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544A -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544A
KR20180115544A KR1020170048005A KR20170048005A KR20180115544A KR 20180115544 A KR20180115544 A KR 20180115544A KR 1020170048005 A KR1020170048005 A KR 1020170048005A KR 20170048005 A KR20170048005 A KR 20170048005A KR 20180115544 A KR20180115544 A KR 20180115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link
support member
vehic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818B1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7004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818B1/ko
Priority to PCT/KR2018/004058 priority patent/WO2018190573A1/en
Publication of KR2018011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일측이 차량 도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타측에 연결되는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를 포함하여, 핸들의 회전각도를 작게하면서도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를 원활하게 잡아당길 수 있게 되어, 장치의 부피가 작아지는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Vehicle door handle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어의 내부 및 외부에는 도어의 록(lock) 및 언록(unlock), 도어 오픈(open) 및 클로즈(close) 작동을 수행하는 도어 래치(door latch), 도어 오픈 조작을 위한 인사이드 핸들과 아웃사이드 핸들, 키(key) 또는 버튼을 이용한 도어 록 및 언록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록 기구, 그리고 도어 록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세이프티 노브(safety knob)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도어록 기구의 키 실린더(도 2에서 도면부호 4임)에 차량 키를 삽입하고 키를 회전시킬때, 그 회전력이 기계적 및 회로적인 연결 구조에 의해 도어 래치에 전달되어 도어 록 및 언록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는 리모컨(포브(fob) 키)의 버튼 조작으로 도어 록 및 언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PIC(Personal Identification Card)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서는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차량에 접근할 경우 도어 래치에 의한 도어 록이 해제되어 운전자가 도어를 바로 오픈시킬 수 있다.
또는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아웃사이드 핸들의 버튼을 눌러 도어 록을 해제한 뒤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겨서 도어를 오픈시킨다.
또한, 도어 래치에 의한 도어 록이 해제된 상태, 즉 도어 언록 상태에서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할 경우 아웃사이드 핸들과 도어 래치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또는 로드)을 통해 핸들의 조작력이 전달되어 도어 래치의 도어오픈 작동(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의 구속을 해제하는 작동)이 이루어지고, 이에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어 래치의 도어 언록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할 경우 케이블(또는 로드)에 의해 도어 래치로 조작력이 전달되고, 이때의 조작력에 의해 도어 래치의 오픈 작동이 이루어진다.
도어 언록 상태에서 도어 오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아웃사이드 핸들과 도어 래치 간의 기계적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적 사항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아웃사이드 핸들로서 전동식 리트랙터블(retractable) 핸들이 적용된 경우 핸들을 회전 작동시키는 모터가 구비되는데, 핸들 측의 모터는 핸들을 도어 오픈시에만 조작될 수 있도록 도어 패널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돌출되지 않도록 도어패널 내측으로 수납시키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핸들을 도어 패널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위치시킨다.
반면, 리모컨을 언록 조작하거나 스마트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모터를 구동시켜 핸들을 당김 조작 가능하게 도어 패널 외측으로 회전시켜 돌출시킨다.
도 1은 전동식 리트랙터블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핸들(2)이 도어 패널(1)에 외부 돌출되지 않게 인입된 수납 상태를, (b)는 핸들(2)이 당김 조작 가능하게 도어 패널(1)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이 도어 패널(1)의 장착부 내측으로 수납되어 도어 패널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가, 핸들(2)이 미도시된 내부 모터(3)에 의해 회전되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도어 패널(1)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2는 전동식 리트랙터블 핸들과 도어 래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핸들(2)이 모터(3)에 의해 수납된 상태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핸들(2)이 외부 돌출되지 않게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모터(3)가 작동하여 핸들(2)을 당김 조작 가능하게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전동식 리트랙터블 핸들이 적용된 경우에도 도어록 기구의 키 홀(도 1에서 도면부호 4a임)에 차량 키를 삽입하고 키를 회전시킬 때 그 회전력이 도어 래치(5)에 전달되어 도어 록 및 언록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리모컨(미도시)의 버튼을 조작하거나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차량에 접근할 경우 도어 래치(5) 내부의 모터를 포함하는 전동 액추에이터(6)에 의해 도어 록/언록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도어 록과 언록 작동은 도어 래치 또한 자체 액추에이터(6)를 가지고 있으므로 핸들 팝업 작동과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핸들(2)과 도어 래치(5)는 케이블(7)을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배선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7)은 도어 오픈작동을 위해 이용된다.
