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511A - 리튬 이온 배터리들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배터리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511A
KR20080063511A KR1020087011770A KR20087011770A KR20080063511A KR 20080063511 A KR20080063511 A KR 20080063511A KR 1020087011770 A KR1020087011770 A KR 1020087011770A KR 20087011770 A KR20087011770 A KR 20087011770A KR 20080063511 A KR20080063511 A KR 20080063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nano
surface area
bet surface
batt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모시 엠. 스피틀러
Original Assignee
알타이어나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타이어나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타이어나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63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배터리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한 재충전, 더 긴 배터리 수명 및 안전한 작동을 제공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들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를 제공한다: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충전율을 갖는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배터리들{LITHIUM ION BATTERI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배터리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한 재충전, 더 긴 배터리 수명 및 안전한 작동을 제공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들에 관한 것이다.
개선된 리튬 이온 배터리들은 수년간 연구되어 왔다. 그러한 연구들과 관련된 최근의 보고들의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미국 특허 제7,115,339호; 미국 특허 제7,101,642호; 미국 특허 제7,087,349호; 미국 특허 제7,060,390호; 및 미국 특허 제7,026,074호.
미국 특허 제7,115,339호는 양의 전극, 음의 전극,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 사이에 삽입된 격리판(separator) 및 비수성 용매에 리튬 염(lithium salt)을 용해시킴으로써 준비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2차 배터리를 논의한다. 격리판은 염기성 고체 입자들 및 합성 결합제(binder)를 포함하는 투과성 막층을 갖는다. 투과성 막층은 양의 전극 및 음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한 표면에 점착된다. 합성 결합제는 1차 결합제 및 2차 결합제를 포함하고, 1차 결합제는 폴리에테르 설폰을 포함하며, 2차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7,101,642호는 배터리에 영구적인 손상을 야기하지 않고 매우 낮은 전압에서 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보고한다. 상기 특허에서 논의된 그러한 배터리는 LiNixCo1 -x- yMyO2를 포함하는 제1 활성 물질을 가지며, 여기서 M은 Mn, Al, Mg, B, Ti 또는 Li이다. 그것은 탄소를 포함하는 제2 활성 물질을 더 포함한다. 배터리 전해질은 고체 전해질 인터페이스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음의 전극과 반응한다.
미국 특허 제7,087,349호는 유기 전해질 용액을 포함하는 리튬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전해질 용액은 리튬 금속으로 흡수될 수 있는 에틸렌 산화물 체인을 갖는 중합체 흡수제를 포함한다. 전해질 용액은 리튬 합금, 리튬 염 및 유기 용매를 형성하기 위하여 리튬과 반응할 수 있는 금속을 더 갖는다. 상기 특허에 따라, 유기 전해질 용액은 리튬 금속을 안정시키고, 리튬 이온 전도성을 증가시킨다.
미국 특허 제7,060,390호는 리튬 도핑된 전이 금속 합금 산화물들의 복수의 나노입자들을 갖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개시한다. 합금 산화물들은 공식 LixCoyNizO2으로 표현된다. 배터리 애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 나노튜브 어레이, 전해질 및 캐소드로부터 애노드를 분리하는 막(membrane)을 포함한다. 애노드 내의 탄소 나노튜브 어레이들은 복수의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들을 갖는다.
미국 특허 제7,026,074호는 개선된 안전한 프로파일을 갖는 리튬 배터리를 보고한다. 배터리는 배터리 전해질 용액에서 하나 이상의 첨가물들을 이용하며, 여기서 리튬 염이 유기 용매에 용해된다. 첨가물들의 예로는 1 중량 퍼센트 트리 페닐(triphenyl) 인산염(phosphate), 1 중량 퍼센트 디페닐(diphenyl) 모노부틸(monobutyl) 인산염 및 2 중량 퍼센트 비닐 에틸렌 탄산염 첨가물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리튬 염은 통상적으로 LiPF6이고, 전해질 용매는 대개 EC/DEC이다.
리튬 이온 배터리들에 대해 수행된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재충전, 배터리 수명 및 안전성과 관련된 프로파일들을 향상시키는 리튬 이온 배터리들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한 향상된 프로파일들을 갖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배터리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한 재충전, 더 긴 배터리 수명 및 안전한 작동을 제공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들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를 제공한다: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도 1은 Li4Ti5O12 첨정석 나노-결정형 입자들을 보여준다.
