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258B1 -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 Google Patents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258B1
KR101218258B1 KR1020100138292A KR20100138292A KR101218258B1 KR 101218258 B1 KR101218258 B1 KR 101218258B1 KR 1020100138292 A KR1020100138292 A KR 1020100138292A KR 20100138292 A KR20100138292 A KR 20100138292A KR 101218258 B1 KR101218258 B1 KR 101218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height
center
contai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227A (ko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100138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2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을 내부에 형성시킨 몸체부와, 상기 수납공간에 내부에 위치되어 상하로 승하강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면에 위치되어 받침판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여, 용기의 바닥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용기입구에 근접하게 위치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Courage for adjustable cubage}
본 발명은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바닥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공간에 수납된 내용물이 용기입구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한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탕이나 과자 등 작은 군것질거리를 담는 용기는 통상 비닐봉지로 이루어지거나 단순히 용기 위에서 입구의 개폐를 위한 뚜껑이 덮여지는 구성을 이루고 있어서 어린이등 소비자가 사탕이나 과자 등의 내용물을 직접 손으로 집어 먹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용기는 사탕이나 약을 담아 두는 통에 내용물이 많이 들어 있을 때는 꺼내기 쉬운데, 내용물이 조금 들어 있을 때는 입구가 좁아서 꺼내기가 불편하다. 이때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 통을 기울이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쏟아져서 나온 내용물 중 먹지 않은 내용물은 용기에 다시 넣어야 하는데, 손으로 만진 것을 다시 넣어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의 바닥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공간에 수납된 내용물이 용기입구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기바닥의 높이를 알 수 있도록 하여 수납공간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을 내부에 형성시킨 몸체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하로 승하강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면에 위치되어 받침판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의 바닥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공간에 수납된 내용물이 몸체부의 입구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납공간의 내주연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와 체결되는 숫나사가 외주연에 형성된 받침판의 높이를 승하강수단으로 조절하되,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받침판의 하부면 중앙에 수직으로 결합하고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종동바와, 상기 종동바가 삽입되는 안내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안내공의 내주면에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걸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몸체부 하부면 중앙을 관통하는 구동관이 상부면 중앙에 일체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종동바가 삽입되는 안내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안내공의 내주면에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걸림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납공간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안내돌기에 끼움 결합하는 안내홈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된 받침판의 높이를 승하강수단으로 조절하되,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관통하여 나사공에 체결되는 나사봉이 상부면 중앙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받침판의 하부면에 위치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몸체부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노출된 부분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결합하여 받침판의 높이를 측정하는 눈금판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는 용기 내부에 내입시킨 받침판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승하강수단을 포함시켜, 용기의 바닥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용기입구에 근접하게 위치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는 용기의 내주면에 결합하여 받침판의 높이를 측정하는 눈금판을 포함시켜, 용기바닥의 높이를 알 수 있도록 하여 수납공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의 바닥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의 바닥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수납공간 111이 형성된 몸체부 110와, 수납공간 111의 내부에 위치되는 받침판 120과, 받침판 12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승하강수단 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 111을 내부에 형성시킨 몸체부 110와, 상기 수납공간 111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하로 승하강하는 받침판 120과, 상기 받침판 120의 하부면에 위치되어 받침판 12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수단 13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100는 상기 수납공간 111의 내주연에 암나사 113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 113와 체결되는 숫나사 121가 외주연에 형성된 받침판 120의 높이를 승하강수단 130으로 조절하되, 상기 승하강수단 130은, 상기 받침판 120의 하부면 중앙에 수직으로 결합하고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 131a가 형성된 종동바 131와, 상기 종동바 131가 삽입되는 안내공 133a이 중앙에 형성되고 안내공 133a의 내주면에 걸림돌기 131a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걸림홈 133b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몸체부 110 하부면 중앙을 관통하는 구동관 133이 상부면 중앙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판 132이 포함된다.
여기서, 몸체부 110는 수납공간 111, 암나사 113, 회전공 119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몸체부 110는 입구가 좁게 개구되어 있고 하부에는 넓은 공간의 수납공간 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부 110과 수납공간 111은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수납공간 111의 내주연에는 암나사 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 113와 체결되는 숫나사 121가 받침판 120의 외주연에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판 120의 높이를 승하강수단 130으로 조절한다. 이때, 승하강수단 130은 받침판 120의 하부면에 결합된 종동바 131가 회전판 132의 상부면 중앙에 일체로 결합된 구동관 133에 결합된다. 즉, 회전판 132을 회전시키면 받침판 120이 회전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승하강수단 130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받침판 120의 하부면 중앙에 종동바 131를 수직으로 결합한다. 이때, 종동바 131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 13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관 133의 상부면 중앙에는 종동바 131가 삽입되는 안내공 13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공 133a의 내주면에는 걸림홈 13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홈 133b에는 걸림돌기 131a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된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관 133에 삽입된 종동바 131가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동관 133의 길이방향으로 걸림홈 133b을 형성한다.
