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638B1 -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 - Google Patents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638B1
KR102291638B1 KR1020200012826A KR20200012826A KR102291638B1 KR 102291638 B1 KR102291638 B1 KR 102291638B1 KR 1020200012826 A KR1020200012826 A KR 1020200012826A KR 20200012826 A KR20200012826 A KR 20200012826A KR 102291638 B1 KR102291638 B1 KR 102291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locking
hole
groove
polish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8805A (ko
Inventor
채성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오
Priority to KR1020200012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6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05Auxiliary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6Quick mount and release means for disc-like wheels, e.g. on power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체결 고정되고, 중앙부에 돌출되고 내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장착블럭이 복수개 배열된 연마패드를 장착 또는 탈착시킬 수 있는 그라인더 홀더에 있어서, 중앙에 상기 회전축과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의 외측으로 상기 장착블럭이 삽입될 수 있는 장착홀이 형성되며, 외주로부터 상기 장착홀과 연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본체; 양측에 볼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부싱; 상기 가이드부싱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외주를 따라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오목한 락킹홈과 상기 락킹홈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이 오목한 릴리스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락킹핀; 상기 락킹핀과 장착홀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핀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일측이 상기 락킹홈에 안착되고 타측은 상기 볼홀에 삽입되어 일부가 출몰하는 락킹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락킹핀을 강제 전진시켜 상기 락킹볼이 상기 릴리스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블럭을 상기 장착홀에 삽입하고, 상기 락킹핀이 후진하면 상기 락킹볼이 상기 락킹홈에 안착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Grinder holder for mounting polishing pad}
본 발명은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인더에 장착하는 것으로 연마패드나 커터와 같은 공구를 그라인더에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인더는 모터나 공기압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전력을 그라인더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에 전달하며, 회전축에는 연마디스크, 연마패드와 같은 연마공구 또는 원형 커터가 결합되어 공작물의 표면을 절삭 가공하거나 절단할 때 사용한다.
그라인더는 다량의 가공물을 정해진 위치에 놓고 고정시킨 상태로 연마작업을 하는 고정형 그라인더와 여러 장소로 이동하고 소형, 소량의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해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형 그라인더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편리한 휴대형 그라인더가 많이 사용되는데, 휴대형 그라인더는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면 연마공구가 마모되므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수시로 다른 크기나 종류의 연마공구로도 교체하게 된다.
이러한 핸드 그라인더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356304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기술은, 연마판이 장착되는 헤드를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끼워넣고 고정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이는 스패너 등의 별도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너트를 조이거나 풀어내는 과정을 반복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연마판의 교체작업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고 협소공간 및 고소 작업시에 교체 가능한 장소로 이동하는 등 작업의 연속성이 어려워 작업능률을 떨어뜨리게 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등록실용신안 제0373648호나 제0376952호 공보에는 커플러의 원주 상에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리브를 장착하여 록킹볼을 출몰시키는 것에 의해 연마공구를 원터치 방식으로 탈,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에 록킹볼이 연마공구의 끝단부에 형성된 요홈 내로부터 출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라인딩 작업시의 고속 회전하는 연마공구에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그라인더 작업시 대체로 평탄한 표면에서는 그라인딩 작업에 있어 문제가 없으나, 굴곡이 있는 곡면 또는 모서리 부분에서는 스프링에 진동이 전달되어 연마공구가 떨리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 상기 연마공구의 원주 상에 형성된 3개의 돌기에 의지하여 커플러와의 밀착력을 유지하는 구조이므로 어느 정도 힘이 실리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 동력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마찰력 혹은 미세 진동 등에 의해 결속력이 떨어져 작업자에게 커다란 심리적인 불안감을 야기시킨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37521(2019.10.22.)"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부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가 있다.
