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480A - 드레인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드레인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480A
KR20080059480A KR1020087014214A KR20087014214A KR20080059480A KR 20080059480 A KR20080059480 A KR 20080059480A KR 1020087014214 A KR1020087014214 A KR 1020087014214A KR 20087014214 A KR20087014214 A KR 20087014214A KR 20080059480 A KR20080059480 A KR 20080059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antimicrobial
unit
air condition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코 사카시타
마키오 타케우치
하루오 나카타
츠네히사 사나기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0520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9449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05201A external-priority patent/JP46965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05209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93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05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94491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9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8Treatment of condensate, e.g. steril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간이하고 또한 저비용이며, 정균 효과가 큰 항균제의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드레인 팬(8) 내이고 드레인 펌프(16)의 흡입구(23) 근방에 드레인수(D)와 접촉 가능 상태의 항균제(19, 19 ‥)를 구비한 항균제 유닛(K)을 배치하고, 드레인 팬(8) 내에서의 최저부로 되는 드레인 펌프(16)의 흡입구(23) 근방에 배치된 항균제 유닛(K)이 드레인 펌프(16)의 작동 시에나 비작동 시에도 확실하게 드레인수(D)에 침지(浸漬)되도록 하고 있다.
Figure P1020087014214
공기 조화기, 열교환기, 드레인수, 드레인 팬, 항균제 유닛

Description

드레인 배출 장치{DRAIN DISCHARGE APPARATUS}
본원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열교환기로부터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받을 수 있는 드레인 수용부를 구비한 드레인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보수가 용이하고 정균(靜菌) 작용(바꾸어 말하면, 세균의 번식 억제 작용)에 우수한 드레인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공기 조화기는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하방(下方)에는 드레인수를 받는 드레인 팬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드레인 팬 내의 드레인수에는 세균이 번식하는 경우가 많다.
드레인수에 세균이 번식하면, 슬라임(slime)이 생성되어 이취(異臭)나 드레인 배관의 막힘을 발생시킨다는 결함이 발생한다.
상기 결함에 대처하기 위하여, 드레인 팬에 항균제를 넣고 드레인수에 침지시켜 세균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드레인 팬 내면에 첩설(貼設, 붙여서 설치함)되는 드레인 팬 시트에 항균제를 이겨 넣고, 드레인수와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세균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7440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05591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드레인 팬 내에 항균제를 배설(配設)하는 경우, 항균제의 위치 결정을 위하여 적당한 지지 부재가 필요해서, 구조가 복잡화되는 것과 함께 비용 상승을 초래할 우려도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드레인 팬 시트에 항균제를 이겨 넣는 경우, 드레인 팬 시트가 얇은 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항균제의 절대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지고, 장기간에 걸쳐 사용을 할 수 없고, 교환이 부득이하게 된다.
본원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이하고 또한 저비용이며, 정균 효과가 큰 항균제의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수단으로서, 열교환기(6)로부터의 드레인수(D)를 받는 드레인 수용부(8)를 구비하고, 당해 드레인 수용부(8)의 최심부(108a)에는, 드레인 수용부(8) 내의 드레인수(D)를 빼내기 위한 배수 구멍(14)을 형성하고, 또한, 당해 배수 구멍(14)에는, 배수 마개(15)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드레인 배출 장치이고, 상기 드레인 수용부(8) 내에서 상기 배수 마개(15)의 상방 위치에는, 드레인수(D)에 대하여 정균 작용을 발휘하는 항균제(19, 19 ‥)를 가지는 항균제 유닛(K)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하여, 드레인 수용부(8) 내에 드레인수(D)가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배수 마개(15)의 상방에 배치된(바꾸어 말하면, 드레인 수용 부(8)에 있어서의 최심부(108a)에 배치된) 항균제 유닛(K)에 포함되는 항균제(19, 19 ‥)의 정균 작용에 의하여 드레인수(D)에 있어서의 세균 증식이 억제되게 되어, 드레인 수용부(8) 내에 있어서의 슬라임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드레인 수용부(8)의 드레인수(D)를 빼내기 위하여, 배수 마개(15)를 떼어냈을 때에는, 항균제 유닛(K)을 꺼내는 것이 가능해져, 항균제 유닛(K)에 대한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나아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 수단으로서, 열교환기(6)로부터의 드레인수(D)를 받는 드레인 수용부(8)를 구비하고, 당해 드레인 수용부(8)의 최심부(108a)에는, 드레인 수용부(8) 내의 드레인수(D)를 빼내기 위한 배수 구멍(14)을 형성하고, 또한, 당해 배수 구멍(14)에는, 배수 마개(15)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드레인 배출 장치이고, 상기 드레인 수용부(8) 내에는, 상기 배수 마개(15)에 장착되고, 또한, 드레인수(D)에 대하여 정균 작용을 발휘하는 항균제(19, 19 ‥)를 가지는 항균제 유닛(K)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하여, 드레인 수용부(8) 내에 드레인수(D)가 존재하고 있는 때에는, 배수 마개(15)에 장착된 항균제 유닛(K)에 포함되는 항균제의 정균 작용에 의하여 드레인수(D)에 있어서의 세균 증식이 억제되게 되어, 드레인 수용부(8) 내에 있어서의 슬라임의 증식이 방지된다. 한편, 드레인 수용부(8)의 드레인수(D)를 빼내기 위하여, 배수 마개(15)를 떼어냈을 때에는, 배수 마개(15)와 함께, 항균제 유닛(K)을 꺼내는 것이 가능해져, 항균제 유닛(K)에 대한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나아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3 수단으로서, 상기 제2 수단을 구비한 드레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유닛(K)을, 상기 배수 마개(15)에 대하여 연결 부재(224)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고, 그와 같이 구성한 경우, 항균제의 정균 작용에 의하여 드레인수(D)에서의 세균 증식이 억제되게 되어, 드레인 팬(8) 내에서의 슬라임의 증식이 방지된다.