여기서, 회전판 132의 중앙에 일체로 결합시킨 구동관 133은 몸체부 110 하부면 중앙을 관통한다. 덧붙여, 구동관 133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몸체부 110의 하부면 중앙에 구동관 133의 지름과 대응되는 회전공 119을 관통시킨다.
결국, 회전판 132을 회전시키면 걸림홈 133b에 삽입고정된 걸림돌기 131a가 회전을 하면 종동바 131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종동바 131에 일체로 결합된 받침판 120이 회전을 하면서 리드이동하여 받침판 120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용기 100의 바닥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용기입구에 근접하게 위치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한편, 안내공 133a에 삽입되어 종동바 131 또는 연결관 135의 하부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재 134가 더 포함된다. 이때, 탄성부재 134는 안내공 133a의 하부면에 형성시킨 수납홈 133c에 수납된다. 이러한, 탄성부재 134로 인해 받침판 120의 상부면에 적층된 내용물의 무게와 상관없이 받침판 120의 승강이 용이하고, 리드이동시 발생하는 백래쉬가 저하하게 된다.
한편, 구동바 133와 종동바 13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 135이 포함된다. 이때, 연결바 135는 종동바 131가 삽입되는 안내공 133a이 중앙에 형성되고 안내공 133a의 내주면에 걸림돌기 131a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걸림홈 133b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 131a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관 135이 연결되어 회전판 132의 두께를 높게 하지 않아도 받침판 120을 더욱 높게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100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 12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 1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판 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수단 13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판 132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회전판 132의 하부면 중앙에 손잡이 132a가 형성되거나, 회전판 132의 외주연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승하강수단 130'은 상기 몸체부 110의 하부를 관통하여 나사공 125에 체결되는 나사봉 136이 상부면 중앙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판 132을 포함한다. 더불어, 수납공간 111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안내돌기 115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안내돌기 115에 끼움 결합하는 안내홈 123이 받침판 12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처럼 회전판 132을 회전시키면 받침판 120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안내홈 123이 안내돌기 115에 걸리게 되면서 받침판 120이 상부로 리드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100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 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하강수단 130"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승하강수단 130"은 상기 받침판 120의 하부면에 위치되는 튜브 137와, 상기 튜브 137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몸체부 11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유입관 138과, 상기 유입관 138의 노출된 부분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튜브 137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 139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튜브 137는 공기가 유입되면 팽창하게 되는 재질이 적합하다. 더불어, 튜브 137의 일측면에 연결된 유입관 138은 몸체부 110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유입관 138의 타측에는 펌프 139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펌프 139는 손으로 누르면 공기가 유입되는 수동방식이 적합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즉, 입으로 불어서 공기를 유입시킬 수도 있고 자동공급방식의 펌프 139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결국, 펌프 139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관 138을 통해 튜브 137에 공급되면 튜브 137가 팽창하면서 받침판 120을 상승시킬 수 있다. 더불어, 튜브 137의 타측에는 튜브 137에 충진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개폐형 배출관 138a이 몸체부 11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한편, 몸체부 110의 내주면에 결합하여 받침판 120의 높이를 측정하는 눈금판 117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눈금판 117의 표면에는 눈금이 이격되게 인쇄되어 있다. 결국, 눈금판 117의 표면에 인쇄된 눈금으로 용기바닥의 높이를 알 수 있도록 하여 수납공간 111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용기
110 : 몸체부 111 : 수납공간
113 : 암나사 115 : 안내돌기
117 : 눈금판 119 : 회전공
120 : 받침판 121 : 숫나사
123 : 안내홈 125 : 나사공
130, 130', 130'' : 승하강수단
131 : 종동바 131a : 걸림돌기
132 : 회전판 133 : 구동관
133a : 안내공 133b : 걸림홈
133c : 수납홈 134 : 탄성부재
135 : 연결관 136 : 나사봉
137 : 튜브 138 : 유입관
139 : 펌프

Claims (6)

  1.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을 내부에 형성시킨 몸체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하로 승하강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면에 위치되어 받침판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의 내주연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와 체결되는 숫나사가 외주연에 형성된 받침판의 높이를 승하강수단으로 조절하되,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받침판의 하부면 중앙에 수직으로 결합하고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종동바와,
    상기 종동바가 삽입되는 안내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안내공의 내주면에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걸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몸체부 하부면 중앙을 관통하는 구동관이 상부면 중앙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판이 포함되어,