상기 특허가 종래의 문제를 대부분 해결했으나 실제 연마공구는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만일의 경우 장착된 연마공구가 이탈할 수 있는 위험이 있고, 구조가 복잡하며, 장착 또는 탈착 과정이 번거로워 작업자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27506(2019.3.15.) "핸드 그라인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92966(2018.8.23.) "연마공구 장착유닛"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06995(2009.1.16.)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포트 잠금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37521(2019.10.22.)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부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연마패드의 장탈착이 용이한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는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체결 고정되고, 중앙부에 돌출되고 내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장착블럭이 복수개 배열된 연마패드를 장착 또는 탈착시킬 수 있는 그라인더 홀더에 있어서, 중앙에 상기 회전축과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의 외측으로 상기 장착블럭이 삽입될 수 있는 장착홀이 형성되며, 외주로부터 상기 장착홀과 연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본체; 양측에 볼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부싱; 상기 가이드부싱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외주를 따라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오목한 락킹홈과 상기 락킹홈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이 오목한 릴리스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락킹핀; 상기 락킹핀과 장착홀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핀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일측이 상기 락킹홈에 안착되고 타측은 상기 볼홀에 삽입되어 일부가 출몰하는 락킹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락킹핀을 강제 전진시켜 상기 락킹볼이 상기 릴리스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블럭을 상기 장착홀에 삽입하고, 상기 락킹핀이 후진하면 상기 락킹볼이 상기 락킹홈에 안착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락킹홈과 릴리스홈이 중첩되는 부분은 라운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의 외측으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는 함몰된 형상의 누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락킹핀의 단부에는 상기 락킹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캡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연마패드의 장착 또는 탈착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연마패드가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원심력에 의해 락킹볼이 락킹홈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착블럭이 장착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락킹홈과 릴리스홈의 상세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그라인더나 연마기와 같은 전동공구의 회전축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서, 연마패드나 연마디스와 같은 소모품을 장착 또는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어댑터(adaptor)와 같은 장치이다.
본 발명은 크게, 본체(100), 가이드부싱(200), 락킹핀(300), 스프링(400), 락킹볼(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마패드(10)나 연마디스크의 구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연마패드(10)는 디스크 형상을 이루고 중앙에 패드홀(11)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홀(11)의 주위에 장착블럭(1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블럭(12)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에 형성된 장착홀(120)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복수개가 상기 패드홀(11) 주위를 둘러 방사상으로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하나의 장착홀(120)에 한 쌍의 이격된 장착블럭(12)이 삽입된다.
그래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장착블럭(12)이 이격되어 형성되되, 네 쌍이 각각 12, 3, 6, 9시 방향에 구비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각 장착블럭(12)의 내측면에는 고정홈(1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3)은 상기 장착블럭(12)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술하는 구형상의 락킹볼(500)의 일부가 삽입, 밀착되도록 반구 또는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연마패드라 함은 가공물을 연마, 절삭 또는 절단하기 위해 그라인더 홀더에 장착하는 연마공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연마디스크, 절삭패드, 커팅날, 원형톱 등을 포괄하는 용어임을 일러둔다.
먼저,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본체(10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본체(1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체결홀(11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110)은 그라인더의 회전축(미도시)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이때, 상기 체결홀(110)에 그라인더 회전축을 결합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뤄질 수 있으나, 상기 체결홀(110)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과 나사 체결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110)의 주위에는 상기 장착블럭(12)이 삽입될 수 있는 장착홀(120)이 상기 본체(10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120)은 직사각형을 이루면서 복수개가 상기 체결홀(1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블럭(12)의 배열과 대응되도록 상기 체결홀(110) 외측으로 3, 6, 9, 12시 방향에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장착홀(120)에는 상기 장착블럭(12) 한 쌍이 끼움, 삽입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상기 장착블럭(12)의 외측간 거리는 상기 장착홀(120)의 내측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이격된 상기 장착블럭(12) 한 쌍이 상기 장착홀에 맞춤 삽입된다.
또 상기 본체(100)에는 가이드홀(13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30)은 상기 본체(100)의 외주에서 상기 장착홀(12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홀(130)에는 후술하는 상기 가이드부싱(200) 및 락킹핀(30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가장자리에는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의 누름부(1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부(140)는 원호형상으로 패인 형상일 수 있고 손가락이 안착되면서 후술하는 상기 락킹핀(300)을 누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누름부(140)는 마주보는 장착홀(120)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는데, 상세하게는 상기 누름부(140) 상에 상기 가이드홀(1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양 손가락을 사용하여 상기 누름부(140)를 각각 누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4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가이드부싱 및 락킹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락킹홈과 릴리스홈의 상세단면도이다.
상기 가이드부싱(200)은 원통 또는 원형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홀(130)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부싱(200)은 상기 락킹핀(300)의 왕복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부싱(200)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홀(130)의 단부에서 상기 장착홀(120)의 내측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는 상기 장착홀(120)의 내측면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좀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싱(200)의 양측에는 볼홀(210)이 형성된다. 상기 볼홀(210)은 원형공으로서 후술하는 락킹볼(500)의 일부가 출몰되게 하는 홀이다.
상기 락킹핀(300)은 상기 원형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싱(200)에 삽입되어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락킹핀(300)의 외주에는 락킹홈(310)이 원주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동일한 형상으로 릴리스홈(320)도 형성된다.