본원 발명에서는 나아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4 수단으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구비한 드레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유닛(K)을, 상기 배수 마개(15)의 구경(d2)보다 소경(小徑)으로도 할 수 있고, 그와 같이 구성한 경우, 배수 마개(15)를 떼어낸 때에, 배수 구멍(14)으로부터 항균제 유닛(K)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되어, 항균제 유닛(K)에 대한 보수가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본원 발명에서는 나아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5 수단으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구비한 드레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유닛(K)을, 다수의 개공부(21, 21 ‥)를 가지는 보관 용기(20) 내에 입상(粒狀) 또는 펠릿(pellet) 형상의 다수의 항균제(19, 19 ‥)를 수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그와 같이 구성한 경우, 드레인수(D)와 항균제(19, 19 ‥)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정균 효과를 장시간 지속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나아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6 수단으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구비한 드레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유닛(K)을, 합성 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관재(22)에 입상 또는 펠릿 형상의 다수의 항균제(19, 19 ‥)를 이겨 넣어 구성할 수도 있고, 그와 같이 구성한 경우, 드레인수(D)와 항균제(19, 19 ‥)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정균 효과를 장시간 지속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1 수단에 의하면, 열교환기(6)로부터의 드레인수(D)를 받는 드레인 수용부(8)를 구비하고, 당해 드레인 수용부(8)의 최심부(108a)에, 드레인 수용부(8) 내의 드레인수(D)를 빼내기 위한 배수 구멍(14)을 형성하고, 또한, 당해 배수 구멍(14)에, 배수 마개(15)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드레인 배출 장치이고, 상기 드레인 수용부(8) 내에서 상기 배수 마개(15)의 상방 위치에, 드레인수(D)에 대하여 정균 작용을 발휘하는 항균제(19, 19 ‥)를 가지는 항균제 유닛(K)을 배치하여, 드레인 수용부(8) 내에 드레인수(D)가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배수 마개(15)의 상방에 배치된(바꾸어 말하면, 드레인 수용부(8)에 있어서의 최심부(108a)에 배치된) 항균제 유닛(K)에 포함되는 항균제(19, 19 ‥)의 정균 작용에 의하여 드레인수(D)에 있어서의 세균 증식이 억제되도록 한 것이므로, 드레인 수용부(8) 내에 있어서의 슬라임의 증식이 방지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드레인 수용부(8)의 드레인수(D)를 빼내기 위하여, 배수 마개(15)를 떼어냈을 때에는, 항균제 유닛(K)을 꺼내는 것이 가능해져, 항균제 유닛(K)에 대한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본원 발명의 제2 수단에 의하면, 열교환기(6)로부터의 드레인수(D)를 받는 드레인 수용부(8)를 구비하고, 당해 드레인 수용부(8)의 최심부(108a)에, 드레인 수용부(8) 내의 드레인수(D)를 빼내기 위한 배수 구멍(14)을 형성하고, 또한, 당해 배수 구멍(14)에, 배수 마개(15)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드레인 배출 장치이고, 상기 드레인 수용부(8) 내에, 상기 배수 마개(15)에 장착되고, 또한, 드레인수(D)에 대하여 정균 작용을 발휘하는 항균제(19, 19 ‥)를 가지는 항균제 유닛(K)을 배치하여, 드레인 수용부(8) 내에 드레인수(D)가 존재하고 있는 때에는, 배수 마개(15)에 장착된 항균제 유닛(K)에 포함되는 항균제의 정균 작용에 의하여 드레인수(D)에 있어서의 세균 증식이 억제되게 되어, 드레인 수용부(8) 내에 있어서의 슬라임의 증식이 방지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드레인 수용부(8)의 드레인수(D)를 빼내기 위하여, 배수 마개(15)를 떼어냈을 때에는, 배수 마개(15)와 함께, 항균제 유닛(K)을 꺼내는 것이 가능해져, 항균제 유닛(K)에 대한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본원 발명의 제3 수단에 의하면, 상기 제2 수단을 구비한 드레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유닛(K)을, 상기 배수 마개(15)에 대하여 연결 부재(224)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고, 그와 같이 구성한 경우, 배수 마개(15)에 대하여 연결 부재(224)를 통하여 연결된(바꾸어 말하면, 드레인 수용부(8) 내에 있어서의 최심부(108a)에 배치된) 항균제 유닛(K)에 포함되는 항균제(19, 19 ‥)의 정균 작용에 의하여 드레인수(D)에서의 세균 증식이 억제되도록 한 것이므로, 드레인 수용부(8) 내에서의 슬라임의 증식이 방지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의 제4 수단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구비한 드레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유닛(K)을, 상기 배수 마 개(15)의 구경(d2)보다 소경으로도 할 수 있고, 그와 같이 구성한 경우, 배수 마개(15)를 떼어낸 때에, 배수 구멍(14)으로부터 항균제 유닛(K)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되어, 항균제 유닛(K)에 대한 보수가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본원 발명의 제5 수단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구비한 드레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유닛(K)을, 다수의 개공부(21, 21 ‥)를 가지는 보관 용기(20) 내에 입상(粒狀) 또는 펠릿(pellet) 형상의 다수의 항균제(19, 19 ‥)를 수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그와 같이 구성한 경우, 드레인수(D)와 항균제(19, 19 ‥)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정균 효과를 장시간 지속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6 수단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구비한 드레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유닛(K)을, 합성 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관재(22)에 입상 또는 펠릿 형상의 다수의 항균제(19, 19 ‥)를 이겨 넣어 구성할 수도 있고, 그와 같이 구성한 경우, 드레인수(D)와 항균제(19, 19 ‥)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정균 효과를 장시간 지속할 수 있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몇 개의 호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천장 매입(埋入)식 공기 조화기로 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장(F)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1)의 상방(上方)에 위치하여 천장과 지붕 사이의 공간의 마룻대(도시 생략)에 대하여 매달기 볼트(2, 2)를 통하여 매달려 지지된 공기 조화기 본체(3)와, 상기 개구(1)를 덮는 화장(化粧) 패널(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3)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케이싱(5) 내에 열교환기(6) 및 송풍기(7)를 배설하는 것과 함께, 상기 열교환기(6)의 하방(下方)에는 당해 열교환기(6)로부터 낙하하는 드레인수(D)를 받는 드레인 팬(8)이 배설되어 있다. 부호 9는 벨 마우스, 10은 공기 통로이다.
