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375U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375U
KR20160000375U KR2020150008460U KR20150008460U KR20160000375U KR 20160000375 U KR20160000375 U KR 20160000375U KR 2020150008460 U KR2020150008460 U KR 2020150008460U KR 20150008460 U KR20150008460 U KR 20150008460U KR 20160000375 U KR20160000375 U KR 201600003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container
guide
groov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395Y1 (ko
Inventor
박현진
Original Assignee
박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진 filed Critical 박현진
Priority to KR2020150008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9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3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3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상호 지그재그 형태로 좌우 밀착 회전하여 용기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용기가 보관되는 냉장고나 수납장 등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제고(提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 양방향으로의 분할 회전에 의해 손의 동작이 원활하고 하방향으로의 가압력이 감쇄하여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용기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Height adjustable container}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상호 지그재그 형태로 좌우 밀착 회전하여 용기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용기가 보관되는 냉장고나 수납장 등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제고(提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 양방향으로의 분할 회전에 의해 사용자의 손의 동작이 원활하고 하방향으로의 가압력이 감쇄하여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용기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물이나 식재료 등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용기에 수납된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이때 각종 음식물이나 식재료 등이 보관되는 용기는 보관하고자 하는 양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준비되어야 하므로, 다수의 빈 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보관된 음식물이나 식재료 등의 양이 줄어든 경우에는 용기가 보관되는 냉장고 등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크기가 작은 용기에 옮겨 담아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 제 10-1218258 호에는 보관되는 음식물의 양에 따라 용기 내부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가 개시되어 있으나, 해당 용기는 그 외부의 형태는 동일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그 내부의 부피만이 조절되는 구조이므로, 용기의 불사용시나 소량의 음식물을 저장한 상태로 냉장고 등에 용기를 보관하는 경우, 그 공간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18258 호(2012.12.27.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용기가 보관되는 냉장고나 수납장 등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제고(提高)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상호 지그재그 형태로 양방향으로 분할하여 좌우 회전하여 사용자의 손의 동작이 원활하고 하방향으로의 가압력이 감쇄하여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용기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는,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순차 대칭적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배열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각 가이드홈과 수평적으로 연결되며 상하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홈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를 갖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내측 또는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각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제 2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몸체의 가이드 돌기가 상기 다수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됨에 따라 용기 전체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 밀착 회전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각 가이드홈의 수평 끝단에 교호적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상기 다수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의 상기 가이드홈 및 고정홈은 와상(臥狀)의 "Y" 자 형상으로 상하 반복하여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하측의 상기 가이드홈은 수직 가이드홈에 연통되어 상기 제 1 몸체의 바닥면까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양각 형태로 상기 제 1 몸체에 돌출되거나, 또는 음각 형태로 상기 제 1 몸체에 내입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는 수직된 다수의 몸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 사이의 틈을 밀폐시키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몸체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패킹 설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 설치홈은 최상측의 가이드홈 및 고정홈보다 상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는 용기 덮개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 덮개와 제 2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덮개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덮개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 패킹이 고정되는 안착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 및 고정홈의 단면 형상은 결합홈 형태이고, 이들에 끼워지는 상기 제 2 몸체의 가이드 돌기의 단면 형상은 결합돌기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용기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용기가 보관되는 냉장고나 수납장 등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의 높낮이 조절시에 몸체와 하부 몸체를 상호 지그재그 형태로 양방향으로 분할하여 좌우 회전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다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의 높낮이 조절이 지그재그 형태의 반복적인 좌우 밀착 회전에 의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용기 내부의 수직적인 가압력 영향을 줄일 수 있어 갑작스러운 외압에 의해 용기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용기 사이의 패킹이 있는 부분에서 내용물이 쉽게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부 몸체 사이에 고무링 형태의 패킹을 설치함으로써, 높이 조절시에 상부 몸체의 내벽면에 묻어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고무링 형태의 패킹이 상하부 몸체 사이에 밀착되어 상부 몸체의 가이드 돌기가 상기 높이 조절홈의 가이드홈 및 고정홈에서 의도치 않게 좌우회전하거나 급상승 또는 급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 및 고정홈의 상하측을 연결하는 상하측 연결부를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하여 용기의 일방향성 비대칭적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증가는 용이하나 그 감소가 어려운 경우, 상방향으로의 이동(높이 증가)이 하방향으로의 이동(높이 감소)보다 편하도록 하고, 반대로 내용물의 증가는 어려우나 그 감소가 용이한 경우, 하방향으로의 이동(높이 감소)이 상방향으로의 이동(높이 증가)보다 용이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가이드홈, 수직 가이드홈 및 고정홈의 다양한 단면 형상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상방향의 좌우 회전 및 하방향의 좌우 회전에 의한 가이드 돌기의 이동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동작 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결합 단면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1)는 각종 음식물이나 식재료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용기를 그 용도에 따라 높낮이 선택적으로 가변시키면서 사용하면서 구현된다.
