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021A -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021A
KR20080056021A KR1020087011903A KR20087011903A KR20080056021A KR 20080056021 A KR20080056021 A KR 20080056021A KR 1020087011903 A KR1020087011903 A KR 1020087011903A KR 20087011903 A KR20087011903 A KR 20087011903A KR 20080056021 A KR20080056021 A KR 20080056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artificial skin
adhesive layer
hair
g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사토
신이치 마루야마
야스히로 곤도
요시에 오가와
히로코 스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080056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75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가발 베이스(1a, 1b)와 이 가발 베이스에 이식한 모발(12)을 구비한 가발(1)에 있어서, 가발 베이스는, 인공 피부(10)로 완성이루어지고 그 앞쪽 에지를 가발 장착자의 전두부에 배치하는 전방부, 및 이 전방부와 접합되어 가발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과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캡 부재로 이루어지는 후방부로 구성되고, 전방부는 인공 피부재(11)와 이 인공 피부재의 이면에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되어 모발의 바늘 땀부를 고정시키고 또한 두피에 반복적으로 접착 및 박리 가능하게 가압 접착되는 기능을 가진 접착층(30)을 가진다.

Description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WI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헤드부의 헤어라인으로부터 후두부에 걸쳐 헤드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가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발 장착자의 전두부의 헤어라인에 대응한 가발의 앞쪽 에지의 위장 효과를 향상시킨 가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헤드부의 모발이 희박해졌을 경우에 장착하는 가발은, 합성 수지제의 인공 피부, 메쉬형의 그물로 이루어지는 가발 베이스 또는 인공 피부와 그물을 조합한 가발 베이스를 구비하고, 이 가발 베이스를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을 가능한 따르도록 성형하고, 인모나 인공모발을 이식해 제작되어 있다.
그런데, 탈모는 일반적으로, 전두부의 헤어라인이 후퇴하여 가는 것에 의해 진행하여 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가발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가발의 앞쪽 에지가 사용자의 통상의 또는 일반적인 헤어라인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대로 맞도록 위치맞춤되어 장착되어야 한다. 종래의 가발에서의 문제의 하나로서, 장착한 가발의 앞쪽 에지와 사용자의 전두부의 피부와의 경계선이, 용이하게 제삼자에 눈에 띌 수 있는 우려가 있으므로, 주위의 사람에게 가발을 장착하고 있는 것이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
최근, 전두부의 헤어라인에 위치하는 피부와 가발의 경계선을 분별하기 어렵게 해 가발의 노출을 방지하는 방법이 몇 개 정도 고안되어 있다. 먼저, 가발 베이스 앞쪽 에지부에 이면 측으로부터 피복용 모발을 이식해 앞쪽 에지부의 외측을 거쳐 위쪽으로 인출하여 앞쪽 에지부를 은폐함으로써, 노출을 방지하는 방법이 일본국 특개평8-19941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밴드형 그물을 이중으로 접은 모발 이식용 그물을 가발 베이스의 주위 형상을 따라 고착시켜, 모발 이식용 그물에 모발을 이식하고, 장착자의 자모(自毛)와 얽히게 할 수 있는 것에 의해 가발 베이스 외측 에지부의 노출을 방지하는 방법이 일본국 실공평4-3122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극히 얇은 인공 피부에 모발을 이식한 가발을 사용자의 전두부의 헤어라인 대응 위치에 접착제로 직접 접착하고, 헤드부와 가발의 경계선을 자연스럽게 보이게 해 헤어라인을 발견하기 어렵게 하는 방법이 일본국 특개2001-8992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11-107023호 공보에도, 극히 얇은 인공 피부를 헤어라인에 사용하고, 헤드부와 가발의 경계선을 자연스럽게 보이게 해 헤어라인 부분을 발견하기 어렵게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소61-231204호 공보에는, 파형을 형성한 철선형의 테두리선을 가발의 전두부에 장착하고, 상기 테두리선에 솜털과같이 부드러운 모발을 이식해 헤어라인이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먼저, 일본국 특개평8-199412호의 가발에서는, 앞쪽 에지부의 가발 베이스 표면과 가발 베이스 이면의 양쪽에 피복용 모발이 이식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 에지부가 두껍게 되고, 가발 베이스가 물결을 친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소정의 헤드부 형상이 무너져 버려, 자연감을 가져올 수가 없다.
일본국 실공평4-31222호의 가발에서는, 모발을 이식한 모발 이식용 그물 부분에 말림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식모용 그물와 가발 베이스의 고정 부분이 두껍게 되어, 가발 베이스 외측 에지부에 자연감을 갖게 할 수가 없다.
어느 것으로 해도 일본국 특개평8-199412호 및 일본국 실공평4-31222호의 방법에서는, 가발 베이스 자체의 두께는 변함없기 때문에, 가발을 장착했을 때 특히 전두부의 헤어라인의 위치에서, 가발 베이스에 상당한 두께가 존재한다. 따라서, 전두부의 피부와의 사이에서 단차가 생겨, 가발 베이스의 단면 부분이 발견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일본국 특개2001-89921호에서는, 극히 얇은 인공 피부에 의해 헤드부 전체를 덮도록 한 만곡형의 가발을 제작하도록 해도, 극히 얇은 인공 피부가 너무 부드럽기 때문에 헤드부의 만곡형을 부착할 수 없으므로,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에 합치되는 가발을 제작할 수 없다. 일본국 특개2001-89921호에 기재된, 가발 베이스 이면 전체면에 접착층을 제공하고, 헤드부에 직접 접착하는 방법에서는, 접착 위치에 어긋남이 생기거나, 구김이 들어가는 등, 접착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경우, 다시 접착하여 수정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1-89921호의 가발 베이스의 접착층은, 이식한 모발의 기단부를 가발 베이스에 고정하는 제1 접착층과 상기 제1 접착층의 위에 헤드부에 가발을 접착시키기 위한 제2 접착층으로 이루어지지만, 이 경우, 접착층이 2층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발 베이스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국 특개평11-107023호의 헤어라인의 노출을 방지하는 방법에서는, 가르마부에만 극히 얇은 인공 피부가 설치되어 있고, 전두부의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에는, 헤드부와 가발의 구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행해져 있지 않다.