즉, 핸들(2) 측 모터(3)에 의해 핸들이 팝업 상태가 되었을 때, 도어 언록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당겨주게 되면, 핸들의 조작력이 케이블(7)을 통해 도어 래치(5)로 전달되고, 이로써 케이블(7)에 의해 연결된 도어 래치(5)가 작동하여 도어를 오픈시키게 된다.
이러한 핸들(2)은 도어 패널(1)에 대해 회동가능한 부분에 케이블(7)이 연결되어 핸들(2)의 회전각도가 커야 케이블(7)이 원활하게 잡아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차량 폭방향 길이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 미국특허 제908035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핸들의 회전각도를 작게 하면서도 도어를 열 수 있게 되어, 장치의 부피가 작아지고, 핸들의 조립이 쉽고, 차량 외관이 미려해지고, 차량 보안이 강화되는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는, 일측이 차량 도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타측에 연결되는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의 타측을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는 선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선부재를 가이드하는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량 도어의 패널 안쪽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핸들은 탄성후크와 상기 탄성후크가 결합되는 결합고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차량 도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차량 도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는, 핸들과, 상기 핸들이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핸들은 탄성후크와 상기 탄성후크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일측이 차량 도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타측에 연결되는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를 포함하여, 핸들의 회전각도를 작게하면서도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를 원활하게 잡아당길 수 있게 되어, 장치의 부피가 작아진다.
상기 핸들의 타측을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핸들이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는 선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선부재를 가이드하는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가 원활하게 안내된다.
상기 차량 도어의 패널 안쪽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핸들은 탄성후크와 상기 탄성후크가 결합되는 결합고리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조립이 용이해지며, 구조도 단순해진다.
상기 핸들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차량 도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여, 구조가 더욱 단순해진다.
상기 핸들은 상기 차량 도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핸들을 인입시켜서 외관이 더욱 미려해지며 주행시 마찰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주차시나 위급 상황시 침입자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차량보안이 강화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리트랙터블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전동식 리트랙터블 핸들과 도어 래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의 도어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의 분리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의 정면도(하우징을 생략한 상태).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의 배면도(하우징을 생략한 상태).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하우징을 생략한 상태).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의 핸들이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의 핸들이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의 핸들 부분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의 핸들이 잡아당겨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는, 일측이 차량 도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800)과, 상기 핸들(800)의 타측에 연결되는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의 핸들이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의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는 트렁크 도어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전후방은 차량의 좌우방향(폭방향)을 의미하며, 상하방은 차량의 상하방향을 의미하고, 좌우방향은 차량의 전후방향(길이방향)을 의미한다.
핸들(800)은 직선 모양의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는 핸들(800)을 가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핸들(800)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구동부는 차량 도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패널(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910)와, 상기 모터(910)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한다.
모터(910)의 축이 모터(9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모터(910)는 설치된다.
또한, 모터(910)의 축은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치의 차량 폭방향 길이가 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감속기어부는 모터(910)에 의해 회전되는 제1웜(921)과, 제1웜(921)에 의해 회전되는 더블 기어 두 개와, 상기 더블 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제1웜 휠(927)을 포함한다.
제1웜(921)은 모터(910)의 축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웜(921)의 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더블 기어는 웜(926)과, 웜(926)에 설치되는 웜 휠(925)을 포함한다.
웜(926)의 축과 웜 휠(925)의 축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웜(926)이 회전될 때 웜 휠(925)도 동일한 속도로 회전된다.
