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332A - 증점 증포제 - Google Patents

증점 증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332A
KR20080067332A KR1020087009541A KR20087009541A KR20080067332A KR 20080067332 A KR20080067332 A KR 20080067332A KR 1020087009541 A KR1020087009541 A KR 1020087009541A KR 20087009541 A KR20087009541 A KR 20087009541A KR 20080067332 A KR20080067332 A KR 20080067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hydrogen atom
thickening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7913B1 (ko
Inventor
야스히로 도이
마사키 이노우에
가오루 오마에
요시노리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7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6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divalent or polyvalent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having mixed oxyalkylene groups; Polyalkoxylated fatty alcohols or polyalkoxylated alkylaryl alcohols with mixed oxyalkylel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02Preparation of ethers from oxiranes
    • C07C41/03Preparation of ethers from oxiranes by reaction of oxirane rings with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03Ethers having all ether-oxygen atom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3/04Saturated ethers
    • C07C43/10Saturated ethers of polyhydroxy compounds
    • C07C43/11Polyethers containing —O—(C—C—O—)n units with ≤ 2 n≤ 1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11D1/721End blocked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94High foaming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증포·증점 성능을 갖는 저냄새의 증점 증포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음의 성분 (A) 로 이루어지는 증점 증포제 :
(A) 일반식 (1)
R1O-(PO)n/(EO)m-R2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PO 는 프로필렌옥시기를 나타내고, EO 는 에틸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1.5 ∼ 3.0 의 수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m 은 0 ∼ 1.0 의 수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식 (1) 중, n=0, m=0 이고, R2 가 수소 원자인 알코올의 함유량이 3000ppm 이하, 및 상기 성분 (A) 와 (B)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Description

증점 증포제{THICKENING/FOAM BOOSTING AGENT}
본 발명은 알코올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및/또는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알킬렌글리콜에테르) 로 이루어지는, 증포·증점 성능을 갖는 세정제용 기제인 저냄새의 증점 증포제, 및 그것을 사용한, 식기 세척이나, 샴푸, 보디 샴푸 등의 신체용의 풍부한 거품을 필요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정제 조성물에는 기름 등의 오염 성분의 유화력이나 가용화력, 또는 세정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로 인간이 사용하는 식기 세척 등의 경질 표면 세정제나, 샴푸, 보디 샴푸 등의 신체용 세정제 등의 세정제는, 공업용 세정제와 달리, 풍부한 거품이나 사용시의 기제 냄새가 없는 점, 및 적당한 점도와 같은 사용감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공업 용도의 세정제는 거품이 적은 것이 중요시되고 있다.
세정제 조성물의 기포성 (起泡性) 향상이나 점도 조정을 위해, 다양한 증포·증점제가 개발되고, 지방산알칸올아미드나 아미드가 범용 증포·증점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함질소 화합물은, 배합 조건에 따라서는 색상 등의 경시 변화를 일으킨다. 또한,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는, 불순물인 니트로소 화합물에 발암성의 의혹이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질소 비함유의 증점·증포제가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에는 질소 비함유의 증점·증포제로서, 탄소수 8 ∼ 12 의 알코올을 출발 원료로 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1 ∼ 3 몰 부가시킨 (폴리)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1 ∼ 3 몰 정도의 단사슬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은, 미반응 알코올을 많이 (1 중량% 이상) 함유한다. 또한, 탄소수 8 ∼ 12 의 알코올은 불쾌한 냄새가 강하고, 특히 탄소수 8 ∼ 10 의 미반응 알코올이 다량으로 존재하면 세정제 조성물로서의 사용감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한편, 정제에 의해 알코올을 제거할 수 있는데, 알코올량이 수 중량% 이상에 이르는 경우, 제조가 번잡해져,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공업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 수를 많게 함으로써 미반응 알코올을 감량할 수 있는데, 다량으로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경우에는 기포성이 저하된다.
그 예로서, 특허 문헌 2 에는, 에틸렌옥사이드에 추가하여,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도입함으로써, 냄새를 개선한 지방족 알코올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부가물은,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한 경우, 기포성이 낮아, 저냄새 및 기포성이 양호한 세정제 조성물이 얻어지지 않는다.
특허 문헌 3 에는, 단사슬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도입한 고급 지방족 알코올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단지 유화제나 가용화제로서의 적용만으로, 냄새나 기포성에 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동일하게, 특허 문헌 4 에는, 세정제로서, 단사슬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도입한 지방족 알코올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이 기재되어 있는데, 냄새나 기포성에 대한 기재는 없다.