일본국 특개소61-231204호의 가발에서는, 헤어라인에서의 테두리선의 파형이, 돌출이 큰 경우나 선단부의 각도가 예리하게 되어 있는 경우, 헤드부로부터 테두리선이 떠오르는 높이가 예상보다 높아지고, 테두리선에 모발을 이식할 때 테두리선에 모발을 권취하여 연결하므로, 테두리선이 더욱 노출되기 쉬워져, 가발의 헤어라인이 부자연스럽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테두리선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솜털과 같이 부드러운 모발을 이식하는 것이 필수로 되어 있지만, 상기 테두리선에 이식하기 위한 모발을 별도로 준비해야 하므로, 모발의 준비에 시간이 들어 번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이며, 가발 베이스의 전두부의 헤어라인에 인공 피부를 설치함으로써 장착자의 헤어라인과 가발의 구분이 일어나지 않게 하고, 또한 장착자의 헤드부에 꼭 맞는 가발을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가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발 베이스에 이식한 모발을 구비한 가발에서, 가발 베이스는, 앞쪽 에지가 가발 장착자의 전두부에 위치하는 인공 피부로 이루어지는 전방부, 전방부와 접합되어 가발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캡 부재로 이루어지는 후방부로 구성되고, 전방부가, 상기 인공 피부와, 이 인공 피부의 이면에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하여 모발의 바늘 땀부(stitch)를 고정하고 또한, 두피에는 반복적으로 접착 및 박리 가능하게 가압 접착되는 기능을 가진 접착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가발은, 상기 접착층의 반복적인 접착 및 박리 기능(본 발명에서는 재박리 기능이라고 함)이, 접착층의 겔화 반응 종료 후에 발현된다. 이 접착층은, 우레탄 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 겔은, 주제(main agent)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 혼합형의 우레탄 수지계 압력 감응식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주제는 우레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 경화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할 수 있다. 인공 피부의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인공 피부에 광택제거제를 혼합하고, 또한 인공 피부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광택제거 처리되어 있다. 이 광택제거제는 무기물 입자이며, 미세한 요철부는 미세한 메쉬에 의한 전사(轉寫)로 형성할 수 있다. 인공 피부의 앞쪽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파형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는, 예를 들면, 0.08㎜∼0.12㎜이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가발의 제조 방법은, 헤드부 형상을 모방한 메일 패턴(male pattern)에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를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전방부가 되어야 할 인공 피부를 제작하는 동시에, 그물 부재에 장착자의 헤드부의 형상과 유사한 패턴을 만들어 인공 피부에 연결된 후방부가 될 그물패턴을 제작하는 제1 공정, 인공 피부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그물패턴을 중첩시키고, 인공 피부의 뒤쪽 에지가 될 부분과 이것과 접합시키는 그물패턴의 앞쪽 에지가 될 부분을 봉합 또는 접착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제2 공정, 전방부가 될 인공 피부 및 후방부가 될 그물패턴 및 접합부에 모발을 이식하는 제3 공정, 모발을 이식한 전방부가 될 인공 피부의 이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제4 공정, 전방부에 위치하는 그물 부재와 후방부에 위치하는 인공 피부 부분을 각각 절제하는 제5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의 모발 이식 공정, 제4의 접착층 형성 공정, 제5의 불필요한 부분 절제 공정은, 각각의 작업 공정의 순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필요한 부분을 절제한 후, 모발을 이식하거나 또는 접착층을 형성해도 되고, 또는 접착층을 형성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절제하거나 또는 모발을 이식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의 이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주제와 경화제와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 교반하여 상온에서 소정 시간 방치하여 반응을 진행시켜, 용액을 극히 얇은 인공 피부 이면에 도포해 상온 보다 높은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극히 얇은 인공 피부 이면에 접착하고, 소정 시간의 가열 후에 상온까지 냉각하여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이 접착층은, 극히 얇은 인공 피부 측의 이면으로 관통하여 이식된 모발의 바늘 땀부를 고착하는 모발 고정 기능과, 헤드부에 대한 재박리 기능의 2개의 기능이 함께 부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가발용 접착제는, 극히 얇은 인공 피부 이면에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된 접착층을 구비하고, 접착층의 일면은, 극히 얇은 인공 피부 이면에 도포한 접착제 용액의 겔화 반응 중에 이 인공 피부의 이면에 화학반응에 의해 접착되어 극히 얇은 인공 피부 이면에 관통하여 이식되는 모발의 바늘 땀부를 고정하는 모발 고정 기능을 가지고, 다른 면은, 헤드부에 가압 접착되어 헤드부에 대한 재박리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헤드부에 대한 재박리 기능은, 접착층의 겔화 반응 종료 후에 발현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한 가발 및 가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발 베이스의 전방부에서, 장착자의 전두부의 헤어라인에 해당하는 위치에 앞쪽 에지가 위치하는 인공 피부와 이 전방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부에 있어서, 장착자의 헤드부와 유사한 그물패턴으로 성형된 캡 부재를 연결하여 조합함으로써 하나의 가발 베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가발 베이스가 장착자의 헤드부에 양호하게 착용되고, 또한 전두부의 헤어라인에 위장 효과가 높은 극히 얇은 인공 피부를 반복하여 접착 및 박리할 수 있는 가발을 제공할 수 있다.
가발 장착자의 전두부의 헤어라인에 구비되는 극히 얇은 인공 피부의 표면 측에 광택제거 처리를 가하고, 또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의 앞쪽 에지를 파형으로 함으로써, 가발의 구분이 한층 방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발 베이스에 모발을 이식한 후, 이 인공 피부의 이면 전체면 또는 적어도 앞쪽 에지를 포함하는 단부 영역의 일부에, 헤드부에 극히 얇은 인공 피부 부분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전두부의 헤어라인에서 위장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한 가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한쪽이 인공 피부의 이면으로 관통하여 이식된 모발의 바늘 땀부를 고착하는 모발 고정 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접착층의 두피에 접착되는 쪽의 면이 두피에 대한 재박리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접착제가 모발 고정 기능과 두피에 대한 재박리 기능을 겸비한 하나의 층만으로 구성되므로, 가발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서 경량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가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가발의 이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전방부의 인공 피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전방부의 인공 피부의 다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극히 얇은 인공 피부의 앞쪽 에지의 형상 처리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파형 형상과 비교를 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파형 형상과 비교를 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낸 파형 형상과 비교를 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나타낸 파형 형상과 비교를 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나타낸 파형 형상과 비교를 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6에 나타낸 파형 형상과 비교를 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가발 전방부의 앞쪽 에지에 형성된 노치의 형상에 대하여, 가발 외측 에지부의 소정의 위치에서의 상이한 형상의 파형의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4는 전방부와, 측부나 후두부 등의 후방부의 앞쪽 에지에, 노치를 형성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헤드부 형상의 석고형 위에 그물을 덮고, 고정용 침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석고형 위에 있는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의 위에 그물을 중첩시키고, 고정용 침구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7은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와 그물을 일체화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와 그물을 일체화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와 그물을 일체화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와 그물을 일체화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가발 전방부에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를 설치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그물을 절제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측면도이며, 가발 전방부에 있어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 은 인공 피부를 설치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그물을 절제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3은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와 그물을 일체화하는 다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가발 전방부에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를 설치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그물을 절제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측면도이며, 가발 전방부에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를 설치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그물을 절제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인공 피부의 다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은 제작한 가발을 측면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28은 제작한 가발을 이면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29는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가 그물 위에 중첩되도록 일체화하여 제작한 가발을 측면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참조부호의 설명 *
1 가발 1a, 1b 가발 베이스
10 극히 얇은 인공 피부 11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
12 모발 12A 바늘 땀부
15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
15B 오목부 15C 볼록부
15D 요철부 16 광택제거제
20 그물 30 접착층
40 박리 시트 50 모발 고정용 우레탄 용액
51, 51a, 51b, 51a', 51b' 정점
52 계곡 61 석고형
62 고정용 금속 부재 73 접합부