상기 화장 패널(4)는 상기 개구(1)를 덮는 데에 만족하는 크기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공기 흡입구(11)가 형성되며, 당해 공기 흡입구(11)의 둘레에는 상기 공기 통로(10)와 각각 연통하는 4개의 공기 취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6)는 개방부(開放部)를 가지는 대략 환상(環狀)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크로스 핀 코일 타입의 열교환기로 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 팬(8)은 상기 열교환기(6)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대략 환상으로 되어 있고, 단면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드레인 팬(8)에서의 일단부 측에는 드레인수(D)를 퍼 올리는 드레인 펌프(16)가 배설되어 있다. 부호 17은 드레인 펌프(16)의 토출관, 18은 현지(現地) 배관되는 드레인 배관이다.
도 2에는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항균 제의 장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레인 팬(8) 내이고 상기 드레인 펌프(16)의 흡입구(23) 근방에는 드레인수(D)와 접촉 가능 상태의 항균제(19, 19 ‥)를 구비한 항균제 유닛(K)이 배치되어 있다. 당해 항균제 유닛(K)은 상기 드레인 펌프(16)의 스크롤(24)에 대하여 지지 부재(25)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통상, 드레인 펌프(16)의 흡입구(23)가, 드레인 팬(8) 내에서 최저부로 되는 드레인 모임부(8a)로 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드레인 펌프(16)에 의한 드레인수(D)의 퍼 올림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드레인 팬(8) 내에서의 최저부로 되는 드레인 모임부(8a)로 향하는 드레인 펌프(16)의 흡입구(23) 근방에 배치된 항균제 유닛(K)이 드레인 펌프(16)의 작동 시에나 비작동 시에도 확실하게 드레인수(D)에 침지되게 된다. 따라서, 항균제(19, 19 ‥)와 드레인수(D)가 상시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드레인수(D)에의 정균 효과(즉, 슬라임 발생 방지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펌프(16)의 운전 시에는 항균제(19, 19 ‥)와 접촉한 드레인수(D)가 드레인 펌프(16)의 하류 측으로 흐르게 되어, 드레인 펌프(16)의 하류 측에서의 정균 효과가 커진다. 게다가, 항균제 유닛(K)을 상기 드레인 펌프(16)의 스크롤(24)에 대하여 지지 부재(25)를 통하여 장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항균제 유닛(K)의 장착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항균제 유닛(K)의 위치 결정이나 항균제 유닛(K)의 교환 등도 용이해진다.
그런데, 항균제 유닛(K)은, 예를 들면 도 3의 (a)의 정면도, (b)의 내부 확 대도 및 도 4의 (a)의 평면도, (b)의 내부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개공(開孔)부(21, 21 ‥)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보관 용기(20) 내에 입상(粒狀) 또는 펠릿(pellet) 형상의 항균제(19, 19 ‥)를 수용하여 구성되는 경우도 있고, 예를 들면 도 5의 (a)의 정면도, (b)의 내부 확대도 및 도 6의 (a)의 평면도, (b)의 내부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개공부(21, 21 ‥)를 가지는 시트 형상의 보관 용기(20) 내에 입상 또는 펠릿 형상의 항균제(19, 19 ‥)를 수용하여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덧붙여, 도 6의 (c)의 내부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관 용기(20)를, 외주(外周)부를 용착한 망상(網狀)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경우, 개공부(21)의 크기는 항균제(19)의 입자 지름 또는 펠릿 지름보다 작게 되어 있다. 덧붙여, 보관 용기(20)의 형상은 상기 이외의 형상(예를 들면, 다각형 통 형상 또는 타원 통 형상)이라도 무방하고, 그 벽면은 망, 다공질, 부직포, 펀칭 플레이트(punching plate) 등과 같이 개공부(명확한 개구부가 없더라도 물의 출입이 가능하면 무방하다)를 가지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개공부의 형상은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보관 용기(20)의 재질은, 금속, 합성 수지, 천 등과 같이 물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불용성인 것이면 무방하다. 나아가, 보관 용기(20)는 자립성(즉, 용기 자체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있거나 없어도(예를 들면, 주머니와 같이 용기 자체로 형상을 유지할 수 없는 것) 무방하다. 또한, 도 7의 (a)의 정면도, (b)의 내부 확대도 및 도 8의 (a)의 평면도, (b)의 내부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관재(22)에 항균제(19, 19 ‥)를 이겨 넣어 항균제 유닛(K)을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 우, 보관재(22)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 다각형 기둥 형상, 타원기둥 형상, 시트 형상 등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항균제(19, 19 ‥)로서는, 에탄올·프로파놀 등의 알코올 화합물, 석탄산·OPP·티몰·파라클로로메타크실레놀(parachlorometaxylenol, PCMX)·2,5-디클로로-4-브로모페놀 등의 페놀 화합물, 포르말린·BCA 등의 알데히드 화합물, 운데실렌산(undecylenate) 아연·안식향산·프로피온산 등의 카르본산 화합물,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파라벤(paraben) 등의 에스테르 화합물, 트리클로산(triclosan) 등의 에테르 화합물, TPN 등의 니트릴 화합물, 과산화수소·과망간산칼륨 등의 과산화물, 에틸렌옥사이드 등의 에폭시 화합물, 포비돈요오드·클로로나프탈렌 등의 할로겐 화합물, N-(플루오로디클로로메틸티오(fluorodichloromethylthio))-프탈이미드·N,N-디메틸-N'-페닐-N'-(플루오로디클로로메틸티오)-술파미드(sulphamide) 