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273A -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273A
KR20110019273A KR1020090076924A KR20090076924A KR20110019273A KR 20110019273 A KR20110019273 A KR 20110019273A KR 1020090076924 A KR1020090076924 A KR 1020090076924A KR 20090076924 A KR20090076924 A KR 20090076924A KR 20110019273 A KR20110019273 A KR 20110019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oor
integrated lever
integrate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9605B1 (ko
Inventor
이재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6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2Means for damping the movement of lock parts, e.g. slowing down the return movement of a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인사이드핸들 구조에 있어서 락 릴리즈 레버와 세이프티 락 노브의 기능이 통합된(푸쉬록 기능이 추가된) 통합레버를 당긴 후 놓게 되는 경우 통합레버의 회전속도를 저감하여 통합레버의 스냅백에 의해 도어 락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어 인너 패널 상에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당김, 중립, 누름 조작에 의해 도어가 오픈, 언락, 락 작동되게 하는 통합레버; 상기 통합레버와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통합레버에 부착된 회전걸림부; 상기 통합레버가 당겨진 후 복귀시 상기 회전걸림부와 부딪힘으로 통합레버의 회전속도를 저감하여 통합레버의 스냅백에 의해 도어 락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감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도어, 락/언락, 세이프티 락, 래치 어셈블리, 케이블, 통합레버, 스냅백, 회전걸림부, 회전감속부

Description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Prevention of snap back for inside hand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사이드 핸들을 당긴 후 놓았을 경우 관성력에 의해 원하지 않는 도어 락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의 내측에는 래치와 연결되어 도어를 개방하거나 잠금 조절을 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도어 인사이드 핸들(10)은 도어 개방시 잡아당기기 위한 락 릴리즈 레버(20)와, 상기 락 릴리즈 레버(20)와 동일축상에 구비되며 세이프티 락 잠금을 조절하는 세이프티 락 노브(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락 릴리즈 레버(20)는 락 릴리즈 케이블(30)을 매개로 래치(70)에 연결되고, 세이프티 락 노브(40)는 세이프티 락 케이블(50)을 매개로 래치(70)에 연결 되어 있다.
이때, 세이프티 락 노브(40)가 차내로 돌출되어 있으면 락 릴리즈 레버(20)를 잡아당김에 따라 도어가 열리고, 이와 반대로 세이프티 락 노브(40)가 눌러져 차내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면 락 릴리즈 레버(20)를 잡아 당겨도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차량 내부에 도어 락(LOCK)을 위한 세이프티 락 노브와 락 릴리즈 레버, 케이블 2개, 래치어셈블리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있으나, 상기 세이프티 락 노브와 락 릴리즈 레버는 각각 별개의 케이블을 통해 래치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작동되므로, 부품수 및 조립단계가 증가하여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의 락 릴리즈 레버에 푸쉬록 기능을 추가하여, 기존의 세이프티 락 노브 기능을 하나의 레버에 통합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도어 인너 패널 상에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당김, 중립, 누름 조작에 의해 도어가 오픈, 언락, 락 작동되게 하는 통합레버;
상기 통합레버와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통합레버에 부착된 회전걸림부;
상기 통합레버가 당겨진 후 복귀시 상기 회전걸림부와 부딪힘으로 통합레버의 회전속도를 저감하여 통합레버의 스냅백에 의해 도어 락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감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의 장점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종래기술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의 경우 락 릴리즈 레버와 세이프티 락 노 브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승객의 편의를 도모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의 경우 락 릴리즈 레버에 누름기능을 추가하여 세이프티 락 노브의 기능을 통합시킴으로써, 세이프티 락 기능관련 부품을 삭제하여 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2. 케이블의 끝단을 세이프 락용 링크에 볼조인트로 결합하고, 도어 오픈 시에는 케이블 끝단에 연결된 걸림부에 의해 래치해제링크를 회전시킴으로써, 하나의 통합레버를 이용하여 락 릴리즈 기능 및 세이프티 락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3. 통합레버에 회전속도저감장치를 장착함으로써, 통합레버를 당긴 후 놓을 경우 조작 의도와 달리 도어가 락킹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인사이드 핸들에 구성된 세이프티 락 노브를 제거하는 대신 세이프티 락 노브의 기능을 락 릴리즈 레버에 추가한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도어 오픈을 위한 락 릴리즈 레버는 당김(pull) 기능만 필요한 장치로 반대의 누름(push) 구간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락 릴리즈 레버의 누름구간에 락(잠금) 기능을 적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통합레버(100), 케이블(110), 도어 래치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합레버(100)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조작하여 도어가 오픈(open), 언락(unlock), 락(lock) 작동되게 한다.