특허 문헌 5 나 특허 문헌 6 에도, 공업 용도 세정제로서, 단사슬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도입한 폴리옥시알킬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공업 용도의 유분이나 철분의 세정성만으로 언급되어 있고, 냄새나 기포성에 관한 기재는 없다. 또한, 우수한 기포성이 요구되는 식기 세척이나, 피부, 모발 용도에 대한 언급은 없다.
또한, 어느 선행 문헌에 있어서도, 원료 알코올 함유량에 대한 기재는 없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77685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26892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98054호
특허 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26891호
특허 문헌 5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16782호
특허 문헌 6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3092호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로 이루어지는 증점 증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
(A) 일반식 (1)
R1O-(PO)n/(EO)m-R2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PO 는 프로필렌옥시기를 나타내고, EO 는 에틸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1.5 ∼ 3.0 의 수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m 은 0 ∼ 1.0 의 수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식 (1) 중, n=0, m=0 이고, R2 가 수소 원자인 알코올의 함유량이 3000ppm 이하.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성분 (A) 및 (B) 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
(A) 일반식 (1)
R1O-(PO)n/(EO)m-R2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PO 는 프로필렌옥시기를 나타내고, EO 는 에틸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1.5 ∼ 3.0 의 수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m 은 0 ∼ 1.0 의 수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식 (1) 중, n=0, m=0 이고, R2 가 수소 원자인 알코올의 함유량이 3000ppm 이하,
(B) 성분 (A) 이외의 계면 활성제.
또한, 본 발명은 염기성 촉매를 사용하여, 일반식 (2) :
R1OH (2)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원료 알코올에 프로필렌옥사이드 및/또는 에틸렌옥사이드를 반응시킨 후, 그 원료 알코올을 증류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 원료 알코올 함유량을 3000ppm 이하로 저감시킨 상기 성분 (A) 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의 증점 증포제로서의 사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
(A) 일반식 (1)
R1O-(PO)n/(EO)m-R2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PO 는 프로필렌옥시기를 나타내고, EO 는 에틸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1.5 ∼ 3.0 의 수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m 은 0 ∼ 1.0 의 수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식 (1) 중, n=0, m=0 이고, R2 가 수소 원자인 알코올의 함유량이 3000ppm 이하.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증점 증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
(A) 일반식 (1)
R1O-(PO)n/(EO)m-R2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PO 는 프로필렌옥시기를 나타내고, EO 는 에틸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1.5 ∼ 3.0 의 수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m 은 0 ∼ 1.0 의 수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식 (1) 중, n=0, m=0 이고, R2 가 수소 원자인 알코올의 함유량이 3000ppm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증포·증점 성능을 갖는 저냄새의 증점 증포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기포성이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포·증점 성능을 갖는 저냄새의 증점 증포제 및 세정제 조성물이 얻어진다.
성분 (A) 의 일반식 (1) 에 있어서,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저냄새화의 관점에서 직사슬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기포성의 관점에서 R1 은 탄소수 8 의 것이 바람직하고, 혼합 알킬의 경우, 탄소수 8 의 것이 50 몰% 이상, 더욱 80 몰% 이상, 특히 98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 의 일반식 (1) 에 있어서, PO 와 EO 는 블록이어도 랜덤이어도 되는데, 블록이 바람직하고, 저냄새화의 관점에서, (PO)n/(EO)m 은 R1O 에 대하여 (PO)n, (EO)m 의 순서로 블록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A) 의 일반식 (1) 의 화합물에 있어서, 평균 부가 몰수 n 및 m 은, 냄새와 기포성의 균형면에서 제한된다. 즉, 평균 부가 몰수 n 및 m 이 적으면 원료 알코올 함유량이 많아져, 냄새가 증가된다. 정제에 의해 원료 알코올을 제거하는 경우도,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평균 부가 몰수 n 및 m 이 많으면 증포·증점성이 저하된다.
평균 부가 몰수 n 은 1.5 ∼ 3.0 의 수를 나타내는데, 냄새와 기포성의 관점에서 2.0 ∼ 3.0, 더욱 2.0 ∼ 2.8, 특히 2.3 ∼ 2.8 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기포성의 관점에서 2.0 ∼ 2.5 가 바람직하다.
평균 부가 몰수 m 은 0 ∼ 1.0 의 수를 나타내는데, 기포성의 관점에서 0 이 바람직하다.
