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810A - 다기능 시트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시트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810A
KR20080070810A KR1020087008400A KR20087008400A KR20080070810A KR 20080070810 A KR20080070810 A KR 20080070810A KR 1020087008400 A KR1020087008400 A KR 1020087008400A KR 20087008400 A KR20087008400 A KR 20087008400A KR 20080070810 A KR20080070810 A KR 20080070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ulley mechanism
pulley
seat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렉 잉그라함
Original Assignee
카프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프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카프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7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96Central command actuator to selectively switch on or engage one of several special purpose circuits 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933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movement to or from the flexible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 Y10T74/20474Rotatable rod, shaft, or post
    • Y10T74/2048Gear, drum, and c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 Y10T74/20474Rotatable rod, shaft, or post
    • Y10T74/20486Drum and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Flexible Shaft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다기능 시트조절시스템은 인클로져(enclosure)(12) 내 풀리기구(pulley mechanism)(30), 외부 핸들(118)을 부착하는 가동축(18) 및 다중 래치작동케이블(2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풀리기구(30)은, 케이블이 놓인 다중주위슬롯(36), 및 결합된 케이블엔드(cable ends)가 삽입될 수 있는 케이블엔드 입구(36)를 포함하고 있다. 잠금장치(98)은, 상기 풀리기구(30)의 회전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시트백 위치(seat-back position)를 감지한다. 상기 풀리기구(30)는 시트백 래치를 해제하기 위하여 소정의 각으로 회전작동되고, 그로 인해 상기 시트백이 전방으로 접히거나 기울어질 수 있으며, 시트바닥 래치를 해제하기 위하여 소정의 각을 지나 회전작동되어, 결과로 상기 시트(110)가 수납환경에 맞추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시스템은, 상기 시트백(114)이 전방으로 접힐 시에 헤드레스트(116)를 해제시키는 헤드레스트 케이블(96) 및 상기 시트(110) 뒤편으로부터 상기 풀리기구(30)을 작동시키는 해제 스트랩(84)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시트백, 회전작동, 풀리기구

Description

다기능 시트조절 장치 및 방법{MULTIFUNCTION SEA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케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케이블을 이용한 수동-조작식 시트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시트는 종종 부가적인 시트조절 기능 뿐 아니라 뒤로 젖혀지는 시트백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뒷자석에 들어가기 쉽도록 자동차시트는 전방으로 접힐 수 있는 접이식 시트백을 갖거나, 상기 시트가 전방으로 미끄러지거나 앞으로 회전시켜 해제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상기 시트백은 부분적으로 전방으로 접히거나-예를 들어, 약 45도-또는 완전히 전방으로 접힐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시트백은 시트바닥 또는 자동차 바닥에 거의 평행이 된다.
또, 몇몇 자동차 시트는 이를 테면, 수납환경(stowage configuration)에 끼워넣거나, 포개지거나 접어지도록 디자인된다. 이를 테면, 상기 시트바닥은 래칭기구(latching mechanism)에 의해 뒷쪽에서 바닥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앞쪽이 상기 바닥에 힌지연결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상기 시트백이 완전히 전방으로 또는 아래로 접힐 수 있고, 상기 시트조립체는 수납위치 내까지 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른 시트는 상기 바닥의 수납홈 내로 접어 넣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자동차시트는 상기 시트 또는 그 근처에 핸들을 가진 조절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시트는 각각의 기능을 위한 개별 핸들, 이를 테면, 시트를 눕히는 핸들, 시트를 전방으로 접히게 하는 핸들, 및 상기 시트를 끼워넣게 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복합핸들은 조작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내에 설치하기 어렵고 조작자에게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핸들을 이용하여 다중차량시트기능들을 작동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요구사항은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일 핸들로 다중차량시트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해 상당 정도 부응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상기 시트조절시스템은 풀리기구(pulley mechanis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리기구는 상기 풀리기구의 둘레의 제1부분에 놓이는 제1케이블슬롯과, 제1부분, 제2부분 및 벤드(bend)를 포함하는 횡단안내면을 가지며, 상기 제1부분은 풀리기구의 축에 더욱 근접하여 회전작동방향으로 각이 지고, 상기 제2부분은 풀리기구의 주변부에 근접하여 회전작동방향으로부터 이각(離角)되며, 상기 제1 및 제2부분은 상기 벤드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시트조절시스템은 풀리기구를 작동방향으로 회전작동하는 수단 및 상기 제1케이블에 의해 초기 유지된 인장량에 기초하여 상기 풀리기구로 제1케이블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조절시스템은 상기 풀리기구의 회전운동을 시트백 위치를 기초로 한 소정각으로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수단 및 상기 풀리기구가 작동방향으로 소정각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케이블을 작동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시트를 조절하는 방법은 풀리기구를 작동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케이블에 의해 초기 유지된 인장량을 기초로 하는 풀리기구를 가지고 상기 제1케이블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풀리기구의 회전운동을 시트백 위치를 기초로 한 소정의 각으로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단계와, 상기 풀리기구가 소정의 각 이상으로 작동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케이블을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더 잘 이해되고, 이 기술분야에 본 기여가 더 잘 인식되기 위해서는 실시형태가 다소 광범위하게 개요된다. 물론,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형태가 여기 첨부된 청구항의 주요 사항을 형성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세부사항 및 다음 기재로 설명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배치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여기 기술된 것에 추가되는 실시예가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및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요약서 뿐 아니라 여기에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당해 분야의 전문가는 이러한 개시가 기초로 된 개념이 본 발명의 몇몇 목적을 실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 방법 및 시스템의 설계의 기초로써 써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청구항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상기의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간주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기능 시트조절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시트조절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형태의 시트조절모듈의 절단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트조절모듈의 사용에 적합한 형태의 풀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풀리기구의 측면세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사용하기 적합한 형태의 대표적인 기계적 이득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사용하기 적합한 형태의 대표적인 헤드레스트 및 보상기(compensator)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사용하기 적합한 형태의 대표적인 시트백 위치 감지장치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갖는 설치된 대표적인 자동차시트를 도시한다.
