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332A -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332A
KR20170143332A KR1020160077435A KR20160077435A KR20170143332A KR 20170143332 A KR20170143332 A KR 20170143332A KR 1020160077435 A KR1020160077435 A KR 1020160077435A KR 20160077435 A KR20160077435 A KR 20160077435A KR 20170143332 A KR20170143332 A KR 20170143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s
pressing member
moving memb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8004B1 (ko
Inventor
이석현
Original Assignee
이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현 filed Critical 이석현
Priority to KR1020160077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004B1/ko
Publication of KR2017014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053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H01F1/055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 H01F1/05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and IIIa elements, e.g. Nd2Fe14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heet Holder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달라붙어 보관 중인 자석들을 하나씩 손쉽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석들을 안전하게 일렬로 붙일 수 있는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는, 복수의 자석을 일렬로 부착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자석 수용홈 및 자석이 출입할 수 있도록 자석 수용홈과 연결되는 자석 출입구를 갖는 바디와, 바디의 자석 수용홈에 수용된 자석들을 자석 출입구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자석 수용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석 이동부재와, 자석 이동부재를 움직일 수 있도록 자석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바디에 설치되는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와, 바디의 자석 수용홈에 수용된 자석들 중에서 자석 출입구로 이동한 자석을 눌러 다른 자석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바디에 자석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석 가압부재와, 자석 가압부재를 눌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DEVICE FOR DETACHING AND ATTACHING MAGNET}
본 발명은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부착되어 있는 자석들을 낱개로 떼어내거나, 자석들을 상호 안전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석은 스피커, 나침반, 자기 디스크를 이용하는 플로피 디스크 및 하드 디스크 등 다양한 제품의 부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석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물건을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생활 용품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학교에서는 교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자석은 그 모양이나 이를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 막대 자석, 말굽 자석, 페라이트 자석, 네오디뮴 자석, 고무 자석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네오디뮴 자석은 현재 알려진 자석 중 가장 강한 자석이다. 네오디뮴 자석 하나로 그 무게의 수천 배에 달하는 자성 물질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네오디뮴 자석은 비교적 가격이 싸고 가볍고 강력하다는 장점이 있다. 네오디뮴 자석은 주로 마이크, 확성기, 이어폰,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 자석의 질량이나 부피가 작아야 하거나 강력한 자기장이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 대형 네오디뮴 자석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동기나 발전기 터빈 등에 들어가기도 한다. 네오디늄 자석은 작지만 일반 자석과 비교하여 자력이 강하기 때문에, 가정이나, 학교, 사무실 등에서도 인테리어 용품을 벽이나 파티션 등에 걸어두는 용도나, 공구를 걸어두는 용도, 과학 실험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네오디뮴 자석은 자성이 매우 강하여 자석들끼리 서로 붙으면 이들을 떼어내기가 쉽지 않다. 서로 부착된 네오디뮴 자석은 자기력의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워 자석과 자석 사이에서 자기력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네오디뮴 자석은 강한 자석 가루를 압축하여 제작하는 자석이기 때문에, 강한 자성으로 다른 자석이나 물건에 세게 붙을 때 깨지기 쉽다.