또한, n + m 은 냄새와 기포성의 관점에서 1.5 ∼ 4.0 이 바람직하고, 더욱 1.5 ∼ 3.0, 특히 2.0 ∼ 2.8 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1) 중의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는데,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성분 (A) 는 세정제 조성물 중에 0.1 ∼ 20 중량%, 더욱 0.3 ∼ 10 중량%, 특히 0.5 ∼ 5 중량% 함유되는 것이 기포성과 경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 (1) 중, n=m=0 이고, R2 가 수소 원자인 화합물은, 저냄새화의 관점에서 성분 (A) 중에 3000ppm 이하인데, 2000ppm 이하, 더욱 1500ppm 이하, 보다 더 1000ppm 이하, 특히 500ppm 이하가 바람직하다.
성분 (B) 의 계면 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로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황산계, 술폰산계, 카르복실산계, 인산계 및 아미노산계의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케닐에테르황산염, 술포숙신산알킬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술포숙신산알킬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염, 알칸술폰산염, 아실이세티오네이트, 아실메틸타우레이트, 고급 지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인산염, 아실글루타민산염, 알라닌 유도체, 글리신 유도체, 아르기닌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황산염, 알킬황산염, 고급 지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인산염이 바람직하고, 특히 일반식 (3) 또는 (4) 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특히 일반식 (11) 로 표시되는 인산모노에스테르와, 일반식 (12) 로 표시되는 인산디에스테르의 혼합물로서, 그 함유 비율이 중량비로 (11)/(12)=100/0 ∼ 50/50 인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R3-O(CH2CH2O)pSO3M (3)
R4-OSO3M (4)
〔식 중, R3 은 탄소수 10 ∼ 18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4 는 탄소수 10 ∼ 1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 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암모늄, 알칸올아민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을 나타내고, p 는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로, 1 ∼ 5 의 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28346982-PCT00001
〔식 중 R11, R12 및 R13 은 각각 탄소수 8 ∼ 1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X1, X2 및 Y 는, 각각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원자, 알칼리 토금속 원자, 알칸올아민 또는 암모늄을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s, t 및 u 는 각각 0 ∼ 5 의 수를 나타낸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에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 (경화) 피마자유류,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글리세린알킬에테르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지방산알칸올아미드, 알킬글리코시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류, 알킬글리코시드류, 폴리옥시알킬렌 C8 - C20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알칸올아미드가 바람직하고, 특히 알킬글리코시드류와 지방산알칸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류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알킬글리코시드류로는, 알킬기의 탄소수 8 ∼ 14 이고, 당 (글루코오스 등) 의 축합도 1 ∼ 2 의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알칸올아미드로는, 탄소수 8 ∼ 18, 특히 탄소수 10 ∼ 16 의 아실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모노알칸올아미드, 디알칸올아미드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데 탄소수 2 ∼ 3 의 히드록시알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알칸올아미드의 구체예로는, 올레산디에탄올아미드, 팜핵유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 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팜핵유 지방산메틸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메틸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는, 베타인계 계면 활성제 및 아민옥사이드형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이미다졸린계 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술포베타인 등의 베타인계 계면 활성제 및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등의 아민옥사이드형 계면 활성제가 보다 바람직하고, 알킬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 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 알킬술포베타인, 지방산아미드프로필히드록시술포베타인 및 지방산아미드프로필술포베타인 등의 술포베타인 그리고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 알킬술포베타인, 지방산아미드프로필히드록시술포베타인 및 지방산아미드프로필술포베타인 등의 술포베타인이, 예를 들어, 오염 존재하에서도 우수한 기포성이 요구되는 식기용이나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의 경우의 오염이 있어도 기포성이 저해되지 않는 성능, 즉 기포성의 내오염성의 관점에서 및 증점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이다. 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및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은, 탄소수 8 ∼ 18, 특히 탄소수 10 ∼ 16 의 알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라우르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팜핵유 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야자유 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라우릴술포베타인, 야자유 지방산아미드프로필히드록시술포베타인, 야자유 지방산아미드프로필술포베타인 등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이 가장 바람직하다.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는, 탄소수 8 ∼ 18, 특히 탄소수 10 ∼ 16 의 알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및 미리스틸디메틸아민옥사이드가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예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78146호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 (5) :
