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264B1 - 막걸리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막걸리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264B1
KR101159264B1 KR1020090106983A KR20090106983A KR101159264B1 KR 101159264 B1 KR101159264 B1 KR 101159264B1 KR 1020090106983 A KR1020090106983 A KR 1020090106983A KR 20090106983 A KR20090106983 A KR 20090106983A KR 101159264 B1 KR101159264 B1 KR 101159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ube member
fixed tube
makgeolli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132A (ko
Inventor
김진만
옥승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청산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청산녹수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청산녹수
Priority to KR1020090106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2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5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1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 C12H1/16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1Fixing of the stirrer to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16Mixing wine or other alcoholic beverages; Mixing ingredien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걸리를 저장할 수 있으며, 고급화할 수 있는 막걸리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저장용기는 소정의 저장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주둥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미 사용시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어서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최소화 되도록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길이가 신축 가능한 주름관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저장용기는 주전자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잔에 따르기 쉽고 침전물의 혼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막걸리, 저장, 혼합

Description

막걸리 저장용기 {Bottle for Makolli}
본 발명은 막걸리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막걸리를 저장할 수 있으며, 고급화할 수 있는 막걸리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막걸리는 탁주(濁酒) ?농주(農酒) ?재주(滓酒) ?회주(灰酒)라고도 하는데, 한국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술로,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하며, 6~7도로 알코올 성분이 적은 술이다.
제조방법은 주로 찹쌀 ?멥쌀 ?보리 ?밀가루 등을 찐 다음 수분을 건조시켜(이것을 지에밥이라고 한다) 누룩과 물을 섞고 일정한 온도에서 발효시킨 것을 청주를 떠내지 않고 그대로 걸러 짜낸다. 옛날 일반 가정에서는 지에밥에 누룩을 섞어 빚은 술을 오지그릇 위에 ‘井’자 모양의 겅그레를 걸고 그 위에 올려놓고 체에 부어 거르면 뿌옇고 텁텁한 탁주가 되는데 이것을 용수를 박아서 떠내면 맑은술[淸酒]이 된다. 이때 찹쌀을 원료로 한 것을 찹쌀막걸리, 거르지 않고 그대로 밥풀이 담긴 채 뜬 것을 동동주라고 한다. 좋은 막걸리는 단맛 ?신맛 ?쓴맛 ?떫은맛이 잘 어울리고 감칠맛과 시원한 맛이 있는 것으로서, 땀 흘리고 일한 농부들의 갈증을 덜어주어 농주로서 애용되어 왔다.
최근 막걸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특히 막걸리에는 트립토판(필수 아미노산)과 메티오닌(필수 아미노산)성분이 있어서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비타민B와 유산균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서 적정량을 섭취할 경우 건강에도 유익함이 알려졌다.
따라서 최근에는 막걸리의 맛과 기능성의 증진을 위해 다양한 첨가물이 포함된 막걸리 또는 막걸리의 제조방법이 개발되어 왔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1265호에는 황토막걸리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출원번호 제10-1984-0004999호에는 엘다베라(황금포도) 막걸리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외에도 프로폴리스, 감잎, 녹차 등의 기능성 식품이 첨가된 다양한 막걸리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막걸리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용기에 포장이 되어 주로 판매되며, 시간이 지나면 침전물이 보관용기 하부로 가라앉아 막걸리를 마시기 위해서는 용기를 흔들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막걸리의 이미지가 고급화 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막걸리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의 형태를 일반적인 병이 아닌 주전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심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 있으면서도 운반이 용이한 막걸리 저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용기 내부에서 침전된 침전물을 용이하게 혼합시킬 수 있는 침전물 혼합부를 포함하는 막걸리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저장용기는 소정의 저장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주둥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미 사용시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어서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최소화 되도록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길이가 신축 가능한 주름관을 구비한다.
막걸리 저장용기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을 혼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혼합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혼합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용물을 혼합시키는 혼합팬과, 상기 혼합팬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인력에 의해 상기 혼합팬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혼합팬의 회전시 상기 내용물이 용이하게 회전하여 혼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돌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는 고정관부재와, 상기 고정관부재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경이 상기 고정관부재의 내경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관부재의 중공을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상단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로드와, 상기 연장로드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본체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연장로드 및 피스톤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푸시버튼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관부재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에 지지되어 상기 피스톤을 상기 본체의 상단을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관부재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팬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고정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이 고정관부재의 내부에 하방으로 진행할 때 피스톤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혼합팬을 회전시키는 구동팬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저장용기는 주전자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잔에 따르기 쉽고 침전물의 혼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저장용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저장용기(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막걸리 저장용기(100)는 소정의 저장공간(112)을 갖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주둥이부(120)와, 본체(110)에 설치되어 저장공간(112)의 막걸리를 혼합시키는 혼합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용기부재(111)와, 용기부재(111)에 결합되는 뚜껑(117)을 포함하는데, 용기부재(111)는 저장공간(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상기 뚜껑(117)이 용기부재(111)에 결합되어 저장공간(112)을 폐쇄한다.