여기서 높낮이는 하부 몸체인 제 1 몸체(10)가 상부 몸체인 제 2 몸체(20)에 삽입된 전체 길이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1)의 경우, 용기의 높낮이 조절시에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를 상호 지그재그 형태로 양방향으로 분할하여 점진적으로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이 조절 조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의 수직적인 가압력 영향을 줄일 수 있어 갑작스러운 외압 등에 의해 용기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용기 사이 패킹이 있는 부분에서 내용물이 쉽게 새는 현상(leakage)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1)는 외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순차 대칭적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가이드홈(14) 및 상기 각 가이드홈(14)과 수평적으로 연결되며, 상하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홈(16)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12)를 갖는 하부 몸체인 제 1 몸체(10); 및 상기 제 1 몸체(10)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각 가이드홈(14)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22)를 구비하는 상부 몸체인 제 2 몸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몸체(20)의 가이드 돌기(22)가 상기 다수의 고정홈(16)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용기 전체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진다.
즉,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제 2 몸체(20)의 가이드 돌기(22)가 상하 방향을 따라 순차 대칭적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가이드홈(14)을 따라 좌우 밀착 회전에 의해 가이드되고, 각 가이드홈(14)의 수평 끝단에서 교호적으로 대칭되게 배열된 다수의 고정홈(16)에 고정됨에 따라 제 1 몸체(10) 및 제 2 몸체(20)가 상호 결합되어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 1 몸체(10) 및 제 2 몸체(20)는 인체에 무해한 고분자 수지 또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10) 및 제 2 몸체(20)는 전자레인지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내열성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수납된 내용물이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내열성 유리로 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하부 몸체인 제 1 몸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10a)를 갖는 원통형상으로서, 외주면에는 적어도 1개의 높이 조절부(12)가 형성되며,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120도의 원주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세 개의 높이 조절부(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120도의 원주 방향으로 세 개의 높이 조절부(12)가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원주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2개 또는 4개의 높이 조절부도 가능하며, 본 고안에 있어 그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높이 조절부(12)는, 제 1 몸체(10)의 외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순차 대칭적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가이드홈(14) 및 상기 각 가이드홈(14)과 수평적으로 연결되며 상하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홈(16)이 양각(陽刻) 형태로 배열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다수의 가이드홈(14) 및 고정홈(16)이 횡방향으로 옆으로 눕혀진 와상(臥狀)의 "Y" 자 형상의 지그재그 형태로 상하 반복하여 배열된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홈(14) 중 최하측의 가이드홈(14)은 수직 가이드홈(15)에 연통되어 제 1 몸체(10)의 바닥면(10a)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몸체(10)가 제 2 몸체(20)에 삽입될 때, 가이드 돌기(22)는 수직 가이드홈(15)의 끝단에 삽입되어진다.