[화학식 2]
Figure 112008028346982-PCT00002
〔식 중, R5, R6, R7 및 R8 중, 적어도 1 개는 총 탄소수 12 ∼ 28 의 알콕시기, 바람직하게는 16 ∼ 2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콕시기, 알케닐옥시기, 알카노일아미노기, 알케노일아미노기, 알카노일기 또는 알카노일옥시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잔여는 벤질기, 탄소수 1 ∼ 5 의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합계 부가 몰수 10 이하의 폴리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내고, Z 는 할로겐 이온 또는 유기 아니온,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글리코레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술포네이트, 술페이트 및 알킬술페이트기에서 선택된 것을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제 4 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 (5) 의 바람직한 예로서, R5, R6, R7 및 R8 중, 적어도 1 개가 총 탄소수 8 ∼ 22 의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이고, 잔여는, 메틸기, 에틸기, 벤질기를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이나 염화옥타데실옥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과 같은 염화모노 장쇄 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이나 염화 분기 디알킬디메틸암모늄과 같은 염화 디장쇄 알킬디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B) 는 세정제 조성물 중에 3 ∼ 50 중량%, 더욱 5 ∼ 30 중량%, 특히 10 ∼ 30 중량% 함유되는 것이 기포성, 경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성분 (A) 와 (B) 의 비율은, 중량비로 (A)/(B)=1/200 ∼ 10/1, 더욱 1/100 ∼ 1/1, 특히 1/50 ∼ 1/5, 가장 1/30 ∼ 1/10 이 바람직하다.
성분 (A) 는 피부 또는 모발에 사용되는 세정제 조성물용의 증점 증포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증점 증포제 및 세정제 조성물은, 특히 피부 또는 모발과 같은 신체용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특히 피부 또는 모발용인 경우, 유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유성 성분으로는, 고급 알코올, 실리콘, 및 에스테르유, 탄화수소류, 글리세리드류, 식물유, 동물유, 라놀린 유도체, 고급 지방산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고,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유 및/또는 실리콘이 바람직하고, 고급 알코올 및/또는 실리콘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또한, 글리세린, 보습제, 카티온성 폴리머, 다당류, 폴리펩타이드, 펄화제, 용제, 액정 형성 기제, 색소, 향료, 분사제, 에데트아세트산염이나 시트르산염 등의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방부제, 항비듬제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카티온성 폴리머로는,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유도체, 카티온성 전분, 카티온화 구아검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항비듬제로는, 징크피리티온, 피로크톤올라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pH 는, 20 배 희석액으로 한 경우, 25℃ 에서 3 ∼ 10, 특히 4 ∼ 9 가 바람직하다.
성분 (A)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일반식 (2) 에 있어서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고, 저냄새화의 관점에서 직사슬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기포성의 관점에서 R1 은 탄소수 8 의 것이 바람직하고, 혼합 알킬의 경우, 탄소수 8 의 것이 50 몰% 이상, 더욱 80 몰% 이상, 특히 98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프로필렌옥사이드와 에틸렌옥사이드는 블록 부가이어도 랜덤 부가이어도 되지만, 블록 부가가 바람직하다. 또한 저냄새화의 관점에서, 일반식 (2) 로 표시되는 원료 알코올에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한 후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필렌옥사이드만의 부가도 바람직하다.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일반식 (2) 로 표시되는 원료 알코올에 대한 평균 부가 몰수는, 저냄새화와 기포성의 관점에서 1.5 ∼ 3.0 몰인데, 2.0 ∼ 3.0 몰이 바람직하고, 더욱 2.0 ∼ 2.8 몰이 바람직하며, 특히 2.3 ∼ 2.8 몰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기포성의 관점에서 2.0 ∼ 2.5 몰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옥사이드의, 일반식 (2) 로 표시되는 원료 알코올에 대한 평균 부가 몰수는, 저냄새화와 기포성의 관점에서 0 ∼ 1.0 몰인데, 0 몰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필렌옥사이드와 에틸렌옥사이드의, 일반식 (2) 로 표시되는 원료 알코올에 대한 합계 평균 부가 몰수는, 저냄새화와 기포성의 관점에서 1.5 ∼ 4.0 몰이 바람직하고, 1.5 ∼ 3.0 몰이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2.0 ∼ 2.8 몰이 바람직하다.
성분 (A)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염기성 촉매의 사용량은, 일반식 (2) 로 표시되는 원료 알코올의 0.1 ∼ 5 몰% 가 바람직하고, 0.1 ∼ 2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염기성 촉매로는, 공지된 일반적인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예로서,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나트륨알콕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원료 알코올과 프로필렌옥사이드 및/또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반응 온도는 80 ∼ 200℃, 바람직하게는 110 ∼ 16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 130℃ 이며, 반응 압력은 0.1 ∼ 0.8㎫, 바람직하게는 0.1 ∼ 0.6㎫ 이다.