74, 75, 76 마스킹 테이프 D 가르마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가발(1)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가발(1)의 가발 베이스(1a, 1b)는, 가발 장착자의 전두부에 대응하는 전방부와, 이 전방부로부터 머리 정상부 및 후두부로 계속되는 후방부의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방부에는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가 배치되고, 후방부에는 그물패턴(20)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접합부(73)에서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도 1(A)의 가발 베이스(1a)는, 모발 이식 시, 가르마를 넣는 헤어스타일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전두부에 대응하는 영역 외에 또한, 가르마부(hair dividing portion)(D)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1(B)의 가발 베이스(1b)는, 헤어스타일을 이른바 올백으로 하는 것을 상정 하고, 사용자의 전두부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는, 가발 장착자의 전두부에 밀착되는 것이며, 가발 장착자의 전두부의 형상을 따르도록, 예를 들면, 횡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물패턴(20)도, 가발 장착자의 헤드부의 형상을 따르도록 볼록형의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공 피부(10)의 앞쪽 에지는, 가발 장착자의 앞이마의 상부에 본래 존재해야 할 헤어라인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맞춤되어 밀착된다. 인공 피부(10)의 이면에는 전체면 또는 적어도 앞쪽 에지를 포함하는 단부 영역의 일부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인공 피부(10)에는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하여 모발의 바늘 땀부를 고정하지만, 두피에는 반복하여 접착 및 박리되도록 가압 접착되는 접착층(30)(도 2 참조)이 구비되어 있다. 후방부의 그물패턴(20)은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 섬유의 치밀한 격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자모를 꺼낼 수 있도록 커다란 메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표면이 얕은 접시형으로 팽출된 캡 부재로서 구성된다. 전방부 및 후방부는, 전방부의 인공 피부(10)의 뒤쪽 에지와 후방부의 그물패턴(20)의 앞쪽 에지를 선형으로 중첩하여 접착 또는 봉합한 접합부(73)에 의해 일체화되어 전체적으로,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이 가능한 유사한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A)는, 도 1(B)의 가발 베이스(1b)의 이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전방부의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의 앞쪽 에지를 따라 단일층으로 되는 가발용 접착층(이하, 접착층이라고 함)(30)이 소정의 폭으로 선형으로 도포되어 있다. 여기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의 앞쪽 에지의 윤곽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둔 스폿형으로 복수 개의 접착층(30)을 도포해도 된다. 또는, 접착층(30)은,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의 이면 전체에 도포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가발 베이스(1a, 1b)에는 그 표면 측에 다수의 모발이 이식되어 있지만, 이식한 모발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가발 베이스의 전방부를 구성하는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는, 가발 장착자의 전두부에 본래 존재해야 할 헤어라인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앞쪽 에지, 헤드부 후방에 소정 폭으로 넓어진 대략 호형의 윤곽을 이루고 있고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 상기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에 이식되는 모발(12), 및 접착층(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는,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와 같은 연질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극히 얇게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두께가 0.08㎜∼0.12㎜로 설정되어 있다. 도 1의 (A) 및 (B)의 가발 베이스(1a, 1b)에서는, 자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전방부의 앞쪽 에지가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에 이식되는 모발(12)은, 인모 또는 인공모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12)은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의 표면 측으로부터 이면으로 관통하여 이식되어 다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의 표면 측으로 뽑아냄으로써,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이식되어 있다. 이 극히 얇은 인 공 피부재(11)의 이면으로 관통하고, 이면 측에 노출되는 모발의 부분을 바늘 땀부(12A)라고 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식 방법을 통상, V자 이식이라고 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에 도포되는 접착층(3O)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접착층(30)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진다.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가발용 접착층(30)은, 일면 측이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의 이면에는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되는 한편, 다른 면 측은 가발 장착자의 헤드부에 재박리 가능하게 가압 접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새로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접착층(30)의 일면 측은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의 이면으로 관통하여 이식되는 모발의 바늘 땀부(12A)를 고정하는 모발 고정 기능을 가지고 박리 불가능하게 인공 피부재(11)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30)은 인공 피부재(11)의 이면 전체면에 형성되어도 되고, 또는 인공 피부재(11)의 이면에서 앞쪽 에지를 포함하는 단부 영역의 일부분에 선형으로 또는 스폿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가발 베이스의 전방부는, 상기와 같이,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 및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용의 단일 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30)의 2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접착층(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접착층(30)의 일면 측은,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 이면에 도포한 접착제 용액의 겔화 반응에 의해,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 이면에 화학적 결합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모발(12)의 바늘 땀부(12A)는, 접착층(30)이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에 접착될 때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와 접착층(30) 사이에 협지되어, 동시에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 이면에 고정된다.
한편, 접착층(3O)의 헤드부에 맞닿는 면은, 헤드부에 반복적으로 접착 및 박리 가능하게, 즉 재박리 가능하게 가압 접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접착층(30)의 헤드부에 대한 재박리 기능은, 상기 접착제의 겔화 반응 후에 발현된다. 그러므로, 겔화 반응 종료 후의 접착층(30)은 헤드부에 대하여는, 상온에서, 단시간, 근소한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접착할 수 있다. 즉, 가압 접착할 수 있는 압력 감응식 접착층(소위 점착층)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겔화 반응 종료 후의 접착층(30)은, 미량의 물이나 유기용제 등으로 그 표면을 닦는 것에 의해, 두피에 대한 반복 접착이 가능하다. 이 반복 접착이 가능한 것을, 본 발명에서는 재박리 기능 또는 단지 박리 기능이라 칭하고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층(30)의 두피에 대한 접착면에는, 장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벗길 수가 있는 염화 비닐 시트 등의 박리 시트(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가발용 접착층(3O)의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착층(30)의 형성에 사용되는 가발용 접착제로는, 크게 나누면, 우레탄 수지계, 아크릴 수지계, 고무계를 들 수 있다.
우레탄 수지계의 가발용 접착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발(12)의 바늘 땀부(12A)를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에 고정하는, 접착성이 양호하고 또한 접착층(30)과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 사이를 박리 불가능하게 강력 접착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헤드부에 접착하는 경우의 재박리 성능이 양호하며, 저피부 자극성이다. 그러므로, 우레탄 수지계의 가발용 접착제는, 본 발명의 접착층(30)을 형성하는 가발용용 접착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아크릴 수지계의 접착제는, 점착성은 뛰어나지만, 재박리 성능이 약하고 피부 자극성도 강한 경우가 있다. 고무계는, 초기의 점착성은 우수하지만, 시간의 경과와 함께 재박리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가발용 접착층(30)을 아크릴 수지계 및 고무계의 접착제에 의해 형성하면, 수지 자체의 경도 때문에, 두피에 접착했을 때 피부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없고 헤드부와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박리되기 쉽고, 모발(12)의 바늘 땀부(12A)를 가발 베이스(1a, 1b)에 고정하는 접착성이 약하며, 접착층(30)과 가발 베이스(1a, 1b) 사이의 접착성이 약하여 박리도 용이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사용에 적합하지 않다.
다음에, 우레탄 수지계의 가발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층(3O)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레탄 수지계의 가발용 접착제로서는, 주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 혼합형의 접착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주제는 우레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이고, 경화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할 수 있다. 이들 2가지 액을 혼합하여 겔화 반응시켜, 겔화 반응 종료 후에 겔로 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이 겔화는 가열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이로써, 겔화의 과정에서, 경화제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의 작용에 의해 표면 장력 등의 물리적인 결합력만이 아니라 화학적인 결합력이 가해진다. 그러므로, 극히 얇은 인공 피부 재(11)와 접착층(30) 사이의 접착력과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와 거기에 이식한 모발(12)의 바늘 땀부(12A)와의 고착력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종래의 접착제에 의한 모발 고정 공정과 동일한 정도의 고착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고착력이란, 본 발명의 접착층(30)에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와 거기에 이식한 모발(12)의 바늘 땀부(12A)와의 접착력이라 정의하고, 통상의 열 활성형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2액 혼합형 우레탄 수지계의 가발용 접착제는, 반응 후에 겔형 구조의 접착층, 즉 점착층이 되므로, 전두부의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의 장착 시에 헤드부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우수한 반응을 나타내고, 두피와의 밀착성이 저하되지 않고, 충분한 가발 점착력이 발현된다.