따라서 학교 등에서 교구로 사용되는 네오디뮴 자석은 하나씩 플라스틱 통에 넣어 보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보관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관 공간을 줄이기 위해 자석과 자석 사이에 플라스틱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복수의 네오디뮴 자석을 여러 개 뭉쳐서 보관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사용 후 플라스틱 스페이서를 분실하기 쉽고, 자석 사이에 플라스틱 스페이서를 개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끼어 사용자의 손에 상처가 나거나, 자석끼리 세게 부딪쳐서 자석이 깨지는 경우가 많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19016호 (1998. 07. 15.) 등록특허공보 제1469655호 (2015. 01. 1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로 달라붙어 보관 중인 자석들을 하나씩 손쉽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석들을 안전하게 일렬로 붙일 수 있는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는, 복수의 자석을 일렬로 부착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자석 수용홈과, 자석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석 수용홈과 연결되는 자석 출입구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자석 수용홈에 수용된 자석들을 상기 자석 출입구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석 수용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석 이동부재; 상기 자석 이동부재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자석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 상기 바디의 자석 수용홈에 수용된 자석들 중에서 상기 자석 출입구로 이동한 자석을 눌러 다른 자석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상기 자석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석 가압부재; 및 상기 자석 가압부재를 눌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는, 상기 자석 가압부재에 대해 상기 레버에 의한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자석 가압부재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는, 상기 바디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바디에 형성된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자석 가압부재와 결합되는 너트부재와, 상시 스크류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축과 결합되는 연결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는 상기 연결 기어와 기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기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기어의 직경이 상기 연결 기어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석 가압부재에는 상기 바디에 상기 자석 가압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가 결합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자석 가압부재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둘레면이 곡면형이고, 상기 레버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둘레면에 접촉하도록 곡면으로 된 누름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석 가압부재는 자석과 접하는 자석 가압면이 자석의 둘레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는, 상기 자석 가압부재에 의해 눌리는 자석과 부착된 다른 자석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받침판과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받침판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는, 상기 바디의 자석 출입구 전방에 상기 자석 출입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는 두께나 폭, 모양이 다른 자석들을 쉽게 낱개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이용하면 네오디뮴 자석과 같이 자성이 매우 강한 자석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성이 매우 강한 자석도 서로 부착하여 보관하였다가 필요할 때 낱개로 분리하여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또한 사용자는 자석 여러 개를 부착하여 자석 뭉치로 보관할 수 있어 종래에 같이 자성이 강한 자석을 플라스틱 통 등의 보관통에 낱개로 보관하지 않아도 되며, 자석을 보다 쉽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이용하면 네오디뮴 자석과 같이 자성이 매우 강한 자석도 파손의 위험이 없이 서로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다. 네오디뮴 자석과 같이 자성이 매우 강한 자석은 자석끼리 세게 붙으면서 그 충격에 의해 깨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는 자석 가압부재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여 자석과 다른 자석을 서서히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자성이 강한 자석도 충격이 발생하지 않게 서서히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는 자석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자석의 인력을 이용하여 다른 사물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도 쉽게 수거할 수 있다. 자석 수거 과정에서 다른 사물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이 자석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자석 쪽으로 이동할 때 차단판이 완충 작용을 하게 되므로, 자석을 결합 충격에 의한 파손의 위험 없이 수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자석을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사물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을 수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100)는 복수의 자석(10)을 일렬로 부착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바디(110)와, 바디(110)에 수용된 자석(10)을 움직일 수 있도록 바디(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석 이동부재(135)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자석 이동부재(135)를 움직일 수 있는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140)와, 바디(110)에 수용된 복수의 자석(10)을 눌러서 낱개로 분리할 수 있도록 바디(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석 가압부재(150)와, 자석 가압부재(150)를 눌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160)와, 바디(110)에 수용된 자석(10)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바디(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판(165)과, 바디(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판(17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100)는 서로 달라붙어 있는 자석(10)을 낱개로 손쉽게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되어 있는 자석(10)을 다른 자석(10)에 안전하게 부착할 수 있다.
바디(110)는 자석 수용부(111)와, 한 쌍의 스크류축 지지부(116)(117)와, 조작 기어 지지부(119)와, 자석 가압부재 지지부(121)와, 스프링 지지부(124)와, 레버 지지부(126)를 갖는다. 자석 수용부(111)는 자석(10)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스크류축 지지부(116)(117)는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140)의 스크류축(141)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조작 기어 지지부(119)는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140)의 조작 기어(144)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자석 가압부재 지지부(121)는 자석 가압부재(15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스프링 지지부(124)는 자석 가압부재(150)와 연결되는 스프링(155)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레버 지지부(126)는 레버(16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밖에, 바디(110)에는 슬릿(114)과, 가이드 홈(122)과, 삽입홈(127)과, 받침판 결합홈(128)과, 관통구멍(129)과, 차단판 결합홈(130)이 마련된다.
바디(110)의 자석 수용부(111) 내측에는 복수의 자석(10)을 일렬로 부착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자석 수용홈(112)이 마련된다. 그리고 자석 수용부(111)의 한쪽 끝단에는 자석(10)이 출입할 수 있도록 자석 수용홈(112)과 연결되는 자석 출입구(113)가 형성된다. 자석 수용부(111)는 상측으로 열린 구조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자석 수용부(11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일렬로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자석(10)을 자석 수용홈(112)에 탑재하거나, 자석 수용홈(112)에 수용되어 있는 자석(10)을 자석 수용홈(11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자석 수용부(111)에는 자석 수용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114)이 구비된다. 슬릿(114)은 자석 수용부(111)의 일측을 관통하여 자석 수용홈(112)과 연결된다.
