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035B1 -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035B1
KR100360035B1 KR1019990059533A KR19990059533A KR100360035B1 KR 100360035 B1 KR100360035 B1 KR 100360035B1 KR 1019990059533 A KR1019990059533 A KR 1019990059533A KR 19990059533 A KR19990059533 A KR 19990059533A KR 100360035 B1 KR100360035 B1 KR 100360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container
packing
food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712A (ko
Inventor
강봉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노모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노모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노모아
Priority to KR101999005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035B1/ko
Priority to KR2019990029057U priority patent/KR20018210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5Upper closure of the 4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81Lower closure of the 43-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협하광하며 상부의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와, 내부에 패킹이 접합된 마개가 상기 용기의 개구부 외측으로 결합되어 밀봉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식품용기에 내장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패킹의 저면 중앙에 하측으로 연장되는 결합부와; 상기 패킹의 저면에 접하고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접하면서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 하단의 내측으로 연결된 지지판과 지지판의 중앙에 천공된 결합공을 갖는 지지부재 및 상기 패킹의 결합부에 끼워지는 개구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그 하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공에 결합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끼워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식품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병마개를 개방하면 내장되어있던 식품용기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거나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따를 때에 혼합되거나 음료용기 내에서 혼합되도록 하여 흥미를 느끼게 하고, 식품용기에 담겨져 있던 청량음료, 액즙음료 및 이종의 주류음료 등이 병에 담겨있던 내용물과 혼합되어 즉석에서 최상의 맛과 향 등이 혼합된 칵테일을 얻을 수 있으며, 식품용기에 담겨진 술안주를 즉석에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A BEVERAGE BOTTLE INCORPORATING A FOOD VESSEL}
본 발명은 청량음료, 액즙음료 및 주류 등의 각종 음료용기에 있어서, 음료용기의 개구부 내측에 안주 또는 각종 농축엑기스를 담은 식품용기를 내장하여 정량음료, 액즙음료 또는 주류 등의 음료의 내용물을 마실 때에 식품용기로부터 안주를 꺼내어 먹거나 식품용기에 담겨진 농축엑기스를 혼합하여 칵테일 할 수 있는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량음료 및 액즙음료 등은 음료의 특성에 알맞은 향기, 빛깔 및 맛을 제공하기 위하여 무미무취한 맑은 물에 소량의 응축된 엑기스를 혼합하여 만들게 되며, 완성된 음료는 용기에 저장하여 판매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음료는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구매하여 단순하게 섭취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다.
또한, 주류 등의 음료 역시 음료의 특성에 알맞은 향기, 빛깔 및 맛을 갖는 내용물을 용기에 담아서 공급하게 되므로 공급된 음료를 그대로 섭취하거나 맛과 향기 등을 돋우기 위하여 다른 음료 및 응축된 엑기스를 혼합하여 마시게 된다.
