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905A -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 Google Patents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905A
KR20080063905A KR1020070000483A KR20070000483A KR20080063905A KR 20080063905 A KR20080063905 A KR 20080063905A KR 1020070000483 A KR1020070000483 A KR 1020070000483A KR 20070000483 A KR20070000483 A KR 20070000483A KR 20080063905 A KR20080063905 A KR 20080063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polyester film
aliphatic polyester
film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5629B1 (ko
Inventor
김경연
김상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629B1/ko
Priority to CN200880001677XA priority patent/CN101578326B/zh
Priority to GB0912456A priority patent/GB2462702B/en
Priority to US12/521,841 priority patent/US8617696B2/en
Priority to PCT/KR2008/000032 priority patent/WO2008082256A1/en
Publication of KR20080063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8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r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접착성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에 관한 것으로, 제 1 수지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L-락트산 함량이 50 중량% 이상이고, 제 2 수지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D-락트산 함량이 5∼10 몰%이며, 85℃에서 30분 열탕 처리 후 제 2 수지층의 결정 융해열(△Hm)이 0.5 내지 20 J/g 이고, 제 2 수지층과 또 다른 제 2 수지층과의 열접착 강도가 300 내지 1500 gf/inch 이고, 85℃, 30분 열탕 조건에서 20% 이하의 헤이즈(haze)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은 열접착력이 양호하고 박리가 용이하며, 내열성, 투명성, 내충격성, 내찔림성, 치수안정성이 우수하여, 용기 덮개 필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MULTILAYERED ALIPHATIC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 가능한 열접착성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열접착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그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폐기물량도 증가하여 유해물질을 생성하고, 매립해도 썩지 않기 때문에 토양 오염을 유발하여 자연계에 악영향을 준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경우, 열접착성 부여를 위해 접착제나 기타 수지를 PET 필름에 코팅하거나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이 이용되는데, 코팅만으로는 최종 필름의 접착성을 바람직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어렵고, 라미네이트하는 경우에는 열접착성은 향상되나 복잡한 라미네이션 공정에 기인하여 최종 필름의 단가가 높아져 경제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 또한 생분해가 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최근, 환경 부하를 낮추고 폐기 후에 자연 환경 하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필름으로서 폴리락트산계 연신 필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일본 특개평9-157408호 및 특허공개 제2004-10900호는, 열접착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락트산 수지와 유리전이온도(Tg) 0℃ 이하의 다른 지방족 폴리에스터 수지로 구성된 다층 필름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필름은 열접착력이 너무 강하여 쉽게 박리가 불가능하며, 두 수지간의 상용성의 차이로 인하여 필름이 불투명하게 되고, 내열성이 약하여 최종 필름의 열수축률이 높아진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2003-170560호는, 열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접착층으로서 비결정성의 폴리락트산계 수지층을 갖는 다층 필름을 제시하고 있으나, 열탕 처리시 이 필름의 열접착층에 백탁이 발생하여 용기의 덮개(lid) 필름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접착력이 우수하고 박리가 용이하며, 내열성, 투명성, 내충격성, 내찔림성, 치수안정성이 우수하여, 포장용기의 덮개로 가공시(용기에 필름을 열접착한 후 열탕 처리하는 동안) 외관 및 헤이즈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완제품으로 운송 및 적재시 파열 불량이 낮은, 박리 가능한 열접착성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에 있어서,
제 1 수지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L-락트산 함량이 50 중량% 이상이고, 제 2 수지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D-락트산 함량이 5∼10 몰%이며,
85℃에서 30분 열탕 처리 후 제 2 수지층의 결정 융해열(△Hm)이 0.5 내지 20 J/g 이고, 제 2 수지층과 또 다른 제 2 수지층과의 열접착 강도가 300 내지 1500 gf/inch 이고, 85℃, 30분 열탕 조건에서 20% 이하의 헤이즈(haze)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은 하나 이상의 제 1 수지층 및 하나 이상의 제 2 수지층을 포함하며, 제 1 수지층은 L-락트산을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하고, 제 2 수지층은 D-락트산을 5 내지 10 몰%, 바람직하게는 6 내지 9 몰%의 양으로 포함한다.