도 2는 나노-구조화된 Li4Ti5O12 애노드 물질들로 구성된 리튬 이온 전지에 대한 방전 용량 대 사이클 개수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3은 종래의 리튬 이온 배터리와 비교하여 나노-구조화된 Li4Ti5O12 애노드 물질들로 구성된 리튬 이온 전지에 대한 방전 용량 대 충전율의 그래프 및 방전 용량 대 방전율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배터리들은 특히 배터리 전극들의 맥락에서 나노-물질들을 포함한다. 배터리들은 빠른(예를 들어 수 분) 재충전 배터리들,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위한 배터리들 및 전력 툴들을 위한 배터리들과 같은 특정 세분 시장(market segment) 제품들을 가능하게 하는 실용적인 충전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나노-물질들은 더 높은 안전성 및 더 긴 수명을 제공하는 특정한 화학적 특성들을 보인다; 이는 현재 기술에 대해 현저히 큰 가치를 유발한다.
전극 정자(crystallite) 크기의 감소는 전기 화학적 충전 및 방전 프로세스들 동안에 입자들에서 리튬 이온들이 이동해야만 하는 확산 거리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정자 크기의 감소는 또한 다음의 공식에 따라 정자들로의 삽입을 위한 Li 이온에 대하여 이용가능한 정자/전해질 인터페이스 영역을 증가시킨다:
A=2π/ρR
여기서 A는 인터페이스 특정 영역이고, ρ는 밀도이며, R은 정자 반경이다. 이러한 팩터들 모두의 결합은 활성 물질 입자들 내부의 리튬 이온들의 대량 전송 특성들을 현저히 개선하고, 전극의 개별적인 충전/방전율을 극적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정자 크기의 감소로 인한 전극/전해질 인터페이스 영역의 증가는 전극 인터페이스 임피던스를 감소시킨다. 또한 물질 입자 크기의 감소로 인한 정자에서 Li 이온 전송의 개선은 전극 임피던스의 확산 제어된 부분을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수 미크론으로부터 수십 나노미터까지의 정자 크기의 감소는 전지 전력 성능을 극적으로 개선한다.
속도 출력 및 전력 성능의 개선은 고 전력 및 고속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을 허용하는 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노-결정 Li4Ti5O12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애노드를 갖는 배터리들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화합물들은 정자 크기, 입자 크기, 입자 형태, 입자 다공성 및 정자 연결(interlinking)의 등급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합성된다. Li4Ti5O12 첨정석 나노-결정 구형 입자들의 실시예들이 도 1에 도시된다.
Li4Ti5O12 애노드 물질은 명확한 다공성 및 정자 연결을 갖는 나노-정자들의 집합체를 포함한다. 이것은 정자들 사이에 최적 전자 전송뿐만 아니라, 입자의 구조의 내부 및 외부로의 최적 리튬 이온 전송을 초래한다. 음의 전극을 위해 이러한 나노-결정 물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들의 방전율 용량의 일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된다. 전지들의 사이클링 특성들이 도 3에 도시된다.
나노-결정 Li4Ti5O12 물질은 적어도 10m2/g의 BET(Brunauer-Emmet-Teller) 표면 면적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물질은 10 내지 20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다. 종종, 물질은 20 내지 160m2/g 또는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 적을 갖는다. 특정 경우에, 물질은 70 내지 11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다.
본 발명과 관련된 연구는 LiCoO2 및 LiNiXCo1 - XO2를 이용하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배터리들에서 측정된 임피던스가 양의 전극의 인터페이스 저항에 의해 제어됨을 보였다. 따라서, 탄소로부터 Li4Ti5O12 첨정석으로 애노드를 변화시키는 것 - 및 결과적인 전압 페널티를 참작하는 것 - 은 이러한 공통적으로 사용된 물질들이 대응 캐소드에서 이용될 때 전력 용량의 감소를 야기할 것이다. Li4Ti5O12 애노드와 결합하여 캐소드로서 LiMn2O4 첨정석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낮은 인터페이스 임피던스 및 망간산염 첨정석 물질의 3차원 구조로 인하여 우수한 배터리 성능을 허용함이 또한 밝혀졌다. 나노-구조화된 LiMn2O4의 사용은 부가적으로 배터리 성능을 개선한다. 나노-결정 Li4Ti5O12에 겨냥된 특정 테스트들의 결과가 도 3에 도시된다.