상기 맛과 향기 등을 돋우기 위한 방법으로는 주 음료를 별도의 잔에 따른 후 추가하고자 하는 다른 음료 및 응축된 엑기스를 넣어 혼합하는 것이므로 마시는 본인에게는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으나 혼합하기 위한 별도의 잔 및 재료들이 필요하여 불편함은 물론 혼합하는 비율의 조절이 어려워 소망하는 혼합 음료를 제대로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류 음료의 경우 술안주가 필요하게 되는데 현재는 주류 음료와 안주를 별개로 판매함으로써 소량(하나의 병)의 주류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과다한 술안주를 구매하게 되므로 과소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량음료, 액즙음료 및 주류음료 등의 음료용기의 개구부 내측에 내장된 식품용기에 각종 농축엑기스 또는 이종의 주류를 담은 상태에서 출하된 후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병마개를 개방하면 내장되어있던 식품용기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거나 낙하하여 내용물을 따를 때에 혼합되거나 음료용기 내에서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흥미를 느끼게 하고 즉석에서 최상의 맛과 향 등이 혼합된 칵테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류 음료용기의 개구부 내측에 내장된 식품용기에 건포, 땅콩 등을 담아서 내용물을 섭취할 때 술안주로 먹을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일부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일부 도시한 단면도,
도 6b는 도 5a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마개 2 : 패킹
3 : 지지부재 4 : 식품용기
5, 5' : 용기 6 : 중량체
21 : 결합부 31 : 지지대
32 : 지지판 33 : 결합공
41 : 개구부 42 : 절취홈
43 : 걸림부 51, 51' : 개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상협하광하며 상부의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와, 내부에 패킹이 접합된 마개가 상기 용기의 개구부 외측으로 결합되어 밀봉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저면중앙에 하측으로 연장되는 결합부와; 상기 패킹의 저면에 접하고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접하면서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 하단의 내측으로 연결된 지지판과 지지판의 중앙에 천공된 결합공을 갖는 지지부재 및 상기 패킹의 결합부에 끼워지는 개구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그 하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공에 결합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끼워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식품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의 분해사시도로서, 부호 5 및 5'는 통상의 정량음료, 액즙음료 및 주류음료 등의 내용물을 개구부(51,51')로 주입 및 따를 수 있는 상협하광한 통상의 용기이며, 부호 1 및 1'는 상기용기(5,5')들의 개구부(51,51')에 결합될 때 나사 또는 압착 방식에 의하여 밀봉되는 통상의 마개이고, 부호 2는 패킹, 부호 3은 지지부재, 부호 4는 식품용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패킹(2)은 상기 마개(1,1')의 내측에 접합되어 상기 용기(5,5')에 내용물을 담은 후 개구부(51,51')를 밀봉시키게 되며, 중앙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1)를 형성하여 상기 식품용기(4)의 개구부(41)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21)는 도 2b와 같이 식품용기(4)의 개구부(41)가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형성하거나 도 3과 도 7에서와 같이 나사로 형성하여 체결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1)와 식품용기(4)의 개구부(41)의 결합방법을 반대로(미도시)하여 식품용기(4)의 개구부(41)가 외측으로 끼워지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지지부재(3)는 상부가 상기 패킹(2)의 저면에 접하고 하부가 상기 용기 (5,5')의 개구부(51,51')에 접하면서 내용물의 인출에 방해가 없도록 사방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대(3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31) 하단의 내측으로 연결된 지지판(32)과 지지판(32)의 중앙에 천공된 결합공(3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 (3)의 소재는 밀폐가 가능하면서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신체에 무해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성형하게 된다. 