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772B1 -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 - Google Patents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772B1
KR101802772B1 KR1020160046939A KR20160046939A KR101802772B1 KR 101802772 B1 KR101802772 B1 KR 101802772B1 KR 1020160046939 A KR1020160046939 A KR 1020160046939A KR 20160046939 A KR20160046939 A KR 20160046939A KR 101802772 B1 KR101802772 B1 KR 101802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adapter
protrusion
blade
power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354A (ko
Inventor
장광수
정영채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77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3/00Associations of tools for different working operations with one portable power-drive means; Adapt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3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00Gang saw mills; Other sawing machines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specially designed for length sawing of trunks
    • B27B3/28Components
    • B27B3/30Blade attachments, e.g. saw buckles; Stretc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Abstract

평판 고리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에 서로 다른 패턴으로 각각 형성되는 결합 돌기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에 원형으로 이격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홈;을 포함하는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BLADE ADAPTER FOR ELECTRICALLY-DRIVE TOOL AND ELECTRICALLY-DRIVE TOO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목재 등의 자재를 절단하거나 바닥면의 타일을 폴리싱하는 등 다양한 전동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각 블레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에 관한 것이다.
전동 공구 중에는 작업 대상에 따라 최적화된 형상을 갖는 블레이드를 선택한 후 이를 장착하여 이음새 제거, 스크래핑, 샌딩, 폴리싱 및 절단 등 기존 공구로는 작업하기 곤란한 형상이나 공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이 때, 블레이드는 전동 공구를 제조하는 제조사에 따라 그 제조사에서 생산되는 전동 공구에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서로 다른 제조사에서 생산되는 블레이드 사이에는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블레이드는 그 종류가 다양하여 다른 제조사에서 생산된 블레이드가 수행하려는 전동 작업에 더 적합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가 제조사에 따라 호환되지 않는 점은 작업자에게 전동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작업 효율 측면에서 큰 손실을 줄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는 전동 공구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전동 공구는 클램핑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미국 공개특허 제2014-0110908호를 살펴보면, 클램핑 요소가 단일 부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구가 클램핑되거나 언클램핑될 때 탄성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 클램핑 요소에는 반복적인 탄성 변형에 따라 피로가 누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구가 클램핑되기 위해 공구가 장착되는 클램핑 헤드는 방사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게 설계되어야 한다. 그리고, 클램핑 헤드가 벌어지는 과정에서 클램핑 요소는 일정 거리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 공구는 그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축 방향으로 더 길어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9085호 (2015.01.2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9963호 (2004.04.2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9465호 (2013.01.29. 등록) 미국 공개특허 제2014-0110908호 (2014.04.24.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동 공구의 제조사와 다른 제조사에서 생산 제작된 블레이드도 호환 장착할 수 있는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가 전동 공구에서 결합 및 그 결합 해제가 용이하도록 어댑터의 바디부 형상을 설계하고자 한다. 또한, 블레이드를 언클램핑할 때 어댑터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전동 공구를 사용하면서 피작업물로부터 발생하는 분진 등의 미세 이물질이 어댑터 주변을 통해 전동 공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어댑터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의 클램핑 장치를 소형화하고자 한다. 또한, 블레이드의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에 소요되는 작동 힘의 크기를 감소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평판 고리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에 서로 다른 패턴으로 각각 형성되는 결합 돌기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에 원형으로 이격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홈;을 포함하는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를 제공한다.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은 중간 부분이 양 측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바디부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부는 일 측면에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서 미리 설정된 제1 거리만큼 떨어져 원형으로 균등하게 이격 배열되는 제1 결합 돌기부; 타 측면에 상기 바디부의 중앙 개구를 따라 원형으로 균등하게 이격 배열되는 제2 결합 돌기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결합 돌기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각 돌기들은 상기 바디부의 일 측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결합 돌기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각 돌기들은 상기 바디부의 타 측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방사 방향으로 높이가 증가하는 단차를 갖는 2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홈은 상기 바디부의 두께 측면에서 정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 홈은 상기 바디부의 두께 방향으로 깊어질수록 횡단면이 축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판 고리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에 서로 다른 패턴으로 각각 형성되는 결합 돌기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에 원형으로 이격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홈;을 포함하는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를 제공한다.