이때, 상기 락킹홈(310)과 릴리스홈(320)의 단면은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즉, 서로 일부가 중첩되어 단면이 대략 '3'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락킹홈(310)과 릴리스홈(320)의 각 곡률은 후술하는 상기 락킹볼(500)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락킹볼(500)의 일부가 상기 락킹홈(310) 또는 릴리스홈(320)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한 것은 상기 릴리스홈(320)의 깊이가 상기 락킹홈(310)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락킹볼(500)이 상기 락킹홈(310)에 위치할 때보다 상기 릴리스홈(320)에 위치할 때 상기 락킹핀(300)의 내측으로 더 진입하게 된다.
또 상기 락킹홈(310)과 릴리스홈(320)이 만나서 중첩되는 부분은 첨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둥글게 라운딩부(330)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라운딩부(330)는 변곡점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킹볼(500)이 상기 락킹홈(310)과 릴리스홈(320) 사이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상기 락킹핀(300)의 단부에는 캡(340)이 형성된다. 상기 캡(340)은 상기 락킹핀(3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게 하여 상기 락킹핀(300)이 상기 가이드부싱(200) 내부로 매몰되지 않게 걸림턱 기능을 하면서 손가락으로 상기 락킹핀(300)을 누를 때 가압점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프링과 락킹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락킹핀(300)을 탄성적으로 지지, 다시 말해서, 상기 락킹핀(300)이 외측으로 밀려나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락킹핀(300)의 단부와 상기 장착홀(120)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스프링(4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400)은 압축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00)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상기 락킹핀(300)의 단부과 상기 장착홀(120)의 내측면에 스프링홈(350, 12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400)의 양단의 일부가 각각 상기 스프링홈(350, 121)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락킹볼(500)은 스틸볼(steel ball)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한 쌍이 각각 상기 락킹홈(310)에 안착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락킹볼(500)의 일측은 상기 락킹홈(310)에 안착되고, 타측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부싱(200)에 형성된 볼홀(210)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싱(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스프링(400)의 탄성력으로 상기 락킹핀(300)은 외측으로 밀려나는 힘을 받고 있으나 상기 락킹볼(500)이 상기 락킹홈(310)과 상기 볼홀(210)에 걸린 상태이므로 상기 락킹핀(300)은 더 이상 상기 가이드부싱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연마패드(10)를 장착하는 과정이다.
작업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340)을 각각 양 손가락으로 눌러 가압하면 상기 락킹핀(300)은 각각 상기 가이드부싱(200)을 따라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강제로 전진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400)은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락킹핀(300)의 전진에 따라 락킹볼(500)은 상기 라운딩부(330)를 넘어 상기 릴리스홈(320)에 안착된다. 상기 락킹볼(500)이 상기 릴리스홈(320)에 위치하면서 상기 볼홀(210)에 삽입되어 노출된 상기 락킹볼(500)은 후진하여 상기 볼홀(210)에 매몰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연마패드(10)의 장착블럭(12)이 상기 장착홀(120)에 삽입되도록 끼움 결합시키고 상기 캡(340)을 누르고 있던 손가락을 떼면 상기 락킹핀(300)은 상기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나면서 후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락킹볼(500)은 다시 상기 락킹홈(310)에 안착된다.
상기 락킹볼(500)이 상기 락킹홈(310)에 안착되면 상기 볼홀(210)을 통해 돌출되면서 노출되고 상기 장착블럭(12)에 형성된 고정홈(13)에 진입해서 밀착된다. 즉, 상기 락킹볼(500)이 상기 고정홈(13)에 걸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장착블럭(12)들이 상기 장착홀(120)에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으므로 연마패드(1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도 3의 상태 참조)
따라서, 상기 연마패드(10)가 고속으로 회전할 때 상기 락킹핀(300)은 원심력의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려 하기 때문에 상기 락킹홈(310)에 안착된 상기 락킹볼(500)은 절대 상기 릴리스홈(320)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즉, 상기 연마패드(10)는 홀더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 연마패드(10)를 탈착하는 경우도 장착하는 순서와 동일하다.