제 1 수지층의 L-락트산 함량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의 내열성이 약해져 연신 및 열고정을 거치더라도 기계적 특성이 발현되지 않으며, 최종 필름의 열수축률이 너무 높아 열탕시 외관상의 수축 변화가 심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제 2 수지층(열접착층)의 D-락트산 함량이 5 몰% 미만인 경우에는 결정성이 너무 높아 열접착 강도가 발현되지 않으며, 10 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내열성이 나빠져 열탕 처리시 열분해 올리고머가 생성되어 필름의 헤이즈 변화를 가져 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필름은, 85℃에서 30분 열탕 처리 후 제 2 수지층이 0.5 내지 20 J/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 J/g의 결정 융해열(△Hm)을 갖는다. 제 2 수지층의 결정 융해열이 20 J/g를 초과할 경우에는 열접착층의 결정성이 높아짐으로 인해 열접착 강도가 낮아져 열접착 후 너무 쉽게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최종 필름이 딱딱하고 부서지기 쉬워 내충격성 및 내찔림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제 2 수지층의 결정 융해열이 0.5 J/g 미만이면 비결정성을 강하게 나타내어 열접착 강도가 높아져 열접착 후 쉽게 박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열탕 처리시 내열성이 불량해져 필름에 백탁 현상이 일어나 사용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필름의 제 2 수지층은, 최종 제품에 있어서 또 다른 제 2 수지층과 열접착될 때 300 내지 1500 gf/inch,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800 gf/inch의 열접착 강도를 나타낸다. 제 2 수지층 간의 열접착 강도가 1500 gf/inch 이상인 경우에는 층과 층 사이의 밀착성이 약해 덮개용 필름이 부드럽게 박리되지 않고 접착면에서 찢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300 gf/inch 이하인 경우에는 반대로 층과 층 사이의 밀착성이 너무 떨어져 작은 힘으로도 쉽게 벗겨지므로 안의 내용물이 샐 수 있어 제품의 운송 및 보관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필름은 85℃, 30분 열탕 조건에서 20% 이하의 헤이즈(haze)를 나타낸다. 보통 두부용 포장용기의 경우 열탕 살균처리되는데, 85℃, 30분 조건에서 열접착층의 결정화가 일반적으로 서서히 진행되어 필름의 외관이 변하므로, 상기 조건에서 필름의 헤이즈가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단위 두께당 0.5 kgf-cm 이상의 충격흡수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단위 두께당 0.5 kgf-cm 미만의 충격흡수에너지를 갖는 경우에는 포장용기를 적재한 후 운송시 제품끼리 서로 부딪히거나 떨어지면서 필름이 파열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0.80 kgf 이상의 내찔림강도를 가질 수 있다. 0.80 kgf 미만의 내찔림강도를 갖는 경우에는 제품 운송시 외부 충격에 의해 필름의 날카로운 모서리끼리 찌르면서 필름의 파열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100℃, 5분 열풍 조건에서 종방향과 횡방향의 수축률이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일 수 있다. 수축률이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축으로 인한 인쇄상 문제가 발생하고, 인쇄 후 컬 발생이 심하여 말리는 현상이 있으며, 열탕 처리시 외관의 수치 변화가 커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필름은, 제 1 수지와 제 2 수지를 용융 압출한 후 용융 압출된 시트를 통상적인 조건 하에서 종 및 횡연신하고 열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5 내지 3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의 두께비는 바람직하게는 1∼20:1, 더욱 바람직하게는 5∼9:1 범위이다. 제 2 수지층의 두께가 상기 두께비 보다 증가하면 필름 전체의 결정성이 감소하여 치수 안정성을 구현하기가 어렵고, 제 1 수지층의 두께가 상기 두께비 보다 증가하면 제 2 수지층과 또 다른 제 2 수지층과의 열접착 강도가 저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은, 열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투명성, 내충격성, 내찔림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박리 또한 용이하여, 용기에 열접착 필름으로서, 특히 용기 덮개 필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L-락트산 함량이 95 중량%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제 1 수지층으로 하고, D-락트산 함량이 6 몰%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제 2 수지층으로 하여,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의 두께비가 5:1이 되도록 제 1 수지와 제 2 수지를 용융 압출하였다. 