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515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515A
KR20080059515A KR1020070136106A KR20070136106A KR20080059515A KR 20080059515 A KR20080059515 A KR 20080059515A KR 1020070136106 A KR1020070136106 A KR 1020070136106A KR 20070136106 A KR20070136106 A KR 20070136106A KR 20080059515 A KR20080059515 A KR 20080059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lay panel
front frame
display
midd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타다 타카이라
타쿠야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평면방향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의 고정이 풀리지 않는 내충격성의 고정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2)과, 표시 패널(2)이 올려 놓여진 미들 프레임(8)과, 미들 프레임(8)이 내측에 배치되는 리어 프레임(9)과, 표시 패널(2)의 표시면(2a)을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표시 패널(2)의 표시면(2a)과 대략 평행한 면 9c에, 표시면(2a)측과는 반대 면 2b측으로 돌출하고, 미들 프레임(8)과 접속하는 접속부 9d를 가지는 프론트 프레임(9)을 구비한다.
표시장치, 표시 패널, 프론트 프레임, 광원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내충격성의 고정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을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액정을 사용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 패널로 빛을 이끌기 위해 도광판을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배치하고, 도광판의 측면에는,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등의 광원을 배치하고 있다.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도광판내에서 전파시켜, 도광판 내에 설치되는 확산 패턴으로 확산시킴으로써 표시면으로 광을 끌어내고 있다.
또한, 도광판을 지지하는 미들 프레임을 배치하고, 도광판의 표시 패널을 배치한 면과 반대측의 면에는, 도광판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지지하는 리어 프레임을 배치하고, 표시 패널의 표시면에는, 표시 패널과 미들 프레임을 지지하여 개구부를 가지는 프론트 프레임을 배치하고 있다.
종래의 표시장치에서는, 상부 프레임에 상부 프레임 갈고리가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에 상부 프레임 갈고리와 대응한 위치에 하부 프레임 슬롯을 형성하여 끼 우는 것으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고정을 행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또한 그 밖의 종래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방열판의 좌우에 각각 2개의 방열판의 돌기부를 설치하고, 그 각각 2개의 방열판의 돌기부가 성형 프레임의 단차부에 들어가도록, 방열판의 오목부에 성형 프레임의 돌기부가 들어가도록 방열판을 배치한다. 그 위에서부터 뒤판을 실어 성형 프레임에 부착한다. 여기에서, 뒤판의 구부림부 부근에 설치한 뒤판의 구멍으로부터 성형 프레임의 돌기부가 약간 돌출하도록 하여, 방열판의 돌기부는 뒤판의 구부림부의 내측 구부림부, 즉 성형 프레임의 측판과 같은 면으로 하고 있는 것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199180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133393호
상기 특허문헌 1기재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평면방향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받았을 경우, 상부 프레임(프론트 프레임)의 측면에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이 열려 상부 프레임 갈고리(고정 갈고리)와 하부 프레임 슬롯(갈고리 받이부)의 끼워 맞춤이 풀리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있어서, 성형 프레임(미들 프레임)에 설치된 돌기부는, 방열판의 위치 규제용으로서,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의 고정에 관해서는, 개시 또는 시사는 일체 행해지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평면방향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의 고정이 풀리지 않는 내충격성의 고정 구조를 가지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올려놓은 미들 프레임이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에 갈고리 받이부를 가지는 리어 프레임과,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설치되고,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대략 평행한 면에, 표시면측과는 반대 면 측으로 돌출하여 미들 프레임과 