반응물은 그대로 증류에 실시할 수도 있지만, 염기성 촉매를 중화제 또는 흡착제 등으로 제거하고 나서 증류 제거에 실시할 수도 있다. 중화제나 흡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화제로는 아세트산, 락트산 등의 유기산 또는 인산, 황산 등의 광산 (단독, 혼합, 병용 모두 가능), 흡착제로는 쿄워드 (쿄와 화학 (주)) 와 같은 합성 흡착제, 활성 백토, 활성탄, 이온 교환 수지 등 (단독, 혼합, 병용 모두 가능. 또한, 중화제와의 병용도 가능) 을 들 수 있다.
원료 알코올의 증류 제거란, 원료 알코올을 증류 또는 수증기 처리에 의해 증류 제거하거나, 또는 증류와 수증기 처리를 조합하여 증류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증기 처리란, 반응 조성물에 수증기를 불어넣어, 수증기와 함께 원료 알코올을 계 외로 증류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증류 제거는 상압 또는 감압하에서 실시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감압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설비에 드는 부담을 작게 할 수 있다.
증류 제거 조건은 다음과 같다.
온도 : 80 ∼ 200℃, 바람직하게는 80 ∼ 150℃.
압력 : 27㎪ (200torr) 이하, 바람직하게는 6㎪ (45torr) 이하.
수증기량 : 반응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 50 중량부.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성분 (A) 의 원료 알코올 함유량은, 저냄새화의 관점에서 3000ppm 이하인데, 2000ppm 이하, 더욱 1500ppm 이하, 보다 더 1000ppm 이하, 특히 500ppm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조예 1
1-옥탄올 (칼콜 0898, 카오 (주) 제조) 1615.0g (12.35 몰) 과 수산화칼륨 6.9g (0.12 몰) 을 오토클레이브에 주입하고, 110℃, 13.3㎪ 에서 탈수 후, 120℃ 에서 프로필렌옥사이드 1434g (24.69 몰) 을 0.3㎫ 로 압입하면서 부가 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 종료 후, 동일 반응 온도에서 6 시간 숙성을 실시한 후, 80℃ 까지 냉 각시켰다.
후처리로서, 얻어진 반응 조성물에 합성 흡착제 (쿄워드 600S, 쿄와 화학 공업 (주)) 55g 을 첨가하고, 4.0㎪ 에서 1 시간 처리한 후, 여과에 의해 촉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의 1-옥탄올 함량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한 결과 9000ppm 이었다.
이어서 얻어진 여과액 1000g 에 대해, 130℃, 1.3㎪ 의 조건에서 1-옥탄올을 증류에 의해 증류 제거하였다. 또한 145℃, 6.0㎪, 5 시간의 조건에서 수증기 100g 을 불어넣는 수증기 처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제품 (표 1 에 나타내는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 중의 1-옥탄올 함량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하였다.
제조예 2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표 1 (본 발명품) 및 표 2 (비교품) 에 나타내는 알킬렌글리콜에테르 2 ∼ 12 를 얻었다. 알킬렌글리콜에테르 2 ∼ 5 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정제를 실시했지만, 알킬렌글리콜에테르 6 ∼ 12 는 제조예 1 에 나타내는 여과에 의한 촉매 제거까지만 실시하고, 증류에 의한 정제는 실시하지 않았다. 얻어진 알킬렌글리콜에테르의 원료 알코올량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량하였다.
Figure 112008028346982-PCT00003
Figure 112008028346982-PCT00004
실시예 1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 ∼ 12 와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하기의 방법으로 점도, 기포성 및 냄새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점도의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그 결과를 표 3 및 4 에 나타낸다.
(1) 점도 측정
사용 점도계 B 형 점도계 ((주) 도쿄 계기 제조)
로터 No./회전수 No.1/12rpm 측정 시간 1 분간
온도 30℃ : 30℃ ± 1 의 항온조에 샘플이 들어간 유리병을 1 시간 담근 후 측정
(2) 기포성 시험 및 냄새 시험
표 3 및 4 에 기재된 각 세정제 조성물을 손바닥에 1㎖ 떨어뜨리고 손, 팔을 세정하였을 때의 기포성과 냄새를 전문 패널리스트 10 명에 의해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기포성)
4 : 기포성이 매우 양호하다고 느꼈다.
