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363A -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363A
KR20080073363A KR1020087016026A KR20087016026A KR20080073363A KR 20080073363 A KR20080073363 A KR 20080073363A KR 1020087016026 A KR1020087016026 A KR 1020087016026A KR 20087016026 A KR20087016026 A KR 20087016026A KR 20080073363 A KR20080073363 A KR 20080073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casing
air
filt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4146B1 (ko
Inventor
토모히로 야부
히로무네 마츠오카
노리히로 타케나카
테츠야 모리자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07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receiving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Abstract

케이싱의 하면(下面)에 취출구가 설치된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쇼트 서킷을 생기기 어렵게 한다. 공기 조화 장치(1)는, 공조실의 천장(U)에 설치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이고, 상면(上面)에 흡입구(21a)와 하면에 취출구(23a ~ 23d)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흡입구(21a)로부터 취출구(23a ~ 23d)에 이르는 공기 유로(S)가 형성된 케이싱(2)과, 공기 유로(S) 내에 배치된 송풍 팬(3)과, 공기 유로(S)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5)를 구비하고 있다.
Figure P1020087016026
공기 조화 장치, 취출구, 케이싱, 천장 설치형, 천장 매입형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 특히, 케이싱의 하면(下面)에 취출구가 설치된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로서, 하면에 흡입구 및 취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송풍 팬 및 열교환기를 구비한 것이 있다.
그러나 하면에 흡입구 및 취출구의 양방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가 취출 직후에 흡입구로부터 케이싱 내로 흡입되어 버리는 현상(이하, 쇼트 서킷(short circuit)이라고 한다)이 생기기 쉬워, 실내의 쾌적성을 해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케이싱의 하면에 취출구가 설치된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쇼트 서킷을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공조실의 천장에 설치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이고, 상면(上面)에 흡입구와 하면에 취출구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흡입구로부터 취출구에 이르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공기 유로 내에 배치된 송풍 팬과, 공기 유로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케이싱의 상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케이싱의 하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쇼트 서킷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입구가 천장 이면(裏面)의 공간에 배치되고, 또한 취출구가 실내 공간에 배치되도록 되기 때문에, 천장 이면의 공간을 급기 챔버(chamber)로 하는 천장 챔버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케이싱의 하면에 흡입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취출구만이 형성된 박형(薄型)의 패널을 케이싱의 하면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천장 매입형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공조실의 천장에 설치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이고, 측면(側面)에 흡입구와 하면에 취출구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흡입구로부터 취출구에 이르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공기 유로 내에 배치된 송풍 팬과, 공기 유로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케이싱의 하면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쇼트 서킷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입구가 천장 이면의 공간에 배치되고, 또한 취출구가 실내 공간에 배치되도록 되기 때문에, 천장 이면의 공간을 급기 챔버로 하는 천장 챔버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케이싱의 하면에 흡입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취출구만이 형성된 박형의 패널을 케이싱의 하면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천장 매입형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의 하면에 장착되고, 취출구에 대향하는 패널 취출구가 형성된 취출 패널을 더 구비하고 있다. 취출 패널은, 천장이 그리드(grid) 천장인 경우에 있어서, 그리드 천장의 프레임 내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취출 패널을 그리드 천장의 프레임 내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취출 패널을 천장면과 대략 플랫하게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송풍 팬은 터보 팬이고, 열교환기는 공기 유로 내에 있어서 송풍 팬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터보 팬을 송풍 팬으로서 사용하는 것과 함께, 송풍 팬의 하류 측에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싱 내를 흐르는 공기가 대체로 하향(下向)으로 흐르도록 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케이싱 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반복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공기 유로 내를 흐르는 공기의 통풍 저항을 줄일 수 있는 것과 함께, 케이싱의 높이 방향 치수의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송풍 팬은 사류 팬이고, 열교환기는 공기 유로 내에 있어서 송풍 팬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사류 팬을 송풍 팬으로서 사용하는 것과 함께, 송풍 팬의 하류 측에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싱 내를 흐르는 공기가 대체로 하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케이싱 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반복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공기 유로 내를 흐르는 공기의 통풍 저항을 줄일 수 있는 것과 함께, 케이싱의 높이 방향 치수의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4 또는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케이싱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송풍 팬의 외주(外周) 측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열교환기가 케이싱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송풍 팬의 외주 측에 복수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의 높이 방향 치수의 컴팩트화를 촉진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케이싱을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열교환기가 케이싱을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의 높이 방향 치수의 컴팩트화를 한층 더 촉진하는 것과 함께, 열교환기의 전열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공기 유로 내에 있어서, 송풍 팬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송풍 팬의 상류 측에 열교환기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대략 평면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장치 전체적으로의 열교환기의 전열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취출구는, 케이싱의 하면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공기 유로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취출구를 향하여 흐르는 취출 유로를 가지고 있고, 취출 유로에는, 케이싱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내주(內周) 측을 향하여 확대한 확대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취출구가 케이싱의 하면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취출 유로에 케이싱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내주 측을 향하여 확대한 확대 유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출구로부터 공조 실내로 불어내질 때의 드래프트의 억제나 정음화(靜音化)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흡입구가 케이싱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흡입구가 취출구의 내주 측에 형성된 형태의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에 비하여 확대 유로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취출구로부터 공조 실내로 불어내질 때의 드래프트의 억제나 정음화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공조실의 천장에 설치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이고, 상면 또는 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배치된 송풍 팬과, 케이싱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취출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취출 패널은, 케이싱의 하면에 장착되고, 케이싱의 하면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패널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흡입구로부터 취출구에 이르는 공기 유로를 통하여 패널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지도록 되어 있고, 공기 유로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패널 취출구를 향하여 흐르는 취출 유로를 가지고 있고, 취출 유로에는, 케이싱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내주 측을 향하여 확대한 확대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케이싱의 상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케이싱의 하면에 장착된 취출 패널의 패널 취출구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쇼트 서킷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입구가 천장 이면의 공간에 배치되고, 또한 패널 취출구가 실내 공간에 배치되도록 되기 때문에, 천장 이면의 공간을 급기 챔버로 하는 천장 챔버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패널 취출구가 케이싱의 하면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취출 유로에 케이싱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내주 측을 향하여 확대한 확대 유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 취출구로부터 공조 실내로 불어내질 때의 드래프트의 억제나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흡입구가 케이싱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흡입구가 패널 취출구의 내주 측에 형성된 형태의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에 비하여 확대 유로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패널 취출구로부터 공조 실내로 불어내질 때의 드래프트의 억제나 정음화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취출 패널은, 천장이 그리드 천장인 경우에 있어서, 그리드 천장의 프레임 내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취출 패널을 그리드 천장의 프레임 내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취출 패널을 천장면과 대략 플랫하게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제1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0 또는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확대 유로는 케이싱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확대 유로가 케이싱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출 패널의 높이 방향 치수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제1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0 또는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확대 유로는 취출 패널에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확대 유로가 취출 패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의 높이 방향 치수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제1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9 내지 제1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확대 유로의 유로 면적을 변경하기 위한 유로 면적 변경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확대 유로의 유로 면적을 변경하기 위한 유로 면적 변경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확대 유로의 유로 면적이 작아지도록 변경하는 것으로, 취출구나 패널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를 취출구나 패널 취출구로부터 떨어진 장소까지 도달시킬 수 있다.
제1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유로 면적 변경 기구는, 냉방 운전 시에는 확대 유로의 유로 면적이 큰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고, 난방 운전 시에는 확대 유로의 유로 면적이 작은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냉방 운전 시에는 확대 유로의 유로 면적이 큰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콜드 드래프트(cold draft)의 억제나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난방 운전 시에는 확대 유로의 유로 면적이 작은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취출구나 패널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지는 따뜻한 공기를 공조 실내의 하부까지 도달시킬 수 있다.
제1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2 또는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송풍 팬은 시로코 팬이고, 열교환기는 공기 유로 내에 있어서 송풍 팬보다도 흡입구 측 또는 취출구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1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적층형 열교환기이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열교환기로서 적층형 열교환기를 채용하고 있어, 열교환율이 높고 컴팩트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싱의 높이 방향 치수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제1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1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열 매체는 물이다.
제1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1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흡입구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싱에는 흡입구와 케이싱의 하면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해지도록 필터를 보지(保持)하는 필터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케이싱에 필터를 흡입구와 케이싱의 하면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필터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구가 케이싱의 상면이나 측면에 설치된 형태인 것에도 불구하고, 청소 등의 때에 필터를 용이하게 착탈(着脫)할 수 있다.
제20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에는, 필터 안내부를 통하여 필터를 하방(下方)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하방으로 자동으로 필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소(高所) 작업을 피하면서 필터를 내릴 수 있다.
제2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에는, 필터 안내부를 통하여 필터를 하방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하방으로 수동으로 필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소 작업을 피하면서 필터를 내릴 수 있다.
제2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1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흡입구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고, 필터가 포집한 진애(塵埃)를 필터로부터 제거하는 청소 기구와, 청소 기구에 의하여 제거되는 진애를 모으는 더스트 박스(dust box)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흡입구에 설치된 필터를 청소하는 청소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를 흡입구로부터 떼어내는 일 없이, 필터로부터 진애를 제거하고, 청소 기구에 의하여 제거된 진애를 더스트 박스에 모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흡입구에 설치된 필터의 청소에 필요로 하는 노력을 줄일 수 있다.
제2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2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에는, 더스트 박스를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진애가 모인 더스트 박스를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소 작업을 피하면서 더스트 박스를 내릴 수 있다.
제2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2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에는, 더스트 박스를 하방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진애가 모인 더스트 박스를 하방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소 작업을 피하면서 더스트 박스를 내릴 수 있다.
제2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2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에는, 청소기의 노즐을 끼우는 것이 가능한 노즐 끼움구가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더스트 박스에, 청소기의 노즐을 끼우는 것이 가능한 노즐 끼움구가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기의 노즐을 공기 조화 장치의 하측으로부터 노즐 끼움구에 끼운다고 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더스트 박스에 모인 진애를 더스트 박스 내로부터 청소기로 흡인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필터의 청소에 필요로 하는 노력을 한층 더 줄일 수 있다.
제2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2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노즐 끼움구에는, 청소기의 노즐을 끼우는 것에 의하여 열리는 개폐 덮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노즐 끼움구에 청소기의 노즐을 끼우는 것에 의하여 열리는 개폐 덮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기에 의하여 더스트 박스에 모인 진애를 흡인하는 작업을 행할 때까지, 청소 기구에 의하여 더스트 박스에 모인 진애가 노즐 끼움구로부터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개폐 덮개를 열기 위한 고소 작업을 피할 수 있다.
제2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2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개폐 덮개는 자중(自重)에 의하여 닫힌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개폐 덮개가 자중에 의하여 닫히기 때문에, 청소기의 노즐을 노즐 끼움구로부터 빼내는 것에 의하여 개폐 덮개를 닫을 수 있다.