따라서 주조된 막걸리를 저장공간(112)에 충진시킨 다음 뚜껑(117)을 결합시켜 저장공간(112)을 폐쇄하게 되므로 막걸리의 충진이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막걸리 저장용기(100)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막걸리가 충진된 후에는 뚜껑(117)을 개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뚜껑(117)과 용기부재(111)를 융착시켜 견고하게 결합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나사결합할 수도 있다.
용기부재(111)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혼합유닛(130)에 의해 충진된 막걸리가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막걸리의 흐름을 나선방향으로 유도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113)들이 저장공간(112)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부재(111)의 상부 일측에는 막걸리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11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배출구(114)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부재(111)의 외주면과 내주면으로부터 각각 외측과 내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주둥이부(120)는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막걸리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일반적인 주전자에 형성되어 있는 것처럼 본체(110)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주둥이부(120)를 형성함으로써 막걸리를 잔에 따를때 잔과 막걸리가 토출되는 토출구(122)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막걸리를 흘리거나 막걸리가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주둥이부(120)는 주름관(121)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둥이부(120)는 일단이 용기부재(1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출부(115)에 지지되어 있으며, 주둥이부(120)의 타단은 용기부재(111)로부터 인출되도록 잡아당겼을 때에는 용기부재(111)의 외부로 돌출되고, 용기부재(111)의 내측으로 밀어넣으면 돌출부(115)의 내측에 접혀져서 압축된 상태로 들어간다.
통상적으로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는 주류의 경우에는 일정 갯수 단위로 박스에 담아 운반하게 되는데, 주둥이부(120)가 본체(110)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둥이부(120) 때문에 하나의 본체(11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크게 필요하므로 동일부피의 박스에 대하여 수용되는 막걸리 저장용기(100)의 숫자가 감소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막걸리 저장용기(100)의 주둥이부(120)가 미 사용시에는 본체(110)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함으로써 운반 및 저장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주둥이부(120)의 단부에 형성된 토출구(122)는 콕부재(123)에 의해 막혀있는 상태가 되며, 콕부재(123)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124)를 잡고 잡아당기면 주름이 펴지면서 주둥이부(120)가 본체(110)로부터 인출되고 콕부재(123)가 주둥이부(120)로부터 분리되어 토출구(122)가 개방된다. 이렇게 콕부재(123)를 통해 토출구(122)를 폐쇄하기 때문에 운반과 저장시에는 토출구(122)가 폐쇄되고, 인위적으로 콕부재(123)를 제거했을 때에만 토출구(122)가 개방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5)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돌출부(115)의 상부를 막는 캡부재(125)를 구비함으로써 운반이나 보관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콕부재(123)가 주름관(12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용기부재(111)의 상단에는 손잡이(116)가 형성되어 있어서 운반하거나 술을 따를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유닛(130)은 막걸리 저장용기(100)가 장시간동안 정체되어 있을 때, 침전된 침전물을 혼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혼합유닛(130)은 뚜껑(117)에 설치되는데, 저장공간(112)의 내부에 위하는 혼합팬(131)과, 이 혼합팬(131)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140)를 포함한 다.
혼합팬(131)은 용기부재(111)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회전하면서 막걸리를 휘저어 줌으로써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이 회전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용액과 혼합되게 한다.
혼합팬(131)은 용기부재(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고, 회전축(132)은 후술하는 회전구동부(14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
회전구동부(140)는 상술한 것처럼 혼합팬(131)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것인데, 인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회전구동부(140)는 고정관부재(141)와, 고정관부재(141)에 설치되는 피스톤(147)과 연장로드(148), 푸시버튼(150), 탄성부재(152) 및 상기 회전축(132)에 설치된 구동팬(151)을 포함한다.
고정관부재(141)는 뚜껑(117)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118)의 중심으로 그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뚜껑(117)의 하면에 결합된다.
고정관부재(141)는 일단과 타단이 모두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후술하는 피스톤(147)이 이동할 수 있는 중공(1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일측에는 내주면으로부터 중공(142)으로 돌출된 지지턱(14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지지턱(143)은 탄성부재(152)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지턱(143)의 하측에는 관경이 점점 좁아지는 협착부(14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피스톤(147)의 하강에 의해 공기가 고정관부재(141)의 하부로 밀려나갈 때, 공기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 기 위한 것이다.