나노-결정 LiMn2O4 물질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물질은 적어도 7.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다. 종종, 물질은 적어도 10m2/g 또는 1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다. 특정 경우에, 물질은 적어도 20m2/g 또는 2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배터리들에 사용되는 전해질 용액은 통상적으로 리튬 염 및 비수 성 용매와 같은 전해질을 포함한다. 그러한 리튬 염들의 비제한적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불소-함유 무기 리튬 염(예를 들어, LiPF6, LiBF4); 염소-함유 무기 리튬 염(예를 들어, LiClO4); 불소-함유 유기 리튬 염(예를 들어, LiN(CF3SO2)2, LiN(C2F5SO2)2, LiCF3SO3, LiC(CF3SO2)3, LiPF4(CF3)2, LiPF4(C2F5)2, LiPF4(CF4SO2)2, LiPF4(C2F5SO2)2, LiBF2(CF3)2, LiBF2(C2F5)2, LiBF2(CF3SO2)2 및 LiBF2(C2F5SO2)2). 비수성 용매의 주 성분의 비제한적 예로는 고리형(cyclic) 탄산염(예를 들어, 에틸렌 탄산염 및 프로필렌 탄산염), 선형 탄산염(예를 들어, 디메틸 탄사염 및 에틸메틸 탄산염), 및 고리형 카르복시산 에스테르(예를 들어, γ-부티로락톤(butyrolactone) 및 γ-발레로락톤(valerolactone))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비수성 전해질 용액은 선택적으로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선택적 성분들로는, 충전 과다 방지제, 탈수제 및 산성 제거제와 같은 종래에 공지된 보조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충전 과다 방지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비페닐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예를 들어, 알킬비페닐, 테르페닐, 테르페닐의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생성물, 사이클로헥실벤젠, t-부틸벤젠, t-아밀벤젠, 디페닐 에테르 및 디벤조파란); 방향족 화합물의 부분적으로 불소화된 생성물(예를 들어, 2-플루오로비페닐, o-사이클로헥실플루오로벤젠 및 p-사이클로헥실플루오로벤젠); 및 불소-함유 아니솔 화합물(예를 들어, 2,4-디플루오로아니솔, 2,5-디플루오로아니솔 및 2,6-디플루오로아니솔).
고온에서 저장한 이후에 용량 유지 특징들 및 사이클 특징들을 개선하기 위한 보조물의 비제한적 실시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탄산염 화합물(예를 들어, 비닐에틸렌 탄산염, 플루오로에틸렌 탄산염, 트리플루오로프로필렌 탄산염, 페닐에틸렌 탄산염, 에르브쓰리탄(ervthritan) 탄산염 및 스피로-비스-디메틸렌 탄산염); 카르복실기 무수물(예를 들어, 숙신산 무수물, 글루타르산 무수물, 말레익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글루타콘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디글리콜산 무수물, 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기 무수물, 사이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기 이무수물 및 페닐숙신산 무수물); 설폰-함유 화합물(예를 들어, 에틸렌 설파이트, 1,3-프로판설톤, 1,4-부탄설톤, 메틸 메탄설포네이트, 부설판, 설포란, 설포렌, 디메틸설폰, 디페닐설폰, 메틸페닐설폰, 디부틸디설파이드, 디사이클로헥실디설파이드, 테트라메틸티우람 모노설파이드, N,N-디메틸메탄설폰아미드 및 N,N-디에틸메탄설폰아미드); 질소-함유 화합물(예를 들어, 1-메틸-2-피롤리디논, 1-메틸-2-피페리돈, 3-메틸-2-옥사졸리디논,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및 N-메틸숙신이미드); 탄화수소 화합물(예를 들어, 헵탄, 옥탄 및 사이클로헵탄); 및 불소-함유 화합물(예를 들어, 플루오로벤젠, 디플루오로벤젠, 헥사플루오로벤젠 및 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 화합물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들은 전해질 용액에서 산성 또는 부식제, 카드뮴, 니켈, 납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배터리에 포함된 격리판은 임의의 적절한 타입일 수 있다. 격리판의 비제한적 실시예들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폴리오레핀-기반 격리판; 불소화 합된 폴리오레핀-기반 격리판; 불소 수지 기반 격리판(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격리판); 폴리프로필렌 격리판; 폴리비닐리덴 불화물 격리판; VDF-HFP 공중합체 격리판;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중층 격리판;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삼중층 격리판;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삼중층 격리판.
종래의 리튬 배터리들은 다음과 같은 성능 특징들을 갖는다: 1/2C(즉, 2 시간)의 충전율; 4C(즉, 15분)의 방전율; 300-500 사이클의 사이클 수명(얕고 완전하지 않은 방전의 깊이 "DOD"); 및 2-3년의 수명. 본 발명의 배터리들은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성능 특징들을 갖는다: 10C(즉, 6 분), 20C(즉, 3분) 또는 그 이상의 충전율; 10C, 20C, 30C(즉, 2분), 40C(즉, 1.5분) 또는 그 이상의 방전율; 1,000, 2,000, 3,000 또는 그 이상의 사이클 수명(완전한 DOD); 및 5-9 또는 10-15년의 수명.