제2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25 내지 제2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에는, 청소기의 흡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더스트 박스에는 청소기의 흡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 기구에 의하여 더스트 박스에 모인 진애가 끼움구로부터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더스트 박스에 모인 진애를 더스트 박스 내로부터 청소기로 흡인하여 배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2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22 내지 제2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는 케이싱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30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1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흡입구에는 권취식의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흡입구에 권취식의 필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의 청소를 행할 필요가 없고, 필터의 권취가 종료한 경우만, 새로운 권취식의 필터로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필터를 청소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제3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진애를 포집하는 필터를 더 구비하고 있고, 열교환기는, 공기 유로 내에 있어서, 송풍 팬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고, 필터는 송풍 팬과 열교환기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필터가 송풍 팬과 열교환기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케이싱의 하면의 일부를 떼어내는 등에 의하여, 필터를 케이싱의 하면으로부터 꺼낼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흡입구가 케이싱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불구하고, 필터의 메인터넌스(maintenance)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3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3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의 하면에 장착되고, 취출구에 대향하는 패널 취출구가 형성된 취출 패널을 더 구비하고 있고, 취출 패널의 적어도 일부가 케이싱으로부터 떼어내질 때에, 필터는 취출 패널의 적어도 일부의 떼어냄에 연동하여 케이싱의 하면을 통하여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케이싱의 하면에 장착된 취출 패널의 적어도 일부가 케이싱으로부터 떼어내질 때에, 그 떼어냄에 연동하여 필터를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에도 불구하고, 필터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3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3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취출 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자동적으로 승강(昇降) 가능하고, 필터는 취출 패널의 적어도 일부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한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케이싱의 하면에 취출 패널을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취출 패널의 적어도 일부가 자동적으로 승강하는 것이고, 그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필터가 승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고소 작업을 피하면서 필터를 내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권취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2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3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3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3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11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3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3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13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4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14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4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15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6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16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6에 관련되는 필터 구동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7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18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8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19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8에 관련되는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9에 관련되는 더스트 박스의 개략 측면 단면도 이다.
도 21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0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22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1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23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2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그리드 천장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5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3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C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7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4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의 C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9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4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5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 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6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6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1의 C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4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6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6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도 35의 C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7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6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38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7에 관련되는 취출 패널의 일부를 자동 승강시키기 위한 기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9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7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 41은 권취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2는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43은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44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 1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01 : 공기 조화 장치 2, 402 : 케이싱
3, 403 : 송풍 팬 5, 105, 405 : 열교환기
7, 207, 307, 407, 607a ~ 607d : 필터 10, 410 : 취출 패널
11, 111 : 더스트 박스 24 : 필터 안내부
113 : 노즐 끼움구 114 : 개폐 덮개
116 : 내 밸브 21a, 21b, 421a : 흡입구
23a ~ 23d, 423a : 취출구 10a ~ 10d, 410a : 패널 취출구
273 : 청소 기구 S : 공기 유로
S1 : 취출 유로 S2 : 확대 유로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1)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기본 구성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1)의 개략 측면 단면도(천장은 생략)를, 도 2에 도 1의 A-A 단면도를 도시한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천장 매입형의 형태 및 천장 걸이형의 형태의 양방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며, 주로, 내부에 각종 구성 기기를 수납하는 케이싱(2)을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도면 중의 O는 송풍 팬(3)의 회전 축선 또는 회전 중심을 도시하고 있다.
케이싱(2)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형상이 대략 8각형상의 상자 형상 부재이며, 주로, 긴 변과 짧은 변이 교대로 연속하여 형성된 대략 8각형상의 천판(天板, 21)과, 천판(21)의 주연부(周緣部)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판(22)과, 측판(22)의 하단부(下段部)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구(開口)를 덮는 저판(底板, 23)을 가지고 있다.
천판(21)에는,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중앙에 흡입구(21a)가 형성되어 있다.
측판(22)은, 천판(21)의 긴 변에 대응하는 측판(22a, 22b, 22c, 22d)과, 천판(21)의 짧은 변에 대응하는 측판(22e, 22f, 22g, 22h)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측판(22d)과 측판(22a)은, 측판(22e)을 사이에 두고 서로가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측판(22a, 22b) 사이, 측판(22b, 22c) 사이, 측판(22c, 22d) 사이에 대해서도, 측판(22d, 22a) 사이와 마찬가지로, 서로가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측판(22e, 22f, 22g, 22h)에는, 케이싱(2)을,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천장 이면의 공간에 설치하는 경우나 공조 실내에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고정 금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저판(23)은, 천판(21)과 마찬가지로 대략 8각형상의 판상(板狀) 부재이며,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저판(23)의 긴 변(즉, 측판(22a, 22b, 22c, 22d)을 따르도록, 4개의 취출구(23a, 23b, 23c, 23d)가 형성되어 있다. 취출구(23a, 23b, 23c, 23d)는, 저판(23)의 긴 변을 따라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이다.
또한, 저판(23)의 취출구의 하나(여기에서는, 취출구(23c))와 이 취출구(23c)에 대응하는 긴 변의 사이에는, 취출구(23c) 및 취출구(23c)에 대응하는 긴 변을 따르도록,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안내 개구(2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방으로 연장되고, 측판(22c)의 하단까지 달하여 있다. 그리고 측판(22c)에는, 안내 개구(24a)에 연통(連通)하는 안내 개구(24b)가 형성되어 있고, 한층 더 상방으로 연장되어, 천판(21)의 하단까지 달하여 있다. 안내 개구(24b)는, 안내 개 구(24a)와 마찬가지로,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이다. 그리고 천판(21)에는, 안내 개구(24b)에 연통하는 안내 개구(24c)가 형성되어 있고, 천판(21)의 상단(上段) 부근까지 상방으로 연장된 후에, 흡입구(21a)의 주연부의 측판(22c) 가까이의 부분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관통하고 있다. 안내 개구(24c)는, 안내 개구(24b)와 마찬가지로,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이다. 이와 같이, 케이싱(2)에는, 안내 개구(24a, 24b, 24c)로 구성되어 있고, 하면(구체적으로는, 저판(23))으로부터 상면(구체적으로는, 천판(21))의 흡입구(21a)까지의 사이를 관통하는 안내 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이 안내 개구(24)는, 후술의 필터(7)를 흡입구(21a)와 케이싱(2)의 하면(즉, 저판(23))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필터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케이싱(2) 내에는, 흡입구(21a)에 대향하도록, 또한 회전 축선(O-O)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송풍 팬(3)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송풍 팬(3)은 터보 팬으로 이루어지고, 케이싱(2)의 저판(23)의 흡입구(21a)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팬 모터(31)와, 팬 모터(31)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날개차(32)를 가지고 있다. 또한, 흡입구(21a)에는, 날개차(32)의 흡입구(21a) 측의 선단(先端) 부근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끝이 퍼지는 형상을 가지는 벨 마우스(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2) 내에는,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송풍 팬(3)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대략 직사각형 환상(環狀)의 열교환기(5)가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알루미늄 제의 다수의 핀과 이들의 핀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전열관을 가지는 크로스 핀형의 열교환기 패널이며, 다단 벤딩 가공이 시행되는 것에 의하여 대략 직사각형 환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열교환기(5)는, 실외 등에 설치된 열원 유닛(도시하지 않음)에 냉매 배관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냉방 운전 시에는 내부를 흐르는 냉매(예를 들면, 플루오르카본 등)의 증발기로서, 난방 운전 시에는 내부를 흐르는 냉매(예를 들면, 플루오르카본 등)의 응축기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열교환기(5)는, 송풍 팬(3)에 의하여 흡입구(21a)를 통하여 케이싱(2) 내에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방 운전 시에는 공기를 냉각하고, 난방 운전 시에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덧붙여, 열교환기(5)의 열 매체로서는 플루오르카본 등과 같은 냉매 외에, 물이나 브라인(brine)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열교환기(5)의 하측에는, 열교환기(5)에 있어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생기는 드레인수를 받기 위한 드레인 팬(6)이 배치되어 있다. 드레인 팬(6)은, 케이싱(2)의 하면(즉, 저판(23))에 장착되어 있다. 덧붙여, 드레인 팬(6)의 열교환기(5)의 하부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드레인 받이부(6a)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케이싱(2)의 상면(즉, 천판(21))에 흡입구(21a)가 형성되고, 또한 케이싱(2)의 하면(즉, 저판(23))에 취출구(23a, 23b, 23c, 23d)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2) 내에, 흡입구(21a)로부터 취출구(23a, 23b, 23c, 23d)에 이르는 공기 유로(S)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기 유로(S) 내에는, 터보 팬으로 이루어지는 송풍 팬(3)과 열교환기(5)가 수용되어 있고, 열교환기(5)는, 공기 유로(S) 내에 있어서 송풍 팬(3)의 하류 측에 배치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공기 유로(S)는, 케이싱(2) 내를 흐르는 공기가 대체로 하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유로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냉각 매체 또는 가열 매체를 열교환기(5)에 유통시키는 것과 함께 송풍 팬(3)을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를 케이싱(2)의 상면의 흡입구(21a)로부터 케이싱(2) 내로 흡입하여, 송풍 팬(3)의 외주 측으로 불어내고, 열교환기(5)를 통과시켜 가열 또는 냉각한 후에, 케이싱(2)의 하면의 취출구(23a, 23b, 23c, 23d)로부터 불어낼 수 있다.
또한, 흡입구(21a)에는, 흡입구(21a)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중의 진애를 포집하는 필터(7)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7)는, 예를 들면, 연질의 수지(樹脂)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재와, 이 프레임 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망상(網狀)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유연성 및 탄성을 가지고 있다. 필터(7)의 측판(22a) 가까이의 단부(端部)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필터(7)와 동일한 정도의 탄성 및 강성을 가지는 플레이트나 와이어 등의 접속 부재(71)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접속 부재(71)는, 천판(21)의 측판(22a) 가까이의 부분에 설치된 권취 기구(72)에 의하여 감겨진 상태가 되어 있다. 권취 기구(72)는, 케이싱(2)(구체적으로는, 천판(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부(72a)와, 축부(72a)의 외주에 끼워넣어진 롤러(72b)와, 축부(72a)를 회전 구동하는 권취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접속 부재(71)의 타단(他端)(즉, 필터(7)의 측판(22a) 가까이의 단부에 접속된 단부와 반대 측의 단부)은 롤러(72b)에 접속되어 있다. 이 권취 기구(72)에 있어서, 축부(72a)를 권취 모터에 의하여 도 3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접속 부재(71)가 롤러(72b)로부터 내보내지기 때문에, 이것에 수반하여 필터(7)가 측판(22c) 측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축부(72a)를 권취 모터에 의하여 도 3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접속 부재(71)가 롤러(72b)에 감겨지기 때문에, 이것에 수반하여 필터(7)가 측판(22a) 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필터(7)의 측판(22c) 가까이의 단부(즉, 접속 부재(71)에 접속된 단부와 반대 측의 단부)는, 접속 부재(71)가 롤러(72b)에 감겨진 상태에 있어서, 필터 안내부로서의 안내 개구(24)의 흡입구(21a) 측 단의 내부까지 삽입되어 있고, 권취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접속 부재(71)가 롤러(72b)로부터 내보내지면, 필터(7)는 안내 개구(24)를 통하여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지게 되어, 예를 들면, 필터(7)의 청소를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손이 닿는 위치까지 필터(7)를 내린 후에, 필터(7)의 청소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7)의 청소를 행한 후에, 권취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접속 부재(71)를 롤러(72b)에 감는 것으로, 필터(7)를 흡입구(21a)에 재차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 부재(71) 및 권취 기구(72)는, 안내 개구(24)를 통하여 필터(7)를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2)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하는 경우
상술의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1)를 공조 실내의 천장면(U)으로부터 매달아 설치하는 형태(이하,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가 천장면(U)과 케이싱(2)(구체적으로는, 천판(21))의 사이에 간극(間隙)을 두고 설치된다.
