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133Y1 -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 - Google Patents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133Y1
KR200352133Y1 KR20-2004-0005463U KR20040005463U KR200352133Y1 KR 200352133 Y1 KR200352133 Y1 KR 200352133Y1 KR 20040005463 U KR20040005463 U KR 20040005463U KR 200352133 Y1 KR200352133 Y1 KR 200352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receiving portion
bottle
locking jaw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환
Original Assignee
이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환 filed Critical 이동환
Priority to KR20-2004-0005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 안쪽에 수용부 상판(21)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11)을 포함하는 외부캡(1); 내부에 별도의 액체 또는 고체분말의 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외부에 내부캡의 상부걸림턱이 지지될 수 있는 걸림돌기(22) 및 하부걸림턱(23)을 포함하고, 바닥면에는 전체 면적의 1/2 이하로 수용물 배출구(24)를 가지는 수용부(2); 및 상기 수용부(2)에 결합되어 처음에는 수용부의 상부걸림돌기(22)에 의하여 지지되다가, 외부캡(1)의 회전에 의해 수용부(2)가 상승시 하부걸림턱(23)에 체결될 수 있는 상부걸림턱(31)과, 그 외부에 일정한 힘이 전달될 때까지 병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1개 이상의 걸림돌기(32)를 가지고, 또한 바닥면에는 전체면적의 1/2이하로 수용물 배출구(33)를 가지는 내부캡(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병뚜껑은, 혼합시 변질되기 쉬운 음료나 주류를 즉석에서 제조함으로써, 음료등의 보존기간을 늘릴수 있으며, 원터치 방식으로 혼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상 편의성이 있다.

Description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Cap for beverage including deposite part}
본 고안은 내부에 별도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혼합음료(혼합주류를 포함한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 첨가물을 별도의 용기에서 혼합하여 이용하거나, 이미 혼합되어 있는 혼합음료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별도의 용기에서 이를 혼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를 혼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용기가 필요하고, 또한 혼합비율이 일정하지 아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들이 불편을 겪어왔다.
이 때문에, 미리 이들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제품이 나타나게 되었으나, 이들은 사용자가 음용하기 훨씬 이전에 이미 음료를 혼합한 상태이기 때문에, 맛이나, 보존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두가지 성분이 혼합되어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즉석에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에 비하여 맛이나, 영양면에서 현저하게 떨어지며, 또한 보존기간 면에서도 변질의 우려가 높아 다양한 음료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료수의 병뚜껑에 별도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형태의 음료용 병이 개발되었다. 실용신안등록 공개번호 제2000-18630호에서는, 술병의 주둥이에 결합되는 술병뚜껑을 형성함에 있어 술병뚜껑에 공간부를 형성시키고 다시 뚜껑으로 밀폐되도록 하며, 공간부에는 소형병을 넣을 수 있도록 구성한 술병이 개시되어 있는바,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뚜껑부에 삽입된 소형병을 열고, 이를 술병에 혼합함으로써, 즉석에서 혼합주류를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이들 역시 별도로 수납된 병을 열어 혼합하여야 하므로 그 혼합시 주의가 요구되며, 뚜껑의 제조에도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널리 적용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그 밖에도, 대한민국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3-96162호에서는 별도의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병뚜껑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는바, 이는 병뚜껑의 마개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윗마개를 열면 뚜껑내의 액체가 병속으로 투입되고, 다시 윗마개를 닫아 흔들게 됨으로써 내용물을 혼합한 후에, 아래마개를 열어 내용물을 따를 수 있게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별도로 2개의 마개를 제조하여야 하는 부담과 아울러, 사용자가 뚜껑을 여러번 열고 닫는 동작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터치로 간편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가진 음료용 병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외부캡의 형태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수용부의 형태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내부캡의 형태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병뚜껑을 병에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고안의 병뚜껑을 병에 결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고안의 병뚜껑을 180°회전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고안의 병뚜껑이 병으로부터 완전이 이탈된 상태는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외부캡 11 : 공간
12 : 제2나선홈 2 : 수용부
21 : 수용부 상판 22 : 수용부의 걸림돌기
23 : 하부걸림턱 24 : 수용부의 수용물배출구
3 : 내부캡 31 : 상부걸림턱
32 : 내부캡의 걸림돌기 33 : 내부캡의 수용물 배출구
4 : 병목 41 : 제1나선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안쪽에 수용부 상판(21)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11)을 포함하는 외부캡(1); 내부에 별도의 액체 또는 고체분말의 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외부에 내부캡의 상부걸림턱이 지지될 수 있는 걸림돌기(22) 및 하부걸림턱(23)을 포함하고, 바닥면에는 전체 면적의 1/2 이하로 수용물 배출구(24)를 가지는 수용부(2); 및 상기 수용부(2)에 결합되어 처음에는 수용부의 상부걸림돌기(22)에 의하여 지지되다가, 외부캡(1)의 회전에 의해 수용부(2)가 상승시 하부걸림턱(23)에 체결될 수 있는 상부걸림턱(31)과, 그 외부에 일정한 힘이 전달될 때까지 병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1개 이상의 걸림돌기(32)를 가지고, 또한 바닥면에는 전체면적의 1/2이하로 수용물 배출구(33)를 가지는 내부캡(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을 제공한다.