3 : 기포성이 양호하다고 느꼈다.
2 : 기포성이 보통이라고 느꼈다.
1 : 기포성이 양호하지 않다고 느꼈다.
10 명의 평가의 평균점을 구하여, 3.6 이상을 ◎, 2.6 ∼ 3.5 를 ○, 1.6 ∼ 2.5 를 △, 1.5 이하를 × 로 하였다.
(냄새)
4 : 전혀 냄새는 인지되지 않는다.
3 : 약간 냄새가 인지된다.
2 : 냄새가 인지된다.
1 : 강하게 냄새가 인지된다.
10 명의 평가의 평균점을 구하여, 3.6 이상을 ◎, 2.6 ∼ 3.5 를 ○, 1.6 ∼ 2.5 를 △, 1.5 이하를 × 로 하였다.
(3) 내오염성 시험
수돗물 15g 을 함유시키고, 오염 성분으로서 라놀린〔야마케이 산업 (주) 제조〕0.1㎖ 를 도포한 일본인 여성의 모발 15g (20㎝) 에 표 3 및 표 4 에 나타낸 계면 활성제 조성물을 1㎖ 취하여, 30 초간 거품을 냈다. 발생한 거품을 직경 5㎝ 의 눈금 부착 실린더에 취하여, 기포량 (㎖) 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08028346982-PCT00005
Figure 112008028346982-PCT00006
실시예 2
하기 조성의 헤어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 2.0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15.0
라우르산디에탄올아마이드 2.0
카티온성 폴리머** 0.2
실리콘*** 1.0
향료, 메틸파라벤 적량
정제수 밸런스
계 100.0
* : ( ) 내는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 : 포이즈 C-150L ; 카오 (주) 제조
*** : 실리콘 BY22-060 ; 토오레·다우코닝 (주) 제조
이 헤어 샴푸는 기포성이 양호하고, 냄새가 없으며 적당한 점도 (2000mPa·s) 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3
하기 조성의 보디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알킬렌글리콜에테르 2 0.8
라우르산염* 30.0
아미드프로필베타인** 2.0
글리세린 3.0
향료, 메틸파라벤 적량
정제수 밸런스
계 100.0
* : 프라이올리 B-100 ; 카오 (주) 제조
** : 암히톨 20AB ; 카오 (주) 제조
이 보디 샴푸는 기포성이 양호하고, 냄새가 없으며 적당한 점도 (500mPa·s) 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4
하기 조성의 세안료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 1.0
라우릴인산K염 10.0
라우르산K염 10.0
미리스트산K염 8.0
팔미트산K염 8.0
소르비톨 10.0
향료, 메틸파라벤 적량
정제수 밸런스
계 100.0
이 세안료는 기포성이 양호하고, 냄새가 없으며 적당한 점도 (50000mPa·s) 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5
하기 조성의 세안료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 1.0
라우릴인산K염 2.0
폴리옥시에틸렌(1)라우릴포스페이트K염* 5.0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10.0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3.0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0.5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2.0
Na2SO4 3.0
향료, 메틸파라벤 적량
정제수 밸런스
계 100.0
* : () 내는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 : 암히톨 20HD : 카오 (주) 제조
*** : 카보폴 ETD2020 ; BFGoodrich 사 제조
이 세안료는 기포성이 양호하고, 냄새가 없으며 적당한 점도 (30000mPa·s) 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6
하기 조성의 헤어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3 0.6
폴리옥시에틸렌(1)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13.8
야자유 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1.2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0.6
카티온성 폴리머** 0.2
실리콘*** 2.0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릴에테르 0.5
향료, 메틸파라벤 적량
정제수 밸런스
계 100.0
* : ( ) 내는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 : 재규어 C-13C ; 로디아사 제조
*** : 실리콘 BY22-060 ; 토오레·다우코닝 (주) 제조
이 헤어 샴푸는 기포성 및 내오염성이 양호하고, 냄새가 없으며 적당한 점도 (3000mPa·s) 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7
하기 조성의 헤어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3 0.8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8.0
폴리옥시에틸렌(3)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8.0
야자유 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0.6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0.5
카티온성 폴리머*** 0.2
실리콘**** 2.0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릴에테르 1.5
향료, 메틸파라벤 적량
정제수 밸런스
계 100.0
* : ( ) 내는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 : 아미논 C-01S ; 샹하이 카오 화학 (주) 제조
*** : 폴리머 JR-400 ; 다우 케미컬사 제조
**** : 실리콘 BY22-007 ; 토오레·다우코닝 (주) 제조
이 헤어 샴푸는 기포성 및 내오염성이 양호하고, 냄새가 없으며 적당한 점도 (6000mPa·s) 를 갖고 있었다.