웜 휠(925)에서 웜(926)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웜 휠(925)의 기어 이를 연결하는 원판이 형성된다.
웜 휠(925)의 외경은 웜(926)의 외경과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더블 기어는 두 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어부는 제1더블 기어(923)와, 제2더블 기어(924)를 포함한다.
제1더블 기어(923)는 제1웜(921)에 의해 회전되고, 제2더블 기어(924)는 제1더블 기어(923)에 의해 회전된다.
제1더블 기어(923)와 제2더블 기어(924)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더블 기어(923)는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더블 기어(924)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더블 기어(923)의 웜 휠(925)에 제1웜(921)이 치합되고, 제1더블 기어(923)의 웜(926)에 제2더블 기어(924)의 웜 휠(925)이 치합되며, 제2더블 기어(924)의 웜(926)에 제1웜 휠(927)이 치합된다.
제1웜 휠(927)의 축인 메인 축(210)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웜 휠(927)에는 축 관통공 및 상기 축 관통공에 연통되는 돌기 삽입공이 형성되고, 메인 축(210)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축이음 돌기가 두 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웜 휠(927)과 메인 축(210)은 축이음 된다. 또한, 제1웜 휠(927)과 메인 축(210)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이와 다르게 웜 휠(927)과 메인 축(21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웜 휠(927)은 메인 축(210)의 가운데에 배치된다.
상기 감속기어부의 기어 중 적어도 두 개의 기어는 나머지 기어 중 하나의 기어를 중심으로 반대쪽에 배치되어, 부품 간의 간섭이 방지되는 동시에 장치의 부피가 더욱 컴팩트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웜 휠(927)의 전방에 제2더블 기어(924)가 배치되고, 제1웜 휠(927)의 후방에 제1웜(921)이 배치된다.
제1더블 기어(923)는 제1웜 휠(927)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와 핸들(800)은 메인 축(210)과, 링크(300)를 통해 연결된다.
메인 축(21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메인 축(210)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된다.
메인 축(210)의 양측에 링크(300)의 일단이 각각 연결된다.
링크(300)는 수평 단면 형상이 다각형(예를 들어, 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링크(300)의 일단(301)에는 메인 축(210)의 양쪽 끝단이 삽입되는 축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메인 축(210)과 링크(300)는 링크 조인트(220)에 의해 축이음 된다.
링크 조인트(220)에는 메인 축(210)이 관통되는 축 관통공 및 상기 축 관통공에 연통되는 돌기 삽입공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기 삽입공에는 메인 축(2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축이음 돌기가 삽입된다. 따라서, 링크 조인트(220)와 메인 축(210)은 축이음 된다.
링크 조인트(220)에는 상하방향으로 링크(300)의 일단이 삽입되는 링크 삽입공(22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링크 삽입공(221)은 상부 및 우측 또는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링크(300)는 링크 조인트(220) 및 메인 축(2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링크(300)는 직선의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링크(300)의 일단(301)은 링크(300)의 하부를 의미하며, 링크(300)의 타단(302)은 링크(300)의 상부를 의미한다.
링크(300)의 타단(302)에 핸들(80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300)와 핸들(800)은 간접 연결되어 있지만, 이와 다르게,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링크(300)에는 핸들(800)이 연결되는 부분인 타단(302)에 장공(303)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단순한 구조로 핸들(800)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장공(303)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장공(303)에는 핸들(800)에 연결되는 축(730)이 삽입된다.
링크(300)의 타단(302)은 슬라이딩부재(700)를 통해 핸들(800)에 연결된다.
슬라이딩부재(700)는 차량 도어의 패널(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부재(700)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슬라이딩부재(700)는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배치된다.
슬라이딩부재(700)는 판 형상의 걸림부(710)와, 걸림부(710)의 전방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720)를 포함한다.
걸림부(710)는 돌출부(720)보다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부(710)의 중심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제1관통공(702)이 형성된다. 제1관통공(702)은 양측의 돌출부(720) 사이에 배치된다.