상기 결합공(33)은 후술되는 식품용기(4)의 결합부(43)가 끼워지는 곳으로 식품용기(4)가 회전되지 않도록 원형을 제외한 타원형 및 다각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식품용기(4)는 상기 패킹(2)의 결합부(21)에 끼워지는 개구부(41)가 상부에 형성되고, 그 하부에 상기 지지부재(3)의 결합공(33)에 결합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끼워지는 걸림부(43)가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킹(2)의 결합부(21)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끼워지거나 나사 방식에 의하여 끼워져 밀봉되며, 걸림부(4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3)의 결합공(33)과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어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식품용기(4)에 담겨지는 내용물에 따라 지지부재(3)의 결합공(33)에 식품용기(4)의 결합부(43)가 회전되지 않도록 끼워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성과, 억지끼워맞춤에 의한 고정, 신체에 무해한 접착제 또는 초음파로 접합시켜 유지시키는 구성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식품용기(4)에 담는 내용물과 용기(5,5')의 내용물을 함께 따르면서 혼합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용기(5,5')에 담겨진 내용물과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식품용기(4) 걸림부(43)의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절취홈(42)을 형성하여 마개(1,1')를 열면 절취홈(42)이 잘라지면서 식품용기(4)가 낙하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낙하되는 식품용기(4)가 기울어지면서 담겨진 내용물이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도 2b에서와 같이 신체에 무해한 금속 또는 석재 등의 중량체(6)를 상측에 신체에 무해한 통상의 접착재로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식품용기(4)의 형상은 도면에서 용기(5,5')와 동일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담는 내용물에 따라 그 형상을 원통형상, 다각형상 또는 동물형상 등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며, 식품용기(4)에 담겨지는 내용물도 용기(5,5')에 담겨진 내용물에 따라 건포, 땅콩, 해바라기 씨, 건포도, 호두, 잣 및 은행 등의 술안주 또는 맛, 향기, 빛깔 등을 가미하기 위하여 이종의 주류, 각종의 엑기스(인삼, 녹차, 오이, 오미자, 체리, 메실, 레몬 …)를 담게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식품용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용기(5,5')의 내용물에 식품용기(4)에 담겨진 내용물을 혼합시켜 맛, 향기, 빛깔 등을 가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첨부된 도 2a 및 5a와 같이 밀봉된 상태에서 손 또는 오프너를 이용하여 마개(1,1')를 따개 되면 식품용기(4)의 절취홈(42) 부분이 잘라지면서 마개(1,1')는 병(1,1')의 개구부(51,51')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첨부된 도 2b 및 5b와 같이 식품용기(4)는 낙하하게 되고, 낙하되는 식품용기(4)에 담겨진 내용물은 용기(1,1')에 담겨져 있던 내용물과 혼합된다. 이때 낙하되는 상태, 혼합되는 빛깔 등을 통하여 흥미를 높이게 되고, 혼합된 내용물을 통하여 소망하는 맛과 향 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낙하되는 식품용기(4)에 중량체(6)가 부착된 경우에는 식품용기(4)가 중량체의 무게에 의하여 기울어지면서 절단된 개구부로부터 내용물이 용이하게 흘러나오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칵테일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첨부된 도 4a 및 4b와 같이 식품용기(4)에 술안주를 담은 경우에는 지지부재(3)의 결합공(33)에 식품용기(4)의 결합부(43)가 억지끼워맞춤되어 고정되도록 결합되거나 접합시킨 상태에서 판매가 되며, 상기 상태에서 마개(1)를 열면 식품용기(4)의 절취홈(42)이 잘라지면서 마개(1)는 분리되고, 이어서 지지부재(3)를 병(5)의 개구부(51)로부터 빼내면 식품용기와 함께 인출되며, 인출된 식품용기(4)에 담겨진 술안주를 먹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첨부된 도 6a 및 6b와 같이 식품용기(4)에 담겨진 이종의 주류 또는 각종 엑기스와 병(5')에 담겨진 내용물을 별도의 잔에 따를 때에 혼합되는 경우에도 역시 지지부재(3)의 결합공(33)에 식품용기(4)의 결합부(43)가 억지끼워맞춤되어 고정되도록 결합되거나 접합시킨 상태와 식품용기(4)의 절취홈(42)이 없는 상태에서 판매가 되며, 상기 상태에서 마개(1')를 열면 마개(1')의 내측에 접합되어 있던 패킹(2)의 결합부(21)가 식품용기(4)의 개구부(41)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마개(1')와 함께 병(5')의 개구부(51')에서 분리되고, 상기 상태에서 병(5')을 기울여 따르게되면 병(5')과 식품용기(4)에 담겨있던 각각의 내용물을 함께 따라지면서 혼합되므로 원하는 맛과 향을 갖는 음료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병마개를 개방하면 내장되어있던 식품용기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거나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따를 때에 혼합되거나 음료용기 내에서 혼합되도록 하여 흥미를 느끼게 하고, 식품용기에 담겨져 있던 청량음료, 액즙음료 및 이종의 주류음료 등이 병에 담겨있던 내용물과 혼합되어 즉석에서 최상의 맛과 향 등이 혼합된 칵테일을 얻을 수 있으며, 식품용기에 담겨진 술안주를 즉석에서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5)

  1. 상협하광하며 상부의 개방된 개구부(51,51')를 가지는 용기(5,5')와, 내부에 패킹(2)이 접합된 마개(1,1')가 상기 용기(5,5')의 개구부(51,51') 외측으로 결합되어 밀봉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패킹(2)의 저면 중앙에 하측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1)와;
    상기 패킹(2)의 저면에 접하고 상기 용기(5,5')의 개구부(51,51')에 접하면서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대(3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31) 하단의 내측으로 연결된 지지판(32)과 지지판(32)의 중앙에 천공된 결합공(33)을 갖는 지지부재(3); 및