접속되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이동을 억제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측면에는 상기 리어 프레임의 갈고리 받이부와 고정되는 고정 갈고리를 가지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프레임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평면방향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의 고정이 풀리지 않는 내충격성의 고정 구조를 가지는 표시장치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적용가능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의 기재는, 적절히, 생략 및 간략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이하의 실시예의 각 요소를, 본 발명의 범위에 있어서 용이하게 변경, 추가, 변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를 모두 결합하여 표시장치를 완성했을 경우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A-A단면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B-B단면도, 도 5∼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다른 프레임 고정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도 8에 있어서, 냉음극 형광램프(CCFL)등의 광원(1)을, 상기 광원(1)으로부터의 빛을 표시 패널(2)의 표시면(2a)으로 이끌어 확산하기 위해, 도광판(3)의 측면 3a측에 배치한다. 도광판(3)의 반출광면(3b)(여기에서, 반출광면은 도광판(3)에 있어서의 지면 아래쪽의 면을 말한다)에는, 빛의 전파 방향을 혼란시켜 출 광면(3c)(여기에서, 출광면은 도광판(3)에 있어서의 지면 윗쪽의 면을 말한다)으로 빛을 이끌기 위한 광산란부가 형성되어 있다(도시 생략). 이 광산란부는, 도광판 내를 전파하는 빛의 전 반사 조건을 혼란시키는 것으로, 도광판으로부터 빛을 추출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산란하는 수단으로서, 도광판(3)의 반출광면(3b)에 도트 패턴을 인쇄하는 방법이나, 반출광면(3b)을 조면(粗面)으로 하는 방법, 미소한 구면이나 프리즘 등의 빛의 전파 방향을 변화시키는 요철을 반출광면(3b)에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도광판(3)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혹은 시클로올레핀계 등의 수지판 또는 유리 기판 등의 빛을 투과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온도변화에 의한 도광판(3)의 치수변화가 적어지고, 보다넓은 온도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광판(3)의 반출광면(3b)측에는, 빛을 유효적으로 반사시키도록 반사 시트(4)를 설치하고, 금속 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어 프레임(5)의 내부에 도광판(3) 및 반사 시트(4)를 설치하고 있다. 반사 시트(4)의 재질로서는, 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성의 것이나, 형광제를 함유한 발포성 PET필름(백색 PET필름)등이다. 특히, 백색 PET필름은, 반사면의 상처가 눈에 잘 띄지 않아 취급이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도광판(3)의 출광면(3c)측에는, 빛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복수매의 광학 시트로 이루어지는 광학 시트류(6)를 배치한다.
또한, 광학 시트류(6)는 렌즈 시트를 확산 시트로 끼우는 구성이다. 또한 휘도의 향상이 필요한 경우에는, 복수매의 렌즈 시트를 그 표면에 형성되는 시트의 프리즘의 방향을 고려하여 조합해도 된다. 또한 확산 시트는, 확산성을 향상시킬 경우에, 2장 이상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렌즈 시트의 배광특성에 따라서는 렌즈 시트를 1장으로 해도 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렌즈 시트와 편광반사 시트를 조합해도 된다. 또한 전부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고, 필요한 휘도나 배광특성 등을 감안하여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광판(3)의 측면 3a 측에, 램프 리플렉터(7)를 도광판(3)의 측면 3a측에 개구부를 가지고, 광원(1)을 덮도록 배치한다.
또한 광원(1), 도광판(3), 반사 시트(4), 광학 시트류(6) 및 램프 리플렉터(7)는, 리어 프레임(5)의 윗면(여기에서, 윗면은 리어 프레임(5)에 있어서의 지면 윗쪽의 면을 말한다)에 배치되어, 리어 프레임(5)과 금속 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미들 프레임(8)에 의해 끼워지고 있다. 또한, 광원(1), 표시 패널(2), 도광판(3), 반사 시트(4), 광학 시트류(6), 램프 리플렉터(7) 및 미들 프레임(8)은, 리어 프레임(5)과, 개구부를 가지는 프론트 프레임(9)으로 끼워지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도광판(3)의 하나의 측면에만 광원(1)을 설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광판의 2개의 측면 이상에 광원 및 광원기판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광원(1)으로서는, CCFL 이외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등의 점광원이어도 된다.