도 9는, 전방으로 접히는 시트백 및 하향으로 접히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도 8의 자동차시트를 도시한다.
도 10은, 수납환경에 맞추어진 도 8의 자동차시트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는, 단일 풀리기구를 사용하여 다중 시트 래치(multiple seat latches)의 작동을 제공하는 수동작동되고, 케이블구동(cable-driven)되는 다기능 시트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풀리기구는 다중 래치 작동케이블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자동차시트와 같은 시트가 단일 핸들로 기울어지고, 접혀지고 맞추어지도록 하기 위한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이 있다. 상기 핸들은 시트를 눕히고, 접고, 끼워넣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래치 기구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열도록(unlatch) 일련의 동기화 동작(a sequence of synchronized motions)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풀리기구는 시트가 눕혀지거나 접히고 끼워넣어지게 순차적으로 허용하기 위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1회 이상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는, 다중 케이블을 수용하는 다중주변슬롯(multiple circumferential slots)을 갖는 풀리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풀리기구는, 슬롯으로 유도하는 원형구멍(round aperture) 과 같은 각각의 슬롯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엔드 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테면, 상기 슬롯의 일단부에, 케이블엔드가 상기 슬롯 내에 결합 케이블을 도입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시스템은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과 같이 슬롯에 의해 풀리기구에 부착될 수 있는 다중 케이블을 포함하며, 이로 인해, 상기 풀리기구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일부 케이블은 후퇴될 수 있으며, 상기 풀리기구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의 동일한 케이블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슬롯 중 하나는 케이블엔드가 미끄러지는 일반적인 방사상 안내면(radial guide surface)을 포함하는 풀리기구의 개구부 내에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은 풀리기구의 외주부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벤드부(ben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상기 안내면은 상기 벤드부의 내측 반지름 방향의 안내면에 대해 케이싱(casing)의 케이블 입구벽을 향해 경사진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안내면은 상기 벤드부 이전에 케이블 입구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면에서 개구하는 슬롯에 대응하는 케이블의 이동은 상기 케이블의 인장량에 좌우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케이블이 최초 인장하에 있다면, 케이블엔드는 상기 안내면을 따라 상기 안내면 외단부에서 벤드(bend)를 지나서 엘보(elbow)까지 반지름 외측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풀리기구가 초기위치에서 작동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케이블엔드는 케이블과 결합 및 후퇴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케이블이 최초 인장하에 있지 않다면, 케이블엔드는 일반적으로 풀리기구의 회전축을 향하는 안내면을 따라서 반지름 내부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이는 케이블이 후퇴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풀리기구가 작동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케이블이 인장하에 있고 외부로 미끄러진다면, 더 적게 후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케이블의 작동은, 풀리기구가 개시될 때, 상기 케이블의 초 기 인장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 상기 풀리기구는 연동탭(interlock tab)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풀리기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풀리기구의 정지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동탭은, 풀리를 향하거나 이탈하는 방향으로 상기 탭을 작동할 수 있는 케이블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연동탭은 상기 풀리기구의 회전을 시간제한 및 다른 시간비제한으로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도시된 시스템 및 부품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는, 시트조절모듈(11)을 포함하는 다중 시트조절시스템을 도시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트조절모듈(11)은, 인클로져(enclosure), 이를 테면,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이분할 주조된 금속 케이싱(two-piece cast metal casing)(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2)은, 작동축(18)이 상기 케이싱(12)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일측에 오리피스(orifice)(14) 또는 벽(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측(18)은, 상기 작동축(18)에 외부 핸들을 부착시키고 상기 핸들로부터 작동축(18)으로 토크(torque)를 전달하도록 도 1에 도시된 스플라인(splines)(20)과 같은 부착 연결부분(attachment inte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시트조절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5개의 외장된 보우덴 케이블(22)과 같은 다중 래치작동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내부 케이블(26) 및 동축 외장(28)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반대축력(opposing axial forces)이 외부바디에 작용력을 가세하도록 내부 케이블(26) 및 외장(28)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케이블 중 2개의 케이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바닥 래칭기구(24)에 부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대하여 반되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시트조절모듈(11)을 내부작동을 노출하도록 제거된 케이싱(12)의 근방과 함께 도시한다.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시트조절모듈(11)은, 이를 테면, 상기 캐스팅(12) 내에 축(32)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다이 캐스팅으로 주조된 금속 풀리(diecast metal pulley)와 같은 풀리기구(30)를 포함한다. 상기 풀리기구(30)는, 동일한 축(32)을 공유하고 상기 풀리기구가 회전하는 축으로서 작용하는 일체형 축(integral shaft)(3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일체형 축(34)은, 도 1의 케이싱(12)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으로 보여지는 작동축(18)을 형성하는 축방향 연장부(axial extens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리기구(30)는, 또한 내부 케이블(26)(도 1 참조)이 도입될 수 있는 다중주변슬롯(3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풀리기구(30)는 다중케이블엔드입구(3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내부 케이블(26) 각각의 케이블엔드(40)가 풀리기구(30)에 삽입되도록 각 슬롯(36)에 개구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각각의 상기 내부 케이블(26)은 개별 슬롯(36)에 놓일 수 있고, 상기 풀리기구(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풀리기구(30)에 의해 상기 내부 케이블(26) 각각에 축력이 가세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내부 케이블(26)은, 상기 케이블(26)을 끝을 이루게 하고, 상기 케이블(26)이 상기 풀리기구(30)에 연결될 수 있는 부착기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케이블(26)의 각각의 단부에 부착되는 케이블엔드(40)를 포 함한다.