일 단부가 전동 공구의 스핀들 하우징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며, 타 단부 측면에는 원형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끼움 돌기가 형성되는 캐리어 블록; 및 일 단부가 상기 끼움 돌기가 노출되는 캐리어 블록의 외주면과 고정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어댑터의 바디부 외주면과 결합되는 고무 재질의 어댑터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 돌기가 노출되는 상기 캐리어 블록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 하우징의 일 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 홈에 대응되어 고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일단에 헤드부가 형성되는 척 부재와, 상기 척 부재 내부에 배치되어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락킹 볼트를 포함하는 척 유닛; 및 상기 척 부재와 상기 락킹 볼트가 서로 반대 방향의 상대 운동을 하도록 하는 운동 제공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대 운동에 따라 상기 헤드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전동 공구의 클램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는 양 측면에 서로 다른 패턴의 결합 돌기부를 형성하여 다른 제조사에서 제작 생산되는 블레이드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의 바디부는 외주면의 중간 부분이 양 측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하여 전동 공구에 결합된 어댑터의 결합 방향을 달리하기 위해 어댑터를 분리할 때 선단이 뾰족한 공구 등을 사용하여 쉽게 그 결합을 해재시킬 수 있다.
또한, 어댑터에 형성되는 돌기 홈은 이에 대응되는 캐리어 블록의 끼움 돌기를 일부 수용하여 결합시키기 때문에 어댑터와 캐리어 블록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을 통해 어댑터의 결합을 쉽게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는 고무 재질의 어댑터 하우징을 사용하여 언클램핑할 때 블레이드를 임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어댑터 하우징의 일 단부 내주면에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어 어댑터 하우징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동 공구의 클램핑 장치는 척 유닛을 구성하는 척 부재와 락킹 볼트가 서로 반대 방향의 상대 운동을 하도록 설계되어 클램핑 모드와 언클램핑 모드 사이에서 다른 모드로 변환되기 위한 스트로크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동시에, 모드 변환을 위해 레버부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 소요되는 작동 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척 부재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분할 편으로 구성되어 블레이드를 반복적으로 교체 장착하더라도 척 부재에는 피로 등이 누적되지 않는다. 즉, 척 부재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언클램핑 모드에서 척 부재의 외주면에 헤드부가 오므라지게 하는 오링(O-ring)이 배치되어 언클램핑 과정에서 블레이드의 착탈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운동 제공 유닛은 서로 다른 형상의 제1 및 제2 캠의 외주면에 직접 접촉되는 척 부재 오프너 및 락킹 볼트 오프너를 포함하여 척 부재와 락킹 볼트를 안정적으로 상대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척 유닛은 릴리스 스프링과 척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레버부가 클램핑 모드와 언클램핑 모드 사이에서 모드 변환될 때 척 부재와 락킹 볼트가 신속하게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공구는 전술한 클램프 장치를 포함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동 공구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에 의해 보다 다양한 블레이드를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동 공구는 고무 재질의 어댑터 하우징을 구비하여 분진 등의 미세 물질이 전동 공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언클램핑 모드에서 어댑터를 임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B-B'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제1 결합 돌기부가 노출되는 어댑터에 블레이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제2 결합 돌기부가 노출되는 어댑터에 블레이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하단부 확대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블레이드(5)는 통상적으로 전동 공구의 제조사 별로 전용되도록 블레이드(5)가 전동 공구에 장착되는 면의 형상을 달리한다. 그 결과, 서로 다른 제조사에서 제작된 블레이드(5) 사이에는 호환성이 부정된다.