등의 할로알킬(haloalkyl) 화합물, 옥신·아연 오마딘(zinc omadine) 등의 피리딘·퀴놀린계 화합물, 헥사민 등의 트리아진 화합물, 케이슨(KEISON) 등의 이소시아졸린(isothiazoline) 화합물, TBZ·메틸-2-벤지미다졸 카바이드 등의 이미다졸·티아졸계 화합물,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trichlorocarbanilide) 등의 아닐리드 화합물,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등의 비구아니드 화합물, TMTD 등의 디술피드(disulfide) 화합물, 카르밤(carbam) 등의 티오카바메이트(thiocarbamate) 화합물, 염화벤잘코늄(benzalkonium)·알킬글리신염산염 등의 계면활성제, 비니젠(vinyzene)·옥신 구리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 은(Ag)·구리(Cu)·아연(Zn)·주석(Sn) 등의 무기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무기계 항균제, 염화제2수은·옥시시안화 수은 등의 수은 화합물, 질산은 등의 은 화합물, 차아염소산 나트륨·이산화염소 등의 염소 화합물, 요오드·요오드포름 등의 요오드 화합물, 붕산 등의 붕산 화합물, 생석회 등의 석회 화합물, 제오믹(ZEOMIC, 등록상표)·박테킬러(BACTEKILLER, 등록상표) 등의 제올라이트계 항균제, 아메니탑(AMENITOP, 등록상표)·실웰(SILWELL, 등록상표) 등의 실리카겔계 항균제, 이온퓨어(IONPURE, 등록상표) 등의 규산 유리계 항균제, 항균 세라믹(등록상표)·아파사이더-A(APACIDER-A, 등록상표) 등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계 항균제, 나루크린(NARUKURIN, 등록상표) 등의 인산 칼슘계 항균제, 라삽 AN(RASAP AN, 등록상표) 등의 난용성 인산염계 항균제, 노바론(NOVARON, 등록상표) 등의 인산 지르코늄계 항균제, AIS(등록상표)·렌토바(RENTOBA, 등록상표) 등의 규산염 항균제, 아토미볼(ATOMYBALL, 등록상표) 등의 산화티탄 항균제, 암테클린 Z(AMTECLEAN Z, 등록상표) 등의 위스커(whisker) 항균제, 기타 홀론킬러(HOLONKILLER, 등록상표)나 AM15(등록상표) 등이 종래부터 널리 알려지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인체 및 환경 등에의 영향을 고려하여, 에탄올, 파라클로로메타크시레놀, 2,5-디클로로-4-브로모페놀, 과산화수소, N-(플루오로디클로로메틸티오)-프탈이미드, N,N-디메틸-N'-페닐-N'-(플루오로디클로로메틸티오)-술파미드, 비니젠, 차아염소산 나트륨, 이산화염소, 제오믹(등록상표), 박테킬러(등록상표), 아메니탑(등록상표), 실웰(등록상표), 이온퓨어(등록상표), 항균 세라믹(등록상표), 아파사이더-A(등록상표), 라삽 AN(등록상표), 노바론(등록상표), AIS(등록상표), 렌토바(등록상표), 아토미볼(등록상표), 암테클린 Z(등록상표), 홀론킬러, AM15(등록상표)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드레인수가 외부 로 배출되기 전에 무해화 처리나 포착 처리가 가능하면, 다른 항균제도 바람직한 후보로 될 수 있다. 또한, 무기계 항균제의 경우, 항균제를, 예를 들면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카올린 점토, 규조토(珪藻土), 탤크(talc), 벤나이트, 세라믹스, 활성탄, 아파타이트 등에 담지(擔持)시켜도 무방하다. 세라믹스, 활성탄, 아파타이트 등에 담지시킨 무기계 항균제는 항균성이 높고, 비휘발성이고, 수지와 혼련하기 쉬운 등의 메리트가 있다. 나아가, 무기계 항균제를 담지한 수용해성(水溶解性) 유리 등과 같이, 물에 녹는 것에 의하여 살균 효과가 있는 항균제가 용출(溶出)하는 입상 또는 펠릿 형상인 것 등이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 매입식 공기 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그 외의 형식의 공기 조화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제2 실시예>
도 9에는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항균제의 장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덧붙여, 여기서 공기 조화기의 개략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 본체(3)와 동일하고, 도 1에서 도시되는 대로이다.
이 경우, 항균제 유닛(K)은 드레인 펌프(16)의 스크롤(24)의 하부 외면(흡입구(23)의 외주부를 포함한다)에 대하여 직접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드레인 팬(8) 내에서의 최저부로 되는 드레인 모임부(8a)로 향하는 드레인 펌프(16)의 스크롤(24)의 외면에 배치된 항균제 유닛(K)이 드레인 펌프(16)의 작동 시에나 비작동 시에도 확실하게 드레인수(D)에 침지되게 된다. 따라서, 항균제(19, 19 ‥)와 드레인수(D)가 상시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드레인수(D)에의 정균 효 과(즉, 슬라임 발생 방지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펌프(16)의 운전 시에는 항균제(19, 19 ‥)와 접촉한 드레인수(D)가 드레인 펌프(16)의 하류 측으로 흐르게 되어, 드레인 펌프(16)의 하류 측에서의 정균 효과가 커진다. 게다가, 항균제 유닛(K)을 상기 드레인 펌프(16)의 스크롤(24)의 외면에 직접 장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항균제 유닛(K)의 장착 구조를 보다 한층 간략화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항균제 유닛(K)의 위치 결정이나 항균제 유닛(K)의 교환 등도 용이해진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항균제 유닛(K)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항균제 유닛과 동일한 것이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 매입식 공기 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그 외의 형식의 공기 조화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제3 실시예>
도 10에는 본원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항균제의 장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덧붙여, 여기서 공기 조화기 본체(3)의 개략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와 동일하고, 도 1에서 도시되는 대로이다.