Claims (11)

  1. 다음의 성분 (A) 로 이루어지는 증점 증포제 :
    (A) 일반식 (1)
    R1O-(PO)n/(EO)m-R2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PO 는 프로필렌옥시기를 나타내고, EO 는 에틸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1.5 ∼ 3.0 의 수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m 은 0 ∼ 1.0 의 수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식 (1) 중, n=0, m=0 이고, R2 가 수소 원자인 알코올의 함유량이 3000ppm 이하.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의 일반식 (1) 중, n=0, m=0, R2 가 수소 원자인 알코올의 함유량이 1500ppm 이하인 증점 증포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피부 또는 모발에 사용되는 세정제 조성물용인 증점 증포제.
  4. 다음의 성분 (A) 및 (B) 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
    (A) 일반식 (1)
    R1O-(PO)n/(EO)m-R2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PO 는 프로필렌옥시기를 나타내고, EO 는 에틸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1.5 ∼ 3.0 의 수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m 은 0 ∼ 1.0 의 수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식 (1) 중, n=0, m=0 이고, R2 가 수소 원자인 알코올의 함유량이 3000ppm 이하,
    (B) 성분 (A) 이외의 계면 활성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성분 (B) 가, 적어도 2 종의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고, 그 중 1 종의 계면 활성제가 술포베타인인 세정제 조성물.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성분 (A) 의 일반식 (1) 중, n=0, m=0, R2 가 수소 원자인 알코올의 함유 량이 1500ppm 이하인 세정제 조성물.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0.1 ∼ 20 중량% 함유되는 세정제 조성물.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또는 모발용인 세정제 조성물.
  9. 염기성 촉매를 사용하여, 일반식 (2) :
    R1OH (2)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원료 알코올에 프로필렌옥사이드 및/또는 에틸렌옥사이드를 반응시킨 후, 그 원료 알코올을 증류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 원료 알코올 함유량을 3000ppm 이하로 저감시킨 제 1 항에 기재된 성분 (A) 의 제조 방법.
  10. 다음의 성분 (A) 의 증점 증포제로서의 사용.
    (A) 일반식 (1)
    R1O-(PO)n/(EO)m-R2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PO 는 프로필렌옥시기를 나타내고, EO 는 에틸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1.5 ∼ 3.0 의 수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m 은 0 ∼ 1.0 의 수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식 (1) 중, n=0, m=0 이고, R2 가 수소 원자인 알코올의 함유량이 3000ppm 이하.
  11. 다음의 성분 (A) 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증점 증포 방법.
    (A) 일반식 (1)
    R1O-(PO)n/(EO)m-R2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PO 는 프로필렌옥시기를 나타내고, EO 는 에틸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 은 1.5 ∼ 3.0 의 수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m 은 0 ∼ 1.0 의 수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식 (1) 중, n=0, m=0 이고, R2 가 수소 원자인 알코올의 함유량이 3000ppm 이하.
KR1020087009541A 2005-10-31 2006-10-31 증점 증포제 KR101297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15652 2005-10-31
JPJP-P-2005-00315652 2005-10-31
JPJP-P-2006-00006047 2006-01-13
JP2006006047 2006-01-13
PCT/JP2006/321749 WO2007052657A1 (ja) 2005-10-31 2006-10-31 増粘増泡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332A true KR20080067332A (ko) 2008-07-18
KR101297913B1 KR101297913B1 (ko) 2013-08-22

Family

ID=3800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541A KR101297913B1 (ko) 2005-10-31 2006-10-31 증점 증포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48842B2 (ko)
EP (1) EP1956065B1 (ko)
KR (1) KR101297913B1 (ko)
CN (1) CN102836086B (ko)
AU (1) AU2006309718B2 (ko)
ES (1) ES2383086T3 (ko)
WO (1) WO2007052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3060B2 (ja) * 2006-09-08 2012-10-31 花王株式会社 皮膚又は毛髪用洗浄剤組成物
JP5281278B2 (ja) * 2007-12-11 2013-09-04 花王株式会社 乳化重合用界面活性剤組成物
JP5325568B2 (ja) * 2008-04-04 2013-10-23 花王株式会社 毛髪用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WO2009122755A1 (ja) * 2008-04-04 2009-10-08 花王株式会社 毛髪用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EP2161327A1 (en) * 2008-09-05 2010-03-10 Cognis IP Management GmbH Emulsifiers for metal working fluids
JP5658952B2 (ja) * 2009-09-29 2015-01-28 花王株式会社 毛髪処理剤組成物
JP5658953B2 (ja) * 2009-10-01 2015-01-28 花王株式会社 毛髪用化粧料の製造方法
JP5341029B2 (ja) 2010-06-18 2013-11-13 花王株式会社 水性毛髪洗浄剤
EP2877275B1 (en) 2012-09-29 2020-03-2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nionic surfactant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WO2014134826A1 (en) * 2013-03-08 2014-09-1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nionic surfactant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MX2018003718A (es) 2015-10-07 2018-04-30 Elementis Specialties Inc Agente humectante y antiespumante.