양측 돌출부(720)의 전방에는 핸들(80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된다.
슬라이딩부재(700)의 양측에는 축(73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재(700)의 양측에는 좌측에 배치되는 링크(300)의 타단(302)과 우측에 배치되는 링크(300)의 타단(302)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직접 연결된다.
나아가, 장치를 둘러싸는 하우징(1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110)은 장치의 전방 및 양측 및 상하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하우징(110)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10)은 패널(10)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하우징(110)은 전면과, 상기 전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면을 둘러싸는 둘레부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의 전면 상부 양측에는 돌출부(720)가 관통되는 돌출부 관통공(11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에는 하우징(110)의 양측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1가이드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부(112a)에는 축(73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좌측 또는 우측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부(112a)로 인해 슬라이딩부재(700)는 가이드된다.
제1가이드부(112a)는 상기 둘레부의 인접한 다른 부분보다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112a)와 슬라이딩부재(700) 사이에 링크(300)가 배치된다. 따라서, 링크(300)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전면의 후방에는 하우징 돌출부(112c)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돌출부(112c)는 양측의 돌출부 관통공(111) 사이에 배치된다.
하우징 돌출부(112c)는 제1관통공(70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부재(700)를 가이드한다. 또한, 하우징 돌출부(112c)는 속이 비도록 형성되며, 하우징 돌출부(112c)의 내부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 리브에 패널(10)과 볼팅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를 경량화 할 수 있는 동시에 패널(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 돌출부(112c)의 양측에는 제2가이드부(112b)가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12b)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이다. 제2가이드부(112b)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12b)는 돌출부(72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가이드부(112b)로 인해 슬라이딩부재(700)는 가이드된다.
하우징(110)의 후방 양측 하부에는 메인 축(210)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축 지지부(115)가 형성된다. 축 지지부(115)는 후방으로 돌출된 두 개의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에는 메인 축(210)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해진다. 상기 두 개의 판은 링크 조인트(2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축 지지부(115)로 인해 링크 조인트(220)는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하우징(110)의 후방 하부에는 상기 구동부가 안착되는 구동부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에는 상기 감속기어부가 안착되는 기어 안착홈(113)과 모터(910)가 안착되는 모터 안착홈(114)이 형성된다. 모터 안착홈(114)은 기어 안착홈(113)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에는 기어 안착홈(113)을 둘러싸는 벽이 형성되고, 상기 벽에는 각 기어의 축이 안착되는 축 안착홈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구동부의 후방을 덮는 모터 커버(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는 하우징(110)과 모터 커버(120)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 커버(120)는 하우징(110)의 후방 하부에 볼팅체결된다. 따라서, 모터 커버(120)는 하우징(1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모터 커버(120)에도 상기 감속기어부를 둘러싸는 벽이 형성되며, 상기 벽에는 각 기어의 축이 안착되는 축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 커버(120)에는 모터(910)나 이하 서술되는 센서부와 같은 전장부품에 연결되는 전선이 인서트된다. 이로 인해, 장치의 구조가 더욱 단순해지며, 전장부품이 모듈화될 수 있다.
모터 커버(120)의 외측 상부에는 상기 센서부가 설치되는 센서 설치부(121)가 형성된다.
또한, 모터 커버(120)에서 이하 서술되는 센서 감지부(600)와 마주하는 부분인 상부에 접촉돌기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접촉돌기로 인해 센서 감지부(600)의 중간 부분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핸들(800)의 가동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제1센서(21)와 제2센서(22)를 포함한다.
제1센서(21)는 핸들(800)이 인입되었음을 감지한다.
제2센서(22)는 핸들(800)이 인출되었음을 감지한다.
제1센서(21)와 제2센서(22)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센서(22)는 제1센서(21)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센서(21)와 제2센서(22)는 센서 설치부(121)에 설치되어, 전장부품이 모듈화 될 수 있다.