또, 상기 케이싱(12)은, 각각의 케이블(22)이 상기 케이싱(12)의 외부로부터 상기 케이싱(12)의 내부로 통과할 수 있는 케이블 입구벽(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테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입구벽(42)은, 각각의 외장(28) 일단부에 연결된 고정부(fittings)(44)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4)는 나사와 같이 케이블(22)을 케이싱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슬롯(36)과 상기 케이블엔드 입구(38)에 의해 상기 풀리기구(30)에 연결되는 상기 내부 케이블(26)중 네 개가 도시된다. 이를 테면, 도 2에 도시된 다중시트조절시스템은 시트백 래치케이블(46), 제1시트바닥 래치케이블(50) 및 제 2시트바닥 래치케이블(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리기구(30)에서 상기 제1슬롯(48)은 상기 풀리기구(30) 운동의 접선방향에 대하여 횡단면으로 놓인 안내면(60)에 있는 개구부(58) 내에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롯(48)은 상기 풀리기구(30)의 반경에 또는 대략 수평에 일반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풀리기구(30)의 측면 세부도이다.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안내면(60)은 상기 안내면(60)내의 니(knee) 또는 벤드부(66)에 의해 연결되는 제1부분(62) 및 제2부분(64)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32)의 축에서 시작되고 안내면(60)의 벤드부(66)에 접하는 상기 풀리기구(30)의 반경부(68)에 대하여, 상기 축(32)에 상대적으로 근접하는 지점(point)으로부터 상기 벤드부(66)를 향하여 연 장하는 제1부분(62)은 운동의 작동방향을 향해(도 2에 나타내어진 케이블 입구벽(42)에서 이탈하며)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벤드부(66)의 외측부, 상기 제 2부분(64)은 운동의 작동방향으로부터(케이블 입구벽(42)을 향해) 이각될 수 있다.
또, 시트백 래치케이블(46)(도 2 참조)은 도 3에 나타내어진 제1슬롯(48)에 놓여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원형의 면을 포함하는 대응하는 케이블엔드(40)(도 2 참조)는 상기 안내면(60)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위치의 풀리기구(30)에서, 상기 벤드부(66)가 일반적으로 시트백 래치케이블(46)과 정렬되도록 상기 벤드부(66)가 위치될 수 있다(도 2 참조). 그로 인해, 상기 풀리기구(30)가 초기위치에서 작동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시트백 래치케이블(46)은 회전이 시작될 시에 상기 시트백 래치케이블(46)의 인장량에 따라 안내면의 제1부분(62)을 따라 내부로 미끄러질 수 있거나 또는 제2부분(64)을 따라 외부로 미끄러질 수 있다(도 4 참조).
따라서, 작동시, 상기 풀리기구(30)의 회전이 시작될 때, 상기 시트백 래치케이블(46)(도 2 참조)의 작동은 상기 시트백 래치케이블(46)의 초기 인장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시트백 래치케이블(46)이 초기 인장하에 있다면, 상기 케이블엔드(40)(도 2 참조)는, 상기 벤드부(66)을 지나 안내면(60)의 최외측(extreme)에 있는 V자 형상의 엘보(70)까지 도 4의 안내면(60)을 따라서 반지름 외측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 경우, 풀리기구(30)가 작동방향(도 2, 3 및 4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엘보(70)는 상기 케이싱(12)에 상기 케이블을 후퇴시키기 위해 상기 시트백 래치케이블(46)의 케이블엔드(40)에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시트백 래치케이블(46)(도 2 참조)이 초기 인장하에 있지 않다면, 상기 케이블엔드(40)(도 2에 나타내어진)는, 일반적으로 풀리기구(30)의 축(32)을 향하여 도 4의 안내면(60)을 따라서 반지름 내측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엘보(70)는 시트백 래치케이블(46)의 케이블엔드(40)에 결합할 수 없거나 약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풀리기구(30)가 작동방향(도 2, 3 및 4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시트백 래치케이블(46)이 초기 인장하에 있었고 외부로 미끄러졌었다면, 상기 시트백 래치케이블(46)은 후퇴하지 않거나 또는 더 적게 후퇴할 수 있다.
도 2로 되돌아와서, 상기 시트조절모듈(11)은 상기 케이싱(12) 내부 연동케이블(74)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는 연동탭(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도 2에 도시된 동축스프링(coaxial spring)(76)과 같은 탄성체(resilient body)는 상기 탭(72)을 풀리기구(30)을 향하여 가세하도록 상기 연동탭(72)상에 편향력을 가할 수 있다.
상응하여, 상기 풀리기구(30)는 상기 풀리기구(30)에 일체화될 수 있는 정지면(78)을 포함할 수 있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리기구(30)에 분되되어 고착될 수 있다. 상기 연동탭(72)이 상기 풀리기구(30)를 향하여 연장되는 경우, 작동방향으로 상기 풀리기구의 추가회전(도 2의 시계반대방향)을 방지하도록 상기 정지면(78)은 상기 풀리기구(30)의 소정 회전각으로 상기 연동탭(72)에 접촉하도록 상기 정지면(7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테면,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 기 풀리기구(30)의 소정 회전각은 초기 또는 중앙 위치로부터 작동방향으로 약 35도일 수 있다.