또한 개구부를 가지는 프론트 프레임(9)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9)의 측면 9a의 복수부에 프레스 가공 등으로 형성된 고정 갈고리(9b)를 가지고, 리어 프레임(5)과, 상기 리어 프레임(5)의 측면 5a의 갈고리 받이부(5b)에 굴곡 코킹을 실시하는 것으로 고정하고 있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프레임(9)은, 표시 패널(2)의 표시면(2a)과 대략 평행한 면 9c에, 표시면(2a)과는 반대측의 면(반 표시면(2b))측으로 돌출하여, 미들 프레임(8)에 형성된 접속부 8a와 끼우는 접속부 9d를 가지고, 미들 프레임(8)의 접속부 8a와 프론트 프레임(9)의 접속부 9d가 접촉하는 접촉면 9e, 9f, 9g 및 9h를 설치하고 있다. 미들 프레임(8)에 형성된 접속부 8a는, 구멍, 관통 구멍 또는 관통하지 않는 홈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론트 프레임(9)의 접속부 9d는, 미들 프레임(8)의 한변을 따라 설치된 접속부 8a의 양단부에 각각 1개소씩 설치되고, 상하 방향(여기에서, 상하 방향은 도 2에 기재한 프론트 프레임(9)에 있어서의 지면 위쪽과 지면 아래쪽을 말한다)의 진동이나 충격에는, 접촉면 9e 및 / 또는 9f, 좌우(여기에서, 좌우 방향은 도 2에 기재한 프론트 프레임(9)에 있어서의 지면좌측 방향과 지면우측 방향을 말한다) 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에는, 접촉면 9g 및 / 또는 9h에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고 있다.
이 접촉면 9e, 9f, 9g 및 9h에 의해,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평면방향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프론트 프레임(9)의 측면 9a, 접촉면 9e, 9f, 9g 및 9h에서 진동이나 충격을 분산하여 받을 수 있고, 프론트 프레임(9)과 리어 프레임(5)의 고정이 풀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프레임(9)의 접속부 9d에 관통부 9i를 설치한 경우에도, 미들 프레임(8)의 접속부 8a와 프론트 프레임(9)의 접속부 9d가 접촉하는 접촉면 9e 및 / 또는 9f와, 접촉면 9g 및 / 또는 9h를 설치할 수 있고, 프론트 프레임(9)의 측면 9a, 접촉면 9e 및 / 또는 9f와, 접촉면 9g 및 / 또는 9h에서 진동이나 충격을 분산하여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들 프레임(8)에 프론트 프레임(9)의 관통부 9i와 끼워지는 돌기부 8b를 설치한 경우에도, 미들 프레임(8)의 돌기부 8b와 프론트 프레임(9)의 접속부 9d가 접촉하는 접촉면 9e, 9f, 9g 및 9h에 의해,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프레임(9)의 표시 패널(2)의 표시면(2a)과 대략 평행한 면 9c에, 표시면(2a)과는 반대측의 면(반 표시면(2b))측으로 돌출하고, 미들 프레임(8)에 형성된 노치부(8c)와 끼워지는 접속부 9d를 가지고, 미들 프레임(8)과 접촉하는 접촉면 9f와, 리어 프레임(5)의 측면 5a와 접촉하는 접촉면 9j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접촉면 9f 및 9j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립 작업의 용이성으로부터, 프론트 프레임(9)의 접속부 9d가, 미들 프레임(8)의 1변을 따라 설치된 접속부 8a의 양단부에 각각 1개소씩 설치되어, 접촉면 9e, 9f, 9g 및 9h에서 접촉하고 있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접속부 9d를, 미들 프레임(8)의 접속부 8a와 모든 면에서 접촉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프론트 프레임(9)의 표시 패널(2)의 표시면(2a)과 대략 평행한 면 9c에, 1개소만 접속부 9d를 설치하면 되므로, 프론트 프레임(9)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프론트 프레임(9)의 표시 패널(2)의 표시면(2a)과 대략 평행한 4변의 면 9c에, 접속부 9d를 설치하는 것으로, 프론트 프레임(9)과 리어 프레임(5)의 고정이 풀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는, 프론트 프레임(9)의 접속부 9d가, 프론트 프레임(9)의 1변에 2개소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프론트 프레임(9)과 리어 프레임(5)의 고정이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위치, 수, 형상은 전체의 구조를 감안하여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발명의 실시예 2를 도 9∼도 12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는, 광원(1), 표시 패널(2), 도광판(3), 반사 시트(4), 광학 시트류(6), 램프 리플렉터(7)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동일한 부호를 붙여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의 설명은 특히 리어 프레임(5), 미들 프레임(8) 및 프론트 프레임(9)의 형상에 대해서 도 9∼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도 8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리어 프레임(5)과 프론트 프레임(9)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리어 프레임(5), 미들 프레임(8) 및 프론트 프레임(9)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 는 도다.