즉, 작업자가 상기 캡(340)을 눌러 상기 락킹핀(300)을 전진시키면 상기 락킹볼(500)이 상기 릴리스홈(320)에 안착되면서 내측으로 후진하므로 상기 락킹볼(500)이 상기 고정홈(13)에서 빠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장착블럭(12)이 상기 장착홀(120)에서 쉽게 빠질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연마패드(10)를 쉽게 탈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연마패드 11 : 패드홀
12 : 장착블럭 13 : 고정홈
100 : 본체 110 : 체결홀
120 : 장착홀 121 : 스프링홈
130 : 가이드홀 140 : 누름부
200 : 가이드부싱 210 : 볼홀
300 : 락킹핀 310 : 락킹홈
320 : 릴리스홈 330 : 라운딩부
340 : 캡 350 : 스프링홈
400 : 스프링
500 : 락킹볼

Claims (4)

  1.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체결 고정되고, 중앙부에 돌출되고 내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장착블럭이 복수개 배열된 연마패드를 장착 또는 탈착시킬 수 있는 그라인더 홀더에 있어서,
    중앙에 상기 회전축과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의 외측으로 상기 장착블럭이 삽입될 수 있는 장착홀이 형성되며, 외주로부터 상기 장착홀과 연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본체;
    양측에 볼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부싱;
    상기 가이드부싱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외주를 따라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오목한 락킹홈과 상기 락킹홈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이 오목한 릴리스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락킹핀;
    상기 락킹핀과 장착홀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락킹핀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일측이 상기 락킹홈에 안착되고 타측은 상기 볼홀에 삽입되어 일부가 출몰하는 락킹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락킹핀을 강제 전진시켜 상기 락킹볼이 상기 릴리스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블럭을 상기 장착홀에 삽입하고, 상기 락킹핀이 후진하면 상기 락킹볼이 상기 락킹홈에 안착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홈과 릴리스홈이 중첩되는 부분은 라운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의 외측으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는 함몰된 형상의 누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핀의 단부에는 상기 락킹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캡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
KR1020200012826A 2020-02-03 2020-02-03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 KR102291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826A KR102291638B1 (ko) 2020-02-03 2020-02-03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826A KR102291638B1 (ko) 2020-02-03 2020-02-03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805A KR20210098805A (ko) 2021-08-11
KR102291638B1 true KR102291638B1 (ko) 2021-08-20

Family

ID=7731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826A KR102291638B1 (ko) 2020-02-03 2020-02-03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6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581B1 (ko) 2018-09-12 2019-03-05 박효주 원터치 방식으로 조우와 연마패드가 체결되는 그라인딩기기
JP2019508277A (ja) 2016-12-16 2019-03-28 ミレェ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Miretec Co., Ltd. 回転装置
KR102037521B1 (ko) 2018-12-28 2019-10-29 채성덕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부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1848A (ja) * 1997-02-17 1998-09-02 Jacobs Japan Inc 回転作業部材の緊締機構
KR20090006995A (ko) 2007-07-13 2009-01-16 대영코어텍(주)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포트 잠금장치
DE102017218622A1 (de) * 2017-04-12 2018-10-18 Robert Bosch Gmbh Schleifmittelvorrichtung, insbesondere Schleiftellervorrichtung oder Stütztellervorrichtung
KR20190027506A (ko) 2017-09-07 2019-03-15 (주)태룡 핸드 그라인더
KR101892966B1 (ko) 2018-03-19 2018-10-04 박재형 연마공구 장착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8277A (ja) 2016-12-16 2019-03-28 ミレェ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Miretec Co., Ltd. 回転装置
KR101954581B1 (ko) 2018-09-12 2019-03-05 박효주 원터치 방식으로 조우와 연마패드가 체결되는 그라인딩기기
KR102037521B1 (ko) 2018-12-28 2019-10-29 채성덕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부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805A (ko)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39356A1 (en) Method of using accessories for oscillating power tools
JP4421476B2 (ja) 研磨機用ブラシの製造方法および研磨機用ブラシ
KR101535217B1 (ko) 그라인더용 연마공구의 탈, 부착장치
KR102037521B1 (ko)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부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RU2748570C2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машина
US4365397A (en) File tool attachment
JP6963629B2 (ja) 研削手段装置、取付け工具、および、工作機械システム
JP4972492B2 (ja) 研磨機用ブラシ
EP3074193B1 (en) Tool free bolt system for a saw blade
KR102276986B1 (ko) 원터치로 연마패드의 탈장착이 가능한 그라인더 홀더
KR102291638B1 (ko)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
CN108857854B (zh) 研磨装置及其夹持座
JP5427075B2 (ja) ブラシ繰り出し装置
JP5217031B2 (ja) ドリルチャック及びドリル研磨機
KR200376952Y1 (ko) 핸드 그라인더의 연마홀더 착탈구조
CN111761480B (zh) 一种快速夹紧装置及具有快速夹紧装置的角磨机
JP5150194B2 (ja) 研磨工具および加工方法
KR102540973B1 (ko) 연마패드 및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
KR102656272B1 (ko) 원터치로 탈장착되는 디스크형 그라인더
KR200306281Y1 (ko) 면취장치
JP3016312U (ja) ホーニング・リーマ
CN210704254U (zh) 一种打磨工具
CN218776382U (zh) 用于阀体内腔中去除毛刺的磨头延长杆
KR102279719B1 (ko) 다용도 휴대용 연마기
CN213176409U (zh) 迷你输出轴夹头螺母总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