고정관부재(141)의 타단에는 커버부재(145)가 결합되는데, 커버부재(145)는 혼합팬(131)의 회전축(13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고정관부재(141)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통기홀(146)들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재(145)에 지지된 회전축(132)의 상단은 고정관부재(141)의 내부에 위치하며, 회전축(132)의 상단에는 구동팬(151)이 설치되는데, 구동팬(151)은 상기 협착부(144)를 통과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축(132)과 혼합팬(131)을 함께 회전구동시킨다.
상기 고정관부재(141)의 내부에서 지지판의 상측에는 상술한 피스톤(147)이 설치되어 있는데, 피스톤(147)은 외경이 고정관부재(141)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외주면이 고정관부재(141)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피스톤(147)은 고정관부재(141)의 내벽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147)의 상면에는 연장로드(148)가 본체(110)의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하면에는 지지판을 향해 가이드로드(149)가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다.
탄성부재(152)는 가이드로드(149)를 감싸도록 지지판과 피스톤(147)의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단과 하단이 각각 피스톤(147)과 지지판에 지지되어 피스톤(147)을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연장로드(148)의 상부에는 푸시버튼(150)이 결합되며, 푸시버튼(150)은 상단이 뚜껑(117)의 관통홀(118)을 통해 본체(110)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푸시버튼(150)을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14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푸시버튼(150)을 누르면 연장로드(148)에 연결된 피스톤(147)이 고정관부재(141)의 내부에서 중공(142)을 따라 하방으로 하강하게 되며, 피스톤(147)의 하강에 따라 중공(142) 내부의 공기가 하방으로 밀려내려간다. 따라서 고정관부재(141) 내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공압이 형성되는데, 특히 협착부(144)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공기가 협착부(14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증속되며, 이 공기에 의해 구동팬(151)이 회전하고, 회전축(132)을 통해 구동팬(151)과 결합된 혼합팬(131) 역시 회전이 이루어져 저장공간(112)의 막걸리가 용액과 침전물이 상호 혼합된다.
혼합팬(131)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탄성부재(1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147)과 연장로드(148) 및 푸시버튼(150)은 다시 초기 위치로 상승하게 되며, 사용자가 복귀된 푸시버튼(150)을 재차 눌러 여러번 반복해 혼합팬(131)을 충분히 회전시키면 침전물이 완전히 용액과 혼합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용기를 직접 흔들거나 별도의 스틱부재를 삽입하여 휘저을 필요가 없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저장용기(100)는 운반과 저장이 용이하면서도 주둥이부(120)와 혼합유닛(130)을 통해 막걸리의 취식이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막걸리 저장용기(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막걸리 저장용기(200)는 본체(210)의 일측에 주둥이부(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안착홈(2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주둥이부(220)가 이 안착홈(211)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둥이부(220)는 본체(210)와 연결되는 단부측에 소정의 주름부(2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주름부(221)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안착홈(211)에 안착되거나 인출되도록 된다.
따라서 운반 및 보관시에는 주둥이부(220)를 안착홈(211)에 삽입시켜 점유공간을 최소화하고, 막걸리를 음용할 때에는 주둥이부(220)를 안착홈(211)으로부터 인출하여 일반 주전자의 주둥이처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혼합유닛(230)도 본체(210)에 저장된 막걸리의 침전물을 혼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뚜껑의 하면에 중공을 가지며 하방으로 연장된 관부재(231)가 마련되어 있고, 이 관부재(231)의 내부에는 상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2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부재(231)의 하단에는 커버부재(235)가 결합되며, 이 커버부재(235)에는 침전물을 혼합시키도록 회전하는 혼합팬(232)의 회전축(23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233)의 상단은 상기 관부재(231)의 내측에 위치하며 종동기어(236)가 마련되어 있다.