이 경우, 드레인 펌프(16)를 구성하는 부재이고 드레인수(D)와 접촉할 수 있는 부재를, 항균제(19, 19 ‥)를 이겨 넣은 항균 재료에 의하여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구체적으로는 드레인 펌프(16)의 스크롤(24)의 내외주면 및 임펠러(26)를 구성하는 받침 접시(27) 및 보조 날개(28, 28 ‥)를, 항균제(19, 19 ‥)를 이겨 넣은 항균 재료에 의하여 형성하고 있다. 부호 29는 주날개, 30은 회전축, 31은 토출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하여, 드레인 펌프(16)의 운전 시에는 항균제(19, 19 ‥)와 접촉한 드레인수(D)가 드레인 펌프(16)의 하류 측으로 흐르게 되어, 드레인 펌프(16)의 하류 측에서의 정균 효과가 커진다. 또한, 드레인 펌프(16)의 정지 시에 되돌아가는 드레인수(D)가 항균제(19, 19 ‥)에 반드시 접촉하는 점에서 항균제(19, 19 ‥)의 세정이 가능해져, 정균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드레인 펌프(16)의 작동 시는 물론, 비작동 시에도 드레인수(D)와 항균제(19, 19 ‥)의 접촉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정균 효과가 커진다. 또한, 임펠러(26)는 드레인 펌프 작동 시에 회전 구동되는 부재이므로, 항균제(19, 19 ‥)와 드레인수(D)의 접촉율이 높아지는 점에서 정균 효과가 보다 한층 커진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항균제 유닛(K)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항균제 유닛과 동일한 것이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 매입식 공기 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그 외의 형식의 공기 조화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제4 실시예>
도 11에는 본원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항균제의 장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덧붙여, 여기서 공기 조화기 본체(3)의 개략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와 동일하고, 도 1에서 도시되는 대로이다.
이 경우, 임펠러(26)를 구성하는 주날개(29)를, 항균제(19, 19 ‥)를 이겨 넣은 항균 재료에 의하여 형성하고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항균제 유닛(K)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항균제 유닛과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임펠러(26)는 드레인 펌프 작동 시에 회전 구동되는 부재이므로, 항균제(19, 19 ‥)와 드레인수(D)의 접촉율이 높아지는 점에서 정균 효과가 보다 한층 커진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 매입식 공기 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그 외의 형식의 공기 조화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제5 실시예>
도 12에는 본원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항균제의 장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덧붙여, 여기서 공기 조화기 본체(3)의 개략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와 동일하고, 도 1에서 도시되는 대로이다.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 펌프(16)의 토출구(118)보다 하류 측에서 당해 토출구(118)보다 고위(高位)에 있는 드레인 배관(L)에는 드레인수(D)와 접촉 가능 상태의 항균제(19, 19 ‥)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 배관(L)은, 드레인 펌프(16)의 토출관(123), 공기 조화기 본체(3) 내부에 위치하는 토출관(123)과 공기 조화기 본체(3) 외부에 위치하는 드레인 호스(124)를 접속하기 위한 배관 접속부(125), 현지 배관되는 상기 드레인 호스(124) 및 당해 드레인 호스(124)의 굴곡부에 설치되는 엘보(elbow, 126, 127)로 이루어져 있다. 부호 128은 드레인 펌프(16)의 구동원인 모터이다.
이 경우, 항균제(19, 19 ‥)를, 상기 드레인 배관(L)을 구성하는 전(全) 부재(예를 들면, 토출관(123), 배관 접속부(125), 드레인 호스(124) 및 엘보(126, 127))의 내주면 또는 공기 조화기 본체(3, 즉, 실내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재(예 를 들면, 배관 접속부(125), 드레인 호스(124) 및 엘보(126, 127))의 내주면에 이겨 넣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관 접속부(125)의 내부에 제1 실시예에서 채용되어 있는 것과 같은 항균제 유닛(K, 도 3 ~ 8 참조)을 배치하도록 한 경우, 드레인수(D)와 항균제(19, 19 ‥)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정균 효과를 장시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배관 접속부(125)는 탈착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항균제 유닛(K)의 교환 등의 보수가 용이해진다. 부호 129는 항균제 유닛(K)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끈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하여, 드레인 펌프(16)의 운전 시에는 드레인 배관(L)을 통과하는 드레인수(D)가 항균제(19, 19 ‥)에 접촉하고, 드레인 펌프(16)의 하류 측에서의 정균 효과가 커지는(슬라임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드레인 펌프(16)의 운전 정지 시에는 드레인 배관(L) 내에 남는 고농도의 항균제를 포함하는 되돌림 물이 드레인 팬(8)으로 역류하고, 드레인 팬(8) 내에서의 정균 효과가 커져(슬라임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어), 드레인 배관(L) 및 드레인 팬(8)에서의 슬라임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항균제로서는 제1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항균제 등을 들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14 및 도 15에는 본원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련되는 드레인 배출 장치의 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 드레인 배출 장치는 상기 드 레인 팬(8) 및 드레인 펌프(16)로부터 구성되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공기 조화기 본체(3)의 개략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와 동일하고, 도 1에서 도시되는 대로이다.