자석 이동부재(135)는 자석 수용부(111)의 자석 수용홈(1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자석 이동부재(135)는 자석 수용홈(112)을 따라 직선 이동함으로써 자석 수용홈(112)에 수용된 자석(10)을 자석 출입구(113)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자석 이동부재(135)가 자석 출입구(113) 쪽으로 전진함으로써 자석 수용홈(112)에 수용된 자석(10)이 자석 출입구(113)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140)는 자석 이동부재(135)를 움직일 수 있도록 자석 이동부재(135)와 연결되어 바디(110)에 설치된다.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140)는 스크류축(141)과, 너트부재(142)와, 연결 기어(143)와, 조작 기어(144)를 구비한다. 스크류축(141)은 바디(110)의 스크류축 지지부(116)(11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바디(11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너트부재(142)는 스크류축(141)에 나사 결합된다. 너트부재(142)는 바디(110)의 슬릿(114)을 통과하여 바디(110) 안쪽의 자석 이동부재(135)와 결합됨으로써 스크류축(141)이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크류축(141)이 회전하면 너트부재(142)는 스크류축(141)과의 나사 운동에 의해 슬릿(114)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연결 기어(143)는 스크류축(14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스크류축(141)과 결합된다.
조작 기어(144)는 바디(110)의 조작 기어 지지부(11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 기어(143)와 기어 연결된다. 사용자가 조작 기어(144)를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연결 기어(143) 및 스크류축(141)이 회전하게 되며, 스크류축(141)의 회전으로 너트부재(142)가 나사 운동함으로써 자석 이동부재(135)가 움직이게 된다. 사용자는 조작 기어(144)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자석 이동부재(135)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조작 기어(144)의 직경은 연결 기어(143)의 직경보다 크고, 조작 기어(144) 기어이의 개수는 연결 기어(143) 기어이의 개수보다 많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 기어(144)를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작은 힘으로 자석 이동부재(135)를 움직일 수 있다.
자석 가압부재(150)는 바디(110)의 자석 수용홈(112)에 수용된 복수의 자석(10) 중에서 자석 출입구(113)로 이동한 자석(10)을 눌러 자석(10)을 낱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자석 가압부재(150)는 바디(110)의 자석 가압부재 지지부(12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석 출입구(113) 전방에 위치한다. 자석 가압부재(150)의 이동 방향은 자석 이동부재(135)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도면에는 자석 이동부재(135)의 이동 방향과 자석 가압부재(150)의 이동 방향이 수직으로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자석 이동부재(135)와 자석 가압부재(150)의 교차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바디(110)의 자석 가압부재 지지부(121)에는 자석 가압부재(15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122)이 구비되고, 자석 가압부재(150)에는 가이드 홈(122)에 삽입되어 바디(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151)가 돌출 구비된다. 가이드 돌기(151)는 레버(160)에 의해 눌리는 부분으로, 그 둘레면이 곡면형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돌기(151)는 그 둘레가 원형인 롤러 구조로 이루어져 자석 가압부재(150)에 고정되거나 자석 가압부재(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자석 가압부재(150)는 자석(10)과 접하는 자석 가압면(152)이 자석(10)의 둘레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자석 가압부재(150)의 형상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자석 가압부재(150)는 레버(160)에 의해 눌려 움직임으로써 일렬로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자석(10) 중에서 자석 출입구(113)로 이동한 자석(10)을 눌러 다른 자석들(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서로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자석(10) 중에서 최외측에 배치된 자석(10)이 자석 출입구(113)를 빠져나와 자석 수용부(111)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자석 가압부재(150)가 움직여 최외측의 자석(10)을 누르면 그 자석(10)이 다른 자석(10)에 대해 움직여 낱개로 분리된다. 이때, 자석 가압부재(150)는 자석(10)을 다른 자석(10)과의 부착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그 자석(10)을 다른 자석(10)의 부착면으로부터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자력이 센 자석(10)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자석 가압부재(150)에는 스프링(155)이 연결된다. 스프링(155)은 자석 가압부재(150)에 대해 레버(160)에 의한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레버(160)에 의해 움직인 자석 가압부재(15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스프링(155)은 바디(110)의 스프링 지지부(124)에 결합된다. 스프링(155)은 자석 가압부재(150)가 레버(160)에 의해 움직일 때 탄성 변형되었다가, 레버(160)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되면서 자석 가압부재(150)를 원위치시킨다.