다음에, 이식한 모발(12)의 바늘 땀부(12a)의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로의 고착력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2액 혼합형 우레탄 수지계의 모노머(monomer)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혼합하고, 이 2액 중에 광택이 제거된 가발 베이스(1a, 1b)의 재질의 유기용제를 소량 첨가한 접착제를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에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용제로는,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의 재료가 우레탄 일래스토머인 경우에는, 디메틸 폼 아미드(DMF)나 메틸 에틸 케톤(MEK)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30)의 모발(12)의 바늘 땀부(12A)의 고착력 및 헤드부에 대한 점착력의 크기는, 2액 혼합형 우레탄 수지계의 가발용 접착제의 주제 및 경화제의 혼합 비율의 조정, 도포 점도의 조정, 2액 혼합 후에 모발(12)을 이식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에 도포할 때까지의 세팅 시간의 조정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발 베이스의 전방부에서,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A)는,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와 그 이면에 설치한 단일의 층이 되는 접착층(30)의 2층 구조로 되어, 단일층이 되는 접착층(30)이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 이면의 앞쪽 에지 소정 폭 또는 앞쪽 에지를 포함하는 단부 영역의 일부분에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되어 모발(12)의 바늘 땀부(12A)의 고착 기능과 헤드부에 대한 재박리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A)가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와 상이한 점은,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표면에, 광택제거를 위한 미세한 요철부(15D)가 형성되고, 또한 광택제거제(16)가 첨가되어 있는 것이다. 이 미세한 요철부(15D)는, 오목부(15B)와 볼록부(15C)로 이루어진다. 도시한 경우, 광택제거제(16)는 표면 측으로부터 소정의 영역(15A)까지 첨가되어 있지만, 광택제거제(16)는 가발 베이스 중의 임의의 영역에 첨가하면 된다. 다른 구성은 전술한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과 동일하다.
가발 베이스(1a, 1b)를 경량화하기 위해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에는, 광택제거 효과와 헤드부에 접착했을 때의 피부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을 고려하여, 광택제거제(16)를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표면 측에 가급적 얕게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두께를 0.08㎜∼0.12㎜ 정도로 하는 경우에는, 광택제거제(16)를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표면 측으로부터 0.03∼0.035㎜ 정도의 깊이까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3㎜보다 얕으면 광택제거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0.035㎜보다 두껍게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가 경화되면, 두피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어려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광택제거제(16)는 각종의 무기물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무기물 입자의 재료로는, 실리카,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유리 중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입자직경이 1∼10㎛인 분말 상태의 실리카가 매우 적합하다. 분말 상태의 실리카는, 도포하는 적당한 유기용제 중에 용해시킨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중량에 대하여 5∼25%가 바람직하다. 광택제거제(16)로서 예를 들면, 분말 상태의 실리카를 이용하면, 장착자의 두피의 색이 비쳐 보이므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와 헤드부의 경계선이 확인되기 어려워져, 가발 장착 시의 자연스러움이 향상된다.
미세한 요철부(15D)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물패턴의 직물 등의 미세한 메쉬를 사용한 전사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전사에 의해,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에는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다. 이 요철이 실제 피부와 유사하게 한다.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두께는 0.08∼0.12㎜정도가 바람직하다.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두께가 0.08㎜보다 얇은 경우는,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형태 안정성이 약해지기 때문에, 장착 중인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가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 ㄱ과 맞지 않게 되어 버린다. 또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두께가 0.12㎜보다 두꺼운 경우는, 가발 장착 시에 두피와 가발 베이스의 경계선의 위치에 단차가 생기고, 두께에 의해 가발 베이스의 단면이 눈에 띄어, 가발 장착이 확인되고 쉽고, 또한 장착 시에 두피의 움직임에 가발 베이스가 추종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에 의하면, 광택제거제(16) 및 미세한 요철부(15D)에 의한 난반사에 의해, 복합된 광택제거 효과가 발휘된다. 그리고, 분말 상태의 실리카는 투명하고, 장착자의 헤드부의 색이 비쳐 보이므로, 전두부의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A)와 헤드부의 경계선이 확인되기 어려워져, 가발 장착 시의 자연스러움이 향상된다.
무기물의 첨가만으로는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가 경화되거나 원하는 광택을 얻을 수 있어도, 첨가한 무기물의 작용에 의해, 광택이 제거된 가발 베이스(1a, 1b)의 색조가 크게 변화하여, 장착자의 헤드부의 색에 근사시키는 것이 곤란했지만, 본 발명의 구조로 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된다.
상기 변형예에 의하면, 두피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쉽고, 또한 광택제거 효과로 극히 높은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를 사용함으로써, 재박리성을 가지는 전두부의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A)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가발 전두부의 앞쪽 에지에 형성하는 파형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방부에 설치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에 대하여, 한층 위장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전방부의 앞쪽 에지 중 적어도 일부분에, 도 1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의 노치를 넣는다.
이 앞쪽 에지의 파형 형상은,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를 절제함으로써 형성된다. 절제 시에,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앞쪽 에지의 가공을 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앞쪽 에지에 실시하는 형상 가공의 모식도이다. 도면 중의 파형 형상에 대하여, 길이 방향에 대하여 돌출형 부분의 정상을 정점(51), 양쪽의 정점 사이에 있는 골의 바닥 부분을 계곡(52)으로 표기한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12는 도 6에 나타낸 파형 형상과 비교를 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먼저, 노치를 파형으로 하는 이유는, 전방부 앞쪽 에지의 형상을 도 7, 도 8과 같은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하면, 헤드부에 가발을 장착한 경우에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앞쪽 에지의 돌출 부분(53)이 뒤집힐 수 있으므로, 가발의 노출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노치의 형상은 선단부가 둥그런 파형이 적합하다.
파형 형상의 치수는, 도 6에서의 정점(51)으로부터 계곡(52)까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길이, 즉 깊이(A)를 1.0㎜∼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깊이(A)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3.0㎜보다 크면, 가발 장착 시에 정점(51)을 포함한 돌기가 뒤집어져 노출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깊이(A)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보다 작으면, 앞쪽 에지를 직선형으로 처리한 것과 비교하여 파형의 앞쪽 에지와의 차이가 거의 없고, 충분한 위장 효과를 갖게 할 수가 없다.
도 6에서의 정점(51a)으로부터 거기에 인접하는 정점(51b)까지의 길이 방향 의 길이(B)는 7.0㎜∼3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방향의 파형의 길이(B)가 30.0㎜보다도 크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의 노치를 넣지 않고 직선형으로 처리한 것과 변화가 없어서, 위장 효과를 갖게 할 수가 없다. 길이 방향의 파형의 길이(B)가 7.0㎜보다 작으면, 앞쪽 에지의 형상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날 상태가 되어 정점(51)을 포함하는 산형 부분이 돌출하는 형상으로 되므로 장착 시에 뒤집힘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인공 피부의 앞쪽 에지에 형성하는 파형의 형상은 모두 동일하며 없어도 되고, 특정한 부분에서 깊이나 피치가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3은 전방부의 경계선 C1로부터 C2까지의 범위에서 정점(51a)으로부터 거기에 인접하는 정점(51b)까지의 길이 방향의 길이(B1)와, 상기 범위 이외의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정점(51a')으로부터 정점(51b')까지의 길이 방향의 길이(B2)를 상이한 길이로 한 것이다. 전방부의 앞쪽 에지에 설치하는 노치의 치수가 상기의 범위 내에 있으면, 전방부의 앞쪽 에지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이한 형상의 파형을 형성할 수 있다.
파형의 노치를 넣는 부분은, 실시예에서는 전방부의 헤어라인에 설치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 15)의 앞쪽 에지에 형성되어 있지만, 측부나 후두부 등 전방부 이외의 외측 에지부에도 노치를 넣어 위장 효과를 갖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가발 베이스의 그물(20)에서, 측부나 후두부 측에 파형을 형성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위장 효과를 갖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가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공정으로서, 미리 준비한 가발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의 메일 패턴(예를 들면, 석고형 등) 또는 미리 만들어진 전형적인 헤드부 형상의 몇 개의 패턴 중에서 사용자의 헤드부 형상과 가장 유사한 메일 패턴을 사용하여, 이 메일 패턴에,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펠릿 상태의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를 유기용제에 용해한 용액(이하,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용액이라고 함)을 도포한다. 그리고, 메일 패턴을 건조시켜 성형함으로써 마치 헤드부에 근사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를 얻을 수 있다.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는 여러 가지를 적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우레탄 일래스토머가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항균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이같이 하여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에 행하는 광택제거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공정으로서, 제1 공정에서 성형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에 이하의 공정에 의해 광택제거를 행하고, 가발 표면에 자연스러운 광택제거 광택을 부여한다.