상기한 가이드홈(14) 및 고정홈(16)은 그 폭이 대략 5mm 정도가 바람직하나, 본 고안에 있어 그 폭 치수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가이드홈(14), 수직 가이드홈(15) 및 고정홈(16)의 단면 형상은 상협하광형(上狹下廣形)이고 이에 끼워지는 제 2 몸체(20)의 가이드 돌기(22)의 단면 형상도 또한, 상협하광형(上狹下廣形)으로 이루어져 결합후에는 쐐기형태가 되어 쉽게 분리되거나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다수의 가이드홈(14), 다수의 수직 가이드홈(15) 및 고정홈(16)으로 이루어지는 지그재그 형태의 높이 조절부(12)가 제 1 몸체(10)의 외측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 1 몸체(10)의 내측에 양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상부 몸체인 제 2 몸체(2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서, 그 내주면의 직경이 제 1 몸체(10) 외주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나, 실제 제 1 몸체(10) 및 제 2 몸체(20)의 결합시에는 양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4) 및 고정홈(16)에 의해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몸체(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몸체(10)의 세 쌍의 높이 조절부(12) 내에서 좌우 밀착 유동이 가능한 세 쌍의 가이드 돌기(22)가 120도의 원주 방향으로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1 몸체(10)의 외주면 상단부 측에는 제 2 몸체(20)의 맞닿는 지점을 견고하게 밀폐시키고 진공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고무링 형태의 패킹(18)이 패킹 설치홈(19)내에 고정된다. 상기 패킹 설치홈(19)은 최상측의 가이드홈(14) 및 고정홈(16)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무링 형태의 패킹(18)은 높이 조절시에 제 2 몸체(20)의 내면에 묻어있는 내용물을 쓸어 내줌으로써, 제 2 몸체(20)의 내면에 묻어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고무링 형태의 패킹(18)이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 사이에 밀착되어 제 2 몸체(20)의 가이드 돌기(22)가 높이 조절홈(12)의 가이드홈(14) 및 고정홈(16)에서 의도치 않게 좌우회전하거나 급상승 또는 급하강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2 몸체(20)의 상단에는 용기 내부를 밀폐시키는 용기 덮개(30)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2 몸체(20)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용기 덮개(30)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24)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 덮개(30)는 대략 원판형상을 갖는 몸체의 하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상기 제 2 몸체(20)의 나사산(24)과 대응되게 그 내주면에 나사산(32)이 형성된 결합부(31)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 덮개(30)와 제 2 몸체(20)는 탄성 돌기에 의한 결합 구조를 통해 체결되는 등 다양한 체결 방법에 의해 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용기 덮개(30)의 내주면 가장자리 부분에는 덮개 패킹(34)이 고정되는 안착홈(35)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덮개 패킹(34)에 의해 용기 덮개(30)와 제 2 몸체(20)가 밀폐되고 패킹(18)에 의해 제 2 몸체(20)와 제 1 몸체(10)의 틈이 밀폐되므로, 높낮이가 조절되면서도 내부를 밀폐하여 진공을 형성할 수 있어, 진공의 밀폐용기로서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인 제 2 몸체(20)의 가이드 돌기(22)를 하부 몸체인 제 1 몸체(10)의 수직 가이드홈(15)의 하측 끝단을 통해 삽입시켜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를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몸체(20)의 가이드 돌기(22)를 수직 가이드홈(15)을 따라 약간 수직 상승시킨 후, 와상(臥狀)의 "Y" 자 형상의 지그재그 형태로 상하 반복하여 배열된 다수의 가이드홈(14) 및 고정홈(16)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고정홈(16)에 위치하도록 하여 해당 용기의 부피(높이)를 최소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싱크대나 수납장 등의 보관 장소에 용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1)에 다량의 음식물이나 식재료 등을 넣을 보관할 시에는 제 2 몸체(20)(또는 제 1 몸체(10))를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을 1회씩 교차하여 좌우로 밀착 회전시켜 제 2 몸체(20)의 가이드 돌기(22)를 와상(臥狀)의 "Y" 자 형상의 지그재그 형태로 상하 반복하여 배열된 다수의 가이드홈(14) 및 고정홈(16)을 따라 계속적으로 상승시켜 제 1 몸체(10)의 높이 조절부(12) 최상측에 위치한 고정홈(16)에 위치하도록 하여 해당 용기의 부피가 최대화 되도록 한다.
물론, 해당 용기에 수납된 각종 음식물이나 식재료 등이 취식 등을 통해 그 양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상부몸체(20)의 결합돌기(22)를 와상(臥狀)의 "Y" 자 형상의 지그재그 형태로 상하 반복하여 배열된 다수의 가이드홈(14) 및 고정홈(16)을 따라 순차적으로 하방향으로 좌우로 밀착 회전시켜 교호적으로 상하로 배열된 다수의 고정홈(16)으로 순차 하향 이동하여 결합함으로써, 해당 용기의 내부 높이를 점진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100)에서는, 제 1 몸체(10)의 외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순차 대칭적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가이드홈(14) 및 상기 각 가이드홈(14)과 수평적으로 연결되며 상하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홈(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부(12)가 음각형태로 제 1 몸체(10)에 내입된 점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 1 몸체(10)의 높이 조절부(12)가 음각형태로 내입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 사이의 밀착력이 더욱 우수해져 진공의 밀폐용기로서 더욱 우수한 성능을 갖게 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다수의 가이드홈(14), 다수의 수직 가이드홈(15) 및 고정홈(16)으로 이루어지는 지그재그 형태의 높이 조절부(12)가 제 1 몸체(10)의 외측에 음각형태로 내입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 1 몸체(10)의 내측에 음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200)에서는, 하부 몸체인 제 1 몸체(10)와 상부 몸체인 제 2 몸체(20) 사이에 중간 몸체인 제 3 몸체(10A)를 개재하여 전체적으로 수직된 3단의 몸체로 형성하여 용기의 전체 높이를 더 크게 조절할 수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물론, 도시된 예에서는 수직된 3단의 몸체(10, 10A, 20)를 나타내고 있으나, 수직된 4단 이상의 다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있어 그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몸체인 제 1 몸체(10)는 외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순차 대칭적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가이드홈(14) 및 상기 각 가이드홈(14)과 수평적으로 연결되며, 상하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홈(16)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12)를 가지며, 이는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1)의 제 1 몸체(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물론, 상기 다수의 가이드홈(14) 중 최하측의 가이드홈(14)은 수직 가이드홈(15)에 연통된다.
