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070B1 -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070B1
KR101895070B1 KR1020160115268A KR20160115268A KR101895070B1 KR 101895070 B1 KR101895070 B1 KR 101895070B1 KR 1020160115268 A KR1020160115268 A KR 1020160115268A KR 20160115268 A KR20160115268 A KR 20160115268A KR 101895070 B1 KR101895070 B1 KR 101895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s
storage space
grip portion
grip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958A (ko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김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1020160115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0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65D83/041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the articles being substantially flat and stacked one upon the other and the dispensing-closing device sliding the article to be dispensed along the flat side of the next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72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는, 자석(磁石)들의 수납이 가능하게 일측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신체의 손으로 움켜쥔 상태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수납공간 측에 수납된 자석들을 개방부 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탄성받침부와, 상기 그립부의 수납공간 개방부 측에서 자석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로 미는 동작에 의해 낱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구 및 밀대를 구비한 분리부 그리고, 상기 분리부의 분리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A PORTABLE MAGNET SEPARATOR}
본 발명은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구(永久) 자석은 각종 의료기기나 전기/전자기기, 산업기기, 생활용품 등의 부속물로서 다방면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실험실 등에서 각종 실험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자석들은 대부분 사용 용도와 부합하는 형태(예: 버튼 타입)로 제조되며, 복수 개가 자력(磁力)에 의해 서로 달라붙어서 연결 배열된 상태로 운반 및 보관된다.
특히, 자력에 의해 서로 연결된 자석들을 떼어낸 상태로 사용하려면, 이들을 낱개씩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원활한 분리 작업을 위하여 별도의 자석 분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영구 자석들 중에서 예를 들어, ND자석(Neodymium magnet)은 비교적 큰 자력(대략 2,500 gauss 내지 5,000 gauss)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분리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분리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자석 분리장치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61232호의 ND자석 분리기."가 있다.
하지만,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461232호의 ND자석 분리기는 다수 개의 자석보관통과, 작두부가 제공되는 받침대를 바닥면 등에 거치한 상태로 사용하는 이른바, 거치 타입의 구조이므로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다.
즉, 이러한 거치 타입의 자석 분리기 구조는 받침대가 바닥면 등에 안정적으로 놓여진 상태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만족할 만한 사용 편의성을 확보하기에는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자력(磁力)에 의해 서로 달라붙은 자석들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석(磁石)들의 수납이 가능하게 일측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신체의 손으로 움켜쥔 상태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수납공간 측에 수납된 자석들을 개방부 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탄성받침부;
상기 그립부의 수납공간 개방부 측에서 자석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로 미는 동작에 의해 낱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구 및 밀대를 구비한 분리부;
상기 분리부의 분리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위치조절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력(磁力)에 의해 서로 달라붙은 연결 상태로 그립부 내측에 수납된 자석들을 분리부를 이용하여 낱개씩 그립부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그립부를 손으로 움켜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일반 거치 타입의 자석 분리기 구조들과 비교할 때 크기 및 무게 등을 대폭 줄여서 이에 따른 휴대성(사용 편의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는, 그립부(2), 탄성받침부(4), 분리부(6) 및 위치조절부(8)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그립부(2)는 자석(M)들이 자력(磁力)에 의해 서로 달라붙어서 연결된 상태로 복수 개가 수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립부(2)는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버튼 타입의 자석(M)들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달라붙어서 직렬 방향으로 연결 배열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이와 대응하는 원통형의 수납공간(A)을 내측에 구비하고, 이 수납공간(A)의 일측 단부(상부)에 개방부(A1)가 형성된 원통형의 케이스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립부(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나 금속재 중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수납공간(A) 내부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통상의 성형 작업에 의해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립부(2)는 손으로 원통형의 외부면을 움켜쥔 상태로 자석(M)들의 분리 조작이 가능한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탄성받침부(4)는 그립부(2) 내측에 수납된 자석(M)들을 수납공간(A)의 개방부(A1) 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밀 수 있는 받침 상태로 그립부(2) 측에 형성된다.
탄성받침부(4)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받침구(B)와, 탄성부재(B1)를 구비하고, 수납공간(A) 내측에서 탄성부재(B1)의 탄성력에 의해 받침구(B)가 개방부(A1) 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그립부(2) 내측에 형성된다.