구체적으로는,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의 제조에서 사용한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용액에 광택제거제(16)가 되는 무기물 입자를 첨가한 용액을 준비한다. 이 용액을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의 표면에 도포하여 건조시킨다.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의 두께가 0.08∼0.12㎜ 정도인 경우에는, 이 용액을 도포 및 건조시켰을 때의 광택제거제(16)를 포함하는 영역(15A)의 깊이를, 0.03∼0.035㎜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도포하는 열가소성 일래스토머의 점도를 조정하면 된다. 무기물 입자는 여러 가지를 적용할 수 있지만, 입자 직경이 1∼10㎛인 분말 상태의 실리카가 바람직하고, 그 첨가량은, 도포하는 용액 중에 용해시킨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중량에 대하여 5∼25%가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광택제거제(16)와 함께, 자외선 흡수제나 황변 방지를 위한 산화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제3 공정으로서, 제2 공정에서 표면상에 광택제거제(16)가 첨가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에 미세한 메쉬 상태의 그물을 덮고, 극히 얇은 인공 피부 재질의 용매를 도포하고, 건조한 후에 미세한 메쉬 상태의 그물을 제거하고,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 표면에 미세한 메쉬에 의해 미세한 요철부(15D)를 형성한다. 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미세한 메쉬 상태의 그물은, 상기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에 도포하는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재료이면 어느 것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가발 베이스(1a, 1b)를 우레탄 수지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나일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세한 메쉬 상태의 그물은, 0.03∼0.1㎜의 실 직경으로 짜여진, 30~100메쉬(개/인치) 정도의 사이즈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및 제3 공정에 의해, 제1 공정에서 성형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에 광택제거 처리를 가하여, 자연스럽게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도 4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에는, 무기물 입자를 첨가한 광택제거제 첨가 영역(15A) 및 미세한 요철부(15D)의 형성에 의한 복합된 광택제거 처리가 행해진다.
제4 공정으로서, 합성 수지제의 그물을 준비하고, 이 그물에 장착자의 헤드 부의 형상에 맞춘 패턴을 만든 그물패턴(20)을 얻는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합성 수지제의 편평한 그물(20)에 대하여,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에 맞춘 패턴을 사용하여 수지가공에 의해 성형한다.
그리고, 그물패턴(20)의 성형 공정을 제1 공정으로 하고, 제2 공정 이하에서 인공 피부재를 성형하는 작업을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제5 공정으로서, 제조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위에, 미리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에 맞춘 그물패턴(20)을 중첩시키고, 소정 위치에 소정의 폭으로 봉합 또는 접착하여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와 그물패턴(20)을 접합부(73)에 의해 연결하여 일체화하여, 가발 베이스(1a, 1b)를 제작한다. 제작한 가발 베이스의 형상과 사이즈는, 전체적으로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과 가급적 유사하게 형성되면 착용감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제6 공정으로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와 합성 수지제의 그물패턴(20)에 모발(12)이 되는 인모 또는 인공모를, 각각 소정의 방법에 의해 이식한다.
제7 공정에서는, 모발(12)을 이식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이면에 접착층(30)을 형성한다. 접착층(30)은,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이면에 있는 모발(12)의 바늘 땀부(12A)를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에 고정하는 기능 및 헤드부에 접착하는 기능을 겸비한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접착제의 도포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나 브러시를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가발용 접착층(3O)의 구체적인 형성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초에, 모발(12)을 이식한 가발 베이스(1a 또는 1b)를 뒤집어 가발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 메일 패턴에 고정시킨다. 이 헤드부 형상 메일 패턴은, 예를 들면, 열경화성의 에폭시 수지로 형성된다. 다음에, 가발용 접착제 모노머와 유기용제를 혼합 교반한다. 이 가발용 접착제 모노머로는, 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물질과 폴리올을 주성분으로 한 물질의 2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용제를 첨가해도 된다.
이 용액을 상온에서 소정 시간 정치시켜 반응을 진행하여, 가발용 접착제 용액으로 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 정치는, 혼합 교반한 상기 용액 중의 분자들의 가교 반응을 어느 정도 진행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상기의 소정 시간 정치시킨 접착제 용액을,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이면에 브러시로 원하는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상온 이상의 가열 온도로 소정 시간 건조시켜, 건조 후, 실온까지 냉각함으로써, 접착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원하는 두께의 접착층(30)을 얻기 위하여, 상기 접착제 용액의 도포 및 가열에 의한 건조를 반복해도 된다.
그리고,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와 접착층(30) 사이의 접착력과,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와 거기에 이식한 모발(12)의 바늘 땀부(12A) 사이의 접착력은, 상온 이상의 가열 속도로 소정 시간 건조시키는 겔화의 과정에서 발현된다.
상기 제7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가발용 접착층(30)을 형성하고, 전방부의 극히 얇은 인공 피부(15)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가발용 접착층(30)에는, 가발을 장착하기 전의 보호를 위해 박리용 시트(40)를 구비해도 된다.
제8 공정으로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와 그물(20)의 불필요한 돌출 부분을 절제한다. 이 절제 시에,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앞쪽 에지의 파형 형상 가공을 한다. 상기 공정을 거쳐 가발(1)이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발 베이스에 대하여 모발을 이식하는 제6 공정, 인공 피부의 이면에 접착층(30)을 형성하는 제7 공정, 및 인공 피부 및 그물패턴의 불필요한 돌출 부분을 절제하는 제8 공정은, 이 순서대로 작업을 수행할 필요는 없고, 어느 쪽의 공정을 선행하여 행해도 되는 것은 분명하다. 예를 들면, 제8 절제 공정을 제5 접합부 형성 공정의 다음에 행해도 된다. 또는, 이식 공정 또는 접착층 형성 공정을 최후에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가발(1)은, 단일층으로 이루어는 접착층(3O)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2층 구조의 접착층을 가진 가발에서의 모발의 바늘 땀부의 고착 기능을 가지는 제1 접착층과 헤드부의 접착 기능을 가지는 제2 접착층의 기능을,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3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전방부가,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 15) 및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30)의 간단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30)의 두께는, 모발(12)의 바늘 땀부(12A)를 고착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되고, 예를 들면, 이식하는 모발(12)의 굵기가 0.08∼0.09㎜이면 0.05㎜정도로 끝나므로, 전방부를 경량화할 수 있다.
헤드부 측에 접착하는 측의 접착층(30)은 재박리성을 가지고, 접착층(30)을 물이나 유기용제로 세척하는 것만으로 점착력이 회복되어 반복 사용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저비용의 가발(1)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가발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공정으로서, 미리 준비한 가발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의 석고형에, 우레탄 일래스토머를 DMF 및 MEK에 용해시켜, 항균제를 첨가한 용액을 도포하고, 가열 온도 60℃에서 1시간 건조를 행하였다. 또한, 그 석고형에, 상기 우레탄 일래스토머 용액보다 농도를 낮춘 우레탄 일래스토머의 용액을 도포하고, 가열 온도 60℃에서 30분 동안 건조를 행하여, 두께 0.07㎜ 정도의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를 제조하였다.
제2 공정으로서, 우레탄 일래스토머를 DMF 및 MEK에 용해시켜, 항균제를 첨가한 용액에, 또한 광택제거제(6)가 되는 분말형 실리카(평균 입경 3.1㎛∼4.1㎛),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를 첨가하여, 광택제거용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리카의 중량은, 우레탄 일래스토머 중량에 대하여 약 8%였다. 이 광택제거용 용액을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에 도포하고, 가열 온도 60℃에서 2~4시간 정도 건조시켰다.