종래의 리튬 전력 배터리들은 약 130℃ 초과의 잠재적으로 폭발성인 열적 폭주(thermal runaway) 문제들을 보인다. 상기 문제점은 전극 표면들에서 통상적으로 나타나는 높은 열적 임피던스에 의해 악화된다. 따라서 실제적인 충전율 및 방전율에서 배터리의 안전성은 전류가 높은 저항을 통과함으로써 야기된 가열에 의해 제한된다. 방전 및 역(reverse) 방전하에서, 전지들을 충전 및 전압이 안정된 상태에 유지시키고 충전 과다의 위험한 상태를 피하기 위하여 값비싸며 정교한 전자 회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터리들은 250℃ 미만의 열적 폭주(thermal runaway)를 제거한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포함된 나노-구조화된 물질들을 이용하는 전극 구조물들의 매우 낮은 내부 임피던스로 인한 것이며, 매우 낮은 내부 임피던스는 높은 전류에서 충전 및 방전 동안에 가열을 최소화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들은 표준 리튬 이온 시스템에 필요한 높은 레벨의 값비싼 제어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는 본 발명의 배터리들이 안전하기 과다 충전될 수 있으며 완전히 방전될 때 손상되지 않기 때문이다. 전지 전압 밸런싱에 대한 요구는 제어 회로로부터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는 관련 비용을 크게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배터리들은 여러 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들의 사용의 비제한적 실시예들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속적(uninterruptible) 전력 공급부(UPS)에 대한 대체물;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위한 배터리; 및 전력 툴들을 위한 배터리.
UPS 시스템들은 백업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납 산성 배터리들 또는 기계적 플라이휠들을 사용한다. 배터리-기반 시스템들은 납 산성 배터리들의 고장 경향 및 1.5 내지 4년마다의 교체 요구를 겪는다. 또한, 기계적 플라이휠들은 15-20초의 백업 전력만을 제공한다; 발전기는 추가의 백업을 제공하기 위하여 8초안에 시작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들은 플라이휠 UPS 시스템들에 대한 고체 상태 대체물이며, 정기적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배터리들은 통상적인 사용시 15년까지 지속될 것이고, 넓은 온도 범위(-40℃ 내지 +65℃)에 걸쳐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종래의 HEV 배터리 시스템들은 무거운 및/또는 유독한 납-산성, 카드뮴 또는 니켈-기반 배터리들의 사용으로 인한 문제를 겪는다. 최소한 이러한 배터리들은 수천 달러의 비용으로 매 5 내지 7년마다 교체되어야만 한다. 성능이 좋은(performance-wise) 전류 배터리들의 제한된 전력 용량은 하나의 배터리 전력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가속을 제한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류 HEV 배터리 시스템들의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에 의해 악화된다.
그것들의 환경 및 중량 장점에 더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들은 대단히 높은 방전율(100C에 이르는 그리고 그 이상의) 및 40C에 이르는 충전율(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현재 이용불가능한)을 갖는다. 높은 충전율은 약 1.5분 동안 완전한 충전을 허용한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자동차만 이러한 물질 개선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것이 아니라, 처음의 실용적인 완전한 전기 자동차에 대해서도 실제 옵션이 될 수 있다.
배터리 팩들은 통상적으로 현재 이용가능한 전력 툴 배터리들의 중량으로 인하여 크기가 제한된다. 팩의 크기는 대응하여 배터리마다 작동 시간을 제한하고, 배터리 팩에 대한 재충전 시간은 1 내지 2 시간일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전력 툴 배터리 시스템들은 부식성 전해질 외에도 카드뮴 및 니켈을 포함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배터리 팩들은 통상적으로 1 내지 2 파운드의 무게가 나가며, 서스펜더 벨트상에서 운반될 수 있다. 팩은 5 내지 6 시간의 동작에 대하여 최적화되며, 10 내지 15분 동안 재충전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임의의 니켈, 카드뮴 또는 다른 해로운 물질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하기에 기재된 것은 본 발명의 배터리들의 비제한적 실시예들 및 그들의 애플리케이션이다:
1.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충전율을 갖는다.
2.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방전율을 갖는다.
3.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1,000 사이클의 사이클 수명을 갖는다.
4.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충전율을 갖 는다; 배터리는 5-9년의 수명을 갖는다.
5.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10-15년의 수명을 갖는다.
6.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전해질 용액에서 산성 또는 부식제, 카드뮴, 니켈, 납을 포함하지 않는다.
7.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250℃ 미만의 열적 폭주(thermal runaway)를 제거한다.
8.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충전 율을 갖는다.
9.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방전율을 갖는다.
10.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1,000 사이클의 사이클 수명을 갖는다.
11.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5-9년의 수명을 갖는다.
12.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10-15년의 수명을 갖는다.
13.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전해질 용액에서 산성 또는 부식제, 카드뮴, 니켈, 납을 포함하지 않는다.
14.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250℃ 미만의 열적 폭주(thermal runaway)를 제거한다.
15.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방전율을 갖는다.
16.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1,000 사이클의 사이클 수명을 갖는다.
17.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1,000 사이클의 사이클 수명을 갖는다; 배터리는 10-15년의 수명을 갖는다.
18.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1,000 사이클의 사이클 수명을 갖는다; 배터리는 10-15년의 수명을 갖는다; 배터리는 전해질 용액에서 산성 또는 부식제, 카드뮴, 니켈, 납을 포함하지 않는다.
