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896B1 -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896B1
KR102207896B1 KR1020190167522A KR20190167522A KR102207896B1 KR 102207896 B1 KR102207896 B1 KR 102207896B1 KR 1020190167522 A KR1020190167522 A KR 1020190167522A KR 20190167522 A KR20190167522 A KR 20190167522A KR 102207896 B1 KR102207896 B1 KR 102207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lever
main pulley
hand lever
sid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철
이원석
안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16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는, 시트의 일측에 마련된 작동레버에 연결된 핸드 레버와, 그 핸드 레버에 인가된 힘을 록킹 장치 측에 전달시켜 주기 위한 메인 풀리와, 시트의 타측에 마련된 스트랩을 통해 인가된 힘을 록킹 장치 측에 전달시켜 주기 위한 스랩 풀리의 회전중심을 서로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시키되, 핸드 레버 작동시에는 스트랩이 작동되지 않게 하고 스트랩의 작동시에는 핸드 레버가 작동되지 않게 하여, 구성의 간소화 및 제품의 슬림화를 이룰 수 있게 함은 물론, 부품 간 간섭 없이 정밀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Lever box assembly for car seat back angle adjustmen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시트 등받이의 각도를 차량 내부의 여러 위치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부품의 간소화 및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하고 동작의 간섭 없이 정밀한 동작 구현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착석부와 등받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등받이부는 차량 내부의 공간 확장 또는 사용자의 자세(앉은 자세 또는 누운 자세) 등의 이유에 의해 상기 착석부에 대해 폴딩 또는 각도조절된다.
이러한 등받이부는 사용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각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나, 최근에는 이에 더하여 시트 측 뿐만 아니라 트렁크 측에서도 각도를 조절하거나 폴딩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위치에서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 유닛은, 시트 측의 다른 부품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간소화된 구성으로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9-01113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12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시트 등받이의 각도를 차량 내부의 여러 위치에서 조절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구성의 간소화 및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하고 동작의 간섭 없이 정밀한 동작 구현을 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는 자동차 시트 등받이를 폴딩시키기 위한 동력을, 시트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작동레버 및 그 작동레버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스트랩을 통해, 상기 등받이의 폴딩을 규제하는 록킹 장치 측에 전달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동력 전달을 위한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 폴딩을 위한 사용자의 힘이 상기 작동레버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그 작동레버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핸드 레버;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핸드 레버의 회전중심축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핸드 레버의 연동턱이 삽입되되 그 연동턱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공회전구간이 형성되어 있는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록킹 장치 측에 연결되는 레버측 케이블이 지지되는 섹터부를 포함하는 메인 풀리; 및 상기 메인 풀리의 코어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섹터부를 매개로 상기 록킹 장치 측에 동력을 전달시켜 줄 수 있도록 그 섹터부를 선택적으로 가압시키며, 상기 스트랩에 연결되는 스트랩측 케이블이 지지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스트랩측 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메인 풀리의 회전 이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풀리를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풀리의 코어부는, 상기 공회전구간을 한정하고 상기 핸드 레버의 연동턱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풀리의 섹터부는, 상기 스트랩측 케이블의 엔드가 끼워져 고정되는 엔드 고정부; 및 상기 스트랩측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측 케이블의 일부가 수용되는 가이드 슬릿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는, 시트의 일측에 마련된 작동레버에 연결된 핸드 레버와, 그 핸드 레버에 인가된 힘을 록킹 장치 측에 전달시켜 주기 위한 메인 풀리와, 시트의 타측에 마련된 스트랩을 통해 인가된 힘을 록킹 장치 측에 전달시켜 주기 위한 스랩 풀리의 회전중심을 서로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시키되, 핸드 레버 작동시에는 스트랩이 작동되지 않게 하고 스트랩의 작동시에는 핸드 레버가 작동되지 않게 하여, 구성의 간소화 및 제품의 슬림화를 이룰 수 있게 함은 물론, 부품 간 간섭 없이 정밀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와 다른 부품들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하우징 내부의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관계를 보인 부분단면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 구현을 위해 함께 사용되는 작동레버 조작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 