이와 같이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설치된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공조 실 내의 공기가 케이싱(2)의 상면(즉, 천판(21))에 형성된 흡입구(21a)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유로(S) 내에 설치된 송풍 팬(3) 및 열교환기(5)를 통과하여 가열 또는 냉각된 후에, 케이싱(2)의 하면(즉, 저판(23))에 형성된 취출구(23a, 23b, 23c, 23d)로부터 불어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케이싱(2)의 하면에 흡입구 및 취출구의 양방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가 취출 직후에 흡입구로부터 케이싱 내로 흡입되어 버리는 현상(즉, 쇼트 서킷 현상)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필터(7)의 청소를 행하는 경우에는, 권취 기구(72)의 권취 모터를 구동하는 것으로, 필터(7)가 안내 개구(24)를 통하여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질 수 있다(도 4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되는 필터(7) 및 접속 부재(71)를 참조).
(3)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하는 경우
상술의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1)를 케이싱(2)의 하면을 제외하는 부분을 공조 실내의 천장 이면의 공간에 설치하는 형태(이하,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를 천장면(U)의 개구에 케이싱(2)을 끼워넣도록 설치하는 것과 함께, 케이싱(2)의 하면에 취출구(23a, 23b, 23c, 23d) 및 안내 개구(24)에 대향하는 패널 취출구(10a, 10b, 10c, 10d) 및 안내 개구(10e)가 형성된 박형의 취출 패널(10)을 케이싱(2)의 하면에 장착하여 천장면(U)의 개구와 케이싱(2)의 간극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설치된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천장 이 면의 공간 내의 공기가 케이싱(2)의 상면(즉, 천판(21))에 형성된 흡입구(21a)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유로(S) 내에 설치된 송풍 팬(3) 및 열교환기(5)를 통과하여 가열 또는 냉각된 후에, 케이싱(2)의 하면(즉, 저판(23))에 형성된 취출구(23a, 23b, 23c, 23d) 및 이들의 취출구에 연통하는 패널 취출구(10a, 10b, 10c, 10d)로부터 불어내지게 된다. 즉, 천장 이면의 공간을 급기 챔버로서 이용하는 천장 챔버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필터(7)의 청소를 행하는 경우에는, 권취 기구(72)의 권취 모터를 구동하는 것으로, 필터(7)가 안내 개구(24) 및 안내 개구(10e)를 통하여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5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되는 필터(7) 및 접속 부재(71)를 참조).
(4)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의 특징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는 이하와 같은 특징이 있다.
(A)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케이싱(2)의 상면(즉, 천판(21))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케이싱(2)의 하면(즉, 저판(23))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쇼트 서킷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공기 조화 장치(1)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입구(21a)가 천장 이면의 공간에 배치되고, 또한 취출구(23a, 23b, 23c, 23d)가 실내 공간에 배치되도록 되기 때문에, 천장 이면의 공간을 급기 챔버로 하는 천장 챔버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케이싱(2)의 하면에 흡입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 에, 케이싱(2)의 취출구(23a, 23b, 23c, 23d)에 연통하는 취출구만이 형성된 박형의 취출 패널(10)을 케이싱(2)의 하면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천장 매입형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B)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터보 팬을 송풍 팬(3)으로서 사용하는 것과 함께, 송풍 팬(3)의 하류 측에 열교환기(5)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싱(2) 내를 흐르는 공기가 대체로 하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공기 유로(S)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케이싱(2) 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반복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공기 유로(S) 내를 흐르는 공기의 통풍 저항을 줄일 수 있는 것과 함께, 케이싱(2)의 높이 방향 치수의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C)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케이싱(2)에, 필터(7)를 흡입구(21a)와 케이싱(2)의 하면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필터 안내부로서의 안내 개구(2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구(21a)가 케이싱(2)의 상면에 설치된 형태인 것에도 불구하고, 청소 등의 때에 필터(7)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게다가, 케이싱(2)에는, 안내 개구(24)를 통하여 필터(7)를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로서의 접속 부재(71) 및 권취 기구(7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소 작업을 피하면서 필터(7)를 내릴 수 있다.
(5) 변형예 1
상술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케이싱(2)의 상면에 흡입구(21a)가 설치되어 있지만, 케이싱(2)의 측면에 흡입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술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 있어서, 측판(22)을 상방으로 연장하는 것과 함께, 이 측판(22)의 상단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구를 덮도록 별도의 천판(25)을 설치하고, 측판(22)을 상방으로 연장한 부분(즉, 케이싱(2)의 측면 상부)에 흡입구(21a)에 연통하는 별도의 흡입구(21b)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천장면(U)에 케이싱(2)의 상면(구체적으로는, 천판(25))이 접하도록 이 공기 조화 장치(1)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21b)가 천장 이면의 공간에 배치되도록 천장면(U)의 개구에 공기 조화 장치(1)를 설치하는 것과 함께, 취출 패널(10)(도 5 참조)을 케이싱(2)의 하면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천장 매입형의 형태(즉, 천장 이면의 공간을 급기 챔버로서 이용하는 천장 챔버형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케이싱(2)의 측면(즉, 측판(22))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케이싱(2)의 하면(즉, 저판(23))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쇼트 서킷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또한,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천장 이면의 공간을 급기 챔버로 하는 천장 챔버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게다가, 케이싱(2)의 취출구(23a, 23b, 23c, 23d)에 연통하는 취출구만이 형성된 박형의 취출 패널(10)(도 5 참조)을 케이싱(2)의 하면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천 장 매입형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상술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터보 팬을 송풍 팬(3)으로서 사용하는 것과 함께, 송풍 팬(3)의 하류 측에 열교환기(5)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싱(2) 내를 흐르는 공기가 대체로 하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공기 유로(S)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케이싱(2) 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반복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를 천장 걸이형이나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필터(7)의 청소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술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권취 기구(72)의 권취 모터를 구동하는 것으로, 필터(7)가 안내 개구(24)를 통하여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6) 변형예 2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송풍 팬(3)으로서 터보 팬을 사용하고 있지만, 다른 형태의 송풍 팬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흡입구가 케이싱(2)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하면,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송풍 팬(3)으로서 사류 팬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 있어서도,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7) 변형예 3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 2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 환상의 단일의 열교환기(5) 가 송풍 팬(3)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송풍 팬(3)의 외주 측에 복수 배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흡입구가 케이싱(2)의 상면에 형성되고, 또한 송풍 팬(3)으로서 터보 팬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하면,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4개의 취출구(23a, 23b, 23c, 23d)(즉, 측판(22a, 22b, 22c, 22d))의 각각을 따르도록 4개의 열교환기(5)를 송풍 팬(3)의 외주 측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열교환기(5)가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송풍 팬(3)의 외주 측에 복수(여기에서는, 4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2)의 높이 방향 치수의 컴팩트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열교환기(5)를 송풍 팬(3)의 외주 측에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열교환기(5)를, 케이싱(2)을 측면으로부터 볼 때(즉, 각 열교환기(5)를 긴쪽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송풍 팬(3)에 대하여 상부가 하부보다도 먼 측으로 경사하도록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케이싱(2)의 높이 방향 치수의 컴팩트화를 한층 더 촉진하는 것과 함께, 각 열교환기(5)의 전열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송풍 팬(3)에 대하여, 상부가 하부보다도 먼 측으로 경사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취출구(23a, 23b, 23c, 23d)에 간섭하는 일 없이 열교환기(5)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열교환기(5)를 송풍 팬(3)의 외주 측에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케이싱(2)을 측면으로부터 볼 때(즉, 각 열교환기(5)를 긴쪽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열교환기(5)가 측방(側方), 비스듬히 상방 또는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열교환기(5)의 일부가 돌출한 형상으로 되도록 다단 벤딩 가공을 시행하여도 무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 ~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5)를 긴쪽 방향(즉, 핀의 배열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측방, 비스듬히 상방 또는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다단 벤딩 가공이 시행되어 있다. 여기서, 도 10은 본 변형예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개략 측면 단면도이며,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5a)가 형성된 열교환기(5)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변형예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개략 측면 단면도이며,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5b)가 형성된 열교환기(5)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본 변형예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개략 측면 단면도이며, 하부에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5b)가 형성되고, 나아가 상부에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5a)가 형성된 열교환기(5)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케이싱(2)의 높이 방향 치수의 컴팩트화를 한층 더 촉진하는 것과 함께, 각 열교환기(5)의 전열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8) 변형예 4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 ~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공기 유로(S) 내에 있어서, 송풍 팬(3)의 하류 측에 열교환기가 배치되어 있지만, 송풍 팬(3)의 하류 측에 열교환기를 배치하는 대신에 상류 측에 열교환기를 배치하거나, 또는 송풍 팬(3)의 하류 측에 열교환기를 배치하는 것과 함께 상류 측에 열교환기를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변형예 3에 있어서의 형태(도 8 및 도 9 참조)의 경우를 예로 하면,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필터(7)와 벨 마우스(4)의 사이에, 송풍 팬(3)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5)에 대신하여 송풍 팬(3)의 상류 측에 열교환기(105)를 배치하거나, 또는,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필터(7)와 벨 마우스(4)의 사이에, 송풍 팬(3)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5)와 함께 송풍 팬(3)의 상류 측에 열교환기(105)를 배치할 수 있다. 덧붙여, 열교환기(105)는, 상술의 열교환기(5)와 마찬가지로, 크로스 핀형의 열교환기 패널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송풍 팬(3)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5)에 대신하여, 또는 송풍 팬(3)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5)와 함께 송풍 팬(3)의 상류 측에 열교환기(5)와는 별도의 열교환기(10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105)를 대략 평면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장치 전체적으로의 열교환기의 전열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9) 변형예 5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 ~ 4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열교환기(5, 105)로서 크로스 핀형의 열교환기 패널을 사용하고 있지만, 별도의 형식의 열교환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변형예 3에 있어서의 형태(도 8 및 도 9 참조)의 경우를 예로 하면, 열교환기(5)로서 적층형 열교환기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적층형 열교환기로서는, 편평관(flat tube)으로 이루어지는 전열관과 알루미늄제의 코로게이트 핀(corrugate fin)으로 이루어지는 핀이 교대로 적층되고, 또한 전열관의 양단이 각각 헤더관(header tube)에 의하여 접속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열교환기(5)로서 적층형 열교환기를 채용하고 있어 열교환율이 높고 컴팩트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싱(2)의 높이 방향 치수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에 있어서, 열교환기(5)를 구성하는 전열관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한 형태로 하는 것으로, 열교환기(5)의 표면에 결로가 생긴 경우에, 그 결로수를 주로 전열관을 경유하여 신속하게 하방으로 유도할 수 있다.