도 9에 있어서, 리어 프레임(5)에는, 리어 프레임(5)의 표시 패널(2)의 표시면(2a)측과는 반대측의 면 5c에, 외측으로 돌출한 돌기부 5d가 형성되고, 리어 프레임(5)의 면 5c와 중첩하는 프론트 프레임(9)의 면 9k에 설치된 접속부인 구멍 9r과 끼워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평면방향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프론트 프레임(9)과 리어 프레임(5)의 고정이 풀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프레임(5)의 돌기부 5d는, 프론트 프레임(9)의 면 9k에, 리어 프레임(5)의 면 5c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접속부인 돌기부 9s와 끼워지고, 접촉면 9t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리어 프레임(5)과 프론트 프레임(9)의 접속 방법을, 대향하는 2변에 설치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다음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들 프레임(8)에는, 미들 프레임(8)의 표시 패널(2)의 표시면(2a)측과는 반대측의 면 8d에, 외측으로 돌출한 돌기부 8e가 형성되고, 미들 프레임(8)의 면 8d와 중첩하는 리어 프레임(5)의 면 5e에 설치된 관통 구멍 5f 및 리어 프레임(5)의 면 5c와 중첩하는 프론트 프레임(9)의 면 9k에 설치된 구멍 9r과 끼워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평면방향으로부터 진동이 나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프론트 프레임(9)과 리어 프레임(5)의 고정이 풀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9 및 도 11에서는, 프론트 프레임(9)의 구멍 9r은 관통하고 있지만, 리어 프레임(5)의 돌기부 5d 또는 미들 프레임(8)의 돌기부 8e와 끼울 수 있으면 관통하지 않아도 문제는 없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프레임(9)의 면 9k에, 리어 프레임(5)의 면 5c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접속부인 돌기부 9s는, 리어 프레임(5)의 면 5e에 설치된 관통 구멍 5f 및 미들 프레임(8)의 면 8d에 설치된 구멍 8f와 끼워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2에서는, 프론트 프레임(9)의 돌기부 9s는, 미들 프레임(8)의 면 8d에 설치된 구멍 8f에 끼워지고 있지만, 리어 프레임(5)의 관통 구멍 5f에서 끼워진 경우에도 문제는 없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3.