상기 연동케이블(74)의 반대 단부는, 결합되는 시트백이 직립위치 또는 부분적으로 직립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연동케이블(74)이 상기 케이싱(12)의 내부로 후퇴되게 하거나, 이를 테면, 상기 시트백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전방으로 접어지는 경우, 상기 연동케이블(74)이 상기 케이싱(12)의 외부를 향해 상기 연동케이블(74)을 작동시키는 시트백위치감지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에 있어서, 상기 연동탭(72)은, 시트백이 직립일 경우, 작동방향(도 2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풀리기구(30)가 소정회전각을 초과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시트백이 하향으로 접히는 경우, 작동방향(도 2의 시계반대방향)으로 상기 풀리기구(30)가 소정회전각을 초과해서 더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숄더부(shoulder)(77)와 같은 정지면은 상기 풀리기구(30)가 작동방향으로 전체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고정된 최종정지부(79)과 접촉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시트바닥 래치케이블(50)은, 이를 테면, 도 3에 나타내어진 제 2 슬롯(54)에 놓여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시트바닥 래치케이블(52)은, 또한, 이를 테면 도 3에 나타내어진 제 3 슬롯(56)에 놓여질 수 있다. 또,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시트바닥 래치케이블(50, 52)의 케이블엔드(40)는, 상기 풀리기구(30)가 초기위치로부터 작동방향(도 2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및 제2시트바닥 래치케이블(50, 52)이 후퇴될 수 있도록(케이싱(12)의 내부로 잡아당겨지는) 상기 제2 및 제3 슬롯(54,56)의 케이블엔드 입구(38) 각각에 의해, 또는 상기 슬롯(52,54) 내 다른 위치에 있는 추가적인 케이블엔드 정지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풀리기구(30)의 숄더(57)와 같은 정지면은, 상기 풀리기구(30)가 초기위치를 지나 작동방향반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를 테면, 상기 케이싱(12)에 일체를 이루거나 부착될 수 있는 고정정지면(59)에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풀리기구(30)은, 이를 테면, 상기 풀리기구(30)와 상기 케이싱(12)을 결합하는 코일스프링(coil spring)(81)에 의해, 초기위치로 편향될 수 있다.
상기 풀리기구(30)가 반대작동방향(도 2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및 제2시트바닥 래치케이블(50, 52)은, 비슷하게 연장될 수 있다(상기 풀리기구(30)에 의해 밀거나 또는 외부바디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끌어당겨지는). 상기 제1 및 제2시트바닥 래치케이블(50, 52)은, 그들의 반대 단부에서 시트바닥 래치(24)(도 1에 나타내어진)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에 있어서, 상기 시트바닥 래치(24)는 풀리기구(30)가 작동방향(도 2의 시계반대방향)으로 작동함에 따라 해제되거나 또는 열릴(unlatch) 수 있으며, 상기 풀리기구(3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래치(latch)가능할 수 있다.
또, 상기 다기능시트조절시스템은,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해제 케이블(release cable)(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 케이블(80)은 이를 테면, 상기 풀리기구(30)의 제4슬롯(82)(도 3 참조)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해제 케이블(80)의 결합 케이블엔드(40)(도 2에서 미도시)는 대응하는 케이블엔드 입구(38)에 의해 삽입결합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풀리기구(30)는 상기 해제 케이 블(80)에 의해 회전작동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케이블엔드(40)은 상기 슬롯(82) 내 다른 위치에 있는 추가적인 케이블엔드 정지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풀리기구(30)는 상기 해제 케이블(80)에 의해 작동방향(도 2의 시계반대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해제 케이블(80)은, 외부 핸들 대신에 상기 풀리기구(30)를 작동하도록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풀리기구(30)를 작동방향(도 2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작동하도록 작동축(18)은 외부 핸들에 의해 수동작동되거나 또는 상기 해제 케이블(80)이 수동작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풀리기구(30)는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상기 풀리기구(30)의 두 개 이등분(도 4의 좌, 우)은 서로 실질적인 거울이미지를 형성한다. 이 결과로써, 상기 풀리기구(30)는, 케이싱의 반대 단부에 있는 케이블 입구벽을 가지며 역구성(reverse configuration)된 케이싱(미도시) 내 설치될 수 있으며, 결과로서 생긴 상기 역조절시스템(resulting reverse control system)은 이를 테면, 시트의 반대측에(이를 테면, 운전자측 시트를 대신한 승객측 시트에) 역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풀리기구(30) 디자인은 다양한 차량시트구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해제 케이블(80)의 수동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해제 케이블(80)(도 2 참조)의 반대극단에 부착될 수 있고, 또는 한 실시형태에서,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원격해제 케이블(remote release cable)(86)의 선단부(distal end)에 부착될 수 있는 해제 스트랩(release strap)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해제 스트랩(84)은, 이를 테면, 후부 시트에 착석한 조작자에게 용이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자동차 뒷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어진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원격해제 케이블(86)의 인접 단부는, 도 5에 나타내어진 조작력절감장치(effort reduction device)(88)와 같은 기계적 이득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조작력절감장치(88)는 인클로져(92)의 조작력절감풀리(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해제 케이블(86)은, 이를 테면,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이를 테면 상기 풀리(90)의 외주부에 근접하는 풀리의 회전축(94)으로부터 상대적 대반경거리(large radial distance)(91)에서 상기 풀리(9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해제 케이블(80)의 반대 단부(즉,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풀리기구(30)에 부착된 단부에 반대하여)는, 상기 조작력절감 풀리(90)에도 연결될 수 있지만, 상기 원격해제 케이블(86) 연결부분의 반경거리(91)와 비교하여, 상기 풀리회전축(94)에서 상대적 소반경거리(relatively small radial distance )(93)에 있다. 따라서, 작동에 있어서, 상기 해제 스트랩(84)은, 상기 원격 해제 케이블(86)을 작동하도록 수동으로 잡아끌 수 있으며, 상기 해제 케이블(80)은 상기 조작력절감풀리(90)에 의해, 상기 해제 스트랩(80)에 가해진 힘보다 더 큰 힘으로 순차적으로 작동된다. 이를 테면,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대반경거리(91)의 길이는 상기 소반경거리(93)의 약 3배일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상기 해제 스트랩(84)에 적용된 3배의 수동 인가된 힘(manual force)이 상기 해제 케이블(80)에 가해진다.