예를 들어, 어느 일 제조사의 블레이드(5)는 장착되는 면의 중앙에 소정 직경을 갖는 장착 홀이 형성되어 있어 척 부재(10)의 헤드부(12)가 오므라진 상태에서 헤드부(12)가 장착 홀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헤드부(12)는 방사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블레이드(5)는 헤드부(12)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장착 홀의 주변에는 대개 장착 홀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회전 방지 홀이 더 형성되어 있다. 회전 방지 홀은 블레이드(5)가 전동 공구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등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장착된 상태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원주 방향은 전동 공구의 척 유닛이 배치되는 방향을 축 방향으로 설정할 때, 척 유닛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지시한다. 또한, 방사 방향은 축 방향을 기준으로 반경이 증가하는 방향을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5) 어댑터(100)는 바디부(110), 결합 돌기부(120) 및 돌기 홈(1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10)는 전체적으로 평판 원형 고리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바디부(110)의 중앙은 원형 홀 등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바디부(110)의 외주면은 중간 부분이 양 측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바디부(110)를 두께 방향에서 볼 때, 중간 부분의 직경이 양 측의 직경 보다 더 커서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단차가 형성된다. 이는 바디부(11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바디부(110)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결합 돌기부(120)는 바디부(110)의 양 측면에 서로 다른 형상과 패턴으로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결합 돌기부(121)(122)를 포함한다. 그 결과, 외부에 제1 결합 돌기부(121)가 노출되도록 어댑터(100)를 전동 공구에 결합시키면 어느 일 제조사에서 제작되는 각 종 블레이드(5)를 장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결합된 어댑터(100)를 분리한 후 어댑터(100)를 뒤집어서 그 결합 방향을 정반대로 하여 제2 돌기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어댑터(100)를 전동 공구에 결합시키면 다른 일 제조사에서 제작되는 각 종 블레이드(5)를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돌기부(121)는 바디부(110)의 일 측면에 바디부(110)의 중심에서 미리 설정된 제1 거리만큼 떨어져 원형으로 균등하게 이격 배열된다. 이 때, 제1 결합 돌기부(121)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복수 개의 각 돌기들은 모두 동일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각 돌기들은 바디부(110)의 일 측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다.
반면에, 어댑터(100)를 뒤집으면 바디부(110)의 타 측면에 제2 결합 돌기부(122)가 바디부(110)의 중앙 개구를 따라 원형으로 균등하게 이격 배열된다. 제2 결합 돌기부(122)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복수 개의 각 돌기들 역시 모두 동일 형상을 갖는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결합 돌기부(122)를 구성하는 각 돌기들은 바디부(110)의 타 측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방사 방향으로 높이가 증가하는 단차를 갖는 2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결합 돌기부(122)가 배치되는 위치를 고려할 때, 클램핑 모드에서 척 부재(10)의 헤드부(12)가 바디부(110)의 일 측면 중앙 개구를 관통한 후 타 측면에 걸림 결합될 때 발생하는 간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헤드부(12)의 단부는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12)는 제2 결합 돌기부(122)의 1단 상면에 안착된다.
다음으로, 돌기 홈(130)은 바디부(110)의 양 측면에 원형으로 이격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1의 B-B'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돌기 홈(130)은 바디부(110)의 두께 측면에서 정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는, 어댑터(100)의 양 측면이 모두 전동 공구와 결합될 수 있는데, 어느 일 측면이 결합되더라도 그 결합 상태가 동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각 돌기 홈(130)은 바디부(110)의 두께 방향으로 깊어질수록 횡단면적이 축소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는 캐리어 블록(82)에 형성되는 끼움 돌기(83a)의 형상에 기인한다. 그런데, 끼움 돌기(83a)는 측면이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돌기 홈(130)은 테이퍼진 끼움 돌기(83a)의 형상을 수용할 수 있도록 횡단면적이 비례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제1 결합 돌기부(121)가 노출되는 어댑터(100)에 블레이드(5)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제2 결합 돌기부(122)가 노출되는 어댑터(100)에 블레이드(5)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블레이드(5)는 어느 일 제조사에서 생산 제조된 블레이드(5)이고, 도 7에 도시된 블레이드(5)는 다른 일 제조사에서 생산 제조된 블레이드(5)이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00)는 양 측면에 제1 또는 제2 결합 돌기부(121)(122)가 각각 배치되어 다른 측면이 노출되도록 그 결합 방향을 정 반대로 뒤집어 사용하면 제조사가 다른 블레이드(5)라도 장착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어댑터(100)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공구는 전술한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5) 어댑터(100)를 포함한다. 한편, 전동 공구는 어댑터(100)를 전동 공구에 결합시키기 위해 캐리어 블록(82) 및 어댑터 하우징(84)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전동 공구는 척 유닛이 수용되는 스핀들 하우징(70)을 포함한다. 이 때, 척 유닛은 스핀들 하우징(70)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블록(82)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캐리어 블록(82)은 일 단부가 전동 공구의 스핀들 하우징(70)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며, 타 단부 측면에는 원형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끼움 돌기(83a)가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하우징(84)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어댑터 하우징(84)은 일 단부가 끼움 돌기(83a)가 노출되는 캐리어 블록(82)의 외주면과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어댑터 하우징(84)의 타 단부는 어댑터(100)의 바디부(110) 외주면과 결합된다. 즉, 어댑터(100)가 전동 공구에 장착되면, 어댑터(100)의 바디부(110) 외주면은 어댑터 하우징(84)과 결합되고, 어댑터(100)의 돌기 홈(130)은 캐리어 블록(82)의 끼움 돌기(83a)와 결합된다. 이런, 어댑터 하우징(84)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관 형상을 갖는다.