발명의 실시예 3을 도 13 및 도 14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원(1), 표시 패널(2), 도광판(3), 반사 시트(4), 리어 프레임(5), 광학 시트류(6), 램프 리플렉터(7)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여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의 설명은 특히 미들 프레임(8)과 프론트 프레임(9)의 형상에 대해 도 13 및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도 12와 같은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3a 및 도 14a는 본 발명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미들 프레임(8)과 프론트 프레임(9)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b 및 도 14b는 본 발명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미들 프레임(8)의 접속부를 설명하는 확대도, 도 13c 및 도 14c는 본 발명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프론트 프레임(9)의 절곡부를 설명하는 확대도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프론트 프레임(9)의 측면 9a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구멍 9v 또는 돌기부 9w를 가지는 절곡부 9y가 설치되고, 미들 프레임(8)의 프론트 프레임(9)의 측면 9a와 대향하는 측면 8g에 설치된 노치부 8h에 있어서, 프론트 프레임(9)의 구멍 9v 또는 돌기부 9w가, 미들 프레임(8)의 접속부인 볼록부 8i 또는 오목부 8j와 접속하고 있다. 또한, 구멍 9v는, 볼록부 8i와 접속가능하면, 관통하지 않아도 문제는 없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평면방향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프론트 프레임(9)과 리어 프레임(5)의 고정이 풀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서는, 미들 프레임(8)과 프론트 프레임(9)의 접속부는 1개소뿐이지만, 프론트 프레임(9)과 리어 프레임(5)의 고정이 풀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면, 위치, 수, 형상은 전체의 구조를 감안하여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 1∼3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각각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 1∼3에 있어서는, 도광판(3)으로서 판 모양의 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광원(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도광판(3)의 두께가 얇아지는 빗살 모양으로 하는 것으로, 입광한 빛을 효율적으로 꺼낼 수 있고, 상기 빛을 출광면(3c)으로 효율적으로 이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를 모두 결합하여 표시장치를 완성시켰을 경우의 평면도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A-A단면도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B-B단면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다른 프레임 고정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다른 프레임 고정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다른 프레임 고정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있어서의 다른 프레임 고정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 2에있어서의 리어 프레임과 프론트 프레임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다른 리어 프레임과 프론트 프레임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리어 프레임, 미들 프레임 및 프론트 프레임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다른 리어 프레임, 미들 프레임 및 프론트 프레임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미들 프레임과 프론트 프레임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다른 미들 프레임과 프론트 프레임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광원 2 : 표시 패널
2a : 표시면 2b : 반 표시면
3 : 도광판 3a : 도광판 측면
3b : 반 출광면 3c : 출광면
4 : 반사 시트 5 : 리어 프레임
5a : 리어 프레임 측면 5b : 갈고리 받이부
5c : 리어 프레임의 표시면측과는 반대측의 면
5d : 돌기부 5e : 미들프레임과 중첩하는 면
5f : 관통 구멍 6 : 광학 시트류
7 : 램프 리플렉터 8 : 미들 프레임
8a : 미들 프레임의 접속부 8b : 돌기부
8c : 노치부
8d : 미들 프레임의 표시면측과는 반대측의 면
8e : 돌기부 8f : 구멍
8g : 미들 프레임 측면 8h : 노치부
8i : 볼록부 8j : 오목부
9 : 프론트 프레임 9a : 프론트 프레임 측면
9b : 고정 갈고리
9c :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평행한 면 9d : 프론트 프레임의 접속부
9e∼9h : 미들 프레임과의 접촉면 9i : 관통부
9j : 리어 프레임과의 접촉면
9k 리어 프레임과 중첩하는 면 9r : 구멍
9s : 돌기부 9t : 리어 프레임과의 접촉면
9v : 구멍 9w : 돌기부
9y : 절곡부

Claims (6)

  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이 올려 놓여진 미들 프레임과,
    상기 미들 프레임이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에 갈고리 받이부를 가지는 리어 프레임과,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과 대략 평행한 면에, 표시면측과는 반대의 면 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미들 프레임과 접속되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이동을 억제하는 접속부를 가지며, 측면에는 상기 리어 프레임의 갈고리 받이부와 고정되는 고정 갈고리를 가지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접속부는, 상기 미들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과 끼워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접속부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상기 표시 패널의 표 시면과 대략 평행한 4변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이 올려 놓여진 미들 프레임과,
    상기 미들 프레임이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에 갈고리 받이부를 가지는 리어 프레임과,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상기 리어 프레임의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측과는 반대측의 면과 중첩하는 면에, 상기 미들 프레임 또는 상기 리어 프레임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측면에는 상기 리어 프레임의 갈고리 받이부와 고정되는 고정 갈고리를 가지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접속부는,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어 프레임의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돌기부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설치되고, 측면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구멍 또는 돌기부를 가지는 절곡부가 설치된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표시 패널이 올려 놓여져, 상기 프론트 프레임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노치부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절곡부의 구멍 또는 돌기부와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미들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70136106A 2006-12-25 2007-12-24 표시장치 KR200800595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47596A JP5233116B2 (ja) 2006-12-25 2006-12-25 表示装置