이 경우,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레인 팬(8)의 최심부(108a)에는 드레인 팬(8) 내의 드레인수(D)를 빼내기 위한 배수 구멍(14)이 형성되고 있고, 당해 배수 구멍(14)에는 배수 마개(15)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부호 117은 드레인 펌프(16)의 흡입구, 128은 드레인 펌프(16)의 구동원인 모터이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8) 내이고 상기 배수 마개(15)의 상방(上方) 위치에는 드레인수(D)에 대하여 정균 작용을 발휘하는 항균제(19, 19 ‥)를 가지는 항균제 유닛(K)이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항균제 유닛(K)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항균제 유닛과 동일한 것이다. 이 경우, 항균제 유닛(K)은 상기 드레인 펌프(16)에 대하여 지지 부재(223)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항균제 유닛(K)의 지름(d1)은 상기 배수 구멍(14)의 구경(d2)보다 소경으로 되어 있다(도 15 참조). 여기서, 배수 마개(15)의 상방 위치에 항균제 유닛(K)을 배치한다는 것이란, 배수 마개(15)와 항균제 유닛(K)의 사이에 드레인수(D)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하여, 드레인 팬(8) 내에 드레인수(D)가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배수 마개(15)의 상방에 배치된(바꾸어 말하면, 드레인 팬(8)에서의 최심부(108a)에 배치된) 항균제 유닛(K)에 포함되는 항균제(19, 19 ‥)의 정균 작용에 의하여 드레인수(D)에서의 세균 증식이 억제되게 되어, 드레인 팬(8) 내에 서의 슬라임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드레인 팬(8)의 드레인수(D)를 빼내기 위하여, 배수 마개(15)를 떼어냈을 때에는 항균제 유닛(K)을 꺼내는 것이 가능해져, 항균제 유닛(K)에 대한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도 15 참조).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 배출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공기 조화기로부터의 드레인 배관의 도중(途中)에 배설되는 드레인 업 키트(drain up kit) 등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제7 실시예>
도 16 및 도 17에는 본원 발명의 제7 실시예에 관련되는 드레인 배출 장치의 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덧붙여, 여기서 공기 조화기 본체(3)의 개략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와 동일하고, 도 1에서 도시되는 대로이다.
이 경우, 드레인 팬(8) 내에는 배수 마개(15)에 대하여 연결 부재(224)를 통하여 연결되고, 또한, 드레인수(D)에 대하여 정균 작용을 발휘하는 항균제(19, 19 ‥)를 가지는 항균제 유닛(K)이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항균제 유닛(K)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항균제 유닛과 동일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하여, 드레인 팬(8) 내에 드레인수(D)가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배수 마개(15)에 대하여 연결 부재(224)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로 배치된(바꾸어 말하면, 드레인 팬(8)에서의 최심부(108a)에 배치된) 항균제 유닛(K)에 포함되는 항균제(19, 19 ‥)의 정균 작용에 의하여 드레인수(D)에서의 세균 증식이 억제되게 되어, 드레인 팬(8) 내에서의 슬라임의 증식이 방지된다.
한편, 드레인 팬(8)의 드레인수(D)를 빼내기 위하여, 배수 마개(15)를 떼어냈을 때에는 배수 마개(15)와 함께 항균제 유닛(K)을 꺼내는 것이 가능해져, 항균제 유닛(K)에 대한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6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 배출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공기 조화기로부터의 드레인 배관의 도중에 배설되는 드레인 업 키트 등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제8 실시예>
도 18에는 본원 발명의 제8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항균제의 장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천장 매입식 공기 조화기용 실내기로 되어 있으며,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장(F)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301)의 상방에 위치하여 천장과 지붕 사이의 공간의 마룻대(도시 생략)에 대하여 매달기 볼트(도시 생략)를 통하여 매달려 지지된 공기 조화기 본체(303)와, 상기 개구(301)를 덮는 화장 패널(30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303)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케이싱(305) 내에 대략 환상의 열교환기(306) 및 당해 열교환기(306) 내에 위치하는 송풍기(307)를 배설하는 것과 함께, 상기 열교환기(306)의 하방에는 당해 열교환기(306)로부터 낙하하는 드레인수(D)를 받는 드레인 수용부로 되는 드레인 팬(308)이 배설되어 있다. 부호 309는 벨 마우스, 310은 공기 통로이다.
상기 화장 패널(304)은 상기 개구(301)를 덮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공기 흡입구(311)가 형성되며, 당해 공기 흡입구(311)의 둘레에는 상기 공기 통로(310)와 각각 연통하는 4개의 공기 취출구(3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306)는 개방부를 가지는 대략 환상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크로스 핀 코일 타입의 열교환기로 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 팬(308)은 상기 열교환기(306)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개방부를 가지는 대략 환상으로 되어 있고, 단면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는 본원 발명의 제8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 팬(308) 내에는 드레인수(D)에 대하여 정균 작용을 발휘하는 항균제(19, 19 ‥)를 가지는 항균제 유닛(K)이 열교환기(306)와 내주벽(308a, 즉, 흡입구 측 주벽)의 사이에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고, 당해 항균제 유닛(K)의 지지 부재(314)는 상기 드레인 팬(308)의 내주벽(308a, 즉, 흡입구 측 주벽)의 상방을 거쳐 상기 벨 마우스(309)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단부(內端部, 314a)는 상기 벨 마우스(309)의 내주 상단에 형성된 테두리부(309a)에 대하여 나사(315)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본 실시예에 있어서, 항균제 유닛(K)을 배설할 수 있는 영역은 도 23에서 사선으로 도시하는 부분(즉, 드레인 팬(8)에서의 내주벽(308a) 및 외주벽(外周壁, 308b)의 근방)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벨 마우스(309)와 상기 드레인 팬(308)의 사이에는 작업용 개구(316)가 형성되고 있고, 당해 작업용 개구(316)는 탈착 가능한 덮개판(317)에 의하여 복개되어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항균제 유닛(K)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항균제 유닛과 동일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하여, 드레인 팬(308) 내에 드레인수(D)가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항균제 유닛(K)에 포함되는 항균제(19, 19 ‥)의 정균 작용에 의하여 드레인수(D)에서의 세균 증식이 억제되게 되어, 드레인 팬(308) 내에서의 슬라임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장 패널(304)를 떼어낸 상태에서 덮개판(317)을 떼어내면, 나사(315)를 작업용 개구(316, 바꾸어 말하면, 공기 흡입구(311) 측)로부터 탈착 조작할 수 있도록 된다. 그 결과, 항균제 유닛(K)의 지지 부재(314)를 작업용 개구(316)로부터 탈착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드레인 팬(308)을 떼어내는 일 없이, 항균제 유닛(K)의 교환 또는 추가(바꾸어 말하면, 항균제 유닛(K)에 대한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사방(四方) 취출 타입의 천장 매입식 공기 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방(二方) 취출 타입 또는 일방(一方) 취출 타입의 천장 매입식 공기 조화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제9 실시예>