상기 중간 몸체인 제 3 몸체(10A)는 그 내주면 하측에 적어도 1개의 가이드 돌기(22)가 원주 방향으로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그 외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순차 대칭적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가이드홈(14A) 및 상기 각 가이드홈(14A)과 수평적으로 연결되며, 상하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홈(16A)을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높이 조절부(12A)가 원주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가이드홈(14A) 중 최하측의 가이드홈(14A)은 수직 가이드홈(15A)에 연통된다.
아울러, 상부 몸체인 제 2 몸체(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중간 몸체인 제 3 몸체(10A)의 높이 조절부(12A) 내에서 좌우 밀착 유동이 가능한 가이드 돌기(22)가 원주 방향으로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중간 몸체인 제 3 몸체(10B)의 내주면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2A)는 제 1 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높이 조절부(12) 내에서 좌우로 밀착 회전이 가능해 제 1 몸체(10) 및 제 3 몸체(10A)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부 몸체인 제 2 몸체(20)의 내주면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2)는 중간 몸체인 제 3 몸체(10A)의 외주면에 형성된 높이 조절부(12A) 내에서 좌우로 밀착 회전이 가능해 제 1 몸체(20)와 제 3 몸체(10A)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3단 몸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가이드홈, 수직 가이드홈 및 고정홈의 다양한 단면 형상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4), 수직 가이드홈(15) 및 고정홈(16)의 단면 형상은 상광하협형(上廣下狹形)이고 이들에 끼워지는 제 2 몸체(20)의 가이드 돌기(22)의 단면 형상도 또한, 상광하협형(上廣下狹形)으로 이루어져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돌기(22), 가이드홈(14), 수직 가이드홈(15) 및 고정홈(16)의 단면 형상을 상광하협형(上廣下狹形)으로 함으로써, 단면 형상이 상협하광형(上狹下廣形)으로 된 도 2의 예와 비교하여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의 분리 후에 세척이 보다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22), 가이드홈(14), 수직 가이드홈(15) 및 고정홈(16)의 단면 형상이 상하동일형이거나,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22)의 단부에 쐐기 돌기가 형성되고, 가이드홈(14), 수직 가이드홈(15) 및 고정홈(16)의 단부에 쐐기 홈이 형성된 결합형일 수도 있다.
물론,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22)가 항아리 형태의 원통 돌기형일 수도 있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돌기(22), 가이드홈(14), 수직 가이드홈(15) 및 고정홈(16)의 단면 형상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가이드 돌기(22)의 단면 형상이 결합돌기 형태이고, 가이드홈(14), 수직 가이드홈(15) 및 고정홈(16)의 단면 형상이 결합홈 형태로 되어 결합후에는 쉽게 분리되거나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면 본 고안에 있어 그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상방향의 좌우 회전 및 하방향의 좌우 회전에 의한 가이드 돌기의 이동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동작 상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이드홈(14) 및 고정홈(16)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측 연결부(17a)와 다수의 가이드홈(14) 및 고정홈(16)의 상측을 연결하는 상측 연결부(17b)는 수직 방향에 대해 일직선 형태로 된 것이 아니라, 하측 연결부(17a)는 상측 연결부(17b)보다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더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폭(d) 참조) .