또, 상기 다기능 시트조절시스템은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헤드레스트 케이블(96)을 임의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 케이블(96)은, 헤드레스트 래치의 일단부 및 도 7에 나타내어진 잠금장치(98)와 같은 시트백 위치감지장치의 반대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전방으로 접힐 경우,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시트백이 부분적으로 전방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헤드레스트 케이블(96)은 상기 헤드레스트 래치를 해제하거나 또는 열도록 시트백 위치감지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를 테면,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케이블(96)은, 상기 시트백이 전방으로 약 40도의 각에 이르는 경우, 상기 헤드레스트 래치를 열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 케이블(96)은, 상기 헤드레스트 케이블(96)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축력을 제한할 수 있는 보상기(compensator)(10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상기(100)는, 증가된 축인장력으로부터 상기 헤드레스트 케이블(96)을 해제하기 위하여 소정 축력에서 또는 그 이상에서 변형될 수 있는 상기 헤드레스트 케이블(96)의 두 부분들 사이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 시트조절시스템은 도 7에 나타내어진(상기 잠금장치(98)의 내부 작업을 도시하도록 일측부가 개방되는) 잠금장치(98)와 같은 시트백 위치감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98)는, 인클로져(104)내의 잠금 풀리(102)와, 개구부(108)를 통해 상기 잠금 풀리(102)에서 연재하는 레버암(lever arm)(1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암(106)의 반대 단부는, 시트백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시트백이 기울어지거나 전방으로 접힐 시에 작용력을 받도록 상기 시트백에 연결될 수 있다.
또, 상기 다기능 시트조절장치의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98)는 잠금 풀리(102)에 연결될 수 있는 연동케이블(74)(도 2에 나타내어진)의 반대 단부를 수용(receive)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트백이 완전히 전방으로 접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시트백이 일부분 전방으로 접힐 시에 상기 연동케이블(74)은 잠금장치(98)를 향해(그리고 시트조절모듈(11)에서 이탈하며)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백이 아래로 접힐 시에 상기 풀리기구가 소정 회전각을 지나서 회전하도록, 상기 연동탭(72)은 풀리기구(30)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 상기 잠금장치(98)는, 또한 시트백이 전방으로 접힘에 따라 추가적인(제 3) 시트바닥 래치를 직접 열 수(unlatch) 있는 시트바닥 래치케이블(109)을 수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잠금장치(98)은,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시트백이 전방으로 접힐 시에 헤드레스트 케이블(96) 또한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풀리(102)에 연결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래치케이블(96)을 수용할 수 있다.
도 8은 직립위치에 있으며, 설치된 다기능시트조절장치의 실시형태를 가지는 자동차시트(110)를 도시하고 있다(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의해 부여된 시트 기능성을 도시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자동차시트(110)는 이를 테면, 시트바닥(112), 시트백(114) 및 헤드레스트(1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자동차시트(110)에는, 시트조절모듈(11), 조작력절감 장치(88) 및 잠금장치(98)가 설치될 수 있다.
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핸들(118) 및 해제 스트랩(84)이 시트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조절모듈(11)과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서, 상기 외부 핸들(118)은, 풀리기구숄더(57)가 고정정지면(59)(도 2 참조)에 접촉하는 풀리기구(30)의 초기위치에 상응하는 초기위치에 나타내어진다. 상기 초기위치에서, 시트백 래치 및 시트바닥 래치(도시되지 않음)는 이를 테면, 래칭된 위치(latched position)에 있을 수 있다.
도 9는, 전방 또는 하향으로 완전히 접히는 시트백(114) 및 헤드레스트(116) 를 가진 자동차시트(110)을 도시하고 있다. 외부 핸들(118)은, 상기 정지면(78)이 연동탭(72)에 접촉하는(도 2 참조) 상기 풀리기구(30)의 소정회전각에 상응하는 중간위치에 나타내어진다. 상기 중간핸들위치에서, 시트백 래치는, 이를 테면, 상기 시트백(114)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접히도록 열릴(unlatch) 수 있다.
도 10은, 전방으로 접히는 시트백(114)과 헤드레스트(116) 및 수직위치로 회전하는 시트바닥(112)을 가지며, 수납환경에 맞추어진 시트(11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외부 핸들(118)은, 연동탭(72) 및 상응하는 정지면(78)(도 2 참조)에 의해 결정된 소정회전각보다 크거나 또는 그를 지나는 풀리기구(30)의 회전각에 상응하는 종착지점에 나타내어진다. 상기 종착핸들지점에서, 시트바닥 래치는 이를 테면, 상기 시트바닥(112)이 상기 수납환경에 맞추어지도록 열려 진다.