제1센서(21)와 제2센서(22)는 상기 감속기어부보다 우측에 배치된다.
링크(300)의 일단(301)과 타단(302) 사이에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센서 감지부(600)가 설치되어,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구조도 단순해진다.
센서 감지부(600)는 메인 축(210)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센서 감지부(60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바모양의 링크연결부(610)와, 링크연결부(61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감지부와, 링크연결부(610)의 좌측 하부에 형성되어 메인 축(210)에 연결되는 축 연결부(630)를 포함한다.
링크연결부(610)의 양측에는 링크(300)가 삽입되는 링크 삽입홈(60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링크 삽입홈(601)은 우측 또는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링크연결부(610)의 양측에는 링크(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크 돌기(304)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홈(602)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돌기 삽입홈(602)은 링크 삽입홈(601)에 연통된다. 돌기 삽입홈(602)은 우측 또는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링크(300)를 링크 조인트(220) 및 메인 축(210) 및 링크연결부(610)에 조립할 때, 링크(3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넣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은 용이하고 신속하게 될 수 있다.
링크연결부(610)의 좌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와 간섭되지 않도록 전방 및 상하부가 개방된 회피홈(603)이 형성된다.
상기 감지부는 제1센서(21)를 누르는 제1감지부(621)와 제2센서(22)를 누르는 제2감지부(622)를 포함한다.
제1감지부(621)와 제2감지부(622)는 링크연결부(610)의 우측에 형성된다.
제2감지부(622)는 제1감지부(621)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1감지부(621)와 제2감지부(622)는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감지부(621)와 제2감지부(622)는 상기 센서부와 마주하는 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를 원활하게 누를 수 있다.
축 연결부(630)는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축 연결부(630)에는 메인 축(210)이 관통하는 축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축 연결부(630)는 메인 축(210)과 축이음 될 수도 있다.
핸들(800)은 지지부재를 통해 슬라이딩부재(700)에 연결된다.
핸들(800)의 일측(우측)이 차량 도어의 패널(1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패널(10)에 대해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부재는 패널(10)의 안쪽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재와 핸들(800)은 탄성후크(811)와 상기 탄성후크(811)가 결합되는 결합고리(401)를 통해 결합되어, 핸들(800)의 조립이 용이해지며, 구조도 단순해진다. 결합고리(401)는 탄성후크(811)가 결합되는 결합부로써, 전술한 바와 다르게, 고리 형태가 아닌 구멍이나 홈형태가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후크(811)는 핸들(800)에 형성되고, 결합고리(401)는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탄성후크(811)는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고, 결합고리(401)는 핸들(8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후크(811)는 핸들(800)의 일측과 타측의 배면에 각각 형성된다. 탄성후크(811)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탄성후크(811)의 우측에는 후크돌기가 배치되고, 좌측은 핸들(800)에 고정된다. 탄성후크(811)는 탄성변형 가능하다. 탄성후크(811)는 돌출부(720)의 전방에 형성된 후크 안착홈(706)의 내부에 배치된다. 후크 안착홈(706)은 전방 및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핸들(800)의 일측과 타측 배면에는 결합부 둘레부(810)가 형성된다. 결합부 둘레부(810)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결합부 둘레부(810)는 탄성후크(811)의 상하부 및 우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결합부 둘레부(810)에는 결합고리(401)가 유입되는 유입구(812)가 형성된다. 유입구(812)는 결합부 둘레부(810)의 우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 둘레부(810)는 돌출부(720)의 전방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둘레부 안착홈(703)에 안착된다. 둘레부 안착홈(703)은 상부 또는 하부 및 전방 및 좌우방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핸들(8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410)와 핸들(800)의 타측(좌측)에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420)를 포함한다.
