per lo svuotamento di capsule di preparazione istantanea di bevande
KR102024838B1 (ko) 로션 펌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