JPJP-P-2006-00347596 2006-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515A true KR20080059515A (ko) 2008-06-30

Family

ID=3954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106A KR20080059515A (ko) 2006-12-25 2007-12-24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150851A1 (ko)
JP (1) JP5233116B2 (ko)
KR (1) KR20080059515A (ko)
CN (1) CN1012314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4151B2 (ja) * 2007-02-27 2012-07-11 京セラ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収納ケース
JP5411071B2 (ja) * 2010-06-24 2014-02-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TWI409549B (zh) * 2010-08-02 2013-09-21 Au Optronics Corp 膠框、背光模組、顯示裝置及其組裝方法
US8350983B2 (en) * 2010-11-10 2013-01-08 Au Optronic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backlight frame structure
CN102608788A (zh) * 2012-04-06 2012-07-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窄边框液晶显示器的液晶显示模组及其液晶显示器
JP2014032283A (ja) * 2012-08-02 2014-02-20 Orion Denki Kk 表示パネルアッセンブリまたは該表示パネルアッセンブリを有する表示装置
JP6140993B2 (ja) * 2012-12-06 2017-06-07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6505233B2 (ja) * 2015-09-03 2019-04-24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6896558A (zh) * 2017-04-17 2017-06-27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07219661A (zh) * 2017-07-20 2017-09-29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模组及液晶显示装置
CN109345970B (zh) * 2018-12-07 2023-12-01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显示设备壳体、显示设备及显示设备壳体加工工艺
JPWO2020217751A1 (ko) * 2019-04-24 2020-10-29
KR102292254B1 (ko) * 2020-02-20 2021-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180A (ja) * 1994-01-07 1995-08-04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593433B2 (ja) * 1997-01-22 2004-11-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この修理方法
JP3286589B2 (ja) * 1998-01-30 2002-05-27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3734952B2 (ja) * 1998-03-30 2006-01-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11344937A (ja) * 1998-06-02 1999-12-14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0066178A (ja) * 1998-08-21 2000-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のパネル固定構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1083887A (ja) * 1999-09-10 2001-03-30 Nec Eng Ltd 液晶表示装置の実装構造
JP2001290134A (ja) * 2000-04-07 2001-10-19 Alps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3195779A (ja) * 2001-12-27 2003-07-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パネル固定部材並びに表示パネル
CN100526940C (zh) * 2002-07-11 2009-08-12 迪尔阿扣基金两合公司 背光液晶显示器
US7483092B2 (en) * 2002-07-11 2009-01-27 Diehl Ako Stiftung & Co. Kg Back-lit liquid crystal display, in particular for use as a display module behind the operating panel of a large domestic appliance
JP4543655B2 (ja) * 2003-10-17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306324C (zh) * 2004-01-12 2007-03-2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
KR101073043B1 (ko) * 2004-11-16 201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JP4428220B2 (ja) * 2004-12-07 2010-03-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TWI330273B (en) * 2006-03-17 2010-09-11 Hon Hai Prec Ind Co Ltd Fram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1423B (zh) 2010-06-09
CN101231423A (zh) 2008-07-30
JP5233116B2 (ja) 2013-07-10
US20080150851A1 (en) 2008-06-26
JP2008158306A (ja)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9515A (ko) 표시장치
US7896536B2 (en) Planer light source device
US7787069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81220B1 (ko) 면상 광원장치 및 표시장치
JP4523530B2 (ja) 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4548364B2 (ja) 表示装置
US8355096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815359B2 (en)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KR2007007784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20100165662A1 (en) Backlight unit
JP2013073876A (ja) 液晶表示装置
JP2006331834A (ja) 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US20110116015A1 (en) Illumina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JP2007149493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2244133A (ja) 両面液晶表示装置
KR20060066092A (ko)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5029413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
CN114442216A (zh) 背光模组和显示装置
JP2006073507A (ja) 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US10564458B2 (en) Connecting member and display including connecting member
KR20130045964A (ko) 조명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7021228A (ja) 表示装置
JP2004253306A (ja) 面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9114413A (ja) 照明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8256831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