어댑터 하우징(84)으로 인해 전동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의 미세 물질이 캐리어 블록(82)을 통해 전동 공구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 하우징(84)은 고무 재질로 어댑터(100)의 바디부(110) 외주면과 결합되기 때문에 언클램핑 모드에서 어댑터(100)를 임시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1은 도 8의 하단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캐리어 블록(82)은 끼움 돌기(83a)를 통해 어댑터(100)와 결합된다. 이 때, 캐리어 블록(82)의 끼움 돌기(83a)의 높이는 돌기 홈(130)이 깊이 보다 더 크기 때문에 어댑터(100)가 캐리어 블록(82)에 결합되면 어댑터(100)와 캐리어 블록(8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즉, 어댑터(100)는 간극으로 인해 어댑터 하우징(84)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극이 위치하는 부근의 어댑터 하우징(84)을 외부에서 눌러 가압하면 어댑터(100)가 결합되어 있던 부분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어댑터(100)가 쉽게 탈착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 돌기(83a)가 노출되는 캐리어 블록(82)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홈(83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어댑터 하우징(84)의 일 단부 내주면에는 고정 돌기(8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어댑터 하우징(84)을 캐리어 블록(82)의 외주면과 고정 결합시킬 때, 각각의 고정 돌기(85)가 각각의 고정 홈(83b)에 끼워지도록 그 방향을 일치시키면 원주 방향으로 상대 운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어댑터 하우징(84)의 내마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공구는 전동 공구의 클램프 장치를 더 포함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전동 공구의 클램프 장치는 그 기능 발현을 위해 크게 척 유닛과 운동 제공 유닛을 포함한다. 이 때, 척 유닛은 서로 반대 방향의 상대 운동을 하도록 설계되는 척 부재(10)와 락킹 볼트(20)에 의해 클램핑 모드와 언클램핑 모드를 갖는다. 그리고, 운동 제공 유닛은 척 유닛이 상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클램핑 모드는 척 유닛과 운동 제공 유닛에 의해 블레이드(5)가 척 부재(10)의 헤드부(12) 선단에 장착, 고정될 때의 위치 관계를 의미하고, 언클램핑 모드는 장착된 블레이드(5)가 헤드부(12) 선단에서 탈착, 이탈될 때의 위치 관계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척 부재(10)는 일단에 헤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런 헤드부(12)는 클랭핑 모드일 때 서로 벌어지고, 언클램핑 모드일 때 오므라진다. 이를 위해 척 부재(10)의 내부에는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락킹 볼트(20)가 배치된다.
락킹 볼트(20)는 전체적 형상이 핀 모양과 유사하여 수용 홈(23)이 형성되는 볼트 헤드(22)를 기준으로 볼트 헤드(22)의 일 면에서 연장되되, 척 부재(10)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1 몸체(24)와 제1 몸체(24)에서 연장되되, 클램핑 모드에서 척 부재(10)와 락킹 볼트(20)가 상대 운동에 의해 일단이 척 부재(10)의 헤드부(12)에 삽입되어 헤드부(12)를 벌어지게 하는 제2 몸체(26)를 포함한다.
반면, 언클램핑 모드에서 척 부재(10)와 락킹 볼트(20)는 다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헤드부(12)에 삽입되어 있던 제2 몸체(26)는 헤드부(12)에서 이탈되게 되고, 헤드부(12)는 오므라지게 된다. 즉, 락킹 볼트(20)는 운동 제공 유닛을 통해 볼트 헤드(2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왕복 직선 운동하며, 제2 몸체(26)의 선단이 헤드부(12) 사이에 삽입되거나 헤드부(12)로부터 이탈되게 한다.