제3 공정으로서, 상기 제2 공정에서 표면에 광택제거제(16)가 첨가된 측의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에, 미세한 메쉬 상태의 그물로서 시판중인 나일론제의 스타킹용 그물을 씌워,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의 용제인 MEK 및 DMF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도포하고, 100℃에서 4시간 건조시켰다. 건조한 후에 스타킹용 그물을 제거하고,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21D)를 형성하였다. 스타킹용의 그물의 실 직경은 0.05㎜이며, 메쉬는 50메쉬(개/인치) 정도였다.
이같이 하여,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의 표면에, 광택제거제(16)를 포함하는 영역(15A) 및 요철부(15D)를 형성하고,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를 제조했다.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두께는, 광택제거제(16)를 포함하는 영역(15A)에서 0.03∼0.035㎜ 정도 증가하여, 전체의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두께가 0.09∼0.11㎜ 정도의 두께로 되었다.
제4 공정으로서, 그물패턴(20)으로 성형하기 전의 그물 부재를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하여, 헤드부 형상의 석고형(61)에 그물 부재를 덮어 수지가공을 행한다. 도 15는, 헤드부 형상의 석고형(61)에 그물 부재를 덮고, 고정용 바늘(62)을 사용하여 고정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수지가공은, 도 15와 같이 준비한 가발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의 석고형(61)에 나일론제로 이루어진 그물 부재를 덮어 고정한 후, 그 그물 부재의 위로부터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 용액을 도포하고, 가열 온도 100℃에서 8시간 건조시켜 성형하고, 그물패턴(20)을 얻었다.
다음에, 석고형(61)으로부터 그물패턴(20)을 벗겨 초음파 가공을 행하였다. 초음파 가공이란, 그물패턴(20)을 구성하는 실이 교차하는 부분을 초음파와 가압에 의해 용착하고, 교차하는 부분을 고정하는 처리이다. 초음파 가공을 행했을 때, 성형된 그물패턴(20)의 형태가 무너져 버리면 후술하는 제5 공정에 지장이 생긴다. 그래서, 석고형(61) 상에, 초음파 가공을 행한 그물패턴(20)을 전두부, 후두부, 좌우측 헤드부의 위치에 맞추어 덮어 고정하고,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 용액을 그 위로부터 도포하고, 가열 온도 100℃에서 4시간 건조시켜 성형을 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물 부재로서 나일론제 그물을 사용하였으므로,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 용액에 의한 수지가공 후에 초음파 가공 및 재성형 처리 공정을 행하였으나, 이것은 나일론의 흡수성이 높으므로 치수 안정성이 나쁘고, 또 헤드부 형상으로 성형된 형상이 무너지기 쉽기 때문에, 이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나일론제 이외의 그물의 경우는, 흡수성이 높고 치수 안정성이 양호해서,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 용액에 의한 수지가공만으로도 된다.
그리고, 성형에 사용한 그물 부재의 실 직경은 220D이며, 메쉬는 25메쉬 정도(개/인치)였다. 성형에 사용하는 그물 부재는 헤드부 형상의 패턴을 만들 수 있는 소재이면 되고, 실 직경이나 메쉬의 수치는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제5 공정으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 공정에서 제조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를 아래로 하고, 제4 공정에서 제조되어 성형이 마무리된 그물패턴(20)을 위로 하여 중첩시킨다. 도 16은, 상기 제1 내지 제3 공정에서 제조한 석고형(61)에 세팅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위로부터, 상기 제4 공정에서 제조한 그물패턴(20)을 중첩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중첩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와 그물패턴(20)을 소정의 위 치에 소정의 폭으로 접착하여 일체화한다.
여기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와 그물패턴(20)을 일체화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접합부(73)가 되는 경계선을 따라 그 전방 측에 폭 3㎜의 마스킹 테이프(74)를 붙인다. 다음에, 도 16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위에 그물패턴(20)을 중첩시켜 소정의 위치에 맞춘다. 그리고,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킹 테이프(75, 76)를 그물패턴(20)의 위에 접합부(73)의 경계선을 따라 접합부(73)를 협지하도록 붙인다. 도 20은 도 19의 A-A'선 단면도이다. 마스킹 테이프(74)를 전두부 측의 경계선을 따라 미리 붙이는 이유는,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에 일체화 용제가 부착되어,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와 그물패턴(20)을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일래스토머를 DMF 및 MEK에 용해시켜, 항균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일체화 용용제를 접합부(73)에 도포하고, 가열 온도 6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다음에, 우레탄 일래스토머를 DMF 및 MEK에 용해시켜, 항균제를 첨가한 용액에, 그리고 광택제거제(16)가 되는 분말형 실리카(평균 입경 3.1㎛∼4.1㎛),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를 첨가한 광택제거용 용액을, 일체화 용제를 도포한 위치에 도포하고, 가열 온도 60℃에서 2시간 건조시켰다. 실리카의 중량은, 우레탄 일래스토머 중량에 대하여 약 21%였다. 일체화 후, 도 21 및 도 22와 같이, 광택이 제거 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에 위치하는 불필요한 그물 부재(20a)(도 19 참조)를 절제한다.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와 그물패턴(20)의 접합부(73)는, 봉합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16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위에 그물패턴(20)을 중첩하여 소정의 위치에 맞춘다. 다음에, 도 23에 나타낸 접합부(73')를 따라 나일론 필라멘트사에 의해 손바느질에 의한 가봉(tentative sewing)을 행하고, 석고형(61)으로부터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와 그물패턴(20)을 벗긴다.
가봉을 행한 접합부(73')를 따라 나일론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미싱에 의한 본 봉합을 행한다. 본 봉합 후, 최초에 가봉을 행한 부분에 남아 있는 나일론 필라멘트사를 제거한다.
여기서, 나일론 필라멘트사의 실 직경은 50dx의 것을 사용하였다. 미싱에 의한 본 봉합을 행하기 위한 나일론 필라멘트사는, 접합부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물패턴(20)의 색에 맞추어 노출되지 않는 색을 선택하고, 또한 광택이 없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봉에 사용하는 나일론 필라멘트사는 미싱에 의한 봉제 후에 제거하는 공정이 있으므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 및 그물패턴(20)과의 분별이 되는 색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체화 후, 도 24 및 도 25와 같이,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에 위치하는 불필요한 그물 부분(20a)(도 23참조)을 절제한다.
제6 공정으로서, 가발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 메일 패턴에 제1 내지 제5 공정 에 의해 제작한 가발 베이스를 고정하고,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 및 그물패턴(20)에 나일론제의 인공모발(12)의 1개 또는 복수 개를 모아서 접고,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에는 V자 심기로 이식하고, 그물패턴(20)에는 그물을 구성하는 실과 모발(12)을 묶어 이식하였다. V자 심기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12)을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의 표면 측으로부터 이면으로 관통하여 이식하고, 다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1)의 표면 측으로 뽑아내는 것으로,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이식하는 것이다. 그물패턴(20) 및 접합부(73)에 모발을 이식하는 방법은, 끈 등의 매듭 방법으로 공지된 카우 히치(cow hitch) 또는 클로브 히치(clove hitch)가 이용된다.
제7 공정으로서, 모발(12)을 이식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이면에 접착층(3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발을 이식한 가발 베이스(1a 또는 1b)를 뒤집어 가발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 메일 패턴에 세팅한다.