제1,2지지부재(410, 420)는 지지본체(402)와, 지지본체(402)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고리(401)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410)의 지지본체(402)의 후방에는 고정 핀(411)이 설치된다. 고정 핀(411)의 양측은 돌출부(720)에 설치되어, 제1지지부재(410)는 슬라이딩부재(7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제2지지부재(420)에는 제2지지부재(420)를 슬라이딩부재(700)에 고정시키는 부재가 없으므로, 슬라이딩부재(700) 및 패널(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슬라이딩부재(700)의 돌출부(720)의 후방에 형성된 지지부재 안착홈(701)에 안착된다. 지지부재 안착홈(701)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재 안착홈(701) 내부에 배치되도록 슬라이딩부재(700)의 내벽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돌기로 인해 슬라이딩부재(700)에 대해 상기 지지부재가 슬라이딩될 때 마찰이 감소된다.
한편, 슬라이딩부재(700)에는 롤러(50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롤러(500)는 제2지지부재(420)의 후방에 배치된다. 롤러(500)는 지지부재 안착홈(701)을 가로지르도록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지지부재(420)가 슬라이딩부재(700)로부터 후방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결합고리(401)에는 탄성후크(811)가 끼워지는 구멍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결합고리(401)는 슬라이딩부재(700)의 돌출부(720)의 전면에 형성된 고리 인출공(705)를 통해 돌출부(720) 외측으로 인출된다. 고리 인출공(705)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지부재 안착홈(701) 및 후크 안착홈(706)에 연통된다.
핸들(800)의 타측에는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가 연결된다. 이로 인해, 핸들(800)의 회전각도를 작게하면서도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를 원활하게 잡아당길 수 있게 되어, 장치의 부피가 작아진다.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는 도어 닫음장치와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도어 닫음장치는 종래의 도어 래치와 같이 도어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거나 도어가 잠긴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핸들(800)을 통해 도어가 열리도록 하거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는 제2지지부재(420)를 통해 핸들(800)의 타측에 연결된다.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는 와이어와 같은 선부재로 구비된다.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의 외주면은 보호 튜브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 보호 튜브는 걸림부(710)의 배면에 형성된 튜브 끼움홈(704)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튜브 끼움홈(704)은 지지부재 안착홈(701)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튜브 끼움홈(704)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의 끝단에는 구 형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2지지부재(420)의 지지본체(402)의 좌측에는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공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끼움공은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와 제2지지부재(42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끼움공의 상하폭은 상기 걸림돌기의 상하폭보다 작게 되어 제2지지부재(42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는 롤러(500)에 의해 가이드되어,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가 원활하게 안내된다.
나아가, 핸들(800)의 타측을 복귀시키는 스프링(40)을 더 포함하여, 핸들(800)이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다.
스프링(40)은 상기 지지부재와 슬라이딩부재(700)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40)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스프링(40)은 지지부재 안착홈(701)에 안착되며, 전단은 슬라이딩부재(700)에 의해 지지되고, 후단은 지지본체(402)에 의해 지지된다.
스프링(40)은 핸들(800)의 일측에도 구비되어, 핸들(800)과 제1지지부재(410)가 밀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핸들(800)과 제1지지부재(4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핸들 인출 과정>
이하에서는 핸들(800)이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키나 리모컨을 통해 핸들(800)의 인출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킨다.
모터(910)가 작동되면 제1웜(921)이 회전하게 되고, 제1웜(921)이 회전함에 따라 제1더블 기어(923)가 회전하게 되며, 제1더블 기어(923)가 회전함에 따라 제2더블 기어(924)가 회전하게 되고, 제2더블 기어(924)가 회전함에 따라 제1웜 휠(927)이 회전하게 된다.
제1웜 휠(927)이 회전하면 메인 축(210)도 회전하게 된다.
메인 축(210)이 회전하게 되면, 양측의 링크 조인트(220)가 회전하게 된다.
링크 조인트(220)가 회전하게 되면 링크(300)도 메인 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300)의 타단(302)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링크(300)의 타단(302)에 연결된 슬라이딩부재(700) 및 상기 지지부재 및 핸들(800)도 하우징(110) 및 패널(10)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된다.