상기 통합레버(100)는 당김, 중립, 누름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이는 기존의 락 릴리즈 레버에 누름동작이 가능하여 락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이때, 통합레버(100)를 중립조작한다라고 하면 통합레버(100)의 당김조작을 해제한 상태, 즉 통합레버(100)가 실내측으로 당겨지거나 실외측으로 푸쉬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통합레버(100)가 도어 래치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있고, 통합레버(100)를 당기면 도어가 오픈되고, 상기 통합레버(100)를 놓으면 도어가 언락 상태가 되고, 통합레버(100)를 밀면 도어가 잠기게 된다.
상기 케이블(110)은 통합레버(100)와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연결하고, 통합레버(100)의 조작을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 래치 어셈블리는 도어의 인너 패널 상에 장착되고, 하우징(121), 케이블(110) 엔드, 제1 내지 제4링크(122,126,127,125)(125)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1)은 케이블(110) 엔드, 제1 내지 제4링크(122,126,127,125)(125)를 모두 수용하고, 외부 힘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 다.
상기 하우징(121)의 일측단에는 케이블(11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110)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연결된 케이블(110) 엔드가 하우징(121)의 일측단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110) 엔드의 끝단에는 볼형상의 볼엔드(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엔드(111)에는 케이블(110)과 같은 축선상으로 소직경의 연결케이블(123)이 연장되고, 이 연결케이블(123)의 끝에 걸림부(124)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124)는 후술할 제4링크(125)와 연결된다.
상기 제1링크(122)는 케이블엔드의 볼엔드(111)와 체결가능하도록 형성된 볼체결홈부(122a)를 포함하고, 상기 볼체결홈부(122a)와 볼엔드(111)가 체결됨에 따라 케이블(110)과 락/언락 구간에서 결속을 유지하고, 케이블(110)과 릴리즈(오픈) 구간에서는 볼엔드(111)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1링크(122)의 일단부가 하우징(121)의 일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링크(122)의 타단부는 제2링크(126)의 일단부와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고, 제2링크(126)의 타단부는 제3링크(127)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3링크(127)는 하우징(12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링크(126)의 타단부에는 제3링크(127)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부(126a)와, 제3링크(127)의 하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3링크(127)의 일측단에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드홈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4링크(125)는 하우징(12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4링크(125)의 일측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124)가 걸림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엔드의 당김 또는 누름조작에 따라 제4링크(125)가 회전하여 오픈 또는 락/언락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121)의 상단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케이블(110) 끝단에 형성된 볼엔드(111)가 가이드돌기를 따라 승하강할 때 볼엔드(111)가 제1링크(122)의 볼체결홈부(122a)에 결합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걸림부(124)는 걸림홈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 락 상태에서는 걸림부(124)가 걸림홈의 하단부로 이동하고, 도어 언락 상태에는 걸림부(124)가 걸림홈의 상단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 작동시 각 구성품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언락 작동시 각 구성품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오픈 시 각 구성품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상태별 세이프 락용 링크의 작동상태도이다.
1. 도어 세이프티 락
통합레버(100)를 실외측으로 눌러 케이블(110)을 통해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락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통합레버(100)를 누르면 케이블엔드가 하강하고, 케이블엔드의 볼엔드(111)가 제1링크(122)의 볼체결홈부(122a)를 밀어 회전시킴에 따라 볼체결홈부(122a)의 안쪽으로 들어가 세이프티 락 상태로 된다.