상기 외부캡(1)의 내부에는 병의 제1나선홈(41)에 대응되는 제2나선홈(12)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병뚜껑의 수용부에 녹차, 커피, 꿀, 매실추출물, 꿀, 오이추출물, 레몬추출물, 체리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액기스가 충진되고, 병 내에는 생수, 소주, 위스키, 맥주 또는 청주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병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병뚜껑을 한번 회전시킴으로 인하여 내용물이 혼합되도록 하며, 한번의 동작으로 혼합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병뚜껑은 외부캡(1), 수용부(2) 및 내부캡(3)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캡과 수용부는 외부캡의 공간(11)에 수용부 상판(21)이 끼워짐으로써 결합된다. 이들의 결합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억지끼워맞춤등의 물리적인 방법으로 직접 결합되거나, 혹은 접착제등을 이용한 화학적인 결합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외부캡(1)의 재질은 통상적인 병뚜껑의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며,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철 혹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알루미늄 또는 철 재질의 경우에는, 공간(11)부에 합성수지로 된 결합부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수용부(2) 및 내부캡(3)의 재질은 합성수지 재질이 바람직하며, 특히 PET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한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그 밖에도 PS, PE 또는 PP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캡(1)의 내부에는 수용부 상판(21)이 결합되는 공간(11)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병목(4)의 상부에 병뚜껑과 결합되는 제1나선홈(41)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되는 제2나선홈(12)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병뚜껑을 회전시키게 될 때, 서로 맞물리면서 작동된다.
상기 수용부(2)는 상단부가 막혀있고 하단부는 수용물 배출구에 의하여 일부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단부에는 수용부 상판(21)이, 그리고, 하단부 외주면에는 하부걸림턱(23)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단부 외주면에는 내부캡(3)의 상부걸림턱(31)이 지지될 수 있는 걸림돌기(22)가 있는데, 평상시에는 상부걸림턱(31)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다가, 병뚜껑의 회전에 의하여 외부캡과 결합된 수용부가 상승하게 될 때에는 그 힘에 의하여 걸림돌기(22)가 아래방향으로 꺽이게 되면서 하부걸림턱(23)에 도달달 때까지 계속하여 수용부(2)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하기 기술하는 수용물을 저장한다.
상기 내부캡(3)은 상단부가 개방되고, 하단부는 수용물 배출구에 의하여 일부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단부 외주면에는 평상시에는 수용부의 걸림돌기(22)에 지지되고, 병뚜껑이 회전시에는 하부걸림턱(23)에 결합될 수 있는 상부걸림턱(31)이 있으며, 중단부 외주면에는 병목(4)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걸림돌기(3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2)와 내부캡(3)의 수용물 배출구(24, 33)는 전체 바닥면적의 1/2 이하의 크기로 이루어지는바, 이는 수용부에 저장된 수용물이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부와 내부캡이 결합된 후에, 수용물을 충진하고 내부캡을 회전시켜 완전히 밀폐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과정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부를 외부캡에 밀어서 끼워넣은 후에, 외부캡을 회전하여 수용물 배출구(24, 33)이 일치되도록 한 후, 이를 통하여 수용물을 충진한다. 수용물이 충진된 후에는, 다시 외부캡을 회전하여 수용물 배출구(24, 33)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수용물이 완전히 밀폐되도록 한 후에, 이를 외부캡의 공간(11)에 끼워넣어 완성하게 된다.
상기 완성된 외부캡, 수용부 및 내부캡의 결합체(이하 '뚜껑부'라 한다)은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도 7과 같이 병과 결합하게 된다.
본 고안의 사용방법은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캡(1)의 상단을 잡고 뚜껑을 180°정도 회전시키게 되면, 외부캡에 결합되어 있는 수용부(2)의 바닥면이 내부캡(3)과 떨어지면서, 수용부 내에 충진되어 있던 수용물이 내부캡 내의 수용물 배출구(33)를 통하여 아래로 떨어지게 되나, 내부캡의 걸림돌기(32)에 의하여 병은 계속 밀폐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수용물이 모두 배출구(24, 33)를 통하여 떨어진 후에, 병을 가볍게 흔듬으로써 수용물이 음료에 완전히 용해될 수 있도록 한 후, 뚜껑을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내부캡의 상부걸림턱(31)이 수용부의 하부걸림턱(23)에 맞물리게 되어 결국, 내부캡이 결합된 채로 전체 뚜껑부가 병에서 빠지게 된다.