19.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1,000 사이클의 사이클 수명을 갖는다; 배터리는 10-15년의 수명을 갖는다; 배터리는 전해질 용액에서 산성 또는 부식제, 카드뮴, 니켈, 납을 포함하지 않는다; 배터리는 250℃ 미만의 열적 폭주를 제거한다.
20.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2,000 사이클의 사이클 수명을 갖는다; 배터리는 10-15년의 수명을 갖는다; 배터리는 전해질 용액에서 산성 또는 부식제, 카드뮴, 니켈, 납을 포함하지 않는다; 배터리는 250℃ 미만의 열적 폭주(thermal runaway)를 제거한다.
21.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3,000 사이클의 사이클 수명을 갖는다; 배터리는 10-15년의 수명을 갖는다; 배터리는 전해질 용액에서 산성 또는 부식제, 카드뮴, 니켈, 납을 포함하지 않는다; 배터리는 250℃ 미만의 열적 폭주(thermal runaway)를 제거한다.
22. 다음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배터리는 적어도 20C의 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40C의 방전율을 갖는다; 배터리는 적어도 3,000 사이클의 사이클 수명을 갖는다; 배터리는 10-15년의 수명을 갖는다; 배터리는 전해질 용액에서 산성 또는 부식제, 카드뮴, 니켈, 납을 포함하지 않는다; 배터리는 250℃ 미만의 열적 폭주를 제거한다.
23. 연속적 전력 공급부에 대한 대체물, 상기 대체물은 상기 1-22 섹션의 배터리임.
24. 전기 자동차, 상기 전기 자동차는 상기 1-22 섹션의 배터리를 포함함.
25.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상기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상기 1-22 섹션의 배터리를 포함함.
26. 전력 툴, 상기 툴은 상기 1-22 섹션의 배터리를 포함함.

Claims (14)

  1. 배터리로서,
    a)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4Ti5O12를 포함하는 애노드;
    b) 적어도 5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을 포함하는 캐소드
    를 포함하며, 적어도 10C의 충전율을 갖는,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적어도 10C의 방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적어도 1,000 사이클의 사이클 수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5-9년의 수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10-15년의 수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전해질 용액에서 산성 또는 부식제, 카드뮴, 니켈, 납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250℃ 미만의 열적 폭주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결정 Li4Ti5O12는 30 내지 140m2/g 범위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결정 LiMn2O4 첨정석은 적어도 10m2/g의 BET 표면 면적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적어도 2,000 사이클의 사이클 수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1. 제5항에 따른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전력 공급부를 위한 대체물.
  12. 제5항에 따른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13. 제5항에 따른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14. 제5항에 따른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툴.
KR1020087011770A 2005-10-21 2006-10-23 리튬 이온 배터리들 KR200800635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2910005P 2005-10-21 2005-10-21
US60/729,100 2005-10-21
US74812405P 2005-12-06 2005-12-06
US60/748,124 2005-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511A true KR20080063511A (ko) 2008-07-04

Family

ID=3796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770A KR20080063511A (ko) 2005-10-21 2006-10-23 리튬 이온 배터리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092798A1 (ko)
EP (1) EP1974407A2 (ko)
JP (1) JP2009512986A (ko)
KR (1) KR20080063511A (ko)
AU (1) AU2006304951B2 (ko)
CA (1) CA2626554A1 (ko)
IL (1) IL190958A0 (ko)
MX (1) MX2008005136A (ko)
WO (1) WO20070481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2180A1 (en) * 2001-07-31 2003-02-05 Xoliox SA Process for producing Li4Ti5O12 and electrode materials
CA2478698C (en) * 2002-03-08 2012-05-29 Altair Nanomaterials Inc. Process for making nano-sized and sub-micron-sized lithium-transition metal oxides
EP2043950A4 (en) * 2006-06-06 2009-09-16 Nanoscale Corp SYNTHESIS OF NANOCRYSTALLINE MATERIALS WITH LARGE SURFACE FOR BATTERY APPLICATIONS
WO2008089454A1 (en) * 2007-01-18 2008-07-24 Altair Nanotechnologies, Inc. Methods for improving lithium ion battery safety
KR20090129500A (ko) * 2007-03-30 2009-12-16 알타이어나노 인코포레이티드 리튬 이온 전지의 제조방법
DE102008004236A1 (de) * 2008-01-14 2009-07-16 Temic Automotive Electric Motors Gmbh Energiespeicher und Bordnetz mit einem solchen Energiespeicher
CZ2008572A3 (cs) 2008-09-19 2010-02-10 He3Da S.R.O. Lithiový akumulátor s prostorovým typem elektrod a zpusob jeho výroby
US20100171466A1 (en) * 2009-01-05 2010-07-08 Timothy Spitler Lithium-ion batteri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20100178556A1 (en) * 2009-01-15 2010-07-15 Veselin Manev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battery
EP2230706A1 (de) 2009-03-15 2010-09-22 Ogron Bv Verfahren zur Herstellung wiederaufladbarer Lithium Batterien mit thermisch beschichteten Kathoden und Anoden und der Möglichkeit des Elektrolytenaustausches
KR101243906B1 (ko) * 2010-06-21 2013-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전지 및 상기 리튬 전지의 제조 방법
CZ2010703A3 (cs) 2010-09-23 2012-04-04 He3Da S.R.O. Lithiový akumulátor