도 21 및 도 22에는 본원 발명의 제9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드레인 팬(308) 내에서 그 외주벽(308b, 즉, 취출구 측 주벽)과 열교환기(306)의 사이에 위치하여 항균제 유닛(K)이 배치되어 있고, 당해 항균제 유닛(K)의 지지 부재(314)는 대략 역L자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드레인 팬(308)의 외주벽(308b, 즉, 취출구 측 주벽)에 계지(係止, 서로 연결되어 고정됨)되어 있다(본 실시예에 있어서, 항균제 유닛(K)을 배설할 수 있는 영역은 도 23에서 사선으로 도시하는 부분(즉, 드레인 팬(8)에서의 내주벽(308a) 및 외주벽(308b)의 근방)으로 된다). 즉, 지지 부재(314)의 외단부(外端部, 414a)는 공기 취출구(313)로부터 탈착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항균제 유닛(K)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항균제 유닛과 동일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하여, 드레인 팬(308) 내에 드레인수(D)가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항균제 유닛(K)에 포함되는 항균제(19, 19 ‥)의 정균 작용에 의하여 드레인수(D)에서의 세균 증식이 억제되게 되어, 드레인 팬(308) 내에서의 슬라임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장 패널(304)의 공기 취출구(313)로부터 항균제 유닛(K)의 지지 부재(314)를 탈착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드레인 팬(308)을 떼어내는 일 없이, 항균제 유닛(K)의 교환 또는 추가(바꾸어 말하면, 항균제 유닛(K)에 대한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8 실시예의 경우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사방 취출 타입의 천장 매입식 공기 조화기에 관하 여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방 취출 타입 또는 일방 취출 타입의 천장 매입식 공기 조화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항균제 유닛(K)의 장착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항균제 유닛(K)의 위치 결정이나 항균제 유닛(K)의 교환 등도 용이하게 하는 특징을 가져, 일반 가정이나 병원 대상의 공기 조화기 등으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항균제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실내기)에 있어서 사용되는 항균제의 사용 형태예 I를 도시하는 것이며, (a)는 정면도, (b)는 내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실내기)에 있어서 사용되는 항균제의 사용 형태예 I를 도시하는 것이며, (a)는 평면도, (b)는 내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실내기)에 있어서 사용되는 항균제의 사용 형태예 II를 도시하는 것이며, (a)는 정면도, (b)는 내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실내기)에 있어서 사용되는 항균제의 사용 형태예 II를 도시하는 것이며, (a)는 평면도, (b)는 내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실내기)에 있어서 사용되는 항균제의 사용 형태예 III를 도시하는 것이며, (a)는 정면도, (b)는 내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실내기)에 있어서 사용되는 항균제의 사용 형태예 III를 도시하는 것이며, (a)는 평면도, (b)는 내부 확대도, (c)는 변형예를 도시하는 내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항균제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항균제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항균제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원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실내기)에 있어서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원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실내기)에 있어서의 항균제 유닛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원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드레인 배출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원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드레인 배출 장치의 배수 마개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원 발명의 제7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드레인 배출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원 발명의 제7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드레인 배출 장치의 배수 마개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원 발명의 제8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본원 발명의 제8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원 발명의 제8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항균제 유닛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원 발명의 제9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본원 발명의 제9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원 발명의 제8 및 제9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드레인 팬에 있어서의 항균제 유닛의 배치 가능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열교환기
8 : 드레인 팬
16 : 드레인 펌프
19 : 항균제
23 : 흡입구
26 : 임펠러
D : 드레인수
K : 항균제 유닛

Claims (6)

  1. 열교환기(6)로부터의 드레인수(D)를 받는 드레인 수용부(8)를 구비하고, 당해 드레인 수용부(8)의 최심부(108a)에는, 드레인 수용부(8) 내의 드레인수(D)를 빼내기 위한 배수 구멍(14)을 형성하고, 또한, 당해 배수 구멍(14)에는, 배수 마개(15)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드레인 배출 장치이고, 상기 드레인 수용부(8) 내에서 상기 배수 마개(15)의 상방 위치에는, 드레인수(D)에 대하여 정균 작용을 발휘하는 항균제(19), (19) ‥를 가지는 항균제 유닛(K)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배출 장치.
  2. 열교환기(6)로부터의 드레인수(D)를 받는 드레인 수용부(8)를 구비하고, 당해 드레인 수용부(8)의 최심부(108a)에는, 드레인 수용부(8) 내의 드레인수(D)를 빼내기 위한 배수 구멍(14)을 형성하고, 또한, 당해 배수 구멍(14)에는, 배수 마개(15)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드레인 배출 장치이고, 상기 드레인 수용부(8) 내에는, 상기 배수 마개(15)에 장착되고, 또한, 드레인수(D)에 대하여 정균 작용을 발휘하는 항균제(19), (19) ‥를 가지는 항균제 유닛(K)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배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유닛(K)을, 상기 배수 마개(15)에 대하여 연결 부재(224)를 통 하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배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유닛(K)을, 상기 배수 마개(15)의 구경(d2)보다 소경(小徑)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배출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유닛(K)을, 다수의 개공부(21), (21) ‥를 가지는 보관 용기(20) 내에 입상(粒狀) 또는 펠릿(pellet) 형상의 다수의 항균제(19), (19) ‥를 수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배출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유닛(K)을, 합성 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관재(22)에 입상 또는 펠릿 형상의 다수의 항균제(19), (19) ‥를 이겨 넣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배출 장치.