덧붙여, 변형예 4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와 같이, 송풍 팬(3)의 상류 측에 열교환기(5)와는 별도의 제2의 열교환기(105)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이 열교환기(105)로서 적층형 열교환기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10) 변형예 6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 ~ 5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케이싱(2)에, 안내 개구(24)를 통하여 필터(7)를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로서의 접속 부재(71) 및 권취 기구(72)가 설치되어 있지만, 수동으로 필터(7)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예의 경우를 예로 하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접속 부재(71)와 권취 기구(172)와 끈 형상 부재(173)와 손잡이(174)로 이루어지는 필터 구동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터(7)의 측판(22a) 가까이의 단부는, 상술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필터(7)와 동일한 정도의 탄성 및 강성을 가지는 플레이트나 와이어 등의 접속 부재(71)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접속 부재(71)는, 천판(21)의 측판(22a) 가까이의 부분에 설치된 권취 기구(172)에 의하여 감겨진 상태가 되어 있다. 권취 기구(172)는, 케이싱(2)(구체적으로는, 천판(21))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 축부(172a)와, 축부(172a) 둘레에 설치된 나선 스프링(172b)을 가지고 있다. 접속 부재(71)의 타단(즉, 필터(7)의 측판(22a) 가까이의 단부에 접속된 단부와 반대 측의 단부)은 나선 스프링(172b)에 접속되어 있다. 나선 스프링(172b)은, 그 자유 상태에 있어서 접속 부재(71)가 감겨 필터(7)가 흡입구(21a)에 배치된 상태가 되고, 접속 부재(71)가 내보내진 상태에 있어서 접속 부재(71)를 감으려고 하는 스프링 힘이 작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끈 형상 부재(173)는, 그 일단(一端)이 필터(7)의 측판(22c) 가까이의 단부(즉, 접속 부재(7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필터(7)가 흡입구(21a)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타단이 안내 개구(24)를 통하여 케이싱(2)의 하면(즉, 저판(23))까지 연장되어 있다. 손잡이(174)는, 끈 형상 부재(173)의 타단(즉, 케이싱(2)의 하면 측의 단부)에 설치된 부재이며, 안내 개구(24)를 통하여 필터(7)를 수동으로 하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접속 부재(71)와 권취 기구(172)와 끈 형상 부재(173)와 손잡이(174)로 이루어지는 필터 구동 기구에 있어서, 우선, 손잡이(174)를 선단에 멈춤쇠 등이 형성된 걸이봉 등을 이용하여 하방으로 당기면, 나선 스프링(172b)의 스프링 힘에 이겨, 접속 부재(71)가 축부(172a)로부터 끌어내지게 된다. 그러면, 필터(7)가 안내 개구(24)를 통하여 하방으로 이동시켜지게 되어, 예를 들면, 필터(7)의 청소를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손이 닿는 위치까지 필터(7)를 내린 후에, 필터(7)의 청소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7)의 청소를 행한 후에, 나선 스프링(172b)에 작용시키는 힘을 완화시키면, 나선 스프링(172b)의 스프링 힘에 의하여 축부(172a)로부터 끌어내져 있던 접속 부재(71)가 축부(172a)에 감겨, 필터(7)를 흡입구(21a)에 재차 설치할 수 있다(도 15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되는 필터(7) 및 접속 부재(71)를 참조).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케이싱(2)에, 안내 개구(24)를 통하여 필터(7)를 하방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로서의 접속 부재(71), 권취 기구(172), 끈 형상 부재(173) 및 손잡이(17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소 작업을 피하면서 필터(7)를 내릴 수 있다.
(11) 변형예 7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 ~ 6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필터로서 연질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재와, 이 프레임 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망상 부재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고, 필터 안내부로서의 안내 개구(24)를 통하여, 케이싱(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흡입구(21a)가 케이싱(2)의 상면에 설치된 형태인 것에도 불구하고, 청소 등의 때에 필터(7)를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얻고 있지만, 이와 같은 필터 자체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에 대신하여, 흡입구(21a)에 설치된 필터가 포집한 진애를 필터로부터 제거하는 청소 기구와, 청소 기구에 의하여 제거되는 진애를 모으는 더스트 박스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예의 경우를 예로 하면,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입구(21a)에 롤 필터로 이루어지는 필터(207) 를 설치하는 것과 함께, 필터(207)가 포집한 진애를 필터(207)로부터 제거하는 청소 기구로서의 브러시(273)와, 브러시(273)에 의하여 털어서 떨어뜨려지는 진애를 모으는 더스트 박스(11)를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판(23)의 취출구의 하나(여기에서는, 취출구(23c))와 이 취출구(23c)에 대응하는 긴 변의 사이에는 수용 개구(22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방으로 연장되고, 측판(22c)의 하단까지 달하여 있다. 그리고 측판(22c)에는, 수용 개구(224a)에 연통하는 수용 개구(224b)가 형성되어 있고, 한층 더 상방으로 연장되어, 천판(21)의 하단까지 달하여 있다. 그리고 천판(21)에는, 수용 개구(224b)에 연통하는 수용 개구(224c)가 형성되어 있고, 천판(21)의 상단 부근까지 상방으로 연장된 후에, 흡입구(21a)의 주연부의 측판(22c) 가까이의 부분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관통하고 있다.
흡입구(21a)의 주연부 중 측판(22a) 가까이의 부분에는, 케이싱(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과 함께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제1 롤러(27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용 개구(224c) 내에는 케이싱(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2 롤러(27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롤러(271, 272)에는 필터(207)가 감겨 있고, 구동 모터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도 17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수용 개구(224c)의 제2 롤러(272) 부근에는 청소 기구로서의 브러시(273)가 필터(207)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필터(207)가 포집한 진애를 필터(207)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필터(207)로부터 털어서 떨어뜨려진 진애는 수용 개구(224a, 224b) 내를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수용 개구(224a, 224b)에는, 더스트 박스(11)가 수용 개구(224a, 224b)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즉, 더스트 박스(11)는 케이싱(2)의 측판(22c) 측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브러시(273)에 의하여 필터(207)로부터 털어서 떨어뜨려져 수용 개구(224a, 224b) 내를 하방으로 떨어지는 진애는, 더스트 박스(11) 내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수용 개구(224c)의 상단에는, 케이싱(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과 함께 권취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축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축부(12)는, 더스트 박스(11)의 상단과 끈 형상 부재(13)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고, 권취 모터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더스트 박스(11)를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축부(12), 이것을 구동하는 권취 모터 및 끈 형상 부재(13)에 의하여, 더스트 박스(11)를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흡입구(21a)에 설치된 필터(207)가 포집한 진애를 필터(207)로부터 제거하는 청소 기구로서의 브러시(273)와 브러시(273)에 의하여 제거되는 진애를 모으는 더스트 박스(11)를 이용한 필터(207)의 청소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필터(207)의 구동 모터를 구동하여 필터(207)를 롤러(271, 272)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그러면, 필터(207)가 포집한 진애가 브러시(273)에 의하여 필터(207)로부터 털어서 떨어뜨려진다. 이 털어서 떨어뜨려진 진애는, 수용 개구(224c, 224b)를 통하여 더스트 박스(11)에 도입되고, 더스트 박스(11) 내에 모여 지게 된다. 그 후, 권취 모터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끈 형상 부재(13)를 축부(12)로부터 끌어내어, 진애가 모인 더스트 박스(11)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작업자의 손이 닿는 위치까지 더스트 박스 필터(7)를 내린 후에, 더스트 박스(11) 내로부터 진애를 배출한다. 그리고 더스트 박스(11) 내로부터 진애를 배출한 후에, 권취 모터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끈 형상 부재(13)를 축부(12)에 감아, 더스트 박스(11)를 수용 개구(224a, 224b) 내에 재차 설치할 수 있다(도 17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되는 더스트 박스(11) 및 끈 형상 부재(13)를 참조).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흡입구(21a)에 설치된 필터(207)를 청소하는 청소 기구로서의 브러시(27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207)를 흡입구(21a)로부터 떼어내는 일 없이, 필터(207)로부터 진애를 제거하고, 브러시(273)에 의하여 제거된 진애를 더스트 박스(11)에 모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흡입구(21a)에 설치된 필터(207)의 청소에 필요로 하는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진애가 모여진 더스트 박스(11)를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로서의 축부(12), 이것을 구동하는 권취 모터 및 끈 형상 부재(1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소 작업을 피하면서 더스트 박스(11)를 내릴 수 있다.
(12) 변형예 8
변형예 7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더스트 박스(11)를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로서의 축부(12), 이것을 구동하 는 권취 모터 및 끈 형상 부재(13)가 설치되어 있지만, 수동으로 더스트 박스(11)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변형예 8의 경우를 예로 하면,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축부(12), 나선 스프링(214), 끈 형상 부재(13) 및 손잡이(11a)로 이루어지는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끈 형상 부재(13)의 일단은, 변형예 7과 마찬가지로, 더스트 박스(11)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다. 축부(12)는 케이싱(2)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축부(12)의 둘레에는 나선 스프링(21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나선 스프링(214)의 일단은 축부(12)에 접속되고, 타단은 끈 형상 부재(13)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나선 스프링(214)은, 그 자유 상태에 있어서 끈 형상 부재(13)가 감겨 더스트 박스(11)가 수용 개구(224a, 224b) 내에 배치된 상태가 되고, 끈 형상 부재(13)가 내보내진 상태에 있어서 끈 형상 부재(13)를 감으려고 하는 스프링 힘이 작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끈 형상 부재(13)는, 손잡이(11a)는 더스트 박스(11)의 하단에 설치된 부재이며, 더스트 박스(11)를 수동으로 하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축부(12), 나선 스프링(214), 끈 형상 부재(13) 및 손잡이(11a)로 이루어지는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에 있어서, 손잡이(11a)를 선단에 멈춤쇠 등이 형성된 걸이봉 등을 이용하여 하방으로 당기면, 나선 스프링(214)의 스프링 힘에 이겨, 끈 형상 부재(13)가 축부(12)로부터 끌어내지게 된다. 그러면, 더스트 박스(11)가 하방으로 이동시켜지게 되어, 예를 들면, 더스트 박스(11)에 모인 진애의 배출을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손이 닿는 위치까지 더스트 박스(11)를 내린 후에, 더스트 박스(11) 내로부터 진애를 배출한다. 그리고 더스트 박스(11) 내로부터 진애를 배출한 후에, 나선 스프링(214)에 작용시키는 힘을 완화시키면, 나선 스프링(214)의 스프링 힘에 의하여 축부(12)로부터 끌어내져 있던 끈 형상 부재(13)가 축부(12)에 감겨, 더스트 박스(11)를 수용 개구(224a, 224b) 내에 재차 설치할 수 있다(도 18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되는 더스트 박스(11) 및 끈 형상 부재(13)를 참조).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진애가 모인 더스트 박스(11)를 하방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로서의 축부(12), 나선 스프링(214), 끈 형상 부재(13)와 및 손잡이(11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소 작업을 피하면서 더스트 박스(11)를 내릴 수 있다.