탄성부재(B1)는 압축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립부(2) 내측에서 스프링 일단이 수납공간(A)의 바닥면 측에 지지되고, 타단이 받침구(B) 측과 연결된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즉, 탄성받침부(4)는 도 2에서와 같이 그립부(2) 내측에 수납되는 자석(M)들을 받침구(B)로 지지하여 탄성부재(B1)의 탄성력으로 수납공간(A)의 개방부(A1) 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받침 구조를 제공한다.
분리부(6)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지지구(C)와, 밀대(C1)를 구비하고, 그립부(2) 내측에 수납된 자석(M)들을 수납공간(A)의 개방부(A1)를 통해서 그립부(2) 외측으로 낱개씩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지지구(C)는 그립부(2)의 수납공간(A) 측에 수납된 자석(M)들이 탄성받침부(4)에 의해 개방부(A1) 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이동될 때, 한 개씩 순차적으로 분리 가능한 상태로 개방부(A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구(C)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수납공간(A)의 개방부(A1) 끝단으로부터 지지간격(L)을 띄우고 개방부(A1)를 가로막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간격(L)은 개방부(A1)의 외측으로 한 개의 자석(M)만 노출될 수 있는 간격 범위 내로 형성된다.
밀대(C1)는 지지구(C) 측에 지지된 자석(M)을 회전 동작으로 밀어서 분리할 수 있는 조작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밀대(C1)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일측이 지지구(C) 측에 핀(P) 결합으로 연결되어 이 핀(P)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되면서 지지간격(L) 사이로 미는 동작이 가능하게 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구(C)와 밀대(C1)의 재질은 자력(磁力)에 반응하지 않으면서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재질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리부(6)는 그립부(2)의 수납공간(A)에 수납된 자석(M)들을 지지구(C)와 밀대(C1)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한 개씩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수납공간(A) 측에서 자석(M)들이 탄성받침부(4)에 의해 개방부(A1) 측으로 이동되어 맨 위쪽의 한 개의 자석(M)이 지지구(C) 측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지지간격(L) 사이로 밀대(C1)를 회전 조작한다.
그러면, 밀대(C1)의 미는 접촉력에 의해 맨 위쪽의 한 개의 자석(M)은 측방으로 밀려나고, 나머지 다른 자석(M)들은 수납공간(A)의 내부면 측에 걸려져서 그대로 수납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그립부(2)의 수납공간(A)에 수납된 복수 개의 자석(M)들 중에서 맨 위쪽의 한 개의 자석(M)을 낱개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밀대(C1)에 의해 측방으로 밀려난 상태로 분리된 자석(M)은 도 4에서와 같이 지지구(C)의 윗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분리된 자석(M)과, 지지구(C) 아래쪽의 수납공간(A) 측에 수납된 자석(M)들 간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지지구(C) 측에 올라타는 상태로 자석(M)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자석(M)은 지지구(C)의 윗면에서 이 지지구(C)와 밀대(C1)를 사이에 두고 수납공간(A)의 자석(M)들과 서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므로 손으로 쉽게 떼어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분리부(6)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그립부(2) 내측의 자석(M)들을 한 개씩 용이하게 순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특히 영구 자석들 중에서 자력(磁力)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ND자석(Neodymium magnet)들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위치조절부(8)는 그립부(2) 내측에 수납된 자석(M)들의 크기(두께)에 따라 이와 대응하는 지점에 분리부(6)가 위치될 수 있도록 이 분리부(6)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위치조절부(8)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분리부(6)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절구(D)와, 이 조절구(D)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구(D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조절구(D)는 예를 들어, 축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축 상부에 분리부(6)가 설치되고 별도의 고정용 블록(D2) 측에 높낮이 조작이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그립부(2)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그립부(2)의 측면에 고정용 블록(D2)이 고정 설치되고, 조절구(D)가 고정용 블록(D2)의 가이드홀(D3) 측에 끼워져서 축선을 따라 슬라이딩 조작되는 상태로 높낮이 조절 동작이 가능하게 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구(D1)는 조절구(D)의 슬라이딩 동작을 누름 접촉력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구(D1)는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고정용 블록(D2) 측에 나사부 결합으로 끼워져서 조절구(D) 측을 향하여 누름 조작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즉, 고정구(D1)는 정,역방향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전진(누름 동작) 또는 후진(누름 해제 동작)되면서 조절구(D)의 높낮이 이동 동작을 누름 접촉력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조절부(8)는 조절구(D)의 상,하방향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분리부(6)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특히 그립부(2) 내측에 수납되는 자석(M)들의 두께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상태로 지지간격(L)을 적절하게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위치조절부(8)를 구비하면, 분리부(6)를 이용하여 자석(M)들을 낱개로 분리할 때 한층 향상된 작동 및 조작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분리 구조를 이용하여 그립부(2) 내측의 자석(M)들을 낱개로 용이하게 분리 인출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그립부(2)를 손으로 움켜쥔 상태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일반 거치 타입의 자석 분리장치들과 비교할 때 만족할 만한 사용 편의성(조작성 및 휴대성)을 얻을 수 있다.