KR1020087014214A 2005-01-12 2006-01-11 드레인 배출 장치 KR200800594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05208 2005-01-12
JP2005005208A JP2006194493A (ja) 2005-01-12 2005-01-12 ドレン排出装置
JP2005005201A JP4696559B2 (ja) 2005-01-12 2005-01-12 空気調和機
JPJP-P-2005-00005198 2005-01-12
JP2005005209A JP4779364B2 (ja) 2005-01-12 2005-01-12 空気調和機
JPJP-P-2005-00005209 2005-01-12
JP2005005198A JP2006194491A (ja) 2005-01-12 2005-01-12 空気調和機
JPJP-P-2005-00005201 2005-01-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092A Division KR100896010B1 (ko) 2005-01-12 2006-01-11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480A true KR20080059480A (ko) 2008-06-27

Family

ID=3667763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215A KR100931253B1 (ko) 2005-01-12 2006-01-11 공기 조화기
KR1020077017092A KR100896010B1 (ko) 2005-01-12 2006-01-11 공기 조화기
KR1020087014214A KR20080059480A (ko) 2005-01-12 2006-01-11 드레인 배출 장치
KR1020087014213A KR20080059479A (ko) 2005-01-12 2006-01-11 공기 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215A KR100931253B1 (ko) 2005-01-12 2006-01-11 공기 조화기
KR1020077017092A KR100896010B1 (ko) 2005-01-12 2006-01-11 공기 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213A KR20080059479A (ko) 2005-01-12 2006-01-11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53134A1 (ko)
EP (1) EP1840475A4 (ko)
KR (4) KR100931253B1 (ko)
WO (1) WO2006075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9246A1 (en) * 2005-07-20 2007-02-08 Tosiya Ueda Adsorbent carbon, water quality purifier, water quality purifying bag, water quality purifying substrate and method of removing oil film
JP2008116111A (ja) * 2006-11-02 2008-05-22 Daikin Ind Ltd ドレンアップ装置
JP2009180386A (ja) * 2008-01-29 2009-08-13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EP2085711B1 (en) * 2008-01-29 2014-12-31 SANYO Electric Co., Ltd. Air conditioner having antibacterial unit for drain water
JP5611132B2 (ja) * 2011-06-29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抗菌剤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FR2982354B1 (fr) 2011-11-08 2013-12-20 Sauermann Ind Sa Dispositif de relevage de condensats, mettant en oeuvre un metal bactericide.
CN102954009A (zh) * 2012-11-22 2013-03-06 无锡惠山泵业有限公司 空调机排水泵
US9776890B1 (en) 2016-02-19 2017-10-03 JB Solutions, Inc. Sanitizing system
US10610907B1 (en) 2018-04-06 2020-04-07 Mainstream Engineer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condensate drain pan flooding, detecting condensate water overflow and shutting off an air conditioner or heat pump to prevent further flooding
US20220090819A1 (en) * 2020-09-03 2022-03-24 Dobber Industries, LLC - Patent Series Drain Pan Guard
US11859858B1 (en) 2022-02-02 2024-01-02 Terry Zarling Copper coated AC drain pan basi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0855A (en) * 1974-09-20 1976-11-09 Cdc Chemical Corporation Clog preventing device for air conditioning condensate drain pans
US4416854A (en) * 1979-08-24 1983-11-22 Sharon G. Nielsen Method for killing water borne microorganisms
JPH05126081A (ja) * 1991-10-31 1993-05-21 Suntory Ltd 送液装置
JPH0718128U (ja) * 1993-08-10 1995-03-31 松下冷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1078240A (ja) * 1996-09-03 1998-03-24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のドレンパン
US5791156A (en) * 1997-01-06 1998-08-11 Strautman; Thomas J. Condensate drain pan for roof mounted vehicle air conditioning unit
JP3052941B2 (ja) 1998-08-28 2000-06-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2000205591A (ja) 1999-01-19 2000-07-25 Zexel Corp ドレンパ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57400A (ja) 2001-02-26 2002-09-11 Osaka Gas Co Ltd 空気調和室内機の保守装置
WO2004053398A1 (ja) 2002-12-10 2004-06-24 Daikin Industries,Ltd. 空気調和装置
JP2004205132A (ja) * 2002-12-26 2004-07-22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2004211936A (ja) * 2002-12-27 2004-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4111113B2 (ja) * 2003-09-25 200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996A (ko) 2007-09-14
EP1840475A1 (en) 2007-10-03
KR100931253B1 (ko) 2009-12-11
EP1840475A4 (en) 2010-11-24
US20080053134A1 (en) 2008-03-06
KR20080059481A (ko) 2008-06-27
WO2006075607A1 (ja) 2006-07-20
KR100896010B1 (ko) 2009-05-11
KR20080059479A (ko) 200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253B1 (ko) 공기 조화기
JP4779364B2 (ja) 空気調和機
EP3150934B1 (en) Ultrasonic space-sterilizing humidifier
US77400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rain line clogging over an extended time using liquid or solid biocides
JP2006194493A5 (ko)
JP2006194493A (ja) ドレン排出装置
JP2006194491A (ja) 空気調和機
JP2009180386A (ja) 空気調和装置
JP4700720B2 (ja) 抗菌装置
JP2007240113A (ja) 空気調和機
JP4696559B2 (ja) 空気調和機
JP2019023520A (ja) 消臭ウェザーカバー
JP5335449B2 (ja) 空気調和装置
WO2006062182A1 (ja) ドレンアップキット
KR20100029790A (ko) 전열교환형 환기시스템의 급기장치
JP2011242031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CN2711258Y (zh) 具有自洁功能的给水箱
JP2006322677A (ja) 抗菌材料及び抗菌材料を備えた装置
JP5920963B2 (ja) 給排水管と防虫ネットとを備えた冷却用パッド装置
JP2017122526A (ja) 天井埋込型室内ユニット
JP2008157585A (ja) 空気調和装置
CN108224723A (zh) 一种管道式中央空调管道内除味、杀菌消毒装置
CN214120324U (zh) 吊装式空气处理机组
CN211885797U (zh) 一种具有防霉防菌功能的内衬风管
CN113144265A (zh) 一种光触媒异味处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