EP2945211B1 (en) * 2014-05-15 2018-11-21 Saft Groupe S.A. Lithium titanate oxide as negative electrode in li-ion cells
WO2016160703A1 (en) 2015-03-27 2016-10-06 Harrup Mason K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US10707531B1 (en) 2016-09-27 2020-07-07 New Dominion Enterprises Inc.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Family Cites Families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5544A (en) * 1970-05-11 1977-12-27 Union Carbide Corporation Finely divided metal oxides and sintered objects therefrom
US3765921A (en) * 1972-03-13 1973-10-16 Engelhard Min & Chem Production of calcined clay pigment from paper wastes
US3903239A (en) * 1973-02-07 1975-09-02 Ontario Research Foundation Recovery of titanium dioxide from ores
GB1489927A (en) * 1974-08-10 1977-10-26 Tioxide Group Ltd Titanium dioxide carrier
US4058592A (en) * 1976-06-30 1977-11-15 Union Carbide Corporation Preparation of sub-micron metal oxide powders from chloride-containing compounds
US4189102A (en) * 1978-05-10 1980-02-19 Andrews Norwood H Comminuting and classifying apparatus and process of the re-entrant circulating stream jet type
US4219164A (en) * 1979-03-16 1980-08-26 Microfuels, Inc. Comminution of pulverulent material by fluid energy
US4502641A (en) * 1981-04-29 1985-03-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id energy mill with differential pressure means
DE3132674C2 (de) * 1981-08-19 1983-12-08 Degussa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reßlingen
FI63869C (fi) * 1981-11-27 1983-09-12 Jouko Niemi Tryckkammarkvarn
US4664319A (en) * 1984-09-24 1987-05-12 Norandy, Incorporated Re-entrant circulating stream jet comminuting and classifying mill
WO1986005170A1 (en) * 1985-03-05 1986-09-12 Idemitsu Kosan Company Limited Super-fine spherical particles of metal oxide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4649037A (en) * 1985-03-29 1987-03-10 Allied Corporation Spray-dried inorganic oxides from non-aqueous gels or solutions
US5173455A (en) * 1986-09-24 1992-12-22 Union Carbide Coatings Service Technology Corporation Low sintering cordierite powder composition
US4944936A (en) * 1987-04-10 1990-07-31 Kemira, Inc. Titanium dioxide with high purity and uniform particle size and method therefore
FR2624505A1 (fr) * 1987-12-11 1989-06-16 Rhone Poulenc Chimie Zircone stabilise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on application dans des compositions ceramiques
US5114702A (en) * 1988-08-30 1992-05-19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ethod of making metal oxide ceramic powders by using a combustible amino acid compound
GB8829402D0 (en) * 1988-12-16 1989-02-01 Tioxide Group Plc Dispersion
US4923682A (en) * 1989-03-30 1990-05-08 Kemira, Inc. Preparation of pure titanium dioxide with anatase crystal structure from titanium oxychloride solution
US5036037A (en) * 1989-05-09 1991-07-30 Maschinenfabrik Andritz Aktiengesellschaft Process of making catalysts and catalysts made by the process
US5160712A (en) * 1990-04-12 1992-11-03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 (Prop.) Ltd Lithium transition metal oxide
US5133504A (en) * 1990-11-27 1992-07-28 Xerox Corporation Throughput efficiency enhancement of fluidized bed jet mill
DE4211560A1 (de) * 1992-04-07 1993-10-14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mpositpigmenten
US5478671A (en) * 1992-04-24 1995-12-26 Fuji Photo Film Co., Lt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US5550095A (en) * 1992-05-08 1996-08-27 Mitsubishi Rayon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catalyst used for synthesis of methacrylic acid
JP3502118B2 (ja) * 1993-03-17 2004-03-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負極の製造法
DE4329129A1 (de) * 1993-08-30 1995-03-02 Merck Patent Gmbh Photostabilisierung von Titandioxidsolen
JPH07122299A (ja) * 1993-10-21 1995-05-12 Fuji Photo Film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DE69333612T2 (de) * 1993-12-13 2005-09-29 Ishihara Sangyo Kaisha Ltd. Ultrafeine eisenhaltige Teilchen von Titandioxid des Rutiltyp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H07263028A (ja) * 1994-03-25 1995-10-13 Fuji Photo Film Co Ltd 非水二次電池
US5698177A (en) * 1994-08-31 1997-12-16 University Of Cincinnati Process for producing ceramic powders, especially titanium dioxide useful as a photocatalyst
DE4447578C2 (de) * 1994-09-30 1999-01-14 Zsw Ternäre Lithium-Mischoxid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WO1996022943A1 (fr) * 1995-01-26 1996-08-01 Japan Metals And Chemicals Co., Ltd. PROCEDE DE PRODUCTION DE SPINELLES LiMn2O¿4?