이때, 각각의 수지를 피드 블록(feed block)으로 투입하여 용융 압출하였으며, T-다이를 통과시키고 냉각드럼에서 냉각하여 2층 공압출 시트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공압출 시트를 2축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 연신비 3.0배로 75℃에서 연신하고, 횡방향 연신비 3.8배로 85℃에서 연신한 다음, 140℃에서 열고정한 후 3% 이완하여, 20㎛의 두께를 가진 2축 연신 폴리에스터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L-락트산 함량이 90 중량%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제 1 수지층으로 하고, D-락트산 함량이 9 몰%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제 2 수지층으로 하여,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의 두께비가 5:1이 되도록 제 1 수지와 제 2 수지를 용융 압출하였다. 이때, 각각의 수지를 피드 블록(feed block)으로 투입하여 용융 압출하였으며, T-다이를 통과시키고 냉각드럼에서 냉각하여 2층 공압출 시트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공압출 시트를 2축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 연신비 3.0배로 75℃에서 연신하고, 횡방향 연신비 3.8배로 80℃에서 연신한 다음, 130℃에서 열고정한 후 3% 이완하여, 20㎛의 두께를 가진 2축 연신 폴리에스터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L-락트산 함량이 90 중량%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제 1 수지층으로 하고, D-락트산 함량이 12 몰%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제 2 수지층으로 하여,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의 두께비가 5:1이 되도록 제 1 수지와 제 2 수지를 용융 압출하였다. 이때, 각각의 수지를 피드 블록(feed block)으로 투입하여 용융 압출하였으며, T-다이를 통과시키고 냉각드럼에서 냉각하여 2층 공압출 시트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공압출 시트를 2축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 연신비 3.0배로 70℃에서 연신하고, 횡방향 연신비 3.8배로 80℃에서 연신한 다음, 130℃에서 열고정한 후 3% 이완하여, 20㎛의 두께를 가진 2축 연신 폴리에스터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L-락트산 함량이 90 중량%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제 1 수지층으로 하고, D-락트산 함량이 1 몰%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제 2 수지층으로 하여,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의 두께비가 5:1이 되도록 제 1 수지와 제 2 수지를 용융 압출하였다. 이때, 각각의 수지를 피드 블록(feed block)으로 투입하여 용융 압출하였으며, T-다이를 통과시키고 냉각드럼에서 냉각하여 2층 공압출 시트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공압출 시트를 2축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 연신비 3.0배로 75℃에서 연신하고, 횡방향 연신비 3.8배로 90℃에서 연신한 다음, 145℃에서 열고정한 후 3% 이완하여, 20㎛의 두께를 가진 2축 연신 폴리에스터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L-락트산 함량이 40 중량%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제 1 수지층으로 하고, D-락트산 함량이 11 몰%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제 2 수지층으로 하여,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의 두께비가 5:1이 되도록 제 1 수지와 제 2 수지를 용융 압출하였다. 이때, 각각의 수지를 피드 블록(feed block)으로 투입하여 용융 압출하였으며, T-다이를 통과시키고 냉각드럼에서 냉각하여 2층 공압출 시트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공압출 시트를 2축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 연신비 3.0배로 70℃에서 연신하고, 횡방향 연신비 3.8배로 75℃에서 연신한 다음, 130℃에서 열고정한 후 3% 이완하여, 20㎛의 두께를 가진 2축 연신 폴리에스터 필름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2축 연신 다층 폴리에스터 필름에 대하여 성능 평가를 다음과 같이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열특성 분석
필름 시료를 85℃에서 30분 열탕 처리한 후 퍼킨엘머(Perkin-Elmer)사 시차주사형 열분석기(DSC)를 이용하여 승온 속도 10℃/분으로 측정하여 발열곡선의 피크점인 결정화 온도, 다음으로 나타나는 흡열곡선의 피크면적을 계산하여, 제 2 수지층의 열탕 처리 후의 결정 융해열(△Hm, J/g)을 결정하였다.
(2) 열접착 강도
필름 시료를 폭 15mm, 길이 150 mm로 절단하고, 열접착층(제 2 수지층)끼리 서로 접하게 하여 40 psi/sec 조건의 열 구배(heat gradient)로 90℃에서 열접착한 후, 180° 박리 테스터(peel tester)를 이용하여 열접착된 시료를 300m/min의 속도로 박리시켜, 박리시의 최대 응력을 측정하고 이를 폭으로 나눈 값을 열접착 강도(gf/inch)로 정의하였다.