(13) 변형예 9
변형예 7, 8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더스트 박스(11)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케이싱(2) 내로부터 꺼내어, 더스트 박스(11) 내에 모인 진애를 배출한다고 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더스트 박스 자체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에 대신하여, 더스트 박스(11) 내에 모인 진애를 청소기로 흡인하여 배출하는 구조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변형예 7, 8의 경우를 예로 하면,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더스트 박스(111)에 청소기의 노즐(20)을 끼우는 것이 가능한 노즐 끼움구(113)를 하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더스트 박스(111)의 하면을 구성하는 제1 벽부(112)에는, 청소기의 노즐(20)을 끼우는 것이 가능한 노즐 끼움구(113)가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노즐 끼움구(113)에는, 청소기의 노즐(20)을 끼우는 것에 의하여 열리고 또한 청소기의 노즐(20)을 빼내는 것에 의하여 닫히는 개폐 덮개(1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 덮개(114)는, 더스트 박스(111)의 제1 벽부(112)에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되도록 축지(軸支)된 한 쌍의 판상 부재이며, 청소기의 노즐(20)을 노즐 끼움구(113)에 하방으로부터 끼우는 것에 의하여, 개폐 덮개(114)가 청소기의 노즐(20)의 선단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려 열리고, 노즐 끼움구(113)의 경사면(113a)에 청소기의 노즐(20)을 노즐 끼움구(113)로부터 하방으로 빼내는 것에 의하여, 청소기의 노즐(20)의 선단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리는 힘이 해제되어 개폐 덮개(114)가 자중에 의하여 닫혀, 노즐 끼움구(113)의 개폐 덮개(114)의 하측에 배치된 스토퍼부(115)에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한다. 이 스토퍼부(115)는, 청소기의 노즐의 내면에 끼이도록 노즐 끼움구(113)의 최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더스트 박스(111)에는, 청소기의 흡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내(內) 밸브(116)가 설치되어 있다. 내 밸브(116)는 개폐 덮개(114)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내 밸브(116)의 소재로서는 연질의 고무나 러버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더스트 박스(111)에 있어서는, 더스트 박스(111)에 진애가 모이면, 청소기의 노즐(20)을 노즐 끼움구(113)에 하방으로부터 끼우는 것에 의하여, 개폐 덮개(114)를 청소기의 노즐(20)의 선단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어 열고, 청소기를 운전하여 더스트 박스(111) 내에 모인 진애를 더스트 박스(111) 내로부터 청소기로 흡인한다. 이때, 내 밸브(116)가 청소기의 흡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도 20 참조), 더스트 박스(111) 내에 모인 진애가 더스트 박스(111) 내로부터 신속하게 배출되어 청소기로 흡인된다. 그리고 더스트 박스(111) 내에 모인 진애를 더스트 박스(111) 내로부터 배출하여 청소기로 흡인하는 작업이 종료하면, 청소기의 운전을 정지하고, 청소기의 노즐(20)을 노즐 끼움구(113)로부터 빼낸다. 이것에 의하여, 청소기의 흡인력이 내 밸브(116)에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내 밸브(116)가 닫힌다. 또한, 청소기의 노즐(20)에 의하여 개폐 덮개(114)가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하여 개폐 덮개(114)가 닫힌다.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더스트 박스(111)에, 청소기의 노즐(20)을 끼우는 것이 가능한 노즐 끼움구(113)가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기의 노즐(20)을 공기 조화 장치(1)의 하측으로부터 노즐 끼움구(113)에 끼운다고 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더스트 박스(111)에 모인 진애를 더스트 박스(111) 내로부터 청소기로 흡인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필터의 청소에 필요로 하는 노력을 한층 더 줄일 수 있다.
또한, 노즐 끼움구(113)에는, 청소기의 노즐(20)을 끼우는 것에 의하여 열리는 개폐 덮개(11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기에 의하여 더스트 박스(111)에 모여진 진애를 흡인하는 작업을 행할 때까지, 청소 기구(구체적으로는, 도 17 또는 도 18의 브러시(273))에 의하여 더스트 박스(111)에 모여진 진애가 노즐 끼움 구(113)로부터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개폐 덮개(114)를 열기 위한 고소 작업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덮개(114)는 자중에 의하여 닫히기 때문에, 청소기의 노즐(20)을 노즐 끼움구(113)로부터 빼내는 것에 의하여 개폐 덮개(114)를 닫을 수 있다.
나아가, 더스트 박스(111)에는, 청소기의 흡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예를 들면, 연질의 고무나 러버 등)로 이루어지는 내 밸브(11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 기구(구체적으로는, 도 17 또는 도 18의 브러시(273))에 의하여 더스트 박스(111)에 모인 진애가 노즐 끼움구(113)로부터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더스트 박스(111)에 모인 진애를 더스트 박스(111) 내로부터 청소기로 흡인하여 배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14) 변형예 10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 ~ 9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필터를 청소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필터를 케이싱(2)의 하면으로부터 끌어내고 떼어내어 청소를 행하거나, 필터를 떼어내는 일 없이 필터가 포집한 진애를 제거하여 더스트 박스에 모으도록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권취식의 필터를 채용하여, 필터의 청소를 행하지 않고, 필터의 권취가 종료한 경우만 새로운 권취식의 필터로 교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예를 예로 하면,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천판(21)의 측판(22a) 가까이의 부분에 권취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제1 롤러(371)를 설치하는 것과 함께 천판(21)의 측판(22c) 가까이의 부분에 길이가 긴 포상(布狀)의 필터(307)가 감겨진 제2 롤러(372)를 설 치하고, 흡입구(21a)에 대향하도록 필터(307)를 롤러(371, 372) 사이에 걸쳐, 정기적으로 권취 모터를 구동하여 필터(307)를 제1 롤러(371)에 감도록 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흡입구(21a)에 권취식의 필터(30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307)의 청소를 행할 필요가 없고, 필터(307)의 권취가 종료한 경우만 새로운 권취식의 필터(307)로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필터를 청소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15) 변형예 11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 ~ 10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 있어서, 도 2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싱(2)의 상면(즉, 천판(21)의 상측)에, 공기 청정 유닛, 탈취 유닛이나 조습 유닛 등의, 이른바 기능 부가 유닛(101)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예로서 상술의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에 기능 부가 유닛(101)을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케이싱(2)의 하면에 흡입구 및 취출구가 형성된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 비하여, 취출구(23a, 23b, 23c, 23d)와의 간섭을 고려하지 않고 기능 부가 유닛(101) 내부의 부품의 배치 등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 부가 유닛(101) 자체의 높이 방향 치수의 컴팩트화가 가능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기능 부가 유닛(101)이 설치된 공기 조화 장치(1) 전체적으로의 높이 방향 치수의 컴팩트화도 실현된다.
(16) 변형예 12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 ~ 1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를 그리드 천장에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그리드 천장이란,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로, 상방으로부터 매닮구(501)를 이용하여 매달린 T바(502)와, T바(502)에 의하여 지지된 천장판(503)으로 이루어지는 천장의 한 형태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그리드 천장에 공기 조화 장치(1)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의 작업성이나 설치 후의 의장성 등을 고려하여, 케이싱(2)의 하면에 장착되는 취출 패널(10)을 T바(502)에 의하여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프레임 내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사이즈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천장판(503) 대신에, 취출 패널(10)을 T바(502)에 취부하는 것에 의하여, 그리드 천장으로 이루어지는 천장면과 대략 플랫하게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T바(502)에의 취출 패널(10)의 취부는,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취출 패널(10)의 외주 가장자리에 판 스프링(11)을 설치하여 두고, T바(502)에 의하여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프레임 내에 하방으로부터 끼워넣어, 판 스프링(11)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계지(係止)시키는 것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17) 변형예 13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 ~ 12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 있어서,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케이싱(2)의 상면에 형성된 흡입구(21a)나 케이싱(2)의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21b)로부터 케이싱(2)의 하면에 형성된 취출구(23a ~ 23d)에 이르는 공기 유로(S)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취출구(23a ~ 23d)의 내주 측에는, 흡입구가 취출구의 내주 측에 형성된 형태의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에 비하여, 이용 가능한 넓은 영역이 존재하 고 있다.
이것을 이용하여, 본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유로(S) 중 드레인 팬(6)의 외주부와 케이싱(2)의 측판(22)(구체적으로는, 측판(22a, 22b, 22c, 22d))의 사이의 열교환기(5)를 통과한 공기가 각 취출구(23a, 23b, 23c, 23d)를 향하여 흐르는 취출 유로(S1)에,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내주 측을 향하여 확대한 확대 유로(S2)를 각각 형성하는 것과 함께, 각 취출구(23a, 23b, 23c, 23d)에 대해서도 확대 유로(S2)의 유로 면적에 따라 개구 면적을 확대시키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확대 유로(S2)는,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드레인 팬(6)의 드레인 받이부(6a)의 바로 아래에 달할 때까지 내주 측을 향하여 확대하고 있다. 또한, 케이싱(2)의 하면에는, 각 취출구(23a, 23b, 23c, 23d)를 외주 측의 부분인 외측 취출구(26a, 26b, 26c, 26d)와 내주 측의 부분인 내측 취출구(27a, 27b, 27c, 27d)로 각각 분할하는 칸막이부(28a, 28b, 28c, 28d)가 설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취출구(23a ~ 23d)가 케이싱(2)의 하면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르도록(보다 구체적으로는, 저판(23)의 긴 변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취출 유로(S1)에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내주 측을 향하여 확대한 확대 유로(S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취출구(23a ~ 23d)로부터 공조 실내로 불어내질 때의 드래프트의 억제나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도 25의 화살표 D 참조). 특히,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흡입구(21a, 21b)가 케이 싱(2)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흡입구가 취출구의 내주 측에 형성된 형태의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에 비하여 확대 유로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취출구(23a ~ 23d)로부터 공조 실내로 불어내질 때의 드래프트의 억제나 정음화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18) 변형예 14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 ~ 12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 있어서,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케이싱(2)의 상면에 형성된 흡입구(21a)나 케이싱(2)의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21b)로부터 취출 패널(10)에 형성된 패널 취출구(10a ~ 10d)에 이르는 공기 유로(S)가 형성되어 있고, 취출 패널(10)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패널 취출구(10a ~ 10d)의 내주 측에는, 흡입구가 취출구의 내주 측에 형성된 형태의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에 비하여, 이용 가능한 넓은 영역이 존재하고 있다.
이것을 이용하여, 본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유로(S) 중 드레인 팬(6)의 외주부와 케이싱(2)의 측판(22)(구체적으로는, 측판(22a, 22b, 22c, 22d))의 사이의 열교환기(5)를 통과한 공기가 각 패널 취출구(10a, 10b, 10c, 10d)를 향하여 흐르는 취출 유로(S1)에,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내주 측을 향하여 확대한 확대 유로(S2)를 각각 형성하는 것과 함께, 각 패널 취출구(10a, 10b, 10c, 10d)에 대해서도 확대 유로(S2)의 유로 면적에 따라 개구 면적을 확대시키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확대 유로(S2)는,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드레인 팬(6)의 드레인 받이 부(6a)의 바로 아래에 달할 때까지 내주 측을 향하여 확대하고 있다. 또한, 취출 패널(10)에는, 각 패널 취출구(10a, 10b, 10c, 10d)를 외주 측의 부분인 외측 패널 취출구(12a, 12b, 12c, 12d)와 내주 측의 부분인 내측 패널 취출구(13a, 13b, 13c, 13d)로 각각 분할하는 칸막이부(14a, 14b, 14c, 14d)가 설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패널 취출구(10a ~ 10d)가 케이싱(2)의 하면 및 취출 패널(1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취출 유로(S1)에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내주 측을 향하여 확대한 확대 유로(S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변형예 13의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패널 취출구(10a ~ 10d)로부터 공조 실내로 불어내질 때의 드래프트의 억제나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도 27의 화살표 D 참조). 특히,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흡입구(21a, 21b)가 케이싱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흡입구가 패널 취출구의 내주 측에 형성된 형태의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에 비하여 확대 유로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패널 취출구(10a ~ 10d)로부터 공조 실내로 불어내질 때의 드래프트의 억제나 정음화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7에 도시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확대 유로(S2)가 케이싱(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취출 패널(10)의 높이 방향 치수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도 2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확대 유로(S2)를 취출 패널(10)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케이싱(2)의 높이 방향 치수의 증대 를 방지할 수 있다.