슬라이딩부재(700)의 돌출부(720)는 돌출부 관통공(111)을 통해 패널(1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상기 지지부재 및 핸들(800)도 패널(1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슬라이딩부재(700)의 돌출부(720)가 인출될 때 걸림부(710)는 패널(10) 및 하우징(110)에 걸린다.
핸들(800)이 인출되면 핸들(800)과 패널(10) 사이에 사용자의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사용자가 핸들(800)을 잡을 수 있게 된다. 즉, 핸들(800)이 인출되면 핸들(800)은 패널(1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한편, 링크(300)가 회전되면, 링크(300)에 설치된 센서 감지부(600)도 링크(300)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핸들(800)이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되게 되면, 센서 감지부(600)의 제2감지부(622)가 제2센서(22)를 누르게 된다. 제2감지부(622)가 제2센서(22)에서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멈춘다.
<핸들 인입 과정>
이하에서는 핸들(800)이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키나 리모컨이나 차량의 속도 값 등을 통해 핸들(800)의 인입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킨다.
모터(910)가 인출시와 반대로 회전되면, 링크(300)도 반대로 회전된다.
링크(300)가 반대로 회전하면, 링크(300)의 타단(302)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링크(300)의 타단(302)에 연결된 슬라이딩부재(700) 및 상기 지지부재 및 핸들(800)도 하우징(110) 및 패널(10)에 대해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된다.
슬라이딩부재(700)의 돌출부(720)는 돌출부 관통공(111)을 통해 패널(1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핸들(800)은 패널(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한편, 링크(300)가 반대로 회전되면, 링크(300)에 설치된 센서 감지부(600)도 링크(300)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핸들(800)이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되게 되면, 센서 감지부(600)의 제1감지부(621)가 제1센서(21)를 누르게 된다. 제1감지부(621)가 제1센서(21)에서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멈춘다.
<핸들을 통한 도어 오픈 과정>
이하에서는 핸들(800)을 통한 도어 오픈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핸들(800)이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800)을 사용자 쪽으로 잡아당기면, 핸들(800)은 핸들(800)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핸들(800)의 일측은 슬라이딩부재(700)에 고정된 제1지지부재(410)의 결합고리(401)를 통해 연결되었기 때문에 슬라이딩부재(700)에 회전만 가능할 뿐 전후방향으로는 고정된다.
핸들(800)의 타측은 슬라이딩부재(7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제2지지부재(420)를 통해 연결되었기 때문에, 핸들(800)의 타측은 제2지지부재(420) 및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와 함께 슬라이딩부재(700) 및 패널(1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는 잡아당겨진다. 이와 같이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30)가 잡아당겨지면 도어 닫음장치의 도어 닫음이 해제(래치의 로킹이 해제)되어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핸들(800)을 놓게 되면 수축되었던 스프링(40)에 의해 핸들(800)의 타측은 원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핸들 조립 과정>
이하에서는 핸들(800)과 슬라이딩부재(700)와 상기 지지부재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고리(401)에 스프링(40)을 끼워넣은 후에 슬라이딩부재(700)의 지지부재 안착홈(701)에 삽입한다. 결합고리(401)는 고리 인출공(705)을 통해 인출된다.
제1지지부재(410)에는 고정 핀(411)을 삽입하여 슬라이딩부재(700)에 제1지지부재(410)를 고정시킨다.