이때, 제2링크(126)가 제1링크(122)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하여 제3링크(127)를 우측으로 당기며 제2링크(126)의 슬라이딩부(126b)가 제3링크(127)의 슬라이딩홈의 안쪽으로 들어가고, 상기 케이블엔드와 연결된 걸림부(124)가 걸림홈의 하단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4링크(125)는 하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고, 사용자는 상기 볼엔드(111)와 볼체결홈부(122a)의 결합에 의해 작동감을 느끼게 되며, 상기 볼체결홈부(122a)에서 볼엔드(111)를 분리시킬 수 있을 정도의 힘으로 통합레버(100)를 당기면 도어의 세이프티 락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합레버(100)는 세이프티 락 노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도어 언락
통합레버(100)를 중립상태로 놓음으로써 케이블(110)을 통해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언락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통합레버(100)를 중립상태로 놓으면 케이블엔드가 당겨져 케이블엔드의 볼엔드(111)가 제1링크(122)를 끌어올려 회전시키면서 볼체결홈부(122a)로부터 빠져나와 락킹 해제되고, 제1링크(122)가 회전하여 원상복귀됨에 따라 제2링크(126) 가 제1링크(122)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하여 제3링크(127)를 좌측으로 밀어내고, 제2링크(126)의 슬라이딩부(126b)가 제3링크(127)의 슬라이딩홈의 바깥쪽을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엔드와 연결된 걸림부(124)가 걸림홈의 상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3. 도어 오픈
상기 통합레버(100)를 실내측으로 당김으로써 케이블(110)을 통해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오픈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통합레버(100)를 당기면 케이블엔드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케이블엔드의 볼엔드(111)가 제1링크(122)의 볼체결홈부(122a)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상승하게 되고, 상기 케이블엔드와 연결된 걸림부(124)가 제4링크(125)를 위로 당겨 회전시킴에 따라 도어가 오픈 상태로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127)는 도어의 락/언락 작동에 관여하고, 제1링크(122) 및 제4링크(125)는 도어의 오픈 작동에 관여한다.
그러나, 기존의 락 릴리즈 레버에 푸쉬(누름) 구간을 둠으로써, 락 릴리즈 레버와 세이프티 락 노브의 기능을 통합한 통합레버(100)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통합레버(100)의 당김 조작 후 통합레버(100)를 놓으면 레버스프링의 회전관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관성력이 기대 이상으로 커서 사용자가 의도했던 바와 달리 통합레버(100)가 중립상태를 지나 도어 외측 패널 쪽으로 누름조작됨에 따라 도어 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본 발명에서는 "통합레버(100)의 스냅백에 의한 도어 락" 현상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통합레버(100))의 스냅백 방지 장치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인사이드 핸들의 배면사시도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레버(100)의 스냅백에 의한 도어 락 방지장치는 회전걸림부, 회전감속부 및 인사이드 핸들 고정용 브라켓(134)을 포함한다.
상기 인사이드핸들 고정용 브라켓(134)은 도어 인너패널 상에 설치되고, 통합레버(100)의 일단부가 인사이드핸들 고정용 브라켓(134)의 상단(차체의 폭방향 기준으로 내측단)에 힌지결합되어 통합레버(100)의 타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통합레버(100)의 일측단에는 회전돌출부(130)가 도어 외측 패널 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형성되고, 이 회전돌출부(130)에 회전걸림부가 일체로 설치되어, 통합레버(10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걸림부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걸림부는 회전돌출부(130)에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회전돌기(131)와, 상기 회전돌기(131)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판(132)으로 구성된다.