    상기 몸체부의 바닥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공간에 수납된 내용물이 몸체부의 입구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2. 삭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바가 삽입되는 안내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안내공의 내주면에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걸림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하는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결합하여 받침판의 높이를 측정하는 눈금판을 더 포함하는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KR1020100138292A 2010-12-29 2010-12-29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KR101218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292A KR101218258B1 (ko) 2010-12-29 2010-12-29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292A KR101218258B1 (ko) 2010-12-29 2010-12-29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227A KR20120076227A (ko) 2012-07-09
KR101218258B1 true KR101218258B1 (ko) 2013-01-08

Family

ID=4670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292A KR101218258B1 (ko) 2010-12-29 2010-12-29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25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304B1 (ko) * 2013-04-16 2013-10-15 (주)바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KR20160000375U (ko) 2015-12-23 2016-02-02 박현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KR101995936B1 (ko) * 2019-01-22 2019-07-03 홍인기 탄성장치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KR102097219B1 (ko) * 2018-12-06 2020-04-03 변상섭 용기 내부 체적 조절 조립체
WO2020116919A1 (ko) * 2018-12-04 2020-06-11 변상섭 분쇄 또는 혼합용 회전칼, 그 조립체 및 용기 내부 체적 조절 조립체
KR102540088B1 (ko) * 2022-12-06 2023-06-07 주식회사 엔에이티 반도체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공급용 보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9896A (zh) * 2014-05-30 2014-09-10 浙江茶乾坤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茶叶罐
KR101493878B1 (ko) 2014-07-23 2015-02-17 박현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CN106181937B (zh) * 2016-08-30 2018-06-12 安吉印象家具有限公司 一种底板高度可调的盒子
CN107014458A (zh) * 2017-03-31 2017-08-04 陕钢集团汉中钢铁有限责任公司 体积可调式定量量杯
CN112047129A (zh) * 2020-09-23 2020-12-08 安徽惠丰国药有限公司 一种中药配药台中定量下料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33A (ja) * 1997-07-09 1999-01-26 Co-Op Chem Co Ltd 液体施用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水田への施用方法
JP2002209704A (ja) * 2001-01-22 2002-07-30 Mieko Kaneko 食品容器
KR200303625Y1 (ko) * 2002-11-08 2003-02-12 김정근 정량공급용 용기
KR20050061402A (ko) * 2003-12-16 2005-06-22 장명택 저장용기 승강장치를 갖춘 김치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33A (ja) * 1997-07-09 1999-01-26 Co-Op Chem Co Ltd 液体施用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水田への施用方法
JP2002209704A (ja) * 2001-01-22 2002-07-30 Mieko Kaneko 食品容器
KR200303625Y1 (ko) * 2002-11-08 2003-02-12 김정근 정량공급용 용기
KR20050061402A (ko) * 2003-12-16 2005-06-22 장명택 저장용기 승강장치를 갖춘 김치냉장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304B1 (ko) * 2013-04-16 2013-10-15 (주)바쉔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KR20160000375U (ko) 2015-12-23 2016-02-02 박현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WO2020116919A1 (ko) * 2018-12-04 2020-06-11 변상섭 분쇄 또는 혼합용 회전칼, 그 조립체 및 용기 내부 체적 조절 조립체
KR102097219B1 (ko) * 2018-12-06 2020-04-03 변상섭 용기 내부 체적 조절 조립체
KR101995936B1 (ko) * 2019-01-22 2019-07-03 홍인기 탄성장치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KR102540088B1 (ko) * 2022-12-06 2023-06-07 주식회사 엔에이티 반도체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공급용 보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227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258B1 (ko)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US9351556B2 (en)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an be used in mixed manner
US10781030B2 (en) Content dispensing container apparatus
US20080110881A1 (en) Ez lift
AU731320B2 (en) Measuring dispenser
US10364057B2 (en) Pet water container and bowl
US20170311695A1 (en) Button-Type Pencil Cosmetic Dispenser
KR101705030B1 (ko)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JP4999579B2 (ja) 可動底部付き筒状容器
KR101850856B1 (ko)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KR200485326Y1 (ko)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US7946126B2 (en) Adjustable volume toddler cup
KR102128280B1 (ko) 액상형 양념 토출장치
JP4748583B2 (ja) 計量・注出用装置を有する閉蓋具
KR20160058507A (ko) 액상의 물질을 정량으로 인출가능한 용기
KR200314352Y1 (ko) 휴대용 2중 용기
KR200485603Y1 (ko) 액상 혼합 용기
US6877640B1 (en) Device for dispensing liquid or powder to washing machine and the like
KR200443386Y1 (ko) 식품 용기
KR20140115554A (ko) 정량토출 용기
CN214341544U (zh) 一种杯盖及奶茶杯
KR101159264B1 (ko) 막걸리 저장용기
KR20190143763A (ko) 2개의 디스펜서를 구비한 양념 토출 장치
KR200343037Y1 (ko) 나선자동뚜껑개폐 조미료통
KR200488897Y1 (ko) 디저트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