한편, 수용 홈(23)은 볼트 헤드(22)의 외측 헤드면 중앙에는 형성되어 있다. 또한, 락킹 볼트(20)는 금속 재질을 갖고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척 부재(10)는 동일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분할 편(10a,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할 편(10a,10b)은 락킹 볼트(20)를 에워싸도록 그 둘레에 배치된다. 즉, 척 부재(1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개별적인 분할 편(10a,10b)에 의해 블레이드(5)의 반복적인 장착 및 탈착 과정에서 척 부재(10)에 발생하는 피로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척 부재(10)는 종래보다 내구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이런, 분할 편(10a,10b)은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안착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링 안착부(15)는 특히 헤드부(12)와 인접하는 위치 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링 안착부(15) 각각에는 탄성 재질의 오링(16)(O-ring)이 배치되어 락킹 볼트(20)의 제2 몸체(26)가 헤드부(12)에서 이탈되면 탄성 복원력으로 헤드부(12)를 오므라지게 하기 때문이다.
즉, 언클램핑 모드에서 락킹 볼트(20)의 제2 몸체(26)가 삽입되어 위치하던 헤드부(12)에서 이탈되었을 때, 오링(16)(O-ring)은 복수 개의 분할 편(10a,10b)으로 이루어진 척 부재(1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헤드부(12)끼리 서로 접촉될 수 있을 만큼 헤드부(12)를 오므라지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언클램핑 모드에서 블레이드(5)의 착탈은 더욱 용이하게 된다.
헤드부(12)는 내측면이 일정 두께 만큼 돌출되어 제2 몸체(26)가 헤드부(12)에 삽입되었을 때 복수 개의 분할 편(10a,10b)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12)의 단부는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형상으로 형성되어 헤드부(12)가 벌어지면 장착된 블레이드(5)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척 유닛은 축 방향으로 척 유닛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척 유닛 홀더(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동 제공 유닛은 척 부재(10)와 락킹 볼트(20)가 서로 반대 방향의 상대 운동을 하도록 한다. 이런 운동 제공 유닛은 일단에 회동 축(52)을 갖는 레버부(50)의 동작과 연동한다.
레버부(50)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부(50)는 회동 축(52)을 중심으로 180도 회동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레버부(50)는 전동 작업을 수행하는 클램핑 모드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동 공구에는 클램핑 모드에서 레버부(5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레버 홀더(55)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홀더(55)는 클립 타입으로 암수 클립 구조가 레버부(50)와 레버 홀더(55)에 각각 형성되어 체결 상태에서 서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레버부(50)의 회동 축(52)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제1 및 제2 캠(60)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캠(60)은 레버부(50)의 회동 축(52)에 고정 결합되어 레버부(50)의 회동 각도만큼 동일하게 회동한다. 그 결과, 제1 및 제2 캠(6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부재는 제1 및 제2 캠(60)의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캠(60)에 의해 구현되는 이중 편심 캠에 의해 척 부재(10)와 락킹 볼트(20)는 서로 반대 방향의 상대 운동을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및 제2 캠(60)을 사용하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1 및 제2 캠(60)은 레버부(50)의 축 회동을 척 유닛의 왕복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동 제공 유닛은 스틸 볼(32), 락킹 볼트 오프너(34) 및 척 부재 오프너(3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틸 볼(32)은 락킹 볼트(20)의 수용 홈(23)에 안착된다. 이 때, 스틸 볼(32)은 금속 재질의 구슬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수용 홈(23)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틸 볼(32)과 락킹 볼트(20)는 상대적인 회전을 할 수 있다.
락킹 볼트 오프너(34)는 제1 및 제2 캠(60) 중 어느 하나와 스틸 볼(32)에 양단이 각각 접촉 연결되어 락킹 볼트(20)가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게 한다. 락킹 볼트 오프너(34)는 대부분 막대 형상으로 운동을 전달하는 연결 부재에 해당된다.
그리고, 척 부재 오프너(36)는 제1 및 제2 캠(60) 중 나머지 다른 하나와 접촉 연결되어 척 부재(10)를 락킹 볼트(20)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척 부재 오프너(36)는 일 측에 척 유닛 홀더(38)의 상단부가 수용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척 부재 오프너(36)는 타 측으로 소정 길이의 관통 홀을 갖는 관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즉, 척 부재 오프너(36)는 전체적 형상이 깔때기에 유사하다. 그 결과, 락킹 볼트 오프너(34)는 관통 홀 내에 배치되어 관통 홀을 따라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른 제1 및 제2 캠(60)은 언클램핑 모드에서 락킹 볼트 오프너(34)를 축 방향으로 상승시키고 척 부재 오프너(36)를 축 방향으로 하강시켜, 락킹 볼트(20)의 제2 몸체(26)가 척 부재(10)의 헤드부(12)에서 이탈하여 헤드부(12)가 오므라지게 하는 형상을 갖는다. 동시에, 제1 및 제2 캠(60)은 클램핑 모드에서 락킹 볼트 오프너(34)를 축 방향으로 하강시키고 척 부재 오프너(36)를 축 방향으로 상승시켜, 락킹 볼트(20)의 제2 몸체(26)가 척 부재(10)의 헤드부(12)에 삽입되어 헤드부(12)가 벌어지게 하는 형상을 갖는다.