따라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의 좌우 회전시에는 하측 연결부(17a)가 상측 연결부(17b)보다 더 내측에 형성되어 결합돌기(22)가 다수의 경사진 가이드홈(14)을 타고 보다 쉽게 이동이 되어 해당 용기의 높이를 바로 쉽게 늘일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좌우 회전시에는 결합돌기(22)가 경사진 가이드홈(14)을 타고 내려가다가 하측 연결부(17a)의 상면측에 의해 지지되면서 바로 하방으로 이동되기 보다는 인접한 고정홈(16) 내측으로 가이드 되기 쉬운 구조가 되어 하방향의 이동이 도 10a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에 비해 더 어렵게 되어 하방향으로 이동이 고정홈(16)에서 약간 클릭 스탑(click-stop)식으로 제한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예에서는 하측 연결부(17a)가 상측 연결부(17b)보다 더 내측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상측 연결부(17b)가 하측 연결부(17a)보다 더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 10a 및 도 10b와 반대로 하방향의 좌우 회전이 상방향의 좌우 회전보다 더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100, 200: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들
10: 제 1 몸체 12, 12A: 높이 조절홈
14, 14A: 가이드홈 15, 15A: 수직 가이드홈
16, 16A: 고정홈 17a; 하측 연결부
17b: 상측 연결부 18: 패킹홈
19: 패킹 설치홈 10A: 중간 몸체
20: 제 2 몸체 22: 가이드 돌기
24, 32: 나사산 30: 용기 덮개
31: 결합부 34: 덮개 패킹
35: 안착홈

Claims (10)

  1.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순차 대칭적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배열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각 가이드홈과 수평적으로 연결되며 상하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홈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를 갖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내측 또는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각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제 2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몸체의 가이드 돌기가 상기 다수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됨에 따라 용기 전체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 밀착 회전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각 가이드홈의 수평 끝단에 교호적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상기 다수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됨에 따라 용기 전체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의 상기 가이드홈 및 고정홈은 와상(臥狀)의 "Y" 자 형상으로 상하 반복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최하측의 상기 가이드홈은 수직 가이드홈에 연통되어 상기 제 1 몸체의 바닥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홈과 수평적으로 연결되며 상하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높이 조절부는 양각 형태로 상기 제 1 몸체에 돌출되거나, 또는 음각 형태로 상기 제 1 몸체에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 수직된 다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 사이의 틈을 밀폐시키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몸체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패킹 설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 설치홈은 최상측의 가이드홈 및 고정홈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는 용기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덮개와 제 2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덮개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덮개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 패킹이 고정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 및 고정홈의 단면 형상은 결합홈 형태이고, 이들에 끼워지는 상기 제 2 몸체의 가이드 돌기의 단면 형상은 결합돌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KR2020150008460U 2015-12-23 2015-12-23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KR200486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60U KR200486395Y1 (ko) 2015-12-23 2015-12-23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60U KR200486395Y1 (ko) 2015-12-23 2015-12-23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009 Division 2014-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75U true KR20160000375U (ko) 2016-02-02
KR200486395Y1 KR200486395Y1 (ko) 2018-05-11

Family

ID=5535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460U KR200486395Y1 (ko) 2015-12-23 2015-12-23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9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023Y1 (ko) * 2002-04-23 2002-07-31 신승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우산받이 겸용 휴지통
KR101218258B1 (ko) 2010-12-29 2013-01-08 김종훈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JP2013512753A (ja) * 2010-01-21 2013-04-18 コデ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密閉が容易な真空容器蓋
KR20140095141A (ko) * 2013-01-23 2014-08-0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깊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023Y1 (ko) * 2002-04-23 2002-07-31 신승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우산받이 겸용 휴지통
JP2013512753A (ja) * 2010-01-21 2013-04-18 コデ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密閉が容易な真空容器蓋
KR101218258B1 (ko) 2010-12-29 2013-01-08 김종훈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KR20140095141A (ko) * 2013-01-23 2014-08-0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깊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395Y1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87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US10252838B2 (en) Drinking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s
US8376177B2 (en) Container having sealable discrete compartments
US11241110B2 (en) Valve assembly
KR102425870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US7584767B2 (en) Connector
CN103922022A (zh) 带提升阀的水瓶
RU2643416C2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напитков
JP6349416B2 (ja) 飲料容器のためのカバー装置
JP6150114B2 (ja) 二重容器
KR2022007855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200486395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KR20140095141A (ko) 깊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KR200472089Y1 (ko) 밀폐용기
CN111491868B (zh) 可密封的容器系统
KR102374700B1 (ko) 빨대 삽입 가능 구조를 포함하는 병뚜껑
KR20200037983A (ko) 스포이드 용기
KR101295016B1 (ko) 용기 캡 구조체
JP2017176317A (ja) 弁当箱
KR102152792B1 (ko) 에코 펌프 방식 화장품 용기
JP6559089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KR20090006782U (ko) 밀폐용기용 패킹의 구조
KR101531230B1 (ko) 고체상태의 기능성 첨가제 수용이 가능한 버틀캡
GB2622947A (en) Bevera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