조작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시트백이 직립위치에 있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핸들(118) 또는 해제 스트랩(84)은, 정지면(78)이 상기 핸들(도 9에 나타내어진)의 중간 위치에 상응하는 연동탭(72)(도 2 참조)에 소정회전각으로 접촉할 때까지, 시트조절모듈(11)의 풀리기구(30)(도 2 참조)를 초기위치로부터 작동방향(도 8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풀리기구(30)가 초기위치로부터 작동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시트백 래치케이블(46)(도 2 참조) 내 인장은, 케이블엔드(40)가 안내면(60)의 최외측에 있는 엘보(70)에 의해 결합될 때까지, 결합된 케이블엔드(40)를 상기 안내면(60)(도 4 참조)을 따라 외부로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풀리기구(30)은, 시트백 래치를 해제하거나 또는 열도록 후퇴(retract)될 수 있는 시트백 래치케이블(46)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시트백(114)이,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기울어지거나 전방으로 접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시트백(114)이 전방으로 접힘에 따라 연동장치(interlock device)(98)는 헤드레스트 래치(도시되지 않음)를 여는 헤드레스트 케이블(96)(도 6 참조)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헤드레스트(116)가,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아래로 접히도록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98)는 하나 이상의 시트바닥 래치(도시되지 않음)를 열도록 제3시트바닥 래치케이블(109)(도 7 참조)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소정 회전각에서 또는 그 전에 추가 시트바닥 래치(도시되지 않음)가 해제되거나 또는 열리지 않도록 풀리기구(30)의 제2 및 제3슬롯(54, 56)(도 3 참조)이 구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자동차시트(110)는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전방으로 완전히 접힌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외에, 시트백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전방으로 접힌다면, 상기 연동장치(98)는 풀리기구(30)로부터 이탈하게 연동탭(72)을 끌어당기는 연동케이블(74)(도 2 참 조)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풀리기구(30)로부터 이탈하게 끌어당겨진 상기 연동탭(72)으로, 핸들(118) 또는 해제 스트랩(84)은, 소정회전각을 지나서 도 10에 나타내어진 종착지점까지, 상기 풀리기구(30)를 작동방향(도 9의 시계침방향)으로 더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풀리기구(30)가 소정회전각을 지나 회전함에 따라 제1및 제2시트바닥 래치케이블(50, 52)이 시트조절모듈(11)에서 작동하도록, 상기 풀리기구(30)의 제2 및 제3슬롯(54, 56)(도 3 참조)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시트바닥 래치케이블(50, 52)은, 자동차 바닥에 대항하는 시트바닥(112)을 지탱하는 두 개 이상의 추가 시트바닥 래치(도시되지 않음)를 해제하거나 열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시트(110)은, 도 1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이를 테면, 수납위치 내에 끼워맞추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 특징 및 이점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상기 모든 특징과 이점들은 추가 청구항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의도로 한다. 또, 다수의 변형 및 변동이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루어질 것이며, 본 발명은 그의 적확한 구성 및 도시되고 기술된 작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모든 가능한 변형 및 동등물이 사용될 수 있다.
단일 핸들로 다중차량시트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9)

  1. 풀리기구;
    상기 풀리기구 주변부의 제1부분에 걸치는 제1케이블슬롯; 및
    제1부분, 제2부분 및 벤드부를 갖는 횡단안내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풀리기구의 축에 더 근접하여 회전작동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2 부분은 풀리기구의 주변부에 더 근접하여 회전작동방향으로부터 이각되며, 상기 제1및 제2부분은 상기 벤드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롯은, 안내면을 분할하는 길이방향 개구부(longitudinal opening)를 형성하는 안내면 내에서 더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제1케이블이 상기 제1슬롯에 도입될 수 있는 제1케이블엔드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제1케이블엔드를 가지는 제1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블엔드는 상기 제1케이블엔드입구를 통해 삽입되서, 상기 제1케이블이 상기 제1슬롯에 놓여지고, 제1케이블엔드가 상기 안내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엔드는, 상기 안내면을 따라 상기 제1케이블엔드가 미끄러지도록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벤드부가 상기 풀리기구의 축으로부터 반경거리에 위치해서, 실질적으로 인장하에 있지 않은 상기 제1케이블을 가지고 상기 풀리기구가 초기위치로부터 작동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케이블엔드가 상기 풀리기구의 축을 향하여 내부로 미끄러지고 상기 제1케이블을 작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엔드와 결합하는 상기 제2부분의 최외측에 엘보(elbow)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벤드부가 상기 풀리기구의 축으로부터 반경거리에 위치해서, 실질적으로 인장하에 있는 상기 제1케이블을 가지고 상기 풀리기구가 초기위치로부터 작동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케이블엔드는 상기 풀리기구의 축으로부터 이탈하여 외부로 미끄러지고, 상기 엘보는 상기 제1케이블 엔드와 결합하고 상기 제1케이블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에 연결되는 시트 래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블이 작동되는 경우 상기 제1케이블이 상기 시트래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1부분은 상기 풀리기구의 반경에 상대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기구의 반경으로 분할된 이분할(two halves)의 상기 풀리기구는 대칭이어서, 상기 풀리기구가 반대작동방향을 가진 역구성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연동탭;
    상기 연동탭이 상기 풀리기구의 회전운동을 소정각으로 제한하는 연장위치(extended position)를 향해 상기 연동탭을 편향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풀리기구가 소정각을 초과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동탭을 선택적으로 후퇴(retract)시키는 연동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기구의 주변부의 제2부분에 걸치는 제2케이블슬롯; 및
    제2케이블에 결합하고 작동하며, 상기 제2케이블이 상기 제2슬롯에 도입될 수 있게 하는 제2케이블엔드 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블에 연결되는 시트래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풀리기구가 소정각을 초과하여 작동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2케이블이 상기 시트래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기구의 주변부의 제3부분에 걸치는 제3케이블슬롯; 및
    상기 제3케이블이 상기 제3케이블슬롯에 도입되도록 하는 제3케이블엔드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케이블엔드입구는 상기 제3케이블에 결합하여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케이블에 연결되는 시트 래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풀리기구가 소정각을 초과하여 작동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3케이블이 상기 시트 래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기구의 주변부의 제4부분에 걸치는 제4케이블슬롯; 및