(19) 변형예 15
상술의 변형예 13, 14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 있어서, 확대 유로(S2)의 유로 면적을 변경하기 위한 유로 면적 변경 기구를 더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확대 유로(S2)의 유로 면적이 작아지도록 변경하는 것으로, 취출구(23a ~ 23d)나 패널 취출구(10a ~ 10d)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를 취출구(23a ~ 23d)나 패널 취출구(10a ~ 10d)로부터 떨어진 장소까지 도달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로 면적 변경 기구로서의 댐퍼(571)를 각 취출 유로(S1)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댐퍼(571)는, 도시하지 않는 모터 등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냉방 운전 시에는, 도 30에 있어서의 패널 취출구(10c) 측에 설치된 댐퍼(571)와 같이, 확대 유로(S2)의 유로 면적이 큰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고, 난방 운전 시에는, 도 30에 있어서의 패널 취출구(10a) 측에 설치된 댐퍼(571)와 같이, 확대 유로(S2)의 유로 면적이 작은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냉방 운전 시에는, 패널 취출구(10a ~ 10d) 전체로부터 공조 실내 전체로 확산하도록 공기가 불어내지기 때문에(도 30의 화살표 E 참조), 콜드 드래프트의 억제나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난방 운전 시에는, 패널 취출구(10a ~ 10d) 중 외측 패널 취출구(12a ~ 12d)로부터 공조 실내의 소정의 방향으로 힘차게 공기가 불어내지기 때문에(도 30의 화살표 F 참조), 패널 취출구(10a ~ 10d)로부터 불어내지는 따뜻한 공기를 공조 실내의 하부 까지 도달시킬 수 있다.
(20) 변형예 16
상술의 제1 실시예 및 변형예 1 ~ 6, 11 ~ 15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상면 또는 측면에 흡입구(21a) 또는 흡입구(21b)가 형성된 케이싱(2)과, 케이싱(2) 내에 배치된 터보 팬 또는 사류 팬으로 이루어지는 송풍 팬(3)과, 공기 유로(S) 내에 있어서, 송풍 팬(3)의 하류 측에 배치된 열교환기(5)를 구비한 형태의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1)에 있어서, 흡입구(21a) 또는 흡입구(21b)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중의 진애를 포집하는 필터(7)가 흡입구(21a) 또는 흡입구(21b)에 설치되는 것과 함께, 이 필터(7)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필터 안내부로서의 안내 개구(24)를 케이싱(2)에 설치하는(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취출 패널(10)에도 설치한다) 것으로, 필터(7)를 케이싱(2)의 하면을 통하여 꺼낼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를 송풍 팬(3)과 열교환기(5)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으로, 필터를 케이싱(2)의 하면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31 ~ 도 3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싱(2)의 상면에 흡입구(21a)가 형성된 공기 조화 장치(1)를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흡입구(21a)에 필터를 설치하는 대신에,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송풍 팬(3)과 열교환기(5)의 사이에, 송풍 팬(3)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필터(607a ~ 607d)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607a ~ 607d)는 각각 열교환기(5)를 사이에 두고 케이싱(2)의 측판(22a, 22b, 22c, 22d)에 대향하도록,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필터(607a ~ 607d)의 상단은, 케이싱(2)의 천판(21)에 설치된 지지부(621)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621)는, 예를 들면, 각 필터(607a ~ 607d)의 상단을 끼워넣는 것이 가능한 오목부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각 필터(607a ~ 607d)의 하단은, 케이싱(2)의 저판(23)에 근접하여 있다. 그리고 저판(23)에는, 각 필터(607a ~ 607d)의 하단에 대향하는 부분에, 필터 꺼냄 구멍(623a ~ 623d)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필터 꺼냄 구멍(623a ~ 623d)은 각각 필터(607a ~ 607d)를 케이싱(2) 내로부터 꺼낼 때에 개구되고, 통상은, 저판(23)의 일부인 덮개 부재(624a ~ 624d)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덧붙여, 필터(607a ~ 607d)는, 제1 실시예 및 변형예 1 ~ 6, 11 ~ 15에 관련되는 필터(7)와 마찬가지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재와, 이 프레임 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망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필터(7)에 비하여 강성이 높은 프레임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필터(607a ~ 607d)가 송풍 팬(3)과 열교환기(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2)의 하면(즉, 저판(23))의 일부인 덮개 부재(624a ~ 624d)를 떼어내는 것에 의하여(도 31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덮개 부재(624a, 624c)를 참조), 필터 꺼냄 구멍(623a ~ 623d)을 통하여, 필터(607a ~ 607d)를 케이싱(2)의 하면으로부터 꺼낼 수 있게 되기 때문에(도 31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필터(607a, 607c)를 참조), 흡입구(21a, 21b)가 케이싱(2)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불구하고, 필터(607a ~ 607d)의 메인터넌 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624a ~ 624d)의 상면에 필터(607a ~ 607d)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덮개 부재(624a ~ 624d)를 떼어내는 것과 동시에, 필터(607a ~ 607d)를 케이싱(2)의 하면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도 34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덮개 부재(624a, 624c) 및 필터(607a, 607c)를 참조).
또한,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싱(2)의 상면에 흡입구(21a)가 형성된 공기 조화 장치(1)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송풍 팬(3)과 열교환기(5)의 사이에, 송풍 팬(3)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필터(607a ~ 607d)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취출 패널(10)의 일부(여기에서는, 중앙 패널(610))를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도 35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덮개 부재(624a, 624c) 및 중앙 패널(610)을 참조), 필터 꺼냄 구멍(623a ~ 623d) 및 중앙 개구(610a)를 통하여, 필터(607a ~ 607d)를 케이싱(2)의 하면(보다 구체적으로는, 취출 패널(10))으로부터 꺼낼 수 있게 된다(도 35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필터(607a, 607c)를 참조). 여기서, 중앙 개구(610a)는 필터 꺼냄 구멍(623a ~ 623d)에 연통하도록 취출 패널(10)에 형성된 개구이고, 중앙 패널(610)은, 중앙 개구(610a)를 덮는 부분이며, 취출 패널(10) 중 중앙 개구(610a)의 외측의 부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중앙 패널(610)이 아니라 취출 패널(10) 전체를 떼어내는 것으로, 필터 꺼냄 구멍(623a ~ 623d)을 통하여 필 터(607a ~ 607d)를 케이싱(2)의 하면으로부터 꺼내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즉, 취출 패널(10)의 적어도 일부를 떼어내는 것에 의하여, 필터(607a ~ 607d)를 케이싱(2)의 하면으로부터 꺼내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3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앙 패널(610)의 상면에 필터(607a ~ 607d)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중앙 패널(610)을 떼어내는 것과 동시에, 필터(607a ~ 607d)를 케이싱(2)의 하면(보다 구체적으로는, 취출 패널(10))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도 37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중앙 패널(610) 및 필터(607a, 607c)를 참조).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중앙 패널(610)이 아니라 취출 패널(10) 전체를 떼어내는 형태로 하는 경우에는, 취출 패널(10)의 상면에 필터(607a ~ 607d)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취출 패널(10)의 적어도 일부의 떼어냄에 연동하여, 필터(607a ~ 607d)를 케이싱(2)의 하면을 통하여 꺼낼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도 6 참조)와 같이, 케이싱(2)의 측면에 흡입구(21b)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필터(607a ~ 607d)를 송풍 팬(3)과 열교환기(5)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으로, 필터(607a ~ 607d)를 케이싱(2)의 하면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다.
(21) 변형예 17
상술의 변형예 16에 도시되는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설치된 공기 조화 장치(1)와 같이, 취출 패널(10)의 적어도 일부의 떼어냄에 연동하여, 필터(607a ~ 607d)를 케이싱(2)의 하면을 통하여 꺼내는 것이 가능한 구성(예를 들면, 도 37 참조)에 있어서, 도 38이나 도 3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취출 패널(10)의 적어도 일부를, 자동적으로 승강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필터(607a ~ 607d)를 취출 패널(10)의 적어도 일부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우선, 도 38에 도시되는 취출 패널(10)의 일부인 중앙 패널(610)을 자동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취출 패널(10)의 중앙 개구(610a)와 패널 취출구(10a)의 사이, 및, 취출 패널(10)의 중앙 개구(610a)와 패널 취출구(10c)의 사이에는, 각각 와이어 등의 접속 부재(611b)가 감겨진 풀리(pulley, 611a)가 배치되고, 풀리(611a)가 권상 모터(611c)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접속 부재(611b)는, 중앙 패널(610)에 연결되어 있고, 권상 모터(611c)에 의하여 풀리(611a)를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중앙 패널(610)을 자동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풀리(611a), 접속 부재(611b) 및 권상 모터(611c)에 의하여 패널 승강 기구(611)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패널 승강 기구(611)에 의하여, 필터(607a ~ 607d)는 중앙 패널(610)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9에 도시되는 취출 패널(10) 전체를 자동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싱(2)의 상면이나 측면 등 (여기에서는, 상면을 구성하는 천판(21)의 패널 취출구(10a, 10c)를 향하는 위치)에는, 와이어 등의 접속 부재(612b)가 감겨진 풀리(612a)가 배치되고, 풀리(612a)가 권상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 부재(612b)는, 취출 패널(10)에 연결되어 있고, 권상 모터에 의하여 풀리(612a)를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취출 패널(10) 전체를 자동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풀리(612a), 접속 부재(612b) 및 권상 모터에 의하여 패널 승강 기구(612)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패널 승강 기구(612)에 의하여, 필터(607a ~ 607d)는 취출 패널(10)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취출 패널(10)의 적어도 일부가 자동적으로 승강하는 것이고, 그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필터(607a ~ 607d)가 승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고소 작업을 피하면서 필터(607a ~ 607d)를 내릴 수 있다.
<제2 실시예>
(1)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기본 구성
상술의 제1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는, 상면 또는 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싱(2)과, 케이싱(2) 내에 배치된 터보 팬 또는 사류 팬으로 이루어지는 송풍 팬(3)과, 케이싱(2)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5)를 구비한 형태의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1)였지만, 도 4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면에 흡입구(421a)와 하면에 취출구(423a)가 형성된 케이싱(402) 내에 시로코 팬으로 이루어지는 송풍 팬(403) 및 열교환기(405)를 수용한 형태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401)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401)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싱(402)은, 내부에 열교환기(405) 및 송풍 팬(403)을 수용하는 대략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부재이며, 측판(421)(도 40의 지면 우측의 측판)에 흡입 구(421a)와, 저판(423)에 취출구(423a)가 형성되어 있다. 취출구(423a)는, 저판(423) 중 흡입구(421a)가 형성된 측판(421)에 대향하는 측판(422)(도 40의 지면 좌측의 측판)의 근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흡입구(421a) 및 취출구(423a)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개구이다. 이와 같이, 케이싱(402) 내에는, 케이싱(402)의 측면(구체적으로는, 측판(421))에 형성된 흡입구(421a)로부터 케이싱(402)의 하면(구체적으로는, 저판(423))에 이르는 공기 유로(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판(423)의 측판(421)의 근방 부분에는 안내 개구(4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개구(424)는 후술의 필터(407)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필터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열교환기(405)는, 공기 유로(S) 내의 흡입구(421a) 측에 배치되어 있고, 흡입구(421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기기이다. 열교환기(40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알루미늄제의 다수의 핀과, 이들의 핀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전열관을 가지는 크로스 핀형의 열교환기 패널이고, 그 상부가 흡입구(421a) 측으로 비스듬히 경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405)의 하측에는 드레인 팬(406)이 배치되어 있어, 열교환기(405)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송풍 팬(403)은, 공기 유로(S) 내의 열교환기(405)보다도 취출구(423a) 측에 배치되어 있고, 열교환기(405)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승압하고, 취출구(423a)로부터 불어내기 위한 기기이다. 송풍 팬(40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로코 팬이며, 소용돌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스크롤 케이싱(441)과, 스크롤 케이싱(441) 내에 배치되는 날개차(442)와, 날개차(442)를 회전 구동하는 팬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케이싱(402) 내에는, 케이싱(402) 내의 공간을 열교환기(405) 및 송풍 팬(403) 측의 공간과 취출구(423a) 측의 공간으로 나누는 칸막이 판(425)이 설치되어 있고, 스크롤 케이싱(441)의 출구(441b)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만을 취출구(423a) 측의 공간으로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 조화 장치(401)에서는, 냉각 매체 또는 가열 매체를 열교환기(405)에 유통시키는 것과 함께 송풍 팬(403)을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를 케이싱(402)의 측면의 흡입구(421a)로부터 케이싱(402) 내로 흡입하여, 열교환기(405)를 통과시켜 가열 또는 냉각한 후에, 송풍 팬(403)에 의하여 승압하여, 케이싱(402)의 하면의 취출구(423a)로부터 불어낼 수 있다.