도 2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인공 피부의 앞쪽 에지의 소정 폭 또는 앞쪽 에지의 일부(β)에 접착층(30)을 형성하는 경우, 접착층(30)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에 이식한 모발의 바늘 땀부(12A)를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이면에 고정하기 위한 모발 고정용 우레탄 용액을 소정 회수 도포하고, 가열 온도 60℃에서 소정 시간 건조했다. 그 후, 인공 피부의 앞쪽 에지의 소정 폭 또는 앞쪽 에지의 일부(β)에 접착층(30)을 형성한다. 접착층(30)을 형성하는 폭은, 10㎝ 이상이면 된다. 이와 같은 경우의 극히 얇은 인공 피부(10B)의 단면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모발(12)의 바늘 땀부(12A)가 우레탄 용액(50)에 의해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에 고정되고, 이 우레탄 용액(50)의 위에 접착층(30)이 도포되어 있다.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 이면의 전체면에 접착층(30)을 형성하는 경우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 고정용 우레탄 용액(50)을 도포하지 않고 접착층(30)을 형성한다. 모발 고정용 우레탄 용액(50)을 도포하지 않는 이유는, 접착층(30)이 모발의 바늘 땀부(12A)의 고착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접착층(30)을 형성함으로써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 이면의 전체면에 이식한 모발의 바늘 땀부(12A)가 모두 고착되기 때문이다.
접착층(30)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는,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 혼합형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모노머와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용제인 DMF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주제로는 우레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 경화제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였다. 상기 2액 혼합형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의 주제와 경화제와 용제인 DMF를 혼합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실온에서 약 1∼2시간 정치시켜 반응을 진행시켰다. 정치시킨 후 용액의 점도는, 2000∼3000cps 정도가 적당했다. 이 접착제의 용액을, 광택제거 가발 베이스(1a, 1b)의 이면에 브러시로 도포하고, 80℃에서 10∼15시간 건조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약 0.05∼0.2㎜의 접착층(30)을 형성하였다.
제8 공정으로서, 그물패턴(20)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제한다. 또한, 가발의 윤곽을 형성하는 외측 에지부(72)를 따라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돌출 부분을 절제한다. 절제 시에,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 재(15)의 앞쪽 에지의 형상 처리를 행한다. 형상의 치수에 대하여, 도 6과 같이 정점(51)으로부터 그에 인접하는 계곡(52)까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길이(A)는 2.0㎜정도이고, 정점(51a)으로부터 그에 인접하는 다른 정점(51b)까지의 길이 방향의 길이(B)는 10.0㎜ 정도로 되는 파형으로 하였다.
도 27 및 도 28은, 상기 공정을 거쳐 제작한 가발(1)의 모식도이다. 도 27은, 제작한 가발(1)을 측면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며, 도 28은 제작한 가발(1)을 이면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D 방향이 가발의 전두부 방향으로, 전방부에는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가 구비되고, 후방부에는 그물패턴(20)이 구비되어 있고, 접합부(73)에서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와 그물패턴(20)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인공 피부재(15)의 앞쪽 에지에는 접착층(30)이 형성되고, 파형의 형상 처리가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위에 그물패턴(20)을 중첩시켜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접합부(73)에서는 도 27과 같이, 그물패턴(20)이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의 위에 중첩되도록 일체화되어 있지만, 도 29와 같이, 광택이 제거된 극히 얇은 인공 피부재(15)가 위로 되고, 그물패턴(20)이 아래가 되도록 일체화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가발(10)의 접착층(3O)에 대한, 가발 베이스(1a, 1b) 및 모발(12)의 바늘 땀부(12A)의 고착 강도를 조사하였다. 가발 베이스(1a, 1b)와 접착층(30)의 접착력은, 180gf/㎟ 정도였다. 모발(12)의 바늘 땀부(12A)와 접착층(30)의 고착력은 10gf/㎟ 정도였다.
또한, 가발 베이스(1a, 1b)와 접착층(30)의 접착력을, 사람의 손에 의한 당겨 벗김에 의한 방법으로 조사한 바, 가발 베이스(1a, 1b)로부터 접착층(30)은 용이하게 벗겨지지 않고,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발 베이스(1a, 1b)와 모발(12)의 바늘 땀부(12A)의 고착력을, 모발(12)을 사람의 손에 의한 잡아당기기에 의한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모발(12)의 바늘 땀부(12A)의 가발 베이스(1a, 1b)에 대한 접착은, 가발 베이스(1a, 1b) 및 접착층(30)의 접착력보다는 약하지만, 모발(12)에 브러싱을 해도 벗겨지지 않고 충분한 고착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접착층(30)의 두피에 대한 점착성과 재박리성도 양호했다. 접착층(30)을 물로 세척함으로써 재차 접착할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은 착탈을 연속하여 수십 회 이상 행할 수 있고, 접착층(30)의 재박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가발은, 연속 장착하지 않고, 매일 또는 필요를 따라 적당히 착탈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며 실용상 극히 유리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가발(1)을 피시험자에게 장착시켜 외관 관찰을 행한 바, 접착층(30)의 주위로부터의 광의 반사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가발(1)을 장착하지 않는 다른 피시험자에게 관찰시켜도, 광택제거된 접착층(30)을 사용하여 가발(1)을 장착하고 있는 것을 알아채지 못하고, 보기에 좋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변경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일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30)으로서, 우레탄 겔에 대하 여 설명하였으나, 가발 베이스(1a, 1b)와 가발 베이스에 이식되는 모발(12)의 바늘 땀부(12A)의 고착력과 두피부에 대한재박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그 제조에 사용하ㄴ는 가발용 접착제는 적당히 선정할 수 있다. 또한, 광택제거제는 실리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광택제거제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체적 수치 등은, 필요에 따라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이마 부분의 외측 에지부의 헤어라인 이외에 합성 수지제의 그물을 설치한 가발 베이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그물 대신에 헤드부 형상의 패턴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특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의 인공 피부를 캡 부재로서 사용해도 된다.

Claims (19)

  1. 가발 베이스 및 상기 가발 베이스에 이식한 모발을 구비한 가발에 있어서,
    상기 가발 베이스는, 인공 피부로 이루어지고 그 앞쪽 에지를 가발 장착자의 전두부에 배치하는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와 접합되어 가발 장착자의 헤드부 형상과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캡 부재로 이루어지는 후방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부는, 인공 피부재, 및 상기 인공 피부재의 이면에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되어 모발의 바늘 땀부(stitch)를 고정하고 또한 두피에 반복적으로 접착 및 박리 가능하게 가압 접착되는 기능을 가진 접착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반복적인 접착 및 박리 기능은, 상기 접착층의 겔화 반응 종료 후에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우레탄 겔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겔은, 주제(main agent) 및 경화제(solidifying agent)로 이루 어지는 2액 혼합형의 우레탄 수지계 압력 감응식 접착제(pressure-sensitive adhesive)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제는 상기 우레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polyol)이며, 상기 경화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thyanate)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피부의 표면은 광택제거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제거된 표면은, 상기 인공 피부에 광택제거제를 혼합하고, 또한 상기 인공 피부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제거제는 무기물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한 요철부는 미세한 메쉬에 의한 전사(轉寫)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피부의 앞쪽 에지가 파형(波形)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피부의 두께가 0.08㎜∼0.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11. 헤드부 형상을 모방한 메일 패턴(male pattern)에 열가소성 일래스토머(elastomer)를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전방부가 되어야 할 인공 피부를 제작하는 동시에, 그물 부재에 장착자의 헤드부의 형상과 유사한 패턴을 만들어 인공 피부에 연결된 후방부가 될 그물패턴을 제작하는 제1 공정,
    상기 인공 피부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그물패턴을 중첩시키고, 상기 인공 피부의 뒤쪽 에지가 될 부분과, 상기 뒤쪽 에지가 될 부분과 접합시키는 그물패턴의 앞쪽 에지가 될 부분을 봉합 또는 접착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제2 공정,
    상기 전방부가 될 인공 피부, 상기 후방부가 될 그물패턴, 및 상기 접합부에 모발을 이식하는 제3 공정,
    상기 전방부가 될 인공 피부의 이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제4 공정, 및
    상기 전방부에 위치하는 불필요한 그물 부재 및 상기 후방부에 위치하는 불필요한 인공 피부를 각각 절제하는 제5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모발 이식 공정, 상기 제4의 접착층 형성 공정, 및 상기 제5의 불필요한 부분 절제 공정은, 각각의 작업 공정의 순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공정은, 주제, 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 교반하고 상온에서 소정 시간 방치하여 반응을 진행시키고, 상기 용액을 상기 인공 피부의 이면에 도포하고 가열하여 상기 인공 피부의 이면에 접착하고, 가열 후에 상온까지 냉각하여, 상기 인공 피부의 이면에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피부의 표면에 광택제거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제거 처리는, 상기 인공 피부에 광택제거제를 혼합하고, 또한 상기 인공 피부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제거제는 무기물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한 요철부는 미세한 메쉬에 의한 전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피부의 앞쪽 에지를 파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제조 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피부의 두께가 0.08㎜∼0.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가발의 제조 방법.