한편, 척 유닛은 척 부재(10)와 락킹 볼트(20) 사이에 배치되어 언클램핑 모드에서 락킹 볼트(20)를 복귀시키는 릴리스 스프링(42)과, 척 부재(1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클램핑 모드에서 척 부재(10)를 복귀시키는 척 스프링(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릴리스 스프링(42)은 척 유닛 홀더(38)의 내주면과 락킹 볼트(20)의 제1 몸체(24) 외주면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언클램핑 모드에서 릴리스 스프링(42)은 축 방향으로 락킹 볼트 오프너(34)가 상승 운동함에 따라 클램핑 모드에서 축 방향으로 락킹 볼트(20)를 가압하던 힘이 제거되면서 탄성 복원력으로 락킹 볼트(20)를 복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언클램핑 모드에서 락킹 볼트(20)는 축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척 스프링(44)은 척 부재(10)의 외주면과 클램프 장치를 수용하는 스핀들 하우징(70)의 내주면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클램핑 모드에서 척 스프링(44)은 축 방향으로 척 부재 오프너(36)가 상승 운동함에 따라 언클램핑 모드에서 축 방향으로 척 부재(10)를 가압하던 힘이 제거되면서 탄성 복원력으로 척 부재(10)를 복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클램핑 모드에서 척 부재(10)는 축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즉, 클램핑 모드에서 척 부재(10)는 축 방향으로 상승함과 동시에 락킹 볼트(20)의 제2 몸체(26)가 헤드부(12) 사이에 삽입되어 헤드부(12)는 벌어지게 된다.
전술한 것처럼 척 부재(10)와 락킹 볼트(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대 운동을 하는 이유는 제1 및 제2 캠(60)이 언클램핑 모드에서 클램핑 모드보다 락킹 볼트(20)를 축 방향으로 더 상승시키고, 척 부재(10)를 축 방향으로 더 하강시키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 때, 척 부재(10)와 락킹 볼트(20)는 릴리스 스프링(42)과 척 스프링(44)이 제공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서로 다른 모드에 따른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및 제2 캠(60)을 포함하는 전동 공구의 클램프 장치는 척 부재(10)와 락킹 볼트(20)가 서로 반대 방향의 상대 운동을 하면서 스트로크(stroke)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클램핑 모드와 언클램핑 모드 사이에서 서로 다른 모드로 변환되기 위해 필요한 레버부(50)의 작동 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동 공구는 스핀들 하우징(70)을 소정 각도 범위 이내에서 축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오실레이션 암(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를 제외하고, 전동 공구의 구동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전동 모터 등의 주요 구성들에 대해서는 공지된 구성들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구현할 수 있는 바, 이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어댑터 110: 바디부
120: 결합 돌기부 130: 돌기 홈
121: 제1 결합 돌기부 122: 제2 결합 돌기부
5: 블레이드 10: 척 부재
10a, 10b: 분할 편 12: 헤드부
15: 링 안착부 16: 오링
20: 락킹 볼트 32: 스틸 볼
34: 락킹 볼트 오프너 36: 척 부재 오프너
38: 척 유닛 홀더 42: 릴리스 스프링
44: 척 스프링 50: 레버부
52: 회동 축 55: 레버 홀더
60: 제1 및 제2 캠 70: 스핀들 하우징
82: 캐리어 블록 84: 어댑터 하우징
90: 오실레이션 암 92: 볼 베어링
94: 니들 베어링 96: 크랭크 하우징
22: 볼트 헤드 23: 수용 홈
24: 제1 몸체 26: 제2 몸체
83a: 끼움 돌기 83b: 고정 홈
85: 고정 돌기

Claims (10)

  1. 평판 고리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에 서로 다른 패턴으로 형성되어, 제조사가 다른 블레이드가 각각 장착되는 결합 돌기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에 원형으로 이격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홈;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은 중간 부분이 양 측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돌기 홈은 상기 바디부의 두께 측면에서 정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 중 어느 일 측면이라도 전동 공구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돌기 홈은 상기 바디부의 두께 방향으로 깊어질수록 횡단면이 축소되는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부는
    일 측면에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서 미리 설정된 제1 거리만큼 떨어져 원형으로 균등하게 이격 배열되는 제1 결합 돌기부;
    타 측면에 상기 바디부의 중앙 개구를 따라 원형으로 균등하게 이격 배열되는 제2 결합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돌기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각 돌기들은
    상기 바디부의 일 측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는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돌기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각 돌기들은
    상기 바디부의 타 측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방사 방향으로 높이가 증가하는 단차를 갖는 2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
  6. 삭제