또한, 흡입구(421a)에는, 흡입구(421a)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중의 진애를 포집하는 필터(407)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407)는, 예를 들면, 연질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재와, 이 프레임 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망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유연성 및 탄성을 가지고 있다. 필터(407)의 천판(426) 가까이의 단부는,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필터(407)와 동일한 정도의 탄성 및 강성을 가지는 플레이트나 와이어 등의 접속 부재(471)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접속 부재(471)는, 천판(426)의 측판(421) 가까이의 부분에 설치된 권취 기구(472)에 의하여 감겨진 상태가 되어 있다. 권취 기구(472)는, 케이싱(402)(구체적으로는, 천판(42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부(472a)와, 축부(472a)의 외주에 끼워넣어진 롤러(472b)와, 축부(472a)를 회전 구동하는 권취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접속 부재(471)의 타단(즉, 필터(407)의 측판(422) 가까이의 단부에 접속된 단부와 반대 측의 단부)은 롤러(472b)에 접속되어 있다. 이 권취 기구(472)에 있어서, 축부(472a)를 권취 모터에 의하여 도 42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접속 부재(471)가 롤러(472b)로부터 내보내지기 때문에, 이것에 수반하여 필터(407)가 저판(423) 측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축부(472a)를 권취 모터에 의하여 도 42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접속 부재(471)가 롤러(472b)에 감겨지기 때문에, 이것에 수반하여 필터(407)가 천판(426) 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필터(407)의 저판(423) 가까이의 단부(즉, 접속 부재(471)에 접속된 단부와 반대 측의 단부)는, 접속 부재(471)가 롤러(472b)에 감겨진 상태에 있어서, 필터 안내부로서의 안내 개구(424)의 내부까지 삽입되어 있고, 권취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접속 부재(471)가 롤러(472b)로부터 내보내지면, 필터(407)는 안내 개구(424)를 통하여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지게 되어, 예를 들면, 필터(407)의 청소를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손이 닿는 위치까지 필터(407)를 내린 후에, 필터(407)의 청소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407)의 청소를 행한 후에, 권취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접속 부재(471)를 롤러(472b)에 감는 것으로, 필터(407)를 흡입구(421a)에 재차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 부재(471) 및 권취 기구(472)는, 안내 개구(424)를 통하여 필터(407)를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2)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하는 경우
상술의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401)를 공조 실내의 천장면(U)으로부 터 매달아 설치하는 형태(이하,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하는 경우에는, 도 4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401)가 천장면(U)과 케이싱(402)(구체적으로는, 천판(426))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설치된다.
이와 같이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설치된 공기 조화 장치(401)에서는, 공조 실내의 공기가 케이싱(402)의 측면(즉, 측판(421))에 형성된 흡입구(421a)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유로(S)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405) 및 송풍 팬(403)을 통과하여 가열 또는 냉각된 후에, 케이싱(402)의 하면(즉, 저판(423))에 형성된 취출구(423a)로부터 불어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케이싱(402)의 하면에 흡입구 및 취출구의 양방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가 취출 직후에 흡입구로부터 케이싱 내로 흡입되어 버리는 현상(즉, 쇼트 서킷 현상)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천장 걸이형의 형태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필터(407)의 청소를 행하는 경우에는, 권취 기구(472)의 권취 모터를 구동하는 것으로 필터(407)가 안내 개구(424)를 통하여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질 수 있다(도 42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되는 필터(7) 및 접속 부재(471)를 참조).
(3)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하는 경우
상술의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401)를 케이싱(402)의 하면을 제외하는 부분을 공조 실내의 천장 이면의 공간에 설치하는 형태(이하,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하는 경우에는, 도 4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401)를 천장면(U)의 개구에 케이싱(402)을 끼워넣도록 설치하는 것과 함께, 케이싱(402)의 하 면에 취출구(423a) 및 안내 개구(424)에 대향하는 패널 취출구(410a) 및 안내 개구(410e)가 형성된 박형의 취출 패널(410)을 케이싱(402)의 하면에 장착하여 천장면(U)의 개구와 케이싱(402)의 간극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설치된 공기 조화 장치(401)에서는, 천장 이면의 공간 내의 공기가 케이싱(402)의 측면(즉, 측판(421))에 형성된 흡입구(421a)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유로(S)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405) 및 송풍 팬(403)을 통과하여 가열 또는 냉각된 후에, 케이싱(402)의 하면(즉, 저판(423))에 형성된 취출구(423a) 및 이들의 취출구에 연통하는 패널 취출구(410a)로부터 불어내지게 된다. 즉, 천장 이면의 공간을 급기 챔버로서 이용하는 천장 챔버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필터(407)의 청소를 행하는 경우에는, 권취 기구(472)의 권취 모터를 구동하는 것으로, 필터(407)가 안내 개구(424) 및 안내 개구(410e)를 통하여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질 수 있다(도 43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되는 필터(407) 및 접속 부재(471)를 참조).
(4)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의 특징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401)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1)와 마찬가지로, 케이싱(402)의 측면(즉, 측판(421))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케이싱(402)의 하면(즉, 저판(423))으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쇼트 서킷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공기 조화 장치(401)를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입구(421a)가 천장 이면의 공간에 배치되고, 또한 취출구(423a)가 실내 공간에 배치되도록 되기 때문에, 천장 이면의 공간을 급기 챔버로 하는 천장 챔버형의 공기 조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케이싱(402)의 하면에 흡입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싱(402)의 취출구(423a)에 연통하는 취출구만이 형성된 박형의 취출 패널(410)을 케이싱(402)의 하면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천장 매입형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401)에서는, 케이싱(402)에, 필터(407)를 흡입구(421a)와 케이싱(402)의 하면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필터 안내부로서의 안내 개구(42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구(421a)가 케이싱(402)의 측면에 설치된 형태인 것에도 불구하고, 청소 등의 때에 필터(407)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게다가, 케이싱(402)에는, 안내 개구(424)를 통하여 필터(407)를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로서의 접속 부재(471) 및 권취 기구(47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소 작업을 피하면서 필터(7)를 내릴 수 있다.
(5) 변형예 1
상술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401)에서는, 공기 유로(S) 내에 있어서, 열교환기(405)가 송풍 팬(403)보다도 흡입구(421a) 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도 4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405)가 송풍 팬(403)보다도 취출구(423a)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취출구(423a)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열교환기(405)는, 그 상부가 측판(422) 측으로 비스듬히 경사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칸막이 판(425)이 케이싱(402) 내의 공간을 송풍 팬(403) 측의 공 간과 열교환기(405) 및 취출구(423a) 측의 공간으로 나누도록 설치되어 있어, 스크롤 케이싱(441)의 출구(441b)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만을 열교환기(405) 및 취출구(423a) 측의 공간으로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 조화 장치(401)에서는, 냉각 매체 또는 가열 매체를 열교환기(405)에 유통시키는 것과 함께 송풍 팬(403)을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를 케이싱(402)의 측면의 흡입구(421a)로부터 케이싱(402) 내로 흡입하여, 송풍 팬(403)에 의하여 승압한 후에, 열교환기(405)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하여 가열 또는 냉각하여, 케이싱(402)의 하면의 취출구(423a)로부터 불어낼 수 있다.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401)에 있어서도, 상술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변형예 2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401)에 있어서는, 열교환기(405)로서 크로스 핀형의 열교환기 패널이 사용되고 있지만, 제1 실시예의 변형예 5와 마찬가지로, 이것에 대신하여, 열교환기(405)로서 적층형 열교환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7) 변형예 3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 2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401)에 있어서는, 안내 개구(424)를 통하여 필터(407)를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로서의 접속 부재(471) 및 권취 기구(472)가 설치되어 있지만, 제1 실시예의 변형예 6과 마찬가지로, 이것에 대신하여, 수동으로 필터(407)를 하방으로 이동 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도 15 및 도 16 참조).
(8) 변형예 4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 ~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401)에 있어서는, 필터를 청소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필터를 케이싱(402)의 하면으로부터 끌어내고 떼어내어 청소를 행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0과 마찬가지로, 권취식의 필터를 채용하여, 필터의 청소를 행하지 않고 필터의 권취가 종료한 경우만 새로운 권취식의 필터로 교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도 21 참조).
(9) 변형예 5
상술의 실시예 및 변형예 1 ~ 4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401)를 그리드 천장에 천장 매입형의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2와 마찬가지로, 케이싱(402)의 하면에 장착되는 취출 패널(410)을 T바에 의하여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프레임 내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사이즈로 하여도 무방하다(도 23 및 도 24 참조).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의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의 제1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는, 이른바 4방향 취출의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2방향 취출의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 등의 다른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케이싱의 하면에 취출구가 설치된 천장 설치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쇼트 서킷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Claims (33)

  1. 공조실의 천장에 설치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이고,
    상면(上面)에 흡입구(21a)와 하면(下面)에 취출구(23a ~ 23d)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취출구에 이르는 공기 유로(S)가 형성된 케이싱(2)과,
    상기 공기 유로 내에 배치된 송풍 팬(3)과,
    상기 공기 유로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5, 105)
    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1).
  2. 공조실의 천장에 설치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이고,
    측면(側面)에 흡입구(21b, 421a)와 하면에 취출구(23a ~ 23d, 423a)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취출구에 이르는 공기 유로(S)가 형성된 케이싱(2, 402)과,
    상기 공기 유로 내에 배치된 송풍 팬(3, 403)과,
    상기 공기 유로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5, 105, 405)
    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1, 40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 402)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취출구(23a ~ 23d, 423a)에 대향하는 패널 취출구(10a ~ 10d, 410a)가 형성된 취출 패널(10, 410)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취출 패널(10, 410)은, 상기 천장이 그리드(grid) 천장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천장의 프레임 내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1, 40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3)은 터보 팬이고,
    상기 열교환기(5)는, 상기 공기 유로(S) 내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3)은 사류 팬이고,
    상기 열교환기(5)는, 상기 공기 유로(S) 내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5)는, 상기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3)의 외주(外周) 측에 복수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5)는, 상기 케이싱(2)을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05)는, 상기 공기 유로(S) 내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3)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23a ~ 23d)는, 상기 케이싱(2)의 하면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유로(S)는, 상기 열교환기(5)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취출구를 향하여 흐르는 취출 유로(S1)를 가지고 있고,
    상기 취출 유로에는, 상기 케이싱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내주(內周) 측을 향하여 확대한 확대 유로(S2)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10. 공조실의 천장에 설치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이고,
    상면 또는 측면에 흡입구(21a, 21b)가 형성된 케이싱(2)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된 송풍 팬(3)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5)와,
    상기 케이싱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의 하면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패널 취출구(10a ~ 10d)가 형성된 취출 패널(10)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패널 취출구에 이르는 공기 유로(S)를 통하여 상기 패널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열교환기(5)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패널 취출구를 향하여 흐르는 취출 유로(S1)를 가지고 있고,
    상기 취출 유로에는, 상기 케이싱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내주 측을 향하여 확대한 확대 유로(S2)를 가지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패널(10)은, 상기 천장이 그리드 천장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천장의 프레임 내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1).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유로(S2)는 상기 케이싱(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유로(S2)는 상기 취출 패널(1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유로(S2)의 유로 면적을 변경하기 위한 유로 면적 변경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면적 변경 기구는, 냉방 운전 시에는 확대 유로(S2)의 유로 면적이 큰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고, 난방 운전 시에는 확대 유로(S2)의 유로 면적이 작은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는, 공기 조화 장치(1).