(3) 헤이즈(haze)
필름 시료를 85℃에서 30분 동안 열탕 처리한 후 일본정밀과학사(Niphon Semitsu Kogaku)의 헤이즈미터(모델명: SEP-H)를 사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4) 충격흡수에너지
ASTM D3420의 규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장치는 토요세이키(Toyoseiki)사의 필름충격시험기(film impact tester)를 사용하였다. 진자 팁(pendulum tip)은 1인 치의 직경을 가지는 반구형을 사용하였으며, 시료 필름은 직경이 약 50mm의 원형 구멍을 가지는 샘플대에 장착하였다. 이렇게 측정한 충격흡수에너지(kgf-cm)를 시료 필름의 두께(㎛)로 나누어 단위 충격흡수에너지(kgf-cm/㎛)로 하였다. 이때, 각 시료 마다 10번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취하였다.
(5) 내찔림강도
ASTM D882의 규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장치는 UTM(Shimadzu AGS-500D, 압축 모드(compression mode))을 사용하였다. 팁은 지름이 1mm인 원통형 타입이었다. 50 mm/min의 압축 속도로 10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취하여 내찔림강도(kgf)로 하였다.
(6) 열수축률
길이 200mm 및 폭 15mm의 필름 시료를 100℃로 유지되는 공기 순환 오븐 내에서 5분간 방치한 후 필름의 길이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종 및 횡방향의 수축률(%)을 산출하였다:
수축률(%) = (열처리전 길이 - 열처리 후 길이)/열처리전 길이 × 100
Figure 112007000579574-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은 열접착력이 양호하고 박리가 용이하며, 내열성, 투명성, 내충격성, 내찔림성, 치수안정성이 모두 우수한 반면에, 본 발명의 조건 범위에서 벗어나는 비교예 1 내지 3의 필름은 물성이 전반적으로 현저히 뒤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은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가지면서 열접착 필름에 요구되는 열접착력이 양호하고 박리가 용이하며, 투명성, 내충격성, 내찔림성, 치수안정성이 우수하여, 용기에 열접착 필름으로서, 특히 용기 덮개 필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에 있어서,
    제 1 수지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L-락트산 함량이 50 중량% 이상이고, 제 2 수지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D-락트산 함량이 5∼10 몰%이며,
    85℃에서 30분 열탕 처리 후 제 2 수지층의 결정 융해열(△Hm)이 0.5 내지 20 J/g 이고, 제 2 수지층과 또 다른 제 2 수지층과의 열접착 강도가 300 내지 1500 gf/inch 이고, 85℃, 30분 열탕 조건에서 20% 이하의 헤이즈(haze)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이 1∼20:1의 두께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단위 두께당 0.5kgf-cm 이상의 충격흡수에너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0.80kgf 이상의 내찔림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100℃, 5분 열풍 조건에서 종방향과 횡방향의 수축률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
KR1020070000483A 2007-01-03 2007-01-03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KR100845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483A KR100845629B1 (ko) 2007-01-03 2007-01-03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CN200880001677XA CN101578326B (zh) 2007-01-03 2008-01-03 多层脂肪族聚酯膜
GB0912456A GB2462702B (en) 2007-01-03 2008-01-03 Multilayered aliphatic polyester film
US12/521,841 US8617696B2 (en) 2007-01-03 2008-01-03 Multilayered aliphatic polyester film
PCT/KR2008/000032 WO2008082256A1 (en) 2007-01-03 2008-01-03 Multilayered aliphatic polyester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483A KR100845629B1 (ko) 2007-01-03 2007-01-03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905A true KR20080063905A (ko) 2008-07-08
KR100845629B1 KR100845629B1 (ko) 2008-07-10

Family

ID=3958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483A KR100845629B1 (ko) 2007-01-03 2007-01-03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17696B2 (ko)
KR (1) KR100845629B1 (ko)
CN (1) CN101578326B (ko)
GB (1) GB2462702B (ko)
WO (1) WO20080822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8357B2 (en) 2010-04-06 2014-08-19 Poly-Med, Inc. Radiopaque iodinated and iodide-containing crystalline absorbable aliphatic polymeric materials and applications thereof
CN104606707B (zh) * 2013-11-04 2017-08-15 允友成(宿迁)复合新材料有限公司 可降解抗菌生医多层膜
CN112694722A (zh) * 2020-12-24 2021-04-23 广州亚俊氏电器有限公司 一种塑料膜和塑料袋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715A (ja) * 1996-11-22 1998-06-09 Dainippon Ink & Chem Inc 熱融着可能な乳酸系ポリマー積層体