구현을 위해 함께 사용되는 스트랩 조작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와 다른 부품들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하우징 내부의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관계를 보인 부분단면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 구현을 위해 함께 사용되는 작동레버 조작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 구현을 위해 함께 사용되는 스트랩 조작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는, 자동차 시트 등받이를 폴딩시키기 위한 동력을, 시트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작동레버(A) 및 그 작동레버(A)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스트랩(B)을 통해, 상기 등받이의 폴딩을 규제하는 록킹 장치 측에 전달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과 핸드 레버(2)와 메인 풀리(3)와 스트랩측 풀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은, 내측에 상기 동력 전달을 위한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차량 내부의 자동차 시트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핸드 레버(2)는, 상기 하우징(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레버(A)에 동력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등받이 폴딩을 위한 사용자의 힘이 상기 작동레버(A)를 통해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핸드 레버(2)에는 상기 메인 풀리(3)에 접촉되어서 그 메인 풀리(3)에 회전력을 전달시킬 수 있게 하는 연동턱(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풀리(3)는, 상기 핸드 레버(2)를 통해 전달된 사용자의 힘이 상기 등받이이 폴딩을 규제하는 록킹 장치에 전달될 수 있게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어부(31)와 섹터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부(31)는, 규격의 슬림화를 위해 상기 핸드 레버(2)의 회전중심축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핸드 레버(2)의 연동턱(21)이 삽입되되 그 연동턱(21)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공회전구간(31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회전구간(31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핸드 레버(2)와 메인 풀리(3)를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구속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예컨대 도 5와 같이 핸드 레버(2)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메인 풀리(3)가 회전될 수 있게 하되, 상기 핸드 레버(2)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스트랩(B)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상기 핸드 레버(2)의 회전 없이 상기 메인 풀리(3)가 그 공회전구간(310)에 해당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섹터부(32)는, 상기 코어부(31)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록킹 장치 측에 연결되는 레버측 케이블(5)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예컨대, 상기 섹터부(32)에는 상기 레버측 케이블(5)의 엔드 부분이 걸림 결합되는 걸림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메인 풀리(3)는 상기 레버측 케이블(5)을 지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트랩측 풀리(4)는, 상기 작동레버(A)가 설치된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시트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규격의 슬림화를 위해 상기 메인 풀리(3)의 코어부(31)와 동축 상에 배치되는 중심부(41)와, 상기 중심부(4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압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42)는, 상기 섹터부(32)를 매개로 상기 록킹 장치 측에 동력을 전달시켜 줄 수 있도록 그 섹터부(32)를 선택적으로 가압시키며, 상기 스트랩(B)에 연결되는 스트랩측 케이블(6)이 지지된다. 예컨대, 상기 가압부(42)에는 상기 스트랩측 케이블(6)의 엔드 부분이 걸림 결합되는 걸림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스트랩측 풀리(4)는 상기 스트랩측 케이블(6)을 지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시트의 일측에 마련된 작동레버(A)에 연결된 핸드 레버(2)와, 그 핸드 레버(2)에 인가된 힘을 록킹 장치 측에 전달시켜 주기 위한 메인 풀리(3)와, 시트의 타측에 마련된 스트랩(B)을 통해 인가된 힘을 록킹 장치 측에 전달시켜 주기 위한 스트랩측 풀리(4)의 회전중심을 서로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시키되, 도 5와 같이, 핸드 레버(2) 작동시에는 스트랩(B) 및 스트랩측 풀리(4)가 작동되지 않게 하고 도 6과 같이, 스트랩(B)의 작동시에는 핸드 레버(2)가 작동되지 않게 하여, 구성의 간소화 및 제품의 슬림화를 이룰 수 있게 함은 물론, 부품 간 간섭 없이 정밀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일측은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 풀리(3)에 접촉되어서 상기 메인 풀리(3)를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탄성부재(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메인 풀리(3)의 회전 이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메인 풀리(3)는, 상기 핸드 레버(2)와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하고 스트랩측 풀리(4)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핸드 레버(2)를 작동시키지 않고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시킬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의 간소화와 동작 구현의 정밀성을 위해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부(311)와 엔드 고정부(321)와 가이드 슬릿부(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가 채택되었다.