2: 그립부 4: 탄성받침부 6: 분리부
8: 위치조절부 M: 자석

Claims (6)

  1. 자석(磁石)들의 수납이 가능하게 일측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신체의 손으로 움켜쥔 상태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수납공간 측에 수납된 자석들을 개방부 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탄성받침부;
    상기 그립부의 수납공간 개방부 측에서 자석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로 미는 동작에 의해 낱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구 및 밀대를 구비한 분리부;
    상기 분리부의 분리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위치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분리부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절구와, 이 조절구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홀을 구비하고 상기 그립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고정용 블록과, 이 고정용 블록 측에서 상기 조절구의 이동 동작을 누름 접촉력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수납공간 측에 복수 개의 자석들이 서로 직렬 방향으로 연결 배열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받침부는,
    상기 그립부의 수납공간 내측에 배치되며 자석들이 놓여지는 받침구와, 이 받침구를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부 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그립부의 수납공간 개방부 측과 서로 지지간격을 띄우고 배치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간격 사이를 통과하는 상태로 자석을 미는 동작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밀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간격은,
    상기 그립부의 내측에 수납된 자석들 중에서 한 개의 자석이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부 측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는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6. 삭제
KR1020160115268A 2016-09-07 2016-09-07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KR101895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268A KR101895070B1 (ko) 2016-09-07 2016-09-07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268A KR101895070B1 (ko) 2016-09-07 2016-09-07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958A KR20180027958A (ko) 2018-03-15
KR101895070B1 true KR101895070B1 (ko) 2018-09-04

Family

ID=6165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268A KR101895070B1 (ko) 2016-09-07 2016-09-07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0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7569A2 (en) * 2006-04-25 2007-11-08 Galer Ip Holdings, Llc Topical preparation dispens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585382B1 (ko) 2015-07-01 2016-01-14 홍창선 대형 공작물의 높낮이 조절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168A (ko) * 2010-06-01 2011-12-0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컵 배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7569A2 (en) * 2006-04-25 2007-11-08 Galer Ip Holdings, Llc Topical preparation dispens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585382B1 (ko) 2015-07-01 2016-01-14 홍창선 대형 공작물의 높낮이 조절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958A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7087B2 (ja) 無人機のドック及びその電池交換装置
US8726916B2 (en) Interchangeable makeup brush
US10259640B2 (en) Test-strip storage vial
JP2011523063A (ja) 磁性マイクロプレートアセンブリ
JP2017536139A (ja) リップスティック容器
US9644763B2 (en) Holding device
KR101895070B1 (ko)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JP2009291869A (ja) ロボット、ロボットハンドおよびアタッチメント
JP6633475B2 (ja) 自動化分析システムを搭載するための可動搭載エレメント
US8109207B2 (en) Gripping member for a magnetised lid
CN211356801U (zh) 输液袋、瓶自动夹持、释放装置
US9125506B2 (en) Tray handling systems
JP2021138518A (ja) マグネットホルダ
CN208914154U (zh) 柔性夹具
EP2416403A1 (en) Auxiliary device for hearing aid
KR20170143332A (ko)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US9386872B2 (en) Tray handling systems
US20150075330A1 (en) Lid opener
KR20140058965A (ko) 마그네틱 터치 펜
JP3167049U (ja) 挟持具
JP6030688B2 (ja) ねじ回収具及びそれを備えたドライバ
CN218854347U (zh) 电动感应自动开盖枪头盒
WO2020262147A1 (ja) 棒状基材容器
CN211459766U (zh) 一种料盒放置结构、投料机构以及烹饪设备
CN217046100U (zh) 一种固定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