관부재(231)의 중공에는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승강로드(238)가 설 치되고, 승강로드(238)의 상부 일측에는 관부재(231)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된 걸림턱(240)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로드(238)가 관부재(231)에 결합될 때, 상기 걸림턱(240)과 관부재(231)의 지지턱(234)에 각각 양 단이 지지되도록 탄성부재(237)를 설치하여 승강로드(238)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도록 장착한다. 승강로드(238)의 상단에는 뚜껑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푸시버튼(239)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눌러 승강버튼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드(238)의 하단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기어치가 형성된 구동기어부(241)가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구동기어부(241)와 종동기어(236)는 각각 랙과 피니언 형태로 결합되어 승강로드(238)의 승강 또는 하강시 치합에 의해 종동기어(236)가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뚜껑의 상부에서 사용자가 푸시버튼(239)을 눌러 승강로드(238)를 하강시키면 승강로드(238)의 구동기어부(241)에 치합된 종동기어(236)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혼합팬(23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푸시버튼(239)을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23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승강로드(238)가 상승하게 되며, 이 때에도 구동기어부(241)와 종동기어(236)가 치합되어 있으므로 종동기어(236)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혼합팬(232)을 회전시키게 된다.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기능 및 형상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저장용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둥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혼합유닛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막걸리 저장용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혼합유닛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막걸리 저장용기
110; 본체
120; 주둥이부
121; 주름관 123; 콕부재
130; 혼합유닛
131; 혼합팬
140; 회전구동부
141; 고정관부재 147; 피스톤
150; 푸시버튼 151; 구동팬
152; 탄성부재

Claims (3)

  1. 삭제
  2. 소정의 저장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는 주둥이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을 혼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혼합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미 사용시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어서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최소화 되도록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길이가 신축 가능한 주름관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용물을 혼합시키는 혼합팬과, 상기 혼합팬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인력에 의해 상기 혼합팬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혼합팬의 회전시 상기 내용물이 용이하게 회전하여 혼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 저장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는 고정관부재와,
    상기 고정관부재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경이 상기 고정관부재의 내경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관부재의 중공을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상단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로드와,
    상기 연장로드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본체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연장로드 및 피스톤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푸시버튼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관부재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에 지지되어 상기 피스톤을 상기 본체의 상단을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관부재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팬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고정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이 고정관부재의 내부에 하방으로 진행할 때 피스톤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혼합팬을 회전시키는 구동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 저장용기.
KR1020090106983A 2009-11-06 2009-11-06 막걸리 저장용기 KR101159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83A KR101159264B1 (ko) 2009-11-06 2009-11-06 막걸리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83A KR101159264B1 (ko) 2009-11-06 2009-11-06 막걸리 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132A KR20110050132A (ko) 2011-05-13
KR101159264B1 true KR101159264B1 (ko) 2012-06-22

Family

ID=4436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983A KR101159264B1 (ko) 2009-11-06 2009-11-06 막걸리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02Y1 (ko) * 2012-05-03 2013-12-02 변윤연 음료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180Y1 (ko) * 1991-03-06 1993-03-18 최승진 정수 장치를 갖는 주전자
KR960014379U (ko) * 1994-10-13 1996-05-17 최원철 자바라식 음료토출관이 내장된 음료용기
KR200434873Y1 (ko) * 2006-09-28 2006-12-28 허남순 막걸리 냉각장치
KR20090010424A (ko) * 2007-07-23 2009-01-30 이상철 탁주 보관통 및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180Y1 (ko) * 1991-03-06 1993-03-18 최승진 정수 장치를 갖는 주전자
KR960014379U (ko) * 1994-10-13 1996-05-17 최원철 자바라식 음료토출관이 내장된 음료용기
KR200434873Y1 (ko) * 2006-09-28 2006-12-28 허남순 막걸리 냉각장치
KR20090010424A (ko) * 2007-07-23 2009-01-30 이상철 탁주 보관통 및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132A (ko) 201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9119B2 (en) Mug with stirring mechanism
US20200146509A1 (en) Magnetic mixing apparatus
US9089239B2 (en) Infuser with solid region to selectively stop infusion and vessel for said infuser
US20110162532A1 (en) Integrated beverage infuser lid
KR101218258B1 (ko)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US20120269025A1 (en) Beverage container
US20050263414A1 (en) Dispensing capsule
AU2004314015A1 (en) Device for sealing food product containers and food product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device
US8020696B2 (e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and mixing at least two materials
US10479968B2 (en) Single stage winemak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159264B1 (ko) 막걸리 저장용기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20100012408U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101718248B1 (ko) 스푼이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US20210221596A1 (en) Device for presentation of an ice cream
CN110683170A (zh) 一种茉莉花绿茶用茶叶罐
GB2425937A (en) Beverage container with cooling/mixing means
US20170303725A1 (en) Apparatus,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infusion of material in a liquid
JP4458337B2 (ja) 飲料容器
KR200314352Y1 (ko) 휴대용 2중 용기
KR200201885Y1 (ko) 분유량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분유용기
KR200352133Y1 (ko)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
KR101718247B1 (ko) 연장관이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KR200271145Y1 (ko) 캔에 탈착가능한 혼합주 제조용기
KR20160107654A (ko) 칵테일원액 믹스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