레버(160)는 자석 가압부재(150)를 눌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버(160)는 회전축(161)에 의해 바디(110)의 레버 지지부(126)에 피봇 결합됨으로써 회전축(16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레버(160)의 중간에는 자석 가압부재(150)의 가이드 돌기(151)를 가압하기 위한 누름부(162)가 구비된다. 누름부(162)에는 자석 가압부재(150)의 가이드 돌기(151) 외면에 접하는 누름면(163)이 마련된다. 누름면(163)은 가이드 돌기(151)의 곡면형 둘레면과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곡면형으로 이루어진다. 자석 가압부재(150)의 가이드 돌기(151) 외면과 이에 접하는 레버(160)의 누름면(163)이 모두 곡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레버(160)의 힘이 가이드 돌기(151)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160)가 자석 가압부재(150)를 누를 때 가이드 돌기(151)와 누름면(163)이 상호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어 가이드 돌기(151)와 누름면(163)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고, 가이드 돌기(151)와 누름면(163)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레버(160)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져 자석 가압부재(150)를 누를 때, 그 끝단이 바디(110)의 삽입홈(127)에 삽입된다. 즉,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레버(160)를 누를 때 레버(160)의 끝단이 삽입홈(127)에 삽입됨으로써, 레버(160)에 의한 자석 가압부재(150)의 이동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받침판(165)은 자석 가압부재(150)에 의해 눌리는 자석(10)과 부착된 다른 자석(10)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바디(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받침판(165)은 바디(110)에 마련되는 받침판 결합홈(128)에 삽입되어 받침판 결합홈(128)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받침판(165)은 받침판 고정부재(166)에 의해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받침판 고정부재(166)는 나사 구조로 이루어지며, 바디(110)의 일측에 받침판 결합홈(128)와 평행하게 마련되는 관통구멍(129)을 관통하여 받침판 고정부재(166)의 일측면에 나사 결합된다. 사용자는 받침판 고정부재(166)를 풀어 느슨하게 한 후 받침판(165)의 위치를 변경한 후, 받침판 고정부재(166)를 다시 조여 이동한 받침판(165)을 고정할 수 있다. 받침판 고정부재(166)는 도시된 것과 같은 나사 구조 이외에, 받침판(165)을 바디(110)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받침판(165)은 자석 가압부재(150)에 의해 눌리는 자석(10)과 부착된 다른 자석(10)을 안정적으로 떠받침으로써 자석 가압부재(150)가 가압하는 자석(10)이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자석 수용홈(112)에는 다양한 크기의 자석(10)이 수용될 수 있는데, 자석(10)의 크기에 따라 받침판(165)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자석(10)을 더욱 안정적으로 떠받칠 수 있다.
차단판(170)은 바디(110)의 자석 출입구(113) 전방에 자석 출입구(113)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도록 바디(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차단판(170)은 바디(110)에 마련되는 차단판 결합홈(130)에 삽입된다. 사용자는 차단판(170)을 차단판 결합홈(130)에 삽입함으로써 차단판(170)을 바디(110)에 쉽게 결합할 수 있고, 차단판(170)을 차단판 결합홈(130)에서 빼냄으로써 차단판(170)을 쉽게 바디(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차단판(170)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고 차단판(170)을 당길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릴 수 있는 홈(171)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100)를 이용하여 일렬로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자석(10)을 낱개로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레버(160)를 누르면 레버(160)가 회전축(16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자석 가압부재(150)의 가이드 돌기(151)를 가압한다. 이때, 가이드 돌기(151)가 바디(110)의 가이드 홈(122)을 따라 움직여 자석 가압부재(150)가 하강한다. 그리고 하강하는 자석 가압부재(150)는 자석 출입구(113)로 이동한 자석(10)을 눌러 다른 자석들(10)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렇게 자석 가압부재(150)에 의해 움직인 자석(10)은 다른 자석들(1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다른 자석(10)과의 인력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바디(110)에 달라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석 가압부재(150)에 의해 분리된 자석(10)을 집어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낱개로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레버(160)를 놓으면 자석 가압부재(150)가 스프링(155)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된다. 