  1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403)은 시로코 팬이고,
    상기 열교환기(405)는, 상기 공기 유로(S) 내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보다도 흡입구 측 또는 취출구 측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40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5, 105, 405)는 적층형 열교환기인, 공기 조화 장치(1, 401).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5, 105, 405)에 사용되는 열 매체는 물인, 공기 조화 장치(1, 401).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21a, 21b)에는 필터(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2)에는, 상기 흡입구(21a, 21b)와 상기 케이싱의 하면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필터를 보지(保持)하는 필터 안내부(24)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에는, 상기 필터 안내부(24)를 통하여 상기 필터(7)를 하방(下方)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에는, 상기 필터 안내부(24)를 통하여 상기 필터(7)를 하방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필터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22.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21a, 21b)에는 필터(20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필터(207)가 포집한 진애(塵埃)를 상기 필터로부터 제거하는 청소 기구(273)와, 상기 청소 기구에 의하여 제거되는 진애를 모으는 더스트 박스(dust box, 11, 111)를 더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1).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에는, 상기 더스트 박스(11)를 하방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에는, 상기 더스트 박스를 하방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더스트 박스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111)에는, 청소기의 노즐을 끼우는 것이 가능한 노즐 끼움구(113)가 하향(下向)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끼움구(113)에는, 청소기의 노즐을 끼우는 것에 의하여 열리는 개폐 덮개(114)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114)는 자중(自重)에 의하여 닫히는, 공기 조화 장치(1).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111)에는, 청소기의 흡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밸브(116)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29.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11, 111)는 상기 케이싱(2)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3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21a, 21b, 421a)에는 권취식의 필터(307, 407)가 설치되어 있 는, 공기 조화 장치(1, 401).
  3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21a, 21b)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진애를 포집하는 필터(607a ~ 607d)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열교환기(5)는, 상기 공기 유로(S) 내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3)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필터는 상기 송풍 팬과 상기 열교환기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취출구(23a ~ 23d)에 대향하는 패널 취출구(10a ~ 10d)가 형성된 취출 패널(10)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취출 패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떼어내질 때에, 상기 필터는 상기 취출 패널의 적어도 일부의 떼어냄에 연동하여 상기 케이싱의 하면을 통하여 꺼내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1).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패널(10)의 적어도 일부는 자동적으로 승강(昇降) 가능하고,
    상기 필터(607a ~ 607d)는 상기 취출 패널의 적어도 일부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공기 조화 장치(1).
KR1020087016026A 2005-12-12 2006-12-06 공기 조화 장치 KR100984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7621 2005-12-12
JP2005357621 2005-12-12
JPJP-P-2006-00207859 2006-07-31
JP2006207859 2006-07-31
JPJP-P-2006-00273435 2006-10-04
JP2006273435A JP4039453B1 (ja) 2005-12-12 2006-10-04 空気調和装置
PCT/JP2006/324332 WO2007069507A1 (ja) 2005-12-12 2006-12-06 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363A true KR20080073363A (ko) 2008-08-08
KR100984146B1 KR100984146B1 (ko) 2010-09-28

Family

ID=38162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026A KR100984146B1 (ko) 2005-12-12 2006-12-06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71451B2 (ko)
EP (1) EP1965141A4 (ko)
JP (1) JP4039453B1 (ko)
KR (1) KR100984146B1 (ko)
AU (2) AU2006324711B2 (ko)
WO (1) WO2007069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1172B1 (ja) * 2006-04-17 2007-10-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WO2008096553A1 (ja) * 2007-02-09 2008-08-14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1173367B1 (ko) * 2007-12-11 2012-08-10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RU2493497C2 (ru) * 2009-02-05 2013-09-20 Мицубиси Электрик Корпорейшн Внутренний блок кондиционера воздуха и кондиционер воздуха
EP2312230B1 (en) * 2009-04-30 2017-06-21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FI122952B (fi) * 2009-11-18 2012-09-14 Halton Oy Tuloilmalaite
JP5595371B2 (ja) * 2011-12-26 2014-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WO2014109970A1 (en) 2013-01-11 2014-07-17 Carrier Corporation Fan coil unit with shrouded fan
JP6036383B2 (ja) * 2013-02-19 2016-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システム
JP6344599B2 (ja) * 2014-05-28 2018-06-2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GB201412453D0 (en) * 2014-07-14 2014-08-27 Payne Robert A An air conditioning filter cleaner and associated multiple filter cleaning system
US9976757B2 (en) * 2015-04-29 2018-05-22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Airfoil frame for computer room air conditioning unit
KR102482011B1 (ko) * 2015-05-04 2022-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청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1707617B1 (ko) 2015-09-30 201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291743B2 (en) * 2016-05-09 2022-04-05 John Polidoro Ceiling-mounted decontamination unit with luminaire
DE102016110604B4 (de) 2016-06-08 2022-01-20 Konvekta Aktiengesellschaft Klimaanlage mit verbesserter Luftleitung und Verfahren dazu
KR102600956B1 (ko) * 2016-09-22 202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6918095A (zh) * 2017-01-22 2017-07-04 上海市全保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风道设计的紫外空气净化装置及制造方法
WO2019176100A1 (ja) * 2018-03-16 2019-09-1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7348481B2 (ja) * 2019-06-14 2023-09-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型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US20220186979A1 (en) * 2020-12-14 2022-06-16 Rheem Manufacturing Company Heating systems with unhoused centrifugal fan and wraparound heat exchanger
CN114623545B (zh) * 2022-04-06 2023-09-12 京开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室内空气净化设备
KR102576648B1 (ko) * 2023-03-20 2023-09-07 최윤석 일반 등박스
KR102576653B1 (ko) * 2023-03-20 2023-09-07 최윤석 간접 등박스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9315Y1 (ko) * 1970-12-31 1977-09-06
JPS49150129U (ko) 1973-04-20 1974-12-26
JPS5275846A (en) 1975-12-22 1977-06-25 Mitsubishi Electric Corp Room air conditioner
JPH0216180Y2 (ko) 1986-02-04 1990-05-02
JPH0212493Y2 (ko) 1986-02-04 1990-04-09
JPH0434332Y2 (ko) 1986-06-11 1992-08-17
JPS63188425U (ko) 1987-05-25 1988-12-02
JP2598970B2 (ja) 1988-06-24 1997-04-09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吊り下げ装置
JP2723602B2 (ja) 1989-04-11 1998-03-09 松下精工株式会社 ダクト式空気調和機の吸込チャンバー
JPH0710202Y2 (ja) * 1989-07-24 1995-03-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836981B2 (ja) 1991-02-19 1998-12-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2532897Y2 (ja) * 1991-10-29 1997-04-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7275626A (ja) 1994-04-13 1995-10-24 Yoshibumi Ishii 空調機用フィルタ自動清掃装置
TW384374B (en) * 1996-10-03 2000-03-11 Toshiba Corp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JPH10185294A (ja) 1996-12-26 1998-07-14 Toyo Eng Works Ltd 空調システムの天井開口部の開閉装置及び空調 システム
JPH10238802A (ja) 1997-02-20 1998-09-08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CA2215458A1 (en) * 1997-09-15 1999-03-15 Gunnar Mannerheim Air conditioner unit for mounting within the roof of a vehicle
JPH11226331A (ja) * 1998-02-18 1999-08-2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2000046360A (ja) * 1998-07-29 2000-02-18 Hitachi Ltd 天井埋込形の室内機
JP3867416B2 (ja) 1998-09-25 2007-01-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521323B2 (ja) * 1998-12-18 2004-04-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天井埋込形の室内機
JP2000213766A (ja) 1999-01-21 2000-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セット型空気調和機および躯体蓄熱空調システム
KR100402195B1 (ko) * 2000-01-28 2003-10-22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천장에 장착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US6260375B1 (en) * 2000-06-09 2001-07-17 Chin-Sheng Kuo Air conditioner blowing cool air to many directions
US6802361B2 (en) * 2000-06-22 2004-10-12 Air Techno Company Limited Ceiling panel structure for a ceiling-mounted air-conditioning apparatus or the like
JP4110906B2 (ja) * 2002-02-28 2008-07-0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EP1361399A1 (de) * 2002-05-08 2003-11-12 B.V.S. d.o.o. Deckenanlage zur Raumbeheizung und Raumbelüftung mit Rotationsausblaselement
EP1557617A4 (en) * 2002-10-29 2009-12-16 Daikin Ind Ltd WASTE WASTE MANAGEMENT FOR AIR CONDITIONING
JP4040433B2 (ja) 2002-11-05 2008-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6780097B2 (en) * 2003-01-29 2004-08-24 Deere & Company Two piece vehicle roof structure having an integrated HVAC system
DE10317263B4 (de) * 2003-04-14 2019-05-29 Gea Wtt Gmbh Plattenwärmeübertrager mit doppelwandigen Wärmeübertragerplatten
JP4297819B2 (ja) 2004-03-30 2009-07-15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4297818B2 (ja) 2004-03-30 2009-07-15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2005308274A (ja) * 2004-04-20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324711B2 (en) 2010-01-28
AU2006324711A1 (en) 2007-06-21
AU2009243534A1 (en) 2009-12-24
KR100984146B1 (ko) 2010-09-28
EP1965141A4 (en) 2012-07-18
US20090211284A1 (en) 2009-08-27
WO2007069507A1 (ja) 2007-06-21
US7971451B2 (en) 2011-07-05
JP2008057948A (ja) 2008-03-13
EP1965141A1 (en) 2008-09-03
JP4039453B1 (ja)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146B1 (ko) 공기 조화 장치
JP4918283B2 (ja) 空気調和機
WO2010097883A1 (ja) 同時給排形換気扇および空調装置
TWI267611B (en)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and air guide structure thereof
KR20050116217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1014170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16546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8057966A (ja) 空気調和装置
JP5860752B2 (ja) 空気調和機
KR2007007316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1346587A (zh) 空调装置
KR10110576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필터 제어 방법
KR101384158B1 (ko) 공기조화기
KR100584299B1 (ko) 공기조화기
KR10081114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1086353A (zh) 窗式空调器的前面格栅装配结构
KR101105753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456198B2 (ja) 空気調和装置
JP4425007B2 (ja) 換気ユニット
JP3661394B2 (ja) 熱交換換気装置
KR100715336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개폐도어 구조
CN213272945U (zh) 进风结构和空调室外机
KR100234036B1 (ko) 공조기의 필터 장착구조
JP6467624B2 (ja) 空気清浄装置
CN100487328C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