BR112023024928A2 (pt) * 2021-08-05 2024-02-15 Stepan Co Composições tensoativa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0179A1 (de) * 1987-09-09 1989-03-23 Henkel Kgaa Verdickte waessrige tensidloesungen, insbesondere fuer deren einsatz auf dem gebiet kosmetischer praeparate
JPH01287017A (ja) 1988-05-11 1989-11-17 Kao Corp 低刺激性洗顔料
JPH06316782A (ja) 1993-04-30 1994-11-15 Lion Corp 伸線用洗浄剤組成物
JP2002226891A (ja) 2001-01-31 2002-08-14 Kao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JP5105668B2 (ja) * 2001-04-04 2012-12-26 株式会社日本触媒 アルコールアルコキシレート化合物およびその組成物
JP2003013092A (ja) 2001-06-27 2003-01-15 Toyo Riken Kk 洗浄剤
JP4643083B2 (ja) * 2001-09-13 2011-03-02 ホーユー株式会社 毛髪化粧料用組成物
JP3610434B2 (ja) 2002-02-06 2005-01-12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非イオン界面活性剤
JP4349858B2 (ja) 2002-07-18 2009-10-21 日本乳化剤株式会社 高級脂肪族アルコールのアルキレンオキシド付加界面活性剤
JP2004277685A (ja) 2003-03-13 2004-10-07 Matsumoto Yushi Seiyaku Co Ltd 増粘増泡剤および液体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913B1 (ko) 2013-08-22
US20090124523A1 (en) 2009-05-14
EP1956065B1 (en) 2012-04-18
WO2007052657A1 (ja) 2007-05-10
EP1956065A4 (en) 2009-11-11
AU2006309718B2 (en) 2011-06-02
CN102836086B (zh) 2014-09-10
US8048842B2 (en) 2011-11-01
ES2383086T3 (es) 2012-06-18
AU2006309718A1 (en) 2007-05-10
EP1956065A1 (en) 2008-08-13
CN102836086A (zh)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913B1 (ko) 증점 증포제
JP3961554B1 (ja) 増粘増泡剤
JP6014380B2 (ja) 増泡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JP3961555B2 (ja) 皮膚又は毛髪用洗浄剤組成物
KR20060010736A (ko) 세정제 조성물
JP2013010902A (ja) 増泡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JP2007015940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JP5101493B2 (ja) 洗浄剤組成物
JP4806527B2 (ja) 洗浄剤組成物
JP3088804B2 (ja) 皮膚洗浄料
JP2007231021A (ja) 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JPH07102292A (ja) ポリオキシエチレン脂肪酸アミド型界面活性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JP2006022116A (ja) 洗浄剤組成物
KR101353160B1 (ko) 세정제 조성물
JP2005206713A (ja) 界面活性剤組成物
JP3532333B2 (ja) 洗浄剤組成物
JPH0987289A (ja) 界面活性剤
JPS5822519B2 (ja) 洗浄剤組成物
JPH1180780A (ja) 陰イオン性界面活性剤及びそれを含む洗浄剤組成物
JPH0633416B2 (ja) 硬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3264727B2 (ja) ジオキシエチレン脂肪酸アミド含有洗浄剤
JP5123499B2 (ja) 界面活性剤混合物及び洗浄剤組成物
JP3391597B2 (ja) 洗浄剤組成物
JPH07207297A (ja) 洗浄剤組成物
JPH07310093A (ja) 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