DE19740111A1 (de) * 1997-09-12 1999-03-18 Basf Ag Milchsäurepolymerisate
JP3236842B2 (ja) * 1999-10-27 2001-12-10 三菱樹脂株式会社 生分解性袋
JP2003094585A (ja) * 2001-09-26 2003-04-03 Dainippon Ink & Chem Inc ヒートシールフィルム
CN100411870C (zh) 2002-04-02 2008-08-20 三菱树脂株式会社 热收缩性聚乳酸系薄膜
JP2004094585A (ja) * 2002-08-30 2004-03-25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コンピュータにプリンタに関する処理を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プリンタホスト、印刷システム、プリンタの消耗品の注文書を印刷する方法、プリンタに装着するための消耗品
US20070099016A1 (en) * 2003-02-10 2007-05-03 Tamapoly Co., Ltd. Non-oriented polylactic acid-based multilayer film and mehtod of producing same
JP4949604B2 (ja) 2003-03-07 2012-06-13 三菱樹脂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乳酸系積層フィルム
JP4619624B2 (ja) * 2003-03-31 2011-01-26 旭硝子株式会社 積層ホース
EP1647398A4 (en) * 2003-07-18 2009-07-01 Mitsubishi Plastics Inc ALIPHATIC POLYESTER FILMS AND PACKAGING MATERIAL
US7235287B2 (en) 2003-10-01 2007-06-26 Mitsubishi Plastics, Inc. Biodegradable laminated sheet
JP4355257B2 (ja) 2004-05-24 2009-10-28 三菱樹脂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乳酸系フィルム
CA2472420C (en) * 2004-06-23 2011-11-08 Thomas L. Inglis An improved packaging film
TW201005393A (en) * 2004-11-19 2010-02-01 Mitsubishi Plastics Inc Light reflecting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reflecting body
TWI370057B (en) 2005-01-11 2012-08-11 Mitsubishi Plastics Inc Heat shrinkable laminated film
JP4913350B2 (ja) 2005-03-04 2012-04-11 三菱樹脂株式会社 ポリ乳酸系フィルム印刷体および自動販売機内模擬缶用ラ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912456D0 (en) 2009-08-26
CN101578326B (zh) 2012-04-25
CN101578326A (zh) 2009-11-11
US8617696B2 (en) 2013-12-31
US20100055428A1 (en) 2010-03-04
KR100845629B1 (ko) 2008-07-10
GB2462702B (en) 2011-09-07
GB2462702A (en) 2010-02-24
WO2008082256A1 (en)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56242T3 (es) Pelicula pelable y sellable de acido polilactico
US9656447B2 (en) Lidding structure based on aromatic polyester film, extrusion-coated with a sealable/peelable copolyester layer
JP2023001195A (ja)
JP2009107340A (ja) 金属化非延伸フィルムを有するバリア包装用ウェブ
US20140004286A1 (en) Lighter than air balloons from laminates comprising bio-based polyester films and bio-based polyethylene films
EP2059390A1 (en) Multilayered aliphatic polyester film
JP2022116198A (ja)
KR101045869B1 (ko) 다층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필름
KR100845629B1 (ko)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JP4841169B2 (ja) 液体紙容器用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液体紙容器材料及びアセプティック液体紙容器
JP2009102048A (ja) 包装袋用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JP6050574B2 (ja) 二軸延伸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フィルムを含む冷間成形用プレススルーパック包材
JP2008030792A (ja) 蓋材用積層フィルム
WO2020262326A1 (ja) 積層体、及び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2003305817A (ja) 多層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6890939B2 (ja) 易開封性延伸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易開封性ラミネート材
JP4957065B2 (ja) ポリ乳酸包装体用易開封性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ポリ乳酸包装体
JP5100946B2 (ja) 強延伸脂肪族ポリエステル重合体成形物
KR100904144B1 (ko) 생분해성 이축연신 적층 필름
JP2018172151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および積層体
JP2006130847A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多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87181A (ja) 易開封性積層フィルム、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蓋材
JP2023009437A (ja) 電池包装用積層体
JP2010076220A (ja) 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2020121455A (ja) 包装材料およびリサイク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