    상기 해제케이블이 상기 제4케이블슬롯에 도입되도록 하는 제4케이블엔드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케이블엔드입구는 상기 해제 케이블에 의해 결합되어 작동되서 작동방향으로 상기 풀리기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그 축으로부터 상대적 소반경거리(relatively small radial distance)에서, 상기 해제 케이블의 반대 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력절감풀리를 포함하는 조작력절감 장치;
    상기 조작력절감풀리의 축으로부터 상대적 대반경거리(relatively large radial distance)에서, 상기 조작력절감풀리에 연결되는 원격해제 케이블; 및
    원격위치로부터 상기 풀리기구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원격해제 케이블의 반대 단부에 연결되는 해제 스트랩(release strap)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19. 제 1항에 있어서,
    잠금 풀리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
    상기 잠금 풀리에 부착되며, 감지된 시트백 위치에 반응하여 상기 잠금 풀리를 회전작동시키는 레버암(lever arm);
    상기 잠금 풀리에 연결되는 제4케이블; 및
    상기 제4케이블에 연결되는 시트 래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풀리의 회전각이 소정의 시트백 위치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잠금 풀리는 상기 제4케이블에 결합하여 작동시키고, 상기 제4케이블은 상기 시트래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기구에 연결되는 헤드레스트 래치케이블; 및
    상기 헤드레스트 래치케이블에 연결되는 헤드레스트 래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풀리의 회전각이 소정의 시트백 위치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잠금 풀리는 상기 헤드레스트 래치케이블에 결합하여 작동시키고, 상기 헤드레스트 래치케이블은 상기 헤드레스트 래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래치 케이블에 적용되는 축력을 제한하는 보상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기구의 축을 따라 연재하여 상기 풀리기구의 회전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일체형 축; 및
    상기 일체형 축에 연결되어 상기 풀리기구의 수동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기구를 포위하는 케이싱(casing); 및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는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24. 풀리기구를 작동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수단;
    제1케이블에 의해 지탱된 초기 인장량을 기초로 하는 풀리기구를 가지는 제1케이블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수단;
    상기 풀리기구의 회전운동을 시트백 위치를 기초로 하는 소정각으로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수단; 및
    상기 풀리기구가 소정각을 초과하여 작동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케이블을 작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트조절시스템.
  25. 제 24항에 있어서,
    시트백 위치를 감지하는 수단;
    상기 감지된 시트백 위치에 반응하여 잠금 풀리를 회전작동시키는 수단; 및
    상기 잠금 풀리의 회전각이 소정 시트백 위치에 상응하는 경우에, 시트 래치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시스템.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풀리의 회전각이 소정의 시트백 위치에 상응하는 경우에, 헤드레스트 래치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트조절시스템.
  27. 풀리기구를 작동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단계;
    제1케이블에 의해 지탱된 초기 인장량을 기초로 하는 풀리기구를 가지는 제1케이블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풀리기구의 회전운동을 시트백 위치를 기초로 하는 소정각으로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풀리기구가 작동방향으로 소정각을 초과하여 회전하는 경우, 제2케이블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조절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시트백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시트백 위치에 반응하여 잠금 풀리를 회전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잠금 풀리의 회전각이 소정 시트백 위치에 상응하는 경우에, 시트 래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풀리의 회전각이 소정의 시트백 위치에 상응하는 경우에, 헤드레스트 래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조절방법.
KR1020087008400A 2005-09-06 2006-09-05 다기능 시트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800708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1373005P 2005-09-06 2005-09-06
US60/713,730 2005-09-06
US11/267,268 US7802490B2 (en) 2005-09-06 2005-11-07 Multifunction sea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11/267,268 2005-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810A true KR20080070810A (ko) 2008-07-31

Family

ID=3762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400A KR20080070810A (ko) 2005-09-06 2006-09-05 다기능 시트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802490B2 (ko)
EP (1) EP1948469B1 (ko)
JP (1) JP2009515747A (ko)
KR (1) KR20080070810A (ko)
CN (1) CN101300151B (ko)
AT (1) ATE448109T1 (ko)
AU (1) AU2006287557A1 (ko)
BR (1) BRPI0615739A2 (ko)
DE (1) DE602006010429D1 (ko)
ES (1) ES2336488T3 (ko)
RU (1) RU2008113166A (ko)
WO (1) WO200703051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294A1 (ko) * 2018-12-18 2020-06-25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
KR102207896B1 (ko) * 2019-12-16 2021-01-26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45755A1 (en) * 2006-04-06 2007-10-11 Intier Automotive Inc. Stand up seat
JP5119957B2 (ja) * 2008-02-06 2013-01-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操作レバー装置
US8616625B2 (en) 2008-05-23 2013-12-3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eat headrest
WO2010043030A1 (en) * 2008-10-14 2010-04-22 Magna Seating Inc. Head restraint and seat stow flat handle
JP5429539B2 (ja) * 2009-08-21 2014-02-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状態変更装置
US8408648B2 (en) * 2009-08-27 2013-04-02 Lear Corporation Fold and tumble release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US20110049925A1 (en) * 2009-08-27 2011-03-03 Lear Corporation Fold and tumble release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US8191968B2 (en) * 2009-11-13 2012-06-0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lease strap for a recliner mechanism of an automotive vehicle seat assembly
US8182041B2 (en) * 2009-11-30 2012-05-2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eat assembly having rear actuated egress mechanism
US8197001B2 (en) * 2009-12-21 2012-06-12 Bae Industries, Inc. Pivoting headrest for use in a rear row seat and incorporating trigger release with cable slack pickup during seatback rotation to a forward dump position