이때, 반경방향으로 통합레버(100)의 회전반경방향과 동일 또는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
상기 회전돌기(131)는 원통형, 사각형 등 형태에 상관없이 걸림판(13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판(132)은 회전돌기(131)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여러개가 형성되고, 걸림판(132)의 일측단부가 경사지게 형성 되어, 회전감속부의 일단부와 충돌함으로써 통합레버(100)의 회전속도가 저감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판(132)의 일측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한 목적은 회전감속부의 일단부와 접촉 및 충돌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통합레버(100)의 회전속도를 줄이면서 회전감속부와 충돌로 인한 저항을 저감하여 통합레버(100)가 부드럽게 복귀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걸림판(132)을 복수개로 형성한 목적은 걸림판(132)과 회전감속부가 충돌되는 횟수를 거듭할 수록 통합레버(100)의 회전속도를 점진적으로 줄여 중립상태에서 정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감속부는 감속레버(136)와, 스프링(135)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속레버(136)는 걸림판(132)과 실질적으로 충돌하여 통합레버(100)의 회전속도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속레버(136)는 통합레버(100)의 힌지축(133)과 평행하게 인사이드 핸들 고정용 브라켓(134)에 중심축(13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통합레버(100)가 중립상태로 복귀시 회전걸림부의 회전돌기(131)가 감속레버(136)의 수용홈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속레버(136)는 스프링(135)에 의해 걸림판(132)과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35)은 감속레버(136)의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된 중심축(137)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이 코일스프링의 일단부는 감속레버(136)의 곡선부 중간에 체결되고, 코일스프링의 타단부는 인사이드핸들 고정용 브라켓(134)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에 의한 도어 락 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 7에서 인사이드 핸들의 작동상태도이다.
1. 도어 오픈 시
탑승자가 도어 인너패널에 위치한 통합레버(100)(인사이드 핸들)를 당겨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조작함에 따라 도어 래치를 해제하고 도어를 오픈시킨다.
상기 통합레버(100)를 잡아 당기면 통합레버(100)가 힌지축(133)을 중심으로 차실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케이블이 당겨져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통해 도어 래치가 해제됨에 따라 도어가 오픈된다.
2. 도어 언락 시
탑승자가 잡아당겼던 통합레버(100)를 놓아 도어를 언락 상태로 만든다.
상기 통합레버(100)를 놓으면 레버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통합레버(100)가 원래위치로 회전하고, 통합레버(100)의 회전돌출부(130)에 형성된 걸림판(132)이 감속레버(136)와 충돌하면서 ㅌ오합레버의 회전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즉, 감속레버(136)는 경사지게 형성된 첫번째 걸림판(132)의 일측단부와 충 돌하면서 통합레버(100)가 일시 정지되었다가 감속레버(136)가 뒤로 밀려올려지면서, 감속레버(136)를 지지하고 있던 스프링(135)이 후방향으로 회전압축되어 걸림판(132)과 충돌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고, 감속레버(136)가 스프링(135)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그 다음 걸림판(132)과 순차적으로 충돌함으로써 통합레버(100)의 회전속도를 점진적으로 저감하여 통합레버(100)가 중립상태에서 멈추게 한다.
이때, 상기 통합레버(100)가 중립상태에서 멈출때 회전걸림부의 회전돌기(131)가 감속레버(136)의 수용홈 입구에 삽입된다.
3. 도어 락 시
뒤좌석에 아이가 혼자 앉아 있을 때 아이가 통합레버(100)를 맘대로 잡아당기지 주행 중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통합레버(100)를 도어 패널 외측방향으로 눌러 도어를 세이프티 락 상태로 되게 한다.
상기 통합레버(100)를 누르면 감속레버(136)의 수용홈 입구에 있던 회전걸림부의 회전돌기(131)가 수용홈의 안쪽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수용홈 내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을 통해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작동시켜 도어 락 상태로 만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통합레버(100))의 스냅백 방지장치를 이용하여 동역학 시뮬레이션에 의한 해석조건과 해석결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 1은 상기 동역할 시뮬레이션의 해석조건을 나타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레버(100)의 속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레버(100)의 토크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ure 112009050791814-PAT00001
표 1에서 각도는 통합레버(100)의 힌지축(133)을 지나는 차체 길이방향 선상을 기준선으로 통합레버(100)의 열림각도이고, 모멘트 Mh는 통합레버(100)의 힌지축(133)에서 발생되는 모멘트, Fc는 케이블의 인장력이고, Fs는 제4링크의 스프링 인장력을 말한다.