ES2155941T5 (es) * 1995-09-15 2012-04-30 Rhodia Chimie Sustrato con revestimiento fotocatalítico a base de dióxido de titanio y dispersiones orgánicas a base de dióxido de titanio
DE19543204C2 (de) * 1995-11-20 1997-09-18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nodispersem Titandioxid und seine Verwendung
JP3894614B2 (ja) * 1996-03-18 2007-03-22 石原産業株式会社 チタン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
JPH09272815A (ja) * 1996-04-02 1997-10-21 Merck Japan Kk 金属酸化物複合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7048141A1 (fr) * 1996-06-14 1997-12-18 Hitachi Maxell, Ltd. Batterie secondaire au lithium
EP0816292B1 (en) * 1996-06-27 2000-01-05 The Honjo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lithium manganese oxide with spinel structure
US5833892A (en) * 1996-07-12 1998-11-10 Kemira Pigments, Inc. Formation of TiO2 pigment by spray calcination
JPH1064520A (ja) * 1996-08-23 1998-03-06 Fuji Photo Film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3269396B2 (ja) * 1996-08-27 2002-03-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リチウム二次電池
EP1017627B1 (de) * 1997-02-19 2002-09-11 H.C. Starc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thium-übergangsmetallaten
JP4018770B2 (ja) * 1997-02-28 2007-12-05 チタン工業株式会社 扇状酸化チタン、及び扇状又は盤状酸化チタン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US5766796A (en) * 1997-05-06 1998-06-16 Eic Laboratories, Inc. Passivation-free solid state battery
KR100518706B1 (ko) * 1997-07-15 2005-10-0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비수성 전해액 2차 전지
US6749648B1 (en) * 2000-06-19 2004-06-15 Nanagram Corporation Lithium metal oxides
US6506493B1 (en) * 1998-11-09 2003-01-14 Nanogram Corporation Metal oxide particles
KR100277164B1 (ko) * 1998-07-16 2001-01-15 장인순 저온균질침전법을이용한사염화티타늄수용액으로부터의결정성tio₂초미립분말의제조방법
JP3048352B1 (ja) * 1998-12-02 2000-06-0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マンガン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
US6228534B1 (en) * 1998-12-21 2001-05-08 Wilson Greatbatch Ltd. Annealing of mixed metal oxide electrodes to reduce polarization resistance
US6645673B2 (en) * 1999-02-16 2003-11-11 Toho Titanium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lithium titanate and lithium ion battery and negative electrode therein
JP4540167B2 (ja) * 1999-02-16 2010-09-08 東邦チタニウム株式会社 チタン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
US6168884B1 (en) * 1999-04-02 2001-01-02 Lockheed Martin Energy Research Corporation Battery with an in-situ activation plated lithium anode
US6440383B1 (en) * 1999-06-24 2002-08-27 Altair Nanomaterials Inc. Processing aqueous titanium chloride solutions to ultrafine titanium dioxide
US6548039B1 (en) * 1999-06-24 2003-04-15 Altair Nanomaterials Inc. Processing aqueous titanium solutions to titanium dioxide pigment
US6375923B1 (en) * 1999-06-24 2002-04-23 Altair Nanomaterials Inc. Processing titaniferous ore to titanium dioxide pigment
KR100326704B1 (ko) * 1999-07-08 2002-03-12 이계안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JP4623786B2 (ja) * 1999-11-10 2011-02-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US6673491B2 (en) * 2000-01-21 2004-01-06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Cathode electroactive material,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nonaqueous secondary cell using the same
JP2001217011A (ja) * 2000-02-04 2001-08-10 Hitachi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WO2001059860A1 (en) * 2000-02-11 2001-08-16 Comsat Corporation Lithium-ion cell and method for activation thereof
US6596439B1 (en) * 2000-04-26 2003-07-22 Quallion Llc Lithium ion battery capable of being discharged to zero volts
AU2001290650A1 (en) * 2000-09-05 2002-03-22 Altair Nanomaterials Inc Method for producing mixed metal oxides and metal oxide compounds
US6689716B2 (en) * 2000-10-17 2004-02-10 Altair Nanomaterials Inc. Method for producing catalyst structures
JP2002198088A (ja) * 2000-12-26 2002-07-12 Ngk Insulators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US6719821B2 (en) * 2001-02-12 2004-04-13 Nanoproducts Corporation Precursors of engineered powders
US20040101755A1 (en) * 2001-07-17 2004-05-27 Hong Huang Electrochemical element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AU2002319587B2 (en) * 2001-07-20 2007-05-10 Altair Nanomaterials Inc. Process for making lithium titanate