GB2479860B (en) * 2010-04-09 2012-03-28 Yao-Chuan Wu Chair adjustment device
TWM412127U (en) * 2011-01-31 2011-09-21 Ren-Fa Luo Improved front and rear wheel brake control device
DE102011076422A1 (de) * 2011-05-25 2012-11-29 Lear Corporation Lösemechanismus für Sitzverstellanordnung
US9651138B2 (en) 2011-09-30 2017-05-16 Mtd Products Inc. Speed control assembly for a self-propelled walk-behind lawn mower
EP2785559B1 (en) * 2011-12-02 2016-05-11 Kongsberg Automotive Inc. Lockout mechanism for foldable head rest
EP2804799B1 (en) * 2012-01-20 2017-11-15 Altimate Medical Inc Cable actuators and cable actuated apparatuses and systems
DE102012216901B3 (de) * 2012-06-13 2013-09-26 Johnson Controls Gmbh Scharniermechanismus für einen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zeugsitzes
US20140352483A1 (en) * 2013-06-04 2014-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Remote alignment tool
WO2016071742A1 (en) 2014-11-07 2016-05-12 Kongsberg Automotive Ab Actuating device for actuating a cable
US9835233B2 (en) * 2016-01-18 2017-12-05 Kongsberg Interior Systems Ii, Inc. Gearbox for actuating a component of a vehicle seat
US10065548B2 (en) * 2016-01-19 2018-09-04 Kongsberg Interior Systems II, LLC Seat control system
US10507741B2 (en) 2017-04-03 2019-12-17 Leggett & Platt Canada Co. Dual actuator
JP6812304B2 (ja) * 2017-06-05 2021-01-13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およびシート操作部
US10464453B2 (en) 2017-09-19 2019-11-05 Kiekert Ag Motor vehicle seat,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rear seat
US11097639B2 (en) * 2018-05-24 2021-08-24 Wonderland Switzerland Ag Support base for a child safety seat
FR3083174B1 (fr) * 2018-06-28 2020-09-18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N110871717A (zh) * 2018-09-04 2020-03-10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车辆及其后排座椅控制方法
EP3840984B1 (en) 2018-11-16 2023-09-13 Magna Seating Inc. Handle interlock utilizing seat back rotation
DE102019202375B4 (de) * 2019-02-21 2023-01-19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Betätigungsbaugruppe für wenigstens zwei Verriegelungsvorrichtungen
DE102019213252B4 (de) * 2019-09-03 2022-04-21 Lear Corporation Sitzanordnung und Verfahren zum Entwerfen einer Sitzanordnung
CN113581034B (zh) * 2020-04-30 2023-07-25 诺博汽车系统有限公司 用于车辆座椅的解锁结构和车辆
CN114056195B (zh) * 2021-12-21 2023-11-07 长沙礼恩派拉线工业有限公司 一种多功能汽车座椅补偿和复位机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1079A (en) * 1995-11-17 1997-10-28 Fisher Dynamics Corporation Headrest folding mechanism
AUPO930397A0 (en) * 1997-09-19 1997-10-09 Henderson's Industries Pty Ltd Adjustable headrest
FR2765531B1 (fr) 1998-06-25 2000-02-18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US6916040B1 (en) * 1998-09-23 2005-07-12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air bag minimum distance enforcement apparatus, method and system
CN1128728C (zh) * 1998-11-05 2003-11-26 麦格纳座椅系统公司 易进入中间位置的记忆座椅
US6688443B2 (en) 2001-11-07 2004-02-10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ouble clutch actuator
US6668679B2 (en) * 2001-12-07 2003-12-30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ulley actuator
DE10310424B4 (de) 2003-03-11 2008-01-03 Faurecia Autositze Gmbh Kraftfahrzeugsitz
US7118171B2 (en) * 2004-05-05 2006-10-10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with folding head restraint and method for fold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294A1 (ko) * 2018-12-18 2020-06-25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
KR102207896B1 (ko) * 2019-12-16 2021-01-26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00151B (zh) 2012-06-13
EP1948469A2 (en) 2008-07-30
WO2007030514A2 (en) 2007-03-15
US20070062324A1 (en) 2007-03-22
RU2008113166A (ru) 2009-10-20
EP1948469B1 (en) 2009-11-11
ATE448109T1 (de) 2009-11-15
BRPI0615739A2 (pt) 2011-05-24
AU2006287557A1 (en) 2007-03-15
CN101300151A (zh) 2008-11-05
US7802490B2 (en) 2010-09-28
WO2007030514A3 (en) 2007-07-12
DE602006010429D1 (de) 2009-12-24
ES2336488T3 (es) 2010-04-13
JP2009515747A (ja)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0810A (ko) 다기능 시트조절 장치 및 방법
US9731632B2 (en) Seat assembly having an actuator member
US6390558B2 (en) Seat for a means of transport
US8662545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EP3192696B1 (en) Gearbox for actuating a component of a vehicle seat
CA2735570C (en) Head restraint and seat stow flat handle
US7931338B2 (en) Vehicle seat locking assembly
CN101153534A (zh) 用于滑动门的可选择性收回的扶手
EP1787857A2 (en) Locking device for a fold-down rear seat backrest of a vehicle, structure of a fold-down rear seat backrest and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of a fold-down rear seat backrest
JP3627040B2 (ja) 車両用の燃料フィラドアキャッチ
EP3012390A1 (en) Vehicle door outer handle structure
JP2020133255A (ja) 自動車ドア開閉機構
KR102112109B1 (ko) 차량용 시트의 폴딩 어셈블리
EP3321455A1 (en) Vehicle door-locking device
KR20180115544A (ko)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JP5895796B2 (ja) 車両用シート
KR20110019273A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US11353913B2 (en) Handle interlock utilizing seat back rotation
KR20070063469A (ko) 피봇 가능한 플랩을 갖춘 차량 시트
JP2005188242A (ja) ロック装置
CN113844343A (zh) 座椅调节杠杆和机构
WO2008023525A1 (fr) Dispositif de serrure à cylindre pour véhicule
KR0148861B1 (ko) 자동차 등받이의 전후 각도 조절장치
JPH11227564A (ja) 可倒式バックレストに組み込むベルト格納具
JP5370049B2 (ja) 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