상기 해석결과에 따르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의 0.013 지점에서 통합레버(100)의 속도 및 토크가 급감하였고, X축의 0.0175 지점에서 통합레버(100)가 멈추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사이드핸들 스냅백 방지장치에 의해 통합레버(100)를 당겼다가 놓으면 통합레버(100)가 중립 상태로 정확하게 복귀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 작동시 각 구성품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언락 작동시 각 구성품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오픈 시 각 구성품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상태별 세이프 락용 링크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통합레버)의 스냅백 방지 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인사이드 핸들의 배면사시도
도 9는 도 7에서 인사이드 핸들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레버의 속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레버의 토크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통합레버 110 : 케이블
111 : 볼엔드 121 : 하우징
122 : 제1링크 122a : 볼체결홈부
123 : 연결케이블 124 : 걸림부
125 : 제4링크 126 : 제2링크
126a : 힌지부 126b : 슬라이딩부
127 : 제3링크 130 : 회전돌출부
131 : 회전돌기 132 : 걸림판
133 : 힌지축 134 : 인사이드핸들 고정용 브라켓
135 : 스프링 136 : 감속레버
137 : 중심축

Claims (4)

  1. 도어 인너 패널 상에 힌지축(13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당김, 중립, 누름 조작에 의해 도어가 오픈, 언락, 락 작동되게 하는 통합레버(100);
    상기 통합레버(100)와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통합레버(100)에 부착된 회전걸림부;
    상기 통합레버(100)가 당겨진 후 복귀시 상기 회전걸림부와 부딪힘으로 통합레버(100)의 회전속도를 저감하여 통합레버(100)의 스냅백에 의한 도어 락을 방지하는 회전감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걸림부는 통합레버(100)의 회전반경 상에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회전돌기(131)와, 상기 회전돌기(131)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회전감속부에 부딪히는 복수의 걸림판(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132)은 일측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감속부와 부딛힘에 따라 속도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감속부는 중심축(13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감속레버(136)와, 상기 감속레버(136)의 충격을 감쇠하도록 상기 중심축(137)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KR1020090076924A 2009-08-19 2009-08-19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KR101209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924A KR101209605B1 (ko) 2009-08-19 2009-08-19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924A KR101209605B1 (ko) 2009-08-19 2009-08-19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273A true KR20110019273A (ko) 2011-02-25
KR101209605B1 KR101209605B1 (ko) 2012-12-07

Family

ID=4377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924A KR101209605B1 (ko) 2009-08-19 2009-08-19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6020B2 (en) 2013-09-24 2016-04-19 Hyundai Motor Company Door inside handle device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5171B2 (en) 2018-12-04 2024-01-30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US11318892B2 (en) 2019-04-19 2022-05-03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WO2021194726A1 (en) 2020-03-23 2021-09-30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6020B2 (en) 2013-09-24 2016-04-19 Hyundai Motor Company Door inside handle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605B1 (ko) 201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658B1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N107206918B (zh) 锁定装置、特别是用于将车辆座椅的靠背锁定到车辆结构的锁定装置
EP2820214B1 (en) Double pull latch for closure panel such as hood
US7210716B2 (en) Movement prevention device
JP4658582B2 (ja) フードラッチアセンブリのセーフティレバー作動構造
JP2009515747A (ja) 多機能シ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ならびにその方法
GB2439452A (en) Seat fold actuator
US20150345185A1 (en) Deployable hood release handle
KR101481352B1 (ko)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US9279275B2 (en) Outside handle for vehicle
EP1787857A2 (en) Locking device for a fold-down rear seat backrest of a vehicle, structure of a fold-down rear seat backrest and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of a fold-down rear seat backrest
JP2014505617A (ja) 座席の折り畳み式背もたれ用ロック装置
KR20160054990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핸들 장치
KR101209605B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CN111845481A (zh) 儿童安全座椅
KR101154318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00316952B1 (ko) 차량의 환기 및 비상탈출용 해치의 결합장치
KR101144044B1 (ko)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KR20050047984A (ko) 도어 열림 방지장치
KR100769829B1 (ko)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장치
KR20210072249A (ko) 프렁크 래치 비상 오픈구조
KR102234280B1 (ko) 피팅 장치 및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KR20160034506A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JP5443109B2 (ja) ラッチ装置及びシート装置
KR101755828B1 (ko)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도어 래치 링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