EP1282180A1 (en) * 2001-07-31 2003-02-05 Xoliox SA Process for producing Li4Ti5O12 and electrode materials
KR100477744B1 (ko) * 2001-10-31 2005-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2차전지
US6982073B2 (en) * 2001-11-02 2006-01-03 Altair Nanomaterials Inc. Process for making nano-sized stabilized zirconia
US6759167B2 (en) * 2001-11-19 2004-07-06 The Gillette Company Primary lithium electrochemical cell
US7026074B2 (en) * 2002-02-15 2006-04-11 The University Of Chicago Lithium ion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US6789756B2 (en) * 2002-02-20 2004-09-14 Super Fine Ltd. Vortex mill for controlled milling of particulate solids
CA2478698C (en) * 2002-03-08 2012-05-29 Altair Nanomaterials Inc. Process for making nano-sized and sub-micron-sized lithium-transition metal oxides
WO2003080517A1 (en) * 2002-03-26 2003-10-02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Solid state thermal synthesis of lithium cobaltate
US6908711B2 (en) * 2002-04-10 2005-06-21 Pacific Lithium New Zealand Limited Rechargeable high power electrochemical device
TWI236778B (en) * 2003-01-06 2005-07-21 Hon Hai Prec Ind Co Ltd Lithium ion battery
US7115339B2 (en) * 2003-02-21 2006-10-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JP2005075691A (ja) * 2003-09-01 2005-03-24 Mikuni Color Ltd リチウムマンガン複合酸化物粒子、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用正極及び二次電池
JP4109184B2 (ja) * 2003-11-20 2008-07-02 Tdk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237659B2 (ja) * 2004-03-17 2009-03-11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
JP2005293950A (ja) * 2004-03-31 2005-10-20 Tdk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2006114408A (ja) * 2004-10-15 2006-04-27 Izumi Taniguchi リチウムマンガン複合酸化物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用正極、並びにリチウム二次電池
US20060286456A1 (en) * 2005-06-20 2006-12-21 Zhiguo Fu Nano-lithium-ion batteries and methos for manufacturing nano-lithium-ion batteries
JP2007018883A (ja) * 2005-07-07 2007-01-25 Toshiba Corp 負極活物質、非水電解質電池及び電池パック
JP4746392B2 (ja) * 2005-09-26 2011-08-10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電池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8005136A (es) 2008-10-31
EP1974407A2 (en) 2008-10-01
IL190958A0 (en) 2009-09-22
JP2009512986A (ja) 2009-03-26
US20070092798A1 (en) 2007-04-26
AU2006304951B2 (en) 2011-10-20
WO2007048142A9 (en) 2007-06-14
WO2007048142A2 (en) 2007-04-26
AU2006304951A1 (en) 2007-04-26
CA2626554A1 (en) 2007-04-26
WO2007048142A3 (en)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3511A (ko) 리튬 이온 배터리들
US20220149437A1 (en) Lithium-ion battery, and relate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apparatus
US8673507B2 (en) Inhibitor of reduction of life cycle of redox shuttle additive and non-aqueous electrolyt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608844B1 (ko) 비수 전해질 2차 전지 및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US7611801B2 (en) Non-aqueous electrolyte,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system
US20220102757A1 (en) Electrolyte, lithium-ion battery, and apparatus containing such lithium-ion battery
US20150064549A1 (en) Electrolyte formulation for reduced gassing wide temperature range cycling
KR101946732B1 (ko) 비수전해질 전지 및 배터리 시스템
KR20080018844A (ko) 비수전해액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CN108028429B (zh) 二次电池用阻燃性电解液以及包含该电解液的二次电池
CN112652806A (zh) 非水性电解质溶液、可充电电池、微混合电池及电池系统
KR20160081395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50059465A (ko)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
US11749999B2 (en) Battery unit, battery pack, electrical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unit
CN101292380B (zh) 锂离子电池
US11626589B2 (en) Secondary battery and device containing same
KR20200126781A (ko) 리튬 이차 전지용 비수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10146520A (ko) 이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KR20160081405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637999B1 (ko) 이차전지 전해액 및 이를 함유하는 이차전지
US20240186485A1 (en)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20230299355A1 (en) Electrolytic solu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KR101433662B1 (ko) 이차전지용 전해액과 이를 함유하는 이차전지
US20220285731A1 (en)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2633532B1 (ko)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