KR1020087011903A 2005-10-21 2006-10-18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560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06851 2005-10-21
JPJP-P-2005-00306851 2005-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021A true KR20080056021A (ko) 2008-06-19

Family

ID=3796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903A KR20080056021A (ko) 2005-10-21 2006-10-18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90217936A1 (ko)
EP (1) EP1949809A1 (ko)
JP (1) JPWO2007046431A1 (ko)
KR (1) KR20080056021A (ko)
CN (1) CN101291600A (ko)
AU (1) AU2006305225A1 (ko)
CA (1) CA2625120A1 (ko)
RU (1) RU2008114373A (ko)
TW (1) TW200721995A (ko)
WO (1) WO20070464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0519B2 (en) * 2006-06-23 2009-10-13 Daniel Phu Dinh Eyelash extensions and method for applying eyelash extensions
US8158144B2 (en) * 2006-09-15 2012-04-17 Calvin Garris Hair care solution protecting natural hair from gluing products
JP4989184B2 (ja) * 2006-10-25 2012-08-01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93332B1 (ko) * 2007-01-12 2008-01-11 (주)하이모 가발용 캡 네트의 풀림방지 처리 방법
KR101159148B1 (ko) * 2007-11-20 2012-06-22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IT1392030B1 (it) * 2008-12-02 2012-02-09 Sicurmatica Di Massimiliano Delli Metodo di fabbricazione di un supporto multistrato incollabile sulla cute per la formazione di protesi autoadesive per capelli e impianti protesici multistrato così ottenuti.
JP5485719B2 (ja) * 2010-01-19 2014-05-07 株式会社プロピア 汎用かつら、かつらの装着方法及びカスタマイズかつら
CN101822436B (zh) * 2010-05-10 2013-11-13 许昌恒源发制品股份有限公司 发制品用胶皮及其制备工艺
JP5771382B2 (ja) * 2010-10-28 2015-08-26 株式会社プロピア 再製性使い捨てかつら
GB2508635A (en) * 2012-12-06 2014-06-11 Hair Technology Ltd Foundations for hair extensions and their use in methods of applying hair extensions
CN105448173A (zh) * 2015-03-11 2016-03-30 闪酷艺术设计(上海)有限公司 一种玻璃钢模型表面植毛方法
JP6296402B2 (ja) * 2016-04-05 2018-03-20 隆男 鈴木 アップバング用かつら
CN117837837A (zh) 2016-07-28 2024-04-09 莱施菲公司 施用一组睫毛嫁接物的方法、睫毛融合物及其制造方法
CN106307761A (zh) * 2016-08-22 2017-01-11 义乌市丝黛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假发及其制备方法
CA3208678A1 (en) 2016-12-20 2018-06-28 Lashify, Inc. Applicators and cases for artificial lash extensions
WO2020082056A1 (en) 2018-10-19 2020-04-23 Lashify, Inc. Applicators for applying eyelash extensions and methods for use and manufacture thereof
JP1686171S (ko) 2018-10-19 2021-05-24
USD863679S1 (en) 2018-10-19 2019-10-15 Lashify, Inc. False eyelash applicator
CA3123631A1 (en) 2019-01-14 2020-07-23 Lashify, Inc. Lash extens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CN211747241U (zh) 2019-10-03 2020-10-27 莱施菲公司 人造睫毛装置及睫毛延长装置
WO2024038649A1 (ja) * 2022-08-15 2024-02-22 株式会社カネカ 汎用かつら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9502A (en) * 1985-12-24 1989-01-24 Aderans Co., Ltd. Wig
JP2549556B2 (ja) * 1989-02-14 1996-10-30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の製造方法
JPH0742005A (ja) * 1993-08-02 1995-02-10 Kuraray Co Ltd 白髪用人工毛髪
JPH07229009A (ja) * 1994-02-14 1995-08-29 Art Neichiyaa:Kk 部分かつら及びこれらを組み合わせたかつら
JP3503122B2 (ja) * 1994-12-28 2004-03-02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の部分ベース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具
JP3389976B2 (ja) * 1994-12-28 2003-03-24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ベース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
JPH11117113A (ja) * 1997-10-09 1999-04-27 Art Nature:Kk かつら地の艶消し方法、艶消しかつら地、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
FR2775562B1 (fr) * 1998-03-06 2000-05-26 Nj Diffusion Sarl Element souple antiderapant et perruque munie d'un tel element
JPH11323646A (ja) * 1998-05-07 1999-11-26 Art Nature:Kk 分け目自在かつら
JP3984065B2 (ja) * 2002-02-08 2007-09-26 花王株式会社 カツラ用固定剤
JP2003313519A (ja) * 2002-04-23 2003-11-06 Tesa Ag 粘着シートストリップ
JP2004316044A (ja) * 2003-04-10 2004-11-11 Cloth Kogyo Kk カップ部のみのブラジャー
JP4009910B2 (ja) * 2003-10-06 2007-11-21 株式会社プロピア 使い捨てかつら
JP4560718B2 (ja) * 2004-10-25 2010-10-13 株式会社アデランスホールディングス かつら用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並びに製造方法
JP2006207035A (ja) * 2005-01-25 2006-08-10 Toshihito Sato かつら本体が粘着するかつ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25120A1 (en) 2007-04-26
US20090217936A1 (en) 2009-09-03
AU2006305225A1 (en) 2007-04-26
RU2008114373A (ru) 2009-11-27
EP1949809A1 (en) 2008-07-30
CN101291600A (zh) 2008-10-22
WO2007046431A1 (ja) 2007-04-26
TW200721995A (en) 2007-06-16
AU2006305225A8 (en) 2009-10-01
JPWO2007046431A1 (ja)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6021A (ko)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JP4989184B2 (ja) 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EP0230634B1 (en) Wig
US7836899B2 (en) Wi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131449B2 (en) Wig
US20070221240A1 (en) Multi-user adjustable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s
JP2007321282A (ja) かつら用透湿性素材及びこの透湿性素材を有するかつら又はかつら用下地キャップ
KR20090084856A (ko)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CN110769711A (zh) 假发套件及使用其的假发的制作方法
US20190125019A1 (en) Wigs and Wig Elements and Related Methods
JPH09268413A (ja) 増毛装具
JP2549556B2 (ja) かつらの製造方法
JP2006299432A (ja) 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558657B (zh) 一种假发
JP4753400B2 (ja) 自毛活用型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7143Y2 (ko)
WO2024038649A1 (ja) 汎用かつら
CN110664037B (zh) 一种假发
JP2761712B2 (ja) かつら
US20220071330A1 (en) Hair Extension Device and Method
WO1993003635A1 (en) An improved hair piece and a method of attaching a hair piece to the head of a person
CN2355562Y (zh) 仿真发套
JP2007031897A (ja) 増毛用部材、その作製方法及びその装着方法
AU2440792A (en) An improved hair piece and a method of attaching a hair piece to the head of a person
JP2761712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