이후, 사용자는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140)의 조작 기어(144)를 돌려 자석 가압부재(150)로 바디(110)의 자석 수용홈(112)에 수용되어 있는 자석들(10)을 자석 출입구(113) 쪽으로 전진시키고, 다시 레버(160)를 조작하여 또 다른 자석(10)을 낱개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100)는 서로 부착되어 있는 자석들(10)을 쉽게 낱개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100)를 이용하면 네오디뮴 자석과 같이 자성이 매우 강한 자석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성이 매우 강한 자석도 서로 부착하여 보관하였다가 필요할 때 낱개로 분리하여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또한 사용자는 자석(10) 여러 개를 부착하여 자석 뭉치로 보관할 수 있어 종래에 같이 자성이 강한 자석을 플라스틱 통 등의 보관통에 낱개로 보관하지 않아도 되며, 자석을 보다 쉽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낱개로 분리된 자석(10)을 바디(110)에 수용된 다른 자석들(10)에 부착하는 데에도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100)가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160)를 눌러 자석 가압부재(150)를 하강시키고 바디(110)의 자석 수용홈(112)에 수용된 자석들(10) 중에서 최외측에 배치되는 자석(10)을 자석 출입구(113)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부착하고자 하는 다른 자석(10)을 자석 가압부재(150)의 자석 가압면(152)으로 이동시키면 다른 자석(10)과 자석 출입구(113)에 위치한 자석(10) 간에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레버(160)를 서서히 놓으면 스프링(155)의 탄성력에 의해 자석 가압부재(150)가 상승하면서 다른 자석(10)도 자석 출입구(113) 쪽으로 상승한다. 그리고 다른 자석(10)이 자석 출입구(113)에 도달하면 자석 출입구(113)에 배치된 자석(10)에 달라붙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100)를 이용하면 네오디뮴 자석과 같이 자성이 매우 강한 자석도 파손의 위험이 없이 서로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다. 네오디뮴 자석과 같이 자성이 매우 강한 자석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로 다른 자석과 부착할 때, 자석끼리 세게 붙으면서 그 충격에 의해 깨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100)는 자석 가압부재(15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여 자석(10)과 다른 자석(10)을 서서히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자성이 강한 자석도 충격이 발생하지 않게 서서히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100)는 철판(30) 등 다른 사물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10)도 쉽게 수거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100)를 이용하여 철판(30) 등 다른 사물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을 수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자석 수거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는 차단판(170)을 바디(1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140)의 조작 기어(144)를 돌려 자석 가압부재(150)로 바디(110)의 자석 수용홈(112)에 수용되어 있는 자석(10)을 차단판(170) 쪽으로 전진시킨다. 자석(10)이 차단판(170)에 가까이 접근된 상태에서,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차단판(170)이 전방을 향하도록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100)를 철판(30)에 부착되어 있는 다른 자석(20)에 접근시키면, 차단판(170)에 근접한 자석(10)과 철판(30)에 부착된 자석(20) 사이의 인력으로 철판(30)에 부착된 자석(20)이 철판(30)에서 분리되어 차단판(170) 쪽으로 이동한다. 이후,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차단판(170)을 이동시켜 바디(110)에서 분리하면 두 개의 자석(10)(20)이 서로 부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100)는 다른 사물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20)도 쉽게 수거할 수 있다. 자석 수거 과정에서 다른 사물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20)이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100)에 수용되어 있는 자석(10) 쪽으로 이동할 때 차단판(170)이 완충 작용을 하게 되므로, 두 개의 자석(10)(20)을 결합 충격에 의한 파손의 위험 없이 서로 부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140)는 도시된 것과 같은 스크류축(141)과 너트부재(142)와 연결 기어(143) 및 조작 기어(144)를 모두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자석 이동부재(135)를 움직일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조작 기어(144)가 생략된 구조의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도 가능하다.