제2지지부재(420)의 후방에는 롤러(500)를 설치하여 제2지지부재(420)가 조립시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가 조립된 슬라이딩부재(700)의 돌출부(720)를 하우징(110)의 돌출부 관통공(111)에 삽입한다.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720)에 대해 핸들(800)을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결합부 둘레부(810)는 둘레부 안착홈(703)에 안착되고, 탄성후크(811)는 결합고리(401)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단순한 동작만으로도 조립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패널 21: 제1센서
22: 제2센서 30: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
40: 스프링
110: 하우징 111: 돌출부 관통공
112a: 제1가이드부 112b: 제2가이드부
112c: 하우징 돌출부 113: 기어 안착홈
114: 모터 안착홈 115: 축 지지부
210: 메인 축 220: 링크 조인트
221: 링크 삽입공 300: 링크
301: 일단 302: 타단
303: 장공 304: 링크 돌기
401: 결합고리 402: 지지본체
410: 제1지지부재 411: 고정 핀
420: 제2지지부재 500: 롤러
600: 센서 감지부 601: 링크 삽입홈
602: 돌기 삽입홈 603: 회피홈
610: 링크연결부 621: 제1감지부
622: 제2감지부 630: 축 연결부
700: 슬라이딩부재 701: 지지부재 안착홈
702: 제1관통공 703: 둘레부 안착홈
704: 튜브 끼움홈 705: 고리 인출공
706: 후크 안착홈 710: 걸림부
720: 돌출부 730: 축
800: 핸들 810: 결합부 둘레부
811: 탄성후크 812: 유입구
910: 모터 921: 제1웜
923: 제1더블 기어 924: 제2더블 기어
925: 웜 휠 926: 웜
927: 제1웜 휠

Claims (7)

  1. 일측이 차량 도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타측에 연결되는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타측을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 닫음장치 연결부는 선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선부재를 가이드하는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의 패널 안쪽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핸들은 탄성후크와 상기 탄성후크가 결합되는 결합고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차량 도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차량 도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7. 핸들;
    상기 핸들이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핸들은 탄성후크와 상기 탄성후크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KR1020170048005A 2017-04-13 2017-04-13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KR101936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005A KR101936818B1 (ko) 2017-04-13 2017-04-13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PCT/KR2018/004058 WO2018190573A1 (en) 2017-04-13 2018-04-06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005A KR101936818B1 (ko) 2017-04-13 2017-04-13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544A true KR20180115544A (ko) 2018-10-23
KR101936818B1 KR101936818B1 (ko) 2019-01-11

Family

ID=6379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005A KR101936818B1 (ko) 2017-04-13 2017-04-13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6818B1 (ko)
WO (1) WO20181905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709A1 (ko) * 2019-07-30 2021-02-04 강재성 자동차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핸들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9939A (zh) * 2019-08-26 2019-11-05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一种把手结构
CN112360256B (zh) * 2020-11-10 2022-04-05 杭州锐一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用全自动把手及用于该把手的驱动机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0352B2 (en) * 2011-09-26 2015-07-14 Tesla Motors, Inc. Controller apparatus and sensors for a vehicle door handle
US8690204B2 (en) * 2011-11-23 2014-04-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ush door handle assembly with normal deployment
US8701353B2 (en) * 2012-06-29 2014-04-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ployable door handle for vehicles
KR101637820B1 (ko) *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KR101795131B1 (ko) * 2015-04-24 2017-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게이트 인너핸들조립체 및 테일게이트 인너핸드조립체의 그립부재 인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709A1 (ko) * 2019-07-30 2021-02-04 강재성 자동차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핸들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818B1 (ko) 2019-01-11
WO2018190573A1 (en)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214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60841B1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US10995526B2 (en) Door latch system
US11692376B2 (en) Vehicle door latch with safety device
KR101936818B1 (ko)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JP5884766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WO2006030610A1 (ja) リッド開閉装置
AU2005325387A1 (en) Opening/closing lock device for glove box
KR102059335B1 (ko)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2059334B1 (ko)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CN110094120B (zh) 动力儿童锁操作装置
JP6350451B2 (ja)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KR20170077440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897186B1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CN107109872A (zh) 锁定装置
KR101633469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JP6264342B2 (ja)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JP2020133255A (ja) 自動車ドア開閉機構
CN215907653U (zh) 车门操作装置
CN114096731B (zh) 车门电子锁闩
KR101781531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TWI777047B (zh) 車輛用門鎖裝置
KR101633470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20180105047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JP625238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