상기 단턱부(311)는 상기 메인 풀리(3)의 코어부(31)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공회전구간(310)을 한정하고 상기 핸드 레버(2)의 연동턱(21)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부분이고, 상기 엔드 고정부(321)는 상기 메인 풀리(3)의 섹터부(32)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스트랩측 케이블(6)의 엔드가 끼워져 고정되는 부분으로, 예컨대 걸림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슬릿부(322)는, 상기 엔드 고정부(321)와 함께 상기 섹터부(32)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스트랩측 케이블(6)의 일부분이 수용되어서 그 스트랩측 케이블(6)을 휘어짐 없이 직진성 있도록 가이드하여 동력전달의 응답특성 및 동작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하우징 2:핸드 레버
21:연동턱 3:메인 풀리
31:코어부 310:공회전구간
311:단턱부 32:섹터부
321:엔드 고정부 322:가이드 슬릿부
4:스트랩측 풀리 41:중심부
42:가압부 5:레버측 케이블
6:스트랩측 케이블 7:탄성부재
A:작동레버 B:스트랩

Claims (3)

  1. 자동차 시트 등받이를 폴딩시키기 위한 동력을, 시트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작동레버 및 그 작동레버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스트랩을 통해, 상기 등받이의 폴딩을 규제하는 록킹 장치 측에 전달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동력 전달을 위한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 폴딩을 위한 사용자의 힘이 상기 작동레버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그 작동레버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핸드 레버;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핸드 레버의 회전중심축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핸드 레버의 연동턱이 삽입되되 그 연동턱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공회전구간이 형성되어 있는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록킹 장치 측에 연결되는 레버측 케이블이 지지되는 섹터부를 포함하는 메인 풀리; 및
    상기 메인 풀리의 코어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섹터부를 매개로 상기 록킹 장치 측에 동력을 전달시켜 줄 수 있도록 그 섹터부를 선택적으로 가압시키며, 상기 스트랩에 연결되는 스트랩측 케이블이 지지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스트랩측 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풀리의 회전 이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풀리를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풀리의 코어부는, 상기 공회전구간을 한정하고 상기 핸드 레버의 연동턱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풀리의 섹터부는, 상기 스트랩측 케이블의 엔드가 끼워져 고정되는 엔드 고정부; 및 상기 스트랩측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측 케이블의 일부가 수용되는 가이드 슬릿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
KR1020190167522A 2019-12-16 2019-12-16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 KR102207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522A KR102207896B1 (ko) 2019-12-16 2019-12-16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522A KR102207896B1 (ko) 2019-12-16 2019-12-16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896B1 true KR102207896B1 (ko) 2021-01-26

Family

ID=7431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522A KR102207896B1 (ko) 2019-12-16 2019-12-16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6614A1 (en) 2021-11-12 2023-05-19 Magna Seating Inc. Remote handle assembly with modular pulley arrange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810A (ko) * 2005-09-06 2008-07-31 카프로, 리미티드. 다기능 시트조절 장치 및 방법
CN201484229U (zh) * 2009-05-22 2010-05-26 无锡礼恩派华光汽车部件有限公司 杠杆式手动调节器系统
KR20160144348A (ko) * 2014-02-25 2016-12-16 슈크라 게라테바우 게엠베하 시트조절을 위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와 그 방법
KR20170014108A (ko) * 2015-07-29 2017-02-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등받이 각도 해제 장치
KR101881272B1 (ko) 2017-09-07 2018-07-24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고감성 프리미엄 자동차 시트
KR20190111312A (ko) 2018-03-22 2019-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및 차량용 시트를 이용한 착석 자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810A (ko) * 2005-09-06 2008-07-31 카프로, 리미티드. 다기능 시트조절 장치 및 방법
CN201484229U (zh) * 2009-05-22 2010-05-26 无锡礼恩派华光汽车部件有限公司 杠杆式手动调节器系统
KR20160144348A (ko) * 2014-02-25 2016-12-16 슈크라 게라테바우 게엠베하 시트조절을 위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와 그 방법
KR20170014108A (ko) * 2015-07-29 2017-02-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등받이 각도 해제 장치
KR101881272B1 (ko) 2017-09-07 2018-07-24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고감성 프리미엄 자동차 시트
KR20190111312A (ko) 2018-03-22 2019-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및 차량용 시트를 이용한 착석 자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6614A1 (en) 2021-11-12 2023-05-19 Magna Seating Inc. Remote handle assembly with modular pulley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35458A1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radiotelephone
KR102207896B1 (ko) 자동차 시트 등받이 각도조절용 레버 박스 어셈블리
WO2007013620A1 (ja) 折畳み機器のヒンジ機構及びこのヒンジ機構を備えた折畳み機器
JPH11341130A (ja) ヒンジ構造
JP2007086756A (ja) ヒンジ装置
US7082289B2 (en) Folder driving device for portable device
CN105730232B (zh) 用于降低车辆的踏板作用力的装置
KR20080097666A (ko) 슬라이드 힌지
WO2021111697A1 (ja) 電気式毛切断装置
US20060154701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WO2008117908A1 (en) Speaker-equipped case for a sound player
JP2004164423A (ja) 小型ジョイスティック
JP2009152036A (ja) 複合操作入力装置
JPH1155776A (ja) ヘッドホン
US20230356632A1 (en) Safety seat
US8950940B2 (en) Sliding apparatus
JP4353195B2 (ja) スライドドア構造
JP2003127764A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キャンセル構造
JP4153297B2 (ja) 展開可能イヤバドを有する携帯通信装置
JP2002283872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0776588B1 (ko)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JP6204175B2 (ja) 回転操作装置
JP2017098272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楽器
KR200334306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JP4026192B2 (ja) 減衰力可変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