또한 레버(160)의 구조나 설치 위치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20 : 자석 30 : 철판
110 :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110 : 바디
111 : 자석 수용부 112 : 자석 수용홈
113 : 자석 출입구 114 : 슬릿
116, 117 : 스크류축 지지부 119 : 조작 기어 지지부
121 : 자석 가압부재 지지부 122 : 가이드 홈
124 : 스프링 지지부 126 : 레버 지지부
135 : 자석 이동부재 140 :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
141 : 스크류축 142 : 너트부재
143 : 연결 기어 144 : 조작 기어
150 : 자석 가압부재 151 : 가이드 돌기
152 : 자석 가압면 155 : 스프링
160 : 레버 162 : 누름부
165 : 받침판 166 : 받침판 고정부재
170 : 차단판

Claims (9)

  1. 복수의 자석을 일렬로 부착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자석 수용홈과, 자석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석 수용홈과 연결되는 자석 출입구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자석 수용홈에 수용된 자석들을 상기 자석 출입구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석 수용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석 이동부재;
    상기 자석 이동부재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자석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
    상기 바디의 자석 수용홈에 수용된 자석들 중에서 상기 자석 출입구로 이동한 자석을 눌러 다른 자석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상기 자석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석 가압부재; 및
    상기 자석 가압부재를 눌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가압부재에 대해 상기 레버에 의한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자석 가압부재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는,
    상기 바디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바디에 형성된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자석 가압부재와 결합되는 너트부재와,
    상시 스크류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축과 결합되는 연결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이동부재 작동기구는 상기 연결 기어와 기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기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기어의 직경이 상기 연결 기어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가압부재에는 상기 바디에 상기 자석 가압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가 결합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자석 가압부재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둘레면이 곡면형이고, 상기 레버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둘레면에 접촉하도록 곡면으로 된 누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가압부재는 자석과 접하는 자석 가압면이 자석의 둘레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가압부재에 의해 눌리는 자석과 부착된 다른 자석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받침판과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받침판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자석 출입구 전방에 상기 자석 출입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KR1020160077435A 2016-06-21 2016-06-21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KR101848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435A KR101848004B1 (ko) 2016-06-21 2016-06-21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435A KR101848004B1 (ko) 2016-06-21 2016-06-21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332A true KR20170143332A (ko) 2017-12-29
KR101848004B1 KR101848004B1 (ko) 2018-04-11

Family

ID=6093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435A KR101848004B1 (ko) 2016-06-21 2016-06-21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0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6963A1 (de) 2017-10-31 2019-05-02 Lg Display Co., Ltd. Anzeigevorrichtung
KR102563731B1 (ko) * 2023-02-20 2023-08-04 한아름특장(주) 마그네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3487B2 (ja) * 2009-06-30 2013-11-27 アイコム株式会社 磁石群から磁石を分離する磁石分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6963A1 (de) 2017-10-31 2019-05-02 Lg Display Co., Ltd. Anzeigevorrichtung
KR102563731B1 (ko) * 2023-02-20 2023-08-04 한아름특장(주) 마그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004B1 (ko)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2286B (zh) 用於將具一第一尺寸之一儲存裝置轉接至用於具一第二尺寸的一儲存裝置的一插槽的儲存裝置載具
KR101848004B1 (ko) 자석 분리 및 부착장치
CN113325927B (zh) 固定装置与具有该固定装置的机箱
US20140014786A1 (en) Holding Device
WO2023272997A1 (zh) 充电盒
EP3295828A1 (en) Push-to-open device
JP6633475B2 (ja) 自動化分析システムを搭載するための可動搭載エレメント
CN210794970U (zh) 一种利用磁力的夹持装置
KR20160111840A (ko) 가구의 가동부의 자력 걸쇠 장치
JP2016171838A (ja) コンセント装置
CN107294318A (zh) 一种永磁电机磁钢安装工具
CN210669584U (zh) 存取设备及移动电源取还系统
KR101895070B1 (ko) 휴대용 자석 분리장치
CN103353205B (zh) 用于冰箱的中途停顿机构
US8109022B2 (en) Device having a stand with ejection mechanism
US9377819B2 (en) Electronic device
KR20130087453A (ko) 글로브박스 록킹 장치
CN116604593B (zh) 磁力调节机构和夹持装置
CN211247408U (zh) 磁铁自动分拣装置
CN220494570U (zh) 一种资料存储盒
JP2015192832A (ja) 電動引出しアシスト
JP5816735B1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2006198374A (ja) ダスト除去装置
JP6955191B2 (ja) トレイ固定機構及び光配線盤
US11706893B2 (en) Rotating assembly, handle locking devices, and chas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