본원고안의 병뚜껑은, 통상적인 음료수에 널리 적용가능하며, 주류의 경우에도 적용가능한바, 이는 병 내부 및 상기 수용부에 충진되는 성분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음료수에 적용되는 경우는, 생수나 주스등을 병 내에 주입한 후에, 병뚜껑의 수용부에는 녹차, 커피, 꿀, 과즙 또는 이들의 혼합액기스 혹은 분말 등을 주입하게 되면, 사용시에 이들을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 혼합된 종래의 주스등에 비하여 그 보존일수가 증가하게 되는바, 이는, 고농도의 액기스 형태로수용부에 보관되기 때문에 삼투압이 증가하여 세균의 번식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주류에 적용되는 경우는, 소주나 위스키등을 병 내에 주입한 후에, 병뚜껑의 수용부에 매실, 꿀, 오이, 레몬, 체리 또는 이들의 혼합액기스 혹은 분말 등을 주입하게 되면, 사용시에 이들을 혼합하여 칵테일 형태로 음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용부에 레몬액기스를, 그리고 병 내에 소주를 충진시킨 경우, 사용자가 병을 180°회전시켜 흔드는 것만으로 레몬소주를 즉석에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기존에 존재하는 소주병에 있어서, 단순히 뚜껑에 본 고안을 적용시키는 것만으로 혼합주류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혼합공정등이 필요없게 된다.
본원고안은 음료용 병의 제조시에 병과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나, 본원고안의 병뚜껑 자체만으로도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수용물을 포함하는 본원고안의 병뚜껑을 별도로 제조한 후에, 통상의 음료수병의 뚜껑을 제거한 후, 본원고안의 병뚜껑을 끼워넣음으로써 혼합음료를 즉석에서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적용한 결과, 종래의 꿀을 함유한 음료의 경우, 유통기한이 6개월을 넘기게 되면, 변질의 위험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 의한 경우, 최장 2년의 기간까지 보관이 가능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은,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한번의 동작으로 수용물을 희석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생산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에 있어서,
    안쪽에 수용부 상판(21)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11)을 포함하는 외부캡(1);
    내부에 별도의 액체 또는 고체분말의 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외부에 내부캡(3)의 상부걸림턱(31)이 지지될 수 있는 걸림돌기(22) 및 하부걸림턱(23)을 포함하고, 바닥면에는 전체 면적의 1/2 이하로 수용물 배출구(24)를 가지는 수용부(2); 및
    상기 수용부(2)에 결합되어 처음에는 수용부의 상부걸림돌기(22)에 의하여 지지되다가, 외부캡(1)의 회전에 의해 수용부가 상승시 하부걸림턱(23)에 체결될 수 있는 상부걸림턱(31)과, 그 외부에 일정한 힘이 전달될 때까지 병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1개 이상의 걸림돌기(32)를 가지고, 또한 바닥면에는 전체면적의 1/2이하로 수용물 배출구(33)를 가지는 내부캡(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1)에 병의 제1나선홈(41)에 대응되는 제2나선홈(12)이 추가로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병뚜껑의 수용부에 녹차, 커피, 꿀, 매실추출물, 꿀, 오이추출물, 레몬추출물, 체리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액기스가 충진되고, 병 내에는 생수, 소주, 위스키, 맥주 또는 청주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병.
KR20-2004-0005463U 2004-03-02 2004-03-02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 KR200352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463U KR200352133Y1 (ko) 2004-03-02 2004-03-02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463U KR200352133Y1 (ko) 2004-03-02 2004-03-02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133Y1 true KR200352133Y1 (ko) 2004-06-04

Family

ID=4943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463U KR200352133Y1 (ko) 2004-03-02 2004-03-02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1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572B1 (ko) * 2009-12-15 2012-04-17 대상 주식회사 포장 용기
KR101538759B1 (ko) * 2013-05-30 2015-07-24 김성훈 용기 마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572B1 (ko) * 2009-12-15 2012-04-17 대상 주식회사 포장 용기
KR101538759B1 (ko) * 2013-05-30 2015-07-24 김성훈 용기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2497B2 (en) Container facilitating mixed beverage preparation
US20080277310A1 (en) Segregated Container Packaging for Liquids
US10420361B2 (en) Citrus press drinking vessel
KR20140083585A (ko)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
CN104755386A (zh) 双液式饮料容器
KR200352133Y1 (ko)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US20040256401A1 (en) Beverage container attachment
US20110266247A1 (en) Mixed drink system
CN211663814U (zh) 一种瓶盖及饮料瓶
KR100360035B1 (ko)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RU2684511C1 (ru) Капсульное меха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KR101424381B1 (ko)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US20200377281A1 (en) 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s for mixed drinks
KR200200551Y1 (ko) 병 뚜껑이 달린 용기
KR200455718Y1 (ko) 리필수단이 구비된 음료용기
KR200285759Y1 (ko) 액체분사용기
KR200263019Y1 (ko) 첨가제를 수용한 음료용 병
CN213975265U (zh) 一种瓶盖
KR101922330B1 (ko) 병마개
CN212654704U (zh) 上下双盖式容器构造
KR20100000038A (ko) 병뚜껑 구조
WO2021031945A1 (zh) 一种瓶盖及饮料瓶
KR200182100Y1 (ko)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101415869B1 (ko) 와류형성 돌기가 구비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