    상기 패킹(2)의 결합부(21)에 끼워지는 개구부(41)가 상부에 형성되고, 그 하부에 상기 지지부재(3)의 결합공(33)에 결합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끼워지는 걸림부(43)가 형성되는 식품용기(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4)의 걸림부(43)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절취홈(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2)의 결합공(33)에 끼워지는 식품용기(4)의 걸림부(43)가 지지판에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4)의 형상이 상기 용기(5,5')와 동일 형상이거나 원통형상, 다각형상 또는 동물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4)의 상부 외측에 신체에 무해한 금속 또는 석재의 중량체(6)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1019990059533A 1999-12-20 1999-12-20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100360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533A KR100360035B1 (ko) 1999-12-20 1999-12-20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2019990029057U KR200182100Y1 (ko) 1999-12-20 1999-12-21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533A KR100360035B1 (ko) 1999-12-20 1999-12-20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057U Division KR200182100Y1 (ko) 1999-12-20 1999-12-21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712A KR20000012712A (ko) 2000-03-06
KR100360035B1 true KR100360035B1 (ko) 2002-11-21

Family

ID=1962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533A KR100360035B1 (ko) 1999-12-20 1999-12-20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0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019A (ko) * 2001-10-16 2001-12-24 김서기 첨가제를 수용한 음료용 병
CN105984639A (zh) * 2015-03-05 2016-10-05 李强 带有干果仁、肉脯、糖品类储盒的饮食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961A (ko) * 2002-06-18 2003-12-31 김승섭 위조방지용 병뚜껑
KR200336224Y1 (ko) * 2003-08-07 2003-12-18 김청균 마개를 열 때 분리 보관된 내용물이 혼합되는 이중 용기조립체
KR100794167B1 (ko) 2006-06-15 2008-01-14 강승주 이종물질 낙하 및 혼합용 병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019A (ko) * 2001-10-16 2001-12-24 김서기 첨가제를 수용한 음료용 병
CN105984639A (zh) * 2015-03-05 2016-10-05 李强 带有干果仁、肉脯、糖品类储盒的饮食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712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695B1 (ko) 음료 용기의 캡 구조
US5673789A (en) Drinking cup package
US6527109B2 (en) Container cap with liquid-dissolvable additive
US6609612B2 (en) Closure with selectively operable dispense feature
US20080169265A1 (en) Bottle allowing connection in series
KR100360035B1 (ko)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20080016771A (ko) 용기 출구용 뚜껑 구조체
US9902537B2 (en) Multipurpose bottle cap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040256401A1 (en) Beverage container attachment
US20090120892A1 (en) Bottle delivery system and methods thereof
KR200182100Y1 (ko)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JPH10117692A (ja) 氷 菓
US84691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n additive into a beverage
KR20090008895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US20050155974A1 (en) Drinking vessel designed to incorporate an alcoholic beverage container
CN211663814U (zh) 一种瓶盖及饮料瓶
KR200285759Y1 (ko) 액체분사용기
KR200200551Y1 (ko) 병 뚜껑이 달린 용기
KR20090004375U (ko) 이중용기구조
KR200352133Y1 (ko)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
JP3072556U (ja) インスタント飲料瓶の蓋
KR200282144Y1 (ko) 컵 삽입용 이중용기
CZ37416U1 (cs) Šroubovací uzávěr s integrovanou nádržkou
KR200312217Y1 (ko) 고형물 혼합 음료수 및 음료용기
KR200254246Y1 (ko) 병마개를 겸한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