  7. 평판 고리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에 서로 다른 패턴으로 형성되어, 제조사가 다른 블레이드가 각각 장착되는 결합 돌기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에 원형으로 이격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홈;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은 중간 부분이 양 측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돌기 홈은 상기 바디부의 두께 측면에서 정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 중 어느 일 측면이라도 전동 공구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돌기 홈은 상기 바디부의 두께 방향으로 깊어질수록 횡단면이 축소되는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동일 형상의 분할 편; 및 상기 분할 편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바디부의 일 측면 중앙 개구를 관통하여 타 측면에 걸림 결합되는 헤드부;가 형성되는 척 부재와,
    상기 척 부재 내부에 배치되어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락킹 볼트와,
    상기 척 부재와 상기 락킹 볼트가 서로 반대 방향의 상대 운동을 하도록 하는 운동 제공 유닛을 포함하는 전동 공구.
  8. 제 7항에 있어서,
    일 단부가 전동 공구의 스핀들 하우징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며, 타 단부 측면에는 원형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끼움 돌기가 형성되는 캐리어 블록; 및
    일 단부가 상기 끼움 돌기가 노출되는 캐리어 블록의 외주면과 고정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어댑터의 바디부 외주면과 결합되는 고무 재질의 어댑터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전동 공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기가 노출되는 상기 캐리어 블록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 하우징의 일 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 홈에 대응되어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전동 공구.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운동에 따라 상기 헤드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전동 공구의 클램프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동 공구.
KR1020160046939A 2016-04-18 2016-04-18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 KR101802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39A KR101802772B1 (ko) 2016-04-18 2016-04-18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39A KR101802772B1 (ko) 2016-04-18 2016-04-18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354A KR20170119354A (ko) 2017-10-27
KR101802772B1 true KR101802772B1 (ko) 2017-11-30

Family

ID=6030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939A KR101802772B1 (ko) 2016-04-18 2016-04-18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7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6671A (zh) * 2012-05-08 2013-11-13 泉峰(中国)贸易有限公司 用于将工作元件适配到动力工具轴端的适配器及成型方式
US20140110908A1 (en) * 2011-01-25 2014-04-24 Robert Bosch Gmbh Tool chuck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0908A1 (en) * 2011-01-25 2014-04-24 Robert Bosch Gmbh Tool chucking device
CN103386671A (zh) * 2012-05-08 2013-11-13 泉峰(中国)贸易有限公司 用于将工作元件适配到动力工具轴端的适配器及成型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354A (ko) 201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6605B2 (en) Power tool
US10144110B2 (en) Work tool
US9821430B2 (en) Power tools
CN106475975B (zh) 手持式工具及其夹紧装置
CN100406201C (zh) 用于磨削机的嵌接式刀具
CN106466862B (zh) 作业工具
CN111645036B (zh) 作业工具
CA2064917A1 (en) Interface
CN111958272A (zh) 零点夹紧装置
US20110036604A1 (en) Multi-function power tool
US11491604B2 (en) Work tool
CN110522292B (zh) 一种实现炒锅快速更换的炒锅组件
CN216912809U (zh) 机械式拉拔装置
CN105102145A (zh) 冲压设备
KR101759303B1 (ko) 전동 공구의 클램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
GB2427905A (en) Quick release connector for mixing paddle
WO2013065614A1 (ja) 作業工具
KR101802772B1 (ko) 전동 공구용 블레이드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
US10086424B2 (en) Helix tool locking system
US5431235A (en) Reciprocal chuck for paving breaker
CN220921562U (zh) 一种压缩机外壳夹具
CN213053050U (zh) 一种锯条快换结构
CN109794717B (zh) 一种可旋转产品的夹紧装置
JP7219020B2 